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2367B1 - Motor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Motor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367B1
KR101482367B1 KR1020127021596A KR20127021596A KR101482367B1 KR 101482367 B1 KR101482367 B1 KR 101482367B1 KR 1020127021596 A KR1020127021596 A KR 1020127021596A KR 20127021596 A KR20127021596 A KR 20127021596A KR 101482367 B1 KR101482367 B1 KR 101482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ame
voltage battery
sea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7517A (en
Inventor
다카토 와타나베
가츠이치 야기사와
히사시 마츠오
히데키 이나이즈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5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36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6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2J43/28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hidden within the cy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1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10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over or beside driven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1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 B62K25/1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with single arm on each fork leg
    • B62K25/20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with single arm on each fork leg for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6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이 스쿠터형 전동 차량은 차체 프레임(11)이, 시트(3)의 전단보다도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24)을 가지고, 구동용 납 축전지(6a)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복수 늘어섬으로써 고압 배터리(6A)를 구성하고, 이 고압 배터리(6A)가, 상기 연장 프레임(24)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시트(3)의 하방 또한 이 시트(3)의 전단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에만 배치되고, 상기 스텝 플로어(4)가, 상기 고압 배터리(6A)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This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has a body frame 11 having an elongated frame 24 extending rea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an the front end of the seat 3 so that the driving lead accumulator 6a The high voltage battery 6A is supported by the extended frame 24 and the lower end of the seat 3 and the upper end of the seat 3 And the step floor 4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Figure R1020127021596
Figure R1020127021596

Description

스쿠터형 전동 차량{MOTOR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MOTOR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0002]

본 발명은, 구동용 전원으로서 납 축전지를 구비한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having a lead-acid battery as a driving power source.

종래부터, 구동용 배터리로부터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구동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주행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서는, 조향 핸들과 시트의 사이의 낮은 바닥부의 하방부터 시트의 하방에 걸친 장소에, 직방체형상의 배터리를 복수 배치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a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that travels by driving a drive motor by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drive motor from a drive battery is know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n this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a plurality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batteries are arranged at a place from below the low floor portion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seat to below the seat.

일본국 특허공개 평 3-22488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224887

그런데, 축전지의 일종으로서 납 축전지가 있는데, 이는, Ni―MH나 Li―ion 등의 각종 축전지에 비하여 낮은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전지 자체가 대형이라는 결점이 있다. 이 때문에, 납 축전지를 구동용 배터리로서 이용하여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낮은 바닥부의 하방에 납 축전지를 설치하면, 낮은 바닥부가 높아져서 승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복수의 납 축전지를 분산시켜 배치하면, 배선이 길어짐과 더불어 타부품의 레이아웃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However, there is a lead-acid battery as a kind of battery,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manufactured at a lower price than various accumulators such as Ni-MH and Li-ion. Therefore, if a lead-acid battery is used as a driving battery and a lead-acid battery is provided below a low-lying bottom portion as in the conventional art, the low-bottom portion is raised to affec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ability. In addition, if a plurality of lead accumulators are dispersed and arranged, the wiring becomes longer and influences the layout of other components.

여기서, 본 발명은, 구동용 전원으로서 납 축전지를 구비한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 있어서, 낮은 바닥부를 낮게 함과 더불어 타부품의 레이아웃에 대한 영향을 적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lowering the bottom portion of a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having a lead-acid battery as a driving power source and reducing the influence on the layout of other component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following means.

(1) 즉,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은, 헤드 파이프로부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하측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부 및 이 다운 프레임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로어 프레임부를 가지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헤드 파이프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와 ; 상기 헤드 파이프와 상기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자가 발을 놓는 스텝 플로어와 ; 주행용의 구동 모터와 ; 이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용 납 축전지를 구비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시트의 전단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을 가지고 ; 상기 구동용 납 축전지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복수 늘어서 고압 배터리를 구성하고 ; 이 고압 배터리가, 상기 연장 프레임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의 하방 또한 상기 시트의 상기 전단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에만 배치되고 ; 상기 스텝 플로어가,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1) In other words,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own fram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ipe toward the lower rear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wer frame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down frame portion toward the rear in the vehicle front- A body frame having a portion; A seat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head pi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to seat the occupant; A step floor installed between the head pipe and the seat to allow the occupant to put his foot; A driving motor for driving; And a driving lead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driving motor, wherein the body frame has an extension frame that extends beyond the front end of the seat toward the rear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riving lead acid accumulators are arranged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constitute a high-voltage battery; The high-voltage battery is disposed only at a position below the seat an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seat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o being supported by the extension frame; The step floor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voltage battery.

또한, 상기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는, 낮은 바닥부를 가지는 안장형 차량 전반이 포함되고, 이륜뿐만 아니라 삼륜(전방 일륜 또한 후방 이륜 외에, 전방 이륜 또한 후방 일륜의 차량도 포함한다) 또는 사륜 차량도 포함된다.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also includes a general saddle-type vehicle having a low bottom portion, and includes not only two-wheel but also three-wheel (including front and rear rear wheels as well as front two-wheel and rear four-wheel vehicles) .

(2) 상기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전동 차량은, 상기 고압 배터리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와 ; 이 전지 케이스의 상방이고 또한 상기 시트의 하방의 위치에 설치된 물품 수납 박스를 더 구비해도 된다. (2)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described in (1) above comprises: a battery case for accommodating the high-voltage battery; And an article storage box provided above the battery case and at a position below the seat.

(3) 상기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서는, 상기 고압 배터리가, 상기 물품 수납 박스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 치수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3) In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described in (1) above, the high-voltage battery may be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dimension of the article storage box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4) 상기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서는, 상기 고압 배터리가, 이를 평면에서 본 경우에 상기 시트의 상기 차량폭 방향을 따른 외측까지 연장되고 ; 이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외측에, 후부 동승자가 발을 놓기 위한 동승자용 스텝이 상기 스텝 플로어로부터 연속하도록 설치되고 ;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폭방향을 따른 외측까지 연장됨과 더불어, 상기 동승자용 스텝을 지지하는 스텝 프레임을 가지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4) In the scooter-type electric vehicle described in (1), the high-voltage battery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seat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hen viewed in a plan view; A passenger step for setting the foot of the rear passenger is provided continuously from the step floor on the outside of the high-voltage battery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hicle frame may have a step frame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high-voltage battery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passenger step.

(5) 상기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서는, 상기 연장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하방을 통과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후방까지 연장되고 ;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후방에서 상기 연장 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좌우 한쌍의 리어 프레임을 가지고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윙 암이, 그 후단부에서 후륜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더불어 그 내부에 상기 구동 모터를 수용하고, 또한 이 스윙 아암의 전단부가,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에 따른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리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5) In the scooter-type electric vehicle described in (1) above, the extended frame extends under the high-voltage battery to the rear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hicle body frame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frames that are erected upward from a rear end of the elongated frame at a rear side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gh-voltage battery; Wherein the swing arm constitut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rotatably supports the rear wheel at the rear end thereof and houses the drive motor therein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wing arm extends forward and rearward of the high- The rear frame being swingably supported at a rear posi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rear frame; Configuration may be employed.

(6) 상기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에 따른 전방에서 상기 연장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됨과 더불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방에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서브 프레임을 가지고 ; 이 서브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전면 및 상면을 덮음과 더불어, 상기 고압 배터리 상에 설치된 물품 수납 박스를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6) In the scooter-type electric vehicle described in (1), the body frame extends upward from the extension frame in front of the high-voltage battery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 sub-frame extending rearward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ubframe covers the front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voltage battery, and supports the article storage box provided on the high-voltage battery.

(7) 상기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서는, 상기 각 구동용 납 축전지가, 상기 차량 폭방향을 따라 4개 늘어서 설치되고, 또한 서로 직렬로 결선되며 ; 상기 각 구동용 납 축전지가, 이들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또한, 상기 차량 폭방향에서 인접하는 것들이,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를 반전시키도록 배치되고 ; 상기 각 구동용 납 축전지 중 상기 차량 폭방향의 외측에 있는 것의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로부터 연장되는 제1의 케이블의 외부 커넥터가, 상기 각 구동용 납 축전지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그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각 구동용 납 축전지의 상기 차량 폭방향의 내측에 있는 것들을 접속하는 제2의 케이블의 중간 커넥터가, 마찬가지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그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7) In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described in (1) above, each of the lead acid batteries for driving is arranged four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Wherein each of the driving lead acid batterie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thereof are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reverse the positions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 And the external connector of the first cable extending from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ut of the driving lead acid batterie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attery case accommodating the respective driving lead acid batteries The intermediate connector of the second cable for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driving lead acid batterie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one side of the battery case there is ; Configuration may be employed.

(8) 상기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서는,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단부가 후륜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더불어, 이 차체 프레임의 전단부가 상기 고압 배터리의 하방에서 상기 연장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을 가지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8) In the scooter-type electric vehicle described in (1) above, the rear end of the body frame rotatably supports the rear wheels, and the front end of the body frame is pivotable on the extension frame below the high- With a swing arm supported thereon.

(9) 상기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서는, 상기 시트의 하방의 주위를 덮는 시트 커버를 더 구비하고 ; 상기 연장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하방을 통과하여 또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후방까지 연장되고 ;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후방에서 상기 연장 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측면에서 봐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는 후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세워지는 리어 프레임을 가지고 ; 상기 시트 커버의 전면이, 측면에서 봐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는 후측 상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 상기 고압 배터리가, 측면에서 봐서 상기 시트 커버의 전면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을 따르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9) In the scooter-type electric vehicle described in (1) above,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seat cover for covering a lower periphery of the seat; Wherein the elongate frame extends under the high-voltage battery and extends to the rear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vehicle body frame has a rear frame which is inclined from a rear end of the elongated frame rearward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gh-voltage battery toward an upper rear side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s viewed from a 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 cover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side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side; Wherein the high-voltage battery is disposed obliquely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 cover and the rear frame as viewed from the side; Configuration may be employed.

(10) 상기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서는, 상기 연장 프레임이, 그 후단부에서 후륜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더불어 그 전단부가 상기 로어 프레임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으로 구성되고 ; 상기 스윙 아암의 좌측 아암 및 우측 아암 사이이고 또한, 이들 좌측 아암 및 우측 아암 상에, 상기 고압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 또한 상기 구동 모터 및 그 드라이버가 상기 스윙 아암 내에 배치되 있는 ;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10) In the scooter-type electric vehicle described in (1), the extended frame is constituted by a swing arm having a rear end pivotally supporting the rear wheel at the rear end thereof and a front end portion thereof pivotably supported on the lower frame portion Be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igh-voltage battery is disposed on the left arm and the right arm between the left arm and the right arm of the swing arm; Said drive motor and its driver being disposed within said swing arm; Configuration may be employed.

상기 (1)에 기재된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 의하면, 시트의 하방에서 고압 배터리를 차체 폭방향을 따라 가로로 늘어서게 배치함으로써, 시트의 전단보다도 후방에 고압 배터리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텝 플로어를 낮게 하고, 또한 그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인 복수의 구동용 납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고압 배터리를 차체 중심 부근에 집중시켜 배치함으로써, 타부품의 레이아웃에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차체 중심에 매스(질량)를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동용 납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고압 배터리를 채용함으로써, 고압의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scooter-type electric vehicle described in (1) above, the high-voltage battery is arranged lateral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elow the seat so that the high-voltage battery can be disposed behind the seat. Accordingly, the step floor can be lowered and the area can be widened. Further, by arranging the high-voltage battery including the plurality of driving lead-acid batteries, which are heavy, concentrated near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the influence on the layout of other components can be reduced and the mass (mass) can be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 In addition, by employing a high-voltage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lead acid batteries for driving, high-voltage driving power can be ensured.

상기 (2)에 기재의 경우, 복수의 구동용 납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고압 배터리를 일체로 합칠 수 있고, 그 설치성 및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지 케이스 상방의 공간을 물품 수납 스페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2), the high-voltage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lead acid batteries for driving can be integrally incorporated, and the installation property and the maintenance property can be improved. Further, a space above the battery case can be used as an article storage space.

상기 (3)에 기재의 경우, 고압 배터리와 시트의 사이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물품 수납 박스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물품 수납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e case described in (3)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rticle storage box using the space between the high-voltage battery and the seat, thereby ensuring the article storage capacity.

상기 (4)에 기재의 경우, 고압 배터리의 외측방을 스텝 프레임으로 덮음으로써, 고압 배터리가 외측방으로부터 받는 외력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4) above, by covering the outer chamber of the high-voltage battery with the step frame,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force from the outer chamber of the high-voltage battery can be reduced.

상기 (5)에 기재의 경우, 연장 프레임이 고압 배터리의 하방을 통과하므로, 그라운드 히트에 의한 외력이 고압 배터리에 미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봐서 고압 배터리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스윙 아암의 요동 지지부를 설치하므로, 스윙 아암의 요동축이 고압 배터리를 피해 좌우 방향(차량 폭방향)으로 관통 가능해져, 피벗부 주위의 강성을 높임과 더불어 스윙 아암의 부착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In the case described in (5) above, since the elongated frame passes under the high-voltage battery,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ground hit can be prevented from reaching the high-voltage battery. Further, since the swing support portion of the swing arm is provid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high-voltage battery from the side view, the swing arm of the swing arm can penetrate in the left-right direction (vehicle width direction) The adhesion of the swing arm can be satisfactorily secured.

상기 (6)에 기재의 경우, 고압 배터리를, 그 하면 및 후면뿐만 아니라, 전면 및 상면도 프레임 부재로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서브 프레임이 물품 수납 박스의 지지 스테이를 겸하므로,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6) above, not only the lower and rear surfaces of the high-voltage battery, but also the front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can be surrounded by the frame member. Further, since the subframe serves also as a support stay for the article storage box,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상기 (7)에 기재의 경우, 차량 폭방향 외측에 있는 구동용 납 축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로부터 연장되는 제1의 케이블의 외부 커넥터를 전지 케이스의 일측면에 배치함과 더불어, 차량 폭방향 내측에 있는 구동용 납 축전지 사이를 접속하는 제2의 케이블의 중간 커넥터도 각 외부 커넥터와 동일한 일측면에 배치함으로써, 고압 배터리를 떼어낼 때, 중간 커넥터를 절단하여 전압을 반으로 한 후에 양측의 외부 커넥터를 떼어내는 작업을, 동일 방향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7), the external connector of the first cable extending from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driving lead acid battery outside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case, The intermediate connector of the second cable connecting between the driving lead acid batteries located on the inner side is disposed on the same side as the respective external connectors so that when the high voltage battery is removed, the intermediate connector is cut to half the voltage,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external connector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maintenance property can be improved.

상기 (8)에 기재의 경우, 고압 배터리의 하방에 스윙 아암의 요동축이 위치하게 되므로, 스윙 아암의 길이를 확보하여 쿠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8), since the swinging axis of the swing arm is located below the high-voltage battery, the length of the swing arm can be secured and the cushioning property can be improved.

상기 (9)에 기재의 경우, 시트 커버의 전면 및 리어 프레임을 따라 고압 배터리를 경사시킴으로써, 고압 배터리의 주위에 데드 스페이스가 생기기 어려운 레이아웃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9), by laying the high-voltage battery along the front and rear frames of the seat cov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yout in which dead space is unlikely to occur around the high-voltage battery.

상기 (10)에 기재의 경우, 고압 배터리, 구동 모터 및 드라이버를 합쳐서 스윙 아암에 설치함으로써, 이들의 사이에 있어서의 배선 로스를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10) above, the high-voltage battery,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r are combined in the swing arm so that the wiring loss between them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의 제1 실시 형태인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요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자동 이륜차의 차체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중요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중요부 정면도이다.
도 6은 동 자동 이륜차의 구동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동 구동 시스템의 차체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에 상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의 제2 실시 형태인 자동 이륜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에 상당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8b는 동 자동 이륜차의 스윙 아암 둘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의 제3 실시 형태인 자동 이륜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에 상당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의 제4 실시 형태인 자동 이륜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에 상당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의 제5 실시 형태인 자동 이륜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에 상당하는 좌측면도이다.
1 is a left side view of a motorcycle which is a first embodiment of a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n important part of Figure 1;
3 is a left side view of the motorcycle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body cover is removed.
4 is a plan view of an important part of Fig.
5 is a front view of an important part of Fig.
6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drive system of the motorcycle.
Fig. 7 i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4, showing a vehicle body layout of the drive system. Fig.
8A is a view showing a motorcycle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of a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left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3;
8B is a plan view of the swing arm of the motorcycle.
Fig. 9 is a left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3 showing a motorcycle which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left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3 showing a motorcycle which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a motorcycle which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left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3;

이하,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 좌우 등의 방향은, 특별히 기재가 없으면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 있어서의 방향과 동일하게 한다. 또한, 도면 중의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을, 화살표 LH는 차량 좌방을, 화살표 UP는 차량 상방을 각각 나타낸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irections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case of a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rawing, the arrow FR indicates the vehicle front, the arrow LH indicates the vehicle left, and the arrow UP indicates the vehicle upper direction.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1∼5에 도시하는 스쿠터형의 자동 이륜차(안장형 차량)(1)는, 조향용 바 핸들(2)과 탑승자 착석용 안장 시트(이하, 간단히 시트라고 한다)(3)의 사이에 설치된 낮은 바닥의 스텝 플로어(4)와 ; 대략 차체 전체를 덮는 차체 커버(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도면 중의 일점 쇄선(CL)은, 차체 좌우 방향의 중심선을 나타낸다. A scooter type motorcycle (saddle type vehicle) 1 shown in Figs. 1 to 5 is installed between a steering bar handle 2 and a saddle seat for a passenger sea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seat) 3 A lower floor step floor 4; And a vehicle body cover 5 covering substantially the entire body of the vehicle. Further, the one-dot chain line CL in each drawing shows the center line in the vehicle body horizontal direction.

이 자동 이륜차(1)의, 스텝 플로어(4)의 후방 위치에는, 배터리 유닛(6)이 탑재되어 있다. 이 배터리 유닛(6)에서의 전력을 후륜(7)의 근방에 있는 구동 모터(8)가 받아서 구동하고, 그 구동력에 의해, 구동륜인 후륜(7)을 구동시켜 자동 이륜차(1)가 주행한다. 즉, 자동 이륜차(1)는 전동 차량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A battery unit 6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step floor 4 of the motorcycle 1. The electric power from the battery unit 6 is received by the drive motor 8 in the vicinity of the rear wheel 7 and driven by the drive force to drive the rear wheel 7 to drive the motorcycle 1 . That is, the motorcycle 1 is configured as an electric vehicle.

자동 이륜차(1)의 차체 프레임(11)은, 복수종의 강재를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접합하여 이루어지고, 그 전단부에는, 전륜 현가 시스템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2)를 구비함과 더불어, 하부 후측에는 후륜 현가 시스템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부(13)를 구비한다.The vehicle body frame 11 of the motorcycle 1 is formed by joining a plurality of kinds of steel members integrally by welding or the like and has a head pipe 12 for steerably supporting the front suspension suspension system at the front end thereof And a pivot portion 13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 suspension system up and down so as to be swingable.

상기 전륜 현가 시스템은, 전륜(14)을 하단부에 있어서 축지지하는 좌우 프론트 포크(15)와, 이들 좌우 프론트 포크(15)의 상단부 사이를 고정하는 브릿지 부재(16)와, 이 브릿지 부재(16)의 좌우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템 파이프(17)를 가진다. The front suspension system includes left and right front forks 15 that axially support the front wheel 14 at a lower end portion thereof, a bridge member 16 that fixes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front forks 15, And a stem pipe 17 extending upwardly from the cent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스템 파이프(17)는, 헤드 파이프(12) 내에 그 하방으로부터 상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템 파이프(17)의 상단부는, 헤드 파이프(12)의 상방보다 돌출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바 핸들(2)이 고정되어 있다.The stem pipe (17) is inserted into the head pipe (12)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from below. The upper end of the stem pipe 17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head pipe 12, and the bar handle 2 is fixed thereto.

상기 후륜 현가 시스템은, 후륜(7)을 후단부에서 축지지하는 스윙 아암(18)을 주요 구성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스윙 아암(18)은, 좌우 아암의 전부들을 일체로 연결한 것이다. 좌측 아암의 후단부는, 주행용 구동 모터(8) 및 이 구동 모터(8)로부터의 구동력을 감속하는 기어 기구(19)를 내장한 스윙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스윙 아암(18)의 후단부는, 좌우 쿠션 유닛(21)을 통하여 차체 프레임(11)의 후단부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스윙 아암(18)은, 차체 프레임(11)의 일부를 구성한다. The rear wheel suspension system includes a swing arm 18 for axially supporting the rear wheel 7 at the rear end thereof as a main component. The swing arm 18 integrally connects all of the left and right arms. The rear end of the left arm constitutes a swing unit incorporating a driving motor 8 for driving and a gear mechanism 19 for reduc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8. [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wing arm 18 is elastically supported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11 through the left and right cushion unit 21. The swing arm 18 constitutes a part of the body frame 11.

차체 프레임(11)은, 그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부가 후방을 향해서 경사진 상기 헤드 파이프(12)와, 이 헤드 파이프(12)의 후면에 상부(전단)가 접합된 메인 프레임 파이프(22)와, 이 메인 프레임 파이프(22)의 하부(후단)에 좌우 중간부의 전측이 접합된 전측 크로스 파이프(23)와, 이 전측 크로스 파이프(23)의 좌우 측부 후측에 전단이 접합된 좌우 연장 프레임 파이프(이하, 간단히 연장 프레임이라고 한다)(24)와, 이 좌우 연장 프레임(24)의 후단이 좌우 측부 전측에 접합된 후측 크로스 파이프(25)와, 이 후측 크로스 파이프(25)의 좌우 단부 상측에 전부(하단)가 접합된 좌우 한쌍의 리어 프레임 파이프(이하, 간단히 리어 프레임이라고 한다)(26)와, 메인 프레임 파이프(22)의 하부 양측과 좌우 리어 프레임(26)의 전부 외측의 사이에 걸쳐진 좌우 플로어 프레임(27)을 구비한다. The vehicle body frame 11 includes a head pipe 12 which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body frame 11 and whose upper portion is inclined rearward and a main frame pipe 22 A front cross pipe 23 to which a front side of the left and right intermediate portions is joined to a lower portion (rear end) of the main frame pipe 22 and a front side cross pipe 23 to which a front end is joi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 rear portions of the front side cross pipe 23, A rear cross pipe 25 in which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extending frames 24 are joined to the front sides of right and left sides, A pair of right and left rear frame pipes 26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rear frames) 26 to which all of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are joined,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 27, It is.

메인 프레임 파이프(22)는, 예를 들면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상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헤드 파이프(12)의 후면으로부터 후측 하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부(22a)와, 이 다운 프레임부(22a)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만곡하여 연장되는 로어 프레임부(22b)를 일체로 가진다. 헤드 파이프(12)의 하부 후면과 다운 프레임부(22a)의 상부 전면의 사이에는, 거싯(22c)이 설치되어 있다. 다운 프레임부(22a)의 상하 방향 중간부는, 후방을 향해서 볼록해지도록 완만하게 굴곡되어 있고, 그 결과로서 다운 프레임부(22a)의 하부가 전방을 향하므로, 탑승자의 발판 스페이스의 확대에 기여한다. The main frame pipe 22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round steel pipe and includes a down frame portion 22a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rear face of the head pipe 12 made of a cylindrical steel material, And a lower frame portion 22b which extends rea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ame portion 22b. A gusset 22c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head pipe 12 and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down frame portion 22a. The downward middle portion of the down frame portion 22a is gently bent so as to be convex toward the rear side. As a result, the lower portion of the down frame portion 22a faces forward, contributing to an expansion of foot space of the occupant .

전후 크로스 파이프(23, 25)는, 예를 들면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차폭 방향(좌우 방향)을 따르는 직선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측 크로스 파이프(23)의 좌단부에는, 사이드 스탠드(29a)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사이드 스탠드 브래킷(23a)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후측 크로스 파이프(25)의 후부에는, 메인 스탠드(29b)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메인 스탠드 브래킷(25a)이 부착되어 있다. The front and rear cross pipes 23 and 25 are made of, for example, a round steel pipe and ar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A side stand bracket 23a,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side stand 29a, is attached to the left end of the front cross pipe 23. A pair of left and right main stand brackets 25a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main stand 29b are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rear cross pipe 25.

좌우 연장 프레임(24)은, 예를 들면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전후 방향을 따른 직선 형상을 가지고, 또한 서로 평행하고 또한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좌우 연장 프레임(24)의 상면에는, 이들의 차폭 방향 외측까지 연장되는 평판상의 지지 플레이트(24a)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 플레이트(24a) 상에는, 상기 배터리 유닛(6)이 재치되어 있다. The left and right extension frames 24 are made of, for example, rectangular steel pipes, and are formed so as to have a linear shap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and substantially horizont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extension frames 24, a flat support plate 24a extending to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attached. The battery unit 6 is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24a.

좌우 리어 프레임(26)은, 예를 들면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후측 크로스 파이프(25)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방 연장부(26a)와, 이 상방 연장부(26a)의 상단에서 만곡하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26b)를 일체로 가진다. 좌우 상방 연장부(26a)의 상하 방향 중간부 사이에는, 제1 크로스 파이프(26c)가 걸쳐져 설치되고, 좌우 리어 프레임(26)의 만곡부 사이에는, 제2 크로스 파이프(26d)가 걸쳐져 설치되어 있다. 좌우 상방 연장부(26a)의 하부 후측에는, 스윙 아암(18)의 전단부를 축지지하는 원통형상의 상기 피벗부(13)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좌우 후방 연장부(26b)의 후부 하측에는, 쿠션 유닛(21)의 상단부를 축지지하는 쿠션 브래킷(28)이 접합되어 있다.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are composed of, for example, a rectangular steel pipe and include an upwardly extending portion 26a extending upwardly and substantially vertically from the rear cross pipe 25, And a rearward extending portion 26b extending rearward. A first cross pipe 26c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upward extending portions 26a and a second cross pipe 26d is provided between the curved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 A cylindrical pivot portion 13 for support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wing arm 18 is joined to the lower rear side of the left and right upward extending portion 26a. A cushion bracket 28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cushion unit 21 is joined to the rear low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rear extension portions 26b.

좌우 플로어 프레임(27)은, 메인 프레임 파이프(22)의 하부 양측에서 바깥쪽 하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된 후에 바깥쪽 후방으로 비스듬히 만곡하여 연장되는 좌우 플로어 프레임 파이프(27a)와, 좌우 리어 프레임(26)의 상방 연장부(26a)의 상하 방향 중간부의 외측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이 좌우 플로어 프레임 파이프(27a)의 후단부의 내측에 접합된 좌우 플로어 연결 파이프(27b)와, 좌우 플로어 프레임 파이프(27a)의 전후 방향 중간부 사이에 걸쳐진 플로어 크로스 파이프(27c)를 가진다. 각 파이프(27a∼27c)는, 예를 들면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진다. 좌우 플로어 연결 파이프(27b)의 기단은, 상방 연장부(26a)의 외측에 접합되어 있다.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 27 includes left and right floor frame pipes 27a that extend obliquely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pipe 22 downward to the outside downwardly and extend obliquely outwardly rearward, A left and right floor connection pipe 27b extending outwardly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vertically middle portion of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26a and having its tip joined to the inside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 pipes 27a, And a floor cross pipe 27c extending between the front and rear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front wall 27a. Each of the pipes 27a to 27c is made of, for example, a round steel pipe. The base end of the left and right floor connecting pipe 27b is joined to the outside of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 26a.

좌우 플로어 프레임 파이프(27a)는, 서로 좌우 대칭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전체적으로 뒷쪽으로 올라가게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다. 좌우 플로어 프레임 파이프(27a)의 후부는, 그 전방 부위에 대하여 상방으로 변위하도록 측면에서 봐서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이 크랭크 형상의 굴곡 부분의 바로 전방 위치에, 좌우 방향을 따르는 직선상의 플로어 크로스 파이프(27c)가 배치되어 있다. 플로어 크로스 파이프(27c)의 좌우 중간부는, 좌우 플로어 지지 브래킷(27d)을 통하여 좌우 연장 프레임(24)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좌우 플로어 프레임(27)의 후단부(좌우 플로어 연결 파이프(27b))는, 측면에서 봐서 제1 크로스 파이프(26c)보다도 하방 또한 피벗부(13)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 pipes 27a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obliquely arranged so as to rise upward as a whole. The rear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 pipe 27a is curved in a crank shape from the side so as to be displaced upward relative to the front portion thereof. A straight cross-sectional floor pipe 27c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is disposed immediately in front of the curved bent portion. The right and left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floor cross pipe 27c ar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extending frames 24 through the left and right floor supporting brackets 27d. The rear end portions (left and right floor connecting pipes 27b) of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s 27 are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cross pipe 26c and above the pivot portion 13 as viewed from the side.

헤드 파이프(12)의 후방에는, 벌어진 공간(M)을 통하여 시트(3)가 배치되어 있다. 시트(3)는, 예를 들면 운전자용 및 후부 동승자용의 착석면을 전후로 일체로 가지고 또한, 차체 후단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시트(3)는, 그 하방에 위치하는 물품 수납 박스(39)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리드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3a는, 시트(3)의 전단부 하측을 물품 수납 박스(39)의 전단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을 나타낸다. On the rear side of the head pipe 12, a seat 3 is disposed through a gap M. The seat 3 has, for example, a seating surface for the driver and a rear passenger as an integral unit, and extends to the vicinity of the rear end of the vehicle body. The sheet 3 also functions as a lea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opening of the article storage box 39 located below the sheet 3. [ Reference numeral 3a in the figure denotes a pivot shaf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at 3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rticle storage box 39. [

차체 커버(5)는, 헤드 파이프(12) 및 다운 프레임부(22a)의 둘레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커버(31)와 ; 헤드 파이프(12) 및 다운 프레임부(22a)의 둘레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인너 커버(32)와 ; 로어 프레임부(22b) 및 좌우 플로어 프레임(27)의 둘레를 그 하방으로부터 좌우 외측에 걸쳐 덮는 언더 커버(33)와 ; 로어 프레임부(22b) 및 좌우 플로어 프레임(27)의 둘레를 상방으로부터 덮어 상기 스텝 플로어(4)를 형성하는 스텝 플로어 커버(34)와 ; 이 스텝 플로어 커버(34)의 후부로부터 시트(3)의 전부 하단을 향해 세워져 배터리 유닛(6) 및 그 상방의 물품 수납 박스(39)를 전방으로부터 덮는 리어 센터 커버(35)와 ; 이 리어 센터 커버(35)의 좌우 측부로부터 상측 후방으로 기울어져 연속하도록 연장되어 시트(3)의 후부 양측의 하방에서 좌우 리어 프레임(26)의 상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좌우 리어 사이드 커버(36)를 가진다. 이들 커버(31∼36)는, 각 합성 수지제이다.The vehicle body cover 5 includes a front cover 31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head pipe 12 and the down frame portion 22a from the front; A front inner cover 32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head pipe 12 and the down frame portion 22a from behind; An under cover 33 covering the peripheries of the lower frame portion 22b and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s 27 from below to the left and right outside; A step floor cover (34) covering the peripheries of the lower frame portion (22b) and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s (27) from above to form the step floor (4); A rear center cover 35 which is erected from the rear portion of the step floor cover 34 toward the front lower end of the seat 3 and covers the battery unit 6 and the article storage box 39 thereabove from the front; Left and right rear side covers 36 that are inclined rearwar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center cover 35 and extend continuously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from below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3 I have. These covers 31 to 36 are made of synthetic resin.

스텝 플로어 커버(34)는, 프론트 인너 커버(32)와 리어 센터 커버(35)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텝 플로어(4)(운전자용 앞 발판부)와 ; 그 후단 양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속하도록 연장되어 배터리 유닛(6)의 외측으로 뻗어나가는 후부 스텝 보드(후부 동승자용 뒷 발판부)(37)를 가진다. 스텝 플로어(4)는, 좌우 플로어 프레임(27)의 전부 및 메인 프레임 파이프(22)의 로어 프레임부(22b)에 의해 지지된다. 후부 스텝 보드(37)는, 좌우 플로어 프레임(27)의 후부에 의해 지지된다. The step floor cover 34 includes a step floor 4 (front pedestrian for driver) located between the front inner cover 32 and the rear center cover 35; And a rear step board 37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sides of the rear end so as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unit 6. [ The step floor 4 is supported by all of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s 27 and the lower frame portion 22b of the main frame pipe 22. The rear step board 37 is supported by the rear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s 27. [

도 3, 4,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배터리 유닛(6)은, 12V의 납 배터리(6a)를 차폭 방향을 따라 4개 나란히 이들을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48V의 고압 배터리(6A)를 구성하고, 또한 이 고압 배터리(6A)를 단일 배터리 케이스(9) 내에 수용한 것이다. As shown in Figs. 3, 4 and 7, the battery unit 6 constitutes a high-voltage battery 6A of 48V by connecting four 12V lead batteries 6a in series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the high-voltage battery 6A is housed in a single battery case 9. [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 납 배터리(6a)는, 평면에서 본 경우에 장방형을 이루는 직방체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방형의 1장변의 양단부 위치에 양극 단자(41a) 및 음극 단자(41b)를 가진다. 각 납 배터리(6a)는, 이들 양극 단자(41a) 및 음극 단자(41b)를 상방을 향함과 더불어 이들을 전후에 배치하고, 또한 상기 장방형의 장변들을 맞닿게 함으로써, 차폭 방향을 따라 늘어서 있다. 또한, 각 납 배터리(6a)의 양극 단자(41a) 및 음극 단자(41b)는, 인접하는 납 배터리(6a)들 사이에서 전후 위치가 서로 달라지도록, 각 납 배터리(6a)는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each lead battery 6a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hen seen in a plan view, and has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41a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41b at both end positions of the rectangle- I have. Each lead battery 6a is arranged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by directing thes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erminals 41a and 41b upward and rearward, and also by contacting the long sides of the rectangular shape. Each lead battery 6a is disposed such that the position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41a and 41b of the lead batteries 6a are different between the adjacent lead batteries 6a.

여기에서, 고압 배터리(6A)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납 배터리(6a)는, 평면에서 본 경우에 각 단자(41a, 41b)가 위치하는 장변들을 서로 인접시키도록 하여 늘어서고, 또한 이들 장변의 앞쪽에 위치하는 양극 단자(41a) 및 음극 단자(41b) 사이가 중간 케이블(42)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중간 케이블(42)은 서킷 브레이커(43)를 가지고, 이 서킷 브레이커(43)가 직방체형상을 이루는 배터리 케이스(9)의 상부 전면측의 좌우 중간부 위치에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다(도 5 참조). 이 서킷 브레이커(43)의 단속 조작에 의해, 고압 배터리(6A)의 중간 부분에서의 결선을 단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간 케이블(42)이 서킷 브레이커(43)을 대신하는 커넥터를 가지고, 또한 이 커넥터의 탈착에 의해 고압 배터리(6A)의 중간 부분에서의 결선을 단속 가능한 구성(도시하지 않음)으로 해도 된다. Here, a pair of lead batteries 6a located insid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ong sides where the terminals 41a and 41b are located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41a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41b located in front of these long si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mediate cable 42. [ The intermediate cable 42 has a circuit breaker 43. The circuit breaker 43 is disposed so as to be exposed at left and right intermediate positions on the upper front side of a battery case 9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ee FIG. 5) . By interrupting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43, it is possible to interrupt the connection at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Further, the intermediate cable 42 may have a connector replacing the circuit breaker 43, and a structure (not shown) capable of interrupting the connection at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by detachment of the connector .

배터리 케이스(9)는, 상방으로 개방하는 케이스 본체(9a) 및 그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케이스 커버(9b)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박스 형상에만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납 배터리(6a)를 체결 등에 의해 연결하여 유닛으로 할 수 있는 배터리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면 된다. 단, 상술과 같이 케이스 본체(9a) 및 케이스 커버(9b)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면, 납 배터리(6a)가 탈착하기 용이하고 또한 잘 더러워지지 않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배터리 케이스(9)를 외관 부품으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battery case 9 is composed of a case body 9a that opens upward and a case cover 9b that closes an upper opening of the case body 9. The battery case 9 is not limited to this box shape, And a battery connecting means that can be connected as a unit. It is to be noted that the case body 9a and the case cover 9b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lead battery 6a can be easily detached and not soil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as a part.

또한, 배터리 케이스(9)의 상부 전면측의 좌우 양측에는, 고압 배터리(6A)의 양극측 및 음극측에 대응하는 외부 배선용 외부 커넥터(44)가 배치되어 있다(도 5, 7 참조).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front side of the battery case 9, external connectors 44 for external wiring corresponding to the anode side and the cathode side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are arranged (see Figs. 5 and 7).

즉, 최외측에 위치하는 각 납 배터리(6a)의 앞쪽에 위치하는 양극 단자(41a) 및 음극 단자(41b)에는, 각각 출력 케이블(46)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출력 케이블(46)이 배터리 케이스(9)의 상부 전면측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배터리 케이스(9)의 외부로 도출되고, 이들 선단에 설치된 외부 커넥터(44)가, 배터리 케이스(9)의 상부 전면측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That is, the output cable 46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41a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41b located in front of the outermost lead batteries 6a, respectively. The output cables 46 are led out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front side of the battery case 9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9 and the external connectors 44 provided at the front ends of the output cables 46, And ar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front side.

도 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고압 배터리(6A)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납 배터리(6a)는, 이들을 평면에서 본 경우에, 각 단자(41a, 41b)가 있는 장변과는 반대측의 장변들을 인접시키도록 하여 늘어서고, 이들 납 배터리(6a)의 뒷쪽에 위치하는 양극 단자(41a) 및 음극 단자(41b) 사이가 좌우 연결 케이블(45)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각 연결 케이블(45)의 중간부에는 연결 커넥터(45a)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when a pair of lead batteries 6a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utside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are viewed in a plan view, the long sides of the lead batteries 6a opposite to the long sides where the terminals 41a,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s 41a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s 41b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lead batteries 6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left and right connecting cables 45. [ A connecting connector 45a is provided at the middle portion of each connecting cable 45. [

도 3, 4,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배터리 유닛(6)은, 그 전면 및 상면을 따르도록 측면에서 봐서 L자 형상을 이루는 배터리 유지 프레임(61)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4a) 상(좌우 연장 프레임(24) 상)에 재치된 상태로, 차체 프레임(11)에 고정,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 유닛(6)은, 좌우 리어 프레임(26)의 직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 배터리 유닛(6)은, 그 전후 좌우가 좌우 연장 프레임(24), 좌우 리어 프레임(26) 및 배터리 유지 프레임(61)으로 둘러싸이도록 유지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유닛(6)의 좌우 외측에는, 측면에서 봐서 뒷쪽으로 올라가도록 경사진 좌우 플로어 프레임(27)의 후부가 배치되어 있다. 3, 4, and 5, the battery unit 6 is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24a (refer to FIG. 3) by a battery holding frame 61 having an L- (On the right and left extension frames 24). The battery unit 6 is positioned immediately before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 The battery unit 6 is held so as to be surrounded by left and right extended frames 24,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and battery holding frames 61 in the front, Further, on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s of the battery unit 6, the rea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s 27 inclined upward from the side are arranged.

배터리 유지 프레임(61)은, 주로, 예를 들면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 전측 및 후부 상측이 플로어 크로스 파이프(27c) 및 제1 크로스 파이프(26c)에 각각 체결 고정되어 있다.The battery holding frame 61 is mainly composed of, for example, a round steel pipe, and the lower front side and the rear upper side thereof are fastened and fixed to the floor cross pipe 27c and the first cross pipe 26c, respectively.

배터리 유지 프레임(61)은, 플로어 크로스 파이프(27c)의 좌우 방향 중간부에 체결 고정되는 전측 체결 브래킷(61a)과 ; 이 전측 체결 브래킷(61a)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전측 프레임 파이프(61b)와 ; 이들 전측 프레임 파이프(61b)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함과 더불어 그 차폭 방향 외측까지 연장되는 상측 크로스 파이프(61c)와 ; 이 상측 크로스 파이프(61c)의 좌우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상측 프레임 파이프(61d)와 ; 이들 상측 프레임 파이프(61d)의 후단 사이를 연결함과 더불어 그 차폭 방향 외측까지 연장되는 상측 유지 플레이트(61e)와 ; 각 상측 프레임 파이프(61d)의 후단부 사이를 연결함과 더불어 제1 크로스 파이프(26c)의 좌우 중간부에 체결 고정되는 후측 체결 브래킷(61f)을 가진다. 상측 유지 플레이트(61e)는, 배터리 유닛(6)의 상면을 따르는 평판형상을 이루고, 그 전후 가장자리부는, 배터리 유닛(6)의 상면 전후의 각부를 따르도록 굴곡되어 있다. The battery retention frame 61 includes a front fastening bracket 61a fastened and fixed in the middl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of the floor cross pipe 27c;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side frame pipes 61b extending upward from the front side fastening bracket 61a; An upper cross pipe 61c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ront side frame pipes 61b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 pair of left and right upper frame pipes 61d extending rearward from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cross pipe 61c; An upper retention plate 61e which connects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upper frame pipes 61d and extends to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rear side fastening bracket 61f which connects between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upper side frame pipes 61d and is fastened to the right and left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first cross pipe 26c. The upper and lower holding plates 61e ar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unit 6 and the front and rear edge portions thereof are bent along the respectiv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unit 6.

좌우 한쌍의 상부 프레임 파이프(61d)의 전단부 상측에는, 배터리 유닛(6) 상에 배치된 물품 수납 박스(39)의 저부 전측을 체결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전측 박스 지지 브래킷(39a)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크로스 파이프(26d)의 상측에는, 물품 수납 박스(39)의 저부 후측을 체결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후측 박스 지지 브래킷(39b)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box supporting brackets 39a for fastening and supporting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of the article storage box 39 disposed on the battery unit 6 are fixed and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upper frame pipes 61d .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ross pipe 26d, a pair of right and left rear box supporting brackets 39b for fastening and supporting the rear side of the bottom of the article storage box 39 are fixed.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고압 배터리(6A)로부터의 48V의 직류 전류는, 제어 유닛(47A) 내의 PDU(47)(모터 드라이버)를 통하여 3상 교류 전류로 변환된 후에, 3상 교류 모터인 상기 구동 모터(8)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48V의 직류 전류는, DC―DC 컨버터(이하, 간단히 컨버터라고 한다)(48)를 통하여 12V로 강압된 후, 제어 유닛(47A) 내의 ECU(49)나 일반 전장 부품(51)에 공급된다. 또한, 도 6 중의 부호 C는, 자동 이륜차(1)와 일체 또는 별도체로 설치되는 충전기를 나타낸다.6, a DC current of 48 V from the high-voltage battery 6A is converted into a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through the PDU 47 (motor driver) in the control unit 47A, Is supplied to the drive motor (8). The DC current of 48 V is reduced to 12 V through a DC-DC converter (simply referred to as a converter hereinafter) 48 and then supplied to the ECU 49 and the general electric component 51 in the control unit 47A . 6 designates a charger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motorcycle 1 or separately.

고압 배터리(6A)와 PDU(47) 및 컨버터(48)의 음극측의 사이에는, 컨덕터(52)가 설치되어 있다. A conductor 52 is provided between the high-voltage battery 6A and the cathode side of the PDU 47 and the converter 48. [

컨덕터(52)는, 릴레이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이 릴레이 회로의 스위치(52a)의 한쪽의 단자에 고압 배터리(6A)의 음극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출력 케이블(46)이 접속됨과 더불어, 스위치(52a)의 다른쪽의 단자에 PDU(47) 및 컨버터(48)의 음극측에 이르는 제2 출력 케이블(46a) 및 제3 출력 케이블(46b)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릴레이 회로의 코일(52b)의 한쪽의 단자에는, 메인 스위치(53)를 통하여, 고압 배터리(6A) 중의 하나인 납 배터리(6a)의 양극측이 접속됨과 더불어, 코일(52b)의 다른쪽의 단자는 어스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스위치(53)가 ON으로 되어 코일(52b)에 상기 하나의 납 배터리(6a)로부터의 전류가 흐르면, 릴레이 회로의 스위치(52a)가 닫혀 고압 배터리(6A)로부터의 전류가 PDU(47) 및 컨버터(48)에 흐른다. 또한, 고압 배터리(6A)의 양극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출력 케이블도 부호 46으로 나타낸다. The conductor 52 is provided with a relay circuit. The output cable 46 extending from the negative electrode side of the high voltage battery 6A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switch 52a of the relay circuit and the PDU 47 and the converter 47 are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switch 52a. And the second output cable 46a and the third output cable 46b reaching the cathode side of the first output cable 48 are respectively connected. The anode side of the lead battery 6a which is one of the high-voltage batteries 6A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coil 52b of the relay circuit via the main switch 53, And the other terminal is grounded. When the main switch 53 is turned on and current flows from the one lead battery 6a to the coil 52b, the switch 52a of the relay circuit is closed so that the current from the high voltage battery 6A flows to the PDU 47 and the converter 48, respectively. An output cable extending from the anode side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is also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6. [

도 7을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제어 유닛(47A)은, 좌우 리어 프레임(26)의 상부간에 지지되어 있다. 제어 유닛(47A)의 후방에는, 마찬가지로 좌우 리어 프레임(26)의 상부간에 지지된 컨버터(48)가 배치되어 있다. 컨덕터(52)는, 예를 들면 배터리 유닛(6)의 직전에 서킷 브레이커(43)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 중의 부호 53a는, 메인 스위치(53), 상기 1개의 납 배터리(6a)의 양음극, 또한 컨덕터(52)를 접속하는 메인 스위치 하니스를 나타낸다. 또한, 부호 48a는, 제어 유닛(47A) 및 컨버터(48) 사이를 접속하는 유닛 연결 케이블을 나타낸다. 또한, 부호 8a는, 제어 유닛(47A)(PDU(47))으로부터 구동 모터(8)에 이르는 모터 케이블을 나타낸다. 또한, 고압 배터리(6A)의 양음극측의 출력 케이블(46)로부터 분기되어 제어 유닛(47A)(PDU(47)) 및 컨버터(48)에 각각 이르는 제2 및 제3 출력 케이블을, 부호 46a, 46b로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7 together, the control unit 47A is supporte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Fig. At the rear of the control unit 47A, a converter 48, which is similarly supported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is disposed. The conductor 5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ircuit breaker 43 immediately before the battery unit 6, for example. Reference numerals 53a in Figs. 6 and 7 denote main switch harnesses for connecting the main switch 53, positive cathodes of the one lead battery 6a, and also the conductors 52. Fig. Reference numeral 48a denotes a unit connecting cable for connecting between the control unit 47A and the converter 48. [ Reference numeral 8a denotes a motor cable extending from the control unit 47A (PDU 47) to the drive motor 8. [ The second and third output cables branched from the output cables 46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sides of the high voltage battery 6A and reaching the control unit 47A (PDU 47) and the converter 48, respectively, , And 46b.

고압 배터리(6A)의 양극 및 음극으로부터 연장되는 출력 케이블(46)은, 차체 폭방향 일측방에 모이고, 후방에 있는 PDU(47) 및 컨버터(48)까지 배치된다. An output cable 46 extending from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high voltage battery 6A is gather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to the rear PDU 47 and the converter 48.

도 3,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차체 프레임(11)의 좌우 연장 프레임(24)은, 시트(3)의 전단보다도 후방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고, 이들 좌우 연장 프레임(24) 상에 지지되는 배터리 유닛(6)은, 시트(3)의 하방 또한 그 전단보다도 후방에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유닛(6)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므로, 그 상면이 스텝 플로어(4) 및 후부 스텝 보드(37)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3 and 4, the left and right extension frames 24 of the vehicle body frame 11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a position rearward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3, The supported battery unit 6 is disposed only below the seat 3 and behind the front end thereof. Since the battery unit 6 has a predetermined height,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unit 6 is located above the step floor 4 and the rear step board 37.

또한, 배터리 유닛(6)의 전후 방향 치수는, 시트(3)의 전반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물품 수납 박스(39)의 전후 방향 치수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유닛(6)의 좌우 폭은, 시트(3)의 좌우폭보다도 크지만, 좌우 플로어 프레임(27)의 좌우 외측폭 내 또한 좌우 뒷발판부의 좌우 외측폭 내에 들어가고 또한 리어 센터 커버(35) 및 리어 사이드 커버(36)의 만곡 외면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The front-rear direction dimension of the battery unit 6 is set so as to fall within the front-back direction dimension of the article storage box 39 located below the front half of the seat 3. [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battery unit 6 are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eat 3 but also fall within the left and right outer widths of the left and right floor frames 27 and into the right and left outer widths of the left and right rear foot plates, And the curved outer surface of the rear side cover (36).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스쿠터형 전동 차량)는, 헤드 파이프(12)로부터 하측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부(22a) 및 이 다운 프레임부(22a)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프레임부(22b)를 가지는 차체 프레임(11)과 ; 상기 헤드 파이프(12)의 후방에서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3)와 ; 헤드 파이프(12)와 시트(3)의 사이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발을 놓는 스텝 플로어(4)와 ; 주행용의 구동 모터(8)에 전력을 공급하는 납 배터리(6a)를 구비한다. 그리고, 차체 프레임(11)은, 시트(3)의 전단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24)을 가지고, ; 납 배터리(6a)는, 차량 폭방향으로 복수 늘어서 고압 배터리(6A)를 구성하고 ; 고압 배터리(6A)를 연장 프레임(24)에 지지함과 더불어, 이 고압 배터리(6A)를 시트(3)의 하방 또한 시트(3)의 전단보다도 후방에만 배치하고 ; 스텝 플로어(4)를 고압 배터리(6A)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torcycle 1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down frame portion 22a extending downwardly rearward from the head pipe 12 and the down frame portion 22a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down frame portion 22a A body frame 11 having a lower frame portion 22b extending rearward; A seat (3) on the rear side of the head pipe (12) on which an occupant sits; A step floor (4) installed between the head pipe (12) and the seat (3) and on which a passenger puts his foot; And a lead battery 6a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motor 8 for driving. The vehicle body frame 11 has an extension frame 24 extending rearward beyond the front end of the seat 3; The lead batteries 6a are arranged in plural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constitute the high voltage battery 6A; The high-voltage battery 6A is supported on the elongated frame 24 and the high-voltage battery 6A is disposed only below the seat 3 an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seat 3; The step floor 4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이 구성에 의하면, 시트(3)의 하방이고 또한 시트(3)의 전단보다도 후방에만 고압 배터리(6A)를 배치하므로, 스텝 플로어(4)를 낮고 또한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인 복수의 납 배터리(6a)로 이루어지는 고압 배터리(6A)를 차체 중심 부근에 집중하여 배치함으로써, 타 부품의 레이아웃에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차체 중심에의 매스의 집중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납 배터리(6a)로 이루어지는 고압 배터리(6A)에 의해, 고압의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high-voltage battery 6A is disposed under the seat 3 and only behind the front end of the seat 3, the step floor 4 can be made low and wide. By arranging the high-voltage battery 6A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ad batteries 6a, which are heavy, concentratedly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the influence on the layout of other components can be reduced, . Further, the high-voltage battery 6A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ad batteries 6a can secure high-voltage driving power.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는, 복수의 납 배터리(6a)를 배터리 케이스(9) 내에 수용하고, 이 배터리 케이스(9)의 상방이고 또한 시트(3)의 하방에 물품 수납 박스(39)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납 배터리(6a)로 이루어지는 고압 배터리(6A)를 일체로 합칠 수 있고, 설치성 및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케이스(9) 상방의 공간을 물품 수납 스페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다. The motorcy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lead batteries 6a housed in a battery case 9 and disposed above the battery case 9 and below the seat 3, (39).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igh-voltage battery 6A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ad batteries 6a can be integrally joined, and the installation property and the maintenance property can be improved. Further, a space above the battery case 9 can be used as an article storage space.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에서는, 고압 배터리(6A)가, 물품 수납 박스(39)의 전후 방향 치수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압 배터리(6A)와 시트(3)의 사이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물품 수납 박스(39)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물품 수납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e motorcyc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gh-voltage battery 6A is disposed within the front-rear direction dimension of the article storage box 39.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article storage box 39 can be provided using the space between the high-voltage battery 6A and the seat 3, the article storage capacity can be secured.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에서는, 고압 배터리(6A)가, 평면에서 봐서 시트(3)의 차량 폭방향 외측까지 연장되고, ; 이 고압 배터리(6A)의 차량 폭방향 외측에, 후부 동승자가 발을 놓기 위한 후부 스텝 보드(37)가 상기 스텝 플로어(4)로부터 연속하도록 설치되고, ; 상기 차체 프레임(11)이, 고압 배터리(6A)의 차량 폭방향 외측까지 연장됨과 더불어 후부 스텝 보드(37)를 지지하는 플로어 프레임(27)을 가지는 ;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압 배터리(6A)의 외측방을 플로어 프레임(27)으로 덮을 수 있으므로, 고압 배터리(6A)가 외측방으로부터 받는 외력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motorcyc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gh-voltage battery 6A extends to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seat 3 as viewed in plan view; A rear step board 37 for placing a foot of a rear passenger is installed continuously from the step floor 4 on the outside of the high voltage battery 6A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vehicle body frame 11 has a floor frame 27 extending to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and supporting the rear step board 37;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outer frame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can be covered with the floor frame 27,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force received from the outer chamber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can be reduced.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에서는, 연장 프레임(24)이, 고압 배터리(6A)의 하방을 통과하여 후방까지 연장되고 ; 차체 프레임(11)이, 고압 배터리(6A)의 후방에서 연장 프레임(24)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좌우 한쌍의 리어 프레임(26)을 가지고 ; 차체 프레임(11)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윙 아암(18)이, 후단부에서 후륜(7)을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함과 더불어 내부에 구동 모터(8)를 수용하고 ; 스윙 아암(18)의 전단부가, 고압 배터리(6A)의 후방에서 리어 프레임(26)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motorcyc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ongated frame 24 passes under the high-voltage battery 6A and extends to the rear side; The vehicle body frame 11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which are erected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frame 24 at the rear of the high voltage battery 6A; The swing arm 18 constitut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11 rotatably supports the rear wheel 7 at the rear end portion and receives the drive motor 8 therein; The front end of the swing arm 18 is pivotably supported on the rear frame 26 at the rear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Configura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연장 프레임(24)이 고압 배터리(6A)의 하방을 통과하고 있으므로, 그라운드 히트에 의한 외력이 고압 배터리(6A)에 미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봐서 고압 배터리(6A)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스윙 아암(18)의 요동 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스윙 아암(18)의 요동축이 고압 배터리(6A)를 피해서 좌우로 관통 가능해지고, 피벗부(13) 둘레의 강성을 높임과 더불어 스윙 아암(18)의 설치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elongated frame 24 passes under the high-voltage battery 6A,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ground hit can be prevented from reaching the high-voltage battery 6A. By providing the swing support portion of the swing arm 18 at a position not overlapping with the high-voltage battery 6A from the side view, the swing arm of the swing arm 18 can be pierced right and left without the high-voltage battery 6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igidity around the portion 13 and secure the fitting property of the swing arm 18. [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에서는, 차체 프레임(11)이, 고압 배터리(6A)의 전방에서 연장 프레임(24)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고압 배터리(6A)의 상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배터리 유지 프레임(61)을 가지고 ; 이 배터리 유지 프레임(61)이, 고압 배터리(6A)의 전면 및 상면을 덮음과 더불어, 고압 배터리(6A) 상에 설치한 물품 수납 박스(39)를 지지하는 ;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In the motorcyc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body frame 11 extends upwardly from the extension frame 24 in front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extends rearwardly from above the high-voltage battery 6A, A battery retaining frame (61) for retaining the battery; The battery holding frame 61 covers the front and top surfaces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and supports the article storage box 39 provided on the high-voltage battery 6A; Configuration.

이 구성에 의하면, 고압 배터리(6A)의 하면 및 후면뿐만 아니라, 전면 및 상면도 프레임 부재로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유지 프레임(61)이 물품 수납 박스(39)의 지지 스테이를 겸함으로써,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not only the lower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but also the front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can be surrounded by the frame member. Further, since the battery holding frame 61 also serves as a support stay for the article storage box 39,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에서는, 납 배터리(6a)가, 차량 폭방향으로 4개 늘어서 설치되고, 또한 이들이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고압 배터리(6A)를 구성하고 ; 각 납 배터리(6a)가, 이들 양극 단자(41a) 및 음극 단자(41b)를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차량 폭방향에서 인접하는 것들에서 양극 단자(41a) 및 음극 단자(41b)의 전후 위치를 반전시키도록 배치되고 ; 각 납 배터리(6a)의 차량 폭방향 외측인 것의 양극 단자(41a) 및 음극 단자(41b)로부터 연장되는 출력 케이블(46)의 외부 커넥터(44)가, 각 납 배터리(6a)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9)의 일측면으로부터 배터리 케이스(9) 외로 노출됨과 더불어, 각 납 배터리(6a)의 차량 폭방향 내측에 있는 것들을 접속하는 중간 케이블(42)의 서킷 브레이커(43)가, 마찬가지로 배터리 케이스(9)의 일측면으로부터 배터리 케이스(9) 외로 노출되는 ;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Further, in the motorcyc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ad batteries 6a are arranged four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re connected in series to constitute the high-voltage battery 6A; Each lead battery 6a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41a and 41b and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41a and 41b Position to reverse the position; The external connector 44 of the output cable 46 extending from the positive terminal 41a and the negative terminal 41b of the lead battery 6a outside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connected to a battery The circuit breaker 43 of the intermediate cable 42 that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case 6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f the lead battery 6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9 from one side of the case 9, (9) from the one side of the battery case (9); Configuration.

이 구성에서는, 차량 폭방향 외측에 있는 납 배터리(6a)의 양극 단자(41a) 및 음극 단자(41b)로부터 연장되는 출력 케이블(46)의 외부 커넥터(44)를 배터리 케이스(9)의 일측면에 배치함과 더불어, 차량 폭방향 내측에 있는 한쌍의 납 배터리(6a) 사이를 접속하는 중간 케이블(42)의 서킷 브레이커(43)도 각 외부 커넥터(44)와 동일한 일측면에 배치하고 있다. 그 결과, 고압 배터리(6A)를 떼어낼 때에, 서킷 브레이커(43)를 절단하여 전압을 반으로 한 후에, 양측의 외부 커넥터(44)를 떼어낸다는 작업을 동일 방향부터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external connector 44 of the output cable 46 extending from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41a and negative electrode terminal 41b of the lead battery 6a on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case 9 And the circuit breaker 43 of the intermediate cable 42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lead batteries 6a on the inn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disposed on the same side as the respective external connectors 44. [ As a result, when disconnecting the high-voltage battery 6A,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circuit breaker 43 to halve the voltage, and then to remove the external connectors 44 on both sides from the same direction, Can be improved.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에,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and 8B.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01)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좌우 연장 프레임(24)의 하방 가장자리측에 피벗부(13)를 설치하고, 이 피벗부(13)에서 후륜 현가 시스템을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점이 특히 다르다. 그 외,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motorcycle 10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pivot portion 13 is provided on the lower edge side of the left and right extension frames 24, The system is supported in a vertically movable manne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 형태의 상기 후륜 현가 시스템의 일부를 이루는 스윙 아암(118)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스윙 유닛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좌우 아암, 피벗 파이프 및 크로스 멤버를 가지는 주지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01)는, 후륜(7)의 내주측에 인 휠 모터로서의 구동 모터(108)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윙 아암(118)의 요동 시에 있어서의 스윙 아암(118)과 연장 프레임(24)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좌우 연장 프레임(24)이 조금 후방으로 올라가도록 경사져도, 상기 클리어런스를 확보하기 쉽게 하고 있다.The swing arm 118 constituting a part of the rear suspension system of this embodiment does not constitute a swing unit as in the first embodiment but employs a well-known structure having left and right arms, a pivot pipe and a cross member have. In the motorcycle 101 of the present embodiment, a drive motor 108 as an in-wheel motor is disposed on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rear wheel 7. This makes it easy to ensure clearance between the swing arm 118 and the extension frame 24 when the swing arm 118 swings. Further, even if the left and right extension frames 24 are inclined slightly upward, the clearance can be easily ensured.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좌우 연장 프레임(24)은, 그 후단부가 상방으로 만곡하여 좌우 리어 프레임(26)의 상방 연장부(26a)에 일체로 연속되어 있다. 즉, 좌우 연장 프레임(24)과 좌우 리어 프레임(26)은, 일체의 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진다.The left and right extended frames 24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tegrally continuous with the upwardly extending portions 26a of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with their rear ends bent upward. That is, the left and right extended frames 24 and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are formed by integral rectangular steel pipes.

그리고, 좌우 연장 프레임(24) 상에는 배터리 유닛(6)이 탑재된다. 배터리 유닛(6)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3)의 하방 또한 시트(3)의 전단보다도 후방에만 배치되고, 또한 이 배터리 유닛(6)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스텝 플로어(4)가 설치되어 있다. The battery unit 6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extension frames 24. The battery unit 6 is disposed only below the seat 3 an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seat 3 an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battery unit 6 as in the first embodiment, 4) are installed.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01)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와 마찬가지로, 시트(3)의 하방 또한 시트(3)의 전단보다도 후방에만 고압 배터리(6A)를 배치함으로써, 스텝 플로어(4)를 낮고 또한 넓게 할 수 있어, 타 부품의 레이아웃에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차체 중심에의 매스의 집중을 도모할 수 있어, 고압의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otorcycle 10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motorcycle 1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3 and also behind the front end of the seat 3, The step floor 4 can be made lower and wider so that the influence on the layout of the other components can be reduced and the mass concentration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can be achieved and the high- .

또한, 자동 이륜차(101)는, 그 차체 프레임(11)이, 후단부에서 후륜(7)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더불어 전단부가 고압 배터리(6A)의 하방에서 연장 프레임(24)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118)을 가진다. 그 결과, 고압 배터리(6A)의 하방에 스윙 아암(118)의 요동축이 위치하게 되어, 스윙 아암(118)의 길이를 확보하여 쿠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motorcycle 10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ehicle body frame 11 rotatably supports the rear wheel 7 at the rear end portion and the front end portion is capable of swing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high voltage battery 6A to the extending frame 24 And a swing arm 118 supported by the swing arm 118. As a result, the swinging arm 118 of the swing arm 118 is positioned below the high-voltage battery 6A, thereby securing the length of the swing arm 118 and improving the cushioning performance.

[제3 실시 형태] [Third embodiment]

다음에,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201)는, 상기 제1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좌우 리어 프레임(26)이 상측일수록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상방 연장부(26a)를 가지고 ; 이 상방 좌우 연장부를 따르도록 배터리 유닛(6)을 경사지게 배치한 ; 점이 주로 상이하고, 그 외의,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motorcycle 20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upwardly extending portion 26a that is inclin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are located rearward as the upper side thereof; And the battery unit 6 is disposed obliquely so as to follow the upper left and right extension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즉,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유닛(6)은, 그 전단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린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 배터리 유닛(6)은, 그 전방을 덮는 리어 센터 커버(35)의 전면을 따르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스윙 유닛으로서 스윙 아암(18)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 대신,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지의 스윙 아암(118) 및 인 휠 타입의 구동 모터(8)의 조합으로 해도 된다. That is, the battery unit 6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rranged in an inclined posture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is lifted upward. In other words, the battery unit 6 is inclined to follow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enter cover 35 covering the front side thereof. 9, a swing arm 18 is used as the swing unit. In place of the swing arm 18, a combination of a known swing arm 118 and an in-wheel type drive motor 8 .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201)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와 마찬가지로, 시트(3)의 하방 또한 시트(3)의 전단보다도 후방에만 고압 배터리(6A)를 배치함으로써, 스텝 플로어(4)를 낮고 또한 넓게 할 수 있고, 타 부품의 레이아웃에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차체 중심에의 매스의 집중을 도모할 수 있어, 고압의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otorcycle 20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motorcycle 1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3 and also behind the front end of the seat 3, 6A), the step floor 4 can be made lower and wider, the influence on the layout of other parts can be reduced, the mass concentration can be achieved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

또한, 자동 이륜차(201)는, 시트(3)의 하방의 주위를 덮는 리어 센터 커버(35)를 구비하고 ; 연장 프레임(24)이, 고압 배터리(6A)의 하방을 통과하여 후방까지 연장되고 ; 차체 프레임(11)이, 고압 배터리(6A)의 후방에서 연장 프레임(24)의 후단부로부터 측면에서 봐서 후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리어 프레임(26)을 가지고 ; 리어 센터 커버(35)의 전면이, 측면에서 봐서 후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 고압 배터리(6A)가, 측면에서 봐서 리어 센터 커버(35)의 전면 및 리어 프레임(26)을 따르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The motorcycle 201 further includes a rear center cover 35 covering a periphery below the seat 3; The extension frame 24 passes under the high voltage battery 6A and extends to the rear side; The vehicle body frame 11 has a rear frame 26 that is inclined rearward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frame 24 at the rear of the high voltage battery 6A as seen from the 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enter cover 35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rear side as viewed from the side; The high-voltage battery 6A is disposed obliquely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enter cover 35 and the rear frame 26 as viewed from the side; Configuration.

이 구성에 의하면, 리어 센터 커버(35)의 전면 및 리어 프레임(26)을 따라 고압 배터리(6A)를 경사시킴으로써, 고압 배터리(6A)의 주위에 데드 스페이스가 생기기 어려운 레이아웃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laying the high-voltage battery 6A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enter cover 35 and the rear frame 26, it is possible to obtain a layout in which dead space is unlikely to occur around the high-voltage battery 6A.

[제4 실시 형태] [Fourth Embodiment]

다음에,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301)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차체 프레임(11)에 있어서의 시트(3)의 전단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24)을 스윙 아암(218)의 전부(前部)로 구성하는 점이 특히 상이하고, 그 외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motorcycle 30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extension frame 24 extending rearward beyond the front end of the seat 3 in the body frame 11 is connected to the swing arm 218 And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즉,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유닛(6)은, 스윙 아암(218)의 좌우 아암의 전부 상(좌우 연장 프레임(24) 상)에 재치되고, 스윙 아암(218)과 함께 상하 요동 가능하다.That is, the battery unit 6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arms of the swing arm 218 (on the left and right extending frames 24) and swu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wing arm 218.

스윙 아암(218)은, 예를 들면 좌측 아암의 후부를 제외하고,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스윙 아암(108)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좌측 아암의 후부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스윙 유닛으로서의 스윙 아암(18)의 좌측 아암과 마찬가지로, 그 후단부에 주행용의 구동 모터(8) 및 기어 기구(19)를 내장함과 더불어, 예를 들면 후부 상측에 상기 PDU(47) 및 컨버터(48)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이 구성의 대신에,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주지의 스윙 아암(118) 및 인휠 타입의 구동 모터(108)의 조합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113은, 스윙 아암(218)의 전단부를 축지지하는 피벗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The swing arm 218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wing arm 108 of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for, for example, the rear portion of the left arm. The rear portion of the left arm includes a drive motor 8 and a gear mechanism 19 for driving at the rear end thereof as in the left arm of the swing arm 18 as the swing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the PDU 47 and the converter 48 are built in the rear upper portion. Instead of this structure, a combination of a well-known swing arm 118 and an in-wheel type drive motor 108 may be employed as in the second embodiment. Reference numeral 113 in the figure denotes a pivot plate for pivotally support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wing arm 218. [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301)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와 마찬가지로, 시트(3)의 하방 또한 시트(3)의 전단보다도 후방에만 고압 배터리(6A)를 배치함으로써, 스텝 플로어(4)를 낮고 또한 넓게 할 수 있고, 타 부품의 레이아웃에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으며, 차체 중심에의 매스의 집중을 도모할 수 있어, 고압의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otorcycle 30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motorcycle 1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3 an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seat 3, 6A, the step floor 4 can be made low and wide, the influence on the layout of the other components can be reduced, the mass concentration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can be achieved, and the high- .

또한, 이 자동 이륜차(301)에서는, 그 연장 프레임(24)이, 후단부에서 후륜(7)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더불어 전단부가 상기 로어 프레임부(22b)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218)으로 구성되고 ; 스윙 아암(218)의 좌우 아암 사이이고 또한 이들 좌우 아암 상에 고압 배터리(6A)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 또한 구동 모터(8) 및 그 드라이버(PDU(47))가 스윙 아암(218) 내에 배치되는 ;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In the motorcycle 301, the extension frame 24 includes a swing arm (not shown) which rotatably supports the rear wheel 7 at a rear end portion thereof, and a front end portion thereof is swingably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portion 22b. (218); Between the left and right arms of the swing arm 218 and on these left and right arms at least a part of the high-voltage battery 6A is arranged; The drive motor 8 and its driver (PDU 47) are disposed within the swing arm 218; Configuration.

이 구성에 의하면, 고압 배터리(6A), 구동 모터(8) 및 PDU(47)를 합쳐서 스윙 아암(218)에 설치함으로써, 이들의 사이의 배선 로스를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arranging the high-voltage battery 6A, the drive motor 8, and the PDU 47 together on the swing arm 218, the wiring loss therebetween can be minimized.

[제5 실시 형태][Fifth Embodiment]

다음에,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fifth embodiment of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401)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배터리 유닛(6)의 각 납 배터리(6a)의 배열 방향이 전후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고 ; 이 배터리 유닛(6)이 스윙 아암(218)의 전부(前部)로 이루어지는 연장 프레임(24) 상에 배치되어 있는 ; 점이 특히 상이하다. 이하,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The motorcycle 40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rranged such that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ead batteries 6a of the battery unit 6 is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attery unit 6 is disposed on an extension frame 24 which is a front portion of the swing arm 218; Points are especially different. Hereinafte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즉,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유닛(6)은, 그 좌우폭이 억제되고, 이 배터리 유닛(6)의 외측방을 통과하도록 좌우 리어 프레임(26)이 배치되어 있다. 좌우 리어 프레임(26)은, 전측 크로스 파이프(23)의 좌우 측부 후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볼록해지도록 연장된 후에 상방으로 변위하도록 굴곡되어 연장된다. 즉, 스윙 아암(218)은 상기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인데, 그 대신에,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주지의 스윙 아암(118) 및 인휠 타입의 구동 모터(108)의 조합을 채용해도 된다. That is,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are dispos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battery unit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suppressed and pass through the outer room of the battery unit 6. The left and right rear frames 26 are extended to be convex downward from the rea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front cross pipe 23, and then bent and extended to be displaced upward. That is, the swing arm 218 is the same as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and instead of the combination of the known swing arm 118 and the in-wheel type drive motor 108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o.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401)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자동 이륜차(1)와 마찬가지로, 시트(3)의 하방 또한 시트(3)의 전단보다도 후방에만 고압 배터리(6A)를 배치함으로써, 스텝 플로어(4)를 낮고 또한 넓게 할 수 있고, 타부품의 레이아웃에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으며, 차체 중심에의 매스의 집중을 도모할 수 있어, 고압의 구동 전력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otorcycle 40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motorcycle 1 of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3 an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seat 3 are covered with the high- 6A, the step floor 4 can be made low and wide, the influence on the layout of the other components can be reduced, the mass concentration at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can be achieved, and the high- .

또한, 연장 프레임(24)이 스윙 아암(218)으로 구성되고 ; 스윙 아암(218)의 좌우 아암 사이이고 또한 이들 좌우 아암 상에 고압 배터리(6A)가 배치되고 ;구동 모터(8) 및 PDU(47)이 스윙 아암(218) 내에 배치됨으로써, 고압 배터리(6A), 구동 모터(8) 및 PDU(47) 사이의 배선 로스를 최대한 작게 할 수 있다. Further, the extended frame 24 is constituted by the swing arm 218; The high voltage battery 6A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arms of the swing arm 218 and also on the left and right arms thereof and the drive motor 8 and the PDU 47 are disposed in the swing arm 218, The drive motor 8, and the PDU 47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자동 이륜차에 한정되지 않고, 3륜 또는 4륜의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otorcycle, but may be applied to a three-wheeled or four-wheeled vehicle. Needless to say,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Lt; Industrial Availability >

본 발명의 스쿠터형 전동 차량에 의하면, 시트의 하방에서 고압 배터리를 차체 폭방향을 따라 세로로 늘어서도록 배치함으로써, 시트의 전단보다도 후방에 고압 배터리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텝 플로어를 낮고 또한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인, 복수의 구동용 납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고압 배터리를 차체 중심 부근에 집중시켜 배치함으로써, 타부품의 레이아웃에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차체 중심에 매스(질량)를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동용 납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고압 배터리를 채용함으로써, 고압의 구동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th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voltage battery can be disposed rearwardly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by disposing the high-voltage batter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elow the seat. Thus, the step floor can be made low and wide. Further, by arranging the high-voltage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driving lead acid batteries, which are heavy,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vehicle body, it is possible to reduce influence on the layout of other components and to concentrate the mass have. In addition, by employing a high-voltage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lead acid batteries for driving, high-voltage driving power can be ensured.

1, 101, 201, 301, 401 : 자동 이륜차(스쿠터형 전동 차량)
3 : 시트 4 : 스텝 플로어
6a : 납 배터리(구동용 납 축전지) 6A : 고압 배터리
7 : 후륜 8, 108 : 구동 모터
9 : 배터리 케이스(전지 케이스) 11 : 차체 프레임
12 : 헤드 파이프 18, 118, 218 : 스윙 아암
22a : 다운 프레임부 22b : 로어 프레임부
24 : 연장 프레임 26 : 리어 프레임
27 : 플로어 프레임(스텝 프레임) 35 : 리어 센터 커버(시트 커버)
37 : 후부 스텝 보드(동승자용 스텝) 39 : 물품 수납 박스
41a : 양극 단자 41b : 음극 단자
42 : 중간 케이블(케이블) 43 : 서킷 브레이커(중간 커넥터)
44 : 외부 커넥터 46 : 출력 케이블(케이블)
47 : PDU(드라이버)
61 : 배터리 지지 프레임(서브 프레임)
1, 101, 201, 301, 401: Motorcycle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3: Sheet 4: Step floor
6a: lead battery (drive lead accumulator) 6A: high voltage battery
7: rear wheel 8, 108: drive motor
9: battery case (battery case) 11: body frame
12: head pipe 18, 118, 218: swing arm
22a: down frame part 22b: lower frame part
24: Extension frame 26: Rear frame
27: Floor frame (step frame) 35: Rear center cover (seat cover)
37: rear step board (passenger step) 39: article storage box
41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41b: negative electrode terminal
42: Intermediate cable (cable) 43: Circuit breaker (middle connector)
44: External connector 46: Output cable (cable)
47: PDU (driver)
61: Battery supporting frame (sub frame)

Claims (10)

헤드 파이프로부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하측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부 및 상기 다운 프레임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로어 프레임부를 가지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헤드 파이프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와 ;
상기 헤드 파이프와 상기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자가 발을 놓는 스텝 플로어와 ;
주행용의 구동 모터와 ;
상기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용 납 축전지를 구비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시트의 전단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을 가지고 ;
상기 구동용 납 축전지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복수 늘어서 고압 배터리를 구성하고 ;
상기 고압 배터리가, 상기 연장 프레임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의 하방 또한 상기 시트의 상기 전단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에만 배치되고 ;
상기 스텝 플로어가,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압 배터리가, 이를 평면에서 본 경우에 상기 시트의 상기 차량 폭방향을 따른 외측까지 연장되고 ;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외측에, 후부 동승자가 발을 놓기 위한 동승자용 스텝이 상기 스텝 플로어로부터 연속하도록 설치되고 ;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폭방향을 따른 외측까지 연장됨과 더불어, 상기 동승자용 스텝을 지지하는 스텝 프레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
A vehicle body frame having a down frame portion extending from a head pipe toward a lower rear side along a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wer frame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down frame portion toward a rear side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 seat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head pi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to seat the occupant;
A step floor installed between the head pipe and the seat to allow the occupant to put his foot;
A driving motor for driving;
And a driving lead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driving motor,
The body frame has an elongated frame extending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head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The driving lead acid accumulators are arranged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constitute a high-voltage battery;
The high-voltage battery is disposed on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an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seat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o being supported by the extended frame;
The step floor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voltage battery,
Wherein the high-voltage battery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seat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hen viewed in plan view;
A passenger step for setting a foot of a rear passenger is provided continuously from the step floor on the outside of the high-voltage battery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vehicle body frame has a step frame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high-voltage battery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passenger step.
헤드 파이프로부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하측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부 및 상기 다운 프레임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로어 프레임부를 가지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헤드 파이프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와 ;
상기 헤드 파이프와 상기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자가 발을 놓는 스텝 플로어와 ;
주행용의 구동 모터와 ;
상기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용 납 축전지를 구비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시트의 전단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을 가지고 ;
상기 구동용 납 축전지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복수 늘어서 고압 배터리를 구성하고 ;
상기 고압 배터리가, 상기 연장 프레임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의 하방 또한 상기 시트의 상기 전단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에만 배치되고 ;
상기 스텝 플로어가,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구동용 납 축전지가, 상기 차량 폭방향을 따라 4개 늘어서 설치되고, 또한 서로 직렬로 결선되며 ;
상기 각 구동용 납 축전지가, 이들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또한, 상기 차량 폭방향에서 인접하는 것들이,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를 반전시키도록 배치되고 ;
상기 각 구동용 납 축전지 중의 상기 차량 폭방향의 외측에 있는 것의 상기 양극 단자 및 상기 음극 단자로부터 연장되는 제1의 케이블의 외부 커넥터가, 상기 각 구동용 납 축전지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그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각 구동용 납 축전지의 상기 차량 폭방향의 내측에 있는 것들을 접속하는 제2의 케이블의 중간 커넥터가, 마찬가지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그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
A vehicle body frame having a down frame portion extending from a head pipe toward a lower rear side along a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wer frame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down frame portion toward a rear side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 seat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head pi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to seat the occupant;
A step floor installed between the head pipe and the seat to allow the occupant to put his foot;
A driving motor for driving;
And a driving lead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driving motor,
The body frame has an elongated frame extending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head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The driving lead acid accumulators are arranged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constitute a high-voltage battery;
The high-voltage battery is disposed on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an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seat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o being supported by the extended frame;
The step floor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voltage battery,
Wherein each of the driving lead acid batteries is arranged in four lines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is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Wherein each of the driving lead acid batterie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thereof are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reverse the positions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
And the external connector of the first cable extending from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driving lead acid batteries outside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battery case The intermediate connector of the second cable for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driving lead acid batteries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one side of the battery case Wherein the electric motor is a motor.
헤드 파이프로부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하측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부 및 상기 다운 프레임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로어 프레임부를 가지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헤드 파이프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착석하는 시트와 ;
상기 헤드 파이프와 상기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자가 발을 놓는 스텝 플로어와 ;
주행용의 구동 모터와 ;
상기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용 납 축전지를 구비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시트의 전단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을 가지고 ;
상기 구동용 납 축전지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복수 늘어서 고압 배터리를 구성하고 ;
상기 고압 배터리가, 상기 연장 프레임에 의해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시트의 하방 또한 상기 시트의 상기 전단보다도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에만 배치되고 ;
상기 스텝 플로어가,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장 프레임이, 그 후단부에서 후륜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더불어 그 전단부가 상기 로어 프레임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으로 구성되고 ;
상기 스윙 아암의 좌측 아암 및 우측 아암 사이이고 또한, 이들 좌측 아암 및 우측 아암 상에, 상기 고압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
또한, 상기 구동 모터 및 그 드라이버가 상기 스윙 아암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
A vehicle body frame having a down frame portion extending from a head pipe toward a lower rear side along a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ower frame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down frame portion toward a rear side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 seat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head pi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to seat the occupant;
A step floor installed between the head pipe and the seat to allow the occupant to put his foot;
A driving motor for driving;
And a driving lead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driving motor,
The body frame has an elongated frame extending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head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The driving lead acid accumulators are arranged along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constitute a high-voltage battery;
The high-voltage battery is disposed on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and behind the front end of the seat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o being supported by the extended frame;
The step floor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voltage battery,
Wherein the extension frame comprises a swing arm having a rear end pivotally supporting a rear wheel at an end thereof and having a front end thereof pivotally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high-voltage battery is disposed on the left arm and the right arm between the left arm and the right arm of the swing arm;
Further, the motor and the driver thereof are disposed in the swing arm.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배터리를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와 ;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방이고 또한 상기 시트의 하방의 위치에 설치된 물품 수납 박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battery case for accommodating the high-voltage battery;
Further comprising an article storage box provided above the battery case and below the sea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압 배터리가, 상기 물품 수납 박스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전후 방향 치수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igh-voltage battery is disposed with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ticle storage box.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하방을 통과하여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후방까지 연장되고 ;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후방에서 상기 연장 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좌우 한쌍의 리어 프레임을 가지고 ;
상기 차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윙 아암이, 그 후단부에서 후륜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더불어 그 내부에 상기 구동 모터를 수용하고, 또한 이 스윙 아암의 전단부가,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리어 프레임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xtension frame extends under the high-voltage battery to the rear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The vehicle body frame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frames that are erected upward from a rear end of the elongated frame at a rear side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gh-voltage battery;
Wherein the swing arm constituting a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rotatably supports the rear wheel at the rear end thereof and accommodates the driving motor therein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wing arm extends forward and rearward of the high- Wherein the rear frame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rear frame at a rear position along a direction of the vehicl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전방에서 상기 연장 프레임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됨과 더불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방에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의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서브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전면 및 상면을 덮음과 더불어, 상기 고압 배터리 상에 설치된 물품 수납 박스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전동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vehicle body frame has a subframe extending upward from the extension frame in front of the high-voltage battery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rearward of the high-voltage battery in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subframe covers the front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igh-voltage battery, and supports the article storage box provided on the high-voltage batter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후단부에서 후륜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함과 더불어 전단부가 상기 고압 배터리의 하방에서 상기 연장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vehicle body frame has a swing arm in which a rear wheel is rotatably supported at a rear end portion thereof and a front end portion is swingably supported by the extension frame below the high-voltage batter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하방의 주위를 덮는 시트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장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하방을 통과하여 또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후방까지 연장되고 ;
상기 차체 프레임이, 상기 고압 배터리의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후방에서 상기 연장 프레임의 후단부로부터, 측면에서 봐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는 후측 상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리어 프레임을 가지고 ;
상기 시트 커버의 전면이, 측면에서 봐서 상기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는 후측 상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
상기 고압 배터리가, 측면에서 봐서 상기 시트 커버의 전면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을 따르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전동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seat cover that covers a lower periphery of the seat;
Wherein the elongate frame extends under the high-voltage battery and extends to the rear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vehicle body frame has a rear frame which is inclined from a rear end of the extension frame in a rear direction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gh-voltage battery toward a rear upper side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s viewed from a side;
The front surface of the seat cover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side along the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s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voltage battery is disposed so as to be inclined so as to follow the front face of the seat cover and the rear frame as viewed from the side.
삭제delete
KR1020127021596A 2010-02-18 2010-02-18 Motor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Expired - Fee Related KR10148236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01063 WO2011101908A1 (en) 2010-02-18 2010-02-18 Motor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517A KR20120107517A (en) 2012-10-02
KR101482367B1 true KR101482367B1 (en) 2015-01-13

Family

ID=4448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5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2367B1 (en) 2010-02-18 2010-02-18 Motor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396532B2 (en)
KR (1) KR101482367B1 (en)
CN (1) CN102753424B (en)
BR (1) BR112012020513B1 (en)
TW (1) TWI423893B (en)
WO (1) WO201110190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8124B2 (en) * 2011-08-29 2015-06-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Electric motorcycle
WO2013061387A1 (en) 2011-10-28 2013-05-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Saddle-type electric vehicle
KR101645832B1 (en) * 2011-11-25 2016-08-0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Electric scooter
AU2012367781A1 (en) * 2011-12-27 2014-07-17 Tvs Motor Company Limited Vehicle
JP5600668B2 (en) * 2011-12-28 2014-10-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Body structure of saddle riding type electric vehicle
JP5879173B2 (en) * 2012-03-29 2016-03-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Electric saddle riding type vehicle
JP2013209040A (en) * 2012-03-30 2013-10-10 Honda Motor Co Ltd Electric low floor type vehicle
US8789840B2 (en) * 2012-09-19 2014-07-29 Richard Priest Folding bicycle and method of use
EP2937270B1 (en) 2012-12-18 2018-08-2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Vehicle
US9296420B2 (en) 2012-12-18 2016-03-29 Yamaha Hutsudoki Kabushiki Kaisha Vehicle
CN105764784B (en) * 2013-11-29 2018-08-2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The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of saddle-ride type vehicle
KR101458818B1 (en) * 2014-03-13 2014-11-07 이태영 Electrically driven two-wheeled vehicle
JP6344136B2 (en) * 2014-08-18 2018-06-20 スズキ株式会社 Electric equipment storage structure of scooter type motorcycle
JP2016182930A (en) * 2015-03-27 2016-10-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Wiring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NL2018466B1 (en) 2016-09-22 2018-03-29 Bolt Mobility B V Scooter
WO2018056819A2 (en) * 2016-09-22 2018-03-29 Bolt Mobility B.V. Scooter
WO2019064475A1 (en) * 2017-09-29 2019-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Saddle riding-type electric vehicle
TWI653180B (en) * 2018-01-31 2019-03-11 光陽工業股份有限公司 Battery box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CN111989260B (en) * 2018-04-17 2021-07-13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Saddle-ride type electric vehicle
US11753101B2 (en) 2018-04-27 2023-09-12 FUELL Inc. Electric saddle type vehicle with storage areas
US11654996B2 (en) 2018-04-27 2023-05-23 FUELL Inc. Electric saddle type vehicle
US11299229B2 (en) 2018-04-27 2022-04-12 FUELL Inc. Electric saddle type vehicle chassis
ES2947768T3 (en) * 2018-12-13 2023-08-18 Bajaj Auto Ltd Chassis for an electric vehicle
JP6970148B2 (en) * 2019-09-17 2021-1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Scooter type electric motorcycle
JP7347167B2 (en) * 2019-11-29 2023-09-20 スズキ株式会社 saddle type vehicle
JP7354800B2 (en) * 2019-11-29 2023-10-03 スズキ株式会社 Straddle type electric vehicle
JP7063929B2 (en) * 2020-03-13 2022-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Saddle-type electric vehicle
WO2022208523A1 (en) * 2021-03-31 2022-10-06 Tvs Motor Company Limited Housing unit
JP2025059439A (en) * 2023-09-29 2025-04-10 スズキ株式会社 Saddle-type vehicle
JP2025059438A (en) * 2023-09-29 2025-04-10 スズキ株式会社 Saddle-riding type vehicle
TWI878195B (en) * 2024-10-04 2025-03-21 伍舜有限公司 Motorized fr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8983A (en) * 1991-06-05 1992-12-11 Yamaha Motor Co Ltd Setup structure of electrical parts for electric-motor two wheeler
JPH05139365A (en) * 1991-11-21 1993-06-08 Suzuki Motor Corp Motor-driven type scooter
JP2007204008A (en) * 2006-02-06 2007-08-16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Front and rear wheel electric-driven two-wheel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9359A (en) * 1993-01-29 1994-08-09 Suzuki Motor Corp Car body frame structure of electric scooter
ES2397350T3 (en) * 1999-11-19 2013-03-0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otating permanent magnet electric motor
JP3737336B2 (en) * 2000-03-30 2006-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Scooter type fuel tank mounting structure
JP2001354179A (en) * 2000-06-14 2001-12-25 Honda Motor Co Ltd Motorcycle with fuel cell
US7255191B2 (en) * 2003-10-31 2007-08-14 Vectrix Corporation Composite construction vehicle frame
JP2006056354A (en) * 2004-08-19 2006-03-02 Honda Motor Co Ltd High voltage wiring prot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s
JP2007015422A (en) * 2005-07-05 2007-01-25 Yamaha Motor Co Ltd Battery-assisted bicycle
TW200804120A (en) * 2006-07-07 2008-01-16 Sanyang Industry Co Ltd Battery configuration structure for electric motorcycle
JP5052922B2 (en) * 2007-03-12 2012-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Motorcycle
US7735590B2 (en) * 2007-03-30 2010-06-15 Honda Motor Co., Ltd. Saddle ride, fuel cell powered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8983A (en) * 1991-06-05 1992-12-11 Yamaha Motor Co Ltd Setup structure of electrical parts for electric-motor two wheeler
JPH05139365A (en) * 1991-11-21 1993-06-08 Suzuki Motor Corp Motor-driven type scooter
JP2007204008A (en) * 2006-02-06 2007-08-16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Front and rear wheel electric-driven two-whee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30675A (en) 2011-09-16
CN102753424A (en) 2012-10-24
BR112012020513A2 (en) 2016-07-19
JP5396532B2 (en) 2014-01-22
BR112012020513B1 (en) 2019-09-10
KR20120107517A (en) 2012-10-02
TWI423893B (en) 2014-01-21
JPWO2011101908A1 (en) 2013-06-17
WO2011101908A1 (en) 2011-08-25
CN102753424B (en)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2367B1 (en) Motor scooter type electric vehicle
JP5052922B2 (en) Motorcycle
CN102958789B (en) Scooter-type electric vehicle
EP2479069B1 (e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JP5595228B2 (en) Electric vehicle
CN103359232B (en) Electric vehicle
JP5220927B2 (en) Wiring structure for electric motorcycles and tricycles
CN102653245A (en) Electric vehicle
CN102556239A (en) Saddle-ride type electric vehicle
CN102627133A (en) Motorcycle
CN113365907B (en) Saddle-ride type electric vehicle
CN113423635B (en) Battery storage device and electric vehicle
JP2023015904A (en) Straddle-type electric vehicle
WO2019065474A1 (en) Straddle-type electric vehicle
CN222157687U (en) Multi-form replaceable electric structure for electric motorcycle
CN213974307U (en) Electric vehicle
WO2025062491A1 (en) Electric vehicle
WO2025062488A1 (en) Electric vehicle
JP2025070186A (en) Vehicles and batteries
WO2024202074A1 (en) Electric straddl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