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456B1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blocking the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blocking th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4456B1 KR101474456B1 KR1020080085500A KR20080085500A KR101474456B1 KR 101474456 B1 KR101474456 B1 KR 101474456B1 KR 1020080085500 A KR1020080085500 A KR 1020080085500A KR 20080085500 A KR20080085500 A KR 20080085500A KR 101474456 B1 KR101474456 B1 KR 101474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ripheral device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list
- mobile terminal
- wireless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1150012579 ADS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0775 Adenylosuccinate ly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40193 Adenylosuccinate ly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장치 차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차단된 장치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무선통신부와의 연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주변장치가 상기 차단 목록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주변장치의 연결 요청을 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memory for storing a device list in whic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blocked, And a controller for refusing the connection request of the peripheral device according to whether a peripheral device transmitting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exists in the block list.
이동단말기, 컨텐츠, 합성, 드래그 Mobile terminal, content, compositing, drag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변 장치를 차단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주변 장치 차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its peripheral device blocking method for blocking peripheral devices.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A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or the like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a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video or a moving image through a camera, a voice storage function, a music file playback function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an image or video display function. Some terminals include additional functions to execute games, and some other terminals are also implemented as multimedia devices. Moreover, recent terminals can receive a broadcast or multicast signal to view a video or television program.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고, 다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또는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In general, the terminal is movable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portable or not, an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Efforts are continuing to support and enhance the functions of terminals. The foregoing efforts include not only changes and improvements in structural components that form the terminal, but also improvements in software or hardware.
일반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는 주변 장치 검색(inquiry) 시 찾기를 원하지 않는 주변 장치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면 해당 주변 장치를 검색 리스트에 표시한다. 또한, 무선통신을 차단하고 싶은 주변 장치로부터 연결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user action)에 의해서만 거절할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general, a terminal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displays a peripheral device on a search list when receiving a response from a peripheral device that does not want to be searched when a peripheral device is inquired. Also, if there is a connection request from a peripheral device that wants to block wireless communication, it can be rejected only by a user action.
본 발명은 원하지 않는 주변 장치의 검색을 차단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주변 장치 차단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method of blocking a mobile terminal and its peripheral device that interrupts the search of an undesired peripheral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원하지 않는 주변 장치로부터의 연결 요청을 차단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의 주변 장치 차단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blocking a connection request from an undesired peripheral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thereof.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질의를 주변장치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주변장치로부터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주변장치가 기설정된 차단목록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주변장치가 상기 차단목록에 존재하면 상기 주변장치를 장치 검색 결과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cludes a step of transmitting a query to a peripheral device, a step of receiving a response to the inquiry from the peripheral device, And if the peripheral device is present in the block list, excluding the peripheral device from the device search result.
또한, 본 발명은 주변장치로부터 연결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주변장치가 기설정된 차단목록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주변장치가 차단목록에 존재하면 상기 연결요청을 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connection request from a peripheral device, confirming whether the peripheral device is present in a predetermined blocking list, and rejecting the connection request if the peripheral device is present in the blocking list do.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원하지 않는 주변 장치의 검색을 차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lock the search for an undesired peripheral device.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원하지 않는 주변 장치로부터의 연결 요청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lock connection requests from unwanted peripheral devices.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mentioned "module" and "part"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fixed terminals such as a digital TV, a desktop computer, and the lik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the fixed terminal, except for components specifically configured for mobile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 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 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An audio / video (A / V)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기의 방위, 이동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 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 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Meanwhile, the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이들 중에서 상기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의 작동원리의 일예를 설명하자면, 발진회로에서 정파의 고주파를 발진하는 상태에서 감지물체가 센서 감지면 근방에 접근을 하면 발진회로의 발진 진폭이 감쇄 또는 정지하며, 이런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감지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진 근접센서와 감지물체 사이에 금속성이 아닌 어떠한 물질이 온다 하더라도 근접스위치는 그 물체의 간섭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감지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Among them,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high-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will be described. In the oscillation circuit, when the high frequency of the stationary wave is oscillated, the oscillation amplitude of the oscillation circuit is attenuated or stopped when the sensing object approaches the sensor sensing surface, This chang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ensing object. Therefore, even if any non-metallic substance comes between the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nd the sensing object, the proximity switch can detect the sensing object to be detected without interference of the object.
상기 근접 센서(141)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는 접촉되지 않았지만 근접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 및 상기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가 검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하도록 하겠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Accordingly, when the pointer is not actual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but is located close to the touch screen, the position of the point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er and the touch screen can be detected.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located on the touch screen to recognize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 and a pointer The actual touching action will be referred to as "contact touch. &Quot; In addition,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141)를 이용하면,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할 수 있다. The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이동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And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foregoing,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in view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outline. Hereinafter,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a slider typ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mong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lider type mobi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mobile terminal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typ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폴더폰의 경 우, 이동단말기(100)는 제1바디와, 제1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The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The state where the
한편,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2바디가 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바디가 언폴딩되게 구성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older type includ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configured to fold or unfold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bod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Here,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is configured to be folded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state, and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is configured to be unfolded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state.
더욱이 또한,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스윙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바디가 제2바디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제2바디가 스윙되어 제1바디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f a swing type including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configured to be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Here,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is superimposed on the second body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state, and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is swung and a part of the first body is exposed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state.
상기 폴더 타입과 상기 스윙 타입에 따른 단말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Although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folder type and the swing type is not described in detail,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 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프론트 케이스(220)와 제1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casing (casing, housing, cover, etc.)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바디(200), 구체적으로 제1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은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Since the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2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프론트 케이스(230)와 제2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As in the case of the
제2바디(205), 구체적으로 제2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제2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2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상기 제1 내지 제3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push or a touch operation of a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Can also be implemented.
기능적인 면에서,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사용자 입력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소위 소프트키와, 방향 지시 및 확인을 위한 네비게이션키(주로 4개의 방향키 및 중앙키로 구성됨)를 포함할 수 있다.In a functional aspect, the first
또한, 제3사용자 입력부(245)는 상기 이동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 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제2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A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도 3는 도 2의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2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 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제2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second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또한, 제2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 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제1바디(200)의 제1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A portion of the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205)의 제2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The other part of the
이상에서는 제2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2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1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1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shown in Figs. 1 to 3 is operable in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frame or a packet, including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satellite-based communication system .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Hereinafter,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ope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The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different air interfaces and / or physical layers. For example, wireless interfaces that can be used by communication system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especially Long Term Evolution (LT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CDM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4,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Each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The intersection of sector and frequency assignment may be referred to as a CDMA channe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4, a broadcasting transmitter (BT) 295 transmits a broadcasting signal to the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In addition, FIG. 4 illustrates several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Among the typical operations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에서 주변 장치를 차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blocking a peripheral device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114)를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14)을 통해 주변 장치(device)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장치는 이동단말기, 랩탑(latop) 컴퓨터,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프린터(printer),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GPS 수신기, 헤드셋(heads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근거리 통신모듈(114)를 통해 질의(inquiry)를 수행하여 주변에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주변 장치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즉, 제어부(180)는 연결 가능한 주변장치를 검색한다. 이때, 근거리 통신모듈(114)은 질의 신호를 방송 형태로 주변에 위치한 모든 주변 장치로 송신한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질의 신호에 대한 주변 주변 장치의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그 응답신호에 근거하여 블루투스 가능한 주변장치 검색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응답신호는 주변 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bluetooth address) 및 장치종류(device type), 장치명(device name)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 어드레스는 단말에 할당된 고유한 정보(이하, 식별정보)를 말한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메뉴를 통해 연결을 원하지 않는 주변 장치를 차단 목록(block list)에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질의에 대한 응답을 보내온 주변 장치 또는 서비스 요청을 한 주변 장치가 차단 목록에 등록된 단말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주변 장치 차단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ipheral device block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차단을 원하는 주변 장치를 설정한다(S101). 여기서, 제어부(180)는 검색된 리스트(searched list) 중에서 차단할 주변 장치(block device)를 설정하거나 또는 등록 리스트(trusted device) 중에서 차단할 주변 장치를 설정할 수 있다.First, the
이후,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기능을 실행시킨다(S103). 즉,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서비스 요청은 사진, 동영상, 음악 등과 같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연결 요청 등을 말한다.Thereafter, if there is a service request using the Bluetooth function, the
이어서, 제어부(180)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를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주변 장치가 차단 목록에 등록된 주변 장치인지를 확인한다(S105).Then, the
상기 확인결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주변 장치가 차단 목록에 등록된 주변 장치이면 제어부(180)는 해당 주변 장치의 요청 또는 응답을 무시(거절)한다(S107). 즉, 제어부(180)는 차단 목록에 등록된 주변 장치의 요청 또는 응답을 차단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ipheral device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a peripheral device registered in the block list, the
상기 단계(S105)에서, 상기 주변장치가 차단목록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 부(180)는 상기 주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 절차에 따라 연결(환경) 설정한다(S109).In step S105, if the peripheral device is not present in the block list,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에서 차단할 주변 장치를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peripheral device to be block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의 메뉴 조작에 의해 블루투스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메뉴의 서브 메뉴(a)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서브메뉴의 조작을 통해 차단할 장치를 등록할 수 있는 항목이 선택되면(b, c), 제어부(180)는 차단목록 설정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설정화면(d)이 표시된다.First, when the Bluetooth function is selected by a menu operation of the user, the
상기 설정화면에서 검색(탐색)방식(search)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질의 동작을 수행하여 블루투스가 가능한 주변장치를 검색한다. 이어서,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된 주변장치 목록(e)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If the search (search) method is selected on the setting screen,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주변장치 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주변장치를 차단 목록에 등록시킨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주변장치가 차단 목록에 추가됨을 알리는 메시지(f)를 팝업으로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차단 단말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차단 단말 등록으로 인해 업데이트된 차단 목록(g)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If at least one peripheral device list displayed o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에서 차단할 주변 장치를 설정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setting a peripheral device to be block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메뉴 조작에 의해 소정 절차를 거쳐 제어부(180)는 차단목록 설정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설정화면이 표시된다(a-d).The
상기 표시된 설정화면(d)에서 '등록된 주변장치 보기(View trusted device)' 항목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기등록된 주변장치 리스트(h)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된 주변장치 리스트 중 차단할 주변장치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주변장치를 차단 목록에 등록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선택된 주변장치가 차단 목록에 추가됨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i)를 팝업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주변장치가 추가된 차단 목록(j)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If the 'View trusted device' item is selected on the displayed setting screen (d), the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주변 장치 차단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이동단말기가 질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ipheral device block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s a case where a mobile terminal performs a query operation as an example.
먼저, 제어부(180)는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에 질의를 수행한다(S201). 즉, 제어부(180)는 주변 장치들 중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이 가능한 주변 장치를 탐색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질의(inquiry) 신호를 방송 형태로 전송한다.First, the
상기 질의 신호를 수신한 주변 장치는 블루투스가 가능하면 상기 질의 신호에 대한 응답(response) 신호를 송신한다(S203). 상기 응답 신호는 식별정보(BD_ADDR) 및 장치종류, 장치명 등과 같은 장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inquiry signal, the peripheral device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inquiry signal if Bluetooth is available (S203). The response signal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D_ADDR) and device information such as device type, device name,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단말이 기등록된 차단 목록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205). 즉, 제어부(180)는 상기 주변장치가 차단장치인지를 확인한다.The
상기 확인결과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차단 목록에 존재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주변 장치의 응답 신호를 무시한다(S207). 즉, 제어부(180)는 블루투스가 가능한 주변 장치 검색 결과(found device)에서 상기 주변 장치를 제외시켜 검색 리스트에 표시하지 않는다.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esent in the block list, the
상기 단계(S205)에서 상기 식별정보가 차단목록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주변장치를 검색 리스트에 추가한다(S209). 또한, 제어부(180)는 질의에 의해 검색된 블루투스 가능한 주변장치 리스트를 표시한다.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in the block list, th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주변 장치 차단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주변 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ipheral device block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y exemplifying a case where a service request is made from a peripheral device.
먼저, 제어부(180)는 근거리 통신모듈(114)을 통해 주변장치로부터 근거리 통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301). 상기 요청 신호는 블루투스 어드레스(BD_ADDR), 장치종류, 요청 종류(목적)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제어부(180)는 상기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기등록된 차단 목록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303). 즉, 제어부(180)는 상기 요청신호를 송신한 주변장치가 차단목록에 등록된 장치인지를 확인한다.The
상기 확인결과, 상기 주변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상기 차단 목록에 존재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주변장치의 요청을 무시(거절)한다(S305). 여기서, 제 어부(180)는 주변장치의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지 않거나 또는 요청에 대한 응답 신호로 NACK(Negative Acknowledge) 신호(부정 응답)를 송신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luetooth address of the peripheral device is present in the block list, the
상기 확인결과, 상기 주변장치의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상기 차단 목록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상기 주변장치로부터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팝업으로 표시한다(S307).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luetooth address of the peripheral device is not present in the black list, the
상기 표시된 알림 메시지 확인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주변장치의 요청DMF 수락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소정 절차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설정한다(S309).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주변장치와 연결 설정을 수행한다.If the user accepts the request DMF of the peripheral device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displayed notification message, the
상기 환경(연결)설정이 완료된 후 제어부(180)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14)를 통해 상기 주변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주변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수행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소정 절차에 따라 상기 주변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한다.After the environment (connection) setting is completed,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a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는 도 2의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mobile terminal may operat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주변 장치 차단방법을 도시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ipheral device block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에서 차단할 주변 장치를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peripheral device to be block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에서 차단할 주변 장치를 설정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setting a peripheral device to be block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주변 장치 차단방법을 도시한 흐름도.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ipheral device block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주변 장치 차단방법을 도시한 흐름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ipheral device block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5500A KR101474456B1 (en) | 2008-08-29 | 2008-08-29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blocking th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5500A KR101474456B1 (en) | 2008-08-29 | 2008-08-29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blocking th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6480A KR20100026480A (en) | 2010-03-10 |
KR101474456B1 true KR101474456B1 (en) | 2014-12-19 |
Family
ID=4217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5500A KR101474456B1 (en) | 2008-08-29 | 2008-08-29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blocking th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445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6073B1 (en) * | 2013-09-27 | 2015-01-26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2578A (en) * | 2001-09-18 | 2003-03-28 | Fujitsu Ltd | Management device, processing device, device, and program |
JP2007067724A (en) * | 2005-08-30 | 2007-03-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obi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method |
-
2008
- 2008-08-29 KR KR1020080085500A patent/KR10147445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92578A (en) * | 2001-09-18 | 2003-03-28 | Fujitsu Ltd | Management device, processing device, device, and program |
JP2007067724A (en) * | 2005-08-30 | 2007-03-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obil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6480A (en) | 2010-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4209B1 (en) | A mobile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equipped with a touch sens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80470B1 (en) | Mobile terminal and its touch lock screen control method | |
KR101495176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ssion information thereof | |
KR101495170B1 (en) | Method for displaying menu of mobile terminal | |
KR101467781B1 (en) | A mobile terminal and its channel list management method | |
KR101412586B1 (en) | Method for input of mobile terminal | |
KR101432593B1 (en) | Mobile terminal and its geotagging method | |
KR101559776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504205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 |
KR20090120722A (en) | Mobile terminal and its content download method | |
KR101556135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35845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430481B1 (en) | Mobile terminal and its broadcasting control method | |
KR101448645B1 (en) | Mobile terminal and its broadcasting control method | |
KR101521910B1 (en) |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of mobile terminal | |
KR101537593B1 (en) |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even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540663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ing thereof | |
KR101513627B1 (en) | Mobile terminal and buddy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thereof | |
KR101430479B1 (en) | Method of menu composition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 |
KR101463827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 |
KR101557353B1 (en) | Mobile terminal hav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apturing screen thereof | |
KR101495179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
KR101554181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figuration setting method of external terminal using the same | |
KR101526992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pplica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474456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blocking th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8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8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