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3957B1 - Non-stop elevator with light detecting sensor - Google Patents

Non-stop elevator with light detecting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957B1
KR101483957B1 KR20130103582A KR20130103582A KR101483957B1 KR 101483957 B1 KR101483957 B1 KR 101483957B1 KR 20130103582 A KR20130103582 A KR 20130103582A KR 20130103582 A KR20130103582 A KR 20130103582A KR 101483957 B1 KR101483957 B1 KR 101483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elevator
light
sensed
discrimin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기남
김영광
이병표
임창준
임용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03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9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95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 승강기 내부에 탑승된 면적을 감지하여 승차할 잔여면적이 없는 경우에 무정차 운행을 수행하며, 승강기바닥에 광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빛을 감지함으로써 실제적인 탑승 면적을 손쉽게 감지하도록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승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승강기의 운행 중에, 승강기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수광된 정보를 입력받는 광감지신호입력단계; 승강기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수광정보를 판별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잔여면적판별단계; 승강기에서의 전체 면적 중에서 잔여면적을 제외하여 탑승가능한 면적을 판별하여 승차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승차가능판별단계; 승차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하는 무정차운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that senses an area occupied in an actual elevator and performs irregular running when there is no remaining area for riding, and a light sensor is installed on a floor of the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le elevator according to a light detection sensor for easily detecting an area occupied by a passeng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n elevator, including: a light sensing signal inpu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installed on a floor of an elevator during operation of an elevator; A remaining area discrimination step of discriminating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photodetection sensor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to discriminate the remaining area;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can be ridden by determining an area that can be ridden except for the remaining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elevator; And an idling operation step of operating the vehicle at irregular intervals in the intermediate flo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can not be ridden.

Description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NON-STOP ELEVATOR WITH LIGHT DETECTING SENS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stop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 승강기 내부에 탑승된 면적을 감지하여 승차할 잔여면적이 없는 경우에 무정차 운행을 수행하며, 승강기바닥에 광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빛을 감지함으로써 실제적인 탑승 면적을 손쉽게 감지하도록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that senses an area occupied in an actual elevator and performs irregular running when there is no remaining area for riding, and a light sensor is installed on a floor of the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le elevator according to a light detection sensor for easily detecting an area occupied by a passenger.

현재 아파트, 백화점, 학교, 공공시설이 대형화되고 다층구조를 갖게 되면서 승강기는 건물에 있어 필수적 장비로 그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승강기를 이용하면서 정차 또는 승객만원 탑승시에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Currently, apartments, department stores, schools, and public facilities are becoming larger and multi-layered, and elevators are being installed as essential equipment in buildings.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occurs when the elevator is used while the passenger or the passenger is aboard.

종래 기술의 승강기는 탑승객이 만원일 경우 각 층에 만원상태라는 탑승인원의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다.The elevator of the prior art is to inform the passengers that the passengers are full when the passengers are full.

승강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임의의 층에서 승강기를 기다리고 있을 때 정차하였으나 승차승객이 초과하면 더 이상 탑승하지 못하고 포기해야 한다.When a user using an elevator stops while waiting for an elevator at an arbitrary floor, if the passenger exceeds the number of passengers, it can no longer be aboard and must be abandoned.

반대로 만원이 된 승강기가 이동 중에 중간 층에 있는 사용자가 버튼을 눌렀으나 만원이 되어 더 이상 탈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승강기는 해당 층에 정차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or stops at the floor even though the user who is on the middle floor pushes the button while the elevator is on the way, but is no longer able to ride because it is full.

이처럼 불필요한 정차는 시간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정차 및 운행에 따른 전력비용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Such unnecessary stoppages not only waste time but also waste electric power costs due to stopping and running.

이에 대해 종래 기술은 승강기에 장착된 무게감지 센서에 의해서만 동작된다. 하지만 무게는 승강기의 최대 수용치에 미치지 못하지만 부피는 커서 더 이상 승객이 탑승할 수 없는 경우에도 승강기가 정차하게 되어 불필요한 시간과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contrary, the prior art is operated only by the weight detection sensor mounted on the elevator. However, the weight does not reach the maximum capacity of the elevator, but the elevator is stopped even when the passenger is no longer able to ride the car because the volume is large, thereby generating unnecessary time and energy.

특허출원 제10-1993-0014338호Patent Application No. 10-1993-0014338 특허출원 제10-2009-0094037호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94037 특허출원 제10-2010-0024751호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2475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정차 승강기를 운행함에 있어 탑승 무게만 다루는 것에 더 나아가, 실제 승강기 내부에 탑승된 면적을 감지하여 승차할 잔여면적이 없는 경우에 무정차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elevator system for handling an unladen elevator, in addition to handling only the weight of a vehicle occupant, a method of detecting an area occupied inside an elevator, .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기바닥에 광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빛을 감지함으로써 실제적인 탑승 면적을 손쉽게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sensing sensor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so as to easily detect an actual boarding area by sensing ligh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광감지센서들에서 감지한 영역을 분석하여 감지하지 않은 영역을 잔여면적으로 산출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alyze a region sensed by a plurality of photodetection sensors and to calculate a non-sensed region as a remaining area.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광감지센서들에서 감지한 광감지 영역의 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패턴에 해당하는 객체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탑승면적 및 잔여면적을 산출하게 하는 것이다.
It is a still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alyze a pattern of a light sensing area sensed by a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and analyz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to calculate a more accurate boarding area and a remaining are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승강기의 운행 중에, 승강기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수광된 정보를 입력받는 광감지신호입력단계; 승강기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수광정보를 판별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잔여면적판별단계; 승강기에서의 전체 면적 중에서 잔여면적을 제외하여 탑승가능한 면적을 판별하여 승차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승차가능판별단계; 승차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하는 무정차운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of an elevator, including: a light sensing signal inpu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installed on a floor of an elevator during operation of an elevator; A remaining area discrimination step of discriminating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photodetection sensor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to discriminate the remaining area;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can be ridden by determining an area that can be ridden except for the remaining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elevator; And an irregular operation step of operating the vehicle at irregular intervals in the intermediate flo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can not be ridden.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감지신호입력단계에서 감지된 수광정보를 제공받고 감지된 영역을 분석하여 객체인식을 수행하는 객체인식판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는: 각 광감지센서들에의 수광정보를 분석하여 광감지된 영역을 분석하는 광감지영역분석단계; 광감지된 영역의 경계를 판별하여 광감지된 패턴을 분석하는 광감지패턴분석단계; 광감지된 패턴에 대해 저장된 객체의 패턴과 비교를 통하여 객체를 판별하는 감지객체판별단계; 판별된 객체의 면적 데이터를 리딩하여 객체의 면적을 산출하며 전체 객체들에 대한 전체 분포 면적을 산출하는 객체면적판별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잔여면적판별단계는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에 의해 산출된 전체 객체들에 의한 면적에 대해서, 승강기 내부 전체 면적에서 전체 객체들에 의한 면적을 제외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recogni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light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in the light sensing signal input step and analyzing the sensed area to perform object recognition; A light sensing area analyzing step of analyzing light receiving information to each light sensing sensor and analyzing the light sensing area; A light sensing pattern analysis step of analyzing a light sensed pattern by discriminating a boundary of the light sensed area; A detected object discrimination step of discriminating an object through comparison with a pattern of an object stored for a photographed pattern; And an object area determining step of calculating an area of the object by reading the area data of the identified object and calculating a total area of distribution of the entire objects, wherein the remaining area determining step comprises: Wherein the remaining area is determined by excluding the area of all the objects in the entire area of the elevator with respect to the area by the objects.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 또는 잔여면적판별단계에 있어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수광정보는 물체에 의해 가려진 저수광감지정보 및 물체에 의해 가려지지않은 고수광감지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recep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detection sensors in the object recognition determination step or the remaining area determination step includes low light reception detection information hidden by the object, And light sensing information.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idling elevator according to a light sensing sensor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 또는 잔여면적판별단계에 있어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수광정보는 물체에 의해 가려진 저수광감지정보, 물체에 의해 가려지지않은 고수광감지정보 및 저수광감지정보와 고수광감지정보 사이의 중간수광감지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recep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detection sensors in the object recognition determination step or the remaining area determination step may include low light reception detection information hidden by the object, Light detection information, intermediate light reception det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low light reception detection information and the high light recep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idle elevator according to the light detection sensor.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에서 객체는 복수 개의 저수광감지정보와 상기 복수 개의 저수광감지정보 사이에 중간수광감지정보로 이어지는 수광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람의 객체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bject recognition determination step, when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ow-light-reception-detection information and light-recep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intermediate light-reception det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ow- And the object is identified as an object.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한무게를 초과한 것으로 판별하면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되게 하는 제한무게판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weight sensor for a light sensor, comprising a light weight sensor for detecting a weight of an elevator, Control method.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기바닥에 설치되어 승강기 내부의 빛을 감지하는 광감지센서; 상기 광감지센서로부터 수광정보를 전송받고 승강기 내부에서 물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분석하고 승강기 내부의 전체 면적에서 물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제외시켜 잔여면적을 판별하여 승차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면적감지신호처리부; 상기 면적감지신호처리부로부터 승차가능면적이 없어 무정차신호를 전송받아 승강기가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되도록 처리하는 승강기운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sensing sensor is provid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and senses light in the elevator. An area sensing signal processor for receiving received light information from the light sensing sensor, analyzing an area occupied by the object within the elevator, discriminating the remaining area by excluding an area occupied by the object in the entire area inside the elevator, And an elevator operating unit for receiving an irregular signal from the area sensing signal processor and having no area available for riding, so that the elevator operates at uneven intervals in the intermediate layer.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적감지신호처리부는: 승강기의 운행 중에, 승강기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수광된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광감지신호처리부; 승강기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수광정보를 판별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잔여면적판별부; 승강기에서의 전체 면적 중에서 잔여면적을 제외하여 탑승가능한 면적을 판별하여 승차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승차가능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를 제공한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sensing signal processing unit includes: a light sensing signal processor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installed on a floor of an elevator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A remaining area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ensor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and discriminating the remaining area; And a riding capable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the riding is feasible by discriminating the riding area from the entire area of the elevator except for the remaining area, thereby providing an idler elevator according to the light sensing sensor.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수광정보를 제공받고 감지된 영역을 분석하여 객체인식을 수행하는 객체인식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인식판별부는: 다수의 광감지센서들에서 감지한 수공정보를 분석하여 광감지된 영역을 분석하는 광감지영역분석부; 광감지된 영역의 경계를 판별하여 광감지된 패턴을 분석하는 광감지패턴분석부; 광감지된 패턴에 대해 저장된 객체의 패턴과 비교를 통하여 객체를 판별하는 감지객체판별부; 판별된 객체의 면적 데이터를 리딩하여 객체의 면적을 산출하며 전체 객체들에 대한 전체 분포 면적을 산출하는 객체면적판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잔여면적판별부는 상기 객체인식판별부에 의해 산출된 전체 객체들에 의한 면적에 대해서, 승강기 내부 전체 면적에서 전체 객체들에 의한 면적을 제외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를 제공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comprising: an object recognition discrimination unit for receiving received light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photo sensors and analyzing the sensed area to perform object recognition; A light sensing area analyzer for analyzing the hand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light sensing sensors and analyzing the sensed area; A light sensing pattern analyzer for analyzing a light sensed pattern by discriminating a boundary of a light sensed region; A sens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an object through comparison with a pattern of an object stored for a light sensed pattern; And an object area determining unit for calculating an area of the object by reading the area data of the identified object and calculating a total area of distribution of the entire objects, wherein the remaining area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entire objects Wherein the remaining area is determined by excluding the area of all objects in the entire area of the elevator with respect to the area by the light sensor.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한무게를 초과한 것으로 판별하면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되게 하는 무게감지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를 제공한다.
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includes a weight detection signal processing unit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elevator and operating the weight of the elevator at irregular interval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imit weight is exceeded. Lt; / RTI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무정차 승강기를 운행함에 있어 탑승 무게만 다루는 것에 더 나아가, 실제 승강기 내부에 탑승된 면적을 감지하여 승차할 잔여면적이 없는 경우에 무정차 운행을 수행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n excellent effect of handling only the weight of a passenger while operating an elevator car, and performing an irregular driving when the area occupied in the actual elevator is sensed and there is no remaining area for riding.

특히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승강기바닥에 광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빛을 감지함으로써 실제적인 탑승 면적을 손쉽게 감지하도록 하며, 기존의 승강기에 대해 단지 바닥에 광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분석 및 판별하기 때문에 설치 및 개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Particularly,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light sensing sensor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so that the actual boarding area can be easily sensed by detecting light, and a light sensing sensor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xisting elevator to analyze and discriminate Thereby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improvemen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다수의 광감지센서들에서 감지한 영역을 분석하여 감지하지 않은 영역을 잔여면적으로 산출하는 것이다.Further,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a region sensed by a plurality of photodetection sensors and to calculate a remaining area as a non-sensed region.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다수의 광감지센서들에서 감지한 광감지 영역의 패턴을 분석하여 해당 패턴에 해당하는 객체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탑승면적 및 잔여면적을 산출하게 하는 것이다.
Particularly,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a pattern of a light sensing area sensed by a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and analyz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to calculate a more accurate boarding area and a remaining ar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에서의 작동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와 관련한 사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에 대한 설명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에 대한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에 대한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에서 사람의 객체 인식에 있어서 2단계빛감지센서방식에 대한 일 실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에서 사람의 객체 인식에 있어서 3단계빛감지센서방식에 대한 일 실시 설명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in an idle-speed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for use in connection with an instantaneou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n idl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unctuou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an unctuou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wo-step light sensor in human recognition of an object in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three-step light sensing sensor system for recognizing a human object in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본 발명에 따른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 등에서와 같이, 운행하는 승강기의 전체 무게를 감지하는 방식에 대한 기술에 대비하여, 실제 승강기의 탑승객이 차지하는 승강기 내부의 면적을 판별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탑승객이 차지하는 면적을 산출하여 잔여 승차 가능한 면적이 있는 경우에는 중간 층에 정차하지만 잔여 승차 가능한 면적이 없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중간 층에서 정차하지 않고 무정차로 목적지 층까지 운행하게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idle elevator 10 according to the light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7, etc., in contrast to the technique of sensing the entire weight of the elevator, To determine the area inside the elevator. Thus, if the area occupied by the passenger is calculated and there is an area where the remaining riding is possib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remaining riding area, the vehicle is allowed to travel from the middle floor to the destination floor without stopping.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10)는 무게감지에 따른 무정차 운영기술과 면적을 판별하여 무정차 운행하는 기술을 별도로 적용할 수도 있고, 두 기술을 함께 포함하는 승강기로 운영할 수도 있는 등, 실시 상황에 따라 알맞게 적용되어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stepless elev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tepless elevator 10 according to the weight detection by separately identifying the irregular operation technique and the area, and can operate as an elevator including both technologies. It can be applied appropriately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이를 위한 승강기(10)의 기본 구성으로는, 승강기(10) 객차의 상부에 마련되어 승강기(10)의 상승과 하강을 작동하게 하는 부재들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어반, 모터, 와이어, 와이어로 승강기의 반대쪽에 연결된 무게추, 그리고 각종 안전장치들이 마련된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elevator 10 for this purpose is provided with member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1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10. For example, A weight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elevator, and various safety devices.

또한 승강기(10)와 관련하여 각 층의 승강기 출입구에는 출입문과 함께 밖에서 승강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이 작동하게 되는 상승 또는 하강의 승강기버튼이 마련된다.Also, with respect to the elevator 10, an elevator button for elevating or lowering a passenger who wants to use the elevator outside the elevator together with the door is provided at the elevator doorway of each floor.

따라서 승객이 승강기버튼의 상승 또는 하강의 버튼을 누르면 해당 층으로 승강기가 이동하여 승객이 탑승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passenger presses the button of the ascending or descending button of the elevator button, the elevator moves to the corresponding floor, and the passenger is boarded.

그리고 전체 작동을 위한 승강기의 제어반으로는 승강기운영부(30)가 마련되는 것이며, 이러한 승강기운영부(30)에 의하여 관리자 또는 승객의 입력신호를 처리하고, 모터 및 안전장치, 전자장치 및 표시장치들을 작동하는 구동제어, 각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감지신호처리, 아울러 각 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반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운영되는 승강기의 구성 및 운영방법이 적용되는 것이다.The controller of the elevator for the entire operation is provided with an elevator operation unit 30. The elevator operation unit 30 processes the input signals of the manager or the passenger and operates the motors and safety devices, , A sensing signal processing for processing signals sensed by the sensors,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each of the devices. The configuration of such a control panel is generally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an elevator operated.

아울러 승강기에서는 승강기 운행의 안전을 위해 승강기의 탑승 무게를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탑승 무게 제한을 초과한 경우 승강기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제한 무게를 초과한 경우에는 중간 층에서 정차하지 않고 무정차로 목적지 층까지 운행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elevator, the weight of the elevator is limited for safety of the elevator operation. If the weight limit is exceede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 of the elevator may occur. Therefore, if the weight exceeds the limit, the vehicle will travel from the middle floor to the destination floor without stopping.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기술에 의해 승강기 내부에 탑승된 승객이나 물건의 면적을 산출하여, 탑승 가능한 면적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중간 층에 무정차로 운영할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운영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passenger or the object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elevator is calcula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ssenger or the object is to be operated irregularly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passable area.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승강기바닥(11)에서 빛을 감지하여 내부의 공간에 탑승된 승객과 물건의 유무를 판별하여 처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승강기바닥(11)에 설치되어 승강기 내부의 빛을 감지하는 광감지센서(20)가 마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light is sensed by the elevator floor (11),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ssenger and an object boarded in an interior space is discriminated and processed. To this end, a light sensing sensor 20 is installed on the elevator base 11 to sense light in the elevator.

그리고 상기 광감지센서(20)로부터 수광정보를 전송받고 승강기 내부에서 물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분석하고 승강기 내부의 전체 면적에서 물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제외시켜 잔여면적을 판별하여 승차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면적감지신호처리부(50)가 마련된다.Then, the received ligh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light sensing sensor 20, the area occupied by the object is analyzed in the elevator, the area occupied by the object in the entire area of the elevator is excluded, and the remaining area is discriminated. A signal processing unit 50 is provided.

그리하여 상기 면적감지신호처리부(50)로부터 승차가능면적이 없어 무정차신호를 전송받아 승강기가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되도록 처리하는 승강기운영부(30)가 마련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기운영부(30)는 승강기(10)의 제어반으로써 승강기(10)의 전체 운영에 대해 관할하며, 승강기의 기본 운영, 안전장치의 작동, 승객이나 관리자의 입력정보의 처리 등을 처리하게 된다.Thus, the elevator operation unit 30 is provided for receiving the irregular signal from the area sensing signal processing unit 50 and having no area for riding, so that the elevator operates at uneven intervals in the middle floor.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operation unit 30 controls the entire operation of the elevator 10 as a control panel of the elevator 10, and performs basic operation of the elevator,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processing of input information of a passenger or an administrator .

이에 더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객이나 물건이 승강기(10) 내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산출하고, 산출된 면적으로부터 잔여 면적이 승객의 탑승의 허용 면적인지 여부에 따라 중간 층에 정지할 것인지 아니면 무정차로 운영할 것인지 작동하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area occupied by the passenger or the object in the elevator 10 is calculated, and whether the remaining area from the calculated area is the allowable area for the occupant's passenger, Will work.

즉 승강기(10) 내로 승객이나 물건이 탑재되어 목적지 층으로 운영하는 중에, 중간 층에서 다른 사용자가 같은 방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승강기버튼을 누르면, 제어반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해당 중간 층에서 정지할 것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에 승강기 내부에 잔여 공간이 있으면 해당 중간 층에 정지할 것이나, 잔여 공간이 없으면 무정차로 운영한다.That is, while the passenger or the object is loaded into the elevator 10 and the elevator is operated as the destination floor, when the elevator button is pressed by another user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middle floor, the control panel senses the elevator button and determines whether to stop . If there is any remaining space inside the elevator, it will stop at the middle floor, but if there is no space remaining, it operates without any interruption.

이와 같은 승강기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승강기(10)의 운행 중에, 승강기바닥(11)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20)들로부터 수광된 정보를 입력받는 광감지신호입력단계(S10)가 수행된다.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10, a light sensing signal input step (S10) for rece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20 installed on the elevator base 11 is performed do.

그리고 승강기바닥(11)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20)들로부터 감지된 수광정보를 판별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잔여면적판별단계(S30)를 수행하는 것이다.Then, a remaining area discriminating step S30 for discriminating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20 installed on the elevator base 11 and discriminating the remaining area is performed.

이후 승강기(10)에서의 전체 면적 중에서 잔여면적을 제외하여 탑승가능한 면적을 판별하여 승차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승차가능판별단계(S40)가 수행되고, 이 경우 승차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하는 무정차운영단계(S60)가 수행된다.Thereafter, a riding possible discrimination step S40 is performed in which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iding is feasible by discriminating the area that can be ridden excluding the remaining area from the total area of the elevator 10, and in this case, (S60), which is operated at irregular intervals, is performed.

따라서 승강기바닥(11)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20)에서 감지된 수광정보를 반영하여 승객탑승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여 무정차 운행을 수행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can be boarded by reflecting the received ligh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light sensors 20 installed on the floor 11 of the elevator.

그리고 상기 면적감지신호처리부(50)는, 감지된 수광신호를 분석 및 판별하여 더 승차할 수 있는 여유가 있는지 판별하는 것이다.The area sensing signal processing unit 50 analyzes and discriminates the sensed light receiving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room for further riding.

이를 위한 상세 구성을 보면, 승강기(10)의 운행 중에, 승강기바닥(11)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20)들로부터 수광된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광감지신호처리부(51)가 마련된다.A light sensing signal processing unit 51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20 installed on the elevator base 11 is provided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10 .

이에 수광된 수광정보는, 광감지신호가 양호하여 광신호의 세기가 센 경우인 경우에는 고수광감지의 수광신호로, 이런 경우에는 해당 광감지센서(20)의 상부로는 물체나 사람이 없는 경우에 해당된다. 따라서 고수광감지의 경우에는 빈 공간으로 판별하게 될 것이다. 또한 광이 약한 경우로 저수광감지의 수광신호인 경우에는 광감지센서(20)의 상부로 물체나 사람이 있는 경우에 해당될 것이다. 따라서 이처럼 저수광감지의 수광신호로 감지한 해당 광감지센서(20)는 채워진 공간으로 판별하게 될 것이다.The received light receiving information is a light receiving signal of high light receiving sensitivity in the case where the light receiving signal is good and the intensity of the optical signal is high. In this case, the light receiving sensor 20 has no object or person . Therefore, in the case of high light sensing, it will be determined as an empty space. In the case of a light receiving signal of a low light receiving detection, it may correspond to a case where an object or a person is located above the light detecting sensor 20. Accordingly, the light sensing sensor 20 sensed by the light receiving signal of low light receiving detection will be identified as the filled space.

그리고 승강기바닥(11)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20)들로부터 감지된 수광정보를 판별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잔여면적판별부(53)가 마련된다.And a remaining area discriminating unit 53 for discriminating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20 installed on the elevator base 11 to discriminate the remaining area.

즉 다수의 광감지센서(20)들로부터 감지된 수광신호를 판별하여, 고수광감지에 해당하는 부분은 빈 공간으로 판별하여 잔여면적을 산출하게 된다. 또는 저수광감지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람이나 물건으로 채워진 공간으로 판별하고, 전체 승강기 면적에서 채워진 면적을 제외시켜 잔여면적을 산출하기도 한다.That is, a light receiving signal sensed by the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20 is discriminated,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high light sensing is discriminated as a vacant space to calculate a remaining area. Or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low light detection is determined as a space filled with a person or object, and the remaining area is calculated by excluding the filled area from the entire elevator area.

그리고 승강기(10)에서의 전체 면적 중에서 잔여면적을 제외하여 탑승가능한 면적을 판별하여 승차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승차가능판별부(54)가 마련된다.A riding possible discrimination unit 54 is provided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the riding area can be occupied by excluding the remaining area from the total area of the elevator 10 and judging whether or not the riding is possible.

즉 잔여면적이 사람이 승차할 여유가 있는 공간으로 판별되면 승차가능신호를 발생하지만, 승차할 공간적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승차불가능의 신호를 발생하여, 목적지 층까지 무정차로 운행할 것이다.In other words, if the remaining area is determined as a space where a person can afford to ride, a ride-capable signal is generated. However, if there is not enough room for riding, a signal that can not be ridden is generated and traveled to the destination floor without any motion.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10)는, 승강기의 무게를 무게감지센서(41)에서 감지하여 제한무게를 초과한 것으로 판별하면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되게 하는 무게감지신호처리부(40)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dle elev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weight of the elevator by the weight detecting sensor 41 and determines that the elevator is over the limit weight, .

그리고 이러한 무게감지신호처리부(40)에 의한 처리로, 승강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한무게를 초과한 것으로 판별하면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되게 하는 제한무게판별단계(S05)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승강기바닥(11)에 설치된 광감지센서(20)에 의해 승강기 내의 면적을 산출하여 승차 제한 신호를 발생하거나 또는 승강기의 탑승 무게를 판별하여 승차 제한 신호를 발생하여 중간 층에 대한 무정차 운행을 하게 된다.
The step S05 includes a step S05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elevator by the weight detection signal processing unit 40 and determining that the weight of the elevator exceeds the limit weight so that the weighted signal can be operated irregularly in the intermediate layer. Accordingly, the light sensing sensor 20 installed on the elevator base 11 calculates the area within the elevator to generate a riding restriction signal or discriminates the riding weight of the elevator, generates a riding restriction signal, do.

다음으로 광감지에 따른 면적 산출 방식에 있어서, 다수의 광감지센서(20)들로부터 감지된 수광정보를 제공받고 감지된 영역을 분석하여 객체인식을 수행하는 객체인식판별부(52)를 포함하는 것이다.Next, an area calculating method according to light sensing includes an object recognition determining part 52 that receives light receiving information sensed from a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20 and analyzes the sensed area to perform object recognition will be.

즉 상기 광감지신호입력단계(S10)에서 감지된 수광정보를 제공받고 감지된 영역을 분석하여 객체인식을 수행하는 객체인식판별단계(S02)를 포함하는 것이다.That is, an object recognition determination step S02 is performed in which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received in the light sensing signal input step S10 is received and the object recognition is performed by analyzing the sensed area.

이러한 상기 객체인식판별부(52)에는, 다수의 광감지센서(20)들에서 감지한 수공정보를 분석하여 광감지된 영역을 분석하는 광감지영역분석부(521)가 마련된다.The object recognition discrimination unit 52 is provided with a light sensing area analyzing unit 521 for analyzing the hand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20 and analyzing the sensed area.

그리고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S02)는 각 광감지센서(20)들에의 수광정보를 분석하여 광감지된 영역을 분석하는 광감지영역분석단계(S021)를 수행하는 것이다.The object recognition determination step S02 is a step of analyzing light received by the light sensing sensors 20 and analyzing the light sensing area S021.

따라서 광감지된 영역, 즉 저수광감지된 영역이나 중간수광감지된 영역을 산출하고 분류하기 위해 해당 광감지된 영역으로 광감지신호를 분석하게 된다.Accordingly, the light sensing signal is analyzed to the light sensing area to calculate and classify the light sensing area, that is, the low light sensing area or the intermediate light sensing area.

그리고 광감지된 영역의 경계를 판별하여 광감지된 패턴을 분석하는 광감지패턴분석부(522)가 마련된다.And a light sensing pattern analyzer 522 for analyzing the light sensed pattern by discriminating the boundary of the light sensed area.

이러한 광감지패턴분석부(522)에 의하여 광감지된 영역의 경계를 판별하여 광감지된 패턴을 분석하는 광감지패턴분석단계(S022)가 수행된다.The light sensing pattern analyzing unit 522 performs a light sensing pattern analyzing step S022 for discriminating the boundary of the light sensing area and analyzing the light sensing pattern.

따라서 저수광감지, 중간수광감지된 영역을 판별하고 이들 및 고수광감지된 영역의 경계를 판별함으로써, 저수광감지, 중간수광감지된 영역의 패턴을 분석하게 된다.Therefore, the low light reception detection and the middle light reception area are discriminated and the boundaries of these and the high light detection area are discriminated to analyze the pattern of the low light reception detection and the intermediate light reception area.

다음으로 광감지된 패턴에 대해 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된 객체의 패턴과 비교를 통하여 객체를 판별하는 감지객체판별부(523)가 마련된다.Next, a sens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523 for discriminating an object through comparison with a pattern of an object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1 with respect to a light sensed pattern is provided.

그리고 감지객체판별부(523)에 의하여 광감지된 패턴에 대해 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된 객체정보를 리딩하여 객체의 패턴과 비교를 통하여 객체를 판별하는 감지객체판별단계(S023)가 수행된다.Then, the sensed object discrimination step S023 for discriminating the object by reading the objec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1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ed pattern by the sens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523 and comparing it with the pattern of the object is performed .

이를 위해 관리자는 데이터저장부(31)에 객체에 대한 다양한 패턴의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예를 들면 사람이나 물체, 침대 등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광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수광정보의 분류에 따라 객체의 패턴의 정보와 비교판별함으로써 객체를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For this purpose, the manager inputs various patterns of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the data storage unit 31, and inputs information about objects such as a person, an object, and a bed. Accordingly, the object can be discriminated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of the pattern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light-receiv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light-sensing sensor 20.

이처럼 객체를 판별한 후, 판별된 객체의 면적 데이터를 리딩하여 객체의 면적을 산출하며 전체 객체들에 대한 전체 분포 면적을 산출하는 객체면적판별부(524)가 마련된다.The object area determining unit 524 is provided to calculate the area of the object by reading the area data of the object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nd to calculate the entire area of the entire objects.

그리고 객체면적판별부(524)에 의하여, 판별된 객체의 면적 데이터를 리딩하여 객체의 면적을 산출하며 전체 객체들에 대한 전체 분포 면적을 산출하는 객체면적판별단계(S024)가 수행된다.Then, the object area determining step 524 performs an object area determining step S024 for calculating the area of the object by reading the area data of the determined object, and calculating the entire distribution area for all the objects.

이처럼 상기 잔여면적판별부(53) 및 객체인식판별단계(S02)에 의하면 상기 객체인식판별부(52)에 의해 산출된 전체 객체들에 의한 면적에 대해서, 승강기 내부 전체 면적에서 전체 객체들에 의한 면적을 제외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remaining area discrimination unit 53 and the object recognition discrimination step S02, as to the area of all the objects calculated by the object recognition / discrimination unit 52, It is to determine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area.

그리고 잔여면적이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면적에 해당되면 중간 층에 정차하나, 사람이 탑승하기 곤란한 잔여면적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중간 층은 무정차로 지나가게 된다.
If the remaining area corresponds to the area on which a person can ride, it stops at the middle floor, bu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aining area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ride, the middle floor passes through unsteady.

이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10)에 있어서, 승강기바닥(11)에 설치된 광감지센서(20)에서 빛을 감지하거나 또는 빛을 감지하지 않는 두 가지의 수광정보로 감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광감지센서(20)에서 감지된 수광정도를 판별하여, 수광률이 소정의 수광률보다 낮은 경우에만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별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물건이나 사람의 발로 광감지센서를 가리면 수광이 거의 없게 된다. 또는 침대나 사람의 그림자가 있는 부분의 광감지센서는 빛을 감지하지만 수광률이 높은 편은 아니게 된다. 따라서 빛이 가려지지 않아 고수광감지의 경우가 아닌 경우에 해당하는 광감지센서에서는 소정의 수광률로 광을 감지하게 되며, 이런 경우 해당 광감지센서에 해당하는 영역에 사람이나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In the idle elev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ensing sensor 20 installed on the floor 11 of the elevator detects light or does not sense light, It will be able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Or the degree of received light sensed by the light sensing sensor 20 may be discriminated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object only when the light receiving rat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ight receiving rate. For example, when a light sensor is covered by a thing or a person's foot, there is little light reception. Or a light sensor in the shadow of a bed or a person detects light but does not have a high light receiving rate.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light is not blocked and the light sensing sensor is not in the high light sensing mode, the light sensing sensor detects light at a predetermined light receiving rate.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erson or an object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light sensing sensor .

이에 대한 예로, 도 6에서처럼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S02) 또는 잔여면적판별단계(S03)에 있어서 다수의 광감지센서(20)들로부터 전송받은 수광정보는 물체에 의해 가려진 저수광감지(a) 정보 및 물체에 의해 가려지지않은 고수광감지(c) 정보로 이루어지는 2단계빛감지로 실시될 것이다.6,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detecting sensors 20 in the object recognition determining step S02 or the remaining area determining step S03 includes low light receiving (a) light shielded by the object, Step light detection consisting of information and high-light detection (c) information not covered by the object.

그리고 저수광감지(a)의 경우, 사람의 발이나 물건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 및 그림자나 투명물체 또는 반투명물체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처럼 소정의 수광률로 감지되는 광감지에 해당된다. 예를 들면 완전히 가려지는 경우에는 0 ~ 20 % 수광률이고, 그림자의 경우에는 20 ~ 80%의 수광률인 경우에 사람이나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low light reception (a), it corresponds to light detection which is detected at a predetermined light reception rate, such as when it is completely blocked by a person's foot or object, or when it is blocked by a shadow, a transparent object or a translucent object. For example, it can be judged that there is a person or an object when the light receiving rate is 0 to 20% in case of completely blocking, and 20 to 80% in case of shadow.

이러한 2단계빛감지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바람직한 예로는 도 6에서처럼, 전체 승강기바닥(11)을 사람이 차지할 수 있는 단위면적으로 나누어, 각 단위면적에 하나씩 광감지센서(20)를 설치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각 광감지센서(20)에서 저수광감지(a) 정보로 판별된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사람이나 물건이 있는 것으로 판별하게 된다. 따라서 그 이외의 고수광감지(c) 영역에 사람이 탑승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중간 층에 정차할 수 있다. 반면 고수광감지(c)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무정차 운행을 한다.As a more preferable example of such two-step light detec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entire elevator floor 11 is divided into unit areas occupied by a person, and one light sensor 20 is installed in each unit area to be. Therefore, when the light sensing sensor 20 is determined to be low light reception (a)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erson or an object in the corresponding area. Therefore, a person can ride in the other high-light sensing area (c), and in this case, it can stop at the middle floor.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strong light sensing area (c), it will operate irregularly.

다음으로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S02) 또는 잔여면적판별단계(S03)에 있어서 다수의 광감지센서(20)들로부터 전송받은 수광정보는 물체에 의해 가려진 저수광감지(a) 정보, 물체에 의해 가려지지않은 고수광감지(c) 정보 및 저수광감지(a) 정보와 고수광감지(c) 정보 사이의 중간수광감지(b) 정보로 이루어지는 3단계빛감지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하여 3단계빛감지의 실시에서 중간수광감지(b) 정보로 판별되는 영역에는 사람의 그림자, 침대처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경우이거나, 또는 투명물체, 반투명물체처럼 빛이 어느 정도 투과되는 물체가 놓여진 경우에 해당될 것이다.Next, in the object recognition step S02 or the remaining area determination step S03, the light recep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detection sensors 20 is detected by the low light reception (a) information hidden by the object, (B) information between the low light receiving (c) information and the low light receiving (a) information and the high light receiving (c) information. Thus,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three-step light detection, the area discriminated as the intermediate light receiving (b) information may be a shadow of a person, a space separated from the floor such as a bed, or an object such as a transparent object or a translucent object .

이와 같이 실시되는 광감지센서(20)에 의한 수광정보별로 실시될 수 있는 양태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that can be implemented for each light receiving information by the light sensing sensor 20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광감지센서(20)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광(빛)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다양한 상황에 알맞게 적용될 것이다. 특히 CdS광센서의 경우 2단계의 광감지신호(빛을 감지하는 고수광감지단계 또는 빛을 감지하지 못하는 저수광감지단계)를 발생하게 된다. 또는 보다 고감도의 광감지센서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다수 단계의 수광신호를 발생하여 3단계빛감지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람이나 물건이 없어 고수광감지 상태인 경우, 사람이나 물건이 센서를 완전히 가려 빛을 감지하지 못하는 저수광감지 상태인 경우, 이에 더하여 그림자나 투명물체, 반투명물체 등에 의해 중간 정도로 빛을 감지하는 중간수광감지 상태 등, 다수 단계로 나누어 빛을 감지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light sensing sensor 20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situations if it i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light (light) generally used. In particular, a CdS optical sensor generates a two-step light sensing signal (a high light sensing step for sensing light or a low light sensing step for sensing light).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pplying a photosensor having a higher sensitivity, it may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ree-phase light sensing by generating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signals. In particular, when a person or object is in a state of high light detection, a person or an object is in a state of low light reception that does not detect the light by completely covering the sensor, and furthermore, the light is sensed moderately by a shadow, a transparent object or a translucent object A light receiving state, or a middle light receiving state.

즉 병원의 침대의 경우 바닥의 광감지센서와는 이격된 거리를 갖기 때문에 광감지센서에서는 빛을 어느 정도 감지하지만 분명히 해당 광감지센서의 상부에는 침대라는 물체가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hospital bed, since the light sensor has a distance from the light sensor of the floor, the light sensor senses the light to some extent, but there is a bed object on the upper part of the light sensor.

또는 사람의 경우 양발은 바닥에 붙어있기 때문에 양발에 가려진 광감지센서는 저수광감지(a)에 해당된다. 반면 양발 사이의 중간에 있는 광감지센서는 그림자에 의해 중간수광감지(b) 영역에 해당된다.Or in the case of a person, the two-legs are attached to the floor, so that the photodetection sensor covered by the legs corresponds to the low-light detection (a). On the other hand, the photodetection sensor in the middle between the legs corresponds to the middle light detection area (b) by the shadow.

이와 같이 양발에 의한 저수광감지(a) 영역이 양측에 있고 중간에 중간수광감지(b) 영역이 이어진 경우에는 사람이 차지하는 영역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사람이라는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low light reception detection area (a) is on both sides and the intermediate light reception area (b) is connected in the middle, the area occupied by the human being can be determined. That is, a step of recognizing an object called a person is performed.

이처럼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S02)에서 객체는 복수 개의 저수광감지정보와 상기 복수 개의 저수광감지정보 사이에 중간수광감지정보로 이어지는 수광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람의 객체로 판별하는 것이다.In the object recognition determination step S02, the object is identified as a human obje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ow-light-reception-detection information and light-reception information that leads to intermediate light-reception det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ow-reception-

사람의 객체로 판별하는 예를 들면 사람의 경우 도 7의 예에서처럼 저수광감지영역(a), 중간수광감지영역(b), 고수광감지영역(c) 등으로 나누어 볼 때, 저수광감지영역(a)이 양발에 해당하는 두 군데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양측 저수광감지영역(a) 사이에는 사람의 그림자에 의한 중간수광감지영역(b)이 형성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human be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a person is divided into a low light receiving area a, a middle light receiving area b, and a high light receiving area c, (a) There are two places corresponding to the two legs. And a middle light receiving area b is formed between the lower light receiving area a and the light receiving area a.

아울러 물건의 경우에는 저수광감지(a)에 해당하는 고른 수광률로 하여 영역이 계속 이어진 부분은 해당 광감지센서를 완전히 가린 것으로 이어진 부분으로 하여 물체의 객체로 판별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roduct, the portion where the region continues with the uniform light receiving rate corresponding to the low light reception detection (a) will be determined as an object of the object as a portion resulting from completely covering the light detection sensor.

또는 중간수광감지(b)에 해당하는 고른 수광률로 하여 영역이 계속 이어진 부분은 해당 광감지센서에 위치된 부분에 그림자가 형성된 것으로, 해당 부분은 침대처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갖거나, 투명, 반투명의 물체가 놓인 것으로 하는 물체의 객체로 판별할 것이다.Or a light receiving rate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light receiving detection (b), a shadow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light sensing sensor where the region continues, and the portion has a distance from the floor such as a bed, , An object of an object in which a translucent object is laid.

이에 물체의 객체로 판별한 경우에는 해당 부분의 광감지센서가 분포된 영역을 탑승면적으로 산출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bject is determined as an object, the area where the light sensor of the relevant part is distributed is calculated as a boarding area.

반면 사람의 객체로 판별한 경우에는 사람의 몸통에 해당하는 면적에 대해 데이터저장부(31)에서 면적값을 리딩하며, 사람의 객체에 해당하는 영역의 중심점으로부터 사람이 차지하는 영역 패턴을 산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bject is identified as a human object, the area value corresponding to the human body is read in the data storage unit 31, and the area pattern occupied by the human is calculated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human object .

이로써 물체나 사람의 객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승강기 전체 면적에서 제외하여 잔여면적을 산출하는 것이다.Thus, the remaining area is calculated by excluding the area occupied by the object or human object from the entire area of the elevator.

또한 산출된 잔여면적이 사람의 객체가 차지하는 단위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무정차 운행의 신호를 발생하여 중간 층에서 무정차 운행을 하게 된다.
Also, if the calculated residual area is smaller than the unit area occupied by the human object, it generates a signal of irregular operation, and makes a non - stop operation in the middle floor.

이상에서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빛 감지센서(광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10)에 의하면, 무게뿐만 아니라 승강기(즉 엘리베이터, elevator)의 바닥에 차지하는 면적까지 감지하여 무게가 가벼워도 차지하는 면적이 큰 물체가 승강기 내부 공간을 차지하고 있을 때에도 승강기가 멈추지 않고 작동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발생을 줄이는 무정차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light detecting sens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t detects not only the weight but also the area occupied by the floor of the elevator (i.e., an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lift which reduces unnecessary energy generation by operating an elevator without stopping even when an object having a large area occupies the space inside the elevator.

특히 승강기 내부 천장 조명을 이용하여 승강기의 바닥에 설치된 광감지센서로 승강기 내부의 빛을 감지한다. 이에 물체가 광감지센서를 가려서 광감지센서가 빛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는 물체가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므로, 승강기의 바닥에 설치된 대부분의 광감지센서가 빛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이다.Especially, the ceiling light inside the elevator is used to detect the light inside the elevator by the light sensor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If the object does not detect the light because the object hides the light sensor, most of the light sensor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do not detect the light because the object occupies space.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승강기는 더 이상 사람을 탑승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밖에서 사람이 승강기버튼을 눌러도 중간 층에서는 정차하지 않고 그대로 무정차로 진행한다.Therefore, in such a case, the elevator can no longer carry a person, so even if a person presses the elevator button from the outside, the elevator does not stop at the middle floor but proceeds without any interruption.

이에 승강기에 전력소모가 가장 큰 경우는 승강기가 정차했다가 출발하는 시점인데, 이처럼 불필요한 정차와 출발을 줄임으로써 불필요한 운행 횟수를 줄이고,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와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elevator has the greatest power consumption, the elevator stops and starts. By reducing unnecessary stopping and starting, unnecessary number of operations can be reduced and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and time can be saved.

승강기의 필요한 성질, 5가지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안정성이고, 다음이 편의성과 신속성, 그리고 쾌적성과 경제성이 있다.The most important of the five characteristics of the elevator is stability, and the following are convenience, promptness, comfort and economy.

이에 본 발명은 이 중에서 신속성과 경제성을 살린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승강기바닥에 빛의 양을 감지하는 광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승강기 천장 등에서 나오는 광원의 광량을 측정하여 현재 승강기에 탑승된 정도를 판별하는 것이다. 만약 광감지센서에 광량이 미세하게 측정될 경우 그 부분에 승객이나 물체가 있을 것이라고 판별하고 운행 중 중간 층에 승강기버튼이 눌려져 있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작동하도록 하여 에너지낭비를 최소화하고 시간을 절약하게 되는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utilizing the quickness and economical efficiency. That is, a photo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to measure the light amount of the light source from the ceiling of the elevator, a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the current elevator. If the photodetection sensor detects a minute amount of ligh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assenger or an object, and if the elevator button is pressed in the intermediate layer during operation, the operation is ignored and operated so as to minimize energy wastage, .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승강기에서는 승강기 천장에서 비추는 전등의 빛을 이용하여 승강기 바닥에 설치된 광감지센서를 이용해 빛을 측정하여 승강기 내부에서의 면적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대부분 빛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중간에 정차없이 이동하는 승강기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정차하지 않게 하여 승강기에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다.In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light is measured using a light sensor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using the light of a lamp illuminated from the elevator ceiling, and the degree of the area inside the elevator is analyzed. Thus, when the light is mostly not detected, an elevator which moves without stopping is provided, thereby unnecessarily stopping and unnecessary waste energy is saved in the elevator.

이와 같은 장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는 백화점, 대학교, 병원 등 이용자가 많은 큰 건물에 적용되면 효과적일 것이다. 특히 병원같은 경우 수술 후 환자가 침대에 누워서 이동하는데, 이럴 경우 승강기 내부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많지만 무게는 제한무게에 미치지 못하므로, 이러한 승강기에 적용하면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dvantages may be effective when applied to a large building with many users such as a department store, a university, a hospital, and the like. Especially in the case of hospital, the patient is lying on the bed after the operation, so that the weight of the elevator is less than the limited weight, which is useful for the elevator.

또한 짐을 실어 나르는 화물 승강기에도 설치하면 부피가 큰 짐이 승강기를 차지할 경우에도 중간 정차없이 이동가능하므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Also, it is usefully used because it can be moved to a freight elevator carrying load, even when a bulky luggage occupies an elevator, without intermediate stops.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0 : 승강기 11 : 승강기바닥
20 : 광감지센서 30 : 승강기운영부
31 : 데이터저장부 40 : 무게감지신호처리부
41 : 무게감지센서 50 : 면적감지신호처리부
51 : 광감지신호처리부 52 : 객체인식판별부
53 : 잔여면적판별부 54 : 승차가능판별부
10: elevator 11: elevator floor
20: light sensor 30: elevator operating part
31: Data storage unit 40: Weight sensing signal processor
41: weight detection sensor 50: area detection signal processor
51: light sensing signal processing unit 52: object recognition discrimination unit
53: Residual area discrimination unit 54:

Claims (10)

승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승강기의 운행 중에, 승강기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수광된 정보를 입력받는 광감지신호입력단계;
승강기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수광정보를 판별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잔여면적판별단계;
승강기에서의 전체 면적 중에서 잔여면적을 제외하여 탑승가능한 면적을 판별하여 승차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승차가능판별단계; 및
승차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하는 무정차운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감지신호입력단계에서 감지된 수광정보를 제공받고 감지된 영역을 분석하여 객체인식을 수행하는 객체인식판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는:
각 광감지센서들에의 수광정보를 분석하여 광감지된 영역을 분석하는 광감지영역분석단계;
광감지된 영역의 경계를 판별하여 광감지된 패턴을 분석하는 광감지패턴분석단계;
광감지된 패턴에 대해 저장된 객체의 패턴과 비교를 통하여 객체를 판별하는 감지객체판별단계; 및
판별된 객체의 면적 데이터를 리딩하여 객체의 면적을 산출하며 전체 객체들에 대한 전체 분포 면적을 산출하는 객체면적판별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잔여면적판별단계는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에 의해 산출된 전체 객체들에 의한 면적에 대해서, 승강기 내부 전체 면적에서 전체 객체들에 의한 면적을 제외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for an elevator,
A light sensing signal inpu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A remaining area discrimination step of discriminating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photodetection sensor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to discriminate the remaining area;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can be ridden by determining an area that can be ridden except for the remaining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elevator; And
And an unsteady operation step of operating in the middle floor irregular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possible to ride,
And an object recognition determination step of receiving object light information detected in the light sensing signal input step and performing object recognition by analyzing the sensed area,
The object recognition step may include:
A light sensing area analyzing step of analyzing light receiving information to each light sensing sensor and analyzing the light sensing area;
A light sensing pattern analysis step of analyzing a light sensed pattern by discriminating a boundary of the light sensed area;
A detected object discrimination step of discriminating an object through comparison with a pattern of an object stored for a photographed pattern; And
And an object area determining step of calculating an area of the object by reading the area data of the discriminated object and calculating a total area of distribution of the entire objects,
Wherein the remaining area discriminating step discriminates the remaining area by excluding an area of all the objects in the entire area of the elevator with respect to the area of all the objects calculated by the object recognizing and discriminating step. The control method of the elevator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 또는 잔여면적판별단계에 있어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수광정보는 물체에 의해 가려진 저수광감지정보 및 물체에 의해 가려지지않은 고수광감지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detecting sensors in the object recognition determining step or the remaining area determining step comprises low light receiving information covered by the object and high light receiving information not covered by the object. A method of controlling an unsteady elevator according to a detection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 또는 잔여면적판별단계에 있어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전송받은 수광정보는 물체에 의해 가려진 저수광감지정보, 물체에 의해 가려지지않은 고수광감지정보 및 저수광감지정보와 고수광감지정보 사이의 중간수광감지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object recognition determining step or the remaining area determining step,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detecting sensors includes low light receiving information covered by the object, high light receiving information not covered by the object, low light receiving information, And intermediate light reception detection information between the light detec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인식판별단계에서 객체는 복수 개의 저수광감지정보와 상기 복수 개의 저수광감지정보 사이에 중간수광감지정보로 이어지는 수광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사람의 객체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bject discrimination step discriminates the object as a human obje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ow-light-receiving-sensed information and light-receiving information leading to intermediate light-receiving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ow- A method of controlling an unsteady elevator according to a sensor.
제 1항, 제 3항,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한무게를 초과한 것으로 판별하면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되게 하는 제한무게판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and 5,
And detecting a weight of the elevator and determining that the weight exceeds the limit weight, the limit weight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so that the weight is operated irregularly in the intermediate layer.
승강기바닥에 설치되어 승강기 내부의 빛을 감지하는 광감지센서;
상기 광감지센서로부터 수광정보를 전송받고 승강기 내부에서 물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분석하고 승강기 내부의 전체 면적에서 물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제외시켜 잔여면적을 판별하여 승차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면적감지신호처리부; 및
상기 면적감지신호처리부로부터 승차가능면적이 없어 무정차신호를 전송받아 승강기가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되도록 처리하는 승강기운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면적감지신호처리부는:
승강기의 운행 중에, 승강기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수광된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광감지신호처리부;
승강기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수광정보를 판별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잔여면적판별부; 및
승강기에서의 전체 면적 중에서 잔여면적을 제외하여 탑승가능한 면적을 판별하여 승차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승차가능판별부를 포함하며,
다수의 광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수광정보를 제공받고 감지된 영역을 분석하여 객체인식을 수행하는 객체인식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인식판별부는:
다수의 광감지센서들에서 감지한 수공정보를 분석하여 광감지된 영역을 분석하는 광감지영역분석부;
광감지된 영역의 경계를 판별하여 광감지된 패턴을 분석하는 광감지패턴분석부;
광감지된 패턴에 대해 저장된 객체의 패턴과 비교를 통하여 객체를 판별하는 감지객체판별부; 및
판별된 객체의 면적 데이터를 리딩하여 객체의 면적을 산출하며 전체 객체들에 대한 전체 분포 면적을 산출하는 객체면적판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잔여면적판별부는 상기 객체인식판별부에 의해 산출된 전체 객체들에 의한 면적에 대해서, 승강기 내부 전체 면적에서 전체 객체들에 의한 면적을 제외하여 잔여면적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A light sensor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to detect light in the elevator;
An area sensing signal processor for receiving received light information from the light sensing sensor, analyzing an area occupied by the object within the elevator, discriminating the remaining area by excluding an area occupied by the object in the entire area inside the elevator, And
And an elevator operating unit for receiving an irregular signal from the area sensing signal processor and having no area capable of being occupied by the elevator,
The area sensing signal processing unit includes:
A photodetection signal processor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photodetection sensor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A remaining area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sens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ensor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and discriminating the remaining area; And
And a riding possibility judging unit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riding is feasible by discriminating the riding area excluding the remaining area from the entire area of the elevator,
And an object recognition discriminator for receiving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plurality of light sensing sensors and analyzing the sensed area to perform object recognition,
Wherein the object recognition /
A photodetector region analyzer for analyzing the photographe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photodetection sensors and analyzing the photodetected region;
A light sensing pattern analyzer for analyzing a light sensed pattern by discriminating a boundary of a light sensed region;
A sensed object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an object through comparison with a pattern of an object stored for a light sensed pattern; And
And an object area determining unit for calculating the area of the object by reading the area data of the identified object and calculating the total area of the entire objects,
Wherein the remaining area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remaining area by excluding an area of all the objects in the entire area of the elevator with respect to the area of all the objects calculated by the object recognition and discriminating unit. Accidental elevator according to.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
승강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한무게를 초과한 것으로 판별하면 중간 층에서 무정차로 운영되게 하는 무게감지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감지센서에 따른 무정차 승강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weight detection signal processing unit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elevator and making it operate irregularly in the intermediate lay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imit weight is exceeded.
KR20130103582A 2013-08-30 2013-08-30 Non-stop elevator with light detecting sensor Expired - Fee Related KR1014839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582A KR101483957B1 (en) 2013-08-30 2013-08-30 Non-stop elevator with light detecting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582A KR101483957B1 (en) 2013-08-30 2013-08-30 Non-stop elevator with light detecting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957B1 true KR101483957B1 (en) 2015-01-20

Family

ID=5259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358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3957B1 (en) 2013-08-30 2013-08-30 Non-stop elevator with light detecting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95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05A (en) * 2001-11-13 2003-05-22 이규용 The Plasma equipment for reforming full grain leather and a full grain leather processed by plasma and the method of that
WO2019232624A1 (en) 2018-06-05 2019-12-12 Girard Larivière Inc. Presenc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WO2020122434A1 (en) * 2018-12-11 2020-06-18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Elevator boarding information guidance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145A (en) * 1999-09-17 2001-04-06 최철환 Elevator for detecting passenger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486952B1 (en) 2003-06-02 2005-05-03 주식회사 바사 Monitoring system of intruder using human detection sensor and CCD camera
KR20100047594A (en)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riving apparatus of elev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241546A (en) * 2009-04-03 2010-10-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Device for detecting elevator car riding st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145A (en) * 1999-09-17 2001-04-06 최철환 Elevator for detecting passenger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486952B1 (en) 2003-06-02 2005-05-03 주식회사 바사 Monitoring system of intruder using human detection sensor and CCD camera
KR20100047594A (en)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riving apparatus of elev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241546A (en) * 2009-04-03 2010-10-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Device for detecting elevator car riding st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05A (en) * 2001-11-13 2003-05-22 이규용 The Plasma equipment for reforming full grain leather and a full grain leather processed by plasma and the method of that
WO2019232624A1 (en) 2018-06-05 2019-12-12 Girard Larivière Inc. Presenc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EP3803476A4 (en) * 2018-06-05 2022-03-09 Girard Larivière Inc. PRESENCE DETECTION SYSTEM AND PROCEDURES
US11591182B2 (en) 2018-06-05 2023-02-28 Girard Larivière Inc. Presenc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WO2020122434A1 (en) * 2018-12-11 2020-06-18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Elevator boarding information guidanc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2018B2 (en) Autonomous mobile equipment riding elevator system
US20190346588A1 (en) Building occupant sensing using floor contact sensors
CN107826910B (en) Intelligent surface system for creating solutions
KR101483957B1 (en) Non-stop elevator with light detecting sensor
CN103922203B (en) Elevator operating control device
JPH07277621A (en) System and method to judge appropriateness condition of car
CN104709782B (en) Elevator device
JP2015107852A (en) Car stop call system for elevator system
ATE505423T1 (en) ELEVATOR SAFETY SYSTEMS
JP6092498B2 (en) Spatial measurement system, measurement method, and elevator control system
JP2010241546A (en) Device for detecting elevator car riding status
JP2012176833A (en) Wheel chair detection device, bicycle detection device and elevator
KR1017138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elevator using pressure sensor
JP2005132544A (en) Escalator passenger detection device
JP2013056735A (en)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number persons using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passenger conveyor
JP2007302363A (en) Safety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JP6756344B2 (en) elevator
KR1020095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JP2005206313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2035964A (en) Safety device of passenger conveyor
JP7279331B2 (en) An escalator system that implements operation suitable for users
CN209468015U (en) A kind of monitoring device and passenger traffic equipment
JP4867626B2 (en) Man conveyor control device
JP2010215313A (en) Warning system of escalator
KR20170075898A (en) Apparatus for managing operation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