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4221B1 -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221B1
KR101484221B1 KR20130070455A KR20130070455A KR101484221B1 KR 101484221 B1 KR101484221 B1 KR 101484221B1 KR 20130070455 A KR20130070455 A KR 20130070455A KR 20130070455 A KR20130070455 A KR 20130070455A KR 101484221 B1 KR101484221 B1 KR 101484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long
shock absorber
rear shock
ra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361A (ko
Inventor
조성훈
김대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0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221B1/ko
Priority to US14/095,577 priority patent/US8985605B2/en
Publication of KR2014014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2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60G13/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of flui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1For commercial vehicles or tractor-trailer combinations, e.g.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8Damper mount on vehicle body or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리어 쇽 업소 장착구조가 개시된다. 휠 하우징에 장착되고, 리어 쇽 업소버가 체결되어 지지되는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 상기 휠 하우징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차실 쪽을 향한 내측면에 장착되는 내측 듀얼 레일 멤버, 및 상기 휠 하우징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차실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 장착되는 외측 듀얼 레일 멤버를 구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면서 리어 쇽 업소버의 장착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Rear shock absorb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 및 제작 공정수의 감소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중량도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축을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해서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만드는 장치로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섀시스프링과, 이 섀시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차체의 롤링을 억제하는 스태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쇽 업소버의 하부는 통상적으로 너클 등을 통해 차륜에 연결되는 반면에 상기 쇽 업소버의 상부는 차체를 구성하는 휠 하우징에 장착되어, 차륜을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저감시키는 기능을 주로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쇽 업소버 중에 차량의 후륜에 장착되는 리어 쇽 업소버는 그 상부가 통상적으로 리어 쇽 업소버 커버를 매개로 휠 하우징에 장착된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커버는 휠 하우징의 장착 부위에서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리어 쇽 업소버의 장착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리어 쇽 업소버 커버를 매개로 리어 쇽 업소버를 휠 하우징에 장착하는 종래의 장착 구조에서, 리어 쇽 업소버 커버 및 그 장착 부위의 구조가 다수개의 패널 및 브래킷으로 이루어져, 구조가 복잡하고, 장착 조립성이 저하되면, 리어 쇽 업소버의 차체 입력점 강성도 취약한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품수의 축소로 제작 공정수를 감소시켜 장착 및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중량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차체 입력점 강성도 증대시켜 원활한 하중 분산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는, 휠 하우징에 장착되고, 리어 쇽 업소버가 체결되어 지지되는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 상기 휠 하우징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차실 쪽을 향한 내측면에 장착되는 내측 듀얼 레일 멤버, 및 상기 휠 하우징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차실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 장착되는 외측 듀얼 레일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의 하부 일부는 상기 휠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용접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에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는 상기 휠 하우징에 장착된 경우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쪽을 향해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면, 및 상기 전면과 후면, 내측면 및 외측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면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내측을 향해 내측으로 트여진 형태로 안착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 플랜지에 상기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 플랜지는 평평한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서로 대향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면의 상기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에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쪽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 듀얼 레일 멤버가 상기 결합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출부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쪽을 향한 내측으로 돌출한 내측면, 상기 내측면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 및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듀얼 레일 멤버는 상기 휠 하우징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차실 쪽을 향한 상기 내측면에 부착된 경우에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된 제1레일, 상기 제1레일로부터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 비스듬히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휠 하우징의 상기 내측면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각각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에는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으로 연장된 형태의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보다 상기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 위치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부에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의 상부가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은 상기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연결면, 상기 상부 연결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연결면, 및 상기 상부 연결면과 하부 연결면을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결면에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의 상부가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듀얼 레일 멤버는 상기 휠 하우징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차실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 부착된 경우에 상기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된 제1레일, 상기 제1레일로부터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 비스듬히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휠 하우징의 상기 외측면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각각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에 의하면, 리어 쇽 업소버의 상부가 대체로 사각 박스 형상을 이루는 단일체의 쇽 업소버 커버를 매개로 휠 하우징에 장착됨에 따라 장착 공수의 감소로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일체의 쇽 업소버 커버는 그 부품수와 제작 공정수 및 중량의 감소로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쇽 업소버가 장착되는 휠 하우징의 장착 부위보다 아래쪽에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휠 하우징의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각각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외측 듀얼 레일 멤버 및 내측 듀얼 레일 멤버가 부착되어, 휠 하우징의 강성을 증대시켜 쇽 업소버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듀얼 레일 멤버와 내측 듀얼 레일 멤버 및 상기 박스 형상의 커버 구조를 매개로 쇽 업소버의 차체 입력점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쇽 업소버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수직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쇽 업소버의 장착 부위를 기준으로 상하, 전후 및 좌우 연결 강성도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와 내측 듀얼 레일 멤버 및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의 반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에 리어 쇽 업소버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측 듀얼 레일 멤버가 휠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내측 듀얼 레일 멤버와 외측 듀얼 레일 멤버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리어 쇽 업소버(10)를 차체를 구성하는 휠 하우징(20)에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휠 하우징(20)의 상부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30)가 결합되어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30)의 하부 일부는 상기 휠 하우징(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예를 들면 용접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용접은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30)의 하부 가장자리와 겹쳐지는 상기 휠 하우징(2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용접 형태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30)에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40)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트레인 크로스 멤버(40)는 대체로 사각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휠 하우징의 차실 쪽으로 향한 내측면, 즉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면에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30)가 휠 하우징(20)에 장착된 부위보다 아래쪽 부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듀얼 레일 멤버(50)가 부착되어 휠 하우징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상기 리어 쇽 업소버(10)의 장착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30)는 대체로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30)는 상기 휠 하우징(20)에 장착될 경우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301)과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302),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쪽을 향해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면(303) 및 차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면(304)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면(301)과 후면(302), 내측면(303) 및 외측면(304)은 이들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의 연결면(305)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면(303)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트여진 형태의 안착 플랜지(30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 플랜지(306)는 대체로 평평한 바닥면(306a)과, 이 바닥면(306a)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서로 대향하는 측벽(306b)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 플랜지(306)의 트여진 공간을 통해 상기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40)의 선단부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로부터 하부로 삽입되어 예를 들면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 플랜지(306)에 상기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4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상기 안착 플랜지(306)의 바닥면(306a)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40)의 상하 거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2개의 측벽(306b)들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40)의 전후 거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2개의 측벽(306b)에 의해 둘러 쌓인 상기 내측면(303)의 일부(303a)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상기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40)의 좌우 거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측면(303)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에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쪽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출부(30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출부(307)는 대체로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돌출부(307)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쪽을 향한 내측으로 돌출한 대체로 평평한 내측면(307a)과, 이 내측면(307a)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307b) 및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307c)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듀얼 레일 멤버(50)는 상기 휠 하우징(20)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차실 쪽을 향한 내측면에 부착될 경우에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된 제1레일(501)과, 이 제1레일(501)로부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 비스듬히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레일(502)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일(501)과 제2레일(502)은 예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레일(501)과 제2레일(502)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하게 절곡된 형태의 플랜지(503)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503)가 상기 휠 하우징(20)의 내측면에 용접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501)과 제2레일(502)은 각각 대체로 ㄷ자 형상의 단면(504)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듀얼 레일 멤버(50)의 제1레일(501)의 상부가 상기 결합 돌출부(307)를 덮는 형태로 끼워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측 듀얼 레일 멤버(50)가 결합 돌출부(307)를 끼워서 결합되면, 상기 결합 돌출부(307)의 내측면(307a)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내측 듀얼 레일 멤버(50)의 좌우 거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결합 돌출부(307)의 전면(307b) 및 후면(307c)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내측 듀얼 레일 멤버(50)의 전후 거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302)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으로 연장된 형태의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제1연장부(308a)와, 이 제1연장부(308a)보다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 위치하는 제2연장부(308b), 및 상기 제1연장부(308a)와 제2연장부(308b)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 연결부(308b)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308b)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너트(60)가 부착되고, 상기 용접 너트(60)에는 리어 쇽 업소버(10)의 상부가 볼트(62)로 체결되어 장착된다.
즉 상기 제2연장부(308b)는 리어 쇽 업소버(10)의 장착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면(305)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연결면(305a)과, 상기 상부 연결면(305a)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연결면(305b), 및 상기 상부 연결면(305a)과 하부 연결면(305b)을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 연결부(305c)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결면(305b)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너트(60)가 부착되고, 상기 용접 너트(60)에는 리어 쇽 업소버(10)의 상부가 볼트(62)로 체결되어 장착된다.
즉 상기 하부 연결면(305c)은 리어 쇽 업소버(10)의 장착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단차 연결부(305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쇽 업소버(10)를 통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하중이 하부 연결면(305c)에 가해질 때에 이를 강건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휠 하우징(20)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면(201)에는 상기 내측 듀얼 레일 멤버(50)와 대체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 외측 듀얼 레일 멤버(70)가 부착되어, 휠 하우징(20)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 듀얼 레일 멤버(70)는 상기 휠 하우징(20)의 외측면(201)에 부착될 경우에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된 제1레일(701)과, 이 제1레일(701)로부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 비스듬히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레일(702)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일(701)과 제2레일(702)은 예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레일(701)과 제2레일(702)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하게 절곡된 형태의 플랜지(703)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703)가 상기 휠 하우징(20)의 외측면(201)에 용접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701)과 제2레일(702)은 각각 대체로 ㄷ자 형상의 단면(704)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듀얼 레일 멤버(50)가 상기 휠 하우징(20)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내측면의 이면인 상기 휠 하우징(20)의 외측면(201)에 상기 부착될 경우에, 상기 내측 듀얼 레일 멤버(50)와 상기 외측 듀얼 레일 멤버(70)는 휠 하우징(20)의 구조적인 강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켜 리어 쇽 업소버(10)로부터 휠 하우징(20)에 전달되는 외력을 보다 강건하게 지탱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리어 쇽 업소버
20: 휠 하우징
30: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
40: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
50: 내측 듀얼 레일 멤버
60: 용접 너트
70: 외측 듀얼 레일 멤버

Claims (18)

  1. 휠 하우징에 장착되고, 리어 쇽 업소버가 체결되어 지지되는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
    상기 휠 하우징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차실 쪽을 향한 내측면에 장착되는 내측 듀얼 레일 멤버; 및
    상기 휠 하우징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차실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 장착되는 외측 듀얼 레일 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는
    상기 휠 하우징에 장착된 경우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쪽을 향해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면;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면; 및
    상기 전면과 후면, 내측면 및 외측면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면;
    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의 하부 일부는 상기 휠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어 용접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에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가 안착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쇽 업소버 상부 커버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내측을 향해 내측으로 트여진 형태로 안착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 플랜지에 상기 패키지 트레이 크로스 멤버가 안착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 장착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랜지는
    평평한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서로 대향하는 측벽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의 상기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에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쪽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결합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 듀얼 레일 멤버가 상기 결합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쪽을 향한 내측으로 돌출한 내측면;
    상기 내측면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차실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됨과 더불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 및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듀얼 레일 멤버는
    상기 휠 하우징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차실 쪽을 향한 상기 내측면에 부착된 경우에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된 제1레일;
    상기 제1레일로부터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 비스듬히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휠 하우징의 상기 내측면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각각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는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으로 연장된 형태의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보다 상기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 위치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장부에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의 상부가 체결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상기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연결면;
    상기 상부 연결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연결면; 및
    상기 상부 연결면과 하부 연결면을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결면에는 상기 리어 쇽 업소버의 상부가 체결되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듀얼 레일 멤버는
    상기 휠 하우징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차실 외측을 향한 외측면에 부착된 경우에 상기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된 제1레일;
    상기 제1레일로부터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 비스듬히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레일; 및
    상기 제1레일과 제2레일의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휠 하우징의 상기 외측면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은 각각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130070455A 2013-06-19 2013-06-19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Active KR101484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455A KR101484221B1 (ko) 2013-06-19 2013-06-19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US14/095,577 US8985605B2 (en) 2013-06-19 2013-12-03 Rear shock absorb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455A KR101484221B1 (ko) 2013-06-19 2013-06-19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361A KR20140147361A (ko) 2014-12-30
KR101484221B1 true KR101484221B1 (ko) 2015-01-16

Family

ID=5211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0455A Active KR101484221B1 (ko) 2013-06-19 2013-06-19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85605B2 (ko)
KR (1) KR101484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1656A1 (de) * 2015-08-19 2017-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ßdämpferhalterung und Kraftfahrzeug
US11034387B2 (en) * 2019-07-17 2021-06-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body-variant adaptable shock tower system
CN111791959A (zh) * 2019-10-12 2020-10-2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后轮罩组件和具有它的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074U (ko) * 1987-07-29 1989-02-02
JPH07165119A (ja) * 1993-12-14 1995-06-2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JP2006015800A (ja) * 2004-06-30 2006-01-19 Honda Motor Co Ltd ダンパ仮保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3933A (en) * 1946-04-24 1956-02-07 Vehicle frame cross member
US2718409A (en) * 1953-12-04 1955-09-20 American Motors Corp Frame structure for wheel support
US3202451A (en) * 1960-08-18 1965-08-24 Ford Motor Co Vehicle underbody structure
US5431363A (en) * 1993-12-23 1995-07-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hock absorber mounting bracket
KR100335956B1 (ko) * 1999-11-23 2002-05-10 이계안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장착 브라켓트
DE50109497D1 (de) * 2001-07-05 2006-05-24 Ford Global Tech Llc Kraftfahrzeugkarosserie
KR20030039754A (ko) 2001-11-14 2003-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쇽업서버 고정구조
JP3866176B2 (ja) * 2002-09-18 2007-0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JP4466363B2 (ja) 2004-12-27 2010-05-2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ョックアブソーバ取付部構造
US8146933B2 (en) * 2007-08-31 2012-04-03 Honda Motor Co., Ltd. Vehicle damper attachment structure system and method
KR100980714B1 (ko) * 2008-10-01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하우스 기구
JP5509842B2 (ja) * 2009-12-25 2014-06-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KR20120063373A (ko) * 2010-12-07 2012-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쇽업쇼바 마운팅 브라켓 보강구조
JP2013043474A (ja) 2011-08-22 2013-03-04 Toyota Auto Body Co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構造
KR101755711B1 (ko) * 2011-10-04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쇽업소버 장착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074U (ko) * 1987-07-29 1989-02-02
JPH07165119A (ja) * 1993-12-14 1995-06-2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構造
JP2006015800A (ja) * 2004-06-30 2006-01-19 Honda Motor Co Ltd ダンパ仮保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75012A1 (en) 2014-12-25
KR20140147361A (ko) 2014-12-30
US8985605B2 (en) 201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724B1 (ko) 전방 차체 구조
KR101755461B1 (ko) 전방 차체 구조
EP3556591B1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JP6631472B2 (ja) 車両下部構造
KR101786673B1 (ko) 전방 차체 구조
KR102660344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JP4853197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5581389B2 (ja) 車体前部構造
KR101371466B1 (ko) 전방 차체 보강 구조
WO2013054565A1 (ja) 車体後部のフロア構造
KR101705146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JP5775382B2 (ja) 車体前部構造
KR20140011132A (ko) 리어 패키지 트레이 어셈블리
JP6544635B2 (ja) 車両側部構造
KR101484221B1 (ko) 차량용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02394581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CN107021138A (zh) 汽车的车身结构以及汽车的制造方法
KR102371242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KR20150118809A (ko) 차량용 쇽 업소버 하우징 및 그 장착구조
JP5950407B2 (ja) 車体構造
CN110785340B (zh) 车身结构
KR20120007608U (ko)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KR102383254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2012192864A (ja) 車両の車体構造
KR102119447B1 (ko) 휠하우스 보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