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214B1 -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using horizontal adjustable underpinn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using horizontal adjustable underpinn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7214B1 KR101477214B1 KR1020130018702A KR20130018702A KR101477214B1 KR 101477214 B1 KR101477214 B1 KR 101477214B1 KR 1020130018702 A KR1020130018702 A KR 1020130018702A KR 20130018702 A KR20130018702 A KR 20130018702A KR 101477214 B1 KR101477214 B1 KR 1014772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onnector
- frame assembly
- coupled
- assemb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방식으로 제작된 직선형 부재인 제1프레임판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부 일단에 제1프레임판결합부가 형성된 제1프레임 2개가 제1프레임돌기는 외측을 향하게 하여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와 압출방식으로 제작된 직선형 부재인 제2프레임판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측부 일단에 제2프레임판결합부가 형성된 제2프레임 2개가 제2프레임삽입홈이 외측을 향하게 하여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가 결합하여 형성된 장방형의 프레임결합체; 프레임결합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널; "ㄷ" 자 형상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양측부에서 일자로 연장되며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및, 제1프레임 2개가 각각의 제1프레임판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또는 제2프레임 2개가 각각의 제2프레임판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고 커넥터의 날개부가 각각의 제1프레임판결합부 또는 제2프레임판결합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평조절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제공한다. A first frame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first frame plate, which is a linear member manufactured by an extrusion method, and a first frame frame having a first frame edge fit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frame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plate, which is a linear member formed by an extrusion method, and a second frame judgment engagement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portion, A second frame coupling body having two second frame insertion slots facing outward and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A panel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frame assembly; A connector having a " C "-shaped body portion and a wing por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from both side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and formed in a saw tooth shape; And two first frames are spaced apart such that each first frame judgment mating portion faces each other or two second frames are spaced apart such that each second frame judgment mating portion is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wing portion of the connector is spaced apart from the respective first frame judgment mating portion And a horizontal adjustment pedestal coupled to the second frame adjoining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efabricated unitary frame frame using the horizontal adjustment pedestal.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부분의 구성요소를 압출방식으로 제작하여 이루어진 단위패널을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벽체틀을 구성하고 상기 벽체틀에 삽입 또는 타설되는 채움재와 일체(一體)로 벽체를 구성하는 조립식 단위벽체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 바닥면을 편평하게 수평을 맞추기 위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로 형성된 수평조절받침대를 설치하고 그 위에 적층되는 이동과 사용이 간편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unitary wall frame structure constituting a wall body integrally with a filler material constituting a wall frame by connecting the unit panels formed by extruding most of the constituent element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adjustable pedestal provided with a constituent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horizontally aligning a construction floor surfac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거나 보행자의 시선차단, 방풍, 거리 미화 등을 위해서 통상 비내력의 칸막이벽체를 시공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칸막이벽체는 벽돌을 조적하거나 공장생산된 칸막이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시공된다.For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of a building or for blocking the gaze of a pedestrian, windshield, street beautification, etc., a partition wall having a normal strength is usually installed. Generally, the partition wall is a method of installing bricks or installing a factory- do.
그러나, 벽돌을 조적하는 방법은 현장의 시공오차를 흡수하면서 현장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현장작업이 많고 공기가 길어지며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별도의 마감작업을 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한편, 칸막이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은 현장작업이 간단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칸막이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스터드, 런너 등의 부가적인 부속철물이 필요하고 규격화된 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만큼 현장의 시공오차를 흡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ethod of joining bricks has the advantage of being capable of flexibly respon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ite while absorbing the construction error of the site,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a lot of field work, air is lengthened, the surface is not smooth, have.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partitioning panel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simple in the field work and can smoothly finish the surface, but it is necessary to use additional fittings such as studs and runners for fixing the partitioning panel and to use standardized members It is difficult to absorb the construction error of the site.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거푸집 없이 용이하게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벽체틀(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5092호)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구성의 경우 공사기간이 절약되고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조립하고 설치하기에 시공오차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모르타르 타설시 측압에 의하여 부재에 변형이 생기고 시공 바닥면의 평활도를 맞추기가 까다롭다는 한계가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wall fram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15092) has been developed which is easily assemb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without a separate form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is cas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when the mortar is poured, deformation occurs on the member due to side pressure and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flatness of the floor of th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The purpose is as follows.
첫째, 조립식 단위벽체틀 내부공간에 전부 또는 대부분에 걸쳐 채움재를 미리 삽입하여 시공되는 위치의 활용목적에 따라 구조내력강도를 만족하고 기존 패널 연결부에서 채움재가 새거나 패널의 배불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First, the filler material is pre-inserted into all or most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to satisfy the strength of structural strength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the filler material is not leaked from the existing panel connection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둘째, 정밀조립시공성능 확보를 위한 밑받침으로 역할을 하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Second,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for acting as an underlay for ensuring precision assembling and installation performance.
셋째, 조립식 단위벽체틀에는 공간활용 및 쾌적성 확보에 필요한 각종 기기, 설비 등을 정밀하고, 일괄적으로 내장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precisely and integrally installing various devices, equipments, and the like necessary for securing space utilization and comfort in a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넷째, 벽체시공에 소요되는 거푸집, 시멘트벽돌, 단열재, 마감재 등의 자재를 대체하도록 규격화된 자재를 압출을 통해 손쉽게 기성제작하여 자재관리, 시공성, 경제성 등에서 기존의 건식, 습식공법에 비해 우수한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Fourth, materials that are standardized to replace materials such as formwork, cement brick, thermal insulation, and finishing materials required for wall construction can be manufactured easily by extrusion, and excellent means for material management, workability, and economy are superior to existing dry and wet methods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such
다섯째, 다수 개의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조립하여 다양한 길이 및 높이를 갖는 벽체를 축조할 수 있고, 벽체의 형태 구성도 자유로이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Fifth,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by which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s can be assembled to form walls having various lengths and height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walls can be freely configured.
여섯째, 벽체 시공 과정에서 폐기물 발생량이 종전의 방법에 비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Sixthly,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by which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during the wall construction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압출방식으로 제작된 직선형 부재인 제1프레임판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부 일단에 제1프레임판결합부가 형성된 제1프레임 2개가 제1프레임돌기는 외측을 향하게 하여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와 압출방식으로 제작된 직선형 부재인 제2프레임판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측부 일단에 제2프레임판결합부가 형성된 제2프레임 2개가 제2프레임삽입홈이 외측을 향하게 하여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가 결합하여 형성된 장방형의 프레임결합체; 프레임결합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널; "ㄷ" 자 형상의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양측부에서 일자로 연장되고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및, 제1프레임 2개가 각각의 제1프레임판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또는 상기 제2프레임 2개가 각각의 제2프레임판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고 커넥터의 날개부가 각각의 제1프레임판결합부 또는 제2프레임판결합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평조절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프레임결합체는 제1프레임결합체와 제2프레임결합체가 제1프레임판결합부와 제2프레임판결합부가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양단이 결합하여 형성되고, 커넥터는 날개부가 제1프레임판결합부 및 제2프레임판결합부에 홈-돌기 끼움 결합되며,프레임결합체 한 쌍이 각각 패널이 결합 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고,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가 시공 바닥면에 설치된 수평조절받침대 위에 결합되고 그 위로 패널이 결합된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st frame plate, which is a linear member manufactured by an extrusion method, and a first fram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frame plate, and a first frame having a first frame plate- The first frame protrusion has a second frame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a second frame plate, which is a linear member manufactured by an extrusion method, A second frame assembly having two frame assemblies formed thereon and two second frame assemblies coupled to each other with the second frame insertion grooves facing outward; A panel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frame assembly; A connector having a " C "-shaped body portion and a wing por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t both side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and formed in a toothed shape; And two first frames are spaced apart such that each first frame judgment mating portion faces each other or two second frame portions are spaced apart such that each second frame judgment mating portion faces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frame assemblies are disposed so tha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re align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connector is formed such that the wing portion is groove-projectedly fitted to the first frame judging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judging portion, and a pair of frame assemblies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panel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frame assemblies connected by the connector are coupled to the horizontal adjustment pedestal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floor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the frame over the pair of panels is bonded laminat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첫째, 단위벽체틀 내부공간의 전부 또는 대부분에 걸쳐 채움재를 미리 삽입하여 모르타르 타설 양이 줄어듦으로써 타설 측압이 현저히 감소하고 부재간의 결합구조가 견고히 되어 연결부에서 채움재가 새거나 패널의 배불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First, the amount of mortar pouring is reduced by inserting the filler material into all or most of the inner space of the unit wall frame, the pressure of the pouring side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members is strengthened so that the filler material leaks from the connecting portion, Do not.
둘째, 채움재의 양이 감소하므로 양생시간이 줄어들고 비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신축건물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의 리모델링 공사에도 적용할 수 있다.Secondly, the amount of filler is reduced, so that the curing time is reduced. Also, non-skilled workers can quickly construct with a predetermined quality, and can be applied not only to new buildings but also to remodeling works of existing buildings.
셋째,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하여 벽면의 평활도가 확보되고 수평이 고르지 못한 시공 바닥면 위에서도 쉽게 수평을 맞출 수 있다.Third, horizontal leveling can be used to ensure smoothness of the wall and to level the floor even on uneven floors.
넷째, 다수 개의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조립하여 다양한 길이 및 높이를 갖는 벽체를 축조할 수 있고, 벽체의 형태 구성도 자유로이 할 수 있다.Fourth,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s can be assembled to construct walls having various lengths and height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walls can be freely configured.
다섯째, 조립식 단위벽체틀에는 공간활용 및 쾌적성 확보에 필요한 각종 기기, 설비 등을 정밀하고, 일괄적으로 내장 설치할 수 있다.Fifth, in the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various devices and equipments necessary for space utilization and comfort can be installed precisely and collectively.
여섯째, 벽체 시공 과정에서 폐기물 발생량이 종전의 방법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다.
Sixth,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during the wall construction process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결합체에 패널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레임결합체 중 제1프레임결합체 및 제2프레임결합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틀에서 커넥터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틀에서 수평조절받침대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틀의 제1프레임결합체 및 제2프레임결합체의 양단부에 U자홈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틀에서 커넥터 몸체부의 개구된 부분이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 내부에 위치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틀에서 커넥터 몸체부의 개구된 부분이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 외부에 위치한 경우의 결합사시도 및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틀이 수평조절받침대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절받침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nel coupled to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frame combination and the second frame combination of the frame combination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in a prefabricated unitary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leveling pedestal in a prefabricated unitary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haped groove formed at both ends of a first frame assembly and a second frame assembly of the assembled unitar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n open portion of a connector body portion in a prefabricated unitary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side a pair of frame assemblies.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unitary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open portion of a connector body is located outside a pair of frame assemblies.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assembled unit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the leveling pedestal.
9 shows an embodiment of a leveling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using the leveling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1. Prefabricated with leveling feet
단위벽체틀Unit wall fr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결합체(300)에 패널(P)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레임결합체(300) 중 제1프레임결합체(100) 및 제2프레임결합체(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nel P coupled to a
본 발명은 압출방식으로 제작된 직선형 부재인 제1프레임판(122)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124)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측부 일단에 제1프레임판결합부(126)가 형성된 제1프레임(120) 2개가 제1프레임돌기(124)는 외측을 향하게 하여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100)와 압출방식으로 제작된 직선형 부재인 제2프레임판(222)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224)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측부 일단에 제2프레임판결합부(226)가 형성된 제2프레임(220) 2개가 제2프레임삽입홈(224)이 외측을 향하게 하여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200)가 결합하여 장방형의 프레임결합체(300)를 구성한다. 그리고 프레임결합체(300)의 전면에 패널(P)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프레임결합체(300)는 제1프레임결합체(100)와 제2프레임결합체(200)가 제1프레임판결합부(126)와 제2프레임판결합부(226)가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양단이 결합하여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220)은 자체의 형상 혹은 필요한 치수로 절단하여 2개의 제1,2프레임을 만들 수 있고, 각각 결합하여 도 2의 제1프레임결합체(100) 및 제2프레임결합체(200)를 구성한다. 다만 압출방식으로 제작되는 부재인 만큼 알루미늄이나 ABS 등의 합성수지류가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수개의 제1프레임돌기(124) 및 다수개의 제2프레임삽입홈(224)을 구성할 수도 있다.The
패널(P)은 압출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압출방식이 아닌 통상적인 다양한 방법으로 생산 가능하며 외면이 벽체 마감 면이 되도록 대리석패널(P) 및 목재패널(P) 등의 다양한 재질 및 질감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패널(P)에는 배선 또는 배관을 위한 통공부(미도시)를 형성시켜 전선 배치, 조명기구 스위치 단자함 설치, 가스설비, 수도설비, 인터넷 설비 등을 미리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벽체를 구성하는 채움재(600)가 주입되기 전에 위와 같은 각종 설비를 미리 설치할 때는 설계도면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고, 작업난이도를 낮추고 작업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anel P may be manufactured by an extrusion method or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materials and textures such as a marble panel P and a wood panel P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P is a wall finish surface, . (Not shown) for wiring or piping may be formed in the panel P so that the wire arrangement, the lighting device switch terminal box installation, the gas installation, the water supply installation, and the Internet installation can be installed in advance. When the above-described various equipments are installed in advance before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틀에서 커넥터(400)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400)는 "ㄷ" 자 형상의 몸체부(420)와 상기 몸체부(420)의 양측부에서 일자로 연장되고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날개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커넥터(400)의 날개부(440)는 제1프레임판결합부(126) 및 제2프레임판결합부(226)에 홈-돌기 끼움 결합된다. 또한 커넥터(400)는 프레임결합체(300)와 결합할 경우에 커넥터(400)의 몸체부(420)에 형성된 개방된 부분이 프레임결합체(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함에 따라 다른 구성이 된다. 이와 관련하여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틀에서 수평조절받침대(500)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수평조절받침대(500)는 시공 바닥면(B)에서 제1프레임 2개가 각각의 제1프레임판결합부(126)가 서로 마주보도록 또는 제2프레임(220) 2개가 각각의 제2프레임판결합부(226)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고 커넥터(400)의 날개부(440)가 각각의 제1프레임판결합부(126) 또는 제2프레임판결합부(226)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프레임결합체(300) 한 쌍이 각각 패널(P)이 결합 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어 다수개의 커넥터(400)에 의해 연결되고 커넥터(400)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가 시공 바닥면(B)에 설치된 수평조절받침대(500) 위에 결합되고 그 위로 패널(P)이 결합된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가 적층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leveling
그리고 수평조절받침대(500)는 시공 바닥면(B)의 수평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평활성을 우수하게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수평조절받침대(500)는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개방된 부분이 시공될 바닥면(B) 또는 위로 향해 다른 구성이 된다. 이와 관련해서도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levelin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틀의 제1프레임결합체(100) 및 제2프레임결합체(200)의 양단부에 U자홈(128)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결합체(300)의 제1프레임판결합부(126) 및 제2프레임판결합부(226)의 양단부에 U자홈(128)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U자홈(128)은 2mm정도로 절단가공되어서 조립식 단위벽체틀에 배관파이프를 설치할 경우에도 커넥터(400)가 쉽게 결합되는 커넥터(400) 인입구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2.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2. Prefabricated with leveling pedestal
단위벽체틀의Unit wall frame
시공방법 Construction metho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틀에서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개구된 부분이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 내부에 위치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개방된 부분이 프레임결합체(300)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되, 프레임결합체(300)의 네 측면이 커넥터(400)로 밀폐마감되고 그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채움재(6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open portion of the
도 6과 같은 구성의 경우 본 발명의 시공방법 제 1단계는 압출방식으로 제작된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220)을 압출제작된 자체의 형상 혹은 필요한 치수만큼 절단하여 2개의 제1,2프레임을 만들고 각각 결합하여 제1프레임결합체(100)와 제2프레임결합체(200)를 구성하고, 제1프레임결합체(100)와 제2프레임결합체(200)를 결합하여 프레임결합체(300)를 구성하는 것이다. 6, in the first step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 2단계는 프레임결합체(300) 전면에 패널(P)을 부착 또는 압입의 방법으로 결합하고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 내부공간에 채움재(600)를 빈틈없이 삽입하고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개방된 면이 프레임결합체(3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4측면을 밀폐마감하여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준비하는 것이다.In the second step, the panel P is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제 3단계는 벽체 시공될 바닥면(B)의 수평을 맞추는 작업으로, 제1프레임(120) 2개가 각각의 제1프레임판결합부(126)가 마주보도록 또는 제2프레임(220) 2개가 각각의 제2프레임판결합부(226)가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고 커넥터(400)의 날개부(440)를 제1프레임판결합부(126) 또는 제2프레임판결합부(226)에 홈-돌기 끼움 결합하되,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개방된 부분이 시공될 바닥면(B)을 향하도록 수평조절받침대(500)를 설치하는 것이다. The third step is to horizontally align the bottom surface B to be formed on the wall so that the two
제 4단계는 수평조절받침대(500)에서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적정위치에 고정용볼트(520) 및 고정용너트(540)를 설치하여 시공 바닥면(B)에 고정하고(도 9(a)(b)), 수평조절받침대(500)의 중앙부에 위치한 모르타르주입용 홀(460)에 모르타르(M)를 주입(도 9(c))하는 것이다. In the fourth step, the fixing
마지막으로 제 5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수평조절받침대(500)의 상부면부터 대응되도록 결합하여 적층하되,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220)에 구비된 제1프레임돌기(124) 및 제2프레임삽입홈(224)이 상하단 및 양측단에서 각각 암수대응하여 인접하는 조립식 단위벽체틀끼리 상호 끼움결합으로 상하좌우 연결하면서 적층되는 것이다.
Finally, in the fifth step, as shown in FIG. 8, the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lin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틀에서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개구된 부분이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 외부에 위치한 경우의 결합사시도 및 실시예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개방된 부분이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 외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되,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는 밑면은 밀폐마감, 양측면은 일부 개방, 위면은 일부 밀폐 되도록 커넥터(400)가 결합되고,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채움재(6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7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mbodiment of an assembled type unitary wall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open portion of the
도 7과 같은 구성의 경우 본 발명의 시공방법 제 1단계는 압출방식으로 제작된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220)을 압출제작된 자체의 형상 혹은 필요한 치수만큼 절단하여 2개의 제1,2프레임을 만들고 각각 결합하여 제1프레임결합체(100)와 제2프레임결합체(200)를 구성하고, 제1프레임결합체(100)와 제2프레임결합체(200)를 결합하여 프레임결합체(300)를 구성하는 것이다.7, in the first step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 2단계는 프레임결합체(300) 전면에 패널(P)을 부착 또는 압입의 방법으로 결합하고 커넥터(400)의 몸체부(420)는 개방된 면이 프레임결합체(3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되, 프레임결합체(300)의 밑면은 밀폐마감, 양측면은 일부 개방, 위면은 일부 밀폐 되도록 커넥터(400)가 결합되고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 내부공간에 채움재(600)가 삽입되고 양측면의 일부 개방 높이까지 프레임결합체(300)와 채움재(600)의 공간에 모르타르(M)가 충진되어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준비하는 것이다. In the second step, the panel P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제 3단계는 벽체 시공될 바닥면(B)의 수평을 맞추는 작업으로서, 제1프레임(120) 2개가 각각의 제1프레임판결합부(126)가 마주보도록 또는 제2프레임(220) 2개가 각각의 제2프레임판결합부(226)가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고 커넥터(400)의 날개부(440)를 제1프레임판결합부(126) 또는 제2프레임판결합부(226)에 홈-돌기 끼움 결합하되, 커넥터(400)의 몸체부(420)는 개방된 면이 위로 향하도록 수평조절받침대(500)를 설치하는 것이다. The third step is to horizontally align the bottom surface B to be formed on the wall so that the two
제 4단계는 수평조절받침대(500)에서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적정위치에 고정용볼트(520) 및 고정용너트(540)를 설치하여 시공 바닥면(B)에 고정하고, 수평조절받침대(500)의 중앙부에 위치한 모르타르주입용 홀(460)에 모르타르(M)를 주입하는 것이다. In the fourth step, the fixing
마지막으로 제 5단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수평조절받침대(500)의 상부면부터 대응되도록 결합하여 적층하되,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220)에 구비된 제1프레임돌기(124) 및 제2프레임삽입홈(224)이 상하단 및 양측단에서 각각 암수대응하여 인접하는 조립식 단위벽체틀끼리 상호 끼움결합으로 상하좌우 연결하면서 적층하고 커넥터(400)의 개방된 면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 및 프레임결합체(300) 내부에 모르타르(M)를 충진하는 것이다.
Finally, in the fifth step, as shown in FIG. 8, the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ling
도 10은 본 발명의 수평조절받침대(500)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10은 상기 도 7의 구성으로 시공할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개방된 부분이 프레임결합체(300) 외부에 위치하여 조립식 단위벽체 상호간의 결합시에는 커넥터(400) 상호간의 맞대음으로 인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 철근을 삽입하여 모르타르(M)를 주입하면 더욱 견고한 구조적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10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struction method of a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using the leveling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B: 바닥면 M: 모르타르
P: 패널 100: 제1프레임결합체
120: 제1프레임 122: 제1프레임판
124: 제1프레임돌기 126: 제1프레임판결합부
128: U자홈 200: 제2프레임결합체
220: 제2프레임 222: 제2프레임판
224: 제2프레임삽입홈 226: 제2프레임판결합부
300: 프레임결합체 400: 커넥터
420: 몸체부 440: 날개부
460: 모르타르주입용 홀 500: 수평조절받침대
520: 고정용볼트 540: 고정용너트
600: 채움재B: bottom surface M: mortar
P: panel 100: first frame combination
120: first frame 122: first frame plate
124: first frame projection 126: first frame judgment fitting
128: U-shaped groove 200: Second frame coupling
220: second frame 222: second frame plate
224: second frame inserting groove 226: second frame judging piece
300: frame assembly 400: connector
420: body portion 440: wing portion
460: Mortar injection hole 500: Leveling pedestal
520: fastening bolt 540: fastening nut
600: Filler
Claims (7)
상기 프레임결합체(300)의 전면에 결합되는 패널(P);
"ㄷ" 자 형상의 몸체부(420)와 상기 몸체부(420)의 양측부에서 일자로 연장되며 톱니 형태로 형성되는 날개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400); 및,
상기 제1프레임(120) 2개가 각각의 제1프레임판결합부(126)가 서로 마주보도록 또는 상기 제2프레임(220) 2개가 각각의 제2프레임판결합부(226)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400)의 날개부(440)가 각각의 상기 제1프레임판결합부(126) 또는 제2프레임판결합부(226)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수평조절받침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결합체(300)는,
상기 제1프레임결합체(100)와 제2프레임결합체(200)가 제1프레임판결합부(126)와 제2프레임판결합부(226)가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양단이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400)는,
상기 날개부(440)가 상기 제1프레임판결합부(126) 및 제2프레임판결합부(226)에 홈-돌기 끼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결합체(300) 한 쌍이 각각 패널(P)이 결합 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커넥터(40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400)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가 시공 바닥면(B)에 설치된 수평조절받침대(500) 위에 결합되고 그 위로 패널(P)이 결합된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A first frame 120 having a first frame protrusion 124 protru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a first frame plate 122 and a first frame plate fitting portion 126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frame plate 122, The first frame protrusion 124 is coupled to the first frame assembly 100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frame protrusion 124 facing outward and the second frame insert 222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plate 222, The second frame 220 having the second frame interlocking part 226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thereof and the second frame insertion groove 224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insertion part 224, A rectangular frame assembly 300 formed by joining together the joint 200;
A panel P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assembly 300;
A connector 400 comprising a "C" shaped body portion 420 and a wing portion 440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from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420 and formed in a toothed shape; And
Two of the first frames 120 are spaced apart so that each first frame judgment joint 126 faces each other or two of the second frames 220 are spaced apart so that the respective second frame judgment joints 226 face each other And a horizontal adjustment pedestal 500 formed by connecting a wing portion 440 of the connector 400 to each of the first frame alignment portion 126 or the second frame alignment portion 226,
The frame assembly 300 includes:
The first fram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frame assembly 200 are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assembly 126 and the second frame assembly 226 face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The connector (400)
The wing portion 440 is coupled to the first frame judging portion 126 and the second frame judging portion 226 in a groove-
A pair of frame assemblies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plurality of connectors 40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panels P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air of frame assemblies (300) coupled to the horizontal adjustment pedestal (500)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floor (B) and the panel (P) Unit wall frame.
상기 프레임결합체(300)의 제1프레임판결합부(126) 및 제2프레임판결합부(226)의 양단부에 U자홈(128)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U-shaped groove (128)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plate joint part (126) and the second frame plate joint part (226) of the frame assembly (300).
상기 수평조절받침대(500)의 커넥터(400)는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모르타르주입용 홀(46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400) of the leveling cradle (500) comprises a mortar injection hole (460)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커넥터(400)는 몸체부(420)의 개방된 부분이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는 네 측면이 커넥터(400)로 밀폐마감되고, 그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채움재(6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nector 400 is coupled such that an open portion of the body 420 is positioned inside the pair of frame assemblies 300,
Wherein the pair of frame assemblies (300) are closed at four sides by a connector (400) and include a filling material (600)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pair of frame assemblies (300).
상기 커넥터(400)는 몸체부(420)의 개방된 부분이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 외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되,
상기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는 밑면이 밀폐마감, 양측면은 일부 개방, 위면은 일부 밀폐 되도록 커넥터(400)가 구성되고, 그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채움재(6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nector 400 is coupled such that the open portion of the body 420 is positioned outside the pair of frame assemblies 300,
The pair of frame assemblies 300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or 400 is formed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closed, the both sides thereof are partially opened, and the top surface thereof is partially closed, and the filling material 6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using leveling pedestal.
압출방식으로 제작된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220)을 압출제작된 자체의 형상 혹은 필요한 치수만큼 절단하여 2개의 제1,2프레임을 만들고 각각 결합하여 제1프레임결합체(100)와 제2프레임결합체(200)를 구성하며, 상기 제1프레임결합체(100)와 상기 제2프레임결합체(200)를 결합하여 프레임결합체(300)를 구성하는 제 1단계;
상기 프레임결합체(300) 전면에 패널(P)을 부착 또는 압입의 방법으로 결합하고 상기 패널(P)이 결합된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 내부공간에 채움재(600)를 빈틈없이 삽입하며 커넥터(400)로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 4측면을 밀폐마감하되, 상기 커넥터 몸체부(420)의 개방된 면이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 내부에 위치하도록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준비하는 제 2단계;
벽체 시공될 바닥면(B)의 수평을 맞추는 작업으로, 제1프레임(120) 2개가 각각의 제1프레임판결합부(126)가 마주보도록 또는 제2프레임(220) 2개가 각각의 제2프레임판결합부(226)가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고 커넥터(400)의 날개부(440)를 상기 제1프레임판결합부(126) 또는 상기 제2프레임판결합부(226)에 홈-돌기 끼움 결합하되, 상기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개방된 부분이 시공될 바닥면(B)을 향하도록 수평조절받침대(500)를 설치하는 제 3단계;
상기 수평조절받침대(500)는 상기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적정위치에 고정용볼트(520) 및 고정용너트(540)를 설치하여 시공 바닥면(B)에 고정하고, 수평조절받침대(500)의 중앙부에 위치한 모르타르주입용 홀(460)에 모르타르(M)를 주입하는 제 4단계;
상기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수평조절받침대(500)의 상부면부터 대응되도록 결합하여 적층하되,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220)에 구비된 제1프레임돌기(124) 및 제2프레임삽입홈(224)이 상하단 및 양측단에서 각각 암수대응하여 인접하는 조립식 단위벽체틀끼리 상호 끼움결합으로 상하좌우 연결하면서 적층되는 제 5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의 시공방법.
In the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frame 120 and the second frame 220 manufactured by the extrusion method are cut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itself or the necessary dimensions to form two first and second frames, And a second frame assembly 200. The first fram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frame assembly 200 are combined to form a frame assembly 300,
The panel P is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frame assembly 300 by the method of attaching or press fitting and the filler material 6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air of frame assemblies 300 to which the panel P is coupled, A second step of preparing a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so that the open side of the connector body 420 is positioned inside the pair of frame assemblies 300, ;
The horizontal alignment of the floor surface B to be installed on the wall allows two first frames 120 to face each first frame judging piece 126 or two second frames 220 to face each second frame 120. [ And the wing portion 440 of the connector 400 is groove-projectingly fitted to the first frame judging portion 126 or the second frame judging portion 226 so as to face the judging portion 226, A third step of installing the leveling pedestal 500 so that the open part of the body part 420 of the connector 400 faces the floor surface B to be installed;
The horizontal adjustment pedestal 500 is fixed to the construction floor B by fixing bolts 520 and fixing nuts 540 at appropriate positions of the body portion 420 of the connector 400, A fourth step of injecting mortar M into mortar injection hole 460 located at the center of pedestal 500;
The first frame protrusion 124 and the second frame protrusion 124 provided on the first frame 120 and the second frame 220 are stacked by stacking the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l adjustment pedestal 500, A fifth step in which the insertable grooves 224 are stacked whil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nnecting the prefabricated unit wall molds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at the opposite ends thereof in a male and female manner;
And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cradles.
압출방식으로 제작된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220)을 압출제작된 자체의 형상 혹은 필요한 치수만큼 절단하여 2개의 제1,2프레임을 만들고 각각 결합하여 제1프레임결합체(100)와 제2프레임결합체(200)를 구성하며, 상기 제1프레임결합체(100)와 상기 제2프레임결합체(200)를 결합하여 프레임결합체(300)를 구성하는 제 1단계;
상기 프레임결합체(300) 전면에 패널(P)을 부착 또는 압입의 방법으로 결합하고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개방된 면이 패널(P)이 결합된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 외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되, 한 쌍의 프레임결합체(300)는 밑면이 밀폐마감, 양측면은 일부 개방, 위면은 일부 밀폐 되도록 커넥터(400)를 결합하고 그 내부공간에 채움재(600)가 삽입되며, 상기 프레임결합체(300)와 채움재(600)의 사이 공간에 양측면이 커넥터(400)로 밀폐된 높이까지 모르타르(M)가 충진되어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준비하는 제 2단계;
벽체 시공될 바닥면(B)의 수평을 맞추는 작업으로, 제1프레임(120) 2개가 각각의 제1프레임판결합부(126)가 마주보도록 또는 제2프레임(220) 2개가 각각의 제2프레임판결합부(226)가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하고 커넥터(400)의 날개부(440)를 상기 제1프레임판결합부(126) 또는 상기 제2프레임판결합부(226)에 홈-돌기 끼움 결합하되, 상기 커넥터(400) 몸체부(420)의 개방된 면이 위로 향하도록 수평조절받침대(500)를 설치하는 제 3단계;
상기 수평조절받침대(500)는 커넥터(400) 몸체부(420) 적정위치에 고정용볼트(520) 및 고정용너트(540)를 설치하여 시공 바닥면(B)에 고정하고, 수평조절받침대(500)의 중앙부에 위치한 모르타르주입용 홀(460)에 모르타르(M)를 주입하는 제 4단계;
상기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수평조절받침대(500)의 상부면부터 대응되도록 결합하여 적층하되,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220)에 구비된 제1프레임돌기(124) 및 제2프레임삽입홈(224)이 상하단 및 양측단에서 각각 암수대응하여 인접하는 조립식 단위벽체틀끼리 상호 끼움결합으로 상하좌우 연결하면서 적층하고 커넥터(400)의 개방된 면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 및 프레임결합체(300) 내부에 모르타르(M)를 충진하는 제 5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의 시공방법.
In the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frame 120 and the second frame 220 manufactured by the extrusion method are cut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itself or the necessary dimensions to form two first and second frames, And a second frame assembly 200. The first frame assembly 100 and the second frame assembly 200 are combined to form a frame assembly 300,
A pair of frame assemblies 300 to which the panel P is coupled and an open face of the body portion 420 of the connector 400 are assembled to the frame assembly 300, The connector 400 is coupled to the frame assembly 300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assembly 300 is closed, the both sides thereof are partially opened, and the top surface thereof is partially closed, and the filler 6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 second step of preparing a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by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frame assembly 300 and the filler material 600 with mortar M until both sides thereof are closed by the connector 400;
The horizontal alignment of the floor surface B to be installed on the wall allows two first frames 120 to face each first frame judging piece 126 or two second frames 220 to face each second frame 120. [ And the wing portion 440 of the connector 400 is groove-projectingly fitted to the first frame judging portion 126 or the second frame judging portion 226 so as to face the judging portion 226, A third step of installing the leveling pedestal 500 so that the open side of the body portion 420 of the connector 400 is upward;
The horizontal adjustment pedestal 500 is fixed to the construction floor B by fixing bolts 520 and fixing nuts 540 at proper positions of the body portion 420 of the connector 400, A fourth step of injecting mortar M into mortar injection hole 46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actor;
The first frame protrusion 124 and the second frame protrusion 124 provided on the first frame 120 and the second frame 220 are stacked by stacking the prefabricated unit wall fra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l adjustment pedestal 500, The insertion grooves 224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at the opposite ends thereof so that the adjacent assembled unitary frame mol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pace and the frame assembly 300 A fifth step of filling mortar M in the inside of the reactor;
And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cradl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8702A KR101477214B1 (en) | 2013-02-21 | 2013-02-21 |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using horizontal adjustable underpinn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8702A KR101477214B1 (en) | 2013-02-21 | 2013-02-21 |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using horizontal adjustable underpinn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4776A KR20140104776A (en) | 2014-08-29 |
KR101477214B1 true KR101477214B1 (en) | 2014-12-29 |
Family
ID=5174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870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7214B1 (en) | 2013-02-21 | 2013-02-21 |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using horizontal adjustable underpinn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721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49924B (en) * | 2015-04-10 | 2019-02-22 |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of a kind of wall panel assemblies connector, wallboard |
KR101791545B1 (en) * | 2015-12-22 | 2017-10-30 | (주)여양 | Prefabricating wall for exterior insulation and using the method for constructing outer wall |
CN110820956B (en) * | 2019-11-11 | 2021-01-08 | 林州市汇鑫安装工程有限公司 | Prefabricated wall body mounting struct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15092A (en) * | 2011-08-02 | 2013-02-13 | 김길영 |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3
- 2013-02-21 KR KR1020130018702A patent/KR10147721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15092A (en) * | 2011-08-02 | 2013-02-13 | 김길영 |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4776A (en) | 2014-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9368B1 (en) | Prefabricated permanent formwork unit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US8443560B2 (en) | Concrete form block and form block structure | |
KR101348379B1 (en) | The building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200481707Y1 (en) | The outer wall for easy construction | |
US11077583B2 (en) | Precast concrete wall and method | |
KR101429057B1 (en) | External insulation wall system for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7016132B2 (en) | Connected construction block | |
KR20190112903A (en) |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frame using insulation instead of formwork and method of installing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frame using same | |
KR101477214B1 (en) |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using horizontal adjustable underpinn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20190115655A (en) |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frame using insulation instead of formwork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 |
KR20200120005A (en) | Foam assembly integrated with wall for architecture | |
KR20130086879A (en) | Low noise type wall panel for prefabricated bathroom | |
KR20120000702A (en) | Prefabricated permanent formwork unit with lightweight molding material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464073B1 (en) | Panel 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forms and construction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 |
KR100761964B1 (en) | Formwork for wall construction of concrete buildings | |
KR101311880B1 (en) |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791545B1 (en) | Prefabricating wall for exterior insulation and using the method for constructing outer wall | |
KR102252141B1 (en) | Building wall panel concurrently used as mold form | |
CN108457414A (en) | A kind of combination type heat insulating cavity module | |
KR101326008B1 (en) | Concrete structure for house construction | |
KR101309734B1 (en) | door frame for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 |
KR101466825B1 (en) |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958414B1 (en) | Structure for heating | |
KR20190002389U (en) | Prefabricated panels for dry heating | |
KR20140112175A (en) | Forms integrated constru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