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855B1 -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2855B1 KR101482855B1 KR20130057097A KR20130057097A KR101482855B1 KR 101482855 B1 KR101482855 B1 KR 101482855B1 KR 20130057097 A KR20130057097 A KR 20130057097A KR 20130057097 A KR20130057097 A KR 20130057097A KR 101482855 B1 KR101482855 B1 KR 1014828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ipe
- present
- water storage
- geotherm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수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태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에 포함되는 이중 유공관 중 외부 유공관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에 포함되는 이중 유공관 중 내부 유공관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지반을 굴토하는 장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15)
- (a) 지반을 굴토하는 단계;
(b) 굴토된 상기 지반의 하단에 평균직경 10.1-30.0 cm의 굵은 돌, 평균직경 0.5-3.5 cm의 가는 자갈 및 평균직경 3.6-10.0 cm의 굵은 자갈을 순서대로 까는 단계;
(c) 상기 굵은 자갈 상부에 이중 유공관을 배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중 유공관 상에 상기 굵은 자갈, 상기 가는 자갈 및 상기 굵은 돌을 순서대로 까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상기 지반을 굴토하는 깊이는 1-30 m인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 삭제
- 삭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내지 상기 (d)단계에 의해 상기 굵은 돌, 상기 가는 자갈 및 상기 굵은 자갈에 의해 형성된 골재층의 평균 공극률(孔隙率)은 30-60%인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 삭제
- 삭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유공관은
콘크리트 재질의 외부 유공관; 및
상기 외부 유공관 내에 설치된 플라스틱 재질의 내부 유공관;
을 포함하는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공관에는 길이 1 m 당 10-500 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유공관에 형성된 구멍의 지름은 0.5-5.0 cm인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공관에는 길이 1 m 당 10-500 개의 구멍이 형성이고, 상기 내부 유공관에 형성된 구멍의 지름은 0.1-2.0 cm인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57097A KR101482855B1 (ko) | 2013-05-21 | 2013-05-21 |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57097A KR101482855B1 (ko) | 2013-05-21 | 2013-05-21 |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6709A KR20140136709A (ko) | 2014-12-01 |
KR101482855B1 true KR101482855B1 (ko) | 2015-01-15 |
Family
ID=5245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570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2855B1 (ko) | 2013-05-21 | 2013-05-21 |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285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36206A (ja) | 2000-05-30 | 2001-12-07 | Obayashi Road Corp | 排水用溝形暗渠及び排水ブロック |
KR20030026055A (ko) * | 2001-09-24 | 2003-03-31 | 고동판 | 유공관을 이용한 구조물 지하배수공법 |
KR20060024839A (ko) * | 2006-02-27 | 2006-03-17 | (주) 부경종합기술단 | 토목공사용 배수구조물의 배수재 |
KR101130255B1 (ko) | 2009-06-15 | 2012-06-14 | 황성혁 | 인조잔디용 배수성 패드,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
-
2013
- 2013-05-21 KR KR20130057097A patent/KR10148285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36206A (ja) | 2000-05-30 | 2001-12-07 | Obayashi Road Corp | 排水用溝形暗渠及び排水ブロック |
KR20030026055A (ko) * | 2001-09-24 | 2003-03-31 | 고동판 | 유공관을 이용한 구조물 지하배수공법 |
KR20060024839A (ko) * | 2006-02-27 | 2006-03-17 | (주) 부경종합기술단 | 토목공사용 배수구조물의 배수재 |
KR101130255B1 (ko) | 2009-06-15 | 2012-06-14 | 황성혁 | 인조잔디용 배수성 패드,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6709A (ko) | 2014-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sso et al. | Open-loop groundwater heat pumps development for large buildings: a case study | |
CN102767302B (zh) | 一种分布式地下水库及其建造方法 | |
RU2567927C2 (ru) | Подзем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водой для горных выработок | |
CN201943173U (zh) | 沉槽式透水雨水口设施系统 | |
Singh et al. | An overview of ground-source heat pump technology | |
CN105544648B (zh) | 一种收集、储存和循环利用雨水的储水装置及储水方法 | |
CN102808446A (zh) | 回灌型城市雨洪综合利用系统 | |
KR101055350B1 (ko) | 관정형 히트펌프 시스템 | |
KR101061494B1 (ko) | 지열을 이용한 열교환시스템 | |
JP4882021B1 (ja) | 熱交換システム | |
KR20180033993A (ko) | 모듈타입 지중열 교환기 | |
Stevanovic | Utilization and regulation of springs | |
US4452227A (en) | Active thermal storage using the ground underlying a solar pond | |
KR101206269B1 (ko) | 저류 연계형 빗물 관리 시스템 | |
KR101658405B1 (ko) | 유출지하수를 이용한 히트펌프 냉난방 시스템 | |
US20160281925A1 (en) | Big mass battery including manufactured pressure vessel for energy storage | |
KR101482855B1 (ko) |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토양수 저장용 구조물 구축방법 | |
KR101303575B1 (ko) | 대구경 천공을 활용한 혼합형 지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
CN212688610U (zh) | 一种透水混凝土路面结构 | |
JPH10306419A (ja) | 地下空洞ダム | |
CN110260559B (zh) | 利用挖填方区构筑地下储水结构的水源热泵生态循环系统 | |
CN110016953B (zh) | 用于黄土地区的雨水导向性下渗结构、系统及施工方法 | |
CN101700929B (zh) | 生活污水净化土壤沟槽及其构建方法 | |
CN102583763A (zh) | 小型人工湿地的模块结构及其应用工艺 | |
JP5786014B2 (ja) | クローズドループ型地中熱熱交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091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0092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