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698B1 - Security Camera Device for Elevator Doors - Google Patents
Security Camera Device for Elevator Doo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4698B1 KR101474698B1 KR1020140158681A KR20140158681A KR101474698B1 KR 101474698 B1 KR101474698 B1 KR 101474698B1 KR 1020140158681 A KR1020140158681 A KR 1020140158681A KR 20140158681 A KR20140158681 A KR 20140158681A KR 101474698 B1 KR101474698 B1 KR 1014746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security camera
- door
- controller
- moni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외부를 감시하기 위한 보안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D1) 표면에 설치되는 방범카메라(10); 방범카메라(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야간에 건물 복도를 조명하기 위한 적외선램프(20); 케이지도어(D1)가 엘리베이터의 홀도어(D2)와 정확히 일치될 때를 감지하는 감지장치(30); 방범카메라(10)와 적외선램프(20)의 정면에 대응하는 위치로 홀도어(D2)에 형성되고, 투명유리로 덮여있으며, 방범카메라(10)의 시야각(A)을 커버하는 크기를 갖는 윈도우(W); 및 방범카메라, 적외선램프 및 감지장치에 연결되어 이들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고, 방범카메라(10)가 평상시에는 동영상을 촬영하다가, 감지장치(30)가 양쪽 도어(D1,D2)가 정확히 일치했음을 감지했을 때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정지영상을 촬영하며, 방범카메라가 촬영한 동영상과 정지영상이 컨트롤러에 의해 모니터(M)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camera device for monitoring the outside of an elevator equipped with a monitor, and is provided with a security camera (10) installed on a surface of a cage door (D1) of an elevator; An infrared lamp (20) installed adjacent to the security camera (10) for illuminating a building corridor at night; A sensing device 30 for sensing when the cage door D1 is exactly aligned with the hall door D2 of the elevator; A window that is formed on the door D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urity camera 10 and the infrared lamp 20 and is covered with transparent glass and covers a viewing angle A of the security camera 10 (W); And a controller (40) connected to the security camera, the infrared lamp and the sensing devic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se elements and to store data. The security camera (10) Captures a still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n it detects that the doors D1 and D2 are correctly matched with each other and displays the moving image and the still image captured by the security camera on the monitor M by the controll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보안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모니터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외부를 감시하기 위한 보안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urity camera apparatus for an elevator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urity camera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outside of an elevator equipped with a monitor.
엘리베이터 승객의 안전을 위해 최근 엘리베이터 도어에 방범창을 설치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런 방범창은 엘리베이터 승객의 안전을 위해서는 물론, 엘리베이터 외부, 구체적으로는 건물 복도의 안전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Increasingly, security doors for elevator passengers have recently been installed on elevator doors. Such security windows are also needed for the safety of elevator passengers, as well as for the safety of the elevator exterior, specifically the building corridor.
도 1은 방범창이 설치된 종래의 엘리베이터를 보여주는데, 도 1A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B-B선 단면도로서 승강로를 함께 보여준다. Fig. 1 shows a conventional elevator equipped with a security window. Fig. 1A is a front view of an elevator door. 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A together with a hoistway.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방범창(W1~2)을 설치하면, 이런 방범창을 통해 복도에서 엘리베이터의 승객(P1)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엘리베이터 내부의 승객(P1)이 복도에 있는 다른 사람(P2)의 안전여부도 확인할 수 있어서, 최근 이런 방범창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방범창의 크기도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최근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범창의 크기는 가로세로 각각 100mmX500mm가 일반적이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ecurity windows W1 and W2 are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assenger P1 of the elevator in the hallway through the security window, Since the security of the person (P2) can be confirmed, the number of such security window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size of security windows is also becoming larger. Recently, the most widely used security window size is 100mmX500mm in each side.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도어(D1)와 홀도어(D2) 양쪽에 모두 방범창(W1,W2)을 설치해야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는 화재에 대배히 소방법규상 반드시 방화구조를 취해야만 한다. 이때문에 방범창(W1~2)에 사용되는 유리는 반드시 방화 기능을 하는 고가의 유리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또한 케이지도어(D1)는 하나이지만, 홀도어(D2)는 층마다 하나씩 있어서 고층빌딩의 경우 홀도어의 갯수가 크게 증가한다. However, for this purpose, security windows W1 and W2 must be provided on both the cage door D1 and the hall door D2 of the elevator. In addition, the elevator door must be fireproof in order to comply with fire regulations. For this reason, the glass used for the security windows (W1 and W2) must be expensive glass having fire prevention function. Also, there is one cage door D1, but one hole door D2 is provided for each layer, so that the number of the hall doors increases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즉, 양쪽 도어(D1~2)에 모두 방화기능을 하는 방범창(W1~2)을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비는 물론 재료비가 많이 들고, 공사기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That is, since security doors W1 and W2 having fire protection functions are installed in both the doors D1 and D2,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as well as the material cos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그러나, 이런 구조의 방범창에서는 엘리베이터가 도 1B와 같이 정지한 상태에서만 화살표 양쪽의 안전확인이 가능하고, 엘리베이터가 운행중일 상태에서 지나치는 다른 층의 안전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 엘리베이터의 승강속도가 높은 고속 엘리베이터의 경우 이런 문제는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However, in a security window having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afety of both arrows only when the elevator is stopped as shown in FIG. 1B, and it is im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other layers that pass the elevator while it is in operation are safe. This problem becomes more evident in the case of a high-speed elevator with a high elevator elevation speed.
더우기, 야간에 복도가 어두운 경우에는 복도측의 안전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Furthermore, when the hallway is dark at n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check of the hallway side is impossible.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야간이나 어두운 복도에서 일어나는 비상상황을 촬영하여 모니터에 보여주도록 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ior of a building by photographing an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at night or in a dark corridor and displaying it on a monitor.
본 발명은 또한 종래의 방범창의 갯수를 줄여 설치비용은 물론 공수를 크게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to reduce the number of conventional security windows and to greatly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as well as the airflow.
이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나 케이지 내외부에 모니터(M)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설치되는 보안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urity camera device installed in a door of an elevator provided with a monitor (M) inside and outside the door or cage of the elevator. The apparatus comprises: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D1) 표면에 설치되는 방범카메라(10);A
상기 방범카메라(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야간에 건물 복도를 조명하기 위한 적외선램프(20);An infrared lamp (20) installed adjacent to the security camera (10) for illuminating a building corridor at night;
상기 케이지도어(D1)가 엘리베이터의 홀도어(D2)와 정확히 일치될 때를 감지하는 감지장치(30);A
상기 방범카메라(10)와 적외선램프(20)의 정면에 대응하는 위치로 홀도어(D2)에 형성되고, 투명유리로 덮여있으며, 방범카메라(10)의 시야각(A)을 커버하는 크기를 갖는 윈도우(W); 및Is formed in the door (D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urity camera (10) and the infrared lamp (20) and is covered with transparent glass and has a size covering the viewing angle (A) Window W; And
상기 방범카메라, 적외선램프 및 감지장치에 연결되어 이들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고,And a controller (40) connected to the security camera, the infrared lamp, and the sensing device to control operation of the elements and store data,
방범카메라(10)가 평상시에는 동영상을 촬영하다가, 상기 감지장치(30)가 양쪽 도어(D1,D2)가 정확히 일치했음을 감지했을 때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정지영상을 촬영하며, 방범카메라가 촬영한 동영상과 정지영상이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모니터(M)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When the
또, 이런 감지장치(30)는 케이지도어(D1)에 설치된 광센서(32)와, 광센서에 대응되는 위치로 홀도어(D2)에 설치되어 광센서(32)의 빛을 받아 광센서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기(3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의 제어반에 모니터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I/O 포트(50)를 설치하여 컨트롤러(40)에 연결하며, 이런 I/O 포트(50)에 키보드, USB 또는 기타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도록 하면 더 바람직하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 강도/절도 사건 등 어두운 복도에서 일어나는 비상상황을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이나, 복도에서 대기하는 승객은 물론 보안요원이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건물의 안전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mergency situations occurring in a dark corridor such as a fire, a robbery or theft event can be greatly improved by security personnel in real time as well as passengers aboard the elevator or passengers waiting in the corridor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방화유리 방범창의 갯수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설치비와 유지관리비를 종래에 비해 크게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expensive fireproof glass security windows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installation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great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도 1은 방범창이 설치된 종래의 엘리베이터로서, 도 1A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B-B선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도 2A는 도 1B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어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방범카메라(10)와 적외선램프(20)와 윈도우(W)의 관계 및 모니터(M)의 디스플레이를 자세히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각각 도 3A는 1층 이외의 다른 층, 여기서는 2층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도, 도 3B는 1층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도, 도 3C는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사시도.FIG. 1A is a front view of an elevator door, FIG. 1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A; FIG.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A is a 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1B, Fig. 2B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door por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interi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도 2A는 도 1B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어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A is a 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1B, and Fig. 2B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door por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나 케이지 내외부에 모니터(M)가 설치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특히 케이지도어(D1)에 모니터(M)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monitor M i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door or the cage of the elevator. In this embodiment, the monitor M is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elevator, particularly the cage door D1.
도 2A~B에서 보듯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도어(D1) 표면에 외부를 향해 방범카메라(10)가 설치된다. 이런 방범카메라(10)는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지정된 시간동안 계속적으로 동영상을 촬영하는 한편, 특정 시간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s shown in Figs. 2A to 2B, the
방범카메라(10)에 인접하게 케이지도어(D1) 표면에 적외선램프(20)가 설치되는데, 적외선램프(20)는 야간에 어두운 건물 복도를 방범카메라(10)로 촬영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적외선램프(20)의 적외선은 복도를 향해 적외선을 방출하는데, 필요할 때마다 적외선을 방출할 수도 있고, 항상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An
또, 케이지도어(D1)가 엘리베이터의 홀도어(D2)와 정확히 일치될 때를 감지하는 감지장치(30)를 설치한다. 이런 감지장치(30)는 케이지도어(D1)에 설치된 광센서(32)와, 광센서에 대응되는 위치로 홀도어(D2)에 설치되어 광센서(32)의 빛을 받아 광센서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기(3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감지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케이지도어와 홀도어가 정확히 일치하는 순간을 감지하기만 하면 어떤 감지장치도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In addition, a
이런 방범카메라(10)와 적외선램프(20)의 정면에 대응하는 위치로 홀도어(D2)에 윈도우(W)가 형성되는데, 윈도우는 투명유리로 덮여있으며, 도 2B에서 보듯이 방범카메라(10)의 시야각(A)을 커버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 window W is formed in the hall door D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도 3은 방범카메라(10)와 적외선램프(20)와 윈도우(W)의 관계 및 모니터(M)의 디스플레이를 자세히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각각 도 3A는 1층 이외의 다른 층, 여기서는 2층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도, 도 3B는 1층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정면도, 도 3C는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3 is a front view showing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도 3A~B에서 알 수 있듯이, 윈도우(W)의 범위 안에 아래위로 나란하게 인접되게 방범카메라(10)와 적외선램프(2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1층에는 엘리베이터를 대기하는 승객들에게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홀도어(D2) 표면에 모니터(M)를 설치하고, 이런 모니터(M)에 방범카메라(10)가 촬영한 영상을 보여준다(도 3C 참조). 일반적으로, 모니터의 상부에는 각층의 복도측, 즉 윈도우(W)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방범카메라(10)로 촬영할 수 있는 복도측의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모니터의 하부에는 방범카메라(10)로 촬영한 연속적인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의 건물은 9층으로서, 1층서부터 9층까지의 정지영상이 모니터(M)에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런 모니터(M)는 빌딩 관리실이 있을 경우, 빌딩 관리실에도 설치되어 관리자나 보안요원이 동일한 영상을 볼 수 있다. 도 2A에서 보듯이, 1층에서 대기하는 승객이 모니터(M)의 영상을 보고서, 건물 전층의 복도의 안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관리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화재나 강도나 도둑과 같은 비상사태가 생길 경우, 각 층에서 대기하는 승객이나, 엘리베이터 내부의 승객이나 관리실의 보안요원이 즉각 비상사태를 확인하고 신속히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As shown in FIGS. 3A to 3C,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런 윈도우(W)는 크게 할 필요 없이,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시야각(A)만 커버하면 되므로, 종래에 비해 크기를 크게 줄일 수 있어, 가로세로 크기를 50mm X 100mm까지 줄일 수 있어, 엘리베이터 도어의 외관을 해치지도 않는다. 또한, 케이지도어(D1)에는 방범창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윈도우(W)용의 유리를 고가의 방화유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다.Since the window W needs to be large, it is necessary to cover only the viewing angle A of the camera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size of the window W can be large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and the size of the window W can be reduced to 50 mm x 100 mm. It does not hurt the appearance of. Furthe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ecurity window in the cage door D1, it is not necessary to use an expensive fireproof glass for the glass for the window W, so that the cost can be further reduced.
한편, 이런 방범카메라, 적외선램프 및 감지장치에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트롤러(40)가 연결되는데, 이런 컨트롤러(40)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도 2A 참조). On the other hand, such a security camera, an infrared lamp and a sensing device are connected to a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방범카메라(10)가 평상시에는 동영상을 촬영하다가, 감지장치(30)가 양쪽 도어(D1,D2)가 정확히 일치했음을 감지했을 때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정지영상을 촬영하며, 방범카메라가 촬영한 동영상과 정지영상이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모니터(M)에 디스플레이된다.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interi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의 제어반에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I/O 포트(50)를 추가로 설치하고, 이 포트를 컨트롤러(40)에 연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I/O 포트(50)에 키보드, USB 또는 기타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여 현장에서 모니터를 포함한 각종 장치를 제어하고 유지보수하거나 데이터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I /
Claims (3)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도어(D1) 표면에 설치되는 방범카메라(10);
상기 방범카메라(1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야간에 건물 복도를 조명하기 위한 적외선램프(20);
상기 케이지도어(D1)가 엘리베이터의 홀도어(D2)와 정확히 일치될 때를 감지하는 감지장치(30);
상기 방범카메라(10)와 적외선램프(20)의 정면에 대응하는 위치로 홀도어(D2)에 형성되고, 투명유리로 덮여있으며, 방범카메라(10)의 시야각(A)을 커버하는 크기를 갖는 윈도우(W); 및
상기 방범카메라, 적외선램프 및 감지장치에 연결되어 이들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트롤러(40);를 포함하고,
상기 방범카메라(10)가 평상시에는 동영상을 촬영하다가, 상기 감지장치(30)가 양쪽 도어(D1,D2)가 정확히 일치했음을 감지했을 때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하에 정지영상을 촬영하며, 방범카메라가 촬영한 동영상과 정지영상이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모니터(M)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보안카메라 장치.A security camera device installed in a door of an elevator provided with a monitor (M) inside and outside a door or an elevator of an elevator, comprising:
A security camera 10 installed on a surface of a cage door D1 of an elevator;
An infrared lamp (20) installed adjacent to the security camera (10) for illuminating a building corridor at night;
A sensing device 30 for sensing when the cage door D1 is exactly aligned with a hall door D2 of the elevator;
Is formed in the door (D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urity camera (10) and the infrared lamp (20) and is covered with transparent glass and has a size covering the viewing angle (A) Window W; And
And a controller (40) connected to the security camera, the infrared lamp, and the sensing device to control operation of the elements and store data,
When the security camera 10 normally captures a moving picture and senses that the doors 30 and 31 correctly match the doors D1 and D2, the still camera captures a still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moving picture and a still picture are displayed on the monitor (M) by a controller.
2.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 / O port (50) for controlling the monitor and inputting / outputting data to the control panel in the elevator cage is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 And a USB or other input / output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elevator door.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8681A KR101474698B1 (en) | 2014-11-14 | 2014-11-14 | Security Camera Device for Elevator Doors |
CN201510063672.1A CN104671047B (en) | 2014-11-14 | 2015-02-06 | The security camera head of elevator door |
CN201520086705.XU CN204454207U (en) | 2014-11-14 | 2015-02-06 | The security camera head of elevator door |
PCT/KR2015/005047 WO2016076495A1 (en) | 2014-11-14 | 2015-05-20 | Security camera device of elevator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8681A KR101474698B1 (en) | 2014-11-14 | 2014-11-14 | Security Camera Device for Elevator Doo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4698B1 true KR101474698B1 (en) | 2014-12-18 |
Family
ID=5267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8681A Active KR101474698B1 (en) | 2014-11-14 | 2014-11-14 | Security Camera Device for Elevator Doors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4698B1 (en) |
CN (2) | CN204454207U (en) |
WO (1) | WO2016076495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4698B1 (en) * | 2014-11-14 | 2014-12-18 | 윤일식 | Security Camera Device for Elevator Doors |
US11724907B2 (en) | 2018-06-14 | 2023-08-15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floor bypas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40542A (en) | 2001-07-31 | 2003-02-13 |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 Security camera system for elevator |
JP2011063423A (en) | 2009-09-18 | 2011-03-31 | Toshiba Elevator Co Ltd | Elevator contro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0354A (en) * | 1997-10-24 | 1999-05-18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Elevator security equipment |
JPH11209016A (en) * | 1998-01-19 | 1999-08-03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Elevator security driving device |
JP2000238981A (en) * | 1999-02-18 | 2000-09-05 | Toshiba Corp | Elevator door |
ZA200003358B (en) * | 1999-07-16 | 2001-01-30 | Inventio Ag | Lift installation. |
CN2632803Y (en) * | 2003-06-19 | 2004-08-11 | 山连根 | Liftable elevator with infomation displaying device |
KR100534557B1 (en) * | 2003-07-03 | 2005-12-08 | 주식회사 싸이닉스 | A Security Camera Device For A Elevator |
JP2011136776A (en) * | 2009-12-25 | 2011-07-14 | Toshiba Elevator Co Ltd | Door device of elevator |
JP2011136775A (en) * | 2009-12-25 | 2011-07-14 | Toshiba Elevator Co Ltd | Elevator |
KR101474698B1 (en) * | 2014-11-14 | 2014-12-18 | 윤일식 | Security Camera Device for Elevator Doors |
-
2014
- 2014-11-14 KR KR1020140158681A patent/KR101474698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02-06 CN CN201520086705.XU patent/CN204454207U/en not_active Withdrawn - After Issue
- 2015-02-06 CN CN201510063672.1A patent/CN104671047B/en active Active
- 2015-05-20 WO PCT/KR2015/005047 patent/WO201607649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40542A (en) | 2001-07-31 | 2003-02-13 |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 Security camera system for elevator |
JP2011063423A (en) | 2009-09-18 | 2011-03-31 | Toshiba Elevator Co Ltd | Elevator contro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671047B (en) | 2016-01-06 |
WO2016076495A1 (en) | 2016-05-19 |
CN204454207U (en) | 2015-07-08 |
CN104671047A (en) | 2015-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76459B2 (en) | Evacuation guidance notification device and system | |
JP4796431B2 (en) | elevator | |
US20190135581A1 (en) | Emergency monitoring systems for elevators | |
KR101474698B1 (en) | Security Camera Device for Elevator Doors | |
KR101404453B1 (en) | Elevator floor indicator for CCTV camera | |
US20190325548A1 (en) | Unmanned aerial vehicle people detection and evacuation systems | |
KR101751029B1 (en) | evacuation guiding system for tunnel | |
CN110304511B (en) |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panoramic sightseeing of elevator | |
EP3392180B1 (en) | Car for lift and similar, having enhanced communication and interactive features | |
KR102683600B1 (en) | Fireproof screen shutter | |
KR20160058550A (en) | Observation system for housing entrance and method thereof | |
JP2016199390A (en) | Elevator guide device | |
TWI742664B (en) | Foreign object detection system | |
JP4703358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08063043A (en) | Elevator device | |
KR101491464B1 (en) | System for safety elevator | |
KR102143336B1 (en) | System of data display for elevator | |
KR102508741B1 (en) | Display display device for elevator | |
JP5140471B2 (en) | elevator | |
CN101531324A (en) | Monitoring device of escalator | |
KR101311016B1 (en) | Emergency escape system controlled by wire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 |
CN111032558B (en) | Anti-pinch hand safety device for elevator | |
KR20210129332A (en) | System for guiding elevator voice information | |
KR20070065724A (en) | Floor Detection System and Floor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 |
JP2006256831A (en) | Security system of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