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6048B1 - 요가용 실내화와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요가용 실내화와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048B1
KR101476048B1 KR1020130101058A KR20130101058A KR101476048B1 KR 101476048 B1 KR101476048 B1 KR 101476048B1 KR 1020130101058 A KR1020130101058 A KR 1020130101058A KR 20130101058 A KR20130101058 A KR 20130101058A KR 101476048 B1 KR101476048 B1 KR 101476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ga
band
main body
slippers
auxiliary b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812A (ko
Inventor
김유수
정진욱
최윤자
Original Assignee
정진욱
김유수
최윤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욱, 김유수, 최윤자 filed Critical 정진욱
Priority to KR1020130101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04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0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3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신발업계에서 최근에 성행하고 있는 요가운동을 위한 발바닥보호용 특수신발에 관한 것인데 그동안은 맨발로 요가를 수행하였으나 일정치 않고 여러 인원을 수용하므로 인한 실내바닥이 불안정하여 보호하고자 덧신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하고 이를 신고 미끄럼과 마찰을 줄여 발바닥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로 제작하는 것인데 아직까지 상용화와 제작지침이 없었다.
일반 무희용과 달리 미끄러지지 않도록 바닥면 정중앙에 줄무늬가 형성된 둥근판을 부착시키어 실내바닥이 미끄럽다 해도 까치발로 발바닥 앞부분을 딛고 발꿈치를 세워도 밀리지 않게 제작한 일명 요가신발로 제작하여 요가수행자들에게 제공하는 요가용 실내화제작에 관한 특허출원이다.
특수명칭 없이 무희용 실내화를 제작하듯 만들어 주문자생산으로 제공하였으나 차츰 수요증가로 인해 요가용으로 호칭되면서 이를 규격화시켜 실수요자에게 규격화된 제품을 공급하고자 자체 연구진이 자사 내에 나름대로 규정한 규격과 모형을 중심으로 실용화하기 위한 발명으로 확정 시키므로 향후 요가용 실내화에 대한 지침으로 사용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색인어]
요가수행자, 무희신골, 무늬바닥, 수축밴드, 간이실내화, 보조밴드, 연결접점, 뒤축밴드, 발가락 끼우기,

Description

요가용 실내화와 이의 제작방법 {The indoor shoes for yoga, thereof its processing method}
본 기술에 속하는 분야는 신발산업에서 제화분야의 무희용 특수화 제작 분야로서, 회전과 발 빠른 동작과 달리 느리고 다리를 벌리는 정도가 심한 요가동작 시에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무늬를 형성한 미끄럼방지로 사용할 수 있는 질긴 수지판에서 둥글게 재단하여 일반인 발바닥에서 발가락시작부위와 발바닥아치(족궁) 사이를 받쳐 주는 둥근부위에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재단된 천연가죽의 바깥쪽은 바닥면에 안쪽은 발바닥에 위치하되 덧씌워 제작되는 요가실내화를 주축으로 몸체를 이루고 상기 몸체 후방으로 수축밴드로 띠를 부착하여 뒤꿈치를 둘러 고정되도록 하고 몸체 앞쪽은 뒤로 빠지지 않도록 별도의 수축밴드로 엄지발가락 띠와 새끼발가락 띠를 부착하여 끼우면 몸체는 까치발바닥부위로 정확히 기립되면서 요가실내화로 정착되는 제작기술에 속한다.
본 실내화의 제작기술은 기존의 무희용 실내화와 큰 차이가 없으나 사용방법과 용도가 다르므로 별도로 구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새롭게 분리하여 기술함으로써 정의하고자 하는 분야의 기술이다.
본원발명의 기술적인 배경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무희용 실내화와 유사하므로 본원기술의 배경은 단연 무희화분야의 실내화를 기준으로 몇 가지의 내용만 추가하여 요가수행자를 위한 제품으로 한정짓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기술적인 배경은 특별한 사항이 없고 기존의 신발창에서 발가락부위와 뒤꿈치부위가 없이 앞쪽에 밑창과 발등부위만 갖추고 뒤축은 밴드로 한 실내화로 구성시킨 신발제작기술을 본원발명의 기술적인 배경으로 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핵심적인 해결과제는 그동안 요가수행자들에게는 맨발로 수행한다는 고정관념에서 신발에 대한 문제를 생각한 적 없었으나 수행자가 다양한 계층으로 차츰 안전사고예방에 대한 배려에 의거하여 첫째 미끄러지지 않게 해야 한다는 점에서 신발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고, 둘째 대중화 되면서 맨발에 대한 심리적인 반응을 고려하여 이에 합당한 신발개발에 대한 관심으로 도출하게 된 점에서 이를 근거로 관심과 대중심리에 부응할 수 있는 점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원초적인 면에서 과제를 선정하고 대중화를 위한 관심과 관여시킬 수 있는 디자인개발과 기존의 요가수행자도 살펴야 하겠으나 초보자들의 안전성에 접근시킬 과제 등이 해결과제로 해야 할 것이다.
맨발에서 신발 착용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가급적 시각적이나 안정성에 의한 제반유의사항이나 장기적으로 문제점이 유발되지 않도록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장기적인 안목에서 개발될 수 있는 과제들을 수집하여 연구과제로 집약한다.
집약된 연구과제는 지켜보는 관중의 측면에서 우아하고 안정감을 보여 줄 수 있도록 디자인연구과제와 요가수행자에게 신체적으로 과감한 포즈로 이어질 때 신체적으로 미끄럼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많은 포즈에서 유발될 수 있도록 미끄럼동작에서 찾아내도록 실전을 통한 얻어지는 자료를 분석하고 연구를 통해 과제를 도출하여 해결할 수 있게 하는 실전실행과제를 중심으로 선정한다.
그동안 맨발로 수행하는 것이 요가로 통하던 시기는 지나가고 우아하고 실용적인 면에서 본 고안의 요가실내화가 보급되므로 인하여 차츰 요가도 착화를 한다는 면으로 정착되는 효과와 대중화를 위한 우아한 실내화 장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인해 신발산업에 새로운 제품개발로 사양화로 치닫던 신발업계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 넣어주는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요가분야에서는 수용인원이 증가되면서 개별 수행자용 깔개를 사용하는데 제한이 되므로 이를 축소하거나 사용하지 못하게 될 때 땀과 바닥의 미끄럼으로 다치는 위험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 실내화사용이 정착되고 이로 인하여 안정성을 확보시키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요가실내화가 일 측 신골에서 바닥부위를 보여주는 실물사시도,
도 2는 요가실내화가 한 벌의 신골에 장착된 체 윗면만 보인 실물사시도,
도 3은 완성된 한 벌의 요가실내화에서 바닥면을 보여주는 저면도,
도 4는 완성된 한 벌의 요가실내화에서 윗면을 보여주는 상부도,
도 5는 요가실내화를 제작하기 위한 부품들의 진열과 이의 상부도,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본체하판, 12 : 엄지부위,
14 : 미끄럼방지 판, 16 : 발등부위,
20 : 본체상판, 22 : 보조밴드 축(좌우),
30 : 후방수축밴드, 32 : 후방수축밴드 축,
40 : 내측보조밴드, 42 : 외측보조밴드,
50 : 발등수축밴드, 60 : 무희용 신골,
70 : 우측실내화, 72 : 좌측실내화,
A : 본체하판의 조립완성저면도, B : 본체상판을 펼친상부도,
본원 요가실내화는 본체하판(10)을 바닥으로 할 때 본체상판(20)은 위로 올려져 좌우옆은 좌우발등(16)이 발등수축밴드(50)로 연결시키고 별도의 내측보조밴드(40)와 외측보조밴드(42)와 본체하판(10)의 후방에 후방스측밴드(30)로 구성되면서 요가수행자가 착용한 후 요가동작으로 앞으로 밀릴 때 벗겨지는 일이 없도록 내측 보조밴드(40)에 엄지발가락에 끼우고 외측보조밴드(42)는 새끼발가락에 끼우고 후방 수축밴드(30)는 뒤꿈치에 걸므로 안전하게 착용되게 구성한다.
본체상판(20)의 좌우 위로 솟는 발등부위(16)는 서로 접하는 부위에 좌우 보조밴드 축(22)으로 내측보조밴드(40)와 외측보조밴드(42)를 봉합하고 좌우 발등부위(16) 끝에 발등수축밴드(50)를 봉합하고 요가실내화로 착용하면 발바닥은 발등에 꽉 조여지며 수축탄력으로 착용 후 벗겨지는 일이 없게 제작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체하판(10)은 질긴 가죽으로 재단하여 까치발로 세울 때 발바닥이 닿는 부위에 알맞게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재단되어야 하고 밑면으로 향하는 본체하판(10)의 정중앙에 착상되도록 수지제품으로 사출시킨 미끄럼방지 판(14)을 접착제, 또는 봉제로 봉합시켜 제작하고 본체상판(20)은 부드럽고 발바닥에 들러붙지 않는 직물을 사용하여 봉제로 덮어 씌우고 동시에 좌우측 보조밴드(40,42)도 착상시켜 봉합시키면서 본체하판(10) 후방은 후방수축밴드 축(32)를 사용하여 후방수축밴드(30)를 장착시키는데 후방수축밴드(30)의 재질은 질기면서 신축성이 있는 고무합성밴드를 채용하여 요가수행 중에 절단되거나 끊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골은 일반신발과 달리 앞뒤 모두가 형성되는 관계로 신골을 뒤집어 꽂이에 꽂을 때 꽂는 삽입구가 한 개이면 앞과 뒤를 형성시킬 때 신골이 회전되므로 본 신골은 발등 밑면만 형성시키는 반화형상과 같이 회전시킬 일 없이 고정되어야 하는 관계로 무희용 신골(60)을 사용해야 요가실내화를 제작할 때 움직이지 않아 확실하게 모형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체하판(10)의 구성은 엄지발가락쪽이 약간 높아 엄지부위(12)를 만들므로 좌우 모두 엄지부위(12)를 보고 좌우측을 구분할 수 있게 하였다
[실시 예]
본원발명의 요가실내화를 제작하기 위해 먼저 까치발부위에 합당한 크기는 엄지발가락에서 새끼발가락까지의 폭은 성인남자의 경우는 타원형일 때 65mm에 길이 75mm로 하였고 원형일 때는 엄지부위(12)만 고려하여 원형으로 하고, 미끄럼방지판(14)은 직경 45mm의 원판으로 하였으며 발등부위(16)는 본체하판(10)에서 좌우로 시작되어 30mm 폭으로 기부부위로 뻗어 나오면서 좁아져 발등수축밴드(50)와 연결되는 끝은 발등수축밴드(50)보다 다소 넓게 20mm로 하였고 상기 기부부위에서 발등수축밴드(50)까지의 좌우로 뻗는 발등부위(16)는 각각의 길이를 45mm로 하였다.
발등수축밴드(50)의 재질은 브래지어 끈으로 사용되는 고무 밴드로 하였고 상기 발등수축밴드(50)의 폭은 16mm에 길이는 36mm로 제조하려면 발등부위(16)에 충분히 겹쳐지며 봉합되도록 총 72mm로 하므로 노출되는 부위가 36mm에 겹쳐지는 부위도 36mm로 하여 발등부위(16)와 함께 발등에 끼워지며 신축성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였고 간혹 터지는 일이 없도록 안전을 감안하며 제작하였다.
발등부위(16)와 함께 봉합되는 내측보조밴드(40)는 엄지발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길게 나오게 하려면 발가락에 끼우고 너무 조여지지 않도록 위로 뻗어 나오는 길이를 50mm로 하였고, 외측보조밴드(42)는 새끼발가락에 끼우는 것이므로 조금 짧게 하여 25mm가 나오도록 한 후 부드러운 직물로 덮어 발바닥을 편하게 제작되는 본체상판(20)의 내면에 좌우 보조밴드 축(22)과 함께 봉합하므로 우측실내화(70)와 좌측실내화(72)로 한 벌을 이루는 요가수행자용 실내화로 제작할 수 있었다.
다음은 후방의 수축밴드를 장착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맨발일 때 발 앞쪽의 발바닥아치에서 뒤꿈치까지의 길이는 120mm로 하였는데 그 이유는 시중에 유통되는 수축밴드의 신축성에 의한 길이로 적정하므로 왕복으로 교차시키면서 총 240mm로 재단한 후 후방수축밴드(42)와 함께 본체하판(10)의 뒤꿈치 쪽에 봉합하므로 발바닥아치부위를 지나면서 좌우로 벌려지고 뒤로 뻗쳐 뒤꿈치부위에 이르기 까지 위로 올려 뒤꿈치 위에 착용되도록 제작하였다.

Claims (2)

  1. 발가락 기부에서 발바닥아치 시작사이의 까치발부위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앞쪽반화형상 실내화에 있어서;
    천연가죽재질로 재단되어 밑창을 이루는 본체하판(10)과 상기 본체하판 정중앙에 부착되어 미끄럼방지무늬가 형성된 미끄럼방지 판(14)과 상기 본체하판 상면에 직물과 봉합되어 상기 까치발부위를 수용하는 본체상판(20)과 보조밴드 축(22)으로 상기 본체상판 엄지발가락 측 발등부위(16)에 연결되는 내측보조밴드(40)와 새끼발가락 측 발등부위에 연결되는 외측보조밴드(42)와,
    상기 좌우측 발등부위 사이를 연결시켜 발등을 수용하는 발등수축밴드(50)와 상기 본체하판 후방에 후방수축밴드 축(32)으로 연결되는 후방수축밴드(30)로 요가수행자의 발꿈치에 장착시키고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을 상기 보조밴드에 끼우고 상기 후방수축밴드를 뒤꿈치에 끼워 착용하는 것이 특징인 요가용 실내화
  2. 발가락 기부에서 발바닥아치 시작사이의 까치발부위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앞쪽반화형상 실내화에 있어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재단된 천연가죽재질의 본체하판(10)에 미끄럼방지무늬로 형성된 수지재질의 미끄럼방지 판(16)을 부착시키고, 상기 본체하판 좌우로 뻗는 발등부위(16)끝마다 발등수축밴드(50)로 봉합연결하고, 상기 본체하판 뒷면은 직물로 봉합된 본체상판(20)과, 보조밴드 축(22)에 장착된 내측보조밴드(40)는 엄지발가락, 외측보조밴드(42)는 새끼발가락이 각각 수용되도록 봉합하고, 상기 본체하판 후방은 후방수축밴드 축(32)에 후방수축밴드(30)를 봉합시켜 요가용 우측실내화(70)와 좌측실내화(72)로 제작되는 것이 특징인 요가용 실내화의 제작방법
KR1020130101058A 2013-08-22 2013-08-22 요가용 실내화와 이의 제작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76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058A KR101476048B1 (ko) 2013-08-22 2013-08-22 요가용 실내화와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058A KR101476048B1 (ko) 2013-08-22 2013-08-22 요가용 실내화와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812A KR20130112812A (ko) 2013-10-14
KR101476048B1 true KR101476048B1 (ko) 2014-12-23

Family

ID=4963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0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6048B1 (ko) 2013-08-22 2013-08-22 요가용 실내화와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0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608A (ja) * 1998-12-08 2000-06-20 Nippon Dersbond Kk 歩行用シューズ
KR200400474Y1 (ko) * 2005-08-17 2005-11-08 김유수 뒤꿈치 없는 발레무용화.
KR200456562Y1 (ko) * 2009-10-20 2011-11-10 김유수 무희용 기능성반화
JP2012245257A (ja) * 2011-05-30 2012-12-13 Okamoto Kk 水中運動用レッグウェ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608A (ja) * 1998-12-08 2000-06-20 Nippon Dersbond Kk 歩行用シューズ
KR200400474Y1 (ko) * 2005-08-17 2005-11-08 김유수 뒤꿈치 없는 발레무용화.
KR200456562Y1 (ko) * 2009-10-20 2011-11-10 김유수 무희용 기능성반화
JP2012245257A (ja) * 2011-05-30 2012-12-13 Okamoto Kk 水中運動用レッグウェ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812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17898B (zh) 包括具有对准标记的鞋类和袜子的系统
US7051457B1 (en) Formfitting protective footwear apparatus
US2302596A (en) Shoe
CN201563688U (zh) 运动便鞋
US20150000165A1 (en) Versatile footwear covers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AU2012200751B2 (en) Footwear
CN101312670A (zh)
TW201130440A (en) Shoes
JP7679092B2 (ja) 3サイズ以上の着用者/ユーザの足で成長することができる改良された伸縮可能な靴
WO2015117179A1 (en) Footwear cover
JP5361341B2 (ja) 裸足歩行用靴下とその製造方法
JPH09238701A (ja)
WO2014194395A1 (pt) Artigo de calçado, do tipo meia, provido de solado e um ou mais revestimentos externos emborrachados e processo de obtenção de artigo de calçado
KR101476048B1 (ko) 요가용 실내화와 이의 제작방법
CN204812383U (zh) 一种新型弹力布鞋面的运动鞋
CN210581210U (zh) 一种可折叠袜套式涉溪鞋
CN210581243U (zh) 一种可暗藏折叠袜套式涉溪鞋
US12108835B2 (en) Footwear with multiple lockdown configurations
JP2000070006A (ja) スリッパやサンダルをシューズに、又はその逆もできる履物の踵
CN204763625U (zh) 扣位连接的靴
TWM481627U (zh) 一片式緯編針織鞋面及以該鞋面所製成之鞋子
CN202722651U (zh) 一种可设计样式的鞋子
CN213128275U (zh) 一种保暖的劳保鞋
JP3122379U (ja) フットカバー付き足首カバー
JP2011115276A (ja) 組み合わせ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712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21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