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864B1 -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 Google Patents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8864B1 KR101478864B1 KR1020107016756A KR20107016756A KR101478864B1 KR 101478864 B1 KR101478864 B1 KR 101478864B1 KR 1020107016756 A KR1020107016756 A KR 1020107016756A KR 20107016756 A KR20107016756 A KR 20107016756A KR 101478864 B1 KR101478864 B1 KR 1014788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waist
- back side
- end portion
- outer shee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9278 visc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4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6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7
- 229920000247 superabsorben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209 synthet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1090 Papaver somnifer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753 Papaver somnife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50 melt-blown nonwov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64 tensil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34 Spand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4 cellulose-based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XKDSDJJOVIHMX-UHFFFAOYSA-N edropho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N+](C)(C)C1=CC=CC(O)=C1 BXKDSDJJOVI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44 fore-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8 graft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48 hind-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2 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05 prev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2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27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9 spand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9 starch-based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56 test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분한 시일 강도의 확보와 벗기기 용이성을 양립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배측 외장 시트(12F)와 등측 외장 시트(12B)가 고간측에서 연속되어 있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며, 양 외장 시트(12F, 12B)는 허리측 접음 부분(21)과 고간측 접음 부분(22)을 가지며, 이들 허리측 접음 부분(21)의 고간측 끝가장자리와, 고간측 접음 부분(22)의 허리측 끝가장자리가 일치하고 있으며, 사이드 시일부(12A) 중, 허리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와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가 동일하고, 또한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가, 허리측 단부 및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적층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적은 구조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securing sufficient seal strength and facilitating peeling.
The back side outer sheet 12F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12B are not continuou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ide of the proximal side and the two side sheets 12F and 12B are provided with the waist side folding portion 21 and the distal side folding portion 22 Side end portions of the back side folding portion 21 and the waist side end edges of the high-density side folding portion 22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sheet-like air permeability at the waist side end portion of the side seal portion 12A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s of the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 12 in the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high-gap side end portion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 ,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high-gap side end portion of the diap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액투과성 표면 시트와 이면측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되어 이루어지며, 양측부에 다리 둘레 게더를 갖추고, 등측에서 고간부를 지나 배측까지 덮도록 형성된 내장체와, 이 내장체의 외면에 붙여져 몸통 둘레 및 고간부를 덮도록 형성된 외장 시트로 이루어지며,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등측 부분의 양측부와 배측 부분의 양측부가 각각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되어 사이드 시일부가 형성되고, 허리 개구부 및 다리 개구부가 미리 형성된 팬츠형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특허문헌 1∼8 참조).A disposable diaper having a pants shape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bsorbent body is interposed between a liquid permeable top sheet and a back sheet and includes a built-in body which is provided on both sides with a girth around the legs and covers the back side from the back side,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back side portion and the back side portion of the back side portion of the outer sheet are bonded to each other by heat sealing to form the side seal portion, (See
이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예컨대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 외장 시트(12F, 12B)를 복수 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 21, 22)의 접합에 의해 형성하는 동시에, 시트형 통기성 자재(12, 21, 22) 사이에 실고무 등의 탄성 신축 부재(15∼19)를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에서 협지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구조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층간 접합은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 혹은 히트 시일이나 초음파 시일에 의한 용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this pants-type disposable diap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5, the
또한, 배설 후 등에 기저귀를 벗길 때,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등측 부분과 배측 부분을 당겨 벗겨내어, 신체로부터 제거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 시일부에는, 장착 중에 찢어지지 않을 시일 강도뿐만 아니라, 사용 후의 벗기기 용이성도 요구되고 있어, 종래부터 여러 가지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Further, when the diaper is peeled off after being put out, since the back side portion and the back side side portion of the side seal portion are pulled off and removed from the body, the side seal portion is provided with not only the seal strength not to be torn during mounting, It is required to be easily peeled off, and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heretofore.
그러나, 종래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외장 시트 전체가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되고 있음에 기인하여, 통기성이나 유연성이 저하되고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ull-on disposable diaper, air permeability and flexibility have been lowered due to the fact that the entire outer sheet is formed by joining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또한, 사이드 시일(seal)부는, 부직포 등의 시트형 자재가 복수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이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가 사이드 시일부의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에서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한 쪽의 용착이 지나치게 강하게 되어 당겨 벗기기가 곤란하게 되거나, 어느 한 쪽의 용착이 지나치게 약해져 사용 중에 의도하지 않은 박리가 발생하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the side seal portion is a portion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like materials such as nonwoven fabric and the number of layers of the sheet-like material is different at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high-gap side end portion of the side seal por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becomes difficult to peel off, and either one of the welds becomes excessively weak and unintended peeling occurs during use.
예컨대,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팬츠형 종이기저귀에 있어서는, 촉감을 좋게 할려는 등의 목적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시트형 자재(12)의 허리측 단부를 가장 내면측으로 되접어, 시트형 자재(12)의 끝가장자리를 덮어서 숨기고 있지만, 이 경우, 사이드 시일부의 상측 부분(도 25(b)의 상측 부분)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12)의 적층수가 하측 부분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12)의 적층수보다도 많아지기 때문에, 사이드 시일부의 상측 부분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용착된다. 즉, 사이드 시일부의 상측 부분이 적절하게 용착되도록 제조하면, 하측 부분의 용착이 불충분하게 되어, 다리 둘레에 가해지는 강한 힘에 의해 시일이 벗겨질 우려가 있고, 하측 부분의 용착이 적절하게 되도록 제조하면, 상측 부분의 용착이 강하게 되어, 사용 후에 당겨 벗기기가 거의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적절한 조건 설정이 매우 곤란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5, in the conventional pants-type paper diaper, the waist side end portion of the sheet-
더욱이,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각 특허문헌에 기재되는 용착 패턴의 변경으로는 해결이 곤란하였다. Furthermore, such a problem has been difficult to solve by changing the welding pattern described in each of the aforementioned patent documents.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외장 시트에 있어서 피트성 저하를 억제하면서 통기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또한, 다른 과제는, 사이드 시일부에 충분한 시일 강도의 확보와 벗기기 용이성을 양립시키고, 촉감을 좋게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a princip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air permeability and flexibility while suppressing deterioration of fit performance in an outer she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seal portion with sufficient seal strength and ease of peeling, and to improve the feeling of wearing by improving the feeling of touch.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olves the above problems is as follows.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 <Invention according to
배측 외장 시트의 양측부와, 등측 외장 시트의 양측부가 접합되어 형성된 통 형상의 몸통 둘레부와, A tubular waist portion formed by joining both side portions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상기 배측 외장 시트 내면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기 등측 외장 시트 내면의 폭 방향 중앙부까지에 걸쳐 형성된, 배설물을 흡수하는 내장체를 구비하고, And a built-in body for absorbing excretion formed from a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to a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상기 배측 외장 시트와 등측 외장 시트가 고간측에서 연속되어 있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Wherein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are not continuous on the side of the back sid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상기 배측 외장 시트 및 등측 외장 시트는, 상기 접합되는 사이드 시일부와 동일한 상하 방향 범위에, 위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허리측 단부, 몸통 둘레 상단부, 몸통 둘레 중간부 및 몸통 둘레 하단부를 갖고 있고,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have a waist side end portion, a waist circumference upper end portion, a waist circumference middle portion, and a waist circumference lower end sequentially from above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range as the side seal portion to be joined,
상기 배측 외장 시트 및 등측 외장 시트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허리측 단부 및 몸통 둘레 하단부가, 복수 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이들 시트형 통기성 자재 사이에 탄성 신축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협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몸통 둘레 상단부 및 몸통 둘레 중간부의 적어도 한 쪽이,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갖고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At least one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Like waist-side end portion and the waist-surrounding lower end portion are formed by joining of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is sandwiched and fixed between these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in a stretched state along the width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upper end and the waist middle portion is made of a single sheet of air permeable material and does not have an elastic stretchable member and an adhesive for fixing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작용 효과)(Action effect)
본 발명에서는, 배측 외장 시트 및 등측 외장 시트의 적어도 한 쪽은, 몸통 둘레 상단부 및 몸통 둘레 중간부의 적어도 한 쪽이,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통기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게 된다. 더구나, 이 배측 외장 시트 및 등측 외장 시트의 적어도 한 쪽에 있어서의 허리측 단부 및 몸통 둘레 하단부는, 복수 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이들 시트형 통기성 자재 사이에 탄성 신축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협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최저한 필요하게 되는 허리 둘레 및 다리 둘레의 피트성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at least one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at least one of the waist upper end and the waist middle portion is formed of a single sheet of air permeable material, and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and the adhesive for fixing the elastic sheet are provided The air permeability and the flexibility are excellent. Further,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waist surrounding lower end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back side facing sheet and the back side facing sheet are formed by joining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elastic stretchable members are arranged between the sheet- The waist circumference and the pawl perimeter necessary for the pants-type disposable diaper can be sufficiently secured.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 <Invention according to
상기 배측 외장 시트 및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허리측 단부 및 몸통 둘레 하단부는, 복수 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이들 시트형 통기성 자재 사이에 탄성 신축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협지 고정되어 있고,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waist circumferential lower end portion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are formed by joining a plurality of sheets of air permeable material and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is stretched between the sheet air permeable materi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State,
상기 배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상단부 및 상기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중간부는,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갖고 있지 않는 청구항 1에 기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he waist-surrounding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ack waist circumference upper end portion and the back waist circumference upper portion of the back side facing sheet is made of a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 having a single layer and does not have an elastic stretching member and an adhesive for fixing the same. A disposable pull-on diaper comprising: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경우, 배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상단부 및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중간부는,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통기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게 된다. 더구나, 배측 외장 시트 및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허리측 단부 및 몸통 둘레 하단부가, 복수 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이들 시트형 통기성 자재 사이에 탄성 신축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협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최저한 필요하게 되는 허리 둘레 및 다리 둘레의 피트성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waist-surrounding upper half portion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waist surrounding middle portion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re made of a single sheet of air-permeable material and do not have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and the adhesive for fixing the same, Flexibility is excellent. In addition,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waist circumference lower end portion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are formed by joining the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of plural layers, and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s are stretched along the width dir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padding of the waist circumference and the perimeter of the pants-type disposable diaper.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 <Invention according to
상기 등측 외장 시트는, 상기 사이드 시일부와 동일한 상하 방향 범위의 아래쪽으로 뻗어나가는 등측 연장부를 갖고 있고, 이 등측 연장부는, 상기 내장체와 겹치는 폭 방향 중앙부와, 그 양측으로 뻗어나간 둔부 커버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등측 연장부는, 복수 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이들 시트형 통기성 자재 사이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둔부 커버부에 탄성 신축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협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배측 외장 시트의 상기 몸통 둘레 하단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수축력이, 상기 등측 외장 시트의 상기 몸통 둘레 하단부 및 등측 연장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수축력보다 강한 청구항 2에 기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he shoulder extension portion has a widthwise center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inner body and a buttock cover port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cover portion. Wherein the shoulder extension portion is formed by joining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of plural layers, and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is held and fixed at least in the buttock cover portion between these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in a state elonga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 And the contraction force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trunk periphery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is greater than the contraction for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trunk circumference and the extension at the back side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
(작용 효과)(Action effect)
등측 외장 시트에는, 사이드 시일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뻗어나가는 등측 연장부를 형성하면, 이 부분의 양측 부분인 둔부 커버부에 의해 둔부 아래쪽의 양측부를 덮어서 숨길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연장부의 양측부가 돌돌 말아 올라가지 않도록, 둔부 커버부에 탄성 신축 부재를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한 상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isosceles extend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beyond the side seal portion is formed on the back side outer sheet so that both side portions below the buttocks can be covered and hidden by the buttock cover portions which are both side portions of the side seal por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is formed in a stretched state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the buttock cover portion so that both side portions of the extended portion are not rolled up.
그러나, 둔부 커버부에 탄성 신축 부재를 형성하는 경우, 사이드 시일부를 경계로 한 배측·등측간의 수축력 밸런스가 무너져, 사이드 시일부의 하단측만큼 등측으로의 수축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면,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할 때에 등측 외장 시트(12B) 및 배측 외장 시트(12F)의 사이드 시일부(12A)가 하단측만큼 등측으로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 어긋남이 원인이 되어 둔부 커버부에서의 부풀어오름이나 말려 올라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항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둔부 커버부에 있어서의 말려 올라감이나 부풀어오름을 방지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However, when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is formed on the buttock cover portion, if the contraction force balance between the back side and the back side with the side seal portion as a boundary is broken and the back side side of the side seal portion strongly acts on the back side,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 <Invention according to
상기 배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중간부 및 상기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상단부는, 복수 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이들 시트형 통기성 자재 사이에 탄성 신축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협지 고정되어 있는 청구항 3에 기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Wherein the waist-surrounding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ack side facing sheet and the waist-surrounding upper end portion of the back side facing sheet are formed by joining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has a width The disposable pull-on diaper according to
(작용 효과)(Action effect)
몸통 둘레 중간부 및 몸통 둘레 상단부의 전체 또는 거의 전체가,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갖고 있지 않은 구조에서는, 통기성 및 유연성은 높아지지만, 몸통 둘레의 피트성이 저하되어, 몸통 둘레가 헐렁거리기 쉽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항에 기재한 것과 같이, 배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는 몸통 둘레 중간부가 복수의 층 또 탄성 신축 부재 및 접착제를 갖는 부분으로 되고, 또한 몸통 둘레 상단부가 탄성 신축 부재 및 접착제를 갖지 않는 부분으로 되며,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는 반대로 몸통 둘레 중간부가 탄성 신축 부재 및 접착제를 갖지 않는 부분으로 되고, 또한 몸통 둘레 상단부가 복수 층 또 탄성 신축 부재 및 접착제를 갖는 부분으로 되어 있으면, 유연성 및 통기성이 보다 한층 더 좋아짐과 함께, 몸통 둘레의 피트성도 잘 저하되지 않아, 몸통 둘레가 잘 헐렁거리지 않게 된다.The breathability and flexibility are improved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entire or almost entirety of the waist-surrounding middle portion and the waist-surrounding upper end portion is formed of a single-layer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 and does not have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and the adhesive for fixing the elastically stretchable member, The pit property is lowered, and the trunk circumference becomes easier to loose.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in this section, in the back side facing sheet, the middle portion of the waist circumference may be a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layers or elastic stretching members and an adhesive, and the waist portion upper end portion may be a portion having no elastic stretching member and adhesive In the case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the middle portion of the waistline has a portion which does not have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and the adhesiv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waistline has a plurality of layers and also the portion having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and the adhesive. The pit fit around the trunk is not lowered well, and the trunk circumference does not loosen well.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 <Invention according to
상기 배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중간부 및 상기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상단부는,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갖고 있지 않는 청구항 3에 기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Wherein the waist-surrounding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waist-surrounding sheath upper portion of the back side facing sheet are made of a single sheet of air-permeable material and do not have the elastic stretching member and the adhesive for fixing the same, And the disposable diaper.
(작용 효과)(Action effect)
더욱이, 배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중간부 및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상단부에 대해서도,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갖고 있지 않은 구조로 함으로써, 통기성 및 유연성의 향상이 보다 한층 더 좋아지게 된다. Furthermore, with respect to the waist-surrounding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waist surrounding upper end portion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in which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and the adhesive for fixing the waist- , Air permeability and flexibility are further improved.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 <Invention according to
사이드 시일부 경사 시험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일부 경사 각도가 20도 이하인 청구항 3에 기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작용 효과)(Action effect)
접합부 경사 시험에 있어서의 접합부 경사 각도가 20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둔부 커버부에 있어서의 말려 올라감이나 부풀어오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사이드 시일부 경사 시험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하여 사이드 시일부의 경사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즉 우선, 도 2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이기저귀에서 흡수성 본체를 제거한 몸통 둘레부(12)만을 공시체(供試體)로서 제작하고, 이 공시체(12)를, 배측 외장 시트(12F)의 제품 폭 방향의 중앙선 및 등측 외장 시트(12B)의 제품 폭 방향의 중앙선을 접음선으로 하여, 각각 내면 서로가 겹치도록 접어 포개고, 양 사이드 시일부(12A)의 기단선(L1)(사이드 시일부(12A)의 폭 방향 중앙측의 끝가장자리)을 겹치도록 한다. 이어서, 이 접어 포갠 상태의 공시체(12)를, 한 쪽의 접음선에서 사이드 시일부 쪽으로 10 mm의 범위를 제품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인장시험기의 한 쪽의 척(C1)에 끼우고, 다른 쪽의 접음선에서 사이드 시일부 쪽으로 10 mm의 범위를 제품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인장시험기의 다른 쪽의 척(C2)에 끼워, 화살표로 나타내는 제품의 복배(腹背) 방향을 따라서 인장 시험을 실시한다. 그리고, 공시체(12)를 잡아당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수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척간 거리(자연 수축일시의 길이)를 A로 하고, 탄성 신축 부재에 의한 수축이 없는 상태까지 잡아당겼을 때의 척간 거리(최대 신장시의 거리)를 B로 했을 때, 도 2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척간 거리가 (A+B)/2가 되도록 잡아 당겼을 때의, 제품 상하 방향에 대한 사이드 시일부 기단선(L1)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가상선(L2)의 경사 각도(θ)를 분도기를 이용하여 계측하고, 이것을 사이드 시일부 경사 각도로 한다.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rise and swelling of the buttock cover portion by constituting the joining portion so that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joining portion in the joining portion inclination test is 20 degrees or less. The side seal portion inclination test is to measur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ide seal portion in the following manner. 28 (a), only the
또한, 수축력이란, 시트를 제품 폭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에 시트의 일정 폭(전후 방향 길이)에 걸리는 응력이며,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즉 우선, 몸통 둘레부(12)로부터 측정하고 싶은 영역을 잘라내어 공시체로 하고, 이 공시체의 제품 폭 방향의 한 쪽의 단부를 인장시험기의 한 쪽의 척(C1)에 끼우고, 다른 쪽의 단부를 다른 쪽의 척(C2)에 끼워, 제품 폭 방향을 따라서 인장 시험을 실시한다. 그리고, 공시체를 잡아당기지 않고서 자연스럽게 수축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척간 거리(자연 수축시의 길이)를 A로 하고, 탄성 신축 부재에 의한 수축이 없는 상태까지 잡아당겼을 때의 척간 거리(최대 신장시의 길이)를 B로 했을 때, 척간 거리가 (A+B)/2가 되도록 잡아 당겼 때의 척 사이에 걸리는 응력을 계측하고, 이것을 공시체의 전후 방향 길이로 나눈 것을 수축력(N/10 mm)으로 한다. The shrinkage force is a stress applied to a predetermined width (longitudinal length) of the sheet when the sheet is pulled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product, and is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That is, first, an area to be measured is cut out from the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 <Invention according to
상기 내장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끝가장자리가 필름재 혹은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는 시트재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2에 기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he pants-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작용 효과)(Action effect)
본 항에 기재하는 것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내장체의 전후 단부의 끝가장자리가 얇고, 부드럽게 됨과 함께, 통기성이 우수하게 된다. 그 때문에, 내장체의 전후 단부를 피복하는 구성과 조합하면,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피복하지 않고, 내면측으로 노출시켜 두더라도, 착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By configuring as described in this paragraph, the end edges of the front and rear end portions of the inner body are thin, smooth, and excellent in air permeability. Therefore, when combined with the constitution cover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inner body,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feeling of fit, and even if the inner body is exposed without covering, the deterioration of the feeling of wearing can be suppressed.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 <Invention according to
상기 배측 외장 시트의 양측부와 등측 외장 시트의 양측부가 용착 접합된 부분인 사이드 시일부 중, 허리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와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가 동일하고, 또한 상기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가, 상기 허리측 단부 및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Wherein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like materials at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like materials at the high-temperature side end portion of the side seal portions, which are both sides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like materials in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high-gap side end por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like materials at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high-gap side end portion A disposable pull-on diaper comprising:
(작용 효과)(Action effect)
사이드 시일부의 충분한 시일 강도의 확보와 벗기기 용이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 구조에는 여러 가지의 제약이 있다. 예컨대, 외장 시트의 허리 개구부의 가장자리나 다리 개구부의 가장자리 등, 피부에 접촉하는 가장자리부에 시트형 자재의 가장자리가 노출되면, 시트가 잘 벗겨지게 되거나, 촉감이 악화되거나 하기 때문에, 이것을 개선할 목적으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시트형 자재의 허리측 단부를 가장 내면측으로 되접어, 시트형 자재의 끝가장자리를 덮어서 숨기는 경우에는 그 제약을 받는다. 또한, 시트형 자재 사이에 실고무 등의 탄성 신축 부재를 협지 고정하는 경우, 시트형 자재의 적층 구조는 탄성 신축 부재의 배치 등의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단순히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를 조정하는 것만으로는 다른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다고는 할 수 없다.In order to ensure sufficient seal strength of the side seal portion and ease of peeling, it is possible to simply adjust the number of stacked sheet-like materials in the outer sheet. However, there are various restrictions on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sheet-like material in the outer sheet. For example, if the edge of the sheet-like material is exposed to the edge portion of the sheet, such as the edge of the waist opening of the outer sheet or the edge of the leg opening, the sheet may be peeled off or the skin may be deteriorated. And the waist side end portion of the outermost sheet-like material is folded back to the innermost side to cover and cover the end edge of the sheet-like material. 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such as the thread rubber is sandwiched and fixed between the sheet-like materials,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sheet-like material is restricted by the arrangement of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s and the like. Therefore, simply adjusting the number of stacked sheets of the sheet-shaped material in the outer sheet does not impair other functions.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를,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에서 동일수로 하고, 또한 이들 사이의 중간부에서는 허리측 단부 및 고간측 단부와 동일수 또는 그 이하로 함으로써, 균등하게 사이드 시일부를 형성하여 허리측 단부 및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 동등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중간부에서는 그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도 약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장착하는 중에 특히 강한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면서 잡아 벗기는 시작점 혹은 종점이 되는 부분인 사이드 시일부의 허리측 단부 및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 장착 중의 의도하지 않는 벗겨짐이 없고 또한 사용 후에 당겨 벗겨기 쉬운 적절한 접합 강도가 되도록 사이드 시일부를 형성하면, 사용 후에 벗길 때에 스무스한 박리가 요구되는(시작점 및 종점보다도 강한 것은 바람직하지 못음) 중간부의 접합 강도는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가 되기 때문에, 사이드 시일부 전체가 장착 중의 의도하지 않는 벗겨짐이 없으면서 사용 후에 당겨 벗기기 쉽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like materials in the side seal portion is made the same at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high-gap side end portion, and at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m, the same number as the waist- Or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uniform sealing strength can be obtained at the waist side end and the high-k side end portion by forming the side seal portion evenly, and a bonding strength equal to or weaker than that at the intermediate portion can be obtained. Therefore, at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high-gap side end portion of the side seal portion, which is a portion where a particularly strong force is applied during the mounting, and which becomes a starting point or an end point for peeling off, there is no unintended peeling during mounting, When the side seal portion is formed so as to have an appropriate bonding strength, the bonding strengt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that required for smooth peeling (preferably not stronger than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when peeling off after use, Is easily peeled off after use without any unintended peeling during mounting.
더구나, 본 발명에서는, 배측 외장 시트 및 등측 외장 시트를 연속시키지 않고서 분리하며, 각 외장 시트에 있어서, 허리측 단부 및 고간측 단부를 동일한 되접기 구조로 하면서, 허리측 접음 부분 및 고간측 접음 부분이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로 함으로써, 상술한 각 부위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로 하기 쉬우면서, 그와 같이 한 경우에도, 각 외장 시트의 시트형 자재의 끝가장자리를 외장 시트의 가장자리에 노출시키지 않게 되며,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음 부분에 탄성 신축 부재를 협지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충분한 시일 강도의 확보와 벗기기 용이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are separated without continuing, and in each outer sheet,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high-shear side end portion are made to have the same re- The end edge of the sheet-like material of each outer sheet is not exposed to the edge of the outer sheet, and even when the sheet-like material is stacked, As described later, it is also possible to nip and fix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to the folded por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 sealing strength can be ensured and peeling ease can be achieved without impairing other functions.
배측 외장 시트 및 등측 외장 시트가, 최외면을 이루는 시트형 자재가 허리측 끝가장자리에 있어서 최내면의 허리측 끝가장자리에서부터 고간측 끝가장자리 또는 그 근방까지를 덮도록 되접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외장 시트의 고간측 끝가장자리에서는, 각 외장 시트의 시트형 자재의 끝가장자리가 노출되는데, 특히 벗겨짐이나 촉감의 악화가 발생하기 쉬운 허리측 끝가장자리에서는, 각 외장 시트의 시트형 자재의 끝가장자리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효과가 발휘되게 된다.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are folded so that the sheet-like material constituting the outermost side covers from the waist side end edge of the innermost face to the end edge of the innermost side or the vicinity thereof In this case, the end edge of the sheet-like material of each outer sheet is exposed at the outer edge of the outer edge of the outer sheet. In particular, at the edge of the waist side where detachment or deterioration of the skin tends to occur, The end edge of the material will not be exposed. Therefore, almost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exhibited.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 <Invention according to
상기 용착 접합이 초음파 용착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청구항 8에 기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he pants-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작용 효과)(Action effect)
전술한 것과 같은 시트형 자재 적층수의 영향은 초음파 용착에 의해 용착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현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적합하다.The influence of the sheet-like material laminated water as described above is remarkable in the case of forming a bonded portion by ultrasonic welding.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such a case.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사이드 시일부는, 상기 배측 외장 시트의 양측부와 등측 외장 시트의 양측부가 겹치는 부분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하부 가장자리까지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9에 기재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he pull-on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작용 효과)(Action effect)
본 발명은 본 항에 기재한 것과 같은 사이드 시일부에 대하여 특히 적합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side seal portion as described in this se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시일 강도의 확보와 벗기기 용이성을 양립시킬 수 있으며, 촉감을 좋게 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을 불러온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sufficient securing of seal strength and easiness of peeling can be achieved, and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feeling of touch and improving the feeling of wearing can be obtained.
도 1은 제1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제1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외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5-5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주요부만을 치수와 함께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주요부만을 치수와 함께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형태의 제품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1 형태의 제품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10의 (a)는 제1 형태의 전개 상태의 기저귀 내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사이드 시일부의 자재 적층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6-6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제2 형태의 전개 상태의 기저귀 내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사이드 시일부의 자재 적층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및 제5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7-7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4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8-8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1 형태의 변형 형태의 기저귀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1 형태의 변형 형태의 기저귀 외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6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6 형태의 내장체의 내면을 도시하는, 내장체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1-1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2-2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9-9 단면도이다.
도 25의 (a)는 종래 형태의 전개 상태의 기저귀 내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사이드 시일부의 자재 적층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27은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진이다.
도 28은 접합부 경사 시험의 시험 요령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9는 제7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제7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외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5-5 단면도이다.
도 32는 제7 형태의 제품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3은 제7 형태의 제품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34의 (a)는 제7 형태의 전개 상태의 기저귀 내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사이드 시일부의 자재 적층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5의 (a)는 제8 형태의 전개 상태의 기저귀 내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는 사이드 시일부의 자재 적층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6은 제9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7-7 단면도이다.
도 38은 제10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8-8 단면도이다.
도 40은 제7 형태의 변형 형태의 기저귀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41은 제7 형태의 변형 형태의 기저귀 외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42는 제11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a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of the first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Fig.
Fig. 2 is a plan view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4-4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5-5 of Fig.
Fig. 6 is a plan view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of the first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showing only the main portion of the diaper together with dimensions.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the main portion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together with the dimensions.
8 is a front view of the product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9 is a rear view of the product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10 (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ner surface of a diaper in an expanded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10 (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aterial laminated structure of a side sealed portion.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Fig. 13 (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ner surface of a diaper in an expanded state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3 (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aterial laminated structure of a side sealed portion.
14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third and fifth forms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1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of Fig.
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Fig.
1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8-8 in Fig.
Fig. 18 is a plan view of the diaper in a deployed state,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er of the first modification. Fig.
19 is a plan view of the diaper in a deployed state, show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iaper in a modified form of the first embodiment;
Fig. 20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Fig.
2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ilt-in body is expanded, showing an inner face of the built-up body of the sixth embodiment;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1-1 of Fig.
2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2 in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9-9 in Fig.
Fig. 25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er in a deployed state of the conventional type, and Fig. 25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terial laminated structure of the side sealed portion.
2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mounting state.
27 is a photograph showing the mounting state.
Fig. 2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testing procedure of the joining portion inclination test.
Fig. 29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seventh form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Fig.
30 is a plan view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seventh form,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3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5-5 of Fig.
32 is a front view of the product state of the seventh embodiment;
33 is a rear view of the product state of the seventh embodiment.
FIG. 34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er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seventh embodiment, and FIG. 34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terial laminated structure of the side sealed portion.
FIG. 35A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er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eighth embodiment, and FIG. 35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terial laminated structure of the side sealed portion.
36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3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of Fig.
3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tenth form,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3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8-8 in Fig.
40 is a plan view of the diaper in a deployed state,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er in a modified form of the seventh embodiment;
41 is a plan view of the diaper in a deployed state, show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iap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Fig. 4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deployed. Fig.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각종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란 배측(앞쪽)과 등측(뒤쪽)을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폭 방향」이란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상하 방향」이란 기저귀의 장착 상태, 즉 기저귀의 앞길 양측부와 뒷길 양측부를 서로 겹치도록 기저귀를 고간부에서 둘로 접었을 때에 몸통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바꾸어 말하면 허리 개구부(WO)측과 고간부측을 연결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Hereinafter, various forms of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 "front-rear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connecting the back sid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back side), and "width direction" means a direction (left- Quot; vertical direction "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diaper is mounted, that i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aist-hole direction when the diaper is folded in two in the crotch portion so as to overlap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diaper, As shown in FIG.
<제1 형태> <First Embodiment>
도 1∼도 9는 제1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장착자의 몸통 둘레 중 배측을 덮는 배측 외장 시트(12F)와 등측을 덮는 등측 외장 시트(12B)를 갖고 있고, 배측 외장 시트(12F)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와 등측 외장 시트(12B)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가, 양자의 겹치는 부분의 상하 방향 전체에 걸쳐 히트 시일이나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 용착 접합되어 통 형상의 몸통 둘레부(100)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12A는 양 외장 시트(12F, 12B)가 용착 접합된 부분인 사이드 시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사이드 시일부(12A)의 용착 패턴은, 공지된 것을 특별한 한정 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세로 방향 또는 경사 방향을 따르는 선형 또는 점형의 접합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 또는 복수 열 나란히 배열되는 패턴이나 접합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서 일직선형으로 연속하는 패턴 등을 채용할 수 있다. 1 to 9 show a pull-on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This pants-type disposable diaper has a back side
도시하는 형태와 같이, 등측 외장 시트(12B)가 사이드 시일부(12A)보다도 아래쪽으로 뻗어나와 있는 경우에는, 이 부분까지를 포함하는 상하 방향 범위에 일체적으로 히트 시일 등의 가공을 실시하여, 등측 연장부(14)에 연장 시일부(12E)를 형성할 수 있다. 연장 시일부(12E)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등측 연장부(14)의 제2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6)가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옆부분이 찢어지기 쉬운 점을 고려하여, 사이드 시일부(12A)는 작은 용착부의 집합으로 이루어지고, 사이드 시일부(12A)에 있어서의 용착 면적의 비율이 낮은 접합 패턴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연장 시일부(12E)에서는 찢어지기 쉽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착 패턴은 사이드 시일부(12A)보다도 용착 면적의 비율을 높게 함으로써 제2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6)가 확실하게 용착 고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When the back side
또한, 몸통 둘레부(100)에 있어서의 배측 외장 시트(12F) 내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등측 외장 시트(12B) 내면의 폭 방향 중앙부까지 걸쳐지도록 내장체(200)가 마련되어 있으며, 배측 외장 시트(12F)와 등측 외장 시트(12B)가 고간측에서 연속되어 있지 않고, 이격되어 있다. 이 이격 거리(Y)는 150∼250 mm 정도로 할 수 있다. The
도 7 및 도 8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몸통 둘레부(100)의 상부 개구는 장착자의 몸통을 통과시키는 허리 개구부(WO)가 되고, 내장체(200)의 폭 방향 양측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100)의 하부 가장자리 및 내장체(200)의 측가장자리에 의해 각각 둘러싸이는 부분이 다리를 통과시키는 다리 개구부(LO)가 된다. 각 사이드 시일부(12A)를 벗겨 전개한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래시계 형상을 이룬다. 내장체(200)는, 등측에서부터 고간부를 지나 배측까지를 덮도록 뻗어있는 것으로, 배설물을 받아내어 액분을 흡수하고 유지하는 부분이며, 몸통 둘레부(100)는 내장체(200)를 장착자에 대하여 지지하는 부분이다. 7 and 8, the upper opening of the
(외장 시트)(Outer sheet)
배측 외장 시트(12F) 및 등측 외장 시트(12B)는, 도 4 및 도 5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장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를 2층 구조가 되도록 접어 포개어 서로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이드 시일부(12A)와 동일한 상하 방향 범위에, 위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허리측 단부(W), 몸통 둘레 상단부(U1), 몸통 둘레 중간부(U2) 및 몸통 둘레 하단부(U3)를 갖고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ack side
특징적으로는, 각 외장 시트(12F, 12B)에 있어서는, 시트형 통기성 자재(12)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허리측 끝가장자리(허리 개구부(WO)의 가장자리)를 접음선으로 하여 최외면에서 최내면으로 되접히고, 이 접음 부분(21)이 최내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간 위치보다 허리측 단부(W)를 덮는 층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고간측 끝가장자리를 접음선으로 하여 최외면에서 최내면으로 되접히고, 이 접음 부분(22)이 최내면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하단부(U3)를 덮는 층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허리측 접음 부분(21) 및 고간측 접음 부분(22)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허리측 접음 부분(21)의 고간측 끝가장자리와, 고간측 접음 부분(22)의 허리측 끝가장자리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 이격 부분(23)이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로 이루어지는 박층 부분으로 되어 있다. Specifically, in each of the
허리측 접음 부분(21)의 고간측 끝가장자리의 위치는 적절하게 정할 수 있지만, 허리측 접음 부분(21)의 고간측 끝가장자리의 위치를, 배측 외장 시트(12F)에 있어서는 내장체(20)의 전단부와 겹치는 위치 및 등측 외장 시트(12B)에 있어서는 내장체(20)의 후단부와 겹치는 위치에 맞춤과 함께, 내장체(200)의 전단부(201) 및 후단부(202)를, 허리측 접음 부분(21)과 그 외면측 자재 사이에 끼워 고정하면, 내장체(200)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에 노출되는 내장체 구성 자재의 끝가장자리를, 각 외장 시트(12F, 12B)의 허리측 접음 부분(21)에 의해 피복할 수 있고, 외장 시트(12F, 12B)로부터 내장체(200)가 벗겨지거나 내장체 구성 자재의 전후단에 의해 촉감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이 구조는 제조가 용이하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한 것이다. 다만, 내장체(200)의 전후단이 적절히 부드러운 것이라면, 반드시 다른 시트로 피복될 필요는 없다. The position of the high-side end edge of the waist
각 외장 시트(12F, 12B)를 구성하는 시트형 통기성 자재(12)로서는, 용착에 의해 접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어떤 것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이나, 이들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서 제조된 것이라도 좋다. 예컨대, 스펀레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니들펀치 부직포, 서멀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포인트본드 부직포 등을 예시할 수 있는데, 특히 스펀본드 부직포나 SMS 부직포가 강도와 탄성 부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 그 평량은 10∼40 g/㎡, 특히 10∼22 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eet-like
또한, 양 외장 시트(12F, 12B)에 있어서의 양 접음 부분(21, 22)은, 대향하는 최외면 부분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됨과 함께, 몸통 둘레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서, 양 접음 부분(21, 22)과 이것에 대향하는 최외면 부분과의 사이에 실고무 등의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5∼19)가 소정의 신장 상태로 협지 고정되어 있다.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5∼19)로서는 합성 고무를 이용하더라도 천연 고무를 이용하여도 좋다. 각 외장 시트(12F, 12B)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 12)의 접합이나, 그 사이에 끼워지는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5∼19)의 고정에는 핫멜트 접착 또는 히트 시일이나 초음파 접착을 이용할 수 있다. 외장 시트(12F, 12B) 전면을 강고하게 고정하면 시트의 촉감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들을 조합하여,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5∼19)의 접착은 강고하게 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접착하지 않거나 약하게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wo
보다 상세하게는, 등측 외장 시트(12B)는, 용착부군(群)에 의한 사이드 시일부(12A)와 동일한 상하 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등측 본체부(13)와, 이 등측 본체부(13)의 아래쪽으로 뻗어나가는 등측 연장부(14)를 갖고 있다. 등측 연장부(14)는, 내장체(200)와 겹치는 폭 방향 중앙부(14M)와, 그 양측으로 뻗어나온 둔부 커버부(14C)를 갖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ack side
등측 연장부(14)의 형상은 적절하게 정할 수 있으며, 도 1∼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장방형이지만,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측 연장부(14)의 상단부를, 등측 본체부(13)와 같은 폭으로 등측 본체부(13)의 아래쪽으로 뻗어나가게 하고, 그 아래쪽은 고간측으로 가까워짐에 따라서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절단할 수도 있다. 또한, 등측 본체부(13)와 동일한 폭의 부분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둔부 커버부(14C)의 바깥 가장자리(14e)가, 고간측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내장체(200)측으로 가까워지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을 이루게 되어, 제품일 때의 형상도 장착할 때의 형상도 미려하게 된다. The shape of the isosceles
등측 연장부(14)의 치수는 적절하게 정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둔부 커버부(14C)의 폭 방향 길이(14x)(둔부 커버부(14C)의 바깥 가장자리(14e)가 내장체(200)의 측가장자리와의 폭 방향의 최대 이격 거리)가 80∼160 mm이며, 둔부 커버부(14C)의 상하 방향의 길이(14y)(연장 길이)가 30∼80 mm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둔부 커버부(14C)의 바깥 가장자리(14e)를 곡선형으로 하는 경우는, 등측 연장부(14)의 폭 방향으로 가장 넓은 부위와 상하 방향으로 가장 넓은 부위에 의해 정해지는 사각형의 면적을 S라고 하면, 등측 연장부(14)의 면적은 S에 대하여 20∼80%, 특히 40∼60%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6, the
등측 본체부(13)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개념적으로 상단부(허리부)(W)와, 이보다도 아래쪽의 하측 부분(U)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범위는 제품 사이즈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상단부(W)의 상하 방향 길이는 15∼80 mm, 하측 부분(U)의 상하 방향 길이는 35∼220 mm으로 할 수 있다. The back
등측 본체부(13)의 상단부인 허리측 단부(W)에서는,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에 있어서의 허리측 접음 부분(21)(최내면 부분)과 최외면 부분 사이에,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되도록, 복수의 등측 허리부 탄성 신축 부재(17)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 소정의 신장율로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등측 허리부 탄성 신축 부재(17) 중, 등측 본체부(13)의 하측 부분(U)에 인접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1 라인 또는 복수 라인은, 내장체(200)와 겹쳐져 있어도 좋고, 내장체(200)와 겹쳐지는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하여도 좋다. 도시한 예에서는 등측 허리부 탄성 신축 부재(17) 중 내장체와 겹쳐지는 것은 내장체(200)와 최외측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내장체(200)와 허리측 접음 부분 사이에 배치하여도 좋다. 이 등측 허리 탄성 신축 부재(17)로서는, 굵기 300∼1240 dtex, 특히 470∼940 dtex 정도의 실고무를, 4∼12 mm의 간격으로 3∼22 라인 정도, 각각 신장율 150∼400%, 특히 220∼320% 정도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측 허리부 탄성 신축 부재(17)는, 그 모두를 동일한 굵기와 신장율로 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등측 허리부의 상부와 하부에서 탄성 신축 부재의 굵기와 신장율이 다르도록 하여도 좋다. Side waist portion 21 (the innermost face portion) and the outermost face portion of the sheet-like
또한, 등측 본체부(13)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인 몸통 둘레부(U)에서는, 몸통 둘레 하단부(U3)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에 있어서의 고간측 접음 부분(22)(최내면 부분)과 최외면 부분 사이에, 내장체(200)와 겹쳐지는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상측 및 폭 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되도록, 복수의 제1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5)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면서, 소정의 신장율로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In the waist-surrounding portion U, which is the lower portion of the shoulder-side
제1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5)로서는, 굵기 300∼1240 dtex, 특히 470∼940 dtex 정도의 실고무를, 1∼15 mm, 특히 3∼8 mm의 간격으로 5∼30 라인 정도, 각각 신장율 200∼350%, 특히 240∼300% 정도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first elongated elastic
또한, 등측 연장부(14)에서는,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에 있어서의 고간측 접음 부분(22)(최내면 부분)과 최외면 부분 사이에, 내장체(200)와 겹쳐지는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 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 방향 전체에 걸쳐(적어도 둔부 커버부(14C) 전체에 걸쳐) 연속되도록, 복수의 제2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6)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면서, 소정의 신장율로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In the shoulder extended
제2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6)로서는, 굵기 300∼1240 dtex, 특히 470∼940 dtex 정도의 실고무를, 5∼40 mm, 특히 5∼20 mm의 간격으로 2∼10 라인 정도, 각각 신장율 150∼300%, 특히 180∼260%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second elongated elastic
한편, 배측 외장 시트(12F)는 등측 외장 시트(12B)의 등측 본체부(13)와 기본적으로 같은 배측 본체부(용착부 무리에 의한 사이드 시일부(12A)와 동일한 상하 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몸통 둘레 방향을 따라서 뻗어나가는 직사각형을 이루며, 등측 외장 시트(12B)와 같은 등측 연장부(14)를 갖고 있지 않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back side
즉, 배측 외장 시트(배측 본체부)(12F)의 상단부인 허리측 단부(W) 및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몸통 둘레부(U) 중, 허리측 단부(W)에서는,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에 있어서의 허리측 접음 부분(21)(최내면 부분)과 최외면 부분 사이에,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되도록, 복수의 배측 허리부 탄성 신축 부재(18)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면서, 소정의 신장율로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배측 허리부 탄성 신축 부재(18)는, 등측 허리부 탄성 신축 부재(17)에 대하여, 개수, 굵기, 신장율, 간격 및 상하 방향 배치를 될 수 있는 한 가깝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르게 한 경우, 개수의 차는 6 라인 이하, 바람직하게는 3 라인 이하, 굵기의 차는 450 dtex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dtex 이하, 신장율의 차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간격의 차는 1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이다. That is, the sheet-like
또한, 배측 외장 시트(12F)(배측 본체부)의 몸통 둘레부(U)에서는, 몸통 둘레 하단부(U3)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에 있어서의 고간측 접음 부분(22)(최내면 부분)과 최외면 부분 사이에, 내장체(200)와 겹쳐지는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상측 및 폭 방향 양측의 각 부위에,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속되도록, 복수의 제3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9)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면서, 소정의 신장율로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3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9)의 상하 방향 배치 범위는, 하측 부분의 일부로 하여도 좋지만, 실질적으로 전체(전체에 신축력이 작용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waist-surrounding portion U of the back side
제3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9)로서는, 제1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5)와, 개수, 굵기, 신장율, 간격 및 상하 방향 배치를 될 수 있는 한 가깝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다르게 한 경우, 개수의 차는 10 라인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라인 이하, 굵기의 차는 450 dtex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dtex 이하, 신장율의 차는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간격의 차는 1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이다. As the third long elongate elastic
그리고 특징적으로는, 배측 외장 시트(12F) 및 등측 외장 시트(12B)의 각각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상단부(U1) 및 몸통 둘레 중간부(U2)는,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로 이루어지며,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갖고 있지 않은 박층 부분(23)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도 10(b)에 도시되는 사이드 시일부(12A)의 자재 적층 구조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측 외장 시트(12F) 및 등측 외장 시트(12B)의 각각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상단부(U1) 및 몸통 둘레 중간부(U2)는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가 1장으로 되기 때문에, 각 외장 시트(12F, 12B)의 통기성 및 유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시한 형태에서는, 사이드 시일부(12A) 중 허리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와,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가 동일수(4장)로 되고,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가 그 이하(2장)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시일부(12A)에 균등하게 사이드 시일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사이드 시일부(12A)에 있어서의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접합 강도를 거의 동등하게 하면서 사이드 시일부(12A)의 각 부 중에서 가장 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사이드 시일부(12A)의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는 장착 중에 특히 강한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면서 당겨 벗기는 시작점 혹은 종점으로 되는 부분이고, 또한 사이드 시일부(12A)의 중간부는 사용 후 당겨 벗길 때에는 스무스한 박리가 요구되기(시작점 및 종점보다도 강한 것은 바람직하지 못함)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장착 중에는 사이드 시일부(12A)의 의도하지 않는 벗겨짐이 없으면서, 사용 후에는 당겨 벗기기 쉽게 된다. 이에 대하여, 도 20에 도시되는 종래 형태는, 허리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가 6장,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가 4장으로 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기가 곤란하다.Characteristically, the waist-surrounding upper end portion U1 and the waist-surrounding intermediate portion U2 of the back side
박층 부분(23)의 상하 방향 길이는 적절하게 정할 수 있지만, 과도하게 길게 하면, 탄성 신축 부재(15∼19)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이 감소되어, 피트성의 확보가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제품 전체 길이(전개 상태에서의 전후 방향 길이)의 1/20∼1/8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여기서, 상기 예와 같이 배측 외층 시트(12F)의 몸통 둘레 중간부(U2) 및 등측 외층 시트(12B)의 몸통 둘레 중간부(U2)의 양쪽 모두가 탄성 신축 부재를 갖지 않고, 또한 등측 연장부(14)가 제2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6)를 갖는(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배측 외층 시트(12F)가 배측 연장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등측 연장부(14)보다 배측 연장부의 수축력이 크거나, 또는 등측 연장부 쪽이 배측 연장부보다 큰) 경우에는, 사이드 시일부(12A)를 경계로 한 배측·등측간의 수축력 밸런스가 무너져, 사이드 시일부(12A)의 하단측일수록 등측으로의 수축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함에 있어서 등측 외장 시트(12B) 및 배측 외장 시트(12F)의 사이드 시일부(12A)가 하단측일수록 등 쪽으로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 어긋남이 원인이 되어 둔부 커버부(14C)에 있어서의 부풀어오름이나 말려 올라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Here, as in the above example, both the waist-surrounding intermediate portion U2 of the dorsal outer-
이러한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서, 배측 외장 시트(12F)의 각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8, 19)에 의한 수축력과 등측 외장 시트(12B)의 각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5∼17)에 의한 수축력을, 접합부(12A)를 경계로 하여 밸런스를 맞추어, 사이드 시일부 경사 각도가 20도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배측 외층 시트(12F)의 몸통 둘레 하단부(U3)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수축력을, 등측 외층 시트(12B)의 몸통 둘레 하단부(U3)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수축력 및 등측 연장부(14)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수축력보다 강하게 함으로써, 배측 외장 시트(12F)의 각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8, 19)에 의한 수축력과 등측 외장 시트(12B)의 각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5∼17)에 의한 수축력이, 접합부(12A)를 경계로 하여 밸런스가 맞추어져 사이드 시일부 경사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 둔부 커버부(14C)에 있어서의 말려 올라감이나 부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시일부 경사 각도」 및 「수축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In order to avoid such a phenomenon, the retracting force of each of the elongate elastic
다른 한편으로, 도시한 형태의 배측 외장 시트(12F)는, 사이드 시일부(12A)와 동일한 상하 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지만, 등측과 마찬가지로, 사이드 시일부(12A)와 동일한 상하 방향 범위를 차지하는 배측 본체부와, 이 배측 본체부의 아래쪽으로 뻗어나가는 배측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배측 외장 시트(12F)의 다리 둘레 형상을 서혜(鼠蹊)부를 따라서 피트시키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측 연장부의 면적 및 전후 방향 길이는 등측 연장부의 면적 및 전후 방향 길이의 10∼8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50%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배측 연장부가 과도하게 크면, 오히려 피트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ear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5, 16 및 19)가, 내장체(200)와 겹쳐지는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그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면, 내장체(200)와 외장 시트(12F, 12B)가 잘 벗겨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이 형태에는, 폭 방향 양측에만 탄성 신축 부재가 존재하는 형태 외에, 내장체(200)를 가로질러 그 폭 방향 한 쪽에서 다른 쪽까지 탄성 신축 부재가 존재하고 있는데, 내장체(200)와 겹쳐지는 폭 방향 중앙부에서는 탄성 신축 부재가 절단되어, 신축력이 작용하지 않도록(실질적으로는 탄성 신축 부재를 형성하지 않는 것과 같음) 구성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된다. 또한, 등측 본체부(13) 및 등측 연장부(14)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신축력이 작용하도록, 제1,제2 및 제3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15, 16 및 19)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내장체(200)를 가로질러 그 폭 방향 한 쪽에서 다른 쪽까지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elongate elastic
(내장체)(Interior)
내장체(200)는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지만, 도시한 형태에서는 장방형이다. 내장체(200)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체측이 되는 표면 시트(30)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11)와, 이들 사이에 개재된 흡수 요소(50)를 구비하고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11)의 이면측에는, 내장체(200)의 이면 전체를 덮도록 혹은 배측 외장 시트(12F)와 등측 외장 시트(12B) 사이에 노출되는 부분 전체를 덮도록 고간부 외장 시트(12M)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표면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 요소(50)로 이행시키기 위해서, 표면 시트(30)와 흡수 요소(50) 사이에 중간 시트(제2 시트)(4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장체(200)의 양옆으로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장체(200)의 양측에, 신체측으로 기립하는 배리어 커프스(60, 61)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지만, 내장체(200)의 각 구성 부재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베타, 비드 또는 스파이럴 도포 등에 의해 적절하게 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내장체(200)는, 메커니컬 패스너나 점착재를 이용하여, 외장 시트(12F, 12F)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할 수도 있다.The
한편, 내장체(200)의 폭 방향 양측부, 특히 내장체(20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와 배측 외장 시트(12F)의 하단 가장자리와의 교점 근방 및 등측 외장 시트(12B)의 하단 가장자리와의 교점 근방에서는, 내장체(200)의 강성(강도)이 15∼50 cN/50 mm, 특히 20∼35 cN/50 mm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전체적인 기립 형상이 더욱 안정적으로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그 이외의 부분, 예컨대 폭 방향 중간부에 대해서는 유연성을 고려하여, 강성을 5∼35 cN/50 mm, 바람직하게는 10∼25 cN/50 mm로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강성을 높게 하는 범위는, 폭 방향으로는 내장체(20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앙측으로 5∼30 mm의 범위, 전후 방향으로는 내장체(200)와 배측 외장 시트(12F), 등측 외장 시트(12B)의 교점에서 전후 방향으로 각각 50 mm 이내(흡수체(56)의 잘록한 부분(56N)과 겹쳐지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widthwise opposite side portions of the
강성(강도)은, JIS K 7171(플라스틱-굽힘 강성의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측정에는 텐실론 시험기(압자 선단부의 곡율 반경 R1=5.0±0.1 mm, 지지 플레이트 선단부의 곡율 반경 R2=5.0±0.2 mm)를 이용하여, 내장체(200)의 제품 전후 방향의 굽힘 강성을 측정한다. 시험편은, 내장체(200)로부터 측정에 영향을 주는 탄성 신축 부재를 제거하고, 이것을 기저귀 길이 방향 80 mm, 기저귀 폭 방향 50 mm의 장방형으로 잘라냄으로써 제작한다. 굽힘 강성치 단위 중의 50 mm은 시험편의 짧은 변의 길이이며, 시험할 때의 압자에 의해 변형시킨 시험편의 폭이다. 각각 단면이 원호형인 선단부를 가지며, 양 선단부의 선단(상단) 사이의 간격을 50 mm으로 하여, 상호 평행하면서 양 선단부의 높이 위치를 가지런히 하여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상에, 상기한 시험편을, 그 길이 방향을 각 플레이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걸치는 식으로 얹어 놓고, 그 시험편에 약간 접하도록 압자 선단부를 배치한다. 로드셀 5 kg(레인지 196 cN), 속도 30 mm/min의 조건으로 압자를 강하시켜, 하중-휨 곡선을 얻는다. 얻어진 굽힘 응력의 최대치를 굽힘 강성치(cN/50 mm)로 한다. 한편, 측정 대상이 되는 부위가 상기 샘플링 치수보다 작은 경우는, 작은 스케일의 시험편으로 측정을 하여, 치수비에 기초하여 비례 계산으로 환산한다. The rigidity (strength)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JIS K 7171 (test method for plastic-bending stiffness). The bending rigidity of the
(표면 시트)(Surface sheet)
표면 시트(30)는, 액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 예컨대 유공(有孔) 또는 무공(無孔)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중 부직포는 그 원료 섬유가 어떤 것인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이나, 이들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떠한 가공에 의해서 제조된 것이라도 좋다. 가공 방법으로는, 공지된 방법, 예컨대,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니들펀치법, 에어스루법, 포인트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성, 드레이프성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스펀본드법, 스펀레이스법이 바람직하고, 부피성, 소프트성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에어스루법, 포인트본드법, 서멀본드법이 바람직한 가공 방법이 된다.The
또한, 표면 시트(30)는, 1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2장 이상의 시트를 서로 부착시켜 얻은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표면 시트(30)는, 평면 방향에 대해서, 1장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2장 이상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The
배리어 커프스(60, 61)를 형성하는 경우, 표면 시트(30)의 양측부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11)와 배리어 커프스(60, 61) 사이를 통과시켜, 흡수 요소(50)의 이면에까지 형성시켜며, 액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액체 불투과성 시트(11) 및 배리어 커프스(60, 61)에 대하여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내장체(200)의 양측부의 강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Both sides of the
(중간 시트)(Intermediate sheet)
표면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해서, 표면 시트(30)보다 액의 투과 속도가 빠른 중간 시트(「제2 시트」라고도 부르고 있음)(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중간 시트(40)는,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 흡수체에 의한 흡수 성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흡수한 액이 흡수체로부터 「역으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방지하여, 표면 시트(30) 위를 항상 건조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중간 시트(40)는 생략할 수도 있다. An intermediate sheet 40 (also referred to as a " second sheet ") having a liquid permeation rate higher than that of the
중간 시트(40)로서는, 표면 시트(30)와 동일한 소재나, 스펀레이스, 스펀본드, SMS, 펄프 부직포, 펄프와 레이온과의 혼합 시트, 포인트본드 또는 크레이프지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에어스루 부직포가 부피가 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에어스루 부직포에는 심초 구조의 복합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심(芯)에 이용하는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이어도 좋지만 강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PET)가 바람직하다. 평량은 20∼80 g/㎡이 바람직하고, 25∼60 g/㎡가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원료 섬유의 굵기는 2.2∼10 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부피를 크게 하기 위해서, 원료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혼합 섬유로서, 심이 중앙에 없는 편심의 섬유나 중공의 섬유, 편심이면서 중공의 섬유를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도시한 형태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56)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폭에 걸쳐 형성하여도 좋다. 중간 시트(40)의 길이 방향 길이는, 흡수체(56)의 길이와 동일하여도 좋고, 액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 내이어도 좋다. 중간 시트(40)가 폭 방향 측부에서 흡수체(56)의 이면측까지 형성되어,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있으면, 내장체(200)의 양측부의 강성이 향상된다. 중간 시트(40)의 대표적인 소재는 액의 투과성이 우수한 부직포이다.Although the
(액체 불투과성 시트)(Liquid impervious sheet)
액체 불투과성 시트(1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재(방수 필름)나,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방수 필름을 개재시켜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부직포(이 경우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액체 불투과성 시트가 구성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최근 짖무름 방지의 관점에서 선호되어 사용되고 있는 불투액성이면서 투습성을 갖는 소재도 예시할 수 있다. 이 불투액성이면서 투습성을 갖는 소재의 시트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속에 무기 충전제를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일축 또는 이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미(微)다공성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데니어 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열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섬유의 공극을 작게 함에 의한 누설 방지성 강화, 고흡수성 수지 또는 소수성 수지나 발수제의 도공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방수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서 액체 불투과성으로 한 시트도, 액체 불투과성 시트(11)로서 이용할 수 있다. The material of the liquid
액체 불투과성 시트(11)는, 누설 방지성을 높이기 위해서, 흡수 요소(50)의 양측을 돌아 들어가게 하여 흡수 요소(50)의 표면 시트(30) 측면의 양측부까지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내장체(200)의 양측부의 강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이 연장부의 폭은 좌우 각각 5∼20 mm 정도가 적당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iquid
또한, 액체 불투과성 시트(11)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인쇄나 착색에 의한 디자인을 실시하여도 좋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 시트(11)의 외측에, 고간부 외장 시트(12M)와는 별도의 부재인, 인쇄 또는 착색을 한 디자인 시트를 접착하여도 좋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 시트(11)의 내측에, 액체 성분의 흡수에 의해 색이 변화되는 배설 인디케이터(80)를 형성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배리어 커프스)(Barrier cuff)
배리어 커프스(60, 61)는, 내장체(200)의 양측부를 따라서 전후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띠 형상 부재이며, 표면 시트(30) 위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변이나 무른 변을 차단하여,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The barrier cuffs 60 and 61 are belt-like members extending in the entire front-rear direction along both side portions of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및 도 4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장체(200)의 좌우 각 사이드에 있어서 이중으로 배리어 커프스(60, 61)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배리어 커프스(61)는 내장체(200)의 측부에서 폭 방향 중앙측으로 비스듬하게 기립하는 것이며, 외측 배리어 커프스(60)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폭 방향 외측에 있어서 내장체(200)의 측부로부터 기립하도록 형성되고, 밑동측 부분은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기립하고, 중간부보다 선단측 부분은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기립하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barrier cuffs 60 and 61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는, 내장체(200)의 전후 방향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띠 형상의 배리어 시트(62)를 폭 방향으로 되접어 둘로 겹쳐 포갬과 함께, 접음 부분 및 그 근방의 시트 사이에,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 상태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라인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는, 배리어 시트(62)에 대하여, 전후 단부에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중간부에 있어서 배리어 커프스가 전후로 신축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배리어 시트(62)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SS, SSS 등)나 SMS 부직포(SMS, SSMMS 등), 멜트블로우 부직포 등의 유연하고 균일성·은폐성이 우수한 부직포에,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 등에 의해 발수 처리를 실시한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섬유 평량은 10∼30 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로서는 실고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스판덱스 실고무를 이용하는 경우는, 굵기는 470∼1240 dtex가 바람직하고, 620∼940 dtex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정시의 신장율은 150∼350%가 바람직하고, 200∼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둘로 겹쳐 포갠 배리어 시트 사이에 방수 필름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선단부에 1∼2 라인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단부와 기단부 사이의 중간부에도 1∼2 라인 배치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중간부에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가 있으면, 이것을 지점으로 하여 중간부에서 선단부에 걸친 범위에서 피부에 대하여 면(面)으로 접촉하기 쉽게 된다. 중간부의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의 배치 위치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높이(돌출부의 폭 방향 길이)의 30∼70% 범위가 바람직하다. 유아용 종이기저귀에서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높이는 15∼35 mm 정도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의 배치 범위는 선단에서부터 기단측으로 5∼25 mm의 위치가 바람직하고, 12∼18 mm의 위치가 보다 바람직하다.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선단부 및/또는 중간부에 각각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를 평행하게 형성하는 경우는, 그 배치 간격(61d)은 2∼10 mm가 바람직하고, 2∼6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elongated elastic
그리고, 내측 배리어 커프스(61) 중 폭 방향에 있어서 접음 부분과 반대측의 단부는 내장체(200)의 측가장자리의 이면에 고정된 부착 부분(내측 부착 부분)(65)이 되고, 이 부착 부분(65) 이외의 부분은 부착 부분(65)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부분(66)(접음 부분 쪽의 부분이며, 내측 돌출 부분에 상당함)으로 되고, 이 돌출 부분(66) 중 전후 방향 양단부가 표면 시트(30) 표면에 핫멜트 접착제나 히트 시일에 의한 전후 고정부(67)에 의해 고정되고, 전후 방향 중간부가 비고정의 자유 부분(내측 자유 부분)으로 되어, 이 자유 부분에 전후 방향을 따르는 세장형 탄성 부재(63)가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The end portion of the
외측 배리어 커프스(60)도,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지만, 그 부착 부분(외측 부착 부분)(68)이, 내장체(200)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부착 부분(65)보다도 폭 방향 중앙측에 있어서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외면에 고정된다는 점, 돌출 부분(외측 돌출 부분)(69) 중 전후 방향 양단부가, 부착 부분(68)으로부터 내장체(200)의 측부를 지나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에 있어서의 내측 돌출 부분(66)의 전후 방향 양단부의 표면까지 뻗어나가고 또한 내측 돌출 부분(66)의 전후 방향 양단부의 표면에 고정된 밑동측 부분과, 이 밑동측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되접히면서 밑동측 부분에 고정된 선단측 부분으로 이루어진다는 점,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의 배치 및 개수 등에서 다른 것이다.The
단,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에 대해서도, 내측 돌출 부분의 선단부는 폭 방향 외측으로 되접히는 구조, 구체적으로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높이(돌출부의 폭 방향 길이)의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이하라면, 외측 배리어 커프스(61)와 마찬가지로 선단측 부분이 폭 방향 외측으로 되접히면서 밑동부측 부분에 고정되는 구조를 채용하여도 좋다. However, the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의 자유 부분(외측 자유 부분)에 마련되는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의 개수는 2∼6 라인이 바람직하고, 3∼5 라인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치 간격(60d)은 3∼10 mm가 적당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를 배치한 범위에서 피부에 대하여 면으로 접촉하기 쉽게 된다. 선단측뿐만 아니라 밑동측에도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를 배치하여도 좋다.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에 배치하는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의 굵기나 신장율은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에 준하지만, 굵기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굵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굵고, 신장율은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신장율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낮은 쪽이 바람직하다. The number of elongate
또한, 돌출 부분(66, 69)의 전후 고정부(67)의 전후 방향 길이(L6)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 쪽이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리어 커프스(60, 61)에 있어서의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의 전후 방향 고정 길이는, 내측 배리어 커프스(61) 쪽이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 부분(65)과 돌출 부분(66)의 경계는,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와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에서 동일한 위치이어도 좋지만,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의 경계가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경계보다도 폭 방향 중앙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격 거리는 10 mm 이내가 바람직하다.The longitudinal length L6 of the front and
외측 배리어 커프스(60)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부착 부분(68, 65)에 있어서의 돌출 부분(66, 69)측의 가장자리부에는 핫멜트 접착제나 히트 시일에 의한 선형의 밑동 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고정부는 핫멜트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패턴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 선형의 밑동 고정부는, 내장체(200)의 표면측의 측부 근방(구체적으로는 측가장자리에서 폭 방향으로 0∼5 mm, 바람직하게는 0∼3 mm의 위치) 또는 이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리어 커프스를 표면측으로 되접어 고정하고 있는 것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 양단부만이 되기 때문에, 전후 고정부(67)에 의한 폭 방향 중앙측으로의 규제가 충분히 작용하지 않는 고간부에 있어서는, 외측 배리어 커프스(60)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1) 어느 것이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기립하여, 내측 배리어 커프스(61)가 형성하는 포켓이 넓어진다. 표면측에서 측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으로 5 mm를 넘어서 선형의 밑동 고정부가 위치하면, 고간부에 있어서도 배리어 커프스가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해 기립하여, 내측 배리어 커프스(61)가 형성하는 포켓이 좁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면측에 위치하는 경우는, 내장체(200)의 측가장자리로부터 0∼20 mm의 위치가 적당하지만, 20 mm를 넘어서 위치하여도 좋다. A linear base fixed portion formed by a hot melt adhesive or a heat seal is formed on the edge portions on the side of the projecting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의 부착 부분(68, 65)의 고정 대상은, 내장체(200)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30), 액체 불투과성 시트(11), 흡수 요소(50) 등 적절한 부재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어느 한 쪽의 배리어 커프스를 통해 다른 쪽의 배리어 커프스를 내장체(200)에 대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The objects to be fixed to the
이렇게 하여 구성된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에서는,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의 수축력이 전후 방향 양단부를 근접시키도록 작용하지만, 돌출 부분(66, 69) 중 전후 방향 양단부가 기립하지 않도록 고정되는 데 대하여, 이들 간에는 비고정의 자유 부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 부분만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체측에 접촉하도록 기립한다. 특히, 부착 부분(68, 65)이 내장체(200)의 이면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고간부 및 그 근방에서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가 폭 방향 외측으로 열리도록 기립하기 때문에,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가 다리 둘레에 면으로 접촉하게 되어, 피트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고간부의 전후 양측(복부 및 등부)에 있어서는, 전후 고정부(67)에 의해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가 폭 방향 외측으로 열리지 않도록 규제되기 때문에, 내측 배리어 커프스(61)는 높게 기립하고,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의 하반부도 마찬가지로 기립하기 때문에, 복부 및 등부에 있어서의 내장체(200) 양쪽으로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돌출 부분(66)에 있어서의 전후 고정부(67)는 되접하지 않고,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의 돌출부 부분(68)에 있어서의 전후 고정부(67)는 바깥쪽으로 되접혀 있기 때문에,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에 있어서의 내측 및 외측 자유 부분 사이의 이격 상태가 유지되어,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가 넓은 간격으로 확실하게 기립하여, 각각이 다리 둘레에 피트되게 되기 때문에, 샘 방지성이 우수하게 된다. In the thus configured outer and inner barrier cuffs 60 and 61, the contracting force of the elongate elastic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치수는 적절하게 정할 수 있는데, 유아용 종이기저귀의 경우는,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의 기립 높이(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돌출 부분(66)의 폭 방향 길이)(W5)는 10∼50 mm, 특히 15∼35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의 기립 높이(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돌출 부분(69)의 폭 방향 길이)(W6)는 15∼60 mm, 특히 20∼4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배리어 커프스(61)를 톱 시트(30) 표면으로 쓰러뜨린 상태에 있어서의 선단 사이의 이격 거리(W4)는 60∼170 mm, 특히 70∼1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배리어 커프스(60)를 톱 시트(30) 표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평탄하게 접어 포갠 상태에서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접음선 사이의 이격 거리(W3)는 60∼190 mm, 특히 70∼14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mensions of the barrier cuffs 60 and 61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the case of a baby diap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rising height of the inner barrier cuff 61 (the protruding portio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projecting
한편, 도시한 형태와 달리, 외측 및 내측 배리어 커프스(60, 61) 중 어느 한 쪽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only one of the outer and inner barrier cuffs 60 and 61 may be formed unlike the illustrated one.
(흡수 요소)(Absorption element)
흡수 요소(50)는, 흡수체(56)와, 이 흡수체(56)의 적어도 이면 및 측면을 둘러싸는 포피(包被) 시트(58)를 갖는다. 포피 시트(58)는 생략할 수도 있다.The
(흡수체)(Absorber)
흡수체(56)는 섬유의 집합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섬유 집합체로서는, 면형 펄프나 합성 섬유 등의 단섬유를 적섬(積纖)한 것 외에,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의 합성 섬유의 토우(섬유다발)를 필요에 따라 개섬(開纖)하여 얻어지는 필라멘트 집합체도 사용할 수 있다. 섬유 평량으로는, 면형 펄프나 단섬유를 적섬하는 경우는, 예컨대 100∼300 g/㎡ 정도로 할 수 있으며, 필라멘트 집합체의 경우는, 예컨대 30∼120 g/㎡ 정도로 할 수 있다. 합성 섬유인 경우의 섬도는, 예컨대 1∼16 dtex, 바람직하게는 1∼10 dtex,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dtex이다. 필라멘트 집합체인 경우, 필라멘트는, 비권축 섬유라도 좋지만, 권축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 섬유의 권축도는, 예컨대 1인치당 5∼75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하게 권축한 권축 섬유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흡수체(56) 중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분산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흡수체(56)는 장방형 형상이라도 좋지만, 도 6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부(56F), 후단부(56B)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여, 전단부(56F) 및 후단부(56B)와 비교하여 폭이 좁은 잘록한 부분(56N)을 갖는 모래시계 형상을 이루고 있으면, 흡수체(56) 자체와 배리어 커프스(60, 61)의 다리 둘레에의 피트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치수로는, 흡수체 전단부(56F)의 전후 방향 길이를 L1로 하고, 흡수체(56)와 배측 외장 시트(12F)의 중복 부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길이를 L2로 하고, 흡수체 후단부(56B)의 전후 방향 길이를 L3으로 하고, 흡수체(56)와 등측 외장 시트(12B)와의 중복 부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길이를 L4로 하고, 잘록한 부분(56N)의 최소 폭을 W1로 하고, 흡수체 전단부(56F)의 폭 및 흡수체 후단부(56B)의 폭을 W2로 했을 때, 하기의 식(1)∼(4)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6, the
70 mm≤W1<W2≤190 mm …(1)70 mm?
0.5≤W1/W2≤0.85 …(2)0.5? W1 / W2? 0.85? (2)
0 mm≤L1―L2≤70 mm …(3)0 mm? L1-L2? 70 mm ... (3)
0 mm≤L3―L4≤50 mm …(4) 0 mm? L3-L4? 50 mm ... (4)
W1 및 W2가 지나치게 좁으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기립이 불안정하게 되고, 또 흡수량이 불충분하게 되며, 지나치게 넓으면 피트성 저하에 의해 장착감이 악화된다. If W1 and W2 are too narrow, the standing up of the barrier cuffs 60 and 61 becomes unstable and the amount of water absorption becomes insufficient.
또한, 상기 수치 범위에 있으면, 고간부에 있어서는 배리어 커프스(60, 61)의 부착 부분(65) 근방에 흡수체(56)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움직임 자유도가 증가하여, 배리어 커프스(60, 61)가 폭 방향 외측으로 열리기 쉽고, 피부에 대하여 면으로 접촉하기 쉽게 되어, 다리의 움직임에 대한 피트면의 추종성도 향상된다. 전후 양측에 있어서는 내장체(200) 측부의 흡수체(56)가 충분한 범위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것을 기점(지점)으로 하여 배리어 커프스(60, 61)의 기립이 안정적으로 된다. 전후 양측으로부터 고간부에 이르는 부분은, 배리어 커프스(60, 61)가 내장체(20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기점으로 하여 폭 방향 내측으로 기립한 자세에서 폭 방향측으로 개방되어 가는 변위부이며, 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자세 변화가 내장체(200) 측부까지 존재하는 흡수체(56)에 의해 지탱되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전체적인 기립 형상이 안정적으로 된다.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나, 잘록한 부분이 지나치게 커지면, 고간부에서는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자유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오히려 다리 둘레에 틈이 생기기 쉽게 될 우려가 있고, 또한 고간부의 전후 양측에 있어서도 기점(지점)이 없기 때문에 배리어 커프스(60, 61)의 기립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역으로 잘록한 부분이 지나치게 작아지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자유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In the above range, since the
더욱이, 잘록한 부분(56N) 전체의 전후 방향 길이(L7)는 바람직하게는 80 m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260 mm가 된다. 잘록한 부분(56N)의 전후 방향 길이(L7)가 지나치게 짧으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자유도가 저하됨과 함께, 흡수체(56)의 다리 둘레에 대한 피트성이 저하되어 다리의 움직임을 방해하게 되고, 지나치게 길면 배리어 커프스(60, 61)의 기립이 안정적으로 되지 않게 된다.Further, the length L7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of the entire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란, 「입자」 이외에 「분체」도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자 지름은, 이런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1000 ㎛ 이하, 특히 150∼4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재료로서는, 특별한 한정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 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의 것이 있으며,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형상으로는, 통상 이용되는 분립체형인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이용할 수 있다. Th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include " powder " in addition to " particle ".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can be as it is used for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kind, and it is preferably 1000 占 퐉 or less, particularly 150 to 400 占 퐉. The material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absorption amount is 40 g / g or more. Examples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include starch-based, cellulose-based and synthetic polymer-based ones. Examples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include starch-acrylic acid (salt) graft copolymer, saponified starch-acrylonitrile copolymer, crosslinked product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Salt) polymer, and the like. As the shape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a generally used particulate form is preferable, but other shapes can also be used.
고흡수성 폴리머로서는, 항균 물질과 일체화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은 이온으로 치환하여 이루어지는 제올라이트 입자(이하, 이것을 항균소취성 제올라이트라고 함)를 고흡수성 폴리머 중에 함유시키거나, 혹은 항균소취성 제올라이트 입자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표면에 정전기에 의해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항균소취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적합하다. As the superabsorbent polymer, those integrated with an antibacterial substance can be used. Particularly, zeolite partic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tibacterial and deodorant zeolite") formed by substituting a part or all of ions capable of ion exchange in zeolite with silver ions are contained in the superabsorbent polymer, or the antibacterial and deodorant zeolite particles are highly absorbent Absorbing polymer particles formed by adhering the polymer particles to the surface of the polymer particles by electrostatic force are suitable.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흡수 속도가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흡수 속도가 40초를 넘으면, 흡수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56) 밖으로 되돌아 나와 버리는 소위 역되돌아감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As th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those having an absorption rate of 40 seconds or less are suitably used. When the absorption speed exceeds 40 seconds, the liquid supplied into the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서는, 겔 강도가 1000 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에 의해, 부피가 큰 흡수체(56)로 한 경우에도, 액 흡수 후의 끈적거리는 느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As th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those having a gel strength of 1000 Pa or more are suitably used. Thereby, even when the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은, 그 흡수체(56)의 용도에서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50∼350 g/㎡로 할 수 있다. 폴리머의 평량이 50 g/㎡ 미만이면, 흡수량을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 350 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된다. The basis weight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absorption required for the use of the
필요하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흡수체(56)의 평면 방향으로 살포 밀도 혹은 살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의 배설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살포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남녀차를 고려하는 경우, 남자용은 앞쪽의 살포 밀도(량)를 높이고, 여자용은 중앙부의 살포 밀도(량)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수체(56)의 평면 방향으로 국소적(예컨대 스폿형)으로 폴리머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두는 것도 가능하다.If necessary, the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can adjust the spraying density or the spraying amount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포피 시트)(Poppy sheet)
포피 시트(58)를 이용하는 경우, 그 소재로는, 티슈페이퍼나 크레이프지 등의 종이 소재, 부직포,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 부직포, 작은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빠져 나오지 않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지 대신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친수성의 SMMS(스펀본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가 특히 적합하며,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평량은 5∼40 g/㎡, 특히 10∼3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using the
이 포피 시트(58)는, 도 2와 같이, 흡수체(56)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 외에, 그 층의 이면 및 측면만을 포피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흡수체(56)의 상면 및 측면만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하면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덮는 형태, 흡수체(56)의 상면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측면 및 하면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덮는 형태 등이라도 좋다(이들 각 소재가 포피 시트의 구성 요소가 됨). 필요하면, 흡수체(56)를, 상하 2층의 시트 사이에 끼우는 형태나 하면에만 배치하는 형태이어도 좋지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이동을 방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가 아니다.As shown in Fig. 2, the
(고간부 외장 시트)(High executive outer sheet)
내장체(200)의 이면측에는, 제품 외면으로 노출되는 고간부 외장 시트(12M)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간부 외장 시트(12M)의 소재로는, 배측 외장 시트(12F) 및 등측 외장 시트(12B)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보다 고강도의 소재나 소취제를 함유하는 것 등, 배측 외장 시트(12F) 및 등측 외장 시트(12B)와는 다른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PP, PP/PE, PP/PET 등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우 부직포, 포인트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에어포인트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SMS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 혹은 이것에 소취제 등을 첨가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On the back side of the
고간부 외장 시트(12M)에는 자리 앉을 때에 높은 체압(體壓)이 인가된다. 따라서, 마찰 견뢰도(堅牢度)가 높은(보풀이 일지 않는) 특성을 갖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A high body pressure is applied to the high sheer
고간부 외장 시트(12M)는 인쇄나 착색을 하여 디자인 요소를 구비한 시트로 하여도 좋다. 전술한 디자인 시트와 병용하는 경우는, 각각의 디자인이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igh-
고간부 외장 시트(12M)로서 신축 부직포를 이용하여, 내장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여 접착하면, 고간부의 피트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etchable nonwoven fabric is used as the high sheath
고간부 외장 시트(12M)가 폭 방향 측부로부터 신체측면까지 돌아 들어가, 배리어 시트(62)의 외면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있으면, 내장체(200)의 양측부의 강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고간부 외장 시트(12M)에 강도(여과도)가 높은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클락크법(JISL1096 C법)에 의해 측정되는 강연도(剛軟度)가, 시트의 MD 방향과 CD 방향의 합이 100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mm 이상인 시트를 이용하면 좋다. The rigidity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도시한 예에서는, 배측 및 등측 외장 시트(12F, 12B)와 내장체(200)가 겹쳐지는 부분에 있어서, 고간부 외장 시트(12M)는 내장체(200)와 배측 및 등측 외장 시트(12F, 12B) 사이에 끼워져 있지만, 배측 및 등측 외장 시트(12F, 12B)의 외측에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간부 외장 시트(12M)는,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내장체(200)의 이면 및 배측과 등측 외장 시트(12F, 12B)의 내면 혹은 외면에 접착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high-sheer
<제2 형태> ≪ Second embodiment >
도 11∼도 13은 제2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형태에서는, 배측 외장 시트(12F)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중간부(U2) 및 등측 외장 시트(12B)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상단부(U1)는,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갖고 있지 않은 데 대하여, 제2 형태에서는, 배측 외장 시트(12F)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중간부(U2)에도 전술한 탄성 신축 부재(19)가 형성됨과 함께, 등측 외장 시트(12B)에 있어서의 몸통 둘레 상단부(U1)에도 전술한 탄성 신축 부재(15)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다른 것이다.11 to 13 show a pants-type disposable diap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waist-surrounding upper end portion U1 of the waist-surrounding intermediate portion U2 and the back side
이와 같이, 배측 외장 시트(12F)에 있어서는 몸통 둘레 중간부(U2)가 복수 층 또 탄성 신축 부재(19) 및 접착제를 갖는 부분이 되고, 또한 몸통 둘레 상단부(U1)가 탄성 신축 부재(19) 및 접착제를 갖지 않는 부분으로 되며, 등측 외장 시트(12B)에 있어서는, 반대로 몸통 둘레 중간부(U2)가 탄성 신축 부재(15) 및 접착제를 갖지 않는 부분으로 되고, 또한 몸통 둘레 상단부(U1)가 복수 층 또 탄성 신축 부재(15) 및 접착제를 갖는 부분으로 되어 있으면, 배측 외장 시트(12F)와 등측 외장 시트(12B)를 서로 겹친 제품 상태에서, 배측 외장 시트(12F)의 박층 부분(23)과 등측 외장 시트(12B)의 박층 부분이 겹쳐지지 않도록 각 박층 부분(23)이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고, 배측 외장 시트(12F)의 박층 부분(23)과 동일한 상하 방향 범위에서는 그 범위 내에 마련된 등측 외장 시트(12B)의 탄성 신축 부재(15)에 의해 몸통 둘레의 신축성이 확보되며, 등측 외장 시트(12B)의 박층 부분(23)과 동일한 상하 방향 범위에서는 그 범위 내에 마련된 배측 외장 시트(12F)의 탄성 신축 부재(19)에 의해 몸통 둘레의 신축성이 확보되게 된다. 따라서, 유연성 및 통기성이 보다 한층 더 좋아짐과 함께, 몸통 둘레의 피트성도 잘 저하되지 않아, 몸통 둘레가 잘 헐렁거리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ar
<제3 형태> <Third Embodiment>
상기 제1 형태와 같이, 1장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를 허리측 및 고간측의 양쪽에서 되접어 각 외장 시트(12F, 12B) 전체를 2층 구조로 구성하는 대신에,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허리측에서는, 최외면을 형성하는 1장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를 허리측 끝가장자리에서 되접어, 각 외장 시트(12F, 12B)의 허리측 단부(W) 등의 필요 부위를 2층 구조로 구성하고, 고간측에서는, 최외면을 형성하는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내면측에 별개 부재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X)를 접합시켜, 각 외장 시트(12F, 12B)의 몸통 둘레 하단부(U3) 등의 필요 부위를 2층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제안된다. 이 경우, 시트형 통기성 자재(12, 12X)의 끝가장자리가 각 외장 시트(12F, 12B)의 고간측 끝가장자리에 있어서 노출되지만, 다른 부위로는 노출되지 않는다. 즉, 특히 벗겨짐이나 촉감의 악화가 발생하기 쉬운 허리측 끝가장자리에서는, 각 외장 시트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끝가장자리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s. 14 and 15 (B), instead of constituting the entire
도시한 형태와 반대로, 허리측에서는, 최외면을 형성하는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내면측에 별개 부재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를 접합시켜, 각 외장 시트(12F, 12B)의 허리측 단부(W) 등의 필요 부위를 2층 구조로 구성하고, 고간측에서는, 최외면을 형성하는 1장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를 고간측 끝가장자리에서 되접어, 각 외장 시트(12F, 12B)의 몸통 둘레 하단부(U3) 등의 필요 부위를 2층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허리측 및 고간측의 양쪽에서, 최외면을 형성하는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내면측에 별개 부재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를 접합시키고, 각 외장 시트(12F, 12B)의 허리측 단부(W), 몸통 둘레 하단부(U3) 등의 필요 부위를 2층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air permeable material of a separate member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heet-like
<제4 형태> ≪ Fourth embodiment >
상기 제1 형태와 같이, 내장체(200)의 전단부(201) 및 후단부(202)를, 허리측 접음 부분(21)과 그 외면측 자재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대신에,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외장 시트(12F, 12B)의 폭 방향 중앙에, 폭 방향을 따르는 슬릿(27, 27)을 각각 형성함과 함께, 내장체(200)의 전단부(201)를, 배측 외장 시트(12F)의 슬릿(27)을 통과시켜 배측 외장 시트(12F)의 외면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하고, 또한 내장체(200)의 후단부(202)를, 등측 외장 시트(12B)의 슬릿(27)을 통과시켜 등측 외장 시트(12B)의 외면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제안된다. 이 경우, 내장체(200)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에 노출되는 내장체 구성 자재의 끝가장자리가 각 외장 시트(12F, 12B)의 외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장 시트(12F, 12B)로부터 내장체(200)가 벗겨지거나 내장체(200)의 전후단에 의해 촉감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는 예는 제1 형태의 변형예이지만, 제2 및 제3 형태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제3 형태와 같이, 외장 시트(12F, 12B)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 사이에 끼우기 어려운 경우에 적합하다. Instead of fixing the
<제5 형태> <Fifth Embodiment>
또한, 상기 제1 형태와 같이, 내장체(200)의 전단부(201) 및 후단부(202)를, 허리측 접음 부분(21)과 그 외면측 자재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대신에,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장체(200)의 전단부(201) 및 후단부(202)를, 배측 외장 시트(12F)의 최내면 및 등측 외장 시트(12B)의 최내면에 각각 핫멜트 접착제등에 의해 접합함과 함께, 내장체(200)의 전단부(201)에서부터 그 앞쪽 및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배측 외장 시트(12F)의 최내면 부분까지의 부분에 걸쳐 일체적인 전방부 커버 시트(25)를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하고, 또한 내장체(200)의 후단부(202)에서부터 그 뒤쪽 및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등측 외장 시트(12B)의 최내면 부분까지의 부분에 걸쳐 일체적인 후방부 커버 시트(26)를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하는 것도 제안된다. 이 경우, 내장체(200)의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에 노출되는 내장체 구성 자재의 끝가장자리를, 전방부 및 후방부 커버 시트에 의해 피복하면서 각 외장 시트(12F, 12B)에 대하여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외장 시트(12F, 12B)로부터 내장체(200)가 벗겨지거나 내장체(200)의 전후단에 의해 촉감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제5 형태는, 특히 제3 형태와 같이 내장체(200)를 외장 시트(12F, 12B)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 사이에 끼우기 어려운 경우에 적합하지만, 제1 및 제2 형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Instead of fixing the
<제6 형태> <Sixth embodiment>
제6 형태는 내장체(200)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20∼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불투과성 시트(11) 및 포피 시트(58)의 전후 방향 길이가 제1∼제5 형태에 비해서 짧게 되어 있고,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11) 및 포피 시트(58)를 갖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만, 액체 불투과성 시트(11) 및 포피 시트(58)는 흡수체(56)보다도 전후 방향 길이가 길고, 흡수체(56)의 앞쪽 및 뒤쪽으로 뻗어나와 있다. 중간 시트(40)는 제1∼제5 형태와 같이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표면 시트(30) 및 고간부 외장 시트(12M)는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까지 뻗어나와 있고, 이들 표면 시트(30) 및 고간부 외장 시트(12M)가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에 있어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31)에 의해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접합되어 있다. 이 구조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간부 외장 시트(12M)는, 내장체(2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어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는 부직포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여기서 말하는 「내장체의 전후 단부」란, 적어도 외장 시트(12F, 12B)에 대한 고정 부분의 일부를 포함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예컨대 내장체(200)의 앞가장자리 및 뒷가장자리에서부터 고간측으로 각각 5∼15 mm 정도의 부분으로 할 수 있다. A sixth aspect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the inner body (200). The longitudinal lengths of the liquid
이렇게 하여 구성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특히 그 끝가장자리)가 얇고, 부드럽게 됨과 함께, 통기성이 우수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를 허리측 접음 부분(21)으로 피복하거나, 외장 시트(12F, 12B)의 외측으로 삽입하여 통과시키거나, 커버 시트(25, 26)로 피복하거나 하는 구성과 조합하면,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피복하지 않고서 내면측으로 노출시켜 두어도, 착용감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가 얇고 유연하기 때문에, 내장체(200) 전체가 외장 시트(12F, 12B)의 내면측으로 노출되는 경우에 있어서, 내장체(200)의 단부가 외장 시트(12F, 12B)로부터 이격되어 있어도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도시하지 않지만) 내장체(200)의 외장 시트(12F, 12B)에 대한 고정부를,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의 끝가장자리(단부일 때)까지 연장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이 때,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에 있어서의 외장 시트(12F, 12B)에 대한 이격부의 고간부측 끝가장자리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11)의 전후의 끝가장자리보다도 내장체(200)의 전후의 끝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면, 얇고 부드러운 부분만이 이격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에 액체 불투과성 시트(특히 필름재)(11) 및 포피 시트(특히 종이 소재)(58)가 존재하면, 통기성이 나빠짐과 함께, 전후 끝가장자리가 딱딱하게 된다(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에 흡수체(56)가 존재하는 경우도 또한 마찬가지임). 이것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피 시트(58)로서 부직포를 이용하는 경우는, 포피 시트(58)를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까지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통기성의 저하는 적으면서,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도 딱딱하게 되기 쉽지 않게 된다.In the thus configured disposable diaper, the front and
다른 한편으로, 배리어 커프스(60)에 부착된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 중,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는, 고정 길이(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전후 방향 길이. 도면에서는 부재(63) 전체 길이에 상당)가 흡수체(56)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고, 내장체(200)의 전후 단부(201, 202)의 외장 시트(12F, 12B)에 대한 이격부까지 고정이 연장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으면, 내장체(200) 전체가 외장 시트(12F, 12B)의 내면측에 위치하는(특히 노출되는) 경우, 내장체(200)의 내면이 라운딩되어 우묵하게 들어감으로써 입체적인 선형(船形)으로 되어 피트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만, 이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 중,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63)가 지나치게 강하면 내장체(200)가 지나치게 만곡되어 반대로 피트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내장체(200)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 고정되는 그 밖의 세장형 탄성 신축 부재보다도, 고정시의 신장율은 낮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제6 형태에 있어서의 배리어 커프스(60)는, 제1∼제5 형태와 같은 내측 및 외측의 이중 구조가 아니라, 제1∼제5 형태에 있어서의 단지 외측 배리어 커프스(6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1겹 구조로 되어 있지만, 제1∼제5 형태에 있어서의 단지 내측 배리어 커프스(61)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1겹 구조로 하거나, 제1∼제5 형태와 같이 이중 구조로 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내장체(200)의 측부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리어 커프스(60, 61)에 방수 필름을 내재시킬 수도 있으며, 그 경우는 상기한 액체 불투과성 시트(11)와 같은 전후 방향 범위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내장체(200)의 측부로부터의 샘을 방지하는 것이라면, 배리어 커프스(60, 61)를 구성하는 배리어 시트(62) 자체의 내수성을 더욱 향상시키거나, 또는 도시하는 예와 같이 액체 불투과성 시트(11)가 흡수 요소(50)의 양측으로 돌아 들어가 흡수 요소(50)의 표면 시트(30) 측면의 양측부까지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out of the elongated elastic
<제7 형태> <Seventh Embodiment>
제7 형태는 도 29∼도 34에 도시되는 형태이며,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는 부분은 제1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형태의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7 형태에 있어서, 배측 외장 시트(12F) 및 등측 외장 시트(12B)는, 도 4 및 도 31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장의 시트형 자재(12)를 2층 구조가 되도록 접어 포개어 서로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징적으로는, 각 외장 시트(12F, 12B)에서는, 시트형 자재(12)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허리측 끝가장자리(허리 개구부(WO)의 가장자리)를 접는 선으로 하여 최외면으로부터 최내면으로 되접히고, 이 접음 부분이 최내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간 위치보다 허리측의 부분 전체를 덮는 허리측 접음 부분(21)으로서 형성됨과 함께, 시트형 자재(12)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고간측 끝가장자리를 접는 선으로 하여 최외면으로부터 최내면으로 되접히고, 이 접음 부분이 최내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간 위치보다 고간측의 부분 전체를 덮는 고간측 접음 부분(22)으로서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허리측 접음 부분(21) 및 고간측 접음 부분(22)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허리측 접음 부분(21)의 고간측 끝가장자리와, 고간측 접음 부분(22)의 허리측 끝가장자리가 일치하고 있다(맞대어져 있음). The seventh aspect is a form shown in Figs. 29 to 34, and the parts not shown in these figur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they can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drawings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eventh aspect, the back side
그리고,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결과로서, 도 34(b)에 도시되는 사이드 시일부(12A)의 자재 적층 구조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일부(12A) 중 허리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12)의 적층수와,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12)의 적층수와,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12)의 적층수가 어느 것이나 동일한 4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시일부(12A)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적절한 접합 강도로 접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5에 도시되는 종래의 형태는, 허리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12)의 적층수가 6장,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12)의 적층수가 4장으로 되어 있어, 균일한 용착이 곤란하다. 그 밖에는 제1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굳이 설명은 생략한다.As a result of such a structure, as can be seen from the material lamination structure of the
<제8 형태> <Eighth embodiment>
제8 형태는 도 35에 도시되는 형태이며, 전술한 제7 형태에 대하여 전술한 제2 형태와 동일한 변형을 적용한 형태이다. 도 35에 도시되어 있지 않는 부분은 제2 형태 및 제7 형태의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ighth form is a form shown in Fig. 35, which is the same as the second form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seventh form. The portion not shown in Fig. 35 can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drawings of the second and seventh embodiments.
제8 형태에서는, 도 35(b)에 도시되는 사이드 시일부(12A)의 자재 적층 구조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일부(12A) 중 허리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와,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가 동일수(4장)로 되고,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가 그 이하(2장)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시일부(12A)에 균등하게 사이드 시일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사이드 시일부(12A)에 있어서의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와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접합 강도를 거의 동등하게 또한 사이드 시일부(12A)의 각 부 중에서 가장 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사이드 시일부의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는 장착 중에 특히 강한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면서 당겨 벗기는 시작점 혹은 종점이 되는 부분이며, 또한 사이드 시일부(12A)의 중간부는 사용 후 당겨 벗길 때에 있어서는 스무스한 박리가 요구되기(시작점 및 종점보다도 강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장착 중에는 사이드 시일부(12A)의 의도하지 않는 벗겨짐이 없고, 또한 사용한 후에는 당겨 벗기기가 용이한 것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도 25에 도시되는 종래의 형태는, 허리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가 6장,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의 적층수가 4장으로 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은 곤란하다. 그 밖에는 제2 형태 및 제7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굳이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eighth form, as can be seen from the material lamination structure of the
<제9 형태> <Ninth embodiment>
제9 형태는 도 36, 도 37에 도시되는 형태이며, 전술한 제7 형태에 대하여 전술한 제3 형태와 동일한 변형을 적용한 형태이다. 또한 그 변형 내용은 전술한 제3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 중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The ninth embodiment is a form shown in Figs. 36 and 37, and is the same as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seventh embodiment. Also, since the contents of the modifica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제10 형태> <Tenth Embodiment>
제10 형태는 도 38, 도 39에 도시되는 형태이며, 전술한 제7 형태에 대하여 전술한 제4 형태와 동일한 변형을 적용한 형태이다. 또한 그 변형 내용은 전술한 제4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 중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시하는 예는 제7 형태의 변형예이지만, 제8 및 제9 형태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특히 제9 형태와 같이, 외장 시트(12F, 12B)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 사이에 끼우기 어려운 경우에 적합하다.The tenth form is a form shown in Figs. 38 and 39, and a modification similar to the fourth form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seventh form. Since the modification cont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is omitted. In the ninth embodiment, the sheet-like
<제11 형태> ≪ 11th embodiment >
제11 형태는 도 42 및 도 21에 도시되는 형태이며, 전술한 제7 형태에 대하여 전술한 제5 형태와 동일한 변형을 적용한 형태이다. 또한 그 변형 내용은 전술한 제5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 중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제11 형태는 특히 제9 형태와 같이 내장체(200)를 외장 시트(12F, 12B)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12) 사이에 끼우기 어려운 경우에 적합하지만, 제7 및 제8 형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eleventh embodiment is a form shown in Figs. 42 and 21, which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seventh embodiment, to which the same modification as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applied. Since the modification cont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fth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drawing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the eleventh embodimen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case where it is difficult to sandwich the
<제12 형태> ≪ 12th embodiment &
제12 형태는 도 42에 도시되는 형태이며, 전술한 제7∼제11 형태에 대하여 전술한 제6 형태와 동일한 변형을 적용한 형태이다. 한편 그 변형 내용은 전술한 제6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 중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The twelfth embodiment is the one shown in Fig. 42, and the seventh to eleven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odif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odification cont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drawing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른 형태> <Other Forms>
상기 제1 형태 내지 제6 형태에서는 양 외장 시트(12F, 12B)에 박층 부분(23)을 각각 형성하고 있지만, 어느 한 쪽(예컨대 등측)에만 박층 부분(23)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는 형성하지 않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는, 등측에만 박층 부분(23)을 형성하면, 사이드 시일부(12A)는 적어도 사이드 시일부의 중간부에서는 배측으로 잡아당겨지기 때문에, 등측 연장부(14)에 탄성 신축 부재를 배치하여도, 사용시에 있어서 사이드 시일부(12A)의 하단측이 등측으로 어긋나, 둔부 커버부(14C)에 있어서의 부풀어오름이나 말려 올라감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100 : 몸통 둘레부, 11 : 액체 불투과성 시트,
12F : 배측 외장 시트, 12B : 등측 외장 시트,
200 : 내장체, 21 : 허리측 접음 부분,
22 : 고간측 접음 부분, 23 : 이격 부분,
25 : 전방부 커버 시트, 26 : 후방부 커버 시트,
27 : 슬릿, 30 : 톱 시트,
40 : 중간 시트, 50 : 흡수 요소,
52 : 섬유, 54 :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56 : 흡수체, 58 : 포피 시트,
60 : 측부 배리어 커프스, 62 : 배리어 시트,
70 : 등측 신축 시트. 100: waist portion, 11: liquid impervious sheet,
12F: back side outer sheet, 12B: back side outer sheet,
200: interior body, 21: waist side folding portion,
22: folding portion on the side of the harness, 23:
25: front cover sheet, 26: rear cover sheet,
27: slit, 30: top sheet,
40: intermediate sheet, 50: absorbing element,
52: fiber, 54: superabsorbent polymer particle,
56: absorber, 58: poppy sheet,
60: side barrier cuff, 62: barrier sheet,
70: back side elastic sheet.
Claims (10)
상기 배측 외장 시트 내면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기 등측 외장 시트 내면의 폭 방향 중앙부까지 걸쳐 형성된, 배설물을 흡수하는 내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측 외장 시트와 등측 외장 시트가 고간측에서 연속되어 있지 않고, 이격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배측 외장 시트 및 등측 외장 시트는, 상기 접합되는 사이드 시일부와 동일한 상하 방향 범위에, 위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허리측 단부, 몸통 둘레 상단부, 몸통 둘레 중간부 및 몸통 둘레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측 외장 시트 및 등측 외장 시트의 적어도 한 쪽은;
상기 허리측 단부 및 몸통 둘레 하단부가, 복수 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시트형 통기성 자재 사이에 탄성 신축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한 상태로 협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몸통 둘레 상단부 및 몸통 둘레 중간부의 적어도 한 쪽이,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A tubular waist portion formed by joining both side portions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a visceral body formed to extend from a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to a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Wherein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are not continuous on the side of the back sid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Wherein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include a waist side end portion, a waist circumference upper end portion, a waist circumference middle portion, and a waist circumference lower end sequentially from above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range as the side seal portion to be joined,
At least one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Like waist-side end portion and the waist-surrounding lower end portion are formed by joining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of plural layers, and an elastic stretchable member is sandwiched and fixed between these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in a state elonga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waist-surrounding upper end portion and the waist-surrounding intermediate portion is made of a single-layer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 and does not include an elastic stretchable member and an adhesive for fixing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상기 배측 외장 시트 및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허리측 단부 및 몸통 둘레 하단부는, 복수 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시트형 통기성 자재 사이에 탄성 신축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한 상태로 협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배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상단부 및 상기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중간부는,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waist circumferential lower end portion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back side outer sheet are formed by joining a plurality of sheets of air permeable material and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is stretched between the sheet air permeable materi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State,
The waist-surrounding middle portion in the waist circumference upper end portion and the back side waist covering portion of the back side facing sheet is made of a single sheet of air-permeable material and is made of an elastic stretchable member and a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상기 등측 외장 시트는, 상기 사이드 시일부와 동일한 상하 방향 범위의 아래쪽으로 뻗어나가는 등측 연장부를 포함하며, 이 등측 연장부는, 상기 내장체와 겹쳐지는 폭 방향 중앙부와, 그 양측으로 뻗어나간 둔부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측 연장부는, 복수 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시트형 통기성 자재 사이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둔부 커버부에 탄성 신축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한 상태로 협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배측 외장 시트의 상기 몸통 둘레 하단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수축력이, 상기 등측 외장 시트의 상기 몸통 둘레 하단부 및 등측 연장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수축력보다 강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houlder cover portion includes a widthwise central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inner body, and a hip cover port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inner cover, Including,
Wherein the shoulder extension portion is formed by joining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of plural layers, and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stretchable member is held and fixed at least in the buttock cover portion between these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in a state elonga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Wherein a contraction force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is greater than a contraction force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back side extending portion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상기 배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중간부 및 상기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상단부는, 복수 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의 접합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시트형 통기성 자재 사이에 탄성 신축 부재가 폭 방향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협지 고정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ist-surrounding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ack side facing sheet and the waist-surrounding upper end portion of the back side facing sheet are formed by joining sheet-like breathable materials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an elastic stretching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sheet-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fixedly held in a stretched state along a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상기 배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중간부 및 상기 등측 외장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몸통 둘레 상단부는, 단층의 시트형 통기성 자재로 이루어지고, 탄성 신축 부재 및 이것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ist-surrounding intermediate portion of the back side facing sheet and the waist-surrounding upper end portion of the back side facing sheet are made of a single sheet of air-permeable material, and the elastic stretching member and the pants- Disposable diapers.
사이드 시일부 경사 시험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일부 경사 각도가 20도 이하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he method of claim 3,
A pull-on type disposable diaper having a side seal portion inclination angle of 20 degrees or less in a side seal portion inclination test.
상기 내장체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끝가장자리가, 필름재 혹은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는 시트재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front edge portion and a rear edge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inner body are configured not to include a sheet material made of a film material or a paper material.
상기 배측 외장 시트의 양측부와 등측 외장 시트의 양측부가 용착 접합된 부분인 사이드 시일부 중, 허리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와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가 동일하고, 또한 상기 허리측 단부와 고간측 단부 사이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가, 상기 허리측 단부 및 고간측 단부에 있어서의 시트형 자재의 적층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like materials at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like materials at the high-temperature side end portion of the side seal portions, which are both sides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back side outer sheet, And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like materials in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high-gap side end por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number of laminated sheet-like materials at the waist side end portion and the high-gap side end portion. diaper.
상기 용착 접합이 초음파 용착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elding and bonding is performed by ultrasonic welding.
상기 사이드 시일부는, 상기 배측 외장 시트의 양측부와 등측 외장 시트의 양측부가 겹쳐지는 부분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가장자리까지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ide seal portion is linearly formed from an upper edge to a lower edge of a portion where both side portions of the back side external sheet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back side external sheet overl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340937 | 2007-12-28 | ||
JPJP-P-2007-340938 | 2007-12-28 | ||
JP2007340938A JP4494458B2 (en) | 2007-12-28 | 2007-12-28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JP2007340937A JP4659020B2 (en) | 2007-12-28 | 2007-12-28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PCT/JP2008/073764 WO2009084643A1 (en) | 2007-12-28 | 2008-12-26 |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2595A KR20100112595A (en) | 2010-10-19 |
KR101478864B1 true KR101478864B1 (en) | 2015-01-02 |
Family
ID=4082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7016756A KR101478864B1 (en) | 2007-12-28 | 2008-12-26 |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8864B1 (en) |
CN (1) | CN101909568B (en) |
WO (1) | WO2009084643A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22455A1 (en) * | 2017-05-31 | 2018-12-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
WO2018222453A1 (en) * | 2017-05-31 | 2018-12-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
WO2018222457A1 (en) * | 2017-05-31 | 2018-12-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85075B2 (en) | 2009-09-30 | 2014-01-0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Wearing article |
JP5421713B2 (en) * | 2009-10-01 | 2014-02-19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Disposable diapers |
JP5674303B2 (en) | 2009-11-06 | 2015-02-2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Disposable wearing items |
JP5539798B2 (en) | 2010-07-01 | 2014-07-0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Pants-type absorbent wearing articles |
EP2659871B1 (en) * | 2010-12-28 | 2019-05-15 | Kao Corporation | Pull-on wear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JP5883155B2 (en) | 2011-11-30 | 2016-03-09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Small disposable pull-on diapers |
MY174506A (en) * | 2012-04-25 | 2020-04-23 | Zuiko Corp | Disposable worn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WO2013170433A1 (en) * | 2012-05-15 | 2013-11-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 having characteristic waist end |
JP6124613B2 (en) * | 2013-02-06 | 2017-05-1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Pants-type diapers |
RU2664341C2 (en) * | 2013-09-30 | 2018-08-16 | Дайо Пейпер Корпорейшн | Expandable structure for the absorbing article, absorbing product containing such expandable structure, and expandable structure for absorbing article forming method |
CN106061448B (en) * | 2014-03-12 | 2019-07-23 | 大王制纸株式会社 | Breeches type disposable diap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EP3251646B1 (en) * | 2015-01-30 | 2021-01-13 | Daio Paper Corporation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able sheet |
JP5992568B1 (en) * | 2015-03-24 | 2016-09-14 | 大王製紙株式会社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ITUB20150513A1 (en) * | 2015-05-12 | 2015-08-12 | Fameccanica Data Spa | PROCEDURE AND EQUIPMENT FOR THE PRODUCTION OF ABSORBENT HEALTH PRODUCTS AND ABSORBENT HEALTH PRODUCT |
WO2017002206A1 (en) * | 2015-06-30 | 2017-01-0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
US20170290713A1 (en) * | 2016-04-07 | 2017-10-1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graphics |
JP6232471B1 (en) * | 2016-06-06 | 2017-11-1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s |
JP6193448B1 (en) | 2016-06-09 | 2017-09-06 | 大王製紙株式会社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JP6351685B2 (en) * | 2016-10-21 | 2018-07-04 | 大王製紙株式会社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EP3544560B1 (en) * | 2016-11-23 | 2023-08-23 |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 Absorbent article with folded edges to enclose elastic eleme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with folded edges |
JP6564356B2 (en) * | 2016-11-25 | 2019-08-21 | 大王製紙株式会社 | Tape type disposable diaper |
WO2018096691A1 (en) * | 2016-11-28 | 2018-05-3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
CN109009685B (en) * | 2018-07-19 | 2024-08-20 | 安庆市恒昌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 Novel diaper product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
JP7190852B2 (en) * | 2018-09-18 | 2022-12-16 | 大王製紙株式会社 | absorbent article |
WO2021168782A1 (en) * | 2020-02-28 | 2021-09-0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Pant-type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EP4153113A1 (en) * | 2020-05-22 | 2023-03-2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with waistbands and waistband cover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3419A (en) * | 1998-04-24 | 1999-11-25 |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 Disposable pants type diaper |
KR20020069017A (en) * | 2000-02-08 | 2002-08-28 |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 Disposable shorts |
JP2005027839A (en) | 2003-07-11 | 2005-02-03 | Livedo Corporation | Disposable pants-type diaper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76523A (en) * | 1998-03-30 | 1999-10-12 | Oji Paper Co Ltd | Pants-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
JP2000093461A (en) * | 1998-09-22 | 2000-04-04 | Shiseido Co Ltd | Absorptive article |
JP2001029389A (en) * | 1999-07-15 | 2001-02-06 | Zuiko Corp | Throw-away shorts and its production |
JP4392173B2 (en) * | 2002-01-30 | 2009-12-2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Pants-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s |
US20040243083A1 (en) * | 2003-05-27 | 2004-12-0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pull-on garment having graphic patch |
JP4131683B2 (en) * | 2003-06-30 | 2008-08-13 | 花王株式会社 | Disposable wearing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4937572B2 (en) * | 2005-11-30 | 2012-05-23 | 大王製紙株式会社 | Disposable diapers |
-
2008
- 2008-12-26 WO PCT/JP2008/073764 patent/WO200908464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12-26 CN CN200880122821.5A patent/CN101909568B/en active Active
- 2008-12-26 KR KR1020107016756A patent/KR10147886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3419A (en) * | 1998-04-24 | 1999-11-25 |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 Disposable pants type diaper |
KR20020069017A (en) * | 2000-02-08 | 2002-08-28 |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 Disposable shorts |
JP2005027839A (en) | 2003-07-11 | 2005-02-03 | Livedo Corporation | Disposable pants-type diaper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22455A1 (en) * | 2017-05-31 | 2018-12-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
WO2018222453A1 (en) * | 2017-05-31 | 2018-12-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
WO2018222457A1 (en) * | 2017-05-31 | 2018-12-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
KR20190140099A (en) * | 2017-05-31 | 2019-12-18 |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 Front or rear open side-closed absorbent article |
GB2577429A (en) * | 2017-05-31 | 2020-03-25 | Kimberly Clark Co |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
KR102099233B1 (en) | 2017-05-31 | 2020-04-13 |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 Front or rear open side-closed absorbent article |
GB2577429B (en) * | 2017-05-31 | 2022-05-11 | Kimberly Clark Co |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
US11672708B2 (en) | 2017-05-31 | 2023-06-13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
US11752045B2 (en) | 2017-05-31 | 2023-09-1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
US11883268B2 (en) | 2017-05-31 | 2024-01-3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ront or rear opening closed-sided absorbent arti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909568A (en) | 2010-12-08 |
KR20100112595A (en) | 2010-10-19 |
CN101909568B (en) | 2013-03-13 |
WO2009084643A1 (en) | 2009-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8864B1 (en) |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 |
JP4494458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
JP4659020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
JP5106990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and stretchable part structure i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
JP5438139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
KR101443948B1 (en) | Disposable diaper | |
JP2009106666A (en) | Under-pants type disposable diaper | |
JP5886382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
JP5632521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
JP6265332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
JP6198031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
JP5632346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
JP5669498B2 (en) | Disposable diapers | |
JP6307544B2 (en) | Pants type disposable products | |
JP2013070820A5 (en) | ||
JP7201358B2 (en) | Pants 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 |
JP5931423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
JP2017169730A5 (en) | ||
JP6429961B2 (en) | Pants type disposable products | |
WO2021059956A1 (en) | Pull-up disposable diaper | |
JP2012065818A (en) | Underpants type disposable diaper | |
JP2018050912A5 (en) | ||
JP7158836B2 (en) | Pants type disposable diaper | |
JP2021049285A5 (en) | ||
JP5615419B2 (en) | Pants-type disposable diap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7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