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81714B1 - 스노우보드 - Google Patents

스노우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1714B1
KR101481714B1 KR1020130083702A KR20130083702A KR101481714B1 KR 101481714 B1 KR101481714 B1 KR 101481714B1 KR 1020130083702 A KR1020130083702 A KR 1020130083702A KR 20130083702 A KR20130083702 A KR 20130083702A KR 101481714 B1 KR101481714 B1 KR 101481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s
led
end portion
distal e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수 filed Critical 김덕수
Priority to KR102013008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714B1/ko
Priority to PCT/KR2014/006418 priority patent/WO2015009044A1/ko
Priority to CN201480001988.1A priority patent/CN104540561A/zh
Priority to JP2015527414A priority patent/JP2015528735A/ja
Priority to US14/416,945 priority patent/US20160114240A1/en
Priority to EP14826941.8A priority patent/EP3023129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71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03Structure, covering or decoration of the upper ski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6Skis or snowboards with special devices thereon, e.g. ste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06Appearance of the ski-tip, the rear end or the upper ski-ed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3Mono skis; Snow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35Skis or snowboards with ground engaging roll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12Making thereof;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12Making thereof;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A63C5/124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the upper ski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12Making thereof;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A63C5/126Structure of the 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12Making thereof;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A63C5/128A part for the binding being integrated within the board structure, e.g. plate, rail, inse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6Skis or snowboards with special devices thereon, e.g. steering devices
    • A63C2005/063Rolling or lik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4Lighting mean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판이 적층되어 있는 데크에서 일부 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파손시 수리가 용이하고, 내장되어 있는 LED의 교체 또한 용이하도록, 널빤지 형태로 형성된 유효엣지부와, 상기 유효엣지부의 양단에 연장되어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말단부를 포함하여 몸체를 이루며, 상기 몸체는 LED가 내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판이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판이 적층결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판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판이나 LED(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노우보드{Snowboard}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고, 파손시 수리가 용이하며, LED가 내장되어 안정성과 심미성이 향상된 스노우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겨울스포츠에는 스키, 스노우보드, 스케이트 등이 있다. 그 중 스노우보드는 1960년대에 미국에서 겨울스포츠로 발전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초부터 스노우보드를 타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많은 사람들이 스노우보드를 즐기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스노우보드는 눈덮힌 산이나 언덕 등 경사진 곳에서 사용자의 발을 조작함으로써 방향을 전환하고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스피드를 즐길 수 있는 장비로써, 상기 스노우보드는 널빤지 형태인 데크와, 상기 데크 상면에 부츠를 고정시키기 위한 바인딩과, 부츠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데크는 회전이나 무게 등에 따라 세분화되어 알파인 스타일, 프리스타일, 올라운드 스타일로 나뉜다.
또한, 데크는 여러 겹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판이 적층결합되어 형성되고, 그 소재로 나무, 합성수지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개성을 연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제작된 데크를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데크는 다수의 판이 적층된 상태로 긴밀하게 접착되어 있는바, 데크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데크 전체를 다시 구입해야 되므로 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양한 개성을 표현하기 위하여는 여러 종류의 데크를 구입하여 사용해야 한다.
한편, 스노우보드를 즐기는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발광수단이 구비된 스노우보드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0228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한다.)에 제안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발광수단(20)을 구비하고 있어 빛을 내므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발광수단(20)은 데크(10)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 아닌 접착결합되는 것이므로 상기 발광수단(20)의 고장시 이를 교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판이 적층되어 있는 데크에서 일부 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파손시 수리가 용이하고, 내장되어 있는 LED의 교체 또한 용이한 스노우보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노우보드는 널빤지 형태로 형성된 유효엣지부와, 상기 유효엣지부의 양단에 연장되어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말단부를 포함하여 몸체를 이루며,상기 몸체는 LED가 내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판이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판이 적층결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판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판이나 LED(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상기 말단부(20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발광효과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를 이루는 다수의 판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바, 사용자가 스노우보드를 이용 중 상기 몸체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이를 분리하여 파손된 판만을 교체가능하여 사용상 편의성과 비용 부담이 현저히 감소한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된 최상판만을 구입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개성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LED가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과 심미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에 내장된 LED가 고장나거나 LED의 색상을 변경하고자 할 때 판을 분리하여 내장된 LED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노우보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보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보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보드에 적용되는 요철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보드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보드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발생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보드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빛확산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보드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광섬유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노우보드의 말단부 하면에 형성되는 회전반구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판이 적층되어 있는 데크에서 일부 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파손시 수리가 용이하고, 내장되어 있는 LED의 교체 또한 용이하도록, 널빤지 형태로 형성된 유효엣지부와, 상기 유효엣지부의 양단에 연장되어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말단부를 포함하여 몸체를 이루며, 상기 몸체는 LED가 내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판이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판이 적층결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판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판이나 LED(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스노우보드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스노우보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빤지 형태로 형성된 유효엣지부(100)와, 상기 유효엣지부(100)의 양단에 연장되어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말단부(200)를 포함하는 몸체(A)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A)는 알파인스타일, 프리스타일 등 스노우보드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이에 알맞도록 형태가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효엣지부(100)는 사용자가 발을 안착시키고, 스노우보딩을 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눈이 쌓인 지면과 마찰을 일으키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효엣지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부츠가 결합되는 바인딩을 고정시키는 바인딩고정부(110)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부츠를 착용하고 상기 바인딩고정부(110)에 바인딩을 고정시킨 후 상기 부츠를 바인딩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바인딩고정부(110)에는 외곽을 따라 LED가 내장되고 가압센서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바인딩고정부(110)에 하중이 전달되면 상기 가압센서에 의해 상기 LED가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심미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부츠를 바인딩에 결합시킴에 있어 야간에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판이 적층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판은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면에 다수의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요철(凹凸)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판은 상기 요철구조에 의해 상호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분리가 가능한바, 상기 몸체(A)를 이루는 다수의 판 중 일부 판이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판만을 분리하여 교체가 가능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개성을 다양하게 연출하기 위하여 일 예로 다양한 모양과 색상으로 이루어진 최상판만을 구입하여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상 편의성과 비용 부담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상기 요철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돌기와 홈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나 촘촘히 형성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그 일면과 결합되는 다른 일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 및 그 일면과 결합되는 다른 일면에 돌기와 홈이 모두 형성되고 돌기와 홈이 엇갈려 반복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결합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A)를 이루는 다수의 판 중 설면(雪面)과 접하는 최하판의 가장자리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결합테(31)가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최하판을 제외한 나머지판은 상기 최하판에 수용된 형태로 감싸지며 결합되게 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철구조에 의해 다수의 판이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결합테(31)를 형성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판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몸체(A)의 가장자리 부분의 결합력이 약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는 도중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A)에는 LED(50)가 내장되는바, 야간에 사용자를 손쉽게 식별가능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LED(50)를 다수 개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배치를 함으로써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A) 내부에 상기 LED(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LED(5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A)는 다수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적어도 하나의 판에 상기 LED(50)가 설치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게 되며, 상기 다수의 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철구조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바, 상기 LED(50)가 고장나거나 색상을 변경하고자 할 때 상기 LED(50)가 설치된 판을 분리하여 상기 LED(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판 중 적어도 하나의 판은 투명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LED(50)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에 노출된다. 이때 다수의 판 모두를 투명소재로 하거나 다수의 판 중 일부를 투명소재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빛이 발광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A)가 상판(10), 중판(20), 하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판(20)에 LED(50)가 설치되며, 상기 하판(30)의 가장자리에 결합테(31)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때 LED(50)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하여는 적어도 상기 중판(20)과 상기 결합테(31)의 일부분이 투명소재로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LED(50)로부터 발생된 빛은 앞서 설명한 상기 요철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돌기와 홈에 의해 난반사되는데, 이때 다수의 돌기와 홈의 형태를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발광되는 빛의 양이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몸체(A) 내부에 LED를 포함하는 실리콘 재질의 PCB기판이 내장되고, 상기 몸체(A)를 모두 투명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LED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실리콘 재질의 PCB기판을 투과하여 상기 몸체(A) 전체를 발광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A)에는 속도감지센서 등 각종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는바, 상기 속도감지센서 등에 의해 상기 LED(50)가 발광하는 방향이나 밝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상기 몸체(A)를 착용하고 제자리에 있는 경우 상기 LED(50)는 천천히 회전발광을 하며, 사용자가 상기 몸체(A)를 착용하고 스노우보딩을 즐기는 경우 속도에 따라 회전발광하는 속도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A)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그 그 반대방향으로 LED(50)가 순차적으로 켜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속도에 따라 상기 LED(50)의 밝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A)를 이루는 다수의 판은 각각이 나무, 합성수지 등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소재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예로 종이 또는 유리를 기재(base material)로 하는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절연 저항이나 유전율 등 전기적 특성과 내열성, 내연성, 내알칼리성, 방습성, 기계적 강도 등 물리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A) 내부에 보강뼈대(4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뼈대(4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을 사용함에 있어 상기 몸체(A)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강뼈대(40)는 나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듀랄루민(Duralumin)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듀랄루민 소재로 이루어진 보강뼈대(40)를 상기 몸체(A) 내부에 형성하는 경우 상기 몸체(A)를 이루는 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뼈대(40)는 상기 몸체(A)를 이루는 다수의 판 중 적어도 하나의 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뼈대(40)가 형성된 판에는 상기 보강뼈대(40)가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다른 판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요철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뼈대(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뼈대(40)가 설치되는 판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지면과의 접촉이 가장 많은 상기 몸체(A)의 테두리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하중이 가장 많이 전달되는 유효엣지부(100)에 길이방향 및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A)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일 예로 상기 몸체(A)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 중판(20), 하판(3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보강뼈대(40)는 상기 중판(20)에 형성되는 것이 사용자의 하중을 가장 잘 견디며, 지면과의 마찰로부터 상기 몸체(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뼈대(40)는 상기 중판(2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중판(20)의 유효엣지부(100)에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길이방향이란 양 말단부(200)가 형성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일 예에서 중판(2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중판(20)은 기본적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상기 보강뼈대(40)가 결합되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며, LED(5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설치홈과 상기 중판(20) 가장자리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중판(20)은 보강뼈대(40)와 LED(50)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판(10)과의 결합을 위한 요철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중판(20)의 하면에는 하판(30)과의 결합을 위한 요철구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회로소자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중판(20)에 전원부, 제어부 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보강뼈대(40)가 포함되는 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심미성과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말단부(200)에 빛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바, 이는 예로써 중판(20)의 말단부에 공간(S)이 형성되어 발광장치가 구비되고 상판(10) 및 하판(30)이 덮임으로써 다양한 발광효과를 낼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발광효과에 따른 여러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실시예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말단부(200)의 공간(S)에 플라즈마 발생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210)는 고전압이 인가되어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플라즈마 발생기(211)와,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211)로부터 발생된 플라즈마가 도달되는 피뢰침(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플라즈마 발생부(210)는 내부를 진공상태로 밀폐시킨 후 소량의 기체를 주입시키게 되며, 주입시키는 기체에 따라 빛의 색상이 변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말단부(200)의 공간(S)에 빛확산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빛확산부(220)는 다수의 LED(221)와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배열된 다수의 반사구(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LED(221)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반사구(222)에 도달한 후 난반사되어 여러 방향으로 빛을 발광시킨다. 또한, 상기 반사구(2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형태를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반사구(222)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말단부(200)의 공간(S)에 다수의 광섬유(230)가 포함될 있으며, 상기 광섬유(230)에 전원을 인가시킴으로써 빛이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형태로 다수의 광섬유(230)를 배치시켜 자신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빛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형태를 상기 말단부에 형성하는 경우 외부로 빛이 발광되도록 투명소재로 밀폐시킴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A)에 스피커 등이 구비되어 빛 발생시 천둥소리 등과 같은 효과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속도감지센서 등에 의해 속도에 따라 빛의 밝기 등을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말단부(2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아래로 볼록하게 돌출된 회전반구(240)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자리 또는 상기 몸체(A)를 진행시키고 있는 중에 상기 말단부(200)로 무게중심을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반구(240)를 축으로 하여 상기 몸체(A)를 회전시킬 수 있는바, 사용자는 스노우보드를 이용함에 있어 재미를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반구(240)에는 LED가 내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인 스노우보드를 이용하여 점프시 상기 회전반구(240)에 내장된 LED가 켜짐으로써 야간에도 착지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심미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A: 몸체 10: 상판
20: 중판 30: 하판
31: 결합테 40: 보강뼈대
50: LED 100: 유효엣지부
110: 바인딩고정부 200: 말단부
210: 플라즈마 발생부 211: 플라즈마 발생기
212: 피뢰침 220: 빛확산부
221: LED 222: 반사구
230: 광섬유 240: 회전반구

Claims (12)

  1. 널빤지 형태로 형성된 유효엣지부(100)와, 상기 유효엣지부(100)의 양단에 연장되어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말단부(200)를 포함하여 몸체(A)를 이루며,상기 몸체(A)는 LED(50)가 내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판이 투명소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판이 적층결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판은 상호 대응되어 결합되는 면에 요철(凹凸)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요철구조에 의해 상기 다수의 판이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판이나 LED(5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다수의 판 중 최하판의 가장자리에는 상향으로 결합테(31)가 돌출형성되어, 나머지판이 상기 최하판에 의해 감싸지며 결합되며,
    상기 말단부(200)는 상기 다수의 판 중에서 최상판과 최하판의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판에 발광효과를 위한 공간(S)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에 형성되는 요철구조는 임의의 판의 일면과 그에 결합되는 다른 판의 일면에 돌기와 홈이 모두 형성되고 돌기와 홈이 엇갈려 반복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결합력을 한층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200)의 공간(S)에는
    플라즈마 발생기(211)와,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211)로부터 발생된 플라즈마가 도달되는 피뢰침(212)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부(2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200)의 공간(S)에는
    다수의 LED(221)와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배열된 다수의 반사구(222)이 형성된 빛확산부(220)가 구비되어, 상기 LED(221)로부터 발생된 빛은 상기 반사구(222)에 도달한 후 난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200)의 공간(S)에는 다수의 광섬유(230)가 포함되어 빛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A)는 속도감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LED(50)는 속도에 따라 발광하는 방향과 밝기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A)는 내부에 보강뼈대(40)가 구비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뼈대(40)는 상기 몸체(A)를 이루는 다수의 판 중 적어도 하나의 판에 구비되되, 설치되는 판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됨과 동시에 설치되는 판의 유효엣지부(100)에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뼈대(40)는 듀랄루민(Duralumin)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200)는 하면에 아래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된 회전반구(240)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반구(240)를 축으로 상기 몸체(A)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엣지부(100)는 상면에 부츠가 결합되는 바인딩을 고정시키는 바인딩고정부(110)가 형성되되,
    상기 바인딩고정부(110)에는 외곽을 따라 LED가 내장되고 가압센서가 포함되어, 사용자의 하중이 상기 가압센서에 전달시 상기 LED가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
KR1020130083702A 2013-07-16 2013-07-16 스노우보드 Expired - Fee Related KR101481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702A KR101481714B1 (ko) 2013-07-16 2013-07-16 스노우보드
PCT/KR2014/006418 WO2015009044A1 (ko) 2013-07-16 2014-07-16 스노우보드
CN201480001988.1A CN104540561A (zh) 2013-07-16 2014-07-16 滑雪板
JP2015527414A JP2015528735A (ja) 2013-07-16 2014-07-16 スノーボード
US14/416,945 US20160114240A1 (en) 2013-07-16 2014-07-16 Snowboard
EP14826941.8A EP3023129A4 (en) 2013-07-16 2014-07-16 Snow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702A KR101481714B1 (ko) 2013-07-16 2013-07-16 스노우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714B1 true KR101481714B1 (ko) 2015-01-12

Family

ID=5234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7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1714B1 (ko) 2013-07-16 2013-07-16 스노우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14240A1 (ko)
EP (1) EP3023129A4 (ko)
JP (1) JP2015528735A (ko)
KR (1) KR101481714B1 (ko)
CN (1) CN104540561A (ko)
WO (1) WO20150090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6801B2 (en) * 2020-07-02 2023-10-17 Karen L. Gayton Night life ge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17675A1 (en) * 2014-02-06 2015-08-06 Clear Innovation LLC Led sports board
US9770665B2 (en) 2015-05-05 2017-09-26 University City Studios LLC Functional mat racer
US9744430B2 (en) * 2015-10-27 2017-08-29 Aloha Products LLC Unibody snowboard
USD806190S1 (en) * 2017-01-27 2017-12-26 John R. Failing Wobbling balance board
DE102017107035A1 (de) * 2017-03-31 2018-10-04 Helmut Abel Tretroller
USD907732S1 (en) 2017-08-28 2021-01-12 Rmu Skis Llc. Curved ski
CN108096814A (zh) * 2018-01-24 2018-06-01 林安浩 一种无板芯滑雪板及其制作方法
DE202018103415U1 (de) * 2018-06-18 2018-06-22 Völkl Sports GmbH & Co. KG Verstärkungsrahmen für einen Ski
IT201800010462A1 (it) * 2018-11-20 2020-05-20 Blue Biesse S R L Con Socio Unico Attrezzo sportivo per scivolare su neve e/o ghiaccio
CN114129992A (zh) * 2021-11-30 2022-03-04 黑河学院 一种用于滑雪运动模拟训练的模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7027A (ja) * 1991-12-27 1993-07-20 Toshiko Takahashi スキー板およびスキーストック
KR20060021464A (ko) * 2004-09-03 2006-03-08 황철 활강운동기구
KR200440532Y1 (ko) * 2006-12-27 2008-06-19 김덕수 투명 발광 보드
JP2012019924A (ja) * 2010-07-14 2012-02-02 Ogasaka Sukii Seisakusho:Kk スキー板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6650A1 (de) * 1975-12-16 1977-06-23 Voelkl Ohg Franz Ski
DE3319889A1 (de) * 1983-06-01 1984-12-06 August 3538 Marsberg Weber Aus mehreren teil-elementen zusammensetzbarer bzw. zerlegbarer ski zum betreiben von wintersport
JPS6131480U (ja) * 1984-07-30 1986-02-25 景三 尤 スキ−
US5344177A (en) * 1992-04-28 1994-09-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ki base and running surface
US5984343A (en) * 1997-04-08 1999-11-16 Robert J. Harrington Sliding apparatus having adjustable flexion and torsion characteristics
US6502850B1 (en) * 1999-10-12 2003-01-07 The Burton Corporation Core for a gliding board
US6431733B2 (en) * 2000-08-14 2002-08-13 Branden W. Seifert Illuminated sports board
US6854748B2 (en) * 2001-12-07 2005-02-15 James F. And Lori Wimbush Trust Skateboard
JP3919523B2 (ja) * 2001-12-11 2007-05-30 信行 藤田 雪上滑走具
KR200280228Y1 (ko) 2002-03-29 2002-07-02 배윤기 발광 스노우보드
DE20302674U1 (de) * 2003-02-19 2003-06-12 Zehetmair, Björn, 80331 München Skateboardbeleuchtung
KR100583443B1 (ko) * 2004-09-03 2006-05-26 황철 바퀴조립체
WO2006025711A1 (en) * 2004-09-03 2006-03-09 Cheol Hwang A wheel assembly and the downhill sports device employing the same
US7445218B2 (en) * 2004-11-03 2008-11-04 Marcelo Fabian Esposito Skateboard deck with decorative window
TWM301075U (en) * 2006-04-28 2006-11-21 Tung Yi Steel Wire Company Ltd Improved anti-slippery pad for skateboard
JP3898215B1 (ja) * 2006-04-29 2007-03-28 株式会社リバーフィールド スノーボード
US8083238B2 (en) * 2008-03-21 2011-12-27 Seth Borges Lighting system for sporting apparatus
JP2013539055A (ja) * 2010-06-17 2013-10-17 ライト ボード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発光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321150A1 (en) * 2013-04-24 2014-10-30 Sandiford Enterprises, Llc Decorative Lighting Device For Skateboards
US9366404B1 (en) * 2013-05-28 2016-06-14 45Th Parallel Lighting, Llc Decorative lighting system for sport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7027A (ja) * 1991-12-27 1993-07-20 Toshiko Takahashi スキー板およびスキーストック
KR20060021464A (ko) * 2004-09-03 2006-03-08 황철 활강운동기구
KR200440532Y1 (ko) * 2006-12-27 2008-06-19 김덕수 투명 발광 보드
JP2012019924A (ja) * 2010-07-14 2012-02-02 Ogasaka Sukii Seisakusho:Kk スキー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6801B2 (en) * 2020-07-02 2023-10-17 Karen L. Gayton Night life g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28735A (ja) 2015-10-01
EP3023129A4 (en) 2017-01-11
WO2015009044A1 (ko) 2015-01-22
CN104540561A (zh) 2015-04-22
EP3023129A1 (en) 2016-05-25
US20160114240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714B1 (ko) 스노우보드
US8083238B2 (en) Lighting system for sporting apparatus
US6431733B2 (en) Illuminated sports board
US6863415B2 (en) Cup pads having light emitting members
US7232243B1 (en) Sporting apparatus
JP2013539055A (ja) 発光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7125655A1 (ja) スノーボード
US8683719B2 (en) LED illumination footwear
US20140173942A1 (en) Light-Emitting Shoe
KR101460253B1 (ko) 반사형 발광보드
CN206025338U (zh) 发光鞋
KR200459811Y1 (ko) 발광보드
US20160206947A1 (en) Light-emitting sole and light-emitting skate
CN212818022U (zh) 一种用于滑板及滑板车的止滑垫结构
KR20170069604A (ko) 경기장 라인용 조명 구조 및 시스템
KR200407918Y1 (ko) 스노우보드 및 스키의 마감구조
CN201097686Y (zh) 带灯的高跟鞋
CN214740274U (zh) 儿童娱乐舞台
CN219195539U (zh) 多功能预制型卷材以及铺装组件
KR200440532Y1 (ko) 투명 발광 보드
US20240306760A1 (en) Light-emitting hole shoe
KR100251815B1 (ko) 야간놀이가 가능한 배드민턴용 셔틀콕
CN221690232U (zh) 一种多色鞋底及具有其的鞋子
KR20100007757U (ko) 스노우보드용 발광 장치
CN201123438Y (zh) 一种溜冰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