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4434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434B1
KR101474434B1 KR1020080034846A KR20080034846A KR101474434B1 KR 101474434 B1 KR101474434 B1 KR 101474434B1 KR 1020080034846 A KR1020080034846 A KR 1020080034846A KR 20080034846 A KR20080034846 A KR 20080034846A KR 101474434 B1 KR101474434 B1 KR 101474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oofer speaker
portable terminal
outside
bass dr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409A (ko
Inventor
이성태
박성진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43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43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2Constructio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퍼스피커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우퍼스피커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우퍼스피커의 음향을 증폭시키는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울림통과, 상기 울림통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우퍼스피커와 함께 협력하여 멀티채널음향을 상기 울림통 외부로 방출하는 1 및 제2 스피커, 및 상기 울림통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에서 발생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향하는 음향을 차단시키는 음향 차단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멀티채널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출력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음악 또는 동영상 등의 감상시 휴대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질이 휴대 단말기의 설계시 중요한 요소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채널음원을 재생할 수 있으며 출력되는 음향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는 우퍼스피커가 구비되고, 우퍼스피커의 일면에는 우퍼스피커의 음향을 증폭시키는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울림통이 장착되며, 울림통에는 우퍼스피커와 함께 협력하여 멀티채널음향을 상기 울림통 외부로 방출하는 1 및 제2 스피커가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울림통에는 제1 및 제2 스피커에서 발생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향하는 음향을 차단시키는 음향 차단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향 차단부는 제1 및 제2 스피커를 각각 감싸는 차단판을 포함하여 울림통의 내부공간에 제1 및 제2 스피커의 음향을 증폭시키는 제1 및 제2 공기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울림통에는 우퍼스피커를 감싸도록 울림통 외부로 연장되는 중공체가 형성되어, 우퍼스피커에서 발생하여 울림통 외부로 향하는 음향을 증폭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울림통의 일면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층 확장공이 형성되어 우퍼스피커의 음향을 증폭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한정하는 울림통의 내면에는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도전성 패턴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울림통에는 울림통 외부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리시버가 장착되고, 리시버에서 발생하여 내부공간으로 향하는 음향을 차단시키는 리시버 음향 차단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우퍼스피커와 제1 및 제2 스피커가 울림통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멀티채널음원을 재생할 수 있으며, 음향차단부에 의해 우퍼스피커와 제1 및 제2 스피커 사이의 음향 간섭을 완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스피커의 음향을 증폭시키는 제1 및 제2 공기층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스피커출력되는 음향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우퍼스피커를 감싸며 연장되는 중공체를 형성하여 우퍼스피커에서 발생하여 울림통 외부로 향하는 음향을 증폭시킨다.
본 발명은 울림통의 일면에 공기층 확장공을 형성하여 휴대 단말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이용하여 우퍼스피커의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울림통에 내장 안테나의 도전성 패턴을 구비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부품 장착 공간을 줄임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우퍼스피커와 제1 및 제2 스피커가 장착된 울림통에 리시버를 더 장착하여 멀티채널음원을 재생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부품 장착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100)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외관을 이루는 단말기 바디(110)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0)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44a), 제1 영상 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의 디스플레이 모 듈(141, 도 3 참조)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부(144a) 및 제2 음향출력부(131a)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프론트 케이스(111) 또는 리어 케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조작부(117), 음향 입력부(118), 인터페이스(119)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16,117)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거나,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조작부(117)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18)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19)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19)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12)의 후면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영상 입력부(121)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 부(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2)와 거울부(123)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2)는 제2 영상 입력부(123)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3)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또한, 리어 케이스(11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32)는 단말기 바디(1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음향출력부(132a)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출력부(131a, 도1 참조)와 함께 스트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4 음향출력부(133a)는 우퍼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되어 중저음의 음원을 재생할 수 있으며 제2 음향출력부(131a) 및 제3 음향출력부(132a)와 함께 2.1채널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휴대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인쇄회로기판(140)이 장착된다.
인쇄회로기판(14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이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하측에는 제1조작부(116)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보 를 입력하는 스위치(142)들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142)들의 하측에는 음향을 입력시키기 위한 마이크로폰(143)이 음향 입력부(118,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며 장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40)에는 라디오 수신을 위한 칩 안테나(Chip Antenna, 150)가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상측에는 인쇄회로기판(140)에서 인가된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리시버(144)가 장착되어 제1 음향출력부(144a, 도 1 참조)를 이룬다. 리시버(144)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는 진동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는 진동판, 자석, 및 코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멀티채널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울림통(130)이 장착된다.
울림통(130)은 프론트 케이스(111)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인쇄회로기판(140)과 리어 케이스(112)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울림통(13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라인 (Ⅴ-Ⅴ)을 따라 취한 휴대 단말기(100)의 단면도이다.
울림통(130)에는 접착부재(134)를 이용하여 우퍼스피커(133)가 장착된다. 접착부재(134)는,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 또는 우퍼스피커(133)와 울림통(130) 사이에 음향이 새는 것을 완화 또는 방지하도록 접착성을 갖는 가스켓(gasket)이 될 수 있다.
울림통(130)과 우퍼스피커(133)는 볼트 결합과 같은 기계적 결합으로도 체결될 수 있다. 러버 또는 부직포 등의 탄성 부재를 추가로 배치하여 울림통(130)과 우퍼스피커(133) 사이의 밀봉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우퍼스피커(133)는 울림통(130)의 외부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울림통의 음향 출력홀(159)이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울림통(130)은 프론트 바디(151)와 리어 바디(152)에 의하여 형성되며 프론트 바디(151)와 리어 바디(15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바디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프론트 바디(151), 리어 바디(152) 및 우퍼스피커(133)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공간에는 우퍼스피커(133)의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는 공기층(153)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층은 보다 많은 공기를 진동할 수 있게 하여 우퍼스피커(133)가 방출하는 낮은 음역의 음향이 보다 크게 되도록 한다.
울림통(130)의 양측면에는 우퍼스피커(133)와 함께 협력하여 멀티채널음향을 울림통(130)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제1 또는 우측스피커(131) 및 제2 또는 좌측스피커(132)가 장착된다.
울림통(130)에는 좌·우 스피커(131,132)에서 발생하여 울림통(130)의 내부공간으로 향하는 음향을 차단시키는 음향 차단부(154,155)가 형성된다.
음향 차단부(154,155)는, 예를 들어 좌·우 스피커(131,132)의 후면에 대응하는 울림통 내부공간에 격벽을 형성하거나 음향을 차단할 수 있는 시트 등을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음향 차단부(154,155)는 좌·우 스피커(131,132)가 각각 분할된 소리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여 스트레오 효과를 배가시키며, 음향 차단부(154,155)에 의해 우퍼스피커(133)와 좌·우 스피커(131,132) 사이의 음향 간섭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음향 차단부(154,155)에는 좌·우 스피커(131,132)를 각각 감싸는 차단판(154',155')이 배치되어 제1 공기층(157) 및 제2 공기층(158)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152)에 차단판(154',155')이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바디(151)에 리어 바디(152)와 대칭되는 차단판(미도시)을 배치하여 제1 및 제2 공기층(157,158)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공기층(157, 158)은 울림 공간이 되어 좌·우 스피커(131,132)의 전면에서 나온 음(+음압)과 후면에서 발생한 음(-음압)이 서로 상쇄되어 저음의 발생을 방해하는 간섭 현상을 완화 또는 방지시켜 좌·우 스피커(131,132)에서 출력되는 음질을 개선한다.
제1 공기층(157) 및 제2 공기층(158)은 보다 많은 공기가 진동될 수 있도록 하여 좌·우 스피커(131,132)의 중저음을 증폭시킬 수 있다.
좌·우 스피커(131,132)는 단말기 바디(110)의 좌·우측을 향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장착된다. 좌·우 스피커(131,132)와 단말기 바디(110) 사이에는 좌·우 스피커(131,132)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 등이 부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리시버(144)는 단말기 바디(110)의 전방을 향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프론트 케이스(111)의 음향 출력홀(144')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울림통(130)은 우퍼스피커(133)가 단말기 바디(110)의 후방을 향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리어 케이스(112)의 음향 출력홀(1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200)의 단면도이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멀티채널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울림통(230)이 장착된다.
울림통(230)에는 우퍼스피커(233)를 감싸도록 울림통(230) 외부로 연장되는 중공체(201), 예를 들어 울림통(230)의 외부로 연장되는 작은 덕트가 형성된다.
중공체(201)는 우퍼스피커(233)에서 발생하여 울림통(230) 외부로 향하는 음향을 모아주어 음향을 증폭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300)의 단면도이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는 멀티채널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울림통(330)이 장착된다.
울림통(330)의 일면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층 확장공(311)이 형성된다.
공기층 확장공(311)은 휴대 단말기(3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휴대 단말기(300)의 내부공간의 공기가 우퍼스피커(333)의 음향을 증폭시키는데 사용되도록 하여 우퍼스피커(333) 음향을 증폭시키는 공기층(353)을 확장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시예에 따르는 울림통(430)의 단면도이다.
울림통(430)의 내면(456)에는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도전성 패턴(401)이 형성된다.
도전성 패턴(401)은 도전성 재질의 방사체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울림통(430)의 내면(456)에 패턴화되어 부착된다.
도전성 패턴(401)의 단부에는 인쇄회로기판(140, 도 3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단자(402)가 형성될 수 있다.
급전 단자(402)가 울림통(430)의 외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울림통(430)에는 급전 단자 홈(403)이 형성된다.
도전성 패턴(401)과 이를 안착 및 지지하는 울림통(430)은 휴대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를 형성하여 휴대 단말기의 부품 장착 공간을 줄임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시예에 따르는 울림통(530)의 단면도이다.
울림통(530)에는 울림통(530) 외부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장착되는 리시버(501)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리시버(501)는 접착부재(502),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울림통(530)의 일면에 장착되며 인쇄회로기판(140, 도 3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리시버(501)는 바람직하게는 울림통(530)의 프론트 바디(551)에 장착되어 단말기 바디(110, 도 3 참조)의 전방을 향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프론트 케이스(111,도 3 참조)의 음향 출력홀(144', 도 3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울림통(530)에는 리시버(501)에서 발생하여 울림통(530)의 내부공간으로 향하는 음향을 차단시키는 리시버 음향 차단부(503)가 형성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울림통의 일면이 리시버 음향 차단부(503)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리시버(501)가 일체적으로 결합된 울림통(530)은 다양한 변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리시버(501)는 좌·우 스피커(531,532)와 같이 울림통(530)의 내부에 장착되고 리시버 음향 차단부(503)는 좌·우 스피커(531,532)의 음향 차단부(554,555)와 같이 울림통(53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리시버 음향 차단부(503)에 의해 리시버(501)와 스피커들(531, 532, 533)간의의 음향 간섭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스피커들의 전면에서 음향이 출력되고, 스피커들의 후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울림통의 내부공간이 배치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울림통은 일면에서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의 타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스피커들에 울림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 모듈(181), 조작부(116,117), 영상 입력부(115,121), 음향 입력부(118),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44a, 131a 내지 133a), 센싱유닛(181), 인터페이스(119), 방송수신 모듈(182), 메모리(183), 전원공급부(120), 제어부(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통신 모듈(1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8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83)을 포함한다.
조작부(116,11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17)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8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18)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81)를 통 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83)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18)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44a, 131a 내지 133a)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8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4a, 131a 내지 133a)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유닛(18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8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19)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19)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19)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84)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8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8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8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44a, 131a 내지 133a),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8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18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울림통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라인 (Ⅴ-Ⅴ)을 따라 취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시예에 따르는 울림통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시예에 따르는 울림통의 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울림통;
    상기 울림통의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공기층을 통하여 음향을 증폭시키도록, 상기 울림통의 일면에 장착되는 우퍼스피커;
    상기 우퍼스피커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울림통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우퍼스피커와 함께 협력하여 멀티채널음향을 상기 울림통 외부로 방출하는 제1 및 제2 스피커;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에서 발생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향하는 음향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의 음향을 증폭시키는 제1 및 제2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울림통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분할하고, 상기 우퍼스피커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음향 차단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에는 상기 우퍼스피커를 감싸도록 상기 울림통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우퍼스피커에서 발생하여 상기 울림통 외부로 향하는 음향을 증폭시키는 중공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의 일면에는 상기 우퍼스피커의 음향을 증폭시키는 공기층을 확장하도록 외부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층 확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을 한정하는 상기 울림통의 내면에 장착되어, 무선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도전성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은,
    상기 울림통 외부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장착되는 리시버; 및
    상기 울림통에 형성되며, 상기 리시버에서 발생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향하는 음향을 차단시키는 리시버 음향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34846A 2008-04-15 2008-04-15 휴대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74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46A KR101474434B1 (ko) 2008-04-15 2008-04-15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846A KR101474434B1 (ko) 2008-04-15 2008-04-15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409A KR20090109409A (ko) 2009-10-20
KR101474434B1 true KR101474434B1 (ko) 2014-12-19

Family

ID=4155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8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4434B1 (ko) 2008-04-15 2008-04-15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56B1 (ko) * 2015-04-20 2016-07-21 주식회사 에이치시티엠 모바일 기기용 루프 안테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56B1 (ko) * 2015-04-20 2016-07-21 주식회사 에이치시티엠 모바일 기기용 루프 안테나
WO2016171424A1 (ko) * 2015-04-20 2016-10-27 주식회사 에이치시티엠 모바일 기기용 루프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409A (ko) 200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465B1 (ko) 이동 단말기
EP1970792B1 (en) Portable terminal with a large display
EP1968285B1 (en) Mobile terminal
US8049670B2 (en) Portable terminal
KR101427264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JP2005006205A (ja) 携帯端末
EP4175317A1 (en) Earphone,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earphone,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638924B1 (ko) 전자장치
CN114070913A (zh) 电声组件以及电子设备
KR101474434B1 (ko) 휴대 단말기
KR101404743B1 (ko)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설정방법
KR1015619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마이크 노이즈 저감방법
KR10143258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0B1 (ko) 휴대 단말기
KR100865147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80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04753B1 (ko) 휴대 단말기
KR101622678B1 (ko) 이동 단말기
KR10151361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66026B1 (ko) 휴대 단말기
JP2001127858A (ja) 携帯電話器
KR101427261B1 (ko) 휴대 단말기
CN118233545A (zh) 发音装置以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4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