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151B1 - A Electronic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A Electronic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3151B1 KR101483151B1 KR20130083755A KR20130083755A KR101483151B1 KR 101483151 B1 KR101483151 B1 KR 101483151B1 KR 20130083755 A KR20130083755 A KR 20130083755A KR 20130083755 A KR20130083755 A KR 20130083755A KR 101483151 B1 KR101483151 B1 KR 1014831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lock
- locking
- unlocking
- contact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4—Burglar prevention, e.g. protecting against opening by unauthorise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락 바에 의한 스테어링 컬럼의 락킹 및 언락킹을 감지할 때 주변의 자장에 영향을 받지 않을 염려가 없이 정확한 감지가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powered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king / unlocking of a steering column by a lock bar, which enables precise detection without fear of being affected by the surrounding magnetic field And also relates to an electric-powered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can improve durability of a product.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도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도난 사고 방지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고, 그 중 허가되지 않은 제3자로 하여금 차량의 주행을 담당하는 스테어링 핸들의 조작이 되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는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theft prevention systems for preventing theft, and an unauthorized third party is prevented from operating the steering handle for the running of the vehicle in advance, A typical example is an electric-powered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prevents theft.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8693호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지된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의 하나로, 락 바디 내부에 구동부 조립체가 락 바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부 조립체의 작동에 따라 락 바가 락 홀을 관통하여 움직이면서 그 외측에 구비된 스테어링 컬럼의 락 홈에 치합 또는 이탈되는 동작으로 스테어링 컬럼을 구속시키거나 해정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다.Open No. 10-2013-0038693 discloses a motor-driven type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which is applied and known by the present applicant, in which a drive assembly is movably provided in a rocking body and a rocking bar The locking column is provided with a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e locking hole while being moved through the locking hole to lock or unseat the steering column.
한편, 상기 공지된 발명은, 구동부 조립체의 작동 제어 및 락 바디의 작동 상태의 확인을 위하여, 락 바디와 구동부 조립체의 연결을 매개하는 락 스토퍼부의 부분 중 락 바디의 언락킹 위치 및 락킹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에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이 마그네트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락 바디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의 단부에 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홀 센서가 마그네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락 바디의 언락킹 위치 및 락킹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and unlocking a lock body, the locking mechanism comprising: And the Hall sensor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side the lock body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magnet.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agnet, the Hall sensor detects the position of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lock body And a locking position.
그러나, 상기 공지된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각종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바, 마그네트의 자장을 감지하는 홀 센서가 주변의 전기장 등 간섭에 의하여 정확한 감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홀 센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인쇄회로기판에 별도의 홀 센서용 바디부를 고정시킨 후, 홀 센서를 해석하기 위한 마이크로 칩(IC)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조립 공정수를 증가시킨다.However, in the known invention, since various electric parts a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the hall sensor for sensing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electric field or the like, Since a separate body for Hall sensors is fixed on the circuit board, a microchip (IC) for analyzing the hall sensor must be installed,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assembly processes.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powered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durability of a product and simplify an assembl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일측으로 개구된 락 홀이 형성된 락 바디와, 상기 락 바디의 내부에서 작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락 홀을 통하여 락 바를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 조립체와, 상기 락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의 단부에 상기 구동부 조립체의 일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 조립체와의 접촉 위치에 따라 상기 락 바에 의한 스테어링 컬럼의 락킹 위치(Locking position) 및 스테어링 컬럼의 언락킹 위치(Unlocking position)를 감지하는 락/언락 감지부를 포함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 sta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ck body formed with a lock hole which is opened to one side, a lock body arranged to operate in the lock body and projecting the lock bar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ck hole And a control unit which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driving unit assembly at an end of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locking body so as to move the steering column by the locking bar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with the driving unit assembly, And a lock / unlock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locking position of the steering column and an unlocking position of the steering column.
여기서, 상기 구동부 조립체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락 바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단부 일측에서 왕복 이동되는 락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언락 감지부는, 상기 락 스토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락 스토퍼부의 이동 경로 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락 스토퍼부와의 접촉 시 스위칭되는 컨택트 스위치일 수 있다.Here, the driving unit assembly may include a driving unit, and a lock stopper unit that transmits a connection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lock bar and is reciprocated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lock / And a contact switch which is protrud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lock stopper portion so as to be contactable with the lock stopper portion and is switched upon contact with the lock stopper portion.
또한, 상기 컨택트 스위치는, 상기 락 스토퍼부의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에 각각 접촉되도록 한 쌍이 이격되게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tact switch may b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such that a pair of the contact swit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lock stopper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컨택트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와,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가 배치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배치된 락킹 컨택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ct switch may include an unlocking contact switch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locking contact switch dispos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unlocking contact switch is disposed have.
또한,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는, 상기 제1돌출부에 접촉되면 이동되는 언락킹 접점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락 스토퍼부가 상기 락 바의 락킹 위치에서 언락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와 접촉될 수 있다.Also, the unlocking contact switch may include an unlocking contact rod which is moved when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is contacted with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when the lock stopper is moved from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 bar to the unlocking position Can be contacted with the unlocking contact switch.
또한,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는, 상기 제2돌출부에 접촉되면 이동되는 락킹 접점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락 스토퍼부가 상기 락 바의 언락킹 위치에서 락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와 접촉될 수 있다.The locking contact switch may include a locking contact rod that is moved when the lock contact swit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is locked when the lock stopper is moved from the unlocking position to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 bar,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witch.
또한,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 및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에는,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 또는 상기 락킹 접점 로드가 각각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제2돌출부에 의하여 이동될 때 접점되는 접점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unlocking contact switch and the locking contact switch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hen the unlocking contact rod or the locking contact rod is moved by the first projection or the second projec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 및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에는,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 또는 상기 락킹 접점 로드가 각각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제2돌출부에 의하여 이동될 때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 및 상기 락킹 접점 로드를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unlocking contact rod or the locking contact rod is moved by the first projection or the second projection, respectively, the unlocking contact rod and the locking contact rod are connected to the unlocking contact switch and the locking contact switch,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각각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 및 락킹 접점 로드와 접촉되는 선단부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may be inclined outward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eading end portion contacting the unlocking contact rod and the locking contact ro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rounded.
또한,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의 경사 시작 부분과 경사 끝 부분은 적어도 각각의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 및 락킹 접점 로드가 각각의 상기 접점부로 이동되어 접점이 가능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ilting start portion and the tilted end portion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at least each of the unlocking contact rod and the locking contact rod is moved to each of the contact portions so that the contact is inclined at a possible angl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다른 각도에서 관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lectric-powered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powered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S.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lectric-powered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lectric-powered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다른 각도에서 관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lectric-powered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powered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ic-powered steering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측에 외부로 연통되고, 락 바(30)가 이동되는 락 홀(25)이 형성된 락 바디(10)와, 상기 락 바디(10)의 내부에서 작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락 홀(25)을 통하여 상기 락 바(30)를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 조립체(40)와, 상기 락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락 바(30)의 위치를 감지하는 락/언락 감지부(60)를 포함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powered
상기 락/언락 감지부(60)는, 상기 락 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PCB)(50)의 단부에 상기 구동부 조립체(40)의 일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 조립체(40)와의 접촉 위치에 따라 상기 락 바(30)에 의한 스테어링 컬럼(미도시)의 락킹 위치(Locking position) 및 스테어링 컬럼(미도시)의 언락킹 위치(Unlocking position)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lock /
여기서, 상기 락 바(30)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스테어링 컬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락 홈에 삽입되는 동작으로 상기 스테어링 컬럼의 회전을 구속시키고, 상기 락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동작으로 상기 차량의 정상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테어링 컬럼의 회전을 구속한 상태에서 해정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상기 락 바(30)가 상기 락 홀(25)을 통하여 돌출되는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락 바디(10)는, 대략 상기 스테어링 컬럼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컬럼 하우징(20)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락 바디(10)와 상기 컬럼 하우징(20)은, 실질적으로 외부 침입자에 의한 강제 파손이 가능하지 않도록 강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구동부 조립체(40)는, 상기 락 바(3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성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부(도면부호 미표기)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락 바(30)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단부 일측에서 왕복 이동되는 락 스토퍼부(70)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동모터로써,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각종 피니언 기어 및 스퍼 기어 등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락 스토퍼부(70)까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이 제공되고, 상기 락 스토퍼부(70)에는 상기 락 바(30)가 결합된다.Here, the driving unit is an electrically driven driving motor.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to the
상기 락 스토퍼부(70)가 상기 락 바디(1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되면, 상기 락 바(30) 또한 상기 락 스토퍼부(70)와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락 홀(2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거나 원래의 위치로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lock stopper
한편, 상기 락/언락 감지부(60)(이하, '감지부'라 약칭한다)는 상기 락 스토퍼부(70)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락 스토퍼부(70)의 이동 경로 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락 스토퍼부(70)와의 접촉 시 스위칭되는 컨택트 스위치 일 수 있다.The lock / unlock detecting unit 6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nsing unit') protrudes on the movement path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락 바디(10)의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이 도면상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일측으로는 상기 락 스토퍼부(70)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되도록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 감지부(6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락 스토퍼부(70)의 이동 경로 상으로 상기 락 스토퍼부(70)가 이동될 때 상기 락 스토퍼부(70)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구비된다.The
상기 락 스토퍼부(70)에는 상기 감지부(60)와 접촉되는 제1돌출부(80B) 및 제2돌출부(80A)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The
상기 감지부(60)인 상기 컨택트 스위치는, 상기 락 스토퍼부(70)에 형성된 제1돌출부(80B) 및 제2돌출부(80A)와 접촉되면, 상기 락 스토퍼부(70)의 이동 경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이동 방향에 배치된 접점부(63A,63B)와 접점되는 접점 로드(65A,65B)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contact switch is in contact with the
상기 접점부(63A,63B)는, 일종의 단자로써, 상기 접점 로드(65A,65B)가 접점됨으로써 통전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The
상기 컨택트 스위치(60)는, 상기 락 스토퍼부(70)의 상기 제1돌출부(80B) 및 제2돌출부(80A)에 각각 접촉되도록 한 쌍이 이격되게 인쇄회로기판(50)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돌출부(80B) 및 상기 제2돌출부(80A)는 상기 구동부가 연결되는 상기 락 스토퍼부(70)의 상단 중간 부분 및 상기 락 바(30)가 연결되는 하단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락 스토퍼부(70)의 상단부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락 스토퍼부(70)의 이동 방향에 직교되는 곳에 각각 구비된다.The
상기 컨택트 스위치(6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일면(보다 상세하게는, 도면상 상면)에 배치된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60B)와,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60B)가 배치된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보다 상세하게는, 도면상 하면)에 배치된 락킹 컨택트 스위치(60A)를 포함한다.The
이하에서는, 이해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60B)에 구비된 접점 로드를 "언락킹 접점 로드(65B)"라 칭하여 설명하고,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60A)에 구비된 접점 로드를 "락킹 접점 로드(65A)"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tact rod provided in the unlocking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60B)와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60A)는 각각의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와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가 해당하는 상기 제1돌출부(80B) 및 상기 제2돌출부(80A)에 접촉되도록 한 쌍이 이격되게 상기 인쇄회로기판(50)에 배치된다.The unlocking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60B)는, 상기 제1돌출부(80B)에 접촉되면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가 이동되어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60B)에 구비된 언락킹 접점 로드(65B)가 접점부(63B)에 접점되고,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60A)는, 상기 제2돌출부(80A)에 접촉되면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가 이동되어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60A)에 구비된 락킹 접점 로드(65A)가 접점부(63A)에 접점된다.The unlocking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60B) 및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60A)에는,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 또는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가 각각 상기 제1돌출부(80B) 또는 상기 제2돌출부(80A)에 의하여 이동될 때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 및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를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unlocking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 및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를 상기 접점부(63A,63B)와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접점부(63A,63B)에서의 접점력이 균일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elastically supports the unlocking
상기 제1돌출부(80B) 및 상기 제2돌출부(80A)는, 각각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 및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와 접촉되는 선단부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jecting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 및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80B)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양면 중 도면상 하면에 배치된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60B)의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와 접촉되고, 상기 제2돌출부(80A)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양면 중 도면상 상면에 배치된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60A)의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와 접촉되도록 구비된다.3A and 3B, the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80B)는, 상기 락 스토퍼부(70)가 도면상 상부로 이동하여 하부에 상기 락 홀(25)을 통하여 돌출된 상기 락 바(30)의 하단부가 상기 락 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테어링 컬럼을 언락킹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와 접촉되는 선단부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돌출부(80B)의 선단부는 도면상 하단이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에 근접하고, 상단이 상기 하단에 비하여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와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제2돌출부(80A)는, 상기 락 스토퍼부(70)가 도면상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락 홀(25)의 내부에 위치되었던 상기 락 바(30)의 하단부가 상기 락 홀(25)을 통하여 돌출되면서 상기 락 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테어링 컬럼을 락킹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와 접촉되는 선단부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돌출부(80A)의 선단부는 도면상 상단이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에 근접하고, 하단이 상기 상단에 비하여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와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상기 제1돌출부(80B) 및 상기 제2돌출부(80A)의 선단부는 모두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80B) 및 상기 제2돌출부(80A)의 선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면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 및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의 접점부(63A,63B)에 대한 접점시까지 걸리는 시간 및 접점력 설계가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The
한편, 상기 제1돌출부(80B) 및 상기 제2돌출부(80A)의 경사 시작 부분(즉, 제1돌출부(80B)의 상단 및 제2돌출부(80A)의 하단)과 경사 끝 부분(즉, 제1돌출부(80B)의 하단 및 제2돌출부(80A)의 상단)은 적어도 각각의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 및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가 각각의 상기 접점부(63A,63B)로 이동되어 접점이 가능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clination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돌출부(80B)의 상단 및 하단의 도면상 좌우 이격거리는 도 3a 및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 및 락킹 접점 로드(65A)의 이동 거리(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eft and right spaced distanc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projec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특히,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powered
먼저, 도 3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락 바(30)를 상기 락 홈에 삽입시키기 위하여 도면상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락 스토퍼부(70)에 구비된 상기 제2돌출부(80A)의 선단부가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60A)의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를 이동시켜 상기 접점부(63A)와 접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락킹 접점 로드(65A)와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60A)의 접점부(63A)가 접점되면 상기 스테어링 컬럼이 락킹되었음을 알리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 조립체(4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다른 기능 동작부를 연계하여 제어하게 된다.3A, when the
다음으로,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락 바(30)를 상기 락 홈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도면상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락 스토퍼부(70)에 구비된 상기 제1돌출부(80B)의 선단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60B)의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를 이동시켜 상기 접점부(63B)와 접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65B)와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60B)의 접점부(63B)가 접점되면 상기 스테어링 컬럼의 락킹이 해정되었음을 알리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이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동부 조립체(40)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다른 기능 동작부를 연계하여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3B,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와 비교하여 전장 부품에 의한 주변 자장의 영향을 받을 염려가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적어도 3만회 이상 아무런 오류 없이 상기 스테어링 컬럼의 락킹 및 언락킹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powe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60B) 및 락킹 컨택트 스위치(60A)를 정해진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의 부분에 솔더링시키면 족하므로 조립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조립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powered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ctric-powered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10: 락 바디
20: 컬럼 하우징 25: 락 홀
30: 락 바 40: 구동부 조립체
50: 인쇄회로기판 60: 락/언락 감지부, 감지부
60A: 락킹 컨택트 스위치 60B: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
63A,63B: 접점부 65A: 락킹 접점 로드
65B: 언락킹 접점 로드 70: 락 스토퍼부
80: 돌출부 80A: 제2돌출부
80B: 제1돌출부 1: electric type steering device 10: lock body
20: Column housing 25: Lock hole
30: lock bar 40: drive assembly
50: printed circuit board 60: lock / unlock detection unit,
60A:
63A, 63B:
65B: unlocking contact load 70: lock stopper part
80:
80B: First protrusion
Claims (11)
상기 락 바디의 내부에서 작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락 홀을 통하여 락 바를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 조립체와;
상기 락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의 단부에 상기 구동부 조립체의 일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 조립체와의 접촉 위치에 따라 상기 락 바에 의한 스테어링 컬럼의 락킹 위치(Locking position) 및 스테어링 컬럼의 언락킹 위치(Unlocking position)를 감지하는 락/언락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 조립체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락 바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단부 일측에서 상기 락 바와 함께 직선 왕복 이동되는 락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락/언락 감지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락 스토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락 스토퍼부의 이동 경로 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락 스토퍼부와의 접촉 시 스위칭되는 컨택트 스위치인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A rocking body having a rocking hole opened at one side thereof;
A drive assembly arranged to be operated inside the lock body and reciprocally moving the lock bar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ck hole;
And a locking member provided at an e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lock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driving unit assembly. The locking position and the locking position of the steering column, And a lock / unlock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unlocking position of the addressing column,
The driving unit assembly includes a driving unit and a lock stopper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and the lock bar and is linearly reciprocated together with the lock bar at one e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lock / unlock detection unit comprises a contact switch which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which is protruded on a movement path of the lock stopper unit so as to be contactable with the lock stopper unit, Motorized steering gear.
상기 컨택트 스위치는, 상기 락 스토퍼부의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에 각각 접촉되도록 한 쌍이 이격되게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switch is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such that a pair of the contact swit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of the lock stopper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컨택트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와;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가 배치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에 배치된 락킹 컨택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act switch includes:
An unlocking contact switch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locking contact switch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unlocking contact switch is disposed.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는, 상기 제1돌출부에 접촉되면 이동되는 언락킹 접점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락 스토퍼부가 상기 락 바의 락킹 위치에서 언락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와 접촉되는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nlocking contact switch includes an unlocking contact rod which is moved when the first contact protrusion is contacted with the first projection,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nlocking contact switch when the lock stopper portion is moved from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 bar to the unlocking position.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는, 상기 제2돌출부에 접촉되면 이동되는 락킹 접점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락 스토퍼부가 상기 락 바의 언락킹 위치에서 락킹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와 접촉되는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cking contact switch includes a locking contact rod which is moved when the locking contact swit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rojection,
Wherein the second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contact switch when the lock stopper portion is moved from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lock bar to the locking position.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 및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에는,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 또는 상기 락킹 접점 로드가 각각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제2돌출부에 의하여 이동될 때 접점되는 접점부가 구비된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unlocking contact switch and the locking contact switch are provided with contact portions which are brought into contact when the unlocking contact rod or the locking contact rod is moved by the first projection or the second projection, respectively.
상기 언락킹 컨택트 스위치 및 상기 락킹 컨택트 스위치에는,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 또는 상기 락킹 접점 로드가 각각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제2돌출부에 의하여 이동될 때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 및 상기 락킹 접점 로드를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구비된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The unlocking contact switch and the locking contact switch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n unlocking contact rod and a locking contact ro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unlocking contact rod or the locking contact rod is moved by the first projection or the second projection,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elastic support portion.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각각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 및 락킹 접점 로드와 접촉되는 선단부가 접촉되는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re inclined outward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eading end contacting the unlocking contact rod and the locking contact rod com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rounded.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의 경사 시작 부분과 경사 끝 부분은 적어도 각각의 상기 언락킹 접점 로드 및 락킹 접점 로드가 각각의 상기 접점부로 이동되어 접점이 가능한 각도로 경사진 차량의 전동식 스테어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tilting start portion and the tilted end portion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re formed so that at least each of the unlocking contact load rod and the locking contact rod is moved to each of the contact portions,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83755A KR101483151B1 (en) | 2013-07-16 | 2013-07-16 | A Electronic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83755A KR101483151B1 (en) | 2013-07-16 | 2013-07-16 | A Electronic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3151B1 true KR101483151B1 (en) | 2015-01-16 |
Family
ID=5259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8375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3151B1 (en) | 2013-07-16 | 2013-07-16 | A Electronic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3151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0458B1 (en) | 2007-06-14 | 2008-04-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Electronic Steering Column Lock Device |
JP2008094138A (en) * | 2006-10-06 | 2008-04-24 | Yuhshin Co Ltd | Steering lock device |
KR20110038136A (en) * | 2008-08-05 | 2011-04-13 |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 Steering lock device |
KR20130038693A (en) * | 2011-10-10 | 2013-04-18 | 주식회사 대동 | Apparatus for electronic steering column lock of vehicles and mounting method of the same |
-
2013
- 2013-07-16 KR KR20130083755A patent/KR1014831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94138A (en) * | 2006-10-06 | 2008-04-24 | Yuhshin Co Ltd | Steering lock device |
KR100820458B1 (en) | 2007-06-14 | 2008-04-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Electronic Steering Column Lock Device |
KR20110038136A (en) * | 2008-08-05 | 2011-04-13 |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 Steering lock device |
KR20130038693A (en) * | 2011-10-10 | 2013-04-18 | 주식회사 대동 | Apparatus for electronic steering column lock of vehicles and mounting method of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72621B2 (en) | Shift device | |
US9085879B2 (en) | Electronic control switch for water faucets | |
US6703732B2 (en) | Electromotor, especially wiper motor, wiping the glass surface of a motor vehicle | |
US11512765B2 (en) | Linear actuator | |
JP2007223384A (en) | Shift lever unit | |
EP1589322B1 (en) | Device for detecting rotation in two directions and shift lever device | |
JP6013782B2 (en)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 |
KR20210003097A (en) | Method for determining vehicle parking lock status | |
JP2007302070A (en) | Shift lever unit | |
US10107388B2 (en) | Vehicle shifter assembly | |
JP2007062664A (en) | Shift device | |
KR101483151B1 (en) | A Electronic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s | |
JP2002154440A (en) | Mounting structure of steering angle sensor for steering | |
US20130055846A1 (en) | Steering Lock Device | |
JP4700632B2 (en) | Multi-directional operation device | |
US10128839B2 (en) |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including a position detector that detects a neutral position and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body | |
CN111095155B (en) | Operating device | |
KR100599474B1 (en) | Steer-by-wire system with front wheel alignment switch | |
JP4921398B2 (en) | Operation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shift device | |
JP2001301483A (en) | Shift lever device and movable body position detecting device | |
JP4268537B2 (en) |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 |
CN222748887U (en) | Steering wheel assembly seat and remote controller | |
CN104554139A (en) | Automobile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4954847B2 (en) | Combination switch | |
JP6542556B2 (en)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