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238B1 - Candle igniter having candle extinguish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Candle igniter having candle extinguishing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3238B1 KR101483238B1 KR1020130079845A KR20130079845A KR101483238B1 KR 101483238 B1 KR101483238 B1 KR 101483238B1 KR 1020130079845 A KR1020130079845 A KR 1020130079845A KR 20130079845 A KR20130079845 A KR 20130079845A KR 101483238 B1 KR101483238 B1 KR 1014832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ndle
- fire extinguisher
- engaging portion
- igniter
- candle fi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5/00—Extinguishing-devices, e.g. for blowing-out or snuffing candle fla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3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3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23Q2/36—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는, 가스 탱크와 점화 스위치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가스관과 점화선이 내설되는 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관의 말단에는, 촛불을 소화하도록 된 촛불 소화기가 결합되되, 상기 촛불 소화기는, 상기 안내관과 끼움 결합되는 중공형의 결합부와, 촛불을 덮어 소화하도록 하향으로 개구된 종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한쪽으로 치우친 외주면에 마련되는 소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촛불 점화기의 안내관 끝부분에 촛불을 소화할 수 있는 촛불 소화기가 구비됨으로써, 촛불의 점화와 소화를 하나의 촛불 점화기로 수행할 수 있고, 촛불 점화기의 소화부가 몸체를 취부했을 때, 하향을 향하도록 개구되고, 특히 몸체 쪽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으므로, 촛불 점화기를 수직으로 내리지 않아도 되고, 촛불 점화기의 방향을 변화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촛불 소화기의 결합부가 가스가 점화되는 화구 역할함으로써, 별도의 화구가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 candle igniter having a candle fire extinguisher is disclosed. A candle igniter having a candle fire extingui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rovided with a gas tank and an ignition switch and a guide pi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dy and having a gas pipe and ignition wire inserted therein, A candle fire extinguisher is connected to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The candle extinguisher has a hollow engaging part for engaging with the guide pipe, and a bell-shaped bellows opening downward to cover and burn the candle, And an extinguishing unit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devia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ndle fire extinguisher capable of extinguishing a candle can be provided at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tube of the candle igniter, whereby the candle can be ignited and extinguished with one candle igniter, and the fire extinguisher of the candle igni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hat the candle igniter does not have to be lowered vertically and that the direction of the candle igniter does not need to be chang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a separate crater is unnecessary.
Description
본 발명은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점화기의 화구 말단에 촛불을 소화할 수 있는 촛불 소화기가 구비됨으로써, 촛불의 점화는 물론, 촛불의 소화도 수행할 수 있는 다용도의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dle fire extinguisher having a candle fire extingui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ndle fire extinguisher having a candle extinguisher capable of extinguishing a candle at the end of a firebox of a gas fire extinguisher, To a candle igniter having a versatile candle fire extinguisher.
일반적으로, 결혼식장이나 성당, 절 등에서는 촛불을 켜 주변을 밝히거나, 의식을 행하고 있다. Generally, in a wedding ceremony, a cathedral, temple, etc., a candle illuminates the surrounding area and performs ceremonies.
이러한 촛불은 대부분 가스 점화기를 이용하여 점화하고, 소화할 때에는 입으로 불어서 끄고 있는 실정이다. Most of these candles are ignited using a gas igniter, and when they are extinguished, they are blown off by their mouths.
그러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05778호(공개일 : 1999.02.18)에는 촛불 점화/소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촛불 점화/소화 장치는, 제 1 기둥부의 말단 한쪽에는 점화장치가 구비되고, 다른 쪽에는 종 모양의 소화장치가 구비된 것이다. However, as a prior art, Korean Utility Model No. 20-1999-0005778 (published on February 29, 1999) discloses a candle ignition / fire extinguishing device. In such a candle burning / extinguishing device, an ignition devic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column portion, and a bell-shaped extinguishing devic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그리고,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1979-2189호(공고일 : 1979.12.26)에는 촛불 점화겸용 소화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촛불 점화겸용 소화구는, 가스통과 건전지를 구비하여 화구로 가스를 공급하면서 점화하도록 구성되고, 가스 도관의 상부에는 송풍팬이 구비되어, 송풍팬의 작동시 촛불이 소화되로록 구성된 것이다. In addition, the Korean Utility Model No. 20-1979-2189 (Date of Notification: Dec. 26, 1979) discloses a candle burning fire extinguisher. Such a candle burning fire extinguisher is equipped with a gas cylinder and a battery, and is configured to ignite while supplying gas to the firebox, and a blowing fan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as conduit so that the candle is extinguished during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 중에서 촛불 점화/소화 장치는, 기둥부의 말단에 점화장치와 종 모양의 소화장치가 만곡지게 분기되어 구성됨으로써, 점화장치나 소화장치를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Among such conventional techniques, the candle ignition /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inconvenient to use the ignition device or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because the ignition device and the bell-shaped extinguishing device are bent at the end of the column portion.
또한, 종래기술들 중에서 촛불 점화 겸용 소화구는, 가스 도관에 구비된 송풍팬으로 촛불을 소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구성이 복잡하고 잦은 고장이 발생하였으며,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In addition, among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the fire extinguisher combined with the candle ignition is configured to extinguish the candle with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gas conduit, so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frequent failure occurs,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의 목적은, 촛불의 점화와 소화기능을 갖는 촛불 점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ndle igniter having a function of igniting and extinguishing a candl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가스 탱크와 점화 스위치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가스관과 점화선이 내설되는 안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관의 말단에는, 촛불을 소화하도록 된 촛불 소화기가 결합되되, 상기 촛불 소화기는, 상기 안내관과 끼움 결합되는 중공형의 결합부와, 촛불을 덮어 소화하도록 하향으로 개구된 종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한쪽으로 치우친 외주면에 마련되는 소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as turbine comprising a body provided with a gas tank and an ignition switch, and a guide pip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dy and having a gas pipe and an ignition wire inserted therein, Wherein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has a hollow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guide tube and a bell-shaped bellows opening downward to cover and burn the candle so as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a fire extinguisher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상기 안내관과 몸체 사이에는 반구형의 가림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A hemispherical shielding member may be coupled between the guide tube and the body.
상기 소화부는, 개구된 방향이,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95 - 100°의 각도로 상기 몸체 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e extinguishing unit may be formed such that an opening direction thereof is inclined toward the body at an angle of 95 to 10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art.
상기 촛불 소화기는, 상기 소화부가 상기 몸체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may be coupled to the guide pipe such that the extinguishing unit is located on the body side.
상기 소화부와 대칭되는 위치의 상기 결합부 상면 영역에는 합장한 모양을 형상화한 조각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sculpted portion that shapes the merged shape may b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engaging portion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extinguished portion.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결합공을 구비한 결합단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부를 가스가 분사되어 점화되는 화구 영역과, 상기 안내관의 말단이 끼워지는 결합 영역으로 구분하되, 상기 결합단은 상기 화구 영역은 좁고, 상기 결합 영역은 넓도록 상기 화구 영역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결합 영역에 상기 안내관의 말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노즐을 구비한 화구 절연부재가 상기 화구 영역으로 삽입된 후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마련된 가스관 및 점화선이 상기 노즐과 연결되며, 상기 화구 영역에는 방전침이 상기 노즐과 근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Wherein an engaging portion having an engaging hole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in an inside of th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divided into an engaging portion in which a gas is injected and ignited and a engaging portion in which a distal end of the guide tube is engaged, Is formed such that the crater area is narrow and the coupling area is wide toward the crater area, and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guide pipe is fitted to the coupling area, the crater insulation member having the nozzle is inserted into the crater area A gas pipe and an ignition wire provided inside the guide pip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are connected to the nozzle, and a discharge needle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nozzle to be close to the nozzle.
상기 결합공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화구 절연부재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화구 절연부재가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결합공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the coupling hole, a male screw acid is formed and a male screw aci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insulating member so that the hole insula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r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본 발명에 의하면, 촛불 점화기의 안내관 끝부분에 촛불을 소화할 수 있는 촛불 소화기가 구비됨으로써, 촛불의 점화와 소화를 하나의 촛불 점화기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ndle fire extinguisher capable of extinguishing a candle can be provided at the end portion of the guide tube of the candle fire igni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performing the ignition and extinguishing of the candle with a single candle igniter.
또한, 촛불 점화기의 소화부가, 사용자가 몸체를 잡았을 때 하부를 향하도록 개구되고, 특히 몸체 쪽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으므로, 촛불 점화기를 수직으로 내리지 않아도 되고, 촛불 점화기의 방향을 변화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fire extinguisher of the candle igniter is opened so as to face the lower portion when the user holds the body, it is inclined toward the body, so that the candle igniter does not have to be lowered vertically and the orientation of the candle igniter is not changed Can be provided.
또한, 촛불 소화기의 결합부가 가스가 점화되는 화구 역할함으로써, 별도의 화구가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urner of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serves as a burner for igniting the gas, a separate burner is un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ndle fire extinguisher having a candle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with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shown in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with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having the candle extinguisher shown in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ndle fire extinguisher having a candle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ate of a candle fire extinguisher having a candle extinguisher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having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shown in FIG. 2. In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10)는, 촛불을 점화하기 위한 기능과 촛불을 소화하기 위한 기능이 모두 갖춰진 것으로, 가스 탱크(도시되지 않음)와 점화 스위치가 구비된 몸체(12)와, 몸체(12)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가스관(14)과 점화선(16)이 내설되는 안내관(18)을 포함한다. 그리고, 안내관(18)의 말단에는, 촛불을 소화하도록 된 촛불 소화기(20)가 결합된다. 1 to 4, a
촛불 소화기(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결합부(22)와, 종 모양으로 형성되어 결합부(22)의 외주면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는 소화부(24)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결합부(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결합공(22A)을 구비한 결합단(22B)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결합부(22)의 내부를 가스가 분사되어 점화되는 화구 영역(S1)과, 안내관(18)의 말단이 끼워지는 결합 영역(S2)으로 구분한다. 이때, 결합단(22B)은 노즐(32)이 위치하는 화구 영역(S1)은 좁고, 결합 영역(S2)은 넓도록 화구 영역(S1) 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이는, 안내관(18)의 말단이 충분히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 an
소화부(24)는, 촛불을 덮어 소화하도록 하향으로 개구된 종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결합부(22)의 한쪽으로 치우친 외주면, 즉 결합 영역(S2)이 형성된 결합부(22)의 끝부분 외주면에 하향으로 개구되도록 결합부(2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The
그리고, 촛불 소화기(20)는, 소화부(24)가 몸체(12) 쪽에 위치하도록 결합부(22)가 안내관(18)에 결합된다. 이는, 소화부(24)가 화구 영역(S1)에 형성되면, 촛불의 점화시 소화부(24)가 초에 간섭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이러한 소화부(24)는, 개구된 방향이, 결합부(22)의 길이방향 중심선(C)을 기준으로 95 - 100°의 각도(A)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부(22)에 안내관(18)이 결합되면, 소화부(24)는 몸체(12)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울어짐 구조는, 촛불을 소화하려는 사용자가 몸체(12)를 취부한 후 촛불 점화기(10)를 자연스럽게 하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소화부(24)에 초의 상부가 삽입되어 촛불이 소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소화부(24)가 결합부(22)에 대하여 직각(90°)로 형성될 경우에는, 소화부(24)가 촛불의 윗쪽에서 직하방으로 내려와야하기 때문에, 촛불 점화기(10) 전체를 직하방으로 이동시켜야만 소화부(24)로 촛불을 덮을 수 있으나, 소화부(24)가 몸체(12)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몸체(12)나 사용자의 어깨나 팔꿈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자연스럽게 촛불 점화기(10)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소화부(24)로 촛불을 덮을 수 있어서 촛불의 소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e
만약, 소화부(24)가 95°이하의 각도(A)로 경사지는 경우에는, 소화부(24)의 기울기가 작아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여 촛불 점화기(10)를 하부로 내려야 하고, 소화부(24)가 중심선(C)을 기준으로 100°이상의 각도(A)를 형성할 경우에는, 소화부(24)가 과도하게 기울어진 상태가 되므로, 오히려 사용자가 몸체(12)를 하부로 더 낮추면서 소화부(24)로 촛불을 소화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98°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한편, 소화부(24)와 대칭되는 위치의 결합부(22) 상면 영역에는 합장한 모양을 형상화한 조각부(26)가 형성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손을 합장한 모양의 조각부(26)가 몸체(12)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각부(26)는 정성을 모아 촛불을 붙이는 마음을 표현한 것으로, 다양한 의미를 갖는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surface region of the
안내관(18)과 몸체(12) 사이에는 반구형의 가림부재(30)가 결합된다. 이 가림부재(30)는 몸체(12)를 취부한 사용자의 손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장식 효과를 부여한 것이다. A
결합부(22)의 내부에는 노즐(42)을 구비하고, 한쪽에 걸림턱(44)이 형성된 화구 절연부재(40)가 삽입되어 안내관(18)의 가스관(14) 및 점화선(16)과 노즐(42)이 연결되도록 결합된다.The
즉, 안내관(18)의 내부에는 몸체(12)에 구비된 가스탱크로부터 가스를 화구 영역(S1)으로 공급하기 위한 가스관(14)과, 몸체(12)의 전원 공급부의 고압 전류를 노즐(42)로 공급하기 위한 점화선(16)이 내설 된다. 그리고, 노즐(42)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끝단에는 점화 스프링(44)이 내장된 것이다. 따라서, 안내관(18)이 결합부(22)의 결합 영역(S2)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화구 절연부재(40)를 화구 영역(S1)으로 삽입한 후, 걸림턱(46)이 결합단(22B)에 닿도록 결합공(22A)에 끼우게 되면, 전류가 통하도록 금속으로 된 노즐(42)의 단부에 가스관(14)이 끼움 결합되어 연결되고, 점화선(16)이 노즐에 접촉되어 전류가 통하도록 되는 것이다. That is, inside the
화구 영역(S1)에 해당하는 결합부(2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침(50)이 노즐(42)과 근접하도록, 좀더 정확하게는 노즐(42)의 단부에 마련된 점화 스프링(44)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3, the
화구 절연부재(40)는, 나사 체결방식이나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공(22A)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공(22A)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화구 절연부재(4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화구 절연부재(40)가 결합공(22A)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구 절연부재(40)가 결합공(22A)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화구 절연부재(40)는, 내열성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촛불 점화기(20)는, 불연성 합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having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촛불 소화기(20)의 결합부(22)에 안내관(18)의 말단을 끼워 결합하되, 사용자가 몸체(12)를 취부했을 때, 소화부(24)가 아래를 향하고, 특히 소화부(24)가 몸체(12) 쪽을 향하도록 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부(24)가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화구 영역(S1)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결합 영역(S2)에 안내관(18)의 단부를 끼운다. The end of the
이 과정으로 소화부(24)의 개구 방향은 아래쪽 그리고, 몸체(12) 쪽을 향하게 된다. In this process,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이어서, 화구 절연부재(40)를 결합공(22A)에 끼워, 걸림턱(46)이 결합단(22B)에 걸리도록 한다. Then, the
이 과정으로, 화구 절연부재(40)의 내부에 설치된 노즐(42)의 안쪽 단부가 가스관(14)과 연결되고, 고압이 공급되는 점화선(16)과 접속된다. In this process, the inner end of the
이러한 결합은, 안내관(18)이 결합 영역(S2)에 결합된 상태에서, 화구 절연부재(40)가 결합공(22A)에 끼워지게 되면, 결합 영역(S2)에 위치하는 화구 절연부재(40)의 단부에 안내관(18) 내부의 가스관(14)이 끼워지면서 노즐(42)과 연결되고, 점화선(16)도 노즐에 접속되는 것이다.This coupling can be prevented by the fact that when the
전술한 과정으로, 촛불 소화기(20)가 촛불 점화기(10)의 안내관(18)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몸체(12)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하여 촛불을 점화할 수 있다. When the
즉,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가스가 가스관(14)을 통하여 노즐(42)로 공급됨과 동시에, 방전침(50)과 점화 스프링(44)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되므로, 노즐(42)의 말단을 통하여 불꽃이 발생된다.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the gas is supplied to the
따라서, 사용자는 촛불 점화를 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2)의 상단 영역에 합장하는 손 모양의 조각부(26)가 형성되고, 몸체(12) 쪽에 사용자의 손과 몸체(12) 일부를 가릴 수 있는 가림부재(30)가 마련되므로, 의식(儀式)을 위한 촛불 점화시에 예의를 갖추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make a candle light. At this time, a hand-shaped engaging
한편, 촛불의 점화로 시작된 의식이 완료된 후, 촛불을 소화하기 위해서는, 최초 촛불을 점화하기 위하여 몸체(12)를 취부한 것처럼, 몸체(12)를 취부한 후, 안내관(18)을 상부에 하향으로 내려, 소화부(24)로 촛불을 덮어 소화한다. After the ceremony started by ignition of the candle is completed, the
이때, 소화부(24)가 몸체(12) 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소화부(24)를 직하방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자연스럽게 촛불 점화기(10)를 위쪽에서 아래로 이동시켜 소화부(24)로 촛불을 덮어 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소 화부(24)가 사용자의 어깨나 팔꿈치를 회전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과 같이 하향으로 이동하고, 소화부(24)가 몸체(12) 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소화부(24)로 촛불을 덮기 위하여 임의로 소화부(24)를 직하방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이 제공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이와 같이, 촛불 점화기(10)의 안내관(18) 말단에 촛불 소화기(20)가 마련되되, 소화부(24)가 화구 영역(S1)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몸체(12) 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촛불을 점화하거나 촛불을 소화할 때 가스 점화기(10)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불필요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촛불 점화기 12 : 몸체
14 : 가스관 16 : 점화선
18 : 안내관 20 : 촛불 소화기
22 : 결합부 22A : 결합공
22B : 결합단 24 : 소화부
26 : 조각부 30 : 가림부재
40 : 화구 절연부재 42 : 노즐
44 : 점화 스프링 46 : 걸림턱
50 : 방전침10: candle lighter 12: body
14: gas pipe 16: ignition wire
18: guide tube 20: candle fire extinguisher
22: engaging
22B: Bonding end 24:
26: engraving part 30: covering member
40: Hookup insulating member 42: Nozzle
44: Ignition spring 46:
50: Discharge needle
Claims (6)
촛불을 소화하도록 된 촛불 소화기가 결합되되, 상기 촛불 소화기는, 상기 안내관과 끼움 결합되는 중공형의 결합부와, 촛불을 덮어 소화하도록 하향으로 개구된 종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한쪽으로 치우친 외주면에 마련되는 소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결합공을 구비한 결합단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내부를 가스가 분사되어 점화되는 화구 영역과, 상기 안내관의 말단이 끼워지는 결합 영역으로 구분하되, 상기 결합단은 상기 화구 영역은 좁고, 상기 결합 영역은 넓도록 상기 화구 영역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상기 결합 영역에 상기 안내관의 말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노즐을 구비한 화구 절연부재가 상기 화구 영역으로 삽입된 후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마련된 가스관 및 점화선이 상기 노즐과 연결되며,
상기 화구 영역에는 방전침이 상기 노즐과 근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A body provided with a gas tank and an ignition switch, and a guide pi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dy and having a gas pipe and ignition wire inserted therein,
Wherein the candle fire extinguisher has a hollow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guide tube and a bell-shaped bellows opening downward to cover and burn the candle so as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an extinguishing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an engaging portion having an engaging hole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in an inside of th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divided into an engaging portion in which a gas is injected and ignited and a engaging portion in which a distal end of the guide tube is engaged, Wherein the crater area is narrow and the engagement area is wide toward the crater area,
A gas pipe and an ignition wire provided in the guide pipe ar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after the hole insulating member having the nozzle is inserted into the hole area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guide pipe is fitted to the coupling area, Connected,
Characterized in that a discharge needle is provided in the firebox area so as to be close to the nozzle,
Candle fire extinguisher with candle fire extinguisher.
상기 안내관과 몸체 사이에는 반구형의 가림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mispherical shielding member is coupled between the guide tube and the body.
Candle fire extinguisher with candle fire extinguisher.
상기 소화부는,
개구된 방향이,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95 - 100°의 각도로 상기 몸체 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extinguishing unit,
Wherein the opening direc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ody at an angle of 95 to 10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ortion.
Candle fire extinguisher with candle fire extinguisher.
상기 소화부와 대칭되는 위치의 상기 결합부 상면 영역에는 합장한 모양을 형상화한 조각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upper surface region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extinguishing portion is formed with engraved engraved portions.
Candle fire extinguisher with candle fire extinguisher.
상기 결합공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화구 절연부재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화구 절연부재가 상기 결합공에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화구 절연부재가 상기 결합공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촛불 소화기를 갖는 촛불 점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ale screw acid is formed on the coupling hole and a male screw aci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insulating member so that the hole insulat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
And the crack insula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by interference fit.
Candle fire extinguisher with candle fire extinguis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9845A KR101483238B1 (en) | 2013-07-08 | 2013-07-08 | Candle igniter having candle extinguishing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9845A KR101483238B1 (en) | 2013-07-08 | 2013-07-08 | Candle igniter having candle extinguishing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3238B1 true KR101483238B1 (en) | 2015-01-16 |
Family
ID=5259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9845A Active KR101483238B1 (en) | 2013-07-08 | 2013-07-08 | Candle igniter having candle extinguishing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323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6896A (en) * | 2021-02-16 | 2022-08-23 | 곽도원 | Candle fire extinguisher |
US12108750B1 (en) * | 2023-10-05 | 2024-10-08 | Martin Schunk | Chumming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2551U (en) * | 1991-11-27 | 1993-07-13 | 實 本保 | Tool that can be used for both ignition and extinguishing, and setting unit for the tool |
KR20000012048U (en) * | 1998-12-14 | 2000-07-05 | 김종윤 | Gas lighter |
KR200414844Y1 (en) * | 2006-01-25 | 2006-04-27 | 김장환 | Gas Ignition Machine with Torch Function |
-
2013
- 2013-07-08 KR KR1020130079845A patent/KR1014832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2551U (en) * | 1991-11-27 | 1993-07-13 | 實 本保 | Tool that can be used for both ignition and extinguishing, and setting unit for the tool |
KR20000012048U (en) * | 1998-12-14 | 2000-07-05 | 김종윤 | Gas lighter |
KR200414844Y1 (en) * | 2006-01-25 | 2006-04-27 | 김장환 | Gas Ignition Machine with Torch Functio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6896A (en) * | 2021-02-16 | 2022-08-23 | 곽도원 | Candle fire extinguisher |
KR102496007B1 (en) * | 2021-02-16 | 2023-02-06 | 곽도원 | Candle fire extinguisher |
US12108750B1 (en) * | 2023-10-05 | 2024-10-08 | Martin Schunk | Chumm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5560864U (en) | Can open two micro -gap switch's gas valve simultaneously | |
CN211298434U (en) | Intelligent smoking set | |
KR101483238B1 (en) | Candle igniter having candle extinguishing equipment | |
US5537989A (en) | Candle wick extracting and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 |
CN107559829A (en) | The welding one rifle of igniting in a kind of energy is automatic | |
CN217928857U (en) | Windproof lighter | |
CN112063459B (en) | Fuel oil type electronic candle | |
US20060024631A1 (en) | Lighter with changeable flames | |
CN211625248U (en) | Atmosphere and infrared hybrid combustor provided with detection device | |
CN207112867U (en) | Gas gasifying device for lighter with clear opening and side opening injector head | |
CN104235889B (en) | Gas-cooker | |
CN106940012A (en) | A kind of infrared burner | |
CN204345732U (en) | A kind of Infrared Gas Range with Ceramic Plaque ignition structure | |
CA2684542A1 (en) | Draught-resistant fireplace pilot | |
KR101851469B1 (en) | Hood for gas burner head of charcoal ignition device | |
CN205939141U (en) | Inner flame formula is gathered can draw ejaculation fiery gas combustion ware on schedule by riser | |
CN206338805U (en) | A kind of gas ignition burner | |
KR200173641Y1 (en) | Construction of pilot burner for gas oven range | |
CN215723184U (en) | Gas torch with ignition structure | |
CN216481090U (en) | Gas lighter | |
KR200233205Y1 (en) | Gas flame guard for charcoal roaster having ignition gas torch | |
JP4280875B2 (en) | Squirts and candlesticks for lighting objects that prevent ignition of combustible materials | |
CN211677840U (en) | Chemistry teaching is with alcohol burner of conveniently putting out a fire | |
JP2001153314A (en) | Burner head | |
CN214223102U (en) | Gas pilot burne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