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4021B1 - Optometry - Google Patents

Optomet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021B1
KR101474021B1 KR1020080094718A KR20080094718A KR101474021B1 KR 101474021 B1 KR101474021 B1 KR 101474021B1 KR 1020080094718 A KR1020080094718 A KR 1020080094718A KR 20080094718 A KR20080094718 A KR 20080094718A KR 101474021 B1 KR101474021 B1 KR 101474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ens
eye
display
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33122A (en
Inventor
다에코 호리노
요시히로 오자키
요시노부 호소이
요시히사 데라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090033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1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02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285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전문 지식이 부족한 피검사자라도 각종 교정 렌즈에 의한 보이는 방식을 알기 쉽게 하고, 또한, 검사자도 각종 교정 렌즈에 의한 보이는 방식을 설명하기 쉽게 한다.

피검안의 굴절력을 검사하는 검안 장치는, 피검안의 원용 완전 교정 도수, 원용 처방 교정 도수, 가입 도수 또는 근용 도수, 근점 거리 또는 가입 도수 측정시의 작업 거리에 기초하는 조절력을 얻는 데이터 취득 수단과, 취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느 원용 단초점 렌즈, 어느 근용 단초점 렌즈, 어느 누진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에 의해 교정된 피검안의 명시역을 구하는 연산 수단과, 피검사자를 기점으로 하여 소정의 근용 거리, 원용 거리, 중간 거리에 각각 목표물을 배치한 그래픽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한 명시역을 그래픽에 의해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다.

Figure R1020080094718

Even a subject who lacks expert knowledge makes it easy to understand the way of seeing by various correcting lenses, and the examiner can easily explain the way of seeing by various correcting lenses.

An optometric apparatus for examining a refractive power of an eye to be examined includes data acquisition means for acquiring an accommodation power based on a total calibrating frequency of the eye to be examined, a calibrating frequency of the source prescription, a working diopter or an approximate diopter, Calculating means for obtaining a clear range of the eye to be examined corrected by at least one lens among any one of a focal length lens for short focal length, a short focal length lens for short focal length, and a progressive lens based on the data obtained, And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on the screen a graphic in which a target is arranged at a distance for a distance and a medium distance respectively and for displaying a clear area by the computing means in a graphic manner on the screen.

Figure R1020080094718

Description

검안 장치{OPTOMETRIC APPARATUS}[0001] OPTOMETRIC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자각 검안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교정 렌즈의 명시역을 표시하는 검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hthalmologic apparatus for displaying a clear range of each correcting lens based on subjective observer's eye data.

피검안에 굴절 이상이 있는 경우, 이것을 교정하는 안경 렌즈의 교정 도수를 결정하기 위해, 눈의 굴절력을 자각적으로 측정하는 검안 장치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66467호 참조). 또한, 근점계에 의한 근점의 측정 데이터와 타각식 안굴절력 측정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굴절력 (또는 현재의 교정 렌즈의 도수) 으로부터, 근점에서 원점까지의 명시역을 그래픽 표시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82722호 참조).When there is a refractive error in the subject, an optometric apparatus for subjectively measuring the refractive power of the eye is used (for example, see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8-266467) in order to determine the calibrating frequency of the spectacle lens for correcting the refractive error. Further, there has been proposed an apparatus for graphically displaying a clear region from an approximate point to the origin from the measurement data of the near-point by the near-point system and the refractive power obtained by the angular ophthalmic refractive power measuring apparatus (or the frequency of the current correcting lens)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9-182722).

그런데, 중장년이 되면 조절력이 저하되는 노시 (老視) 가 되어, 자기 주위 부근의 근방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피검안의 굴절 교정에는 원방시의 교정 렌즈뿐만 아니라, 근방시의 교정 렌즈가 필요하게 된다. 원방시 및 근방시의 교정에는 원용의 단초점 렌즈, 근용의 단초점 렌즈를 따로 따로 사용하는 것 외에, 원방시에서 근방시까지를 경계선없이 커버하는 원근용의 누진 렌즈가 있다. 또한, 누진 렌즈로는, 근근의 누진 렌즈 (자기 주위에서 60㎝ 정도의 근방시까지를 커버하는 누진 렌즈), 중근의 누진 렌즈 (자기 주위에서 2m 정도의 중거리를 커버하는 누진 렌즈) 가 있다.By the way, in the middle and long years, the nervous system becomes less able to control, and the vicinity of the vicinity of the self becomes less visible. For this reason, in the refractive correction of the eye to be examined, not only a correction lens at a distance but also a near-vision correction lens is required. In the correction of distant vision and near vision, there is a far vision progressive lens which separately uses a short focus lens for near vision and a short focus lens for near vision, and covers a distance from the far vision to near vision without a boundary line. The progressive lenses include progressive progressive lenses (progressive lenses that cover the neighborhood of about 60 cm from the periphery of the self), progressive lenses of the mid-range (progressive lenses that cover the middle distance of about 2 m around the self).

이와 같이, 피검사자는 눈의 교정 도수, 피검사자가 필요로 하는 시환경에 따른 교정 렌즈를 선택하는데, 전문 지식이 부족한 피검사자는 각 교정 렌즈에 의해서 어떻게 보이는지 알 수 없어, 적절한 교정 렌즈를 선택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안경점 또는 안과의 검사자도, 피검사자에 대해 각종 교정 렌즈에 의한 보이는 방식을 적절히 설명하기가 어려웠다.Thus, the examinee selects the correcting le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rection of the eyes and the visual environment required by the examinee, and the examinee who lacks the expertise does not know how the correcting lens looks, and it is difficult to select an appropriate correcting lens . In addition, it has been difficult for an examiner at an optician or an ophthalmologist to appropriately explain the manner in which the subject is examined by various correcting lenses.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교정 렌즈를 선택할 때에 전문 지식이 부족한 피검사자라도 각종 교정 렌즈에 의한 보이는 방식을 알기 쉽게 할 수 있고, 검사자도 각종 교정 렌즈에 의한 보이는 방식을 설명하기 쉽게 할 수 있는 검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 과제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prior 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rrecting an image of a su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hthalmologic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1). 피검안의 굴절력을 검사하는 검안 장치에 있어서,(One). An optometric apparatus for examining a refractive power of an eye to be examined,

피검안의 원용 완전 교정 도수, 원용 처방 교정 도수, 가입 도수 또는 근용 도수, 근점 거리 또는 가입 도수 측정시의 작업 거리에 기초하는 조절력을 얻는 데이터 취득 수단과,A data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an accommodating power based on the working distance at the time of measuring the total calibrating frequency of the subject's eye, the calibrating frequency of the patient's prescription, the near or far diopter,

취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느 원용 단초점 렌즈, 어느 근용 단초점 렌즈, 어느 누진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에 의해 교정된 피검안의 명시역을 구하는 연산 수단과,Calculating means for obtaining a clearness range of the eye to be examined corrected by at least one lens of a certain short focal length lens, a near short focal length lens and a progressive lens based on the acquired data,

피검사자를 기점으로 하여 소정의 근용 거리, 원용 거리, 중간 거리에 각각 목표물을 배치한 그래픽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한 명시역을 그래픽에 의해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An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on the screen a graphic in which a target is placed at a predetermined near distance, a distance for distance and a medium distance from the examinee as a starting point and displaying the clear region by the computing means on the screen Wherein the light source is a light source.

(2). (1) 에 있어서,(2). (1)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명시역을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원점 및 근점에 기초하여 구하는 연산 수단으로서,Wherein said calculating means includes calculating means for obtaining said clear region on the basis of an origin and an approximate point of the eye corrected by the lens,

원용 단초점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원점을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에 기초하여 구하고, 원용 단초점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근점을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 및 조절력에 기초하여 구하고,The origin of the eye corrected by the far-end lens for farsightedness is obtain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ull-caliber calorie power of the source and the calorie power of the calorific power of the source, and the near- Difference, and accommodation,

근용 단초점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원점을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 및 가입 도수에 기초하여 구하고, 근용 단초점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근점을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 가입 도수 및 조절력에 기초하여 구하고,The origin of the eye corrected by the near single focal lens is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urce full corrective dioptric power and the source prescription corrective power and the addition dioptric power and the nearest point of the eye corrected by the near- Based on the difference in cal- culation frequency, the frequency of addition, and the accommodation power,

누진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원점을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에 기초하여 구하고, 누진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근점을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 가입 도수 및 조절력에 기초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The origin of the eye corrected by the progressive lens is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ull calorie power of the source and the calorie power of the prescription for the source, and the near point of the eye calibrated by the progressive lens is obta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ull calorie power, And an adjusting force.

(3). (2)에 있어서,(3). (2)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조절력을 어느 비율 ΔX 만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눈이 피로해지지 않는 명시역을 나타내기 위한 명시역의 중간점을 상기 근점 또는 원점과, 상기 조절력과, 상기 비율 ΔX 에 기초하여 구하거나, 또는, 원용 단초점 렌즈에 의한 명시역의 중간점을 원용 완전 교정 도수, 원용 처방 교정 도수, 조절력 및 비율 ΔX 에 기초하여 구하고, 근용 단초점 렌즈 및 누진 렌즈에 의한 명시역의 중간점을 가입 도수의 측정시에 사용한 작업 거리에 기초하여 구하고,Wherein said calculation means is adapted to use said adjustment force by a certain ratio? X, and to calculate a midpoint of a clear zone for expressing a clear zone in which eyes are not fatigued, The center point of the clear zone by the short focus lens is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full calibrating frequency of the source, the calibrating frequency of the source, the adjusting power and the ratio ΔX, On the basis of the working distance used in measuring the joining dioptric power,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명시역의 그래픽 표시에 있어서, 원점에서 중간점까지의 제 1 영역과 중간점에서 근점까지의 제 2 영역을 구별할 수 있도록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on the screen the first area from the origin to the intermediate point and the second area from the midpoint to the nearest point in the graphic display of the clear zone.

(4). (1)에 있어서, 추가로,(4). (1), further comprising:

각 렌즈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선택 수단과,Selecting means for inputting a signal for selecting each lens,

각 렌즈의 시야 범위에 관한 특성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And storage means for storing characteristics relating to the field of view of each lens,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렌즈의 시야 범위에 관한 특성을 호출하고, 근용 거리, 원용 거리, 중간 거리에 각각 목표물을 배치한 그래픽의 화면 상에 상기 시야 범위의 특성을 이미지화하는 이차원적인 확대도 가지는 그래픽을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Wherein the display means calls the characteristic relating to the field of view of the lens from the storage means on the basis of the selection signal of the selection means and displays the visual field on the screen of the graph in which the target is arranged at the near distance, And further displays a graphic having a two-dimensional enlargement that imag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nge.

(5). (1) 에 있어서, 추가로,(5). (1), further comprising:

원용 완전 교정 도수, 원용 처방 교정 도수, 가입 도수 및 작업 거리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 상에 호출하여 표시시킴과 함께, 표시된 각 데이터를 변경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And a changing means for inputting a signal for changing the displayed data by calling and displaying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the data of the full calibrating frequency for the source, the calibrating frequency for the calibrating for the source, the frequency of the joining frequency and the working distance,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명시역을 다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Wherein said calculating means calculates the clear region again based on the data changed by said changing means.

(6). (1) 에 있어서,(6). (1)

상기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원용 완전 교정 도수 및 원용 처방 교정 도수에는 각각 구면 도수 및 난시 도수가 포함되고,Wherein the spherical power and the astigmatism power are included in the far-infrared full power caliber and the far-infrared power calibration formula acquired by the data acquisition means,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원용 완전 교정 도수의 난시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난시 도수의 차이 ΔC 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 상기 명시역의 그래픽을 제 1 표시 형태에 의해 표시하고, 차이 ΔC 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명시역의 선명함이 떨어지는 것을 알리는 제 2 표시 형태에 의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Wherein the display control means displays the graphics of the clear region in the first display form when the difference? C between the astigmatism dioptric power of the full calibrating power of the source and the astigmatic dioptric power of the power source prescription corrective pow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s displayed by the second display form informing that the clarity of the display area is lowered.

(7). (1) 에 있어서, 추가로,(7). (1), further comprising:

피검사자가 사용하고 있던 안경 렌즈의 교정 도수 (이하, 전안경 교정 도수) 를 입력하는 전안경 교정 도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And an all-eye glasses calibration frequency input means for inputting the cal- culation frequency of the spectacle lens used by the examinee (hereinafter, all-eye glasses cal- culation frequency)

상기 연산 수단은 원용 완전 교정 도수, 전안경 교정 도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안경 교정 도수의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명시역을 구하고,Wherein said calculating means obtains the specified region of the eye corrected by the lens of all eyeglasses calibrating degrees based on the data of the total calibrated dioptric power and the total eyeglasses calibration dioptric power,

상기 표시 수단은 전안경 교정 도수의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명시역을 그래픽에 의해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Wherein the display means displays on the screen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the corrected region of eyes calibrated by a lens of all eyeglasses calibrating degrees.

본 발명에 의하면, 전문 지식이 부족한 피검사자라도 각종 교정 렌즈에 의한 보이는 방식을 알기 쉽게 할 수 있고, 검사자도 각종 교정 렌즈에 의한 보이는 방식을 설명하기 쉽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a subject who lacks expertise can easily understand the manner of viewing by various calibrating lenses, and the viewer can easily explain the manner of viewing by various calibrating lense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검안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검안 장치는, 좌우의 검사창 (6) 에 다양한 광학 소자를 전환 배치하는 측정 유닛 (자각식 안굴절력 측정 장치) (3) 과,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 (2a) 에 검사 시표를 표시하는 시표 제시 장치 (2) 와, 측정 유닛 (3) 및 시표 제시 장치 (2) 를 동작시키는 지령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 유닛 (1) 과, 이들 장치에 있어서의 지령 신호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중계 유닛 (4) 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유닛 (1) 은 검안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21) 를 구비하고, 검안 정보 표시 장치를 겸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tometric apparatus. The optometric apparatus includes a measurement unit (a subjective eye refractive power measurement apparatus) 3 for switching and arranging various optical elements on right and left examination windows 6 and a target presenting apparatus 3 for displaying an examination target on a display 2a such as a liquid crystal. An operation unit 1 for inputting a command signal for operating the measurement unit 3 and the index display device 2 and a relay unit 4 for relay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mmand signals in these devices . The operation unit 1 has a display 21 for displaying optometric information, and also serves as an optometric information display device.

측정 유닛 (3) 의 내부에는, 좌우의 검사창 (6) 에 각각 교정 렌즈 등의 광학 소자를 전환 배치하는 구면 렌즈 디스크, 원주 렌즈 디스크, 보조 렌즈 디스크 등의 렌즈 디스크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측정 유닛 (3) 에는 거리 계측이 가능한 눈금이 새겨진 근용 막대 (8) 가 장착되고, 근용 막대 (8) 에는 근용 시표 (5) 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근용 검사시에는, 근용 막대 (8) 가 자기 앞으로 전도되어, 근용 시표 (5) 가 좌우의 검사창 (6) 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배치된다. 원용 검사시에는, 근용 막대 (8) 와 근용 시표 (5) 가 퇴피 위치로 퇴피되고, 5m 등의 원용 검사 거리에 놓인 시표 제시 장치 (2) 에 검사 시표가 제시된다.Inside the measuring unit 3, a lens disk such as a spherical lens disk, a circumferential lens disk, and a sub-lens disk for switching optical elements such as a correcting lens is built in the right and left examination windows 6, respectively. The measuring unit 3 is provided with a near field bar 8 on which a scale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is mounted and the near field probe 5 is movably mounted on the near field bar 8. In the near field inspection, the near field probe 8 is transmitted to the near field, and the near field probe 5 is placed so as to be visible from the left and right inspection windows 6. At the time of the distance examination, the near-field rod 8 and the near-term target 5 are retracted to the retreat position, and the inspection target is presented to the target presentation device 2 at the distance of 5m or longer.

조작 유닛 (1) 은, 검안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패널식의 디스플레이 (21) 와, 각종 조작키를 가지는 조작 패널부 (32) 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21) 는 검안 후에 명시역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겸한다. 조작 패널부 (32) 는,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측정안을 개별 또는 동시에 지정하는 키를 가지는 측정안 선택키군 (33), 구면 도수 (S), 난시 도수 (C), 난시축 각도 (A), 가입 도수 (ADD) 등의 조정 모드를 지정하는 키를 가지는 모드키군 (34), 타각값/자각값/처방값 등의 입력 데이터를 지정하는 키를 가지는 입력 데이터 지정키군 (35), S, C, ADD 등의 측정값의 변경 및 수치 입력시에 사용하는 다이얼 노브 (36), 디스플레이 (21) 에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는 메뉴키 (37), 미리 검사 순서가 정해진 검안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스타트키 및 송신키가 배치된 검안 프로그램키군 (38) 과 시프트키 (39) 등을 구비한다. 시프트키 (39) 와 기타의 키가 동 시에 눌리면, 기타의 키의 스위치 기능이 다른 것으로 전환된다.The operation unit 1 is composed of a touch panel type display 21 for displaying optometrist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panel unit 32 having various operation keys. Further, the display 21 also serves as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clear area after the examination. 2A, the operation panel unit 32 includes a measurement eye selection key group 33 having keys for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designating right and left measurement planes, a spherical diopter S, a astigmatism diopter C, A mode key group 34 having a key for designating an adjustment mode such as a frequency (A) and a joining frequency (ADD), an input data designation key group 35 having a key for designating input data such as an angle value / A dial knob 36 used for changing measurement values such as S, C, and ADD and numerical input, a menu key 37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on the display 21, An optometry program key group 38 in which a start key and a transmission key are arranged, and a shift key 39 and the like. When the shift key 39 and other keys are pressed at the same time, the switch function of the other keys is switched to the other.

도 2b 는 측정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21) 의 측정 화면의 예이다. 화면 중앙 부근의 표시부 (21a) 에는, 측정 유닛 (3) 의 검사창에 배치되는 광학계의 측정 도수 (구면 도수 (S), 난시 도수 (C), 난시축 각도 (A), 가입 도수 (ADD)) 가 표시된다. 모드키군 (34) 이 가지는 스위치에 의해 조정하는 도수가 지정된다. 화면 우측에는 시표 선택란 (22) 이 형성되어 있고, 선택란 (22) 의 각 키에 의해 시표 제시 장치 (2) 에 표시시키는 검사 시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검사 시표는 표시부 (23) 에 도안으로 표시된다. 도 2a 의 예에서는 근용 검사시에 사용되는 크로스 그리드 시표가 표시되어 있다.2B is an example of a measurement screen of the display 21 at the time of measurement. (Spherical diopter (S), astigmatic diopter (C), astigmatism axis angle (A), subscription diopter (ADD), and astigmatism diopter of the optical system disposed in the examination window of the measurement unit 3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ortion 21a near the center of the screen. ) Is displayed. The frequency to be adjusted by the switch of the mode key group 34 is designated. A check mark selection box 22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and an inspection mark to be displayed on the target mark presentation device 2 can be selected by each key of the check box 22. Further, the inspection targe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3 as a graphic. In the example of FIG. 2A, a cross grid target used at the near-field inspection is shown.

도 3 은 조작 유닛 (1) 의 제어 블록도이다. 조작 패널부 (32) 로부터의 스위치 신호 및 디스플레이 (21) 의 터치 기능의 스위치 신호는 제어부 (20) 에 입력된다. 제어부 (20) 는 스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21) 의 표시를 제어하고, 또한, 굴절력 측정에 관한 제어 신호를 측정 유닛 (3) 으로 송신하고, 검사 시표에 관한 제어 신호를 시표 제시 장치 (2) 에 송신한다. 제어부 (20) 에는 검사 데이터, 명시역 표시용의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 (24) 가 접속되어 있다.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operation unit 1. Fig. The switch signal from the operation panel unit 32 and the switch signal of the touch function of the display 21 are input to the control unit 20. [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display of the display 21 on the basis of the switch signal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lating to the power measurement to the measurement unit 3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relating to the inspection target to the target presentation device 2 . The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with a memory 24 for storing inspection data, a program for express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nd the like.

다음으로,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검안 장치를 사용하여, 피검사자의 눈의 굴절 이상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 도수를 결정하는 검안 순서를 설명한다 (도 4 의 플로우 차트 참조).Next, an ophthalmological examination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calorimetric power for calibrating the refractive error of the eye of the examinee using the optometric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see the flowchart of Fig. 4).

먼저, 도 2b 의 측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21) 에 표시하고, 조작 유닛 (1) 의 조작에 의해 측정 유닛 (3) 의 검사창 (6) 에 구면 렌즈, 난시 렌즈를 전환 배치하고, 좌우안 각각의 원용의 완전 교정 도수 (최고 시력이 얻어질 때의 가장 플러스 근처의 원용 교정 도수) 를 결정하는 검사를 실시한다. 편안의 완전 교정 도수의 결정 검사에서는, 난시 검사 전에 실시하는 R/G (레드 그린) 검사에 의해 구면 도수 (S) 를 조정하고, 축 조정 검사에 의해 난시축 (A) 을 조정하고, 난시 도수 조정 검사에 의해 난시 도수 (C) 를 교정한다. 다음으로, 과교정을 방지하여 최고 시력을 얻기 위한 제 2 R/G 검사로 다시 구면 도수 (S) 를 조정한 후, 시력 확인 검사에 의해 최고 시력이 얻어지는 가장 플러스 근처의 구면 도수 (S) 로 조정함으로써, 편안의 완전 교정 도수를 결정한다. 편안의 완전 교정 도수가 결정되면, 동일한 검사에 의해 다른 쪽의 편안의 완전 교정 도수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밸런스 검사 시표를 제시하고, 좌우의 눈에서 동일한 보이는 방식이 되는 가장 플러스 근처의 도수가 되도록, 양안의 균형잡힌 양안 완전 교정 도수를 결정한다. 각 검사에서는, 디스플레이 (21) 에 표시되는 측정 화면에 있어서의 선택란 (22) 의 각 키에 의해, 원용 검사 시표를 시표 제시 장치 (2) 에 표시시킨다. 검안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는, 미리 프로그램된 시표가 검사 순서마다 전환되어 표시된다.2B is displayed on the display 21 and the spherical lens and the astigmatic lens are switched and arranged on the examination window 6 of the measurement unit 3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 (The maximum corrective power for near vision when the best visual acuity is obtaine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degree of complete correction of comfort, the spherical diopter (S) is adjusted by the R / G (red-green) inspection performed before the astigmatism test, the astigmatic axis (A) is adjusted by the axis adjustment test, The astigmatic power (C) is calibrated by an adjustment test. Next, the spherical power S is adjusted again with the second R / G test to prevent overcorrection to obtain the best visual acuity, and then adjusted to the nearest spherical power S at which the best visual acuity is obtained by the visual acuity check Thereby determining the total calibrated frequency of comfort. Once the total calibration frequency of comfort is determined, the total calibration frequency of the other comfort is determined by the same test. Next, the balance check target is presented, and the balanced total binocular binocular corrective power is determined so that the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 binoculars In each of the tests, the target inspection target is displayed on the target presentation device 2 by each key of the selection box 22 on the measurement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21. [ When the optometrist program is being executed, preprogrammed targets are switched and displayed for each inspection sequence.

양안의 완전 교정 도수를 결정한 후에는, 피검사자의 안경력, 지금까지 장착 사용하고 있던 안경 렌즈의 교정 도수 등을 참고로 하여, 양안 완전 교정 도수에 대해 피검사자의 눈이 피로해지지 않도록 S, C 를 약하게 조정한 원용에서의 처방 교정 도수를 결정하는 검사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근시안인 경우, 전의 안경 렌즈 도수에 대해 구면 도수 (S) 의 업이 -0.75D 를 초과하여 크게 변화되어 있으면 눈이 피로해지기 쉽기 때문에, -0.75D (3 단계) 정도까지의 업으로 하여, 원용의 처방 교정 도수를 결정한다 (원용의 처방 교정 도수의 조정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66467호 등을 참조).After determining the total correcting power of the eyes, the S and C are weakened so that the eye of the examinee does not become fatigued with respect to the binocular perfect calorie power, with reference to the eye care history of the testee, the calibrating frequency of the spectacle lens used so far And moves to the test for determining the prescription correction frequency in the adjusted callee. For example, in the case of myopia, if the spherical power (S) increases more than -0.75D relative to the previous spectacle lens power, the eye tends to be fatigued. Therefore, up to -0.75D (Refer to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First Publication No. Hei 8-266467, etc. for adjustment of prescription correction frequency for a circle).

원용의 처방 교정 도수가 결정되면, 조작 유닛 (1) 의 모드키군 (34) 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가입 도수 조정 모드로 하고, 근용 검사 시표 (5) 를 사용한 근용 검사로 이동한다. 가입 도수 조정 모드에서는, 측정 유닛 (3) 의 교정 광학계는 완전 교정 도수로 세팅된다. 또한, 측정 유닛 (3) 의 좌우의 검사창에는 크로스 실린더 렌즈 (크로스 실린더 ± 0.50D 를 갖고, 그 마이너스축이 90 도로 세팅된 렌즈) 가 배치된다. 근용 검사 시표 (5) 의 세트는, 작업 거리 (WD) 로서 피검사자안 앞의 40㎝ (또는 원하는 작업 거리 (WD)) 에 크로스 그리드 시표를 제시한다. 그리고, 크로스 그리드 시표의 세로선과 가로선이 거의 동등하게 보이도록 완전 교정 도수에 대한 구면 도수를 조정함으로써 가입 도수 (ADD) 가 결정된다. 크로스 그리드 시표를 사용한 검사에 의한 가입 도수 (ADD) 는, 피검안이 가지는 조절력의 약 절반을 사용하였을 때의 도수로서 결정된다.When the prescription correcting dioptric power for the source is determined, the mode is set to the joining diopter adjustment mode by the switch operation of the mode key group 34 of the operation unit 1 and the near vision examination target 5 is moved to the near vision examination. In the addition frequency adjustment mode, the calibration optical system of the measurement unit 3 is set to the full calibration frequency. Further, a cross cylinder lens (a lens having a cross cylinder +/- 0.50 D and a minus axis thereof set at 90 degrees) is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inspection windows of the measurement unit 3. The set of the near vision inspection target 5 presents the cross grid target at a distance of 40 cm (or a desired working distance WD) in front of the subject as the working distance WD. Then, the addition diopter (ADD) is determined by adjusting the spherical diopter to the fully calibrated dioptric power such that the vertical line and the horizontal line of the cross grid is almost equal. The addition frequency (ADD) by the examination using the cross grid index is determined as the frequency when half of the control power of the subject's eye is used.

또한, 작업 거리 (WD) 는 조작 유닛 (1) 의 각 키를 조작하고, 소정의 입력 화면을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처방의 가입 도수 (ADD) 는 완전 교정 도수와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로부터 연산에 의해 구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측정 유닛 (3) 에 처방의 가입 도수 (ADD) 를 세팅한 교정 광학계로 시력을 확인하면서 조정하고, 처방의 가입 도수 (ADD) 를 결정한다.The working distance WD can be input by operating each key of the operation unit 1 and using a predetermined input screen. The addition frequency (ADD) of the prescription is obtained by calculation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full calibration frequency and the prescription correction frequency. Preferably, the measurement unit 3 is adjusted while confirming the visual acuity with the correction optical system set to the addition diopter (ADD) of the prescription, and determines the addition diopter (ADD) of the prescription.

다음으로, 조작 유닛 (1) 의 키 조작에 의해 조절력 (NPA) 을 측정하기 위한 조절 근점 검사의 모드를 설정한다. 조절 근점 검사에서는, 예를 들어 완전 교정 도수의 광학계를 배치한 상태에서, 근용 검사 시표 (5) 가 가지는 작은 문자의 시력값 시표를 사용하고, 이 시표를 서서히 눈에 접근시켜 가, 시표가 흐려지지 않고 시인 가능한 최소의 거리인 근점 거리 (NP) (단위 : m) 를 근용 막대 (8) 의 눈금 또는 스케일을 사용하여 판독한다. 조절 근점 검사의 모드에서는 다이얼 노브 (36) 에 의해 근점 거리 (NP) (단위 : m) 가 입력된다.Next, the mode of the control near-point inspection for measuring the adjustment force (NPA) is set by the key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 [ In the control near point test, for example, a small-sized visual acuity value target possessed by the near-field inspection target 5 is used in a state in which an optical system with a fully calibrated power is disposed, and the target is gradually approached to the eye, (Unit: m), which is the minimum distance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without reading, is read using the scale or scale of the near-field rod 8. [ In the mode of the controlled near point test, the near point distance (NP) (unit: m) is input by the dial knob 36.

여기서, 근점 거리를 NP 로 원점 거리를 FP 로 하였을 때, 조절력 (NPA) (단위 : 디옵터) 은 일반적으로 이하의 식으로 구해진다.Here, when an approximate distance is NP and an origin distance is FP, the controlling force (NPA) (unit: diopter) is generally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NPA = 1/NP - 1/FPNPA = 1 / NP - 1 / FP

원점 (FP) 은 자각 검안을 통해서는 계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원용 완전 교정 상태의 교정 렌즈를 배치한 상태에서 근점 거리 (NP) 를 계측한다. 원점 (FP) 은 무한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조절력 (NPA) 은,Since the origin (FP) is difficult to measure through the subjective optometry, the near distance (NP) is measured with the calibrating lens of the fully calibrated state for the circle being placed. Since the origin (FP) can be regarded as infinite, the control force (NPA)

NPA = 1/NPNPA = 1 / NP

로써 구해진다. 또한, 40㎝ 이내의 근방을 명시할 수 없는 피검안의 경우에는 원용 완전 교정 도수에 대해 플러스 렌즈를 부가한다. 그리고, 그 도수를 ΔPA 로 하여 근점 거리 (NP) 를 계측하였을 때에는,Respectively. In the case of an eye to be examined in which the vicinity of 40 cm can not be specified, a positive lens is added to the total calibrated frequency for the source. Then, when the near distance (NP) is measured with the frequency as? PA,

NPA = 1/NP - ΔPANPA = 1 / NP -? PA

로써 구해진다. 가입 도수 (ADD) 가 부가된 상태에서 근점을 측정하였을 때에는, ΔPA 는 ADD 가 된다.Respectively. When the apex is measured in the state that the addition frequency ADD is added,? PA is ADD.

또한, 다른 구하는 방법으로서, 근점 거리를 측정하지 않아도 자각 검안을 통하여 얻어진 원용의 완전 교정 도수, 처방 교정 도수, 크로스 그리드 시표를 사용한 근용 검사에서 측정된 가입 도수 (ADD), 그 때의 작업 거리 (WD)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산식에 의해 간이하게 구할 수도 있다. 또한, 가입 도수 (ADD) 는 조절력을 어느 비율 ΔX 만큼 사용하고, 눈이 피로해지지 않을 때의 값으로서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ΔX 는 1/3 ∼ 2/3 사이의 값이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1/2 이 사용된다.As another method, there are a total calibrating frequency of a source, a prescription calibrating frequency, an addition power (ADD) measured by a near-field test using a cross grid target, and a working distance at that time WD),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it simply by the following equ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ddition diopter ADD is obtained as a value when the adjustment force is used by a certain ratio? X and the eye is not fatigued. The value of DELTA X is used between 1/3 and 2/3, and generally 1/2 is used.

NPA = (1/WD - ((처방 교정 도수 - 완전 교정 도수) 의 등가 구면 도수 + 처방 가입 도수 (ADD)) × 1/ΔXNPA = Equivalent spherical power of the formula 1 / WD - ((Calculation frequency - total calibration frequency) + ADD (prescription frequency)) × 1 / ΔX

어느 경우에도 조절력 (NPA) 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엄밀하게 말하면, 우안과 좌안에서 조절력 (NPA) 은 상이하지만, 좌우안 모두 동일한 조절력이라고 해도, 이하에 설명하는 명시역의 설명에서는 기준이 되면 되므로, 실용적으로는 문제는 적다.In either case, the NPA can be considered the same. Also, strictly speaking, even though the control power (NPA) in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if they are the same control force in both the right and left eyes, the problem is small in practice because it becomes a standard in the explanation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상과 같이 조작 유닛 (1) 및 측정 유닛 (3) 의 검안에 의해 얻어진 구면 도수 (S), 난시 도수 (C) 를 포함하는 원용의 양안 완전 교정 도수의 데이터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데이터와, 가입 도수 (ADD) 의 데이터와, 조절력 (NPA) 의 데이터 (또는 NPA 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로 한 근점 거리 등의 데이터) 는, 명시역 체크의 기초 데이터로서 메모리 (24) 에 입력되고, 이것이 기억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of the binocular perfect correction diopter for source including the spherical diopter (S) and the astigmatism diopter (C) obtained by the eye of the operation unit 1 and the measurement unit 3, The data of the addition frequency ADD and the data of the adjustment force NPA (or data such as the approximate distance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NPA) are inputted to the memory 24 as basic data of the explicit reverse check, Remember.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자각 검사 결과가 얻어진 후, 검사자가 메뉴키 (37) 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 중의 「명시역 체크」를 터치하 여 선택하면, 명시역 표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명시역 표시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디스플레이 (21) 의 화면은 도 6 과 같은 명시역 체크 화면 (100) 으로 전환된다. 이 명시역 체크 화면 (100) 에는, 피검사자의 눈이 나안인 경우와 각종 교정 렌즈를 장착 사용하였을 때, 그들의 명시역 차이를 용이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이미지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그래픽이 준비되어 있다.Next, when the inspector touches the " explicit reverse check " menu item displayed on the display by the operation of the menu key 37 after the above-described subjective inspection result is obtained, the clear display program is executed . By the execution of the explicit station display program, the screen of the display 21 is switched to the explicit station check screen 100 as shown in Fig. In this explicit station check screen 100, the following graphic is prepared in order to make it easy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expressions when the testee's eyes are naked and when various correction lenses are mounted and used.

명시역 체크 화면 (100) 에 있어서, 우측 영역 (101) 에는 피검사자의 눈이 나안인 경우의 명시역 그래프 (102) 와, 교정 렌즈가 원용 단초점 렌즈 (원단) 인 경우의 명시역 그래프 (103) 와, 교정 렌즈가 근용 단초점 렌즈 (근단) 인 경우의 명시역 그래프 (104) 와, 원근의 누진 렌즈인 경우의 명시역 그래프 (105) 와, 중근의 누진 렌즈인 경우의 명시역 그래프 (106) 와, 근근의 누진 렌즈인 경우의 명시역 그래프 (107) 와, 2 중 초점 렌즈인 경우의 명시역 그래프 (108) 가 표시된다. 또한, 명시역 그래프 (102) 아래에는 「나안」표시 (112) 가 표시된다. 그리고, 각 교정 렌즈의 명시역 그래프 (103 ∼ 108) 아래에는, 각 교정 렌즈의 표시와 선택을 겸하는 키로서, 「원단」키 (113), 「근단」키 (114), 「원근」키 (115), 「중근」키 (116), 「근근」키 (117), 「2 중」키 (118) 가 배치되어 있다.In the explicit reverse check screen 100, in the right area 101, there are displayed a reverse graph 102 in the case where the subject's eye is clear and a reverse graph 103 (in the case of the far- ),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4 in the case where the correcting lens is the near-focus short-distance lens (near-end),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5 in the case of the near-progressive progressive lens, and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6),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7 in the case of a progressive weakening lens, and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8 in the case of a double-focal lens. Further, under the explicit graph 102, a " NA " indication 112 is displayed. Below the explicit trend graphs 103 to 108 of the respective correcting lenses, there are provided a "fabric" key 113, a "near-end" key 114, a "perspective" key 115 ", " intermediate root " key 116, "

또한, 화면 (100) 의 좌측 영역 (130) 에는 명시역의 거리와 시야 범위를 쉽게 이미지화하기 위한 그래픽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도안 (132) 에 대해, 40㎝ 정도의 근용 작업을 이미지화하는 키보드를 본뜬 도안 (133) 과, 60㎝ 정도의 근용 작업을 이미지화하는 디스플레이 도안 (134) 과, 실내에서의 2m 정도의 목표물을 이미지화하는 텔레비젼 모니터 도안 (135) 과, 원방을 이미지화하는 경치 등의 도안 (136) 이 표시된다. 또한, 이들 도안에 겹쳐 각종 렌즈를 통해 보았을 때의 명시역의 거리 및 시야 범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영역 그래픽 (140) 이 표시된다. 또한, 우측 영역 (101) 과 좌측 영역 (130) 사이에는 양자에 공통된 거리축 (120) 이 표시되고, 기준이 되는 거리가 플롯되어 있다.Also, in the left area 130 of the screen 100, a graphic for easily imaging the distance and field of view of the display area is displayed. For example, a design 133 that implements a close-up operation of about 40 centimeters about the design 132 of the examinee, a display design 134 that implements a near-end work of about 60 centimeters, A television monitor image 135 for imaging an image of the target and an image 136 such as a scene for imaging the far field are displayed. In addition, a region graphic 140 that schematically shows the distance and field of view of the clear region when viewed through various lenses over these drawings is displayed. A distance axis 120 common to both of the right region 101 and the left region 130 is displayed, and the reference distance is plotted.

영역 그래픽 (140) 은, 각 명시역 그래프 아래에 배치된 교정 렌즈 선택키 (113 ∼ 118)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으로써, 그 교정 렌즈에 대응하는 표시로 바뀐다. 영역 그래픽 (140) 의 거리 방향은, 선택된 교정 렌즈의 명시역의 범위를 이미지화하는 표시가 되고, 영역 그래픽 (140) 의 가로폭은, 선택된 교정 렌즈를 장착 사용하였을 때의 시야 범위를 이미지화하는 이차원적인 확대를 가지는 표시가 된다. 교정 렌즈마다의 영역 그래픽 (140) 은 메모리 (24) 에 기억되어 있고, 교정 렌즈의 선택 신호 (키 (113 ∼ 118) 의 선택 신호) 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것이 호출되어 표시된다. 영역 그래픽 (140) 의 거리 방향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각 교정 렌즈의 원점과 근점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각 그래프 (103 ∼ 108) 와 동일한 범위에서 형성해도 된다.The area graphic 140 is switched to a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correcting lens by selecting any one of the correcting lens selecting keys 113 to 118 arranged under each of the expressing reverse graphs. The distance direction of the area graphic 140 is an image that images the range of the selected rectifying lens's visual range, and the width of the area graphic 140 is a two-dimensional image, which images the visual range when the selected correcting lens is used. It becomes an indication having enlargement. The area graphic 140 for each correcting lens is stored in the memory 24 and the corresponding one is called and displayed based on the selection signal of the correcting lens (selection signal of the key 113-118). The distance direction of the area graphics 140 may be formed in the same range as that of each of the graphs 103 to 108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origin and the nearest point of each of the calibration lenses described later.

화면 (100) 에 표시되는 명시역 그래프 (102 ∼ 108) 및 영역 그래픽 (140) 은, 전술한 바와 같은 자각 검사에 의해 입력된 원용 교정 도수 (원용의 양안 완전 교정 도수, 원용 처방 교정 도수) 와, 가입 도수 (ADD) 와, 조절력 (NPA) (또는 NPA 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로 한 근점 거리 등의 데이터) 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나안 및 각종 교정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원점, 근점 및 중간점이 제어부 (20) 에 의해 연산된다. 또한, 각 명시역 그래프 (102 ∼ 108) 의 원점, 근 점 등의 연산은, 기본적으로는 좌우안의 등가 구면과 가입 도수는 동일하므로 우안을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좌우안 선택키 (141) 에 의해 우안 또는 좌안의 보이는 방식의 표시로 전환할 수도 있다. 또한, 우세안을 기준으로 해도 된다. 혹은, 표시 스페이스에 여유가 있을 때에는, 각 명시역 그래프에 있어서 좌우 양안의 명시역 그래프를 배열하여 표시해도 된다. 또한, 명시역의 표시는 기본적으로 처방 교정 도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자각」키 (142) 를 누르면, 원용의 완전 교정 도수를 기준으로 한 표시로 전환된다. 「처방」키 (143) 를 누르면, 원용의 처방 교정 도수를 기준으로 한 표시로 전환된다.The explicit graphs 102 to 108 and the area graphic 140 displayed on the screen 100 are displayed on the screen 100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t calibration frequency (source binocular perfect calorimeter and source precinct calibration frequency) input by the above- , The degree of addition (ADD), and the adjustment force (NPA) (or data such as an approximate distance based on the calculation of NPA), and the origin of the eye corrected by various correction lenses, And the intermediate point are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20. The calculation of the origin, the nearest point, and the like of each of the explicit graphs 102 to 108 is basically the same as that of the equivalent spherical surface in the left and right sides, You can switch to the right-eye or left-eye display. In addition, the dominant eye may be used as a standard. Alternatively, when there is a margin in the display space, the explicit reverse grap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n each of the display reverse graphs may be arranged and displayed. In addition, although the indication of the clear zone is basically based on the prescription calibration frequency, when the " aware " key 142 is pressed, the display is converted to a display based on the calibrating frequency. When the " prescription " key 143 is pressed, the display is switched to a display based on the prescribed prescription calibration frequency.

이하, 각 명시역 그래프 (102 ∼ 108) 에 대해, 각각의 근점 (NP), 원점 (FP) 및 중간점 (MP) 의 연산을 설명한다 (도 5 참조). 또한, 도 6 의 각 그래프의 명시역의 연산은 우안 기준으로 처방 교정 도수를 사용한 예로서 설명한다.The calculation of each of the near points (NP), the origin (FP), and the middle point (MP) is described below for each of the explicit graphs 102 to 108 (see Fig. 5). In addition, the calculation of the explicit inverse of each graph in Fig. 6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using prescription correction dioptric power based on the right eye.

먼저, 나안의 명시역 그래프 (102) 에 있어서, 그 원점 (FP) 은 양안 완전 교정 도수의 등가 구면 도수 (SE) (이하, 「완 SE」로 약칭한다) 의 역수로 구해진다. 또한, 등가 구면 도수 (SE) 는,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면 도수 (S) 에 난시 도수 (C) 의 절반을 더한 도수로서 구해지는 것이다. 나안의 근점 (NP) 은 (완 SE + NPA) 의 역수로 구해진다. 또한, 피검안이 가지는 조절력 (NPA) 의 절반을 사용하였을 때의 중간점 (MP) 은 (완 SE + NPA/2) 의 역수로 구해진다.First, in the uncorrected inverse graph 102, the origin FP is obtained by the reciprocal of the equivalent spherical power SE (hereinafter abbreviated as "Wanse SE") of the binocular perfect correction power. The equivalent spherical diopter SE is obtained by adding the half power of the astigmatism C to the spherical diopter S as is known. The nearest point (NP) of naan is obtained by the inverse of (wan SE + NPA). In addition, the midpoint (MP) when using half of the control force (NPA) of the subject's eye is obtained by the inverse of (Wan SE + NPA / 2).

원용 단초점 렌즈 (원단) 의 명시역 그래프 (103) 에 있어서, 그 원점 (FP) 은 (처방 교정 도수 - 완전 교정 도수) 의 등가 구면 도수 (SE) (이하, 「(처 - 완) SE」로 약칭한다) 의 역수로 구해진다. 근점 (NP) 은 ((처 - 완) SE + NPA) 의 역수로 구해진다. 또한, 중간점 (MP) 은 ((처 - 완) SE + NPA/2) 의 역수로 구해진다.The origin FP is the equivalent spherical power 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Q-W) SE " of the prescription proofing power-fully correcting power) Quot;). The nearest point (NP) is obtained by the inverse of ((- - 완) SE + NPA). Further, the midpoint MP is obtained by the inverse number of ((W-W) SE + NPA / 2).

근용 단초점 렌즈 (근단) 의 명시역 그래프 (104) 에 있어서, 그 원점 (FP) 은 처방에서의 가입 도수 (ADD) (이하, 「처 ADD」로 약칭한다) 를 사용하고, ((처 - 완) SE + 처 ADD) 의 역수로 구해진다. 근점 (NP) 은 ((처 - 완) SE + 처 ADD + NPA) 의 역수로 구해진다. 또한, 중간점 (MP) 은, 처방의 가입 도수 (ADD) 를 결정하였을 때에 작업 거리 (이하, 「처 WD」로 약칭한다) 가 사용된다. 여기서는, 완전 교정 및 처방의 ADD 를 결정하였을 때의 작업 거리는 모두 40㎝ 를 사용하고 있다.The origin FP of the short-circuited short-focal lens (near-end) is used as the additive diopter ADD (hereinafter, abbreviated as "destination ADD") in the prescription, SE + ADD). The nearest point (NP) is determined by the reciprocal of ((AP-W) SE + ADD + NPA). The work distance (hereinafter abbreviated as " destination WD ") is used as the intermediate point MP when determining the addition diopter ADD of the prescription. Here, the working distance when the ADD of the complete calibration and the prescription is determined is all 40 cm.

원근의 누진 렌즈의 명시역 그래프 (105) 에 있어서, 그 원점 (FP) 은 원용 단초점 렌즈일 때와 동일하게 (처 - 완) SE 의 역수로 구해진다. 근점 (NP) 및 중간점 (MP) 은 근용 단초점 렌즈와 동일한 계산으로 구해진다.In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5 of the progressive progressive lens of the perspective, the origin FP is obtained by the inverse of SE (right-handed) as in the case of the short-distance monocular lens. The near point (NP) and the middle point (MP) are obtained by the same calculation as the near-field short-focal length lens.

중근의 누진 렌즈의 명시역 그래프 (106) 에 있어서, 그 원점 (FP) 은 기준으로서 200㎝ 로 하지만, (처 - 완) SE 의 역수가 200㎝ 보다 작은 값이 되면, 이 값을 원점 (FP) 으로 한다. 근점 (NP) 및 중간점 (MP) 은 근용 단초점 렌즈와 동일한 계산으로 구해진다.When the reciprocal of SE is smaller than 200 centimeters, this value is set as the reference point FP (FP) in the expressing graph 106 of the progressive lens of the midpoint, ). The near point (NP) and the middle point (MP) are obtained by the same calculation as the near-field short-focal length lens.

근근의 누진 렌즈의 명시역 그래프 (106) 에 있어서, 그 원점 (FP) 은 기준으로서 60㎝ 로 하지만, (처 - 완) SE 의 역수가 60㎝ 보다 작은 값이 되면, 이 값을 원점 (FP) 으로 한다. 근점 (NP) 및 중간점 (MP) 은 근용 단초점 렌즈와 동 일한 계산으로 구해진다.(FP) of the progressive progressive lens of the roughened progressive lens 106 is 60 cm as a reference, but when the inverse number of the (SE-W) SE is smaller than 60 cm, ). The near point (NP) and the midpoint (MP) are obtained by the same calculation as the near-field short-focus lens.

이중 초점 렌즈에 있어서의 명시역 그래프 (106) 에 있어서는, 원용부 및 근용부에서 각각 원점, 근점, 중간점이 구해진다. 원용부의 원점 (FP), 근점 (NP) 및 중간점 (MP) 은 원용 단초점 렌즈와 동일한 계산으로 구해진다. 또한, 근용부의 원점 (FP), 근점 (NP) 및 중간점 (MP) 은 근용 단초점 렌즈와 동일한 계산으로 구해진다.In the expressive graph 106 of the bifocal lens, the origin, the nearest point, and the intermediate point are obtained in the far-end portion and the near portion, respectively. The origin (FP), the near point (NP), and the midpoint (MP) of the far-field portion are obtained by the same calculation as that of the far-field focal length lens. Further, the origin FP, the near point NP, and the midpoint MP of the near-field portion are obtained by the same calculation as the near-field short-focal length lens.

또한, 상기의 각 중간점 (MP) 을 구하는 방법은 하나의 예로서, 크로스 그리드 시표에 의한 가입 도수의 측정에서는, 경험적으로 조절력의 1/2 이 사용되는 것을 기초로 한 것이다. 눈이 피로해지지 않는 중간점 (MP) 은 조절력의 1/3 ∼ 2/3 를 기준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하의 식으로 구할 수도 있다. 근점을 NP, 조절력을 NPA, 눈이 피로해지지 않도록 조절력 (NPA) 을 어느 비율 ΔX (바람직하게는 1/3 ∼ 2/3 사이의 값으로 한다) 만큼 사용하는 것으로서,The method of obtaining each of the midpoints (MP) described above is based on the fact that half of the adjustment force is used empirically in the measurement of the addition frequency by the cross grid index as an example. Since the midpoint (MP) at which the eye is not fatigued can be based on 1/3 to 2/3 of the accommodation force, it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NPA) is used at a certain ratio DELTA X (preferably between 1/3 and 2/3) so that the proximal point is NP, the control force is NPA, and the eye is not fatigued,

MP = 1/(1/NP - (1 - NPA × ΔX))MP = 1 / (1 / NP - (1 - NPA x? X))

에 의해 구할 수 있다.. ≪ / RTI >

또는, 원점 (FP) 의 값을 사용할 때에는,Alternatively, when using the value of the origin FP,

MP = 1/(1/FP + NPA × ΔX)MP = 1 / (1 / FP + NPA x? X)

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단, 중근용의 누진 렌즈, 근근용의 누진 렌즈에 대해서는 제외한다).(Except for the progressive lens for the mid-muscles and the progressive lens for the muscular muscles).

상기와 같은 연산에 의해 구해진 각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또한, 도 6 의 각 명시역 그래프는, 양안 완전 교정에 있어서의 우안 도수가, 구면 도수 (S) = -1.00D, 난시 도수 (C) = -0.75D, 난시축 (A) = 5 도, 가입 도수 (ADD) = +2.00D 라고 하고, 처방의 각 도수가, 구면 도수 (S) = -0.75D, 난시 도수 (C) = -0.50D, 난시축 (A) = 5 도, 가입 도수 (ADD) = +1.75D 라고 하고, 조절력 (NPA) = 0.88D 인 것으로서 계산되어 있다. 또한, 작업 거리 (WD) 를 40㎝ 로 하고 있다.The respective graphs obtained by the above calculation are expressed as follows. 6 shows that the binocular perfect diopter in the binocular perfect correction has the spherical diopter (S) = -1.00D, the astigmatic power (C) = -0.75D, the astigmatic axis (A) = 5 degrees, (ADD) = + 2.00D and the dioptric power of the prescription is S0 = -0.75D, astigmatism C = -0.50D, astigmatic axis A = ADD) = + 1.75D, and the control force (NPA) = 0.88D. The working distance WD is 40 cm.

나안의 명시역 그래프 (102) 에 있어서, 중간점 (MP) 에서 원점 (FP) 까지의 영역 (102a) 과 중간점 (MP) 에서 근점 (NP) 까지의 영역 (102b) 이 구별되어 인식되도록 상이한 표시 형태로 표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중간점 (MP) 에서 원점 (FP) 까지의 영역 (102a) 이 청색으로 표시되고, 중간점 (MP) 에서 근점 (NP) 까지의 영역 (102b) 이 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중간점 (MP) 에서 원점 (FP) 까지의 영역 (102a) 은, 조절력을 절반까지 사용하여 피로해지지 않고 보이는 범위를 의미하고, 중간점 (MP) 에서 근점 (NP) 까지의 영역 (102b) 은, 조절력을 절반 이상 사용하여 보이는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영역 (102a) 에는 기뻐하는 얼굴 마크 (120a) 가 표시되고, 영역 (102b) 에는 괴로운 듯한 얼굴 마크 (120b) 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영역 (102a) 과 영역 (102b) 을 구분한 표시에 의해, 검사자는 눈이 피로해지지 않고 보이는 범위로는, 청색 및 마크 (120a) 가 표시된 중간점 (MP) 에서 원점 (FP) 까지의 영역 (102a) 이고, 중간점 (MP) 에서 근점 (NP) 까지의 영역 (102b) 이 눈이 피로해지기 쉬운 영역임을 피검사자에게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다.The area 102a from the midpoint MP to the origin FP and the area 102b from the midpoint MP to the near point NP can be discriminated and recognized And is displayed in a display form. In this example, the area 102a from the midpoint MP to the origin FP is displayed in blue, and the area 102b from the midpoint MP to the near point NP is displayed in yellow. The region 102a from the midpoint MP to the origin FP means a range in which the adjustment force is half used without being tired and the region 102b from the midpoint MP to the near point NP , And the range in which the control force is used by more than half. The delighted face mark 120a is displayed in the area 102a and the face mark 120b is displayed in the area 102b. With such a display in which the area 102a and the area 102b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inspector can visually recognize the area from the midpoint MP indicated by the blue mark 120a to the origin FP Region 102a and the region 102b from the midpoint MP to the proximal point NP is an area susceptible to eye fatigue easily and visually to the examinee.

여기서, 도 6 에서는 「원단」키 (113) 에 의해 원용의 단초점 렌즈가 선택 된 예이다. 원용의 단초점 렌즈가 선택되면, 그 명시역 그래프 (103) 는 나안의 명시역 그래프 (102) 와 동일하게, 중간점 (MP) 에서 원점 (FP) 까지의 영역 (103a) 이 청색으로 표시되고, 중간점 (MP) 에서 근점 (NP) 까지의 영역 (103b) 이 황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영역 (103a 및 103b) 에는, 각각 얼굴 마크 (120a, 120b) 가 표시된다. 선택되지 않은 다른 교정 렌즈의 명시역 그래프 (104, 105, 106) 등은, 선택된 교정 렌즈와 명확하게 구별되도록, 그 그래프 내의 영역이 그레이색으로 표시된다.Here,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hort focus lens for a circle is selected by the "far end" key 113. In FIG. When the source short focus lens is selected, the area graph 103 is displayed in blue as the area 103a from the midpoint MP to the origin FP, similarly to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2 , And the area 103b from the midpoint MP to the nearest point NP is displayed in yellow. The face marks 120a and 120b are displayed in the areas 103a and 103b, respectively. The areas 104, 105, and 106 of the other calibration lenses that are not selected are displayed in a gray color so that they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selected calibration lens.

또한, 원용의 단초점 렌즈가 선택되면, 화면 (100) 의 좌측 영역 (130) 에 있어서의 영역 그래픽 (140) 은, 원용의 단초점 렌즈를 통해 보이는 거리 방향과 시야 범위를 이미지화하는 그래픽으로서 표시된다. 원용의 단초점 렌즈에서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넓은 시야 범위에서 원방까지가 보이는 특성을 가지므로, 영역 그래픽 (140) 은 이 특성을 이미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영역 그래픽 (140) 의 거리 방향의 표시에 대해서는, 그래프 (103) 에 맞추어 근점 (NP) 및 원점 (MP) 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When the far-focus lens for a circle is selected, the area graphic 140 in the left area 130 of the screen 100 is displayed as a graphic image for imaging the distance direction and the view area through the short- do. In the case of a short-throw focal length lens, the region graphic 140 is configured to image this characteristic since it generally has a somewhat wide field of view to a far field. The display in the distance direction of the area graphic 140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near point NP and the origin MP in accordance with the graph 103. [

교정 렌즈를 비교하기 위해, 「근단」키 (114) 에 의해 근용의 단초점 렌즈가 선택되면, 명시역 체크 화면 (100) 은 도 7 의 표시로 전환된다. 근용의 단초점 렌즈의 명시역 그래프 (104) 는 나안의 명시역 그래프 (102) 와 동일하게, 중간점 (MP) 에서 원점 (FP) 까지의 영역 (104a) 이 청색으로 표시되고, 중간점 (MP) 에서 근점 (NP) 까지의 영역 (104b) 이 황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근점 (NP) 및 중간점 (MP) 의 위치에는 상기의 연산 방법에 의해 계산된 거리가 수치로 표시 된다. 영역 (104a 및 103b) 에는 각각 얼굴 마크 (120a, 120b) 가 표시된다.When the short-distance lens for near vision is selected by the "near-end" key 114 in order to compare the calibration lens, the explicit reverse check screen 100 is switched to the display of FIG. The area graph 104 of the near-focus monofocal lens is displayed in blue, and the area 104a from the midpoint MP to the origin FP is displayed in blue, as in the uncorrected inverse graph 102, MP) to the nearest point (NP) is displayed in yellow. In addition, distances calculated by the above calculation method are displayed as numerical values at the positions of the near point (NP) and the middle point (MP). Face marks 120a and 120b are displayed in areas 104a and 103b, respectively.

또한, 근용의 단초점 렌즈는 일반적으로 근방에서 비교적 넓은 범위를 갖는다. 이 때문에, 좌측 영역 (130) 에 있어서의 영역 그래픽 (140) 은, 도 6 의 원용 단초점 렌즈에 대해 근방에서 넓은 시야 범위를 이미지시키도록 넓은 폭을 가지는 그래픽으로서 표시된다. 한편, 근용의 단초점 렌즈에서는 거리 방향의 명시역이 짧기 때문에, 이것을 이미지시키도록 근방의 50㎝ 정도까지의 길이를 가지는 그래픽으로서 표시된다. 거리 방향의 명시역의 길이에 대해서는 그래프 (104) 와 동일하게, 근점 (NP) 및 원점 (FP) 의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Further, the short-distance near-field lens generally has a relatively wide range in the vicinity. Therefore, the area graphic 140 in the left area 130 is displayed as a graphic having a wide width so as to image a wide field-of-view range in the vicinity of the far-field focal lens in Fig. On the other hand, in the near-focus lens for near vision, since the clarification range of the distance direction is short, it is displayed as a graphic having a length up to about 50 cm in the vicinity so as to image it. The length of the clear region in the distance direction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near point (NP) and the origin (FP)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graph (104).

교정 렌즈를 비교하기 위해, 「원근」키 (115) 에 의해 원근용의 누진 렌즈가 선택되면, 명시역 체크 화면 (100) 은 도 8 의 표시로 전환된다. 명시역 그래프 (105) 에 있어서, 중간점 (MP) 에서 원점 (FP) 까지의 영역 (105a) 이 청색으로 표시되고, 중간점 (MP) 에서 근점 (NP) 까지의 영역 (105b) 이 황색으로 표시된다. 각 영역에는 얼굴 마크 (120a 및 120b) 가 표시된다. 또한, 중간점 (MP) 및 근점 (NP) 의 거리가 수치로 표시된다. 원근의 누진 렌즈에서는, 일반적으로 원용부와 원용부 사이에 있는 누진 띠부의 폭은 좁고, 근용부의 시야 범위보다 원용부의 시야 범위 쪽이 넓게 되어 있다. 좌측 영역 (130) 에 있어서의 영역 그래픽 (140) 은, 이 원근의 누진 렌즈의 시야 특성을 이미지시키기 위해, 원방 쪽이 근방보다 넓고, 또한 중앙부가 잘록한 시야 범위를 가지는 그래픽으로서 표시된다. 영역 그래픽 (140) 의 거리 방향은, 원방에서 근방까지 명시역을 확 보할 수 있는 누진 렌즈의 특성을 이미지시키기 위해, 근방에서 원방까지의 길이를 가지는 그래픽으로서 표시된다.When a progressive lens for perspective is selected by the " perspective " key 115 to compare the calibration lens, the explicit reverse check screen 100 is switched to the display of FIG. The area 105a from the midpoint MP to the origin FP is displayed in blue and the area 105b from the midpoint MP to the near point NP is yellow Is displayed. Face marks 120a and 120b are displayed in each area. In addition, the distances between the midpoint (MP) and the near point (NP) are represented by numerical values. In the progressive progressive lens of the perspective, the width of the progressive band portion between the distance use portion and the distance use portion is generally narrow, and the visual range of the distance use portion is wider than the visual range of the near portion. The area graphic 140 in the left area 130 is displayed as a graphic having a field side wider than the near side and a narrowed central area in order to image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pective progressive lens of this perspective. The distance direction of the area graphic 140 is displayed as a graphic having a length from the neighborhood to the far side in order to image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gressive lens capable of securing the clear region from the far side to the near side.

이와 같은 도 6 ∼ 도 8 과 같은 명시역의 표시를 이용함으로써, 각 교정 렌즈를 통과하였을 때의 보이는 방식을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다. 즉, 검사자는 그래프 (102) 를 나타냄으로써, 나안에서는 원방시가 80㎝ 정도까지 밖에 없고, 근방도 보기 힘들어져 있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원방의 시력을 확보하기 위해 원용의 단초점 렌즈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 6 의 그래프 (105) 를 나타냄으로써 원방시는 양호해지지만, 근방시가 나안보다 더욱 어려워지는 결점을 설명할 수 있다. 한편, 근용의 단초점 렌즈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 7 의 그래프 (104) 및 그래픽 표시 (140) 를 나타냄으로써, 근방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그래프 (103) 와 그래프 (104) 를 비교해 보임으로써, 원용의 단초점 렌즈에 의한 명시역의 근점과 근용의 단초점 렌즈에 의한 명시역의 원점 사이에 격차가 있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원용의 단초점 렌즈에 의한 교정에서는 도 6 과 같이, 눈이 피로해지지 않는 거리를 나타내는 원점 (FP) 에서 중간점 (MP) 까지의 청색의 표시 영역 (103a) 을 나타냄으로써, 원용 및 근용의 각 단초점 렌즈에서는 중간시의 시력 확보가 어려운 것을 시각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By using the expressions of the display areas as shown in Figs. 6 to 8, it is possible to visually and visually explain the manner of viewing when passing through each correcting lens. That is to say, the examiner indicates the graph 102, so that it can be explained that there is only a distance of about 80 cm away from me and the neighborhood is difficult to see in me. In the case of using a short focus lens for securing the visual acuity of the original room,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drawback that the visual disturbance becomes better at the remote place by showing the graph 105 of Fi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short-focus lens for near vision, it is possible to explain that the near vision can be improved by showing the graph 104 and the graphical display 140 in Fig. In this case, the graph 103 and the graph 104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show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nearest point of the bright region by the short focus lens for the source and the zero point of the bright region by the short focus lens for near vision . Further, in the case of calibrating by a short focus lens for a source, as shown in Fig. 6, a blue display area 103a from the origin FP to the middle point MP indicating a distance at which the eyes are not tired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visually explain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visual acuity at the intermediate time.

그리고, 도 6, 7 과 같은 원용 및 근용의 단초점 렌즈에서의 명시역에 대해, 원근용의 누진 렌즈에 의한 명시역 그래프 (105) 를 나타냄으로써, 원근용의 누진 렌즈를 선택하면, 근방시에서 원방시까지의 시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Then, by selecting the progressive gradient graph 105 by the progressive lens for the near vision, and selecting the progressive lens for the near vision, for the clear region in the short-distance lens for the near and far use as shown in Figs. 6 and 7, It is possible to explain that the visual acuity up to the far vision can be satisfactorily secured.

그러나, 원근용의 누진 렌즈에서는, 일반적으로 누진 띠부의 폭이 좁기 때문에, 가입 도수가 커짐에 따라 중간 부분의 시야 범위가 좁아지는 결점이 있다. 이 결점을 가지는 원근용의 누진 렌즈의 보이는 방식의 특성에 대해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그래픽 (140) 을 나타냄으로써, 피검사자에게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다.However, in a progressive lens for a near vision, since the width of the progressive band portion is generally narrow, there is a defect that the field of view of the intermediate portion becomes narrower as the joining diopter becomes larger.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perspective progressive lens having this drawback can be easily explained to the testee by showing the graphic 140 shown in Fig.

여기서, 피검사자가 안경 렌즈를 장착 사용하는 환경으로서 데스크 워크를 주로 하고, 자기 주위에서 비교적 가까운 거리 (60㎝ 정도) 까지의 시력 확보를 중시하고 있는 경우, 검사자는 근근의 누진 렌즈 (자기 주위에서 60㎝ 정도의 근방시까지를 커버하는 누진 렌즈) 를 추천하면 된다. 「근근」키 (117) 에 의해 근근의 누진 렌즈를 지정하면, 화면 (100) 의 표시는 도 9 와 같이 전환된다. 다른 렌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명시역 그래프 (107) 의 중간점 (MP) 에서 원점 (FP) 까지의 영역 (107a) 이 청색으로 표시되고, 중간점 (MP) 에서 근점 (NP) 까지의 영역 (107b) 이 황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좌측 영역 (130) 의 영역 그래픽 (140) 은, 근근의 누진 렌즈의 시야 특성을 이미지화하는 표시로 전환된다. 근근의 누진 렌즈는, 일반적으로 근용부의 영역이 원용부의 영역보다 넓게 되어 있다. 이 근근의 누진 렌즈의 특성을 쉽게 이미지화하기 위해, 영역 그래픽 (140) 은 자기 주위의 시야 범위가 넓게 되고, 또한 원점의 명시역이 60㎝ 정도가 되는 그래픽으로서 표시된다. 이와 같은 표시에 의해, 검사자는 근근의 누진 렌즈를 장착 사용한 경우의 명시역의 확보를 설명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명시역의 시야 범위를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근근의 누진 렌즈 쪽이 긴 거 리의 시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근용의 단초점 렌즈의 명시역 그래프 (104) 와 명시역 그래프 (107) 를 비교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examinee mainly uses the desk work a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pectacle lens is mounted and used, and the visual attention to the comparatively close distance (about 60 cm) around the self is emphasized, Cm < / RTI > in the vicinity). When the progressive progressive lens is designated by the " finisher " key 117, the display of the screen 100 is switched as shown in FIG. The area 107a from the midpoint MP to the origin FP of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7 is displayed in blue and the area from the midpoint MP to the near point NP 107b are displayed in yellow. In addition, the area graphic 140 of the left area 130 is converted into a display that imaged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progressive progressive lens. In the progressive progressive lens, in general, the near-field region is wider than the far-field region. In order to easily imit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essive lens of this vicinal root, the area graphic 140 is displayed as a graphic with a wide field of view around the self and a clear range of the origin at about 60 cm. With such a display, the inspector can explain the securing of the clear zone in the case of using the progressive weakening lens, and moreover, can easily explain the visual range of the clear zone. It can be explained by comparing the expressing graph 104 and the expressing graph 107 of the near-focus short-axis lens that the visual progress of the long distance from the progressive lens of the roots can be ensured.

한편, 피검사자의 안경 렌즈를 장착 사용하는 환경으로서 실내를 주로 하고, 자기 주위에서 2m 의 중거리까지의 시력 확보를 중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검사자는 중근의 누진 렌즈를 추천하면 된다. 「중근」키 (116) 를 누르면, 화면 (100) 의 표시는 도 10 과 같이 전환된다. 다른 렌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명시역 그래프 (106) 의 중간점 (MP) 에서 원점 (FP) 까지의 영역이 청색으로 표시되고, 중간점 (MP) 에서 근점 (NP) 까지의 영역이 황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좌측 영역 그래픽 (140) 은, 중근의 누진 렌즈의 시야 특성을 이미지화하는 표시로 전환된다. 중근의 누진 렌즈는, 일반적으로 원근의 누진 렌즈에 대해 원용부 및 근용부가 약간 넓게 되어 있다. 또한, 누진 띠부의 폭도 원근의 누진 렌즈에 비하면, 약간 넓게 되어 있다. 이 중근의 누진 렌즈의 특성을 이미지시키도록, 영역 그래픽 (140) 은 자기 주위에서 중간 거리의 2m 정도까지의 시야 범위가 약간 넓게 된 그래픽으로서 표시된다. 이와 같은 표시에 의해, 검사자는 중근의 누진 렌즈를 장착 사용한 경우의 명시역의 확보를 설명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중근의 누진 렌즈가 가지는 시야 범위의 특성을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interior of the room is used mainly as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pectacle lens of the examinee is mounted and the importance of securing the visual acuity up to a medium distance of 2 m around the self is emphasized, the examiner may recommend a progressive lens of the midpoint. When the " center " key 116 is pressed, the display of the screen 100 is switched as shown in Fig. The area from the midpoint MP to the origin FP of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6 is displayed in blue and the area from the midpoint MP to the near point NP is displayed in yellow do. Also, the left region graphic 140 is switched to a display that imaged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progressive lens of the midpoint. In the progressive lens of the mid-point, the far-end portion and the near-end portion are generally slightly wider than the progressive lens of the perspective. Further, the width of the progressive band portion is slightly wider than that of the progressive lens of the far-field. In order to ima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essive lens of this midpoint, the area graphic 140 is displayed as a graphic with a slightly wider field of view up to about 2 m of the intermediate distance from the periphery. With such a display, the inspector can explain the securing of the clear zone in the case of using a progressive lens of the middle-focused type, an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range of the progressive lens of the mid-curvature can be easily understood.

또한, 「이중」키 (118) 를 누르면, 원용부 및 근용부의 명시역 그래프 (108) 는, 각각 중간점 (MP) 에서 원점 (FP) 까지의 영역이 청색으로 표시되고, 중간점 (MP) 에서 근점 (NP) 까지의 영역이 황색으로 표시된다 (도시를 생략한다). 명시역 그래프 (108) 는, 원용의 단초점 렌즈의 그래프 (103) 와 근용의 단초점 렌 즈의 그래프 (104) 를 합한 형태로서 이해된다. 또한, 좌측 영역 그래프 (140) 는 원용의 단초점 렌즈와 동일한 시야 범위의 그래픽으로서 표시된다.When the " Duplex " key 118 is depressed, the expressive inverse graph 108 of the far-site part and the near-side part shows the area from the midpoint MP to the origin FP in blue, To the nearest point (NP) is displayed in yellow (not shown).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8 is understood as a combination of the graph 103 of the short focus lens for the source and the graph 104 of the short focus lens for the near field. In addition, the left area graph 140 is displayed as a graphic in the same field of view as that of the short focus lens for the source.

도 6 ∼ 도 10 에 나타낸 화면 (100) 에 있어서 상단 우측에 배치된 키 (145) 를 누르면,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 (100) 의 우측 상방에 좌우안의 교정 도수 (S, C, A, ADD 및 WD) 의 데이터 일람 (150) 이 팝업 표시된다. 화면 (100) 에 형성된 데이터 일람 표시용의 키 (145) 를 이용함으로써, 측정 모드로 되돌아오지 않아도, 명시역 표시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교정 도수를 확인할 수 있다.11, the right and left calibrations (S, C, A, and B) are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100 by pressing the key 145 disposed on the upper right side in the screen 100 shown in Figs. 6 to 10, ADD and WD are displayed in a pop-up display. By using the data list display key 145 formed on the screen 100, the calibration frequency can be confirmed during execution of the explicit reverse display program without returning to the measurement mode.

또한, 처방의 교정 도수를 변경하기 위해 형성된 키 (144) 를 누르면, 처방의 교정 도수의 데이터가 카피되고, 도 11 의 데이터 일람 (150) 에 있어서의 각 데이터가 변경 가능하게 된다. 조작 패널부 (32) 의 모드키군 (34) 의 키 조작에 의해 (또는 데이터 일람 (150) 의 각 데이터란에 터치함으로써) 변경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다이얼 노브 (36) 를 돌리면, 선택된 데이터의 값이 소정 단계에서 변경된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가 원근의 누진 렌즈를 원함과 함께 중간시를 중시하는 경우, 구면 도수 (S) 의 값을 약하게 하면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구면 도수 (S) = -0.75D 에 대해 0.25D 분만큼 약하게 하면 (S -0.50D 로 하면), 제어부 (20) 에 의해 가입 도수 (ADD) 도 0.25D 분만큼 약하게 한 값으로서 변경된다. 즉, ADD = +1.75D 가 ADD = +1.50D 로 변경된다. 그리고, 처방의 교정 도수 데이터가 변경되면, 제어부 (20) 에 의해 각 교정 렌즈의 원점 (FP), 근점 (NP), 중간점 (MP) 이 재계산되고, 도 6, 도 8 등에 나타낸 각 교정 렌 즈의 명시역 그래프 (103, 105, 106) 등도 재계산된 값에 따라 변경된다.Also, when the key 144 formed for changing the calibration frequency of the prescription is pressed, the data of the calibration frequency of the prescription is copied, and each data in the data list 150 of Fig. 11 can be changed. The data to be changed is selected by the key operation of the mode key group 34 of the operation panel unit 32 (or by touching each data column of the data list 150), and when the dial knob 36 is turned, Is changed at a predetermined stage. For example, when the examinee wants a progressive lens of perspective and places emphasis on the intermediate time, the value of the spherical power S may be made weak. In this case, if the control section 20 weakens the addition diopter ADD by 0.25D for example by making 0.25D smaller than the spherical diopter S = -0.75D (S -0.50D) Value. That is, ADD = + 1.75D is changed to ADD = + 1.50D. Then, when the correction frequency data of the prescription is changed, the control unit 20 recalculates the origin (FP), the near point (NP), and the midpoint (MP) of each calibration lens, The expressing graphs 103, 105, and 106 of the lens are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recalculated values.

또한, 예를 들어 피검사자가 원하는 작업 거리 (WD) 를 변경한 경우, 가입 도수 (ADD) 가 그 변경 거리에 따라 제어부 (20) 에 의해 변경된다. 현재의 작업 거리를 WD1, 이 작업 거리에 있어서의 가입 도수를 ADD1, 변경 후의 작업 거리를 WD2, 이 변경에 수반하는 가입 도수를 ADD2 로 하면, ADD2 는 이하의 식으로 계산된다.Further, for example, when the examinee changes the desired working distance WD, the joining diopter ADD is changed by the control unit 20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distance. Assuming that the current working distance is WD1, the joining diopter in the working distance is ADD1, the working distance after changing is WD2, and the joining diopter accompanying this change is ADD2, ADD2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ADD2 = (1/WD2 - (1/WD1 - ADD1))ADD2 = (1 / WD2 - (1 / WD1 - ADD1))

그리고, WD 및 ADD 가 변경되면, 제어부 (20) 에 의해 각 교정 렌즈의 원점 (FP), 근점 (NP), 중간점 (MP) 이 재계산되고, 각 교정 렌즈의 명시역 그래프 (103, 104, 105, 106) 등도 재계산된 값에 따라 변경된다.When the WD and ADD are changed, the control unit 20 recalculates the origin (FP), the near point (NP), and the midpoint (MP) of each of the calibrating lenses, , 105, 106) are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recalculated values.

이와 같이 명시역 표시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교정 도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측정 모드로 되돌아오지 않아도, 각 교정 렌즈의 명시역 그래프의 변경도 즉석에서 실시할 수 있어, 그 설명을 하기 쉽다. 또한, 미리 피검사자가 원하는 보이는 방식을 확인해 둠으로써, 최종적으로 실시하는 임시 프레임 검사 (임시 프레임에 테스트 렌즈를 넣어 보이는 방식을 확인하는 검사) 시에 처방 교정 도수의 미세 조정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Since the calibrated dioptric power can be chang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explicit station display program in this manner, the change of the explicit station graph of each calibrating lens can be carried out instantaneously without returning to the measurement mode. In addition, by confirming the visible method desired by the testee in advance, fine adjustment of the prescription correcting dioptric power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t the time of the temporary frame test (test for checking the manner in which the test lens is put into the temporary frame) .

다시 키 (145) 를 누르면, 데이터 변경용의 데이터 일람 (150) 은 닫히고, 변경된 교정 도수의 데이터가 메모리 (24) 에 기억된다. 또한, 키 (144) 에 의해 표시되는 처방 데이터는 그대로 기억 유지되어 있다. 측정 모드로 되돌아온 경우에는 변경된 처방 데이터에서의 확인, 그 프린트 아웃도 할 수 있다. When the user depresses the key 145 again, the data list for data change 150 is closed, and the data of the changed calibration frequency is stored in the memory 24. [ The prescription data displayed by the key 144 is stored and retained as is. In the case of returning to the measurement mode, confirmation of the changed prescription data and printout thereof can be performed.

상기의 화면 (100) 에 있어서, 「자각」키 (142) 를 누르면, 양안의 균형잡힌 완전 교정 도수의 데이터가 데이터 일람 (150) 에 표시된다. 이 경우에도, 측정 모드로 되돌아오지 않아도 완전 교정 도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도수의 변경시에 완전 교정 도수를 초과한 과교정으로 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쉬워진다.In the above screen 100, when the "awareness" key 142 is pressed, the data of the balanced total calibrated diopter of the both sides is displayed in the data list 150. Even in this case, since the total calibrated frequency can be confirmed without returning to the measurement mode, it is easy to prevent overcorrection from exceeding the full calibrated frequency when changing the frequency.

상기의 설명에서는, 조작 유닛 (1) 이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21) 를 이용하여, 명시역 체크용의 그래픽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시판되는 퍼스널 컴퓨터에 이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2 는 퍼스널 컴퓨터 (이하, PC (80)) 의 구성예로서, PC (80) 는 디스플레이 (81), 제어 유닛 (84) 을 가지는 본체 (82),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입력부 (87) 로 이루어진다. 제어 유닛 (84) 은 명시역 표시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장치를 갖는다. 명시역 표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입력부 (87) 를 사용하여 입력 가능하고, 또는 통신 회선을 통해 측정 유닛 (1) 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의해 입력할 수 있다. PC (80) 에 상기와 같은 명시역 표시 기능을 탑재해 두면, 측정 유닛 (3) 및 조작 유닉 (1) 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서도, 검사자는 피검사자에게 적합한 교정 렌즈에 의한 보이는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graphic for explicit reverse check is displayed using the display 21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1,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for a commercially available personal computer provided with a display. 12 show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personal compu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 80). The PC 80 includes a display 81, a main body 82 having a control unit 84, and an input unit 87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 The control unit 84 has a storage device in which the explicit reverse display program is stored. Data necessary for executing the explicit station display program can be input using the input unit 87 or can be input by data transmission from the measurement unit 1 via a communication line. If the PC 80 is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explicit station display function, even in a place where the measurement unit 3 and the operation unicycle 1 are not installed, the inspector can explain the visible mode by the correcting lens .

상기의 실시형태는 다양한 변용이 가능하다. 이하, 변용예를 설명한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 (100) 에, 피검사자가 전에 사용하고 있던 안경 렌즈의 교정 도수 (이하, 전안경 교정 도수) 에 의해 교정되는 눈의 명시역을 표시하는 「안경」키 (146) 를 형성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전안경 교정 도수에서의 명시역 상태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전안경 교정 도수의 데이터로는, 구면 도수 (S), 난시 도수 (C), 난시축 각도 (A) 외에, 전안경 도수가 누진 렌즈인 경우에는 가입 도수 (ADD) 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전안경 교정 도수 데이터는 주지되어 있는 렌즈 미터로 측정된다. 렌즈 미터로 측정된 데이터는, 조작 유닛 (1) 의 입력 지시의 조작에 의해 통신 케이블을 통해 제어부 (20) 에 입력된다. 또는, 렌즈 미터에서의 측정 기록을 프린터 등에 의해 출력해 두고, 입력 데이터 지정키군 (35) 에서 「안경」모드를 선택하고, 다이얼 노브 (36) 를 돌림으로써 전안경 교정 도수 (S, C, A, ADD) 의 수치 입력을 실시해도 된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variously modified. Hereinafter, a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3, on the screen 100, a "glasses" key 146 for displaying the expressing range of the eye corrected by the calorimetric frequency of the spectacle lens previously used by the examinee (hereinafter, So that it is possible to know at a glance the state of the visible range in the total number of glasses corrected by the examinee. The data of all eyeglasses calibration degrees include data on the addition power (ADD) in addition to the spherical power (S), the astigmatic power (C) and the astigmatic axis angle (A) The total eyeglass calibration frequency data is measured with a known lens meter. The data measured by the lens meter is inputted to the control unit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cable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instruction of the operation unit 1. [ Alternatively, the measurement record in the lens meter may be output by a printer or the like, the "glasses" mode may be selected in the input data designating key group 35, and the dial knob 36 may be turned to set the all- , ADD) may be input.

검사자가 「안경」키 (146) 를 누르면, 전안경 교정 도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 (20) 에 의해 산출된 명시역 (103 ∼ 108) 이 우측 영역 (101) 에 표시된다. 전안경 교정 도수에서의 원점 (FP) 은, 도 5 에 있어서의 (처방 교정 도수 - 완전 교정 도수) 의 등가 구면 도수 (SE) 의 역수로 구하는 계산식에 대해, 처방 교정 도수를 전안경 교정 도수 대신에 구한다. 근점 (NP), 중간점 (MP) 에 대해서도, 도 5 에 있어서의 계산식에 대해 처방 교정 도수를 전안경 교정 도수 대신에 구한다. 제어부 (20) 에 의한 계산은, 원용 단초점 렌즈, 근용 단초점 렌즈, 원근용의 누진 렌즈, 중근용의 누진 렌즈, 근근용의 누진 렌즈, 이중 초점 렌즈의 타입에 대해 실시된다. 검사자는 피검사자가 전에 사용하고 있던 안경 렌즈 (이하, 전안 안경) 의 타입을, 키 (113 ∼ 118) 를 눌러 선택함으로써 전안경에서의 명시역 그래프 (103 ∼ 108) 를 선택하여 피검사자에게 보일 수 있다.When the inspector presses the " glasses " key 146, the display areas 103 to 108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20 are displayed in the right area 101 based on the all-eye glasses correction frequency data. The origin (FP) in the all-eyeglasses calibration frequency is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prescription correction frequency with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orrection formula based on the reciprocal of the equivalent spherical power (SE) of (prescription calibration frequency - complete calibration frequency) . Regarding the near point (NP) and the midpoint (MP), the formula for formula in FIG. 5 is also obtained instead of the formula for total eyeglasses calibration. The calculation by the control unit 20 is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types of the focal length lens for short-distance use, the short-distance focal length lens, the progressive lens for the near vision, the progressive lens for the midpoint, the progressive lens for the roots, and the bifocal lens. The inspector can select the type of the spectacle le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eyeglass) which the subject has been using previously by pressing the keys 113 to 118 to select the highlight graph 103-108 in the full eyeglasses to be seen by the examinee .

또한, 도 13 의 이중 초점 렌즈인 경우의 명시역 그래프 (108) 에서는, 원방시용 명시역 그래프 (108a) 와 근방시용 명시역 그래프 (108b) 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표시함으로써, 원용부와 근용부의 보이는 방식을 각각 인식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도 13 에서는 표시 스페이스의 형편상, 원근용의 누진 렌즈의 명시역 그래프 (105) 와 중근용의 누진 렌즈의 명시역 그래프 (106) 를 키 (115, 116) 에 의해 선택적으로 동일 장소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21) 의 화면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안경」키 (146) 를 눌러 표시시키는 전안경 교정 도수에 기초하는 명시역 그래프를 배열하여 표시시켜도 된다.13, the positions of the far-vision use pictorial graph 108a and the near-sight use pictorial graph 108b are shifted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Each of which is easy to recognize. In Fig. 13,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5 of the progressive lens for perspective and the explicit reverse graph 106 of the progressive lens for the mid-curvature are selectively placed at the same place by the keys 115 and 116 . In the case where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21 is large, the display reverse graph based on the all-eye correcting power to display by pressing the "glasses" key 146 may be arranged and displayed.

검사자는 이 「안경」모드에서의 명시역 (103 ∼ 108) 에 의해, 전안경에서의 보이는 방식을 각종 렌즈를 사용하고 있던 경우로 치환하여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안경」모드와 「처방」모드를 전환하여 표시함으로써, 검사자는 전안경과 금회의 처방값의 보이는 방식의 차이를 피검사자에게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고, 피검사자는 어떻게 보이는 방식이 개선되는지를 이해하기 쉬워진다. 또한, 검사자는 피검사자에게 왜 이 처방값으로 하는지 (예를 들어 전안경과 금회의 처방의 차이가 크면 부담이 된다) 등의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하기 쉽기 때문에, 피검사자를 더욱 납득시킬 수 있다.The inspector can easily explain the visual system in the full spectacles by substituting the case where various lenses are used by the display areas 103 to 108 in this " glasses " mode. In addition, by switching between the "glasses" mode and the "prescription" mode, the examiner can easily explain the difference in the manner in which the prescription values of all the glasses and current presentations are displayed to the examinee, and the examinee understands It becomes easier to do. In addition, since the examinee can easily explain why the examinee is the prescription value (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cription of the glasses and the present prescription is large), the examinee can be further convinced.

또한, 좌측 영역 (130) 의 그래픽 (140) 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전안경과 비교하여 보이는 거리 범위 또는 시야의 넓이가 상이한 목적별 안경을 추천할 수 있어, 안경의 복수 소지를 제안하는 것도 용이해진다.Also, by using the graphics 140 of the left area 130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commend glasses having different distances or fields of view as compared with all glasses, and it is also easy to propose a plurality of spectacles .

다른 변용예를 설명한다. 도 6 ∼ 도 11, 도 13 의 명시역 그래프의 표시에 있어서, 완전 교정 도수와 처방 교정 도수의 난시 도수 (C) 의 차이 ΔC 가 일정 이상 (예를 들어 0.75D 이상) 인 경우에는, 실제로 사물을 볼 때에, 난시 도 수 (C) 가 교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난시 도수 (C) 가 크게 남아 있기 때문에 특정 방향의 보이는 방식이 불선명해진다. 그 때문에, 계산상에서는 선명히 보이는 범위로서 나타나 있는 명시역 (102 ∼ 108) 의 범위 내라도, 실제로는 선명히 보이지 않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나안으로 난시 도수 (C) 가 일정 이상 (예를 들어 0.75D 이상) 인 경우도 동일하다. 그래서, 난시 도수 (C) 의 차이 ΔC 가 일정값 미만인 경우의 명시역 그래프 (102 ∼ 108) 의 제 1 표시 형태에 대해, 난시 도수 (C) 의 차이 ΔC 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는 명시역 그래프 (102 ∼ 108) 의 표시의 색조를 바꾼 제 2 표시 형태로 함으로써, 실제로는 선명히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피검사자에게 시각적으로 이해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의 명시역 그래프 (102, 103) 에 있어서, 차이 ΔC 가 일정값 미만인 경우 (난시가 교정되어 있는 경우) 에 청색으로 표시되는 영역 (102a, 103a) 을 그레이를 띤 옥색으로 표시하고, 황색으로 표시되는 영역 (102b, 103b) 을 그레이를 띤 황색으로 표시함으로써, 난시가 크게 남아 있는 경우에 보이는 방식의 선명함이 떨어지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경험이 부족한 검사자에게 있어서는 난시가 일정 이상인 경우에 자동적으로 명시역 그래프의 색조 등의 표시 형태가 바뀜으로써, 피검사자에 대해 보이는 방식의 설명을 보다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Another modificatio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the display of the explicit reverse graph of Figs. 6 to 11 and Fig. 13, when the difference? C between the total cal- culation frequency and the astigmatism diopter (C) of the prescription correction dioptric power is a certain value or more (for example, 0.75D or more) , The astigmatic dioptric power C remains largely unchanged when the astigmatic dioptric power C is corrected, so that the manner of viewing in a specific direction becomes unclear. For this reason, even in the range of the display areas 102 to 108 that appear as a clearly visible range in the calculation, portions that are actually invisible are included. The same is true of the astigmatic dioptric power C within a certain range (for example, 0.75D or more). When the difference ΔC in the astigmatic power C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for the first display form of the explicit graph 102-108 when the difference ΔC in the astigmatism diopter C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o 108 is changed to a second display form in which the hue of the display is changed, it is easy for the examinee to visually understand that the user does not actually see clearly. For example, in the explicit reverse graphs 102 and 103 of FIG. 6, the regions 102a and 103a displayed in blue are displayed in a grayish tinged color when the difference? C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stigmatism is corrected) And the areas 102b and 103b indicated by yellow are displayed in a grayish yellow color, it is possible to show that the sharpness of the method seen when the astigmatism is largely deteriorated can be shown. Especially, for a less experienced examiner, when the astigmatism is more than a certain level, the display form such as the tone of the expressing graph is automatically changed,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manner in which the examinee is seen can be more accurately performed.

또한, 도 5 에 있어서의 중근용의 누진 렌즈, 근근용 누진 렌즈의 원점 (FP) 의 산출 방법을 이하와 같이 해도 된다. 먼저, 중근용 누진 렌즈의 원점 (FP) 의 산출에 대해서는, 도 5 에서는 기준으로서 최대를 200㎝ 로 하였으나, 원근용의 누진 렌즈와 동일한 계산이어도 된다. 또한, 중근용의 누진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원방시에 대해 시선의 아이 포인트가 약간 내려가므로, 그 원점 (FP) 의 산출을 1/((처 - 완) SE + 0.25) 로 하고, 교정 도수를 1 단계 (또는 2 단계) 정도 떨어뜨린 것으로 하여 계산하면 된다. 이로써, 중근용의 누진 렌즈의 실제 사용법에 맞는 명시역을 피검사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origin FP of the progressive lens for the mid-root and the progressive-use progressive lens in Fig. 5 may be as follows. First, the calculation of the origin (FP) of the progressive lens for the mid-curtain is set to 200 cm as a reference in FIG. 5, but may be the same calculation as that for the perspective progressive lens. In the case of using a progressive lens for the mid-curvature, the eye point of the line of sight is slightly lowered at the time of the far-field, so that the calculation of the origin FP is 1 / ((full-turn) SE + 0.25) By the first step (or second step).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sent an expression region to the testee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usage of the progressive lens for the mid-curvature.

근근용 누진 렌즈에 대해서는, 도 5 에 있어서는 원점 (FP) 을 기준으로 하여 60㎝ 로 고정시켰으나, 근용의 교정 도수를 기준으로 하여, 가입 도수를 감소시켜 가는 방법으로 원점 (FP) 을 계산한다. 원점 (FP) 의 계산은 1/((처 - 완) SE + 처방 ADD + 마이너스 ADD) 로 한다. 이 식의 마이너스 ADD 가 가입 도수의 감소 데이터이고, 이 도수는 피검사자가 원하는 원점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하, 근근용 누진 렌즈에 대해, 원점 (FP) 을 얻기 위한 마이너스 ADD 의 입력을 설명한다.In FIG. 5, the incremental prism is fixed at 60 cm with respect to the origin (FP), but the origin (FP) is calculated by decreasing the addition dioptric power with reference to the orthometric dioptric power. The calculation of the origin (FP) shall be 1 / ((SE-W) SE + prescription ADD + negative ADD). The negative ADD of this equation is the data of the decrease in the addition frequency, and this frequency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origin of the examinee. Hereinafter, the input of the negative ADD for obtaining the origin FP will be described for the progressive progressive lens.

도 14 는 도 11 과 마찬가지로, 처방의 교정 도수를 변경하기 위해 처방키 (144) 를 눌렀을 때에 데이터 일람 (150) 이 표시된 예이고, 키 (115) 에 의해 원근용 누진 렌즈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데이터 일람 (150) 에서는, 근용 단초점 렌즈 이외의 각종 렌즈의 원용 교정 도수 (S, C, A, ADD) 를 표시하는 「원용」모드와, 원용 단초점 렌즈 이외의 각종 렌즈의 근용 교정 도수 (S, C, A) 를 표시하는 「근용」모드가 형성되어 있고, 키 (151) 를 누름으로써 「원용」모드와 「근용」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14 shows a case in which the data list 150 is displayed when the prescription key 144 is pressed to change the calibration frequency of the prescription and the progressive progressive lens is selected by the key 115 . In the data list 150, the "circle" mode for displaying the circle calibrations (S, C, A, ADD) of various lenses other than the near-field short focal length lens and the near- Quot; close " mode in which the keys S, C, and A are displayed. By pressing the key 151, the " far away "

도 15 는 「근용」모드를 선택한 경우이다. 「근용」모드의 데이터 일람 (150) 에 표시되는 근용 교정 도수의 구면 도수 (S) 의 값 (R : -0.75D, L : -1.25D) 은, 도 14 에 표시되는 원용 모드에서의 데이터 일람 (150) 의 S 값 (R : -1.75D, L : -2.25D) 에 대해 가입 도수 (ADD) (+1.00D) 분이 더해진 값으로서 계산되어 있다.15 shows a case where the " near " mode is selected. The values (R: -0.75D, L: -1.25D) of the spherical diopter (S) of the near distance calibration diopter shown in the data list 150 of the "near" Is calculated as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addition diopter ADD (+ 1.00D) to the S value (R: -1.75D, L: -2.25D) of the adder 150.

이 「근용」모드에 있어서 키 (117) 에 의해 근근용 누진 렌즈를 선택하면, 데이터 일람 (150) 의 하방에 마이너스 가입 도수를 입력하기 위한 키 (153) 가 표시된다. 이 예에서는 마이너스 가입 도수로서 「-1.00D」가 입력되어 있다. 검사자는 키 (153) 에 터치함으로써 마이너스 가입 도수의 값을 소정 단계씩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153) 를 누르면 마이너스 가입 도수가 「-1.00D」, 「-1.50D」, 「-2.00D」와 같이 0.5D 씩 전환된다. 또한, 키 (153) 를 선택한 상태에서 다이얼 노브 (36) 를 돌림으로써 마이너스 가입 도수를 소정 단계씩 변경할 수 있다. 마이너스 가입 도수는 임의의 값으로 변경 가능하게 해도 된다. 근근의 누진 렌즈에서의 마이너스 가입 도수를 변경하면, 전술한 계산 방법에 의해 원점 (FP) 이 구해진다. 그리고, 명시역 그래프 (107) 의 원점 (FP) 의 표시 위치가 바뀐다. 이로써, 근근 누진 렌즈의 교정 도수의 결정시에, 그 보이는 방식을 피검사자에게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근근용 누진 렌즈의 근점은 도 5 에 나타낸 계산으로 실시된다. 검사자가 피검사자에게 보이는 방식을 설명할 때에는, 명시역 (103 ∼ 108) 과 함께 영역 그래픽 (140) 을 사용하여 마이너스 가입 도수의 값을 조절하면서, 자기 주위를 넓은 범위에서 잘 보고 싶다, 자기 주위로부터 조금 원방도 선명히 보고 싶다, 눈이 피로해지지 않을 정도의 처방으로 해주었으면 한다는 등의 피검사자의 다양한 요망에 가까운 근근의 누진 렌 즈를 제안할 수 있다.When the progressive progressive lens is selected by the key 117 in this " near " mode, a key 153 for inputting a negative addition power number is displayed below the data list 150. [ In this example, " -1.00D " The examiner can change the value of the negative joining frequency by a predetermined step by touching the key 153. [ For example, when the key 153 is pressed, the minus addition frequency is switched by 0.5D as in "-1.00D", "-1.50D", and "-2.00D". In addition, by turning the dial knob 36 while the key 153 is selected, the minus addition frequency can be changed by a predetermined step. The minus addition frequency may be changed to an arbitrary value. When the minus addition frequency in the progressive lens of the roots is changed, the origin FP is obtained by the above-described calculation method. Then,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rigin FP of the explicit graph 107 is changed. Thereby, when determining the correction frequency of the aggravating progressive lens, the manner in which the correction is made can be easily explained to the testee. The approximate point of the progressive progressive lens is performed by the calculation shown in Fig. When explaining the manner in which the examinee looks to the examinee, it is desirable to use the area graphic 140 together with the display areas 103 to 108 to adjust the value of the negative addition frequency, It is possible to propose a progressive lens of a near-end muscle close to various demands of the examinee, such as a wish to see a circle a little and to make a prescription so that the eye does not become fatigued.

또한, 키 (153) 를 터치하면 데이터 일람 (150) 화면이 닫히고, 키 (153) 만이 화면 상에 표시된다. 그 때문에, 마이너스 가입 도수를 변경하여 원점 (FP) 의 위치가 바뀜으로써, 명시역의 그래프 (107) 가 데이터 일람 (150) 에서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user touches the key 153, the screen of the data list 150 is closed, and only the key 153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for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rigin (FP) by changing the minus join frequenc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aph 107 of the explicit region from being covered in the data list 150.

다음으로, 처방의 원용 교정 도수를 조정 가능하게 한 경우의 변용예를 설명한다. 도 11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 (144) 를 누름으로써 데이터 일람 (150) 에 있어서의 각 데이터가 변경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교정 도수를 지나치게 크게 변경하면, 잘못하여 과교정의 처방을 할 우려가 있다. 과교정인지의 여부는, 변경된 도수와 과교정을 판정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을 비교하여 판정된다. 근시계 (구면 도수 (S) 가 마이너스 도수) 에서는, 처방의 원용 교정 도수가 완전 교정 도수를 초과한 경우에 과교정으로 판정된다. 원시계 (구면 도수 (S) 가 플러스 도수) 에서는, 구면 도수 (S) 가 0 을 초과하여 플러스에서 마이너스가 된 경우에 과교정으로 판정된다. 또한, 난시 도수 (C) 도 완전 교정 도수를 초과한 경우에 과교정으로 판정된다. 처방의 원용 교정 도수가 과교정으로 판정된 경우, 명시역 그래프 (102 ∼ 108) 의 표시 형태가 바뀐다. 예를 들어 과교정이 아닌 경우의 통상적인 청, 황색, 그레이 등의 표시에 대해 과교정인 뜻을 경고하는 적색으로 바뀐다. 이와 같이 과교정의 처방을 하고자 한 경우에 경고를 표시함으로써, 검사자가 틀린 도수의 렌즈를 처방하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피검사자에 대한 쾌적한 도수의 렌즈 제공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Next, a modification example in which the calibrating frequency for prescription is adjustable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by pressing the key 144, each data in the data list 150 can be changed. Here, if the correction frequency is excessively chang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vercorrection is erroneously prescribed. Whether or not overcorrection is determined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changed frequency with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determining overcorrection. In the case where the near-sightedness (spherical power (S) is a negative power), overcorrection is judged when the calibrating frequency for prescription exceeds the total calibrating frequency. In the case of the original clock (the spherical diopter (S) is a positive diopter), when the spherical diopter (S) exceeds 0 and becomes minus in positive, overcorrection is judged. Further, when the astigmatism diopter (C) also exceeds the fully calibrated dioptric power, the overcorrected state is determined. When the calibrating frequency of the prescription is determined to be overcorrected, the display form of the explicit graph 102-108 changes. For example, if it is not overcorrection, it changes to red, warning overcorrection to normal blue, yellow, gray, etc. By displaying a warning in the case of attempting over-cor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aminer from making a mistake in prescribing the lens of the wrong frequency,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ovide the lens of the comfortable degree to the examinee.

도 1 은 검안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tometric apparatus.

도 2a 는 조작 유닛이 구비하는 조작 패널부의 설명도이다.2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operation panel unit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도 2b 는 디스플레이의 측정 화면예의 도면이다.2B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asurement screen of a display.

도 3 은 조작 유닛의 제어 블록도이다.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operation unit.

도 4 는 자각 검사 순서의 플로우 차트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flow chart of the subjective inspection procedure.

도 5 는 근점 (NP), 원점 (FP) 및 중간점 (MP) 의 연산식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명시역을 산출하기 위한 계산식의 일람표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rithmetic expression of a near point (NP), an origin (FP), and an intermediate point (MP). It is a table of calculation formulas for calculating the explicit station.

도 6 은 명시역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xplicit reverse display screen.

도 7 은 명시역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xplicit reverse display screen.

도 8 은 명시역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xplicit reverse display screen.

도 9 는 명시역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xplicit reverse display screen.

도 10 은 명시역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xplicit reverse display screen.

도 11 은 처방 교정 도수의 데이터 일람을 표시한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 data list of prescription correcting dioptric power.

도 12 는 퍼스널 컴퓨터에 의한 구성도이다.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by a personal computer.

도 13 은 명시역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explicit reverse display screen.

도 14 는 명시역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area display screen.

도 15 는 명시역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area display screen.

Claims (7)

피검안의 굴절력을 검사하는 검안 장치에 있어서,An optometric apparatus for examining a refractive power of an eye to be examined, 상기 피검안의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와, 가입 도수 또는 근용 도수와, 근점 거리 또는 가입 도수 측정시의 작업 거리에 기초하는 조절력을 얻는 데이터 취득 수단과,A data acquiring means for acquiring an accommodating power based on a working distance at the time of measuring a near total distance or an addition power of the subject's full calibrated dioptric power of the subject's eye, 취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원용 단초점 렌즈, 근용 단초점 렌즈, 누진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에 의해 교정된 상기 피검안의 명시역을 구하는 연산 수단과,Calculating means for obtaining a clear range of the eye to be examined calibrated by at least one of a focal length short focal length lens, a short focal length short focal length lens and a progressive lens based on the acquired data, 피검사자를 기점으로 하여 소정의 근용 거리, 원용 거리, 중간 거리에 각각 목표물을 배치한 양자를 나타내는 제 1 그래픽을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얻어진 상기 명시역을 나타내는 제 2 그래픽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Displaying a first graphic on the screen, the first graphic representing a target in which a target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near distance, a distance for a distance, and a middle distance from a testee as a starting point; And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image on the display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명시역을 상기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원점 및 근점에 기초하여 구하는 연산 수단으로서,Wherein said calculation means includes calculation means for calculating said clear region on the basis of an origin and an approximate point of eyes calibrated by said lens, 원용 단초점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원점을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에 기초하여 구하고, 상기 원용 단초점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근점을 상기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 및 조절력에 기초하여 구하고,Wherein the origin of the eye corrected by the short focal length lens is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ull calibrating power of the source and the calorie power of the prescription for distant vision and the near point of the eye calibrated by the source short focus lens, Based on the difference in power and the control power, 근용 단초점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원점을 상기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 및 가입 도수에 기초하여 구하고, 상기 근용 단초점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근점을 상기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상기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 상기 가입 도수 및 상기 조절력에 기초하여 구하고,Wherein the origin of the eye corrected by the near single focal lens is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urce perfect corrective dioptric power and the source prescription corrective power and the addition dioptric power and the near point of the eye corrected by the near-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lorific power of the prescription for abandonment, 누진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원점을 상기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에 기초하여 구하고, 상기 누진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근점을 상기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차이, 상기 가입 도수 및 상기 조절력에 기초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And the origin of the eye corrected by the progressive lens is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lorific power of the caloric source and the calorie power of the caloric source and the near point of the eye calibrated by the progressive lens is set as a difference between the calorie power of the source calorie , Said addition power and said accommodation power.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조절력에 대해 비율 ΔX 의 조절력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명시역의 중간점을, 상기 근점 또는 원점과, 상기 조절력과, 상기 비율 ΔX 에 기초하여 구하거나, 또는, 상기 원용 단초점 렌즈에 의해 교정된 상기 눈의 명시역의 중간점을 상기 원용 완전 교정 도수, 상기 원용 처방 교정 도수, 상기 조절력 및 상기 비율 ΔX 에 기초하여 구하고, 상기 근용 단초점 렌즈 및 상기 누진 렌즈 의해 교정된 상기 눈의 명시역의 중간점을 상기 가입 도수의 측정시에 사용한 작업 거리에 기초하여 구하고,Wherein the calculation means uses an adjustment force of the ratio DELTA X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force and determines an intermediate point of the clear zone of the eye corrected by the lens based on the adjustment value and the adjustment force and the ratio DELTA X Or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visual range of the eye corrected by the focal length focal length lens is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fulcrum of the source perfect corrective power, the focal corrective power of the focal point, the control power and the ratio ΔX, The lens and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clear zone of the eye corrected by the progressive lens are obtained based on the working distance used for measuring the joining diopter,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제 2 그래픽 표시에 있어서, 원점에서 중간점까지의 제 1 영역과 중간점에서 근점까지의 제 2 영역을 구별할 수 있도록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Wherein the display means displays the first area from the origin to the intermediate point and the second area from the midpoint to the nearest point on the screen in the second graphic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각 렌즈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선택 수단과,Selection means for inputt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each lens; 각 렌즈의 시야 범위에 관한 특성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And storage means for storing characteristics relating to the field of view of each lens,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의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시야 범위에 관한 특성을 호출하고, 상기 제 1 그래픽의 화면 상에 상기 시야 범위의 특성을 이미지화하는 이차원적인 확대를 가지는 그래픽을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Wherein the display means calls a characteristic relating to the field of view of the lens from the storage means on the basis of the selection signal of the selection means and displays a two dimensional enlargement for imag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field of view on the screen of the first graphic Wherein the display unit further displays a graphical image of the subject.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상기 원용 완전 교정 도수, 상기 원용 처방 교정 도수, 상기 가입 도수 및 상기 작업 거리를 포함하는 각 데이터를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 상에 호출하여 표시시킴과 함께, 표시된 각 데이터를 변경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Wherein the data including the calorific power for calorie for source, calorie frequency for calorie for caloric consumption, the number of times of joining and the working distance are call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and a change for inputting a signal for changing each displayed data Means,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명시역을 다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Wherein said calculating means re-calculates said clear region on the basis of said data changed by said chang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데이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상기 원용 완전 교정 도수 및 상기 원용 처방 교정 도수에는 각각 구면 도수 및 난시 도수가 포함되고,Wherein the spherical power and the astigmatism power are included in the power source perfect calibration frequency and the power source prescription corrective power obtained by the data acquisition means,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원용 완전 교정 도수의 난시 도수와 상기 원용 처방 교정 도수의 난시 도수의 차이 ΔC 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그래픽을 제 1 표시 형태에 의해 표시하고, 상기 차이 ΔC 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그래픽을 눈의 명시역의 선명함이 떨어지는 것을 알리는 제 2 표시 형태에 의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Wherein the display control means displays the second graphic by the first display form when the difference? C between the astigmatic power of the power source full calibrated power and the power of astigmatic power of the power source prescription corrective powe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displays the second graphic by the second display form informing that the clarity of the visual clarity of the eye falls off.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상기 피검사자가 사용하고 있던 사용 렌즈의 교정 도수를 입력하는 교정 도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And calibrating frequency input means for inputting the calibrating frequency of the used lens used by said examinee,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원용 완전 교정 도수와, 상기 교정 도수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사용 렌즈의 강제 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 렌즈에 의해 교정된 눈의 명시역을 구하고,Wherein said calculating means obtains a clear range of eyes calibrated by said use lens based on said calorie frequency of said source calorie and the compulsory frequency of said use lens inputted by said calibration calorie input means,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사용 렌즈에 의해 교정된 상기 눈의 명시역을 나타내는 그래픽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Wherein the display means displays on the screen a graphic representing the clear zone of the eye corrected by the use lens.
KR1020080094718A 2007-09-28 2008-09-26 Optometry Active KR1014740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56505 2007-09-28
JP2007256505 2007-09-28
JPJP-P-2008-00028983 2008-02-08
JP2008028983A JP5073521B2 (en) 2007-09-28 2008-02-08 Optometry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122A KR20090033122A (en) 2009-04-01
KR101474021B1 true KR101474021B1 (en) 2014-12-24

Family

ID=4051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718A Active KR101474021B1 (en) 2007-09-28 2008-09-26 Optometry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73521B2 (en)
KR (1) KR101474021B1 (en)
CN (1) CN10139625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4866B4 (en) * 2009-01-16 2010-11-04 Carl Zeiss Vision Gmbh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individually required addition of a visual aid
JP5897285B2 (en) * 2011-09-02 2016-03-30 イーエイチエス レンズ フィリピン インク Progressive power lens selection device, progressive power lens selection method, and progressive power lens selection program
KR102290818B1 (en) * 2012-07-04 2021-08-17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Method for ophthalmic apparatus control
JP6057055B2 (en) * 2012-07-31 2017-01-11 株式会社ニデック Optometry equipment
JP6020576B2 (en) * 2012-09-19 2016-11-02 株式会社ニコン Gaze detection device calibration method, gaze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spectacle lens selection method, an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JP6273444B2 (en) * 2012-12-12 2018-02-07 東海光学株式会社 Visual distance calculation method for eyeglass lens, visual distance display device, and evaluation method for eyeglass lens
JP6088549B2 (en) 2013-02-06 2017-03-01 Hoya株式会社 Simulation system and simulation apparatus
AU2014276340B2 (en) * 2013-06-06 2019-10-31 6 OVER 6 VISION Ltd System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refractive error of an eye based on subjective distance metering
US20160327808A1 (en) * 2013-12-26 2016-11-10 Hoya Lens Thailand Ltd. Method, program,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manufacturing method for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and lens supply system
KR101525352B1 (en) * 2014-04-25 2015-06-03 한정우 Retinoscope
US9581835B2 (en) * 2014-05-30 2017-02-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atient interactive fit tool and methodology for contact lens fitting
JP6497005B2 (en) * 2014-09-05 2019-04-10 株式会社ニデック Visual function measuring device and visual function measuring program
JP6828234B2 (en) * 2015-12-01 2021-02-10 株式会社ニデック Optometry information display device, optometry information display program
JP6753123B2 (en) * 2016-04-12 2020-09-09 株式会社ニデック Controller for subjective optometry device and subjective optometry device
JP2017198806A (en) * 2016-04-26 2017-11-02 株式会社Kpdソリューションズ Clear vision display device, clear vision display method and clear vision display program
CN106137116B (en) * 2016-08-26 2018-05-25 四川远瞻智汇科技有限公司 A kind of vision testing method and device
EP3295863B1 (en) * 2016-09-15 2023-04-19 Essilor International Measurement method for determining a value of a visual correction need for near vision of an individual in a natural posture for near vision
KR102570410B1 (en) * 2017-05-12 2023-08-24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Method for Determining Specific Near Viewing Magnification of Ophthalmic Lens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013A (en) * 1993-07-19 1994-03-08 Topcon Corp Ophthalm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5127A (en) * 1986-11-27 1988-06-07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Regulation force meter for vdt work
JP2846633B2 (en) * 1987-09-10 1999-01-13 株式会社ニデック Refractive power inspection device
JP3195812B2 (en) * 1991-12-27 2001-08-06 ホーヤ株式会社 Subjective optometry device
JP3346618B2 (en) * 1993-10-04 2002-11-18 株式会社トプコン Optometry device
JP3580928B2 (en) * 1995-12-28 2004-10-27 株式会社ニデック Ophthalmic equipment
JP4756828B2 (en) * 2004-04-27 2011-08-24 株式会社ニデック Lens meter
JP4739795B2 (en) * 2005-03-31 2011-08-03 株式会社ニデック Eye refractive power measuring device
JP4804096B2 (en) * 2005-10-11 2011-10-26 セイコーオプティカ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Glasses lens clear viewing area display method, glasses lens clear viewing area display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glasses lens clear viewing area display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013A (en) * 1993-07-19 1994-03-08 Topcon Corp Ophthalm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95635A (en) 2009-05-07
KR20090033122A (en) 2009-04-01
JP5073521B2 (en) 2012-11-14
CN101396259B (en) 2013-09-18
CN101396259A (en)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021B1 (en) Optometry
US80071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cription of visual aids
US10168549B2 (en) Optical visual aid with additional astigmatism
JP5937235B2 (en) Prism prescription value acquisition system, acquisition method, acquisition device, and program for correcting fixation disparity
US20130057825A1 (en) Progressive-Power Lens Selector, Progressive Power Lens Sele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essive-Power Lens Selection Program
US1211767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value of a global sensitivity parameter of a subject, methods using this value and system for determining said value
CN108371538A (en) A kind of human eye vis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5455774A (en) Psychophysical measurement method for controlling lower aniseikonia on basis of interocular contrast ratio
JP2017531827A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lens design of an optical lens adapted to the wearer
US20240148245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a sensitivity of at least one eye of a test subject
CN102481095B (en) Characterization of a perception of blur
EP3398501B1 (en) Device for determining astigmatism of an eye of a person
EP3109692B1 (en) Spectacle lens supply system, program therefor, prism amount determination device, prism amount determination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spectacle lens
JP6967928B2 (en) Optometry equipment, methods and programs
US123665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ounded value of an optical feature of an ophthalmic lens adapted to provide a dioptric correction for improving the vision of a subject
CN114072043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ssessing the near vision accommodation status of a non-presbyopic individual and related apparatus
JP2019062979A (en) Optometry device, method and program
JPH08266467A (en) Optimetric apparatus
HK40069035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ssessing the near vision accommodative state of a non-presbyopic individual and associated device
WO2024034373A1 (en) Eyeglass lens determination method, and eyeglass lens determination assist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9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