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429B1 -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청진기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청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3429B1 KR101483429B1 KR20130121299A KR20130121299A KR101483429B1 KR 101483429 B1 KR101483429 B1 KR 101483429B1 KR 20130121299 A KR20130121299 A KR 20130121299A KR 20130121299 A KR20130121299 A KR 20130121299A KR 101483429 B1 KR101483429 B1 KR 1014834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ser beam
- sound wave
- pulse
- tactile
- pulsed la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가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펄스 레이저 빔의 파라미터들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진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펄스 레이저 빔에 의한 광-기계적 촉감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피에조 센서(Piezo sensor)의 출력 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피에조 센서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레이저 발생 모듈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와 피에조 센서의 출력 신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레이저 자극에 의한 뇌파 변화와 순수 기계적 자극에 의한 뇌파 변화를 비교 관찰하는 실험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0에서 살펴본 실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콜라겐 필름의 개수 | 무게[g] | 두께[mm] |
5장 | 0.12 | 0.15 |
10장 | 0.23 | 0.31 |
112 : 레이저 발생 모듈 114 : 광 필터 모듈
116 : 렌즈 모듈 120 : 음파 분석부
130 : 제어부
Claims (11)
- 청진기 헤드로 전달되는 음파를 분석하는 음파 분석부; 및
상기 음파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음파 정보를 바탕으로, 촉감을 발생시키는 촉감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촉감 발생부는, 펄스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을 생성하며,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발생부는, 상기 청진기 헤드로 전달되는 음파의 변화에 따라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분석부는, 수신되는 음파의 주파수(Frequency) 또는 크기(Amplitude)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발생부는,
수신되는 음파의 주파수가 높아지는 경우,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수신되는 음파의 주파수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발생부는,
수신되는 음파의 진폭이 커지는 경우,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수신되는 음파의 진폭이 작아지는 경우,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분석부는, 상기 청진기 헤드로 전달되는 음파의 패턴과 표준 음파의 패턴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발생부는, 상기 유사도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가 0.005 mJ 내지 9.5 mJ의 범위에 속하는 값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세기(Power) 조절 또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펄스 폭(Pulsed width) 조절을 통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은 수십 ms(millisecond) 이하의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촉감 발생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청진기 헤드 상의 접촉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1299A KR101483429B1 (ko) | 2013-10-11 | 2013-10-11 |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청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1299A KR101483429B1 (ko) | 2013-10-11 | 2013-10-11 |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청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3429B1 true KR101483429B1 (ko) | 2015-01-19 |
Family
ID=5259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12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3429B1 (ko) | 2013-10-11 | 2013-10-11 |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청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342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703891A (ko) * | 1992-12-07 | 1995-11-17 | 안드레드 빌러스 | 전자청진기 |
KR20020095004A (ko) * | 2001-06-11 | 2002-12-20 | 정훈 | 자가진단형 디지털 청진기 및 그 방법과 통신망을 이용한원격 진단 방법 |
KR100996399B1 (ko) | 2009-01-14 | 2010-11-24 | 주식회사 엑스엘 | 비접촉식 전자 청진기 |
KR20120004709A (ko) * | 2010-07-07 | 2012-01-13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촉감 자극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13
- 2013-10-11 KR KR20130121299A patent/KR101483429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703891A (ko) * | 1992-12-07 | 1995-11-17 | 안드레드 빌러스 | 전자청진기 |
KR20020095004A (ko) * | 2001-06-11 | 2002-12-20 | 정훈 | 자가진단형 디지털 청진기 및 그 방법과 통신망을 이용한원격 진단 방법 |
KR100996399B1 (ko) | 2009-01-14 | 2010-11-24 | 주식회사 엑스엘 | 비접촉식 전자 청진기 |
KR20120004709A (ko) * | 2010-07-07 | 2012-01-13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촉감 자극 시스템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91352B2 (en) | High-low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treatment apparatus | |
KR101549528B1 (ko) |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내시경 장치 | |
JP2014516595A (ja) | 放射線制御及び最小化システム及び方法 | |
KR101375613B1 (ko) | 레이저를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
WO2009056099A3 (de) | Vorrichtung zur schonenden lasertherapie der retina | |
US11096711B2 (en) | Ultrasonic surgical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 |
JP4944795B2 (ja) | 照射位置確認機能を有する医療用超音波装置 | |
US20250099300A1 (en) | Providing sensory stimulations via photoacoustic, piezo-based, thermal, and/or electrical effects | |
US11376070B2 (en) | Medical laser device | |
KR101483429B1 (ko) |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청진기 | |
US20120283801A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kin | |
KR101483428B1 (ko) |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촉감을 제공할 수 있는 수술용 로봇 장치 | |
KR101345310B1 (ko) | 운송 장치의 상태 정보를 안내하는 안내 장치 및 방법 | |
KR101523619B1 (ko) | 레이저 빔을 이용한 점자 출력 장치 및 방법 | |
US9877870B2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aser system | |
KR101340361B1 (ko) | 광-기계적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
KR101554003B1 (ko) | 레이저 빔을 이용하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 |
US9092955B2 (en) | Laser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 |
WO2016097937A1 (en) | Device and method for influencing brain activity | |
KR20140008457A (ko) | 눈의 수술적 치료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 | |
US20200129073A1 (en) | Treatment system | |
Banakis et al. | Optical stimulation of the auditory nerve: effects of pulse shape | |
JPH02128754A (ja) | Abrのv波潜時検出装置 | |
Populin et al. | Target modality determines eye-head coordination in nonhuman primates: implications for gaze control | |
US20180267001A1 (en) | Photoacous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hotoacoustic prob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