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202B1 -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of ten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of te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2202B1 KR101482202B1 KR1020140127217A KR20140127217A KR101482202B1 KR 101482202 B1 KR101482202 B1 KR 101482202B1 KR 1020140127217 A KR1020140127217 A KR 1020140127217A KR 20140127217 A KR20140127217 A KR 20140127217A KR 101482202 B1 KR101482202 B1 KR 1014822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nge
- clip
- auxiliary
- spring
- fasten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98 heat s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 D06C3/02—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by endless chain or like apparatus
- D06C3/04—Tentering cli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06—Clips or accessories for tenters or d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터기(Tenter)에 원단을 안전하게 이송시켜 주기 위해 고정핀부에 고정된 원단이 힌지(Hinge)부에 구비된 클립(Clip)부에 의해 압입되어 이송 도중에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브래킷부의 바디에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부 내측으로 구비된 보조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와 보조 프레임부에 접하여 설치된 판상(板狀)의 고정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부의 양쪽으로 구비된 체결부 사이에는 회동축이 위치하도록 바디가 체결부를 통해 체결된 힌지부; 상기 힌지부는 고정핀부와 맞닿는 부위에 상기 바디에서 다수 개로 분기된 지지부와 연결되어 형성시킨 클립부; 상기 클립부와 대향(對向)하는 쪽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클립부를 고정핀부에 압입시켜 주거나 또는 고정핀부로부터 해체시켜 주기 위한 작동편; 및 상기 작동편의 작동에 따른 탄성력을 생성하여 클립부가 고정핀부를 압입시켜 주기 위해 제1체결구는 힌지부의 바디에 체결시켜 줌과 함께 제2체결구는 보조 스프링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스프링를 통해 브래킷부의 바디에 체결되는 힌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eventing a fabric tied to a fixing pin portion from being inserted into a clip portion provided in a hinge portion to be detached during transportation in order to securely transfer a fabric to a tent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cket comprising: a frame formed on a body of a bracket; An auxiliary frame part provided inside the frame part; A hinge portion including a plate-shaped fixing pin portion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frame portion and the auxiliary frame portion, the body being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so that the rotation axis is positioned between the fastening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frame portion; Wherein the hinge portion includes a clip portion connected to a supporting portion branched from the body at a portion where the hinge portion contacts the fixing pin portion, An operating piece formed on a side opposite to the clip portion to press the clip portion into or out of the fixed pin por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And the first fastener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hinge to generate a resilient forc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iece and the clip fastens the fastening pin part, and the second fastener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spring, And a hinge spring which is fastened to the hinge shaft.
Description
본 발명은 텐터기(Tenter)에 원단을 이송시켜 주기 위한 클립(Clip)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핀(Pin)부에 고정된 원단이 힌지(Hinge)부에 구비된 클립(Clip)부에 의해 압입되어 이송 도중에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p device for transferring a fabric to a te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ip device in which a fabric fixed to a fixing pin is provided on a hinge, Clip unit to prevent it from being detached during transportation.
일반적으로 텐터기(Tenter)는 직물 원단의 가공처리시에 염색 전처리 공정으로 행하는 히트셋팅(Heat Setting)이나 염색 후처리 공정으로 원단을 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장치이다.In general, a tenter is a mechanical device used for drying a fabric by a heat setting process (heat setting) or a post-dyeing process performed in a dyeing preprocessing process in processing a fabric.
이러한 상기 텐터기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23338호(2013년 01월 10일)로 등록된 '텐터기용 체인핀 고정방법 및 체인핀'(이를 '문헌 1'이라 한다.)에 의해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Such a tenter unit is already known b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3338 (Jan. 10, 2013) by a chain pin fixing method and chain pin for a tenter mach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It is known.
상기 언급된 문헌 1에 대해 살펴보면, 텐터기용 체인(100)은 텐터기에 장착되는 체인레일(101)에 형성된 이송홈(102)에 구동수단에 의하여 견인되도록 삽입하고, 상기 체인(100)에는 원단(104)을 고정하기 위한 핀(105)을 가지는 핀시트(106)를 내측 끝단에 장착한 어태치먼트(107)가 체인핀(110)으로 연결되고, 상기 어태치먼트(107)의 외측 끝단은 체인레일(101)의 상부에 고정되는 이탈방지수단(109)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텐터기가 작동 중에 발생하는 진동이 체인(100)을 통해서 어태치먼트(107)에 전달되거나, 또는 원단을 건조하기 위해 발생하는 열에 의해 원단(104)이 늘어나는 경우 상기 핀(105)에 고정된 원단(104)이 핀시트(106)로부터 탈거되어 원단 즉,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사례가 빈번하고, 더 나아가서는 핀시트(106)로부터 탈거된 원단(104)이 체인(100) 등에 감겨 텐터기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when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tenter machine is transmitted to the attachment 107 via the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핀부에 고정된 원단이 힌지부에 구비된 클립부에 의해 압입되어, 이송 도중에 핀(Pin)으로부터 탈거되는 사례를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case in which a raw material fixed to a fixing pin portion is press-fitted by a clip portion provided on a hinge portion and is detached from a pin during transportation It has its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힌지부의 힌지 스프링(Hinge Spring)에 구비된 탄성부의 변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텐터기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상기 힌지 스프링의 피로도 증가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isplacement of the elastic part provided on the hinge spring of the hinge part to be adjusted so as to prevent breakage due to an increase in fatigue of the hinge spring due to use of the tenter device for a long time, There is another purpos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는 브래킷부의 바디에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부 내측으로 구비된 보조 프레임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re is a feature that the frame formed on the body of the bracket part and the auxiliary frame part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frame part are constituted.
또한, 상기 프레임부와 보조 프레임부에 접하여 설치된 판상(板狀)의 고정핀부와 상기 보조 프레임부의 양쪽으로 구비된 체결부 사이에는 회동축이 위치하도록 바디가 체결부를 통해 체결된 힌지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hinge portion, which is fastened to the body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plate-shaped fixing pin portion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frame portion and the auxiliary frame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frame portion, .
또한, 상기 힌지부는 고정핀부와 맞닿는 부위에 상기 바디에서 다수 개로 분기된 지지부와 연결되어 형성시킨 클립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inge part is formed by connecting a supporting part branched from the body to a plurality of supporting parts in a portion where the hinge part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pin part.
또한, 상기 클립부와 대향(對向)하는 쪽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클립부를 고정핀부에 압입시켜 주거나 또는 고정핀부로부터 해체를 시켜 주기 위한 작동편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piece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clip portion, and presses the clip portion into the fixing pin portion with the rotation axis as the center, or dismounts the clip portion from the fixing pin portion.
그리고, 상기 작동편의 작동에 따른 탄성력을 생성하여 클립부가 고정핀부를 압입시켜 주기 위해 제1체결구는 힌지부의 바디에 체결시켜 줌과 함께 제2체결구는 보조 스프링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스프링을 통해 브래킷부의 바디에 체결되는 힌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is coupled to the body of the hinge unit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spring so as to generate the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member so that the clip unit pushes the fixing pin unit. And a hinge spring which is fastened to the body of the unit.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구성수단 및 다양한 과정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이 텐터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건조 열 등에 의해 이송 도중에 고정핀(Pin)부로부터 탈거되는 사례를 방지하여, 원단 가공의 품질 및 작업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ase where the fabric is removed from the fixing pin portion during transportation due to vibration or dry heat generated in the tenter,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and workability of the fabric processing.
또한, 본 발명은 원단이 이송 도중에 고정핀(Pin)부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개선하여, 이를 통해 원단이 이송체인(Chain) 등에 감겨 발생하는 텐터기의 고장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tenter unit, which occurs when the fabric is wound on a transfer chain or the like, by preventing the fabric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ixing pin during transport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텐터기에 적용되는 원단 클립장치가 이송체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장치의 구성 상태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장치의 일부분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제1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있어서, 클립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있어서,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제2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에 있어서, 클립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7에 있어서, 클립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클립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abric clip device applied to a t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ransfer chain.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li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of a portion of a cl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li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Fig. 5 is a side view of the clip device in Fig.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rear view of Fig.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cli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Fig. 8 is a side view of the clip device in Fig.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clip device in Fig.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etailed view of the clip portion in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수단과 동작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써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수단 및 일실시 사례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form a part hereof, and in which is shown by way of example at least one embodimen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들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텐터기에 적용되는 원단의 클립장치에 대한 그 일실시 사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loth clip apparatus applied to a te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in FIGS. 1 to 10.
본 발명은 첨부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 등에 연결된 구동수단(도시 생략함.)에 의해 화살표 (가)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이송체인(Chain)(500)과 상기 이송체인(500)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클립(Clip)장치(1000)가 구성된다.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립(Clip)장치(1000)는 첨부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텐터기(Tenter ; 이를 "직물기"라고도 한다.)에 원단(도시 생략함.)을 이송(이를 "견인"이라고도 한다.)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브래킷(Bracket)부(100)를 비롯하여 보조 프레임(Frame)부(200), 힌지(Hinge)부(300), 고정핀(Pin)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핀부(400)에 고정된 원단이 힌지부(300)에 구비된 클립부(330)에 의해 압입되어 이송 도중에 핀(Pin)(410)으로부터 탈거되는 사례를 방지하여 주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100)는 일반 금속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은 경량성 금속소재를 사용하여 다이캐스팅(Die Casting)이나 사출, 압출, 압연, 프레스 또는 연마(Etching) 등에 의한 다양한 가공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은 브래킷부(100)의 바디(Body)(110)에 폐로(閉路)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Frame)부(120)와 상기 프레임부(120) 내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구비된 보조 프레임부(20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haracteristic is characterized in that a
그리고, 상기 보조 프레임부(200)는 프레임부(120)에 구비된 고정공(121)에 보조 프레임부(200)의 고정공(12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231)로 고정시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부(200)는 힌지부(300)를 체결시켜 주는 기능과 함께 상기 힌지부(300)에 구비된 작동편(320)이 회동축(350)을 중심으로 클립부(330)를 고정핀부(400)에 압입시켜 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해 상기 프레임부(1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도 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프레임부(120)와 보조 프레임부(200)에 접하여 판상(板狀)으로 구비된 고정핀(Pin)부(40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된다.A
상기 고정핀부(400)에는 원단이 꽂혀 고정되는 다수 개의 핀(pin)(410)이 지그재그(Zigzag)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고정핀부(400)는 프레임부(120)에 구비된 고정공(122)에 고정핀부(400)의 고정공(42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431)로 고정시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A plurality of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부(200)의 양쪽으로 구비된 체결부(220) 사이에는 회동축(350)이 위치하도록 바디(310)가 체결부(340)를 통해 체결되는 힌지부(300)가 구성된다.A
다시 말해서, 상기 힌지부(300)는 바디(310)에 구비된 체결부(340)를 보조 프레임부(200)의 체결부(220)에 구비된 체결공(222)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351)로 체결시켜 주게 된다.In other words, the
또한, 상기 힌지부(300)는 고정핀부(400)와 맞닿는 부위에 상기 바디(110)에서 다수 개가 방사상으로 분기된 지지부(331 내지 333)와 연결되어 클립(Clip)부(330)를 형성시킨 구성으로 된다.The
또한, 상기 클립부(330)와 대향(對向)하는 쪽의 바디(110)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350)을 중심으로 클립부(330)를 고정핀부(400)에 압입시켜 주거나, 또는 고정핀부(400)부로부터 해체를 시켜 주기 위한 작동편(320)이 구성된다.The
예컨대, 상기 작동편(320)은 양측 모서리에 라운드(Round)부(321a)가 형성된 보조커버(Cover)(321)를 끼워 스폿(Spot) 용접이나 락킹(Locking)수단 등에 의해 접합시켜 주는 구성으로 되는데, 이는 첨부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체인(500)이 화살표 (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텐터기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 캠(Cam)(도시 생략함.)과의 터치(Touch) 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For example, the actuating
더불어, 첨부된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동편(320)의 작동에 따른 클립부(330)를 고정핀부(400)에 압입시켜 주거나 또는 고정핀부(400)부로부터 해체를 시켜 주기 위한 그 작동각(K1)은 15 내지 45도 범위로 조절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나, 나아가서 고정핀부(400)에 좀 더 큰 압입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10 내지 60도 범위로 조절시켜 주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5 and 8, the
그리고, 상기 작동편(320)의 작동에 따른 탄성력을 생성하여 클립부(330)가 고정핀부(400)를 압입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제1체결구(361)를 힌지부(300)의 바디(310)에 체결시켜 줌과 함께 제2체결구(362)는 보조 스프링(Spring)(370)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스프링(370)을 통해 브래킷부(100)의 바디(110)에 체결되는 힌지 스프링(Hinge Spring)(3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 스프링(360)은 제1체결구(361)와 제2체결구(362) 사이에 코일(Coil) 형상의 탄성부(363)가 형성된 것을 힌지부(300)의 바디(310)와 브래킷부(100)의 바디(110)에 병렬로 설치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 제1체결구(361)는 상기 바디(310)의 체결부(345)에 바 타입(Bar Type)으로 고정 설치된 제3지지대(365)에 체결되고, 상기 제2체결구(362)는 제1체결구(371)와 체결되어 보조 스프링(370)에 연결됨과 함께 상기 보조 스프링(370)의 제2체결구(372)를 통해 상기 바디(110)의 프레임부(120)에 바 타입(Bar Type)으로 고정 설치된 제1지지대(131)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된다.The
여기서, 상기 보조 스프링(370)의 제2체결구(372)는 첨부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디(110)의 프레임부(120)에 제1지지대(131)와 평행하게 바 타입(Bar Type)으로 고정 설치된 제2지지대(132)에 의해 눌려지도록 구성시켜 주게 된다.7, the
예컨대, 이는 상기 힌지 스프링(360)과 보조 스프링(370)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여 주는 작용을 함과 함께 상기 작동편(320)의 작동시에 회동축(350)에 체결된 체결부재(351)를 기준점으로 하여 첨부된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부(363)에 대한 변위(P1, P2) 즉, 높이를 조절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더불어, 상기 보조 스프링(370)은 작동편(320)의 장시간 작동에 따른 힌지 스프링(360) 특히, 탄성부(363)의 피로도 증가에 따는 완충 작용으로 상기 힌지 스프링(360)에 대한 파손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In addition, the
나아가서, 상기 보조 스프링(370)은 힌지 스프링(360) 직경의 적어도 0.3배 내지 0.7배의 굵기로 선정하여, 상기 힌지 스프링(360)보다 좀 더 부드러운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한편, 첨부된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편(320)이 화살표 (다)방향으로 작동시에 상기 클립부(330)는 힌지 스프링(36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332)의 지지점(332a)이 보조 프레임부(20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Stopper)(210)에 접촉되는 구성에 의해 고정핀부(400)에 대한 압입 동작을 정지시켜 주게 된다.3 and 8, when the
또한, 첨부된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편(320)이 화살표 (나)방향으로 작동시에 상기 클립부(330)는 힌지 스프링(36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331, 333)의 지지점(331a, 333a)이 프레임부(120)에 돌출 형성된 스톱점(120a)에 접촉되는 구성에 의해 고정핀부(400)로부터 해체 동작을 정지시켜 주게 된다.5 and 7,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이 텐터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건조시 발생하는 열 등에 의해 이송 도중에 고정핀부(400)로부터 탈거되는 사례를 방지하여 주게 되고, 나아가서는 원단이 이송체인(500) 등에 감겨 발생하는 텐터기의 고장을 방지하여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fabric from being removed from the fixing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일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those described in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as mentioned above.
100 : 브래킷(Bracket)부
110, 310 : 바디(Body)
120 : 프레임(Frame)부
120a : 스톱점
121, 122, 221, 421 : 고정공
131 : 제1지지대
132 : 제2지지대
200 : 보조 프레임(Frame)부
210 : 스토퍼(Stopper)
220, 340, 345 : 체결부
222 :체결공
231, 431 : 고정부재
300 : 힌지(Hinge)부
320 : 작동편
321 : 보조커버(Cover)
321a : 라운드(Round)부
330 : 클립(Clip)부
331, 332, 333 : 지지부
331a, 332a, 333a : 지지점
350 : 회동축
351 : 체결부재
360 : 힌지 스프링(Hinge Spring)
361, 371 : 제1체결구
362, 372 : 제2체결구
363 : 탄성부
365 : 제3지지대
370 : 보조 스프링(Spring)
400 : 고정핀(Pin)부
410 : 핀(Pin)
500 : 이송체인(Chain)
1000 : 클립(Clip)장치100: Bracket part
110, 310: Body (Body)
120: Frame section
120a: Stop point
121, 122, 221, 421:
131: first support
132: second support
200: an auxiliary frame
210: Stopper
220, 340, 345:
222: fastening hole
231, 431: Fixing member
300: Hinge portion
320:
321: Auxiliary cover
321a: Round section
330: Clip section
331, 332, 333:
331a, 332a, 333a: supporting point
350:
351: fastening member
360: Hinge Spring
361, 371: a first fastener
362, 372: a second fastener
363:
365: Third support
370: auxiliary spring
400: Fixing pin part
410: Pin
500: Feed Chain
1000: Clip device
Claims (6)
상기 프레임부(120) 내측으로 구비된 보조 프레임부(200);
상기 프레임부(120)와 보조 프레임부(200)에 접하여 설치된 판상(板狀)의 고정핀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부(120)의 양쪽으로 구비된 체결부(220) 사이에는 회동축(350)이 위치하도록 바디(310)가 체결부(340)를 통해 체결된 힌지(Hinge)부(300);
상기 힌지부(300)는 고정핀부(400)와 맞닿는 부위에 상기 바디(110)에서 다수 개로 분기된 지지부(331 내지 333)와 연결되게 형성시킨 클립(Clip)부(330);
상기 클립부(330)와 대향(對向)하는 쪽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350)을 중심으로 클립부(330)를 고정핀부(400)에 압입시켜 주거나 또는 상기 고정핀부(400)부로부터 해체시켜 주기 위한 작동편(320); 및
상기 작동편(320)의 작동에 따른 탄성력을 생성하여 클립부(330)가 고정핀부(400)를 압입시켜 주기 위해 제1체결구(361)는 힌지부(300)의 바디(310)에 체결시켜 줌과 함께 제2체결구(362)는 보조 스프링(370)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스프링(370)을 통해 브래킷부(100)의 바디(110)에 체결되는 힌지 스프링(36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터기용 원단 클립장치.A frame part 120 formed on the body 110 of the bracket part 100;
An auxiliary frame part 200 provided inside the frame part 120;
And a plate-shaped fixing pin portion 400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frame portion 120 and the auxiliary frame portion 200,
A hinge 300 fastened to the body 310 through a fastening part 340 so that the rotary shaft 350 is positioned between fastening parts 2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frame part 120;
The hinge part 300 includes a clip part 330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arts 331 to 333 branched from the body 110 at a position where the hinge part 300 contacts the fixing pin part 400.
The clip portion 330 is formed on the side facing the clip portion 330 and presses the clip portion 330 into the fixation pin portion 400 about the rotation axis 350 or disassembles the clip portion 330 from the fixation pin portion 400 An actuating piece (320) And
The first fastener 361 is fastened to the body 310 of the hinge part 300 in order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320 and to press the fastener part 400 into the clip part 330. [ The second fastener 362 includes a hinge spring 360 connected to the auxiliary spring 370 and fastened to the body 110 of the bracket 100 through the auxiliary spring 370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ter fabric clips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7217A KR101482202B1 (en) | 2014-09-23 | 2014-09-23 |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of te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7217A KR101482202B1 (en) | 2014-09-23 | 2014-09-23 |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of ten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2202B1 true KR101482202B1 (en) | 2015-01-14 |
Family
ID=5258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7217A Active KR101482202B1 (en) | 2014-09-23 | 2014-09-23 |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of ten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220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2265B1 (en) * | 2015-10-29 | 2016-01-11 | 디와이테크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of tenter |
KR101695600B1 (en) * | 2016-08-02 | 2017-01-11 | 디와이테크 주식회사 | Method for manufacturing pin sheet |
KR20240010819A (en) * | 2022-07-18 | 2024-01-25 | 디와이테크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2158A (en) * | 2000-03-21 | 2001-10-24 | 가네시게 다까오 | Tenter clip chain |
JP2006116937A (en) * | 2004-09-27 | 2006-05-11 | Fuji Photo Film Co Ltd | Tentering machine of solution film forming equipment |
KR20110106799A (en) * | 2010-03-23 | 2011-09-29 |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Clip and tenter device for tenter |
KR20130021867A (en) * | 2011-08-24 | 2013-03-06 |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 Belt clip device for mobile station |
-
2014
- 2014-09-23 KR KR1020140127217A patent/KR1014822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2158A (en) * | 2000-03-21 | 2001-10-24 | 가네시게 다까오 | Tenter clip chain |
JP2006116937A (en) * | 2004-09-27 | 2006-05-11 | Fuji Photo Film Co Ltd | Tentering machine of solution film forming equipment |
KR20110106799A (en) * | 2010-03-23 | 2011-09-29 |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Clip and tenter device for tenter |
KR20130021867A (en) * | 2011-08-24 | 2013-03-06 |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 Belt clip device for mobile statio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2265B1 (en) * | 2015-10-29 | 2016-01-11 | 디와이테크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of tenter |
KR101695600B1 (en) * | 2016-08-02 | 2017-01-11 | 디와이테크 주식회사 | Method for manufacturing pin sheet |
KR20240010819A (en) * | 2022-07-18 | 2024-01-25 | 디와이테크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
KR102757820B1 (en) | 2022-07-18 | 2025-01-21 | 디와이테크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2202B1 (en) |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of tenter | |
US9930794B2 (en) | Flexibl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US8635759B2 (en) | Method and machine for clamping plates on fabric and leather pieces | |
JP2017171196A (en) | Steering column device | |
KR101447630B1 (en) | Clip for fixing mat on cappet of vehicle | |
JPH1191285A (en) | Binder assembly | |
US9120247B2 (en) | Wind turbine blade mould side shape adjustment device | |
KR101752148B1 (en) | Pressing device for pressing a finishing belt against a workpiece surface | |
EP2583863B1 (en) | Ratchet wheel of tightener | |
JP6614676B2 (en) | Fixing jig for end plate against mold steel | |
KR101689438B1 (en) | Tensile test system | |
JP2008149723A (en) | Apparatus for performing exchange of printing plates by plate cylinder of printer | |
US11325405B2 (en) | Printer with print head and support having head spring that urges print head | |
JP2009055679A (en) | Wire harness fixing device | |
JP4107509B2 (en) | Mold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
US20110095463A1 (en) | Multiple size-fitting clamp pad pods and clamp assembly | |
WO2015119262A1 (en) | Disk brake device | |
JP6603200B2 (en) | Belt cleaner | |
KR101420658B1 (en) | Connection device for structure of plate type | |
KR101874611B1 (en) | Roof Rack fixing clip | |
KR200203936Y1 (en) | Cradle for two for one twisting machine | |
WO2020004591A1 (en) | Frame for supporting flexible object | |
KR101846352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2757820B1 (en) | Apparatus for clipping fabric | |
JP2007245717A (en) | Apparatus for fixing tension member to cylinder of rotary pr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