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9232B1 - 로봇과 로봇 핸드,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과 로봇 핸드,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232B1
KR101479232B1 KR20080043773A KR20080043773A KR101479232B1 KR 101479232 B1 KR101479232 B1 KR 101479232B1 KR 20080043773 A KR20080043773 A KR 20080043773A KR 20080043773 A KR20080043773 A KR 20080043773A KR 101479232 B1 KR101479232 B1 KR 10147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robot hand
fingers
distance sensor
pa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08004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153A (ko
Inventor
김용재
이자우
박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4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232B1/ko
Priority to US12/382,122 priority patent/US8260458B2/en
Priority to JP2009066991A priority patent/JP5607888B2/ja
Publication of KR2009011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2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1Touching devices, e.g. pressure-sensi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6Proximity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09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comprising multi-articulated fingers, e.g. resembling a human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1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hand, wrist, grip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과 로봇 핸드,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의 모양과 재질에 상관없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물체에 접근하여 안전하게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로봇과 로봇 핸드,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마디를 구비하고 손바닥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을 갖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손바닥에 설치되는 제 1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손바닥을 물체에 접근시키고; 복수의 손가락에 설치되는 제 2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손가락을 물체에 접근시키며; 손바닥과 복수의 손가락을 물체에 접촉시켜 물체를 파지한다.
로봇, 핸드, 그립, 파지, 거리 센서, 접촉 센서

Description

로봇과 로봇 핸드,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ROBOT, ROBOT HAND AND METHOD OF CONTROLLING ROBOT HAND}
본 발명은 로봇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손가락이 구비되는 로봇 핸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봇은 위험한 작업 환경 내의 작업이나, 단순한 반복 작업, 큰 힘이 필요한 작업 등을 인간을 대신하여 수행한다. 최근에는 이 로봇이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의료, 군사, 우주, 농업, 가사 등의 분야에까지 사용되고 있다.
산업 현장에서의 로봇은 용접, 조립, 도장, 검사를 비롯하여 이송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송 분야에서 사용되는 로봇의 경우 이송 대상물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파지 및 이송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10-2004-0107710(대상물 탐지식 로봇 그리퍼)에는, 대상 물체의 평탄부를 향해 하나 이상의 광을 조사(照射)하고 평탄부에서 반사된 하나 이상의 광을 수신하여 대상 물체의 크기와 위치를 인식하여 대상 물체를 파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의 경우, 물체에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평탄면을 가진 대상 물체에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그리퍼 자체를 이동시키면서 그 수신 각도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거리 측정을 위해 그리퍼를 이동시켜야 하는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광을 이용하기 때문에 투명한 물체는 측정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의 모양과 재질에 상관없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물체에 접근하여 안전하게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로봇과 로봇 핸드,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마디를 구비하고 손바닥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을 갖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은, 손바닥에 설치되는 제 1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손바닥을 물체에 접근시키고; 복수의 손가락에 설치되는 제 2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손가락을 물체에 접근시키며; 손바닥과 복수의 손가락을 물체에 접촉시켜 물체를 파지한다.
또한, 복수의 손가락을 기저 마디에서 말단 마디의 순서로 물체에 접근시키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또한, 손바닥과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기저 마디 및 말단 마디를 균일한 거리와 속도로 동시에 물체에 접근시키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또한, 손바닥을 물체에 접근시키기에 앞서 물체가 로봇 핸드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로봇 핸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또한, 손바닥을 물체에 접근시키기에 앞서, 파지 경로를 생성하고, 파지 경로를 따라 로봇 핸드를 물체에 접근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또한, 물체를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일정 크기의 힘을 발생시키도록 로봇 핸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또한, 거리를 측정할 때 제 1 거리 센서와 제 2 거리 센서를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동작시켜서 제 1 거리 센서와 제 2 거리 센서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과, 복수의 마디를 구비하고 손바닥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을 갖는 로봇 핸드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손바닥에 설치되는 제 1 거리 센서와 복수의 손가락의 말단 마디에 설치되는 제 2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말단 마디를 균일한 거리와 속도로 동시에 물체에 접근시키고;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말단 마디를 물체에 접촉시켜 물체를 파지한다.
또한, 물체가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말단 마디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로봇 핸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말단 마디를 물체에 접근시키기에 앞서, 파지 경로를 생성하고; 파지 경로를 따라 로봇 핸드를 물체에 접근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물체를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일정 크기의 힘을 발생시키도록 로봇 핸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거리를 측정할 때 제 1 거리 센서와 제 2 거리 센서를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동작시켜서 제 1 거리 센서와 제 2 거리 센서의 상호 간섭을 방지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과, 복수의 마디를 구비하고 손바닥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을 갖는 로봇 핸드의 또 다른 제어 방법은, 손바닥과 복수의 손가락에 설치되는 복수의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거리 센서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물체의 모양을 판단한다.
또한, 로봇 핸드의 현재 위치와 자세에 기초하여 측정된 거리 정보로부터 물체의 모양을 판단한다.
또한, 로봇 핸드의 자세는 손바닥에 대한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상대적인 방향과 각도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거리를 측정할 때 복수의 거리 센서 각각을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동작시켜서 복수의 거리 센서 각각의 상호 간섭을 방지한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핸드는, 손바닥과; 복수의 마디를 구비하고 손바닥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과; 손바닥과 복수의 손가락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손바닥과 복수의 손가락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거리 센서와 접촉 센서가 하나의 센서 모듈로 통합되어 설치된다.
또한, 센서 모듈이 피에조 필름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거리 센서가 로봇 핸드의 표피 아래에 매립된다.
또한, 거리 센서가 로봇 핸드의 표피 아래의 일정 깊이에 매립된다.
또한, 복수의 손가락 각각을 이루는 복수의 마디는 기저 마디와 말단 마디를 포함한다.
또한, 거리 센서가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기저 마디와 말단 마디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마디가 기저 마디와 말단 마디 사이의 중간 마디를 더 포함하고; 거리 센서가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기저 마디와 중간 마디, 말단 마디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다.
또한, 거리 센서는, 손바닥에 설치되어 원거리를 측정하는 제 1 거리 센서와; 복수의 손가락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근거리를 측정하는 제 2 거리 센서로 이루어진다.
또한, 거리 센서가 초음파 센서와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위치 검출 장치(PSD)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다.
상술한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은, 손바닥과, 복수의 마디를 구비하고 손바닥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과, 손바닥과 복수의 손가락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거리 센서로 이루어지는 로봇 핸드와; 로봇 핸드가 자유도를 갖 도록 연결되는 팔(arm)과;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로봇 핸드와 팔을 제어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고; 이 연산부는, 영상 장치를 이용한 로봇 핸드와 물체 사이의 거리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로봇 핸드를 물체에 접근시키고; 거리 센서를 이용한 로봇 핸드와 물체 사이의 거리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물체를 파지하도록 로봇 핸드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핸드 및 그 제어 방법은,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의 모양과 재질에 상관없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물체에 접근하여 안전하게 물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로봇 핸드 및 그 제어 방법은, 거리 측정 시 로봇 핸드를 움직이지 않아도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핸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핸드(100)는 손바닥(102)과 이 손바닥(102)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102)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손가락(104) 각각은 복수의 마디(104a, 104b, 104c)로 이루어진다.
손바닥(102)은 반드시 면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손가락이 관절(joint)로 연결될 수 있고, 추후 설명하게 될 거리 센서(106)를 설치할 수 있으면 된다.
손가락(104)은, 손바닥(102)에 직접 연결되는 기저 마디(104a)와 손가락(104)의 끝을 이루는 말단 마디(104b), 기저 마디(104a)와 말단 마디(104b) 사이의 중간 마디(104c)로 이루어진다. 이 중간 마디(104c)는 손가락(104)에서 요구되는 유연성에 따라 구비되지 않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말단 마디(104b)도 필요에 따라 구비되지 않고, 기저 마디(104a)만으로 손가락(104)을 구성할 수도 있다.
손바닥(102)에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센서(106)가 설치되고, 복수의 손가락(104)에도 거리 센서(108)가 설치된다. 복수의 손가락(104)에 설치되는 거리 센서(108)는, 복수의 손가락(104) 가운데 어느 하나에 하나의 거리 센서(108)만이 설치될 수도 있고, 모든 손가락(104)의 각 마디(104a, 104b, 104c)마다 적어도 하나의 거리 센서(108)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 손가락(104)의 기저 마디(104a)에만 설치하거나, 또는 말단 마디(104b)에만 설치하거나, 또는 중간 마디(104c)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손바닥(102)과 복수의 손가락(104)의 복수의 마디(104a, 104b, 104c) 가운데 어느 곳이라도 선택적으로 거리 센서(108)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거리 센서(106, 108)는 로봇 핸드(100)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할 때 로봇 핸드(100)와 작업 대상인 물체(object)(110)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거리 센서(106, 108)는 초음파 센서와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등,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초음파 센서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그 검출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지향성이 된다. 따라서 보다 안정적인 거리 측정을 위해서는 초음파 센서의 검출 범위를 다소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복수의 초음파 센서 상호 간의 간섭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초음파 센서의 상호 간섭에 대한 대책으로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 각각을 시차를 두고 동작시키는 것이다. 즉 열 개의 초음파 센서를 운용할 때 이 열 개의 초음파 센서를 한번에 하나씩 차례로 동작시키면 복수의 초음파 센서의 상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의 경우 초음파를 발신 후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기까지의 시간이 매우 짧다. 비록 제품마다 차이는 있으나, 10개 정도의 초음파 센서를 시차를 두고 동작시키더라도 전체 동작 시간은 약 0.1초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로봇 핸드의 제어 속도를 크게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하나의 로봇 핸드(100)에 초음파 센서와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로봇 핸드(100)의 손바닥(102)에는 원거리 측정을 위한 레이저 센서를 설치하고, 복수의 손가락(104)에는 근거리 측정을 위한 초음파 센서를 설치한다. 이 경우, 로봇 핸드(100)와 물체(110)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먼 상태에서는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로봇 핸드(100)와 물체(1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로봇 핸드(100)와 물체(110)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상태에서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로봇 핸드(100)와 물체(1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초음파 센서는 레이저 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기 때문에, 이와 같은 레이저 센서와 초음파 센서의 조합은 원거리 측정과 근거리 측정을 모두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비용 절감 효과도 제공한다. 다만, 원거리 측정이 필요치 않은 응용 분야에서는 모든 센서를 초음파 센서와 같은 근거리 센서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적외선 센서와 위치 검출 장치(Position Sensitive Device, PSD)의 조합도 가능하다.
로봇 핸드(100)에는 접촉 센서(미도시)도 설치된다. 이 접촉 센서는 로봇 핸드(100)와 물체(110)의 접촉 여부 및 로봇 핸드(100)와 물체(110)의 접촉 시 로봇 핸드(100)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한다. 이 힘의 측정은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를 파지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로봇 핸드(100)의 제어량을 결정하도록 참조된다.
이와 같은 로봇 핸드(100)의 손바닥(102)은 팔(arm)(112)에 적어도 1 자유도 이상을 갖도록 연결된다. 팔(112)은 필요에 따라 단일의 로드(rod)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복수의 관절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팔(112)은 로봇 핸드(100)의 이동 범위를 확장시킨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로봇 핸드에 설치되는 거리 센서와 접촉 센서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거리 센서와 접촉 센서가 하나의 센서 모듈(108a)로 통합된 것을 보여준다. 즉, 피에조 필름(Piezo Film)으로 센서(108a)를 제작하면, 피에조 필름을 통해 초음파의 발신 및 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로봇 핸드(100)와 물체(1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피에조 필름(Piezo Film)으로 제작되는 센서(108a)는 물체(110)가 로봇 핸드(100)의 센서 모듈(108a)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힘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물체(110)의 접촉 여부 및 그 때 가해지는 힘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B)는 거리 센서(108b)와 접촉 센서(108c)가 별도로 분리되되, 거리 센서(108b)가 손가락(104)의 표피 바로 아래에 매립되는 설치 구조를 보여준다. 접촉 센서(108c)는 물체(110)와의 접촉 여부를 검출해야 하기 때문에 손바닥(100) 또는 손가락(104)의 표면에 가능하면 넓은 면적을 갖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달리 거리 센서(108b)는 물체(110)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손바닥(100) 또는 손가락(104)의 표피 바로 아래에 매립시켜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거리 센서(108b)를 보호한다.
도 2(C)는 거리 센서(108d)와 접촉 센서(108e)가 별도로 분리되되, 거리 센서(108d)가 손가락(104)의 내부의 일정 깊이에 매립되는 설치 구조를 보여준다. 많은 종류의 거리 센서는 음파나 전파 또는 빛을 발생시키고,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음파나 전파, 빛의 상태 변화(예를 들면 주파수나 광량의 변화)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를 통해 거리 센서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 때문에 거리 센서와 물체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거리 측정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어서 거리 센서와 물체가 일정 크기 이상의 거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리 센서(108d)를 손가락(104)의 내부의 일정 깊이에 매립시키면, 물체(110)가 로봇 핸드(100)에 매우 가깝게 접근하더라도 적어도 거리 센서(108d)와 물체(110) 사이의 거리가 거리 센서(108d)의 표면과 손가락(104)의 표면 사이의 거리(D)만큼 유지되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거리 측정의 정확도가 확보된다.
도 2(B) 및 도 2(C)의 접촉 센서(108c, 108e)는 앞서 언급한 피에조 필름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센서 설치 구조는 손가락(104) 뿐만 아니라 손바닥(102)에 설치되는 센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로봇 핸드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리 센서(106, 108)는 거리 센서(106, 108)와 물체(110) 사이의 거리 정보를 측정하여 아날로그 거리 신호(302)를 발생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 Converter)(304)는 이 아날로그 거리 신호(302)를 디지털 거리 값(302b)으로 변환하여 연산부(306)의 모션 생성부(308)로 전송한다. 접촉 센서(108c, 108e)는 접촉 센서(108c, 108e)와 물체(110)의 접촉 여부에 따라 온/오프 형태의 디지털 접촉 신호(310)를 발생시켜 연산부(306)의 모션 생성부(308)로 전송한다. 만약 접촉 센서(108c, 108e)가 단순한 접촉 여부뿐만 아니라 접촉 시 발생하는 가압력의 크기도 측정하는 경우에는, 접촉 센서(108c, 108e)는 물체(110)와 접촉할 때의 가압력의 크기를 대표하는 아날로그 가압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04)가 이 아날로그 가압력 신호를 디지털 가압력 값으로 변환하여 연산부(306)의 모션 생성부(308)로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모션 생성부(308)는 디지털 거리 값(302b)과 디지털 접촉 신호(310)를 바탕으로 로봇 핸드(100)와 팔(112)의 목표 모션을 계획하여 해당 정보를 모션 제어부(312)에 전송한다. 목표 모션은 로봇 핸드(100)에 지시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로봇 핸드(100)가 취해야 할 모션이다. 모션 제어부(312)는 계획된 목표 모션의 정보를 수신하여 로봇 핸드(100)와 팔(손목 관절 포함)(112)을 제어하기 위한 목표 제어 입력(322)을 생성한다. 여기서 목표 제어 입력(322)은 모터의 목표 속도와 목표 토크를 포함한다. 모션 제어부(312)가 생성하는 목표 제어 입력(322)은 팔 구동부(314)를 통한 팔 관절 모터(316)의 제어와 손가락 구봉부(318)를 통한 손가락 관 절 모터(320)의 제어에 이용된다.
도 3에 나타낸 로봇 핸드의 제어 계통의 경우, 맵핑 등의 방법을 통해 미리 획득한 좌표 값 형태의 물체(11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 핸드(100)를 물체(110)에 접근시킨다. 즉, 팔(112)이 설치되는 베이스(미도시)에 대한 좌표 값 형태의 물체(110)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미리 획득하여 저장해 두고, 로봇 핸드(100)를 제어하여 이 물체(110)를 대상으로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이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팔(112)을 제어함으로써 로봇 핸드(100)를 물체(110)에 접근시킨다. 다만, 이 때 사용되는 물체(110)의 위치 정보(좌표)는 물체(110)의 대략적인 위치만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의 근처까지 접근한 다음에는 거리 센서(108)를 통해 물체(11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더욱 정밀하게 접근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되는 로봇 핸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로봇 핸드(100)에게 주어진 작업은 물체(110)를 파지(grip)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봇 핸드(100)를 물체(110)에 접근하기 위한 이동 경로인 파지 경로를 생성한다(402). 이 파지 경로는 미리 제공되는 로봇 핸드(100)에 대한 물체(110)의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다. 이 파지 경로를 따라 로봇 핸드(100)가 물체에 접근하도록 팔(112)을 제어한다(404).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에 접근하면, 로봇 핸드(100)의 모든 거리 센 서(108)와 물체(110)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팔(112)과 로봇 핸드(100)를 제어한다(406). 팔(112)의 제어에 따라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에 접근하더라도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를 파지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즉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봇 핸드(100)와 물체(110)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면 측정 거리(502)와 또 다른 측정 거리(504)는 그 크기가 서로 다르다(즉, 거리 502 < 거리 504). 이를 통해 로봇 핸드(100)는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110)가 로봇 핸드(100)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한 쪽(측정 거리 502 쪽)으로 치우쳐 있음을 인지한다. 정확한 물체(110)의 파지를 위해서는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110)가 로봇 핸드(100)의 중심부 즉 복수의 손가락(104)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B)와 같이 복수의 손가락(104) 사이의 중앙에 물체(110)가 위치할 수 있도록 로봇 핸드(100)의 위치 및 복수의 손가락(104) 각각의 자세를 제어한다.
물체(110)의 실질적인 파지를 위해 먼저 손바닥(102)의 거리 센서(106)를 통해 손바닥(102)과 물체(1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면서 팔(112)을 제어하여 손바닥(102)을 물체(110)에 접근시킨다(408)(도 5(C) 참조). 그 다음에는 복수의 손가락(104) 각각의 기저 마디(104a)와 중간 마디(104c), 말단 마디(104b)를 순서대로 물체(110)에 접근시켜서 로봇 핸드(100)와 물체(110)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410)(도 5(D) 및 도 5(E) 참조).
손바닥(102)을 물체(110)에 접촉시킬 때 너무 큰 힘을 가하게 되면 물체(11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물체(110)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손바닥(102)과 물체(110)를 접촉시키는 정도의 힘만을 가한다. 이후 손가락(104)의 기저 마디(104a)와 중간 마디(104c), 말단 마디(104b)의 순서로 힘을 증가시키면서 물체(110)에 접촉시키고, 물체(110)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일정 크기의 힘을 발생시켜서 물체(110)를 파지한다(412).
이와 같이, 로봇 핸드(100)를 이용하여 물체(110)를 파지할 때 손바닥(102)과 기저 마디(104a), 중간 마디(104c), 말단 마디(104b)의 순서로 차례대로 물체(110)에 접촉시켜 파지하면 물체(110)가 파손되기 쉬운 약한 재질의 것일지라도 비교적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되는 로봇 핸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로봇 핸드(100)에게 주어진 작업은 물체(110)를 파지(grip)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봇 핸드(100)를 물체(110)에 접근하기 위한 이동 경로인 파지 경로를 생성한다(602). 이 파지 경로는 미리 제공되는 로봇 핸드(100)에 대한 물체(110)의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다. 이 파지 경로를 따라 로봇 핸드(100)가 물체에 접근하도록 팔(112)을 제어한다(604).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에 접근하면, 로봇 핸드(100)의 모든 거리 센서(108)와 물체(110)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팔(112)과 로봇 핸드(100)를 제어한다(606). 팔(112)의 제어에 따라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에 접근하더라도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를 파지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 다. 즉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봇 핸드(100)와 물체(110)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면 측정 거리(702)와 또 다른 측정 거리(704)는 그 크기가 서로 다르다(즉, 거리 702 < 거리 704). 이를 통해 로봇 핸드(100)는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110)가 로봇 핸드(100)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한 쪽(측정 거리 702 쪽)으로 치우쳐 있음을 인지한다. 정확한 물체(110)의 파지를 위해서는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110)가 로봇 핸드(100)의 중심부 즉 복수의 손가락(104)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B)와 같이 복수의 손가락(104) 사이의 중앙에 물체(110)가 위치할 수 있도록 로봇 핸드(100)의 위치 및 복수의 손가락(104) 각각의 자세를 제어한다.
물체(110)의 실질적인 파지를 위해 손바닥(102)과 복수의 손가락(104) 각각을 균일한 거리와 속도로 물체(110)에 접근시킨다(608)(도 7(C) 참조). 손바닥(102)과 복수의 손가락(104) 모두가 물체(110)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물체(110)와의 거리를 점차 줄여나간다. 손바닥(102)과 복수의 손가락(104)이 물체(110)에 매우 근접하면, 손바닥(102)과 복수의 손가락(104) 모두가 동시에 물체(110)에 접촉하도록 로봇 핸드(100)를 제어한다(610)(도 7(D) 참조). 이후 물체(110)를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일정 크기의 힘을 발생시켜서 물체(110)를 파지한다(612).
이와 같이, 로봇 핸드(100)를 이용하여 물체(110)를 파지할 때 손바닥(102)과 복수의 손가락(104)을 동시에 물체(110)에 접촉시켜 파지하면 순차적으로 접촉시킬 때 보다 더 신속하게 물체(110)를 파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되는 로봇 핸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로봇 핸드(100)에게 주어진 작업은 로봇 핸드(100)의 크기에 비해 매우 작은 물체(110)를 파지(grip)하는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체(110)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로봇 핸드(100) 전체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손가락(104)의 말단 마디(108b)만으로도 충분히 파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두 개의 손가락(104)의 말단 마디(108b)만으로도 물체(110)를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손가락(104)의 말단 마디(104b)에 설치되어 있는 거리 센서(108)만을 이용하여 물체(1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봇 핸드(100)를 물체(110)에 접근하기 위한 이동 경로인 파지 경로를 생성한다(802). 이 파지 경로는 미리 제공되는 로봇 핸드(100)에 대한 물체(110)의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다. 이 파지 경로를 따라 로봇 핸드(100)가 물체에 접근하도록 팔(112)을 제어한다(804).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에 접근하면, 로봇 핸드(100)의 복수의 손가락(104) 각각의 말단 마디(104b)의 거리 센서(108)와 물체(110)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팔(112)과 로봇 핸드(100)를 제어한다(806). 팔(112)의 제어에 따라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에 접근하더라도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를 파지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즉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봇 핸드(100)와 물체(110)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면 측정 거리(902)와 또 다른 측정 거리(904)는 그 크기가 서로 다르다(즉, 거리 902 < 거리 904). 이를 통해 로봇 핸 드(100)는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110)가 로봇 핸드(100)의 중심부 즉 복수의 손가락(104)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한 쪽(측정 거리 902 쪽)으로 치우쳐 있음을 인지한다. 정확한 물체(110)의 파지를 위해서는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110)가 로봇 핸드(100)의 복수의 손가락(104)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9(B)와 같이 복수의 손가락(104) 사이의 중앙에 물체(110)가 위치할 수 있도록 로봇 핸드(100)의 위치 및 복수의 손가락(104) 각각의 자세를 제어한다.
물체(110)의 실질적인 파지를 위해 복수의 손가락(104) 각각의 말단 마디(104b)를 균일한 거리와 속도로 물체(110)에 접근시킨다(808)(도 9(C) 참조). 복수의 손가락(104)의 말단 마디(104b) 모두가 물체(110)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물체(110)와의 거리를 점차 줄여나간다. 복수의 손가락(104)의 말단 마디(104b)가 물체(110)에 매우 근접하면, 복수의 손가락(104)의 말단 마디(104b) 모두가 동시에 물체(110)에 접촉하도록 로봇 핸드(100)를 제어한다(810)(도 9(D) 참조). 이후 물체(110)를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일정 크기의 힘을 발생시켜서 물체(110)를 파지한다(812).
이와 같이,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110)가 매우 작은 경우에는, 로봇 핸드(100) 전체를 이용하여 물체(110)를 파지하기보다는, 복수의 손가락(104) 각각의 말단 마디(104b)만을 이용함으로써 거리 센서(108)의 사용 빈도와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비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로봇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로봇(1002)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로봇 핸드(100)와 팔(110)을 구비한다. 거기에 더하여 로봇(1002)의 주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영상 장치인 비전 시스템(1004)을 더 구비한다. 특히 비전 시스템(1004)은 로봇 핸드(100)에 대한 물체(110)의 상대 위치를 획득하여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에 접근하기 위한 경로를 확보하는데 이용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로봇 핸드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리 센서(106, 108)는 거리 센서(106, 108)와 물체(110) 사이의 거리 정보를 측정하여 아날로그 거리 신호(1102)를 발생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 Converter)(1104)는 이 아날로그 거리 신호(1102)를 디지털 거리 값(1102b)으로 변환하여 연산부(1106)의 모션 생성부(1108)로 전송한다. 접촉 센서(108c, 108e)는 접촉 센서(108c, 108e)와 물체(110)의 접촉 여부에 따라 온/오프 형태의 디지털 접촉 신호(1110)를 발생시켜 연산부(1106)의 모션 생성부(1108)로 전송한다. 만약 접촉 센서(108c, 108e)가 단순한 접촉 여부뿐만 아니라 접촉 시 발생하는 가압력의 크기도 측정하는 경우에는, 접촉 센서(108c, 108e)는 물체(110)와 접촉할 때의 가압력의 크기를 대표하는 아날로그 가압력 신호를 발생시키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04)가 이 아날로그 가압력 신호를 디지털 가압력 값으로 변환하여 연산부(1106)의 모션 생성부(1108)로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비전 시스템(1004)은 로봇(1002) 주변의 영상 정보(1124), 특히 로봇 핸드(100)에 대한 물체(110)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영상 정보(1124)는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로봇 핸드(100)를 물체(110)까지 접근시키는데 이용된다.
모션 생성부(1108)는 로봇(1002) 주변의 영상 정보(1124)와 디지털 거리 값(1102b), 디지털 접촉 신호(1110)를 바탕으로 로봇 핸드(100)와 팔(112)의 목표 모션을 계획하여 해당 정보를 모션 제어부(1112)에 전송한다. 목표 모션은 로봇 핸드(100)에 지시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로봇 핸드(100)가 취해야 할 모션이다. 모션 제어부(1112)는 계획된 목표 모션의 정보를 수신하여 로봇 핸드(100)와 팔(손목 관절 포함)(112)을 제어하기 위한 목표 제어 입력(1122)을 생성한다. 여기서 목표 제어 입력(1122)은 모터의 목표 속도와 목표 토크를 포함한다. 모션 제어부(1112)가 생성하는 목표 제어 입력(1122)은 팔 구동부(1114)를 통한 팔 관절 모터(1116)의 제어와 손가락 구봉부(1118)를 통한 손가락 관절 모터(1120)의 제어에 이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로봇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특히 비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로봇 핸드(100)에 대한 물체(110)의 상대 위치를 파악하고, 이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로봇 핸드(100)를 물체(110)에 접근시키기 위한 파지 경로를 확보하는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전 시스템(1004)을 이용하여 로봇(1002) 주변의 영상을 획득한다(1202). 모션 생성부(1108)는 로봇(1002) 주변의 영상으로부터 로봇 핸드(100)에 대한 물체(110)의 상대 위치를 파악하고(1204), 이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에 접근하기 위한 파지 경로를 생성한다(1206). 파지 경로가 생성되면, 이 파지 경로를 따라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에 접근하도록 팔(112)을 제어한다(1208). 로봇 핸드(100)가 물체(110)에 접근하면 로봇 핸드(100)가 물 체(110)에 접촉하도록 팔(112)과 로봇 핸드(100)를 제어한다(1210). 이 접촉은 손바닥(102)과 복수의 손가락(104)에 설치되는 거리 센서(106, 108)와 접촉 센서(108c, 108e)의 측정 결과를 이용한다. 이후 물체(110)를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일정 크기의 힘을 발생시켜서 물체(110)를 파지한다(1212).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봇 핸드(100)에 설치되는 복수의 거리 센서(108)를 이용하면 물체(1310a, 1310b)의 모양을 파악할 수 있다. 로봇 핸드(100)의 손바닥(102)에 대한 복수의 손가락(104)의 상대적 각도(θ1, θ2, θ3)가 일정하고 그 각도를 미리 알고 있을 때, 복수의 거리 센서(108) 각각에서 검출되는 거리 값은 물체(1310a, 1310b)의 모양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되므로, 로봇 핸드(100)의 손바닥(102)에 대한 복수의 손가락(104)의 상대적 각도(θ1, θ2, θ3)가 미리 정해진 각도가 되도록 로봇 핸드(100)를 제어하고, 이 때 복수의 거리 센서(108) 각각에서 검출되는 거리 값 통해 물체(1310a, 1310b)의 모양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핸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로봇 핸드에 설치되는 거리 센서와 접촉 센서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로봇 핸드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도 4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되는 로봇 핸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6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되는 로봇 핸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도 8의 제어 방법에 따라 제어되는 로봇 핸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비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로봇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로봇 핸드의 제어 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로봇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로봇 핸드
102 : 손바닥
104 : 손가락
106, 108, 108b, 108d : 거리 센서
108c, 108e : 접촉 센서
110 : 물체
112 : 팔(arm)

Claims (29)

  1. 손바닥과, 복수의 마디를 구비하고 상기 손바닥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을 갖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에 설치되는 제 1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물체까지의 제 1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손가락에 설치되는 제 2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까지의 제 2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1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손바닥을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고;
    상기 제 2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손가락을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며;
    상기 손바닥과 상기 복수의 손가락을 상기 물체에 접촉시켜 상기 물체를 파지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손가락을 기저 마디에서 말단 마디의 순서로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과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기저 마디 및 말단 마디를 균일한 거리와 속도로 동시에 물체에 접근시키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을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기에 앞서 상기 물체가 상기 로봇 핸드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봇 핸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을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기에 앞서, 파지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파지 경로를 따라 상기 로봇 핸드를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일정 크기의 힘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로봇 핸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거리를 측정할 때 상기 제 1 거리 센서와 상기 제 2 거리 센서를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동작시켜서 상기 제 1 거리 센서와 상기 제 2 거리 센서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8. 손바닥과, 복수의 마디를 구비하고 상기 손바닥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을 갖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에 설치되는 제 1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물체까지의 제 1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손가락의 말단 마디에 설치되는 제 2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까지의 제 2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1 거리 센서와 상기 제 2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말단 마디를 균일한 거리와 속도로 동시에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고;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말단 마디를 상기 물체에 접촉시켜 상기 물체를 파지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말단 마디를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기에 앞서,
    상기 물체가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말단 마디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로봇 핸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말단 마디를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기에 앞서,
    파지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파지 경로를 따라 상기 로봇 핸드를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를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일정 크기의 힘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로봇 핸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거리를 측정할 때 상기 제 1 거리 센서와 상기 제 2 거리 센서를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동작시켜서 상기 제 1 거리 센서와 상기 제 2 거리 센서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13. 손바닥과, 복수의 마디를 구비하고 상기 손바닥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을 갖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에 설치되는 제 1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물체까지의 제 1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손가락에 설치되는 제 2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까지의 제 2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 1 거리 센서와 상기 제 2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거리 센서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의 모양을 판단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핸드의 현재 위치와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된 거리 정보로부터 상기 물체의 모양을 판단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핸드의 자세는 상기 손바닥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상대적인 방향과 각도에 의해 정의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거리를 측정할 때 상기 복수의 거리 센서 각각을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동작시켜서 상기 복수의 거리 센서 각각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17. 손바닥과;
    복수의 마디를 구비하고 상기 손바닥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과;
    상기 손바닥에 설치되어 거리를 측정하는 제 1 거리 센서와;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거리를 측정하는 제 2 거리 센서와;
    상기 제 1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손바닥을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고, 상기 제 2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손가락을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며, 상기 손바닥과 상기 복수의 손가락을 상기 물체에 접촉시켜 상기 물체를 파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로봇 핸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과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접촉 센서를 더 포함하는 로봇 핸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와 상기 접촉 센서가 하나의 센서 모듈로 통합되어 설치되는 로봇 핸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이 피에조 필름으로 만들어지는 로봇 핸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가 상기 로봇 핸드의 표피 아래에 매립되는 로봇 핸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가 상기 로봇 핸드의 상기 표피 아래의 일정 깊이에 매립되는 로봇 핸드.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각각을 이루는 상기 복수의 마디는 기저 마디와 말단 마디를 포함하는 로봇 핸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가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상기 기저 마디와 상기 말단 마디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로봇 핸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디가 상기 기저 마디와 상기 말단 마디 사이의 중간 마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 센서가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각각의 상기 기저 마디와 상기 중간 마디, 상기 말단 마디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로봇 핸드.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리 센서가 원거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거리 센서가 근거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로봇 핸드.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가 초음파 센서와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위치 검출 장치(PSD) 가운데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로봇 핸드.
  28. 손바닥과, 복수의 마디를 구비하고 상기 손바닥에 연결되는 복수의 손가락과, 상기 손바닥에 설치되어 거리를 측정하는 제 1 거리 센서, 상기 복수의 손가락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거리를 측정하는 제 2 거리 센서로 이루어지는 로봇 핸드와;
    상기 로봇 핸드가 자유도를 갖도록 연결되는 팔(arm)과;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장치와;
    상기 제 1 거리 센서 및 상기 제 2 거리 센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 핸드와 상기 팔을 제어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영상 장치를 이용한 상기 로봇 핸드와 물체 사이의 거리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 핸드를 상기 물체에 접근시키고;
    상기 제 1 거리 센서 및 상기 제 2 거리 센서를 이용한 상기 로봇 핸드와 상기 물체 사이의 거리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물체를 파지하도록 상기 로봇 핸드를 제어하는 로봇.
  29. 삭제
KR20080043773A 2008-05-13 2008-05-13 로봇과 로봇 핸드,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Active KR10147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3773A KR101479232B1 (ko) 2008-05-13 2008-05-13 로봇과 로봇 핸드,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US12/382,122 US8260458B2 (en) 2008-05-13 2009-03-09 Robot, robot hand, and method of controlling robot hand
JP2009066991A JP5607888B2 (ja) 2008-05-13 2009-03-18 ロボット、ロボットハンド及びロボットハンド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3773A KR101479232B1 (ko) 2008-05-13 2008-05-13 로봇과 로봇 핸드,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153A KR20090118153A (ko) 2009-11-18
KR101479232B1 true KR101479232B1 (ko) 2015-01-06

Family

ID=4131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3773A Active KR101479232B1 (ko) 2008-05-13 2008-05-13 로봇과 로봇 핸드,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60458B2 (ko)
JP (1) JP5607888B2 (ko)
KR (1) KR1014792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592A1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다우에프에이 형상적응형 전기접착 그리퍼
KR20190098100A (ko) * 2019-08-01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핸드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56501A (ko) 2020-06-18 2021-12-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핑거팁 센서모듈과, 이를 구비한 로봇핸드 및 이를 이용한 파지 방법
KR20240079516A (ko) 2022-11-29 2024-06-0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시촉각 센서, 상기 시촉각 센서를 포함하는 로봇 그리퍼 및 상기 로봇 그리퍼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022B2 (en) * 2015-12-18 2018-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rake bleeding
JP4316630B2 (ja) * 2007-03-29 2009-08-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ロボ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ロボットの制御プログラム
US8515579B2 (en) * 2009-12-09 2013-08-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handling an object with a gripper
JP5528095B2 (ja) * 2009-12-22 2014-06-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その制御装置及び方法
JP2011177863A (ja) * 2010-03-03 2011-09-15 Ihi Corp 把持装置
JP5545052B2 (ja) * 2010-06-10 2014-07-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動アクチュエーター
JP5505138B2 (ja) * 2010-07-05 2014-05-28 株式会社安川電機 ロボット装置およびロボット装置による把持方法
JP5648353B2 (ja) * 2010-07-23 2015-01-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およびロボット
JP5681416B2 (ja) * 2010-09-06 2015-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距離測定装置、非接触式脈拍測定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685027B2 (ja) * 2010-09-07 2015-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物体把持システム、ロボット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物体把持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43926B1 (ko) * 2010-09-20 201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101308373B1 (ko) 2010-11-17 2013-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제어방법
KR101761314B1 (ko) * 2010-12-03 2017-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 로봇 및 그 제어방법
US8777818B1 (en) * 2010-12-22 2014-07-15 Larry E. Tate, Jr. Training device
JP5993539B2 (ja) * 2011-01-06 2016-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及びロボット
FR2972384B1 (fr) * 2011-03-07 2013-03-1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ctionneur robotique mobile et procede de guidage d'un tel actionneur
JP2013091114A (ja) * 2011-10-05 2013-05-16 Kyokko Denki Kk インタラクション操作システム
US8424938B1 (en) * 2011-10-13 2013-04-23 Institute Of Nuclear Energy Research Hoist device with leveling and disengagement mechanism
JP5516548B2 (ja) * 2011-11-01 2014-06-11 株式会社デンソー 把持用センサ及びロボットハンド駆動制御装置
JP5942403B2 (ja) * 2011-12-06 2016-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圧電モーター、駆動装置、電子部品検査装置、電子部品搬送装置、印刷装置、ロボットハンド、およびロボット
KR101896473B1 (ko) * 2012-01-04 2018-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JP5516612B2 (ja) * 2012-01-24 2014-06-11 株式会社安川電機 ロボットシステム
JP5929271B2 (ja) 2012-02-07 2016-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およびロボット
US9120233B2 (en) 2012-05-31 2015-09-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Non-contact optical distance and tactile sensing system and method
WO2014025817A1 (en) * 2012-08-06 2014-02-13 Beckman Coulter, Inc. Sensing specimen gripper
JP5620445B2 (ja) * 2012-09-13 2014-11-0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選択条件に基づいてロボットの保持位置姿勢を決定する物品取出装置
WO2014129110A1 (ja) * 2013-02-25 2014-08-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ロボット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ロボット用制御プログラム
JP6454960B2 (ja) * 2013-10-31 2019-01-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ロボットシステム、ロボット制御装置
CA2933095A1 (en) * 2014-02-20 2015-08-27 Mark Oleynik Methods and systems for food preparation in a robotic cooking kitchen
JP2015226968A (ja) * 2014-06-02 2015-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ロボット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6459227B2 (ja) 2014-06-02 2019-0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
JP6468871B2 (ja) * 2015-02-03 2019-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制御方法及びロボット装置
JP6543951B2 (ja) * 2015-02-18 2019-07-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圧電駆動装置、ロボット、及び、それらの駆動方法
JP6485118B2 (ja) * 2015-03-04 2019-03-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圧電駆動装置及びロボット
CN105196304B (zh) * 2015-11-11 2017-03-0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可折展机械手掌
KR101715155B1 (ko) * 2015-11-20 2017-03-15 우성오토콘(주) 스택 그리퍼 장치
US9669543B1 (en) * 2015-12-11 2017-06-06 Amazon Technologies, Inc. Validation of robotic item grasping
WO2017154254A1 (ja) * 2016-03-10 2017-09-14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把持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ハンドの制御方法
JP6514156B2 (ja) * 2016-08-17 2019-05-1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制御装置
JP6879736B2 (ja) * 2016-12-28 2021-06-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
CN107186756A (zh) * 2017-06-16 2017-09-22 北京理工大学 一种用于五指灵巧手自适应预抓取的接近觉传感网
CN107139192A (zh) * 2017-06-16 2017-09-08 北京理工大学 一种用于五指灵巧手自适应抓取的触滑觉传感网
US10814494B2 (en) * 2017-09-26 2020-10-27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Robotic gripper fingers
US10464217B1 (en) * 2017-09-29 2019-11-05 Traptic, Inc. Robotic gripper with driven belts
JP6900290B2 (ja) * 2017-10-03 2021-07-07 株式会社ダイヘン ロボットシステム
JP6902208B2 (ja) * 2017-11-14 2021-07-14 オムロン株式会社 把持方法、把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185986B2 (en) * 2017-11-17 2021-11-30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obotic fingertip design and grasping on contact primitives
US10682774B2 (en) 2017-12-12 2020-06-16 X Development Llc Sensorized robotic gripping device
US10792809B2 (en) * 2017-12-12 2020-10-06 X Development Llc Robot grip detection using non-contact sensors
WO2019176809A1 (ja) * 2018-03-14 2019-09-19 日本電産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ロボット
US11148295B2 (en) * 2018-06-17 2021-10-19 Robotics Materials, Inc. Systems, devices, components, and methods for a compact robotic gripper with palm-mounted sensing, grasping, and computing devices and components
WO2020010328A1 (en) * 2018-07-05 2020-01-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Multi-modal fingertip sensor with proximity, contact, and force localization capabilities
JP2020049642A (ja) * 2018-09-28 2020-04-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
US10787259B2 (en) * 2018-11-08 2020-09-29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Compliant bistable gripper for aerial perching and grasping
JP6940472B2 (ja) * 2018-11-16 2021-09-2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ーク把持ハンド、ハンド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システム
EP3917864A4 (en) * 2019-01-31 2022-10-26 Righthand Robotics, Inc. GRIP DEVICE MODALITIES
CN112672861B (zh) * 2019-03-22 2024-06-04 欧姆龙株式会社 机械手、机械手控制方法及程序
DE102019206010A1 (de) * 2019-04-26 2020-10-29 Kuka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r Überwachung einer Roboteranordnung
CN110170994B (zh) * 2019-04-29 2020-10-27 清华大学 一种用于机械手抓取任务的触觉伺服控制方法
JP7260877B2 (ja) * 2019-05-21 2023-04-19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ロボットハンド、ロボットハンドの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EP3748364B1 (en) * 2019-06-05 2023-05-24 Roche Diagnostics GmbH Gripping device for handling sample containers and analytical instrument
EP3981561A4 (en) * 2019-06-06 2023-01-11 OMRON Corporation Tactile sensor, robot hand, and robot
WO2020261881A1 (ja) * 2019-06-27 2020-12-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エンドエフェクタ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ンドエフェクタの制御方法
US20210086364A1 (en) * 2019-09-20 2021-03-25 Nvidia Corporation Vision-based teleoperation of dexterous robotic system
KR20210063975A (ko) * 2019-11-25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DE102019220598A1 (de) * 2019-12-30 2021-07-01 Robert Bosch Gmbh Sensorvorrichtung, Greifvorrichtung, Verfahren und Steuereinheit für eine Greifvorrichtung
US11584026B2 (en) 2020-02-17 2023-02-21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Robot arm assemblies including fingers having deformable sensors
KR102265155B1 (ko) * 2020-03-02 2021-06-1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센싱 그리퍼 및 그 제조방법
CN111632285B (zh) * 2020-05-28 2022-05-03 杜颖 一种关节痛风治疗装置
WO2022004270A1 (ja) * 2020-06-29 2022-01-0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およびマニピュレータ
KR20220011464A (ko) * 2020-07-21 2022-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3076A (ko) * 2020-07-24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장치
EP4190514A4 (en) * 2020-08-03 2024-01-17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971604B1 (en) * 2020-09-17 2023-04-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Prosthetic hand
CN112223339A (zh) * 2020-10-16 2021-01-15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盐城供电分公司 一种自动夹取的机械手及其控制方法
US12023800B2 (en) * 2020-12-28 2024-07-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bot hand, robot arm, and robot
JP7706893B2 (ja) * 2021-02-05 2025-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ロボットシステムの制御方法、ロボットシステムを用いた物品の製造方法、ロボットハンド、ロボットハンド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IT202100008006A1 (it) * 2021-03-31 2022-10-01 Fondazione St Italiano Tecnologia Metodo di controllo di una pinza di presa
US12304088B2 (en) 2021-05-06 2025-05-20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deformable sensors
KR102559105B1 (ko) * 2021-10-20 2023-07-26 한국과학기술원 로봇 손 시스템 및 로봇 손 제어 방법
JP7703996B2 (ja) * 2021-10-21 2025-07-08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
WO2023100667A1 (ja) * 2021-12-01 2023-06-0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把持装置及び把持方法
KR102735674B1 (ko) * 2021-12-10 2024-11-28 주식회사 비트코퍼레이션 로봇 핸드 파지물 검지 장치 및 검지 방법
FR3130966B1 (fr) * 2021-12-20 2024-04-2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apteur piezoelectrique pour detecter une distance, une force et un glissement d’un objet
CN114734454B (zh) * 2022-03-18 2024-02-02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软体机器手臂运动方法、装置及软体机器人
CN115282588A (zh) * 2022-08-09 2022-11-04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抓握动作检测方法、交互方法及手持设备
KR102767057B1 (ko) * 2023-11-23 2025-02-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학식 촉각센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0626A (en) * 1989-08-10 1990-12-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robotic end effector
US5501498A (en) * 1988-08-31 1996-03-26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ethods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intelligent grasping
GB2404250A (en) * 2003-07-25 2005-01-26 Shih-Hsiung Li Vehicular obstacle detection system with ultrasonic sensors connected to firing sequence controller through data bus
US20060012197A1 (en) * 2003-12-30 2006-01-19 Strider Labs, Inc. Robotic hand with extendable pal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8348A (en) * 1983-05-27 1986-05-13 At&T Bell Laboratories Robotic system utilizing a tactile sensor array
JPS63256383A (ja) * 1987-04-13 1988-10-24 富士通株式会社 ロボツトの制御方法
JPH05131387A (ja) * 1991-11-08 1993-05-28 Toshiba Corp ロボツトハンド用掌感圧センサ
JPH0781482B2 (ja) * 1991-07-18 1995-08-30 鹿島建設株式会社 地中連続壁壁面形状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H06335887A (ja) * 1993-05-28 1994-12-06 Sanyo Electric Co Ltd ロボットハンドによる把持対象物の認識方法
JP2849056B2 (ja) * 1995-07-23 1999-01-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位置決め部を有する把持装置
JPH09183087A (ja) * 1995-12-28 1997-07-15 Komatsu Ltd 作業ロボット装置
JP4323056B2 (ja) * 2000-04-04 2009-09-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多指ハンド装置の制御装置
AU2003278994A1 (en) * 2002-09-26 2004-04-19 Barrett Technology, Inc. Intelligent, self-contained robotic hand
JP2004138481A (ja) * 2002-10-17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位置測定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ロボット
KR100559106B1 (ko) 2003-06-10 2006-03-10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대상물 탐지식 로봇 그리퍼
JP4578438B2 (ja) * 2006-05-31 2010-1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ボット装置
US7701202B2 (en) * 2006-11-02 2010-04-2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mpliant tactile sensor that delivers a force vector
WO2008058061A2 (en) * 2006-11-03 2008-05-15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Robust compliant adaptive gras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498A (en) * 1988-08-31 1996-03-26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ethods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intelligent grasping
US4980626A (en) * 1989-08-10 1990-12-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robotic end effector
GB2404250A (en) * 2003-07-25 2005-01-26 Shih-Hsiung Li Vehicular obstacle detection system with ultrasonic sensors connected to firing sequence controller through data bus
US20060012197A1 (en) * 2003-12-30 2006-01-19 Strider Labs, Inc. Robotic hand with extendable pal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592A1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다우에프에이 형상적응형 전기접착 그리퍼
KR20190098100A (ko) * 2019-08-01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핸드 및 그 제어방법
KR102220191B1 (ko) 2019-08-01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핸드 및 그 제어방법
US11279024B2 (en) 2019-08-01 2022-03-22 Lg Electronics Inc. Hand of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56501A (ko) 2020-06-18 2021-12-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핑거팁 센서모듈과, 이를 구비한 로봇핸드 및 이를 이용한 파지 방법
US11633850B2 (en) 2020-06-18 2023-04-2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actile sensor module for robot-hand and grasp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40079516A (ko) 2022-11-29 2024-06-0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시촉각 센서, 상기 시촉각 센서를 포함하는 로봇 그리퍼 및 상기 로봇 그리퍼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85664A1 (en) 2009-11-19
KR20090118153A (ko) 2009-11-18
JP2009274204A (ja) 2009-11-26
JP5607888B2 (ja) 2014-10-15
US8260458B2 (en) 201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232B1 (ko) 로봇과 로봇 핸드, 로봇 핸드의 제어 방법
US9120233B2 (en) Non-contact optical distance and tactile sensing system and method
Schlegl et al. Virtual whiskers—Highly responsive robot collision avoidance
US10480923B2 (en) Sensor apparatus and robot system having the sensor apparatus
CN107924175B (zh) 用于确定工作偏移的系统和方法
KR100834761B1 (ko) 이동 로봇의 자기 위치 인식 방법 및 장치
JP2004212400A (ja) ロボット用位置方向推定システム
CN110856932B (zh) 干涉回避装置以及机器人系统
WO2018230517A1 (ja) 作業システム
Wistort et al. Electric field servoing for robotic manipulation
US9827670B1 (en) Coaxial finger face and base encoding
WO2019209423A1 (en) Architecture and methods for robotic mobile manipulation system
CN112643682B (zh) 示教方法
JP2001050741A (ja) ロボット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及び装置
CN110480628A (zh) 机器人、控制装置以及机器人控制方法
KR20200034608A (ko) 수술 지원 장치, 그 제어 방법, 그리고 수술 지원 시스템
WO20170365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robot program with a hand-held teaching device
KR101740898B1 (ko) 로봇 교시 장치
JP2020127995A (ja) ロボットシステム、ロボット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ロボットコントローラー
JP2014188642A (ja) 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制御方法
JP2016078185A (ja) ロボット
Guo et al. Using RFID in localization for indoor navigation of mobile robots
Zug et al. Optimized configuration of a tactile sensor system for flexible grippers
Wu et al. Soft Growing Robot Explore Unknown Environments Through Obstacle Interaction
JP3959376B2 (ja) 物体検出装置および物体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5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