[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5041B1 -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배수관 보호 콘크리트 1회타설 거푸집구조 및 이의 일체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배수관 보호 콘크리트 1회타설 거푸집구조 및 이의 일체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041B1
KR101485041B1 KR20140085155A KR20140085155A KR101485041B1 KR 101485041 B1 KR101485041 B1 KR 101485041B1 KR 20140085155 A KR20140085155 A KR 20140085155A KR 20140085155 A KR20140085155 A KR 20140085155A KR 101485041 B1 KR101485041 B1 KR 101485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lock
concrete
hume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8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찬
송병섭
정세주
Original Assignee
세주티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주티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주티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8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04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흄관(P)을 하부에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흄관(P)이 거치되는 흄관거치부(120)가 상부 중앙에 형성되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블록(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블록(110)을 양중하여 지중굴착면(G)에 거치한 후, 상기 흄관거치부(120)에 상기 흄관(P)을 양중하여 거치하며, 와이어(W)로 상기 블록(110)과 상기 흄관(P)을 상호 결박하므로 벽체콘크리트(WC) 타설시 상기 흄관(P)이 부력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PC 고정블록(100)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흄관 PC 고정블록(100)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흄관(P)이 설치될 현장에서 지중을 굴착하여 지중굴착면(G)을 형성하는 터파기단계; (2) 다수개의 상기 흄관 PC 고정블록(100)을 양중하여 상기 지중굴착면(G)에 다수개 설치하는 고정블록거치단계; (3) 상기 흄관(P)을 양중하여 상기 흄관거치부(120)에 거치하는 흄관설치단계; (4) 상기 블록(110)과 상기 흄관(P)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흄관결속단계; (5) 상기 벽체거푸집(210)과 측면프레임(240) 그리고 상부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제작된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여 상기 너트구멍(170)에 볼트(B)로 상기 벽체거푸집(210)을 고정하는 거푸집유닛설치단계; (6) 상기 거푸집유닛(200) 상부로 벽체콘크리트(WC)를 타설하는 벽체콘크리트타설단계; (7) 상기 벽체콘크리트(WC) 양생과정에서 상기 볼트(B)를 해체하여 상기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고 상기 거푸집유닛(200)을 다른 구간으로 이동하여 전용하는 거푸집유닛해체단계; 및, (8) 지중 빈공간을 되메우기(40)하는 정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배수관 보호 콘크리트 1회타설 거푸집구조 및 이의 일체화 시공방법{the precast concrete fixing block for hume pipe and the hume pip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흄관을 고정하는 흄관 PC 고정블록 및 이를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흄관(hume pipe)은, 지중에 매설되어 각종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빗물 등 각종 하수를 발생지에서 목적지까지 누수 없이 안전하게 이송시키는 하수관거의 일종이다.
이러한 흄관을 여러 개 연결하여 관로에 매설하게 되는데, 상기 흄관 연결공사는 그 작업의 특성과 열악한 환경으로 인하여 작업의 자동화 및 표준화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매설작업 후, 연결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매설 전 치밀하고 엄정한 작업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흄관설치단계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흄관설치단계는,
도 1(a)와 같이 흄관(P)이 설치될 현장에서 지중을 굴착하여 지중굴착면(G)을 형성하고,
도 1(b)와 같이 지중굴착면(G)에 기초거푸집(10)을 설치하고,
도 1(c)와 같이 와이어(W)를 매립한 기초콘크리트(BC)를 타설한 후,
도 1(d)와 같이 흄관(P)을 거치하고 와이어(W)를 고정한다.
이어서 도 1(e)와 같이 외벽거푸집(20)을 서포트(30)에 의지하여 설치하고,
도 1(f)와 같이 벽체콘크리트(WC)를 타설한다.
그리고 도 1(g)와 같이 상기 외벽거푸집(20)과 상기 서포트(30)를 해체하고,
도 1(h)와 같이 되메우기(40)를 한다.
상술한 종래의 흄관설치단계는 기초콘크리트(BC) 타설부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긴 구간에 걸쳐 동일 공정이 반복됨에도 상기 외벽거푸집(20)과 상기 서포트(30) 설치 및 해체 공정을 반복하여 공기를 늘이는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기초콘크리트(BC)를 대체하여 흄관(P)의 부상을 방지할 공법과 거푸집의 전용성을 늘리는 공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7048호 ‘토목공사에서의 상,하수관용 콘크리트 흄관’, 2006.10.30.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3723호 ‘흄관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 2012.07.0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PC블럭을 이용하여 흄관을 거치하므로 부력에 의한 흄관의 상승을 방지하고 시공성과 경제성을 높인 흄관 PC 고정블록 및 이를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거푸집유닛을 이용하여 전용성을 높인 흄관 PC 고정블록 및 이를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기성제작된 PC블록과 거푸집유닛을 이용하므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신속히 시공할 수 있는 흄관 PC 고정블록 및 이를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흄관(P)을 하부에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흄관(P)이 거치되는 흄관거치부(120)가 상부 중앙에 형성되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블록(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블록(110)을 양중하여 지중굴착면(G)에 거치한 후, 상기 흄관거치부(120)에 상기 흄관(P)을 양중하여 거치하며, 와이어(W)로 상기 블록(110)과 상기 흄관(P)을 상호 결박하므로 벽체콘크리트(WC) 타설시 상기 흄관(P)이 부력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PC 고정블록(100)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흄관 PC 고정블록(100)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흄관(P)이 설치될 현장에서 지중을 굴착하여 지중굴착면(G)을 형성하는 터파기단계; (2) 다수개의 상기 흄관 PC 고정블록(100)을 양중하여 상기 지중굴착면(G)에 다수개 설치하는 고정블록거치단계; (3) 상기 흄관(P)을 양중하여 상기 흄관거치부(120)에 거치하는 흄관설치단계; (4) 상기 블록(110)과 상기 흄관(P)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흄관결속단계; (5) 상기 벽체거푸집(210)과 측면프레임(240) 그리고 상부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제작된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여 상기 너트구멍(170)에 볼트(B)로 상기 벽체거푸집(210)을 고정하는 거푸집유닛설치단계; (6) 상기 거푸집유닛(200) 상부로 벽체콘크리트(WC)를 타설하는 벽체콘크리트타설단계; (7) 상기 벽체콘크리트(WC) 양생과정에서 상기 볼트(B)를 해체하여 상기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고 상기 거푸집유닛(200)을 다른 구간으로 이동하여 전용하는 거푸집유닛해체단계; 및, (8) 지중 빈공간을 되메우기(40)하는 정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PC블럭을 이용하여 흄관을 거치하므로 부력에 의한 흄관의 상승을 방지하고 시공성과 경제성을 높인 흄관 PC 고정블록 및 이를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둘째, 거푸집유닛을 이용하여 전용성을 높인 흄관 PC 고정블록 및 이를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셋째, 기성제작된 PC블록과 거푸집유닛을 이용하므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신속히 시공할 수 있는 흄관 PC 고정블록 및 이를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흄관설치단계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흄관 PC 고정블록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흄관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흄관 PC 고정블록 위에 흄관을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거푸집유닛(200)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흄관 PC 고정블록
도 2는 본 발명의 흄관 PC 고정블록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흄관 PC 고정블록(100)은 흄관(P)을 하부에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흄관(P)이 거치되는 흄관거치부(120)가 상부 중앙에 형성되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블록(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블록(110)을 양중하여 지중굴착면(G)에 거치한 후,
상기 흄관거치부(120)에 상기 흄관(P)을 양중하여 거치하며, 와이어(W)로 상기 블록(110)과 상기 흄관(P)을 상호 결박하므로 벽체콘크리트(WC) 타설시 상기 흄관(P)이 부력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흄관거치부(120)는 상기 흄관(P)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블록(110)의 상부 양측에는 양중고리(14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110)의 양측면에는 너트구멍(170)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구멍(170)에 벽체거푸집(210)을 볼트(B)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중고리(140)에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결속하거나, 별도의 아이볼트(160)를 상기 블록(110)의 상부면에 매립하여 상기 아이볼트(160)에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블록(110)의 전면과 후면에는 차후 벽체콘크리트(WC)와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해 전단키(180)를 요철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양중고리(140)와 상기 아이볼트(160) 또한 전단키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벽체거푸집(210)과 측면프레임(240) 그리고 상부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제작된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여 상기 너트구멍(170)에 볼트(B)로 상기 벽체거푸집(210)을 고정하므로,
상기 벽체콘크리트(WC) 타설 후 거푸집유닛(200)을 해체하여 전용할 수 있어 개개의 상기 벽체거푸집(210)과 상기 측면프레임(240)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230)의 설치 및 해체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흄관 PC 고정블록(100)은 향후 벽체콘크리트(WC) 타설과 양생과정에서 상기 흄관(P)에 작용하는 부력을 상쇄하도록 형상과 무게 그리고 크기 등을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2. 흄관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흄관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흄관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은 상기 흄관 PC 고정블록(100)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흄관(P)이 설치될 현장에서 지중을 굴착하여 지중굴착면(G)을 형성하는 터파기단계;
(2) 다수개의 상기 흄관 PC 고정블록(100)을 양중하여 상기 지중굴착면(G)에 다수개 설치하는 고정블록거치단계;
(3) 상기 흄관(P)을 양중하여 상기 흄관거치부(120)에 거치하는 흄관설치단계;
(4) 상기 블록(110)과 상기 흄관(P)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흄관결속단계;
(5) 상기 벽체거푸집(210)과 측면프레임(240) 그리고 상부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제작된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여 상기 너트구멍(170)에 볼트(B)로 상기 벽체거푸집(210)을 고정하는 거푸집유닛설치단계;
(6) 상기 거푸집유닛(200) 상부로 벽체콘크리트(WC)를 타설하는 벽체콘크리트타설단계;
(7) 상기 벽체콘크리트(WC) 양생과정에서 상기 볼트(B)를 해체하여 상기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고 상기 거푸집유닛(200)을 다른 구간으로 이동하여 전용하는 거푸집유닛해체단계; 및,
(8) 지중 빈공간을 되메우기(40)하는 정리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 상기 흄관(P)이 설치될 현장에서 지중을 굴착하여 지중굴착면(G)을 형성하는 터파기단계;
(2) 도 3(a)와 같이 다수개의 상기 흄관 PC 고정블록(100)을 양중하여 상기 지중굴착면(G)에 다수개 설치하는 고정블록거치단계;
(3) 도 3(b)와 같이 상기 흄관(P)을 양중하여 상기 흄관거치부(120)에 거치하는 흄관설치단계;
(4) 상기 양중고리(140) 또는 상기 아이볼트(160)와 상기 흄관(P)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흄관결속단계;
이때 상기 와이어(W)는 던버클과 같은 길이조절수단(TB)을 사용하여 장력을 조절하며 상기 흄관(P)의 외주면을 조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5) 도 4(a)와 같이 상기 벽체거푸집(210)과 측면프레임(240) 그리고 상부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제작된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여 상기 너트구멍(170)에 볼트(B)로 상기 벽체거푸집(210)을 고정하는 거푸집유닛설치단계;
(6) 도 4(b)와 같이 상기 거푸집유닛(200) 상부로 벽체콘크리트(WC)를 타설하는 벽체콘크리트타설단계;
(7) 상기 벽체콘크리트(WC) 양생과정에서 상기 볼트(B)를 해체하여 상기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고 상기 거푸집유닛(200)을 다른 구간으로 이동하여 전용하는 거푸집유닛해체단계; 및,
(8) 도 5와 같이 지중 빈공간을 되메우기(40)하는 정리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흄관 PC 고정블록 위에 흄관을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거푸집유닛(200)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흄관 PC 고정블록(100) 위에 상기 흄관(P)을 거치하고 거푸집유닛(200)을 설치한 후 벽체콘크리트(WC)를 타설하며, 상기 거푸집유닛(200)을 해체 전용하는 공정을 반복한다.
이때 상기 벽체콘크리트(WC)는 도 6(a)에서 2개의 흄관 PC 고정블록(100) 사이에도 충진된다.
결론으로,
본 발명은 PC블럭을 이용하여 흄관을 거치하므로 부력에 의한 흄관의 상승을 방지하고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거푸집유닛을 이용하여 전용성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기성제작된 PC블록과 거푸집유닛을 이용하므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신속히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P: 흄관
B: 볼트
BC: 기초콘크리트
G: 지중굴착면
WC: 벽체콘크리트
W: 와이어
10: 기초거푸집
20: 외벽거푸집
30: 서포트
40: 되메우기
100: 흄관 PC 고정블록
110: 블록
120: 흄관거치부
140: 양중고리
160: 아이볼트
170: 너트구멍
200: 거푸집유닛
210: 벽체거푸집
230: 상부프레임
240: 측면프레임

Claims (6)

  1. 흄관(P)을 하부에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흄관(P)이 거치되는 흄관거치부(120)가 상부 중앙에 형성되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블록(1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블록(110)을 양중하여 지중굴착면(G)에 거치한 후 상기 흄관거치부(120)에 상기 흄관(P)을 양중하여 거치하며, 와이어(W)로 상기 블록(110)과 상기 흄관(P)을 상호 결박하므로 벽체콘크리트(WC) 타설시 상기 흄관(P)이 부력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흄관거치부(120)는 상기 흄관(P)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블록(110)의 상부 양측에는 양중고리(140)가 부착되며,
    상기 블록(110)의 양측면에는 너트구멍(170)이 형성되되,
    벽체거푸집(210)과 측면프레임(240) 그리고 상부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제작된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여 상기 너트구멍(170)에 볼트(B)로 상기 벽체거푸집(210)을 고정하므로,
    상기 벽체콘크리트(WC) 타설 후 거푸집유닛(200)을 해체하여 전용할 수 있어 개개의 상기 벽체거푸집(210)과 상기 측면프레임(240)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230)의 설치 및 해체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PC 고정블록(100).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양중고리(140)에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결속하거나,
    별도의 아이볼트(160)를 상기 블록(110)의 상부면에 매립하여 상기 아이볼트(160)에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PC 고정블록(100).
  5. 제1항 또는 제4항의 흄관 PC 고정블록(100)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흄관(P)이 설치될 현장에서 지중을 굴착하여 지중굴착면(G)을 형성하는 터파기단계;
    (2) 다수개의 상기 흄관 PC 고정블록(100)을 양중하여 상기 지중굴착면(G)에 다수개 설치하는 고정블록거치단계;
    (3) 상기 흄관(P)을 양중하여 상기 흄관거치부(120)에 거치하는 흄관설치단계;
    (4) 상기 블록(110)과 상기 흄관(P)을 와이어(W)로 결속하는 흄관결속단계;
    (5) 상기 벽체거푸집(210)과 측면프레임(240) 그리고 상부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제작된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여 상기 너트구멍(170)에 볼트(B)로 상기 벽체거푸집(210)을 고정하는 거푸집유닛설치단계;
    (6) 상기 거푸집유닛(200) 상부로 벽체콘크리트(WC)를 타설하는 벽체콘크리트타설단계;
    (7) 상기 벽체콘크리트(WC) 양생과정에서 상기 볼트(B)를 해체하여 상기 거푸집유닛(200)을 양중하고 상기 거푸집유닛(200)을 다른 구간으로 이동하여 전용하는 거푸집유닛해체단계; 및,
    (8) 지중 빈공간을 되메우기(40)하는 정리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흄관 시공방법.
  6. 삭제
KR20140085155A 2014-07-08 2014-07-08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배수관 보호 콘크리트 1회타설 거푸집구조 및 이의 일체화 시공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85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5155A KR101485041B1 (ko) 2014-07-08 2014-07-08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배수관 보호 콘크리트 1회타설 거푸집구조 및 이의 일체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5155A KR101485041B1 (ko) 2014-07-08 2014-07-08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배수관 보호 콘크리트 1회타설 거푸집구조 및 이의 일체화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041B1 true KR101485041B1 (ko) 2015-01-21

Family

ID=5259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515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5041B1 (ko) 2014-07-08 2014-07-08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배수관 보호 콘크리트 1회타설 거푸집구조 및 이의 일체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0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526B1 (ko) 2015-07-27 2016-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와 기둥의 용이한 볼트 체결을 위하여 기둥플레이트와 보플레이트의 볼트구멍이 일치되는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라멘 pc보 제작을 위한 보거푸집템플레이트 및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라멘 pc기둥 제작을 위한 기둥거푸집템플레이트
KR102317331B1 (ko) * 2020-06-18 2021-10-25 김상기 콘크리트 블록
CN113756342A (zh) * 2021-09-08 2021-12-07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有限密闭空间水下模板以及封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008A (ko) * 2000-08-28 2002-03-07 (주)한빛하이테크엔지니어링 관 가설장치를 이용한 관의 부설시공법 및 관 가설장치
KR200274837Y1 (ko) 2002-01-15 2002-05-11 주식회사 콘스텍발명사무소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흄관받침 콘크리트를 이용한흄관설치 구조
JP2006088704A (ja) 2005-10-25 2006-04-06 Goto Concrete Kogyo Kk 側溝用ブロックの型枠装置及び該型枠装置により形成された側溝用ブロック
KR100926173B1 (ko) 2009-03-31 2009-11-10 정병양 현장타설 배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008A (ko) * 2000-08-28 2002-03-07 (주)한빛하이테크엔지니어링 관 가설장치를 이용한 관의 부설시공법 및 관 가설장치
KR200274837Y1 (ko) 2002-01-15 2002-05-11 주식회사 콘스텍발명사무소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흄관받침 콘크리트를 이용한흄관설치 구조
JP2006088704A (ja) 2005-10-25 2006-04-06 Goto Concrete Kogyo Kk 側溝用ブロックの型枠装置及び該型枠装置により形成された側溝用ブロック
KR100926173B1 (ko) 2009-03-31 2009-11-10 정병양 현장타설 배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526B1 (ko) 2015-07-27 2016-08-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와 기둥의 용이한 볼트 체결을 위하여 기둥플레이트와 보플레이트의 볼트구멍이 일치되는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라멘 pc보 제작을 위한 보거푸집템플레이트 및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라멘 pc기둥 제작을 위한 기둥거푸집템플레이트
KR102317331B1 (ko) * 2020-06-18 2021-10-25 김상기 콘크리트 블록
CN113756342A (zh) * 2021-09-08 2021-12-07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有限密闭空间水下模板以及封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916B1 (ko) Phc 파일과 강관 파일을 혼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KR102000104B1 (ko) 토목섬유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의 수중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1485041B1 (ko) Pc 고정블록을 이용한 배수관 보호 콘크리트 1회타설 거푸집구조 및 이의 일체화 시공방법
CN204185845U (zh) 一种防水桩板墙支护结构
JP6393350B2 (ja) 既存用水路の補修工法
KR101732669B1 (ko) 보강부재,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된 콘크리트 관로 및 보강부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보강공법
KR100926173B1 (ko) 현장타설 배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588445B1 (ko) 환경친화적 전주 설치 공법
KR100808676B1 (ko) 흄관 매설 시공공법
KR101734026B1 (ko) Phc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7154623B2 (ja) マンホール更生工法及びマンホール更生構造
KR101377017B1 (ko) 흄관 받침부재, 수로 형성부재 및 그 시공방법
CN112074640A (zh) 混凝土基础构造及其施工方法
KR101742775B1 (ko) 스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매립형 보수/보강공법
KR200341018Y1 (ko) 배수관용 형틀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CN105442528A (zh) 一种带有密封圈的水泥注浆板桩
JP2020041286A (ja) 円形水路の改修工法
KR200462219Y1 (ko) 유속 변환구조를 갖는 매립용 흄관의 시공 구조물
KR101027801B1 (ko) 관로 성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200184230Y1 (ko) 매설관 지지장치
KR100650134B1 (ko) 지지대 조기 해체 공법
KR100751969B1 (ko) 현장제관 관로 설치공법
KR200417474Y1 (ko) 관로 받침대
KR102026112B1 (ko) 다양한 브라켓 연결수단을 갖는 수직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