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585B1 - 기능키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키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2585B1 KR101472585B1 KR1020070084942A KR20070084942A KR101472585B1 KR 101472585 B1 KR101472585 B1 KR 101472585B1 KR 1020070084942 A KR1020070084942 A KR 1020070084942A KR 20070084942 A KR20070084942 A KR 20070084942A KR 101472585 B1 KR101472585 B1 KR 1014725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keys
- displayed
- cursor movement
- fun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2)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기능 키 입력 방법에 있어서,터치 스크린 상에 토글 키와, 상기 토글 키 주변에 위치한 제1 키셋(first key set)을 표시하는 과정과,상기 토글 키 상에 제2 키셋(second key set)에 포함된 제1 서브 키셋(first sub-key set)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를 표시하는 과정과,상기 토글 키에 대한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키셋을 상기 제1 서브 키셋으로 전환하는 과정과,상기 토글 키에 대한 해제 이벤트(release event)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서브 키셋을 상기 제1 키셋으로 전환하는 과정과,상기 토글 키 상에 상기 제2 키셋에 포함된 제2 서브 키셋(second sub-key set)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서브 키셋은 방향 키들에 대한 셋과 커서 이동 키들에 대한 셋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키셋은 상기 방향 키들에 대한 셋과 상기 커서 이동 키들에 대한 셋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방향 키들은 상(↑), 하(↓), 좌(←), 우(→)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커서 이동 키들은 페이지 업(Page Up), 페이지 다운(Page Down), 홈(Home) 및 엔드(End)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방향 키들 및 상기 커서 이동 키들 중 현재 선택된 어느 하나를 나타내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방향 키들 및 커서 이동 키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이벤트(Drag event)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키 영역을 지시하는 과정과,상기 지시된 키 영역에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지시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지시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지시된 키 영역에 상기 방향 키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어느 하나의 방향 키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입력 에디터 창에 표시된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지시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지시된 키 영역에 상기 커서 이동 키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어느 하나의 커서 이동 키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입력 에디터 창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문장 단위 및 페이지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로 이동시키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키셋을 상기 제1 키셋으로 전환하는 과정은,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는 과정과,상기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키셋을 상기 제1 키셋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서브 키셋을 상기 제1 키셋으로 전환하는 과정은, 상기 제1 키셋을 문자 영역 및 팝업(Pop up)창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를 표시한 이후에 상기 토글 키에 대한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키셋을 상기 제2 서브 키셋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토글 키에 대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서브 키셋을 상기 제1 키셋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방법.
- 기능 키 입력 장치에 있어서,토글 키(toggle key)를 표시하고, 상기 토글 키 주변에 위치한 제1 키셋(first key set)과 제1 서브 키셋(first sub-key set) 및 제2 서브 키셋(second sub-key set)을 포함하는 제2 키셋(second key set)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상기 제1 키셋과 상기 제2 키셋 각각에 대응하는 기능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상기 토글 키 상에 상기 제1 서브 키셋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토글 키에 대한 프레스 이벤트(press event)가 발생하면 상기 제1 키셋을 상기 제1 서브 키셋으로 전환하며, 상기 토글 키에 대한 해제 이벤트(release event)가 발생하면 상기 제1 서브 키셋을 상기 제1 키셋으로 전환한 후 상기 토글 키 상에 상기 제2 키셋에 포함된 제2 서브 키셋(second sub-key set)에 대응하는 제2 식별자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키셋은 방향 키들에 대한 셋과 커서 이동 키들에 대한 셋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키셋은 상기 방향 키들에 대한 셋과 상기 커서 이동 키들에 대한 셋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방향 키들은 상(↑), 하(↓), 좌(←), 우(→)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커서 이동 키들은 페이지 업(Page Up), 페이지 다운(Page Down), 홈(Home) 및 엔드(End)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글 키 상에 상기 방향 키들 및 커서 이동 키들 중 현재 선택된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장치.
-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 키들 및 커서 이동 키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이벤트(Drag event)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이벤트의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키 영역을 지시하고, 상기 지시된 키 영역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지시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된 키 영역에 상기 방향 키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어느 하나의 방향 키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입력 에디터 창에 표시된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된 키 영역에 상기 커서 이동 키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 경우, 상기 표시된 어느 하나의 커서 이동 키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입력 에디터 창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문장 단위 및 페이지 단위 중 어느 하나의 단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글 키 상에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키셋을 상기 제1 키셋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 키들 및 커서 이동 키들 중 어느 하나를 문자 입력을 위한 하나 이상의 문자들이 각각 할당되어 있는 2개 이상의 문자 영역 및 팝업(Pop up)창 중 어느 하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키 입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4942A KR101472585B1 (ko) | 2007-08-23 | 2007-08-23 | 기능키 입력 장치 및 방법 |
US12/197,864 US20090051669A1 (en) | 2007-08-23 | 2008-08-25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function ke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4942A KR101472585B1 (ko) | 2007-08-23 | 2007-08-23 | 기능키 입력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0293A KR20090020293A (ko) | 2009-02-26 |
KR101472585B1 true KR101472585B1 (ko) | 2014-12-15 |
Family
ID=4038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49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2585B1 (ko) | 2007-08-23 | 2007-08-23 | 기능키 입력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051669A1 (ko) |
KR (1) | KR10147258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52335A1 (ja) * | 2010-05-31 | 2011-12-08 | 日本電気株式会社 | タッチパネル入力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それによる操作受付方法 |
EP2466435A1 (en) * | 2010-12-13 | 2012-06-20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touch-sensitive display for second plurality of characters. |
US9285836B2 (en) | 2010-12-13 | 2016-03-15 | Blackberry Limite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
EP2466436A1 (en) * | 2010-12-13 | 2012-06-20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touch-sensitive display for second plurality of characters. |
KR101323156B1 (ko) * | 2011-12-19 | 2013-10-30 | 크루셜텍 (주) | 입력 장치 및 터치 인식 방법 |
KR102050420B1 (ko) * | 2013-06-20 | 2020-01-08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영상신호 저장 방법 |
KR102224338B1 (ko) * | 2013-12-10 | 2021-03-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에서 커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1579038B1 (ko) * | 2015-03-25 | 2015-12-21 | (주)정글시스템 | 보안 키패드 |
KR101702770B1 (ko) * | 2015-08-26 | 2017-02-06 | (주)에이티솔루션즈 | 보안운영체제를 이용한 보안키패드 제공 방법 |
US11054983B2 (en) * | 2019-02-25 | 2021-07-06 | Ncr Corporation | Gestural touch interfa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8749A (ko) * | 2005-12-27 | 2007-07-02 | 한국과학기술원 | 착용형 및 휴대형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46337B2 (ja) * | 1993-12-21 | 2004-07-28 |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 計算システム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グラフィック・キーボード使用方法 |
DE60138194D1 (de) * | 2000-08-17 | 2009-05-14 | John Molgaard | Graphische benutzerschnitstelle für dateneingabe |
GB0116083D0 (en) * | 2001-06-30 | 2001-08-22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Text entry method and device therefor |
US20060066590A1 (en) * | 2004-09-29 | 2006-03-30 | Masanori Ozawa | Input device |
CN100555265C (zh) * | 2006-05-25 | 2009-10-28 |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 用于电子产品的组合键盘及利用其实现的输入方法和手机 |
-
2007
- 2007-08-23 KR KR1020070084942A patent/KR10147258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8-25 US US12/197,864 patent/US20090051669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8749A (ko) * | 2005-12-27 | 2007-07-02 | 한국과학기술원 | 착용형 및 휴대형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90051669A1 (en) | 2009-02-26 |
KR20090020293A (ko) | 2009-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2585B1 (ko) | 기능키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101429278B1 (ko) | 문자 삭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1391080B1 (ko) |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101447752B1 (ko) |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분할과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 |
JP4769552B2 (ja) | 端末及び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 |
EP1988444A2 (en)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 |
EP3190482B1 (en) |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 |
USRE48242E1 (en)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
KR101396741B1 (ko) | 문자 입력 장치 | |
WO2010089918A1 (ja) |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 |
CN102812415A (zh) | 具有触摸面板功能的移动终端及其输入方法 | |
CN104571832A (zh) | 移动终端、及其操控系统和方法 | |
KR20110104620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
JP5455343B2 (ja) | 入力装置 | |
JP2000132311A (ja) | 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装置 | |
KR20140089696A (ko) | 가상 키패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KR20110003130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
JP4521320B2 (ja) | 入力端末 | |
JPH09294170A (ja) | 移動通信端末 | |
KR101399150B1 (ko) |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
KR100866191B1 (ko)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 |
KR100846661B1 (ko) | 간편한 기호 입력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 |
KR100387033B1 (ko) | 특수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전화기의 문자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 |
JP2012215944A (ja) | 入力装置及び入力対象文字選択方法 | |
KR101104261B1 (ko) | 특수 기능 키를 문자 편집에 활용 가능한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8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