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6701B1 - 유아용 보조변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보조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701B1
KR101476701B1 KR20130119855A KR20130119855A KR101476701B1 KR 101476701 B1 KR101476701 B1 KR 101476701B1 KR 20130119855 A KR20130119855 A KR 20130119855A KR 20130119855 A KR20130119855 A KR 20130119855A KR 101476701 B1 KR101476701 B1 KR 101476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ilet
infant
toilet seat
fixing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승
Original Assignee
엘에이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이치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이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7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7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05Auxiliary or portabl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용변구(11)가 형성되고 상부 면에는 변기시트(15)가 형성된 좌대(10)와, 상기 좌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결속돌기(20)와, 상기 결속돌기(20)와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삽입공(35)이 천공되고 탄성을 갖는 단면이 U자형인 고정프레임(30)과, 상기 삽입공(35)을 관통해 고정프레임(30) 외부로 노출된 결속돌기(20)를 고정하기 위한 결속구(25)로 구성되는 유아용 보조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외출시 야외에서 유아용 변기가 없더라도 성인용 양변기에 결합하여 사용시 지지프레임이 등받이 역할을 하게 되며, 배변하는 유아의 몸을 단단히 고정하여 실제 높은 위치에서 배변을 하는 유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지지프레임을 180°회전시켜 좌대와 결합하면 지지프레임이 좌대를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되어 좌대를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됨으로서, 화장실이 없는 곳에서도 유아가 앉아서 배변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 되는 상기 좌대 상부 면에 변기시트를 형성하여 변기시트의 부드러운 쿠션감에 의해 유아가 안락감을 느끼도록 하여 차가운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진 좌대에 대한 거부감이 없기 때문에 유아가 편안한 마음으로 앉아서 배변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보조변기{Secondary seat for infant chamber pot}
본 발명은 유아용 보조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유아용 보조변기로 바닥에 거치하여 사용하거나 화장실의 양변기에 안정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용변의 처리가 편리하며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보조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 유아는 용변을 조절하는 능력이 미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기 스스로 용변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 부모로부터 지속적인 배변 학습을 받게 된다.
이러한, 배변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0-0004397호와 같은 공지 기술로 친숙하고 호기심을 유발하는 형상을 가지면서 유아가 편안하게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고 용변을 쉽게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유아용 보조변기를 사용한다.
하지만, 상기 유아용 보조변기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부모가 유아와 함께 외출할 때 용변 조절 능력이 미숙한 유아로 인해 주위에 화장실이 없어 곤욕을 치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주위에 화장실이 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화장실에는 유아를 위한 변기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일반적으로 설치된 양변기의 안착커버가 유아의 엉덩이 사이즈보다 커서 유아가 용변을 보는데 매우 불편하여 휴대할 수 있는 유아용 보조변기를 따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부모가 안거나 하는 방법으로 유아의 배변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휴대용 보조변기의 구매에 따른 비용 낭비의 문제점 및 항상 부모가 유아의 배변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고, 하나의 유아용 보조변기로 실내 및 실외 또는 양변기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좌대에 변기 시트를 부착 형성하여 사용으로 인한 오염방지 및 미끄럼방지, 부드러운 쿠션감에 의해 유아가 안락감을 느끼도록 하여 편안하게 앉아서 배변을 할 수 있는 유아용 보조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 구성은 중앙에 용변구(11)가 형성되고 상부 면에는 변기시트(15)가 형성된 좌대(10)와, 상기 좌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결속돌기(20)와, 상기 결속돌기(20)와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삽입공(35)이 천공되고 탄성을 갖는 단면이 U자형인 고정프레임(30)과, 상기 삽입공(35)을 관통해 고정프레임(30) 외부로 노출된 결속돌기(20)를 고정하기 위한 결속구(2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좌대(10)의 저면에는 양변기(A)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12)가 형성되며, 이탈방지돌기(12)의 외측으로는 완충수단(13)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유아용 보조 변기는 외출시 야외에서 유아용 변기가 없더라도 성인용 양변기에 결합하여 사용시 지지프레임이 등받이 역할을 하게 되며, 배변하는 유아의 몸을 단단히 고정하여 실제 높은 위치에서 배변을 하는 유아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지지프레임을 180°회전시켜 좌대와 결합하면 지지프레임이 좌대를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되어 좌대를 바닥에서 일정간격 이격됨으로서, 화장실이 없는 곳에서도 유아가 앉아서 배변을 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 되는 상기 좌대 상부 면에 변기시트를 형성하여 변기시트의 부드러운 쿠션감에 의해 유아가 안락감을 느끼도록 하여 차가운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진 좌대에 대한 거부감이 없기 때문에 유아가 편안한 마음으로 앉아서 배변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보조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의 V-V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가 양변기에 안착 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가 바닥에 거치 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의 V-V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가 양변기에 안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보조변기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중앙에 용변구(11)가 형성되고 상부 면에는 변기시트(15)가 형성된 좌대(10)와, 상기 좌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결속돌기(20)와, 상기 결속돌기(20)와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삽입공(35)이 천공되고 탄성을 갖는 단면이 U자형인 고정프레임(30)과, 상기 삽입공(35)을 관통해 고정프레임(30) 외부로 노출된 결속돌기(20)를 고정하기 위한 결속구(25)로 구성된다.
상기 좌대(10)의 저면에는 양변기(A) 위에 본 발명을 얹었을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돌기(12)가 형성된다. 물론 U자형의 고정프레임(30)이 변기뚜껑을 감싸는 구조여서 쉬 이탈되지 않지만 보다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상기 이탈방지돌기(12)가 필요한 것이다.
또한 유아의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좌대(10)의 저면, 즉 이탈방지돌기(12)의 외측으로 완충수단(13)이 빙둘러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30)의 내측 면에는 리브(32)가 형성되어 고정 프레임(30)을 보강하면서 고정 프레임(30)에 보다 강한 탄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을 기존의 양변기에 장착할 경우에는 좌대(10)가 고정 프레임(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탈방지돌기(12)가 양변기의 뚜껑에 형성된 배변공에 걸리도록 하고, 좌대(10)는 양변기의 뚜껑 위에 완충수단(13)을 통해 완충가능토록 얹히게 된다. 이 경우 고정 프레임(30)의 상부는 유아의 등받이 기능을 하게 되어 안전한 상태로 유아의 배변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실내외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할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용변구(11) 저면에 배변을 받을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하여야 한다. 즉 비닐봉지 등을 고정 프레임(30)의 내측면 등에 걸어 배변받이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좌대(10)가 고정 프레임(30)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 프레임(30)의 각 리브(32)마다 삽입공(35)을 형성하여 상기 좌대(1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 프레임(30)에 높이를 맞춰 결합할 수도 있고, 배변받이수단을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 좌대 11 : 용변구
12 : 이탈방지돌기 13 : 완충수단
15 : 변기시트 20 : 결속돌기
25 : 결속구 30 : 고정프레임
32 : 리브 35 : 삽입공
A : 양변기 B : 배변봉투

Claims (2)

  1. 중앙에 용변구(11)가 형성되고 상부 면에는 변기시트(15)가 형성된 좌대(10)와, 상기 좌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결속돌기(20)와, 상기 결속돌기(20)와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삽입공(35)이 천공되고 탄성을 갖는 단면이 U자형인 고정프레임(30)과, 상기 삽입공(35)을 관통해 고정프레임(30) 외부로 노출된 결속돌기(20)를 고정하기 위한 결속구(2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조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10)의 저면에는 양변기(A)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12)가 형성되며, 이탈방지돌기(12)의 외측으로는 완충수단(13)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조변기.
KR20130119855A 2013-10-08 2013-10-08 유아용 보조변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76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855A KR101476701B1 (ko) 2013-10-08 2013-10-08 유아용 보조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855A KR101476701B1 (ko) 2013-10-08 2013-10-08 유아용 보조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701B1 true KR101476701B1 (ko) 2014-12-30

Family

ID=5267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85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6701B1 (ko) 2013-10-08 2013-10-08 유아용 보조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96Y1 (ko) 2017-10-31 2018-06-21 이석중 유아용 입식보조기
CN112890652A (zh) * 2021-01-21 2021-06-04 黑龙江省医院 一种便于操作的内科疾病用老人护理坐便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1568A (en) * 1981-12-16 1983-05-03 Brown Charles W Combination potty seat and step stool
KR200373176Y1 (ko) * 2004-10-22 2005-01-15 조태현 유아용 변기 보조 좌대
US7461411B2 (en) * 2005-10-24 2008-12-09 Richard Wolf Toilet train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1568A (en) * 1981-12-16 1983-05-03 Brown Charles W Combination potty seat and step stool
KR200373176Y1 (ko) * 2004-10-22 2005-01-15 조태현 유아용 변기 보조 좌대
US7461411B2 (en) * 2005-10-24 2008-12-09 Richard Wolf Toilet train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96Y1 (ko) 2017-10-31 2018-06-21 이석중 유아용 입식보조기
CN112890652A (zh) * 2021-01-21 2021-06-04 黑龙江省医院 一种便于操作的内科疾病用老人护理坐便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9079B2 (en) Children's tray with placement indicator
JP4709851B2 (ja) トイレ訓練及びトイレ装置
US7356861B1 (en) Infant support seat cushion
CN101646374B (zh) 婴儿马桶训练器
KR101476701B1 (ko) 유아용 보조변기
US8727448B1 (en) Infant support seat cushion
US20140259338A1 (en) Child's Potty Ring
US8776279B2 (en) Toilet training system
KR20160076752A (ko) 유아 겸용 변기시트
US20250031868A1 (en) Functional supporter for baby
KR20230010544A (ko) 유아용 의자
KR200320416Y1 (ko) 유아의 좌변기용 의자
KR101257187B1 (ko) 좌변기와 소변기로의 사용이 가능한 변기의자
KR200373176Y1 (ko) 유아용 변기 보조 좌대
KR101834290B1 (ko) 다용도 목욕 의자
US20150101118A1 (en) Combination infant bathtub and seat
KR101219246B1 (ko) 유아용 변기 겸용 샤워기
KR200320365Y1 (ko) 분리되는 의자식 아동변기
KR102083102B1 (ko) 유아용 변기시트
KR200437288Y1 (ko) 유아용 착석 기구
KR200273928Y1 (ko) 유아 및 아동용 좌변기
KR900004398Y1 (ko) 유아 (幼兒) 용 양변기 보조 좌판
JP2004344393A (ja) 幼児用おまる
KR200196479Y1 (ko) 유아겸용 좌변기의 좌판
JP2576152Y2 (ja) 補助便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