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2255B1 - 배기가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255B1
KR101472255B1 KR20140076067A KR20140076067A KR101472255B1 KR 101472255 B1 KR101472255 B1 KR 101472255B1 KR 20140076067 A KR20140076067 A KR 20140076067A KR 20140076067 A KR20140076067 A KR 20140076067A KR 101472255 B1 KR101472255 B1 KR 101472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atalyst
carrier
oxide
nano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7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립
황정훈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07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255B1/ko
Priority to PCT/KR2014/012517 priority patent/WO2015194724A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2Cop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내부에 배기가스 처리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배기가스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배기가스 배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배기가스 처리공간에 수용되는 담체 및 상기 담체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담체의 표면에 나노구조체 촉매가 형성됨으로써 촉매 변환 할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켜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귀금속 촉매 대신 비귀금속 촉매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정화 효율을 갖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비귀금속 촉매 중 산화코발트를 촉매로 사용함으로써 냉간 시동 시의 문제점을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처리장치{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를 이용한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기가스 처리장치 중 자동차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자동차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유해물질,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탄화수소(HC)를 촉매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물질인 이산화탄소(CO2), 물(H2O), 질소(N2)로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2349(2013.04.26.)와 같이 일반적인 자동차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담체에 촉매를 담지하여 촉매층을 형성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촉매 물질은 주로 귀금속인 백금(Pt), 로듐(Rh), 팔라듐(Pd)으로 구성되어 왔으며, 귀금속 촉매의 장점인 뛰어난 정화효율과 안정성으로 각광을 받아왔다.
그러나, 귀금속 촉매는 재료의 희소성으로 인한 높은 가격으로 자동차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단가를 높이는 원인이 되고, 낮은 온도에서 촉매의 활성이 어려워 냉간 시동 시 유해물질이 정화되지 않고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귀금속 촉매 대신 비귀금속 촉매를 사용하게 될 경우 일반적으로 유해물질의 정화효율이 귀금속 촉매보다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귀금속 촉매 대신 비귀금속 촉매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유해물질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완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촉매 물질로 귀금속 물질 대신에 비귀금속 물질로 사용하여도 유해물질을 충분히 정화시킬 수 있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내부에 배기가스 처리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배기가스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배기가스 배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배기가스 처리공간에 수용되는 담체 및 상기 담체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는 CO, HC 또는 NOx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벌집 구조 또는 그물구조망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은 비귀금속 물질의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산화물은 산화코발트, 산화구리 또는 산화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구조체는 나노선, 나노로드, 나노판, 나노파인 또는 나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상기 담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담체의 표면에 나노구조체 촉매를 형성함으로써 촉매 변환 할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켜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나노 구조체 촉매를 이용함으로써, 귀금속 촉매 대신 비귀금속 촉매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정화 효율을 갖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비귀금속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귀금속 촉매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동등한 성능의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 비귀금속 촉매 중 산화코발트를 촉매로 사용함으로써 냉간 시동 시의 문제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용 담체 표면에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산화코발트 나노선 촉매의 SEM 이미지이다.
도 4는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표면에 산화코발트 나노선 촉매가 형성된 그물 구조망의 담체의 SEM 이미지이다.
도 5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들의 SEM 이미지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배기가스 처리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00)과 이러한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어 배기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촉매(300)를 포함하는 담체(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배기가스 처리공간(110)을 가지며, 일측에 배기가스 유입구(120)가 구비되고, 타측에 배기가스 배출구(13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배기가스는 자동차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일 수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는 CO, HC 또는 NOx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배기가스 유입구(120)를 통하여 배기가스 처리공간(110)으로 유입되어, 후술하는 담체(200)에 형성된 촉매(300)에 의해 정화되어 하우징(100)의 타측에 위치하는 배기가스 배출구(1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CO, NOx, HC를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본 발명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하우징(100)을 통과하면서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담체(200)에 형성된 촉매(300)에 의해 안정적인 물질인 이산화탄소(CO2), 물(H2O), 질소(N2)로 정화되어 배기가스 배출구(130)로 배출될 수 있다.
담체(200)는 이러한 하우징(100) 내부 즉, 배기가스 처리공간(110)에 수용된다. 이러한 담체(200)는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300)가 형성되는 지지체로써, 이러한 담체(200)의 표면에는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30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담체(200)의 표면 전부에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3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300)가 형성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담체(200)는 벌집 구조 또는 그물구조망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러한 담체(200)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러한 담체(200)는 세라믹 담체일 수 있다.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300)는 담체(200)의 표면에 형성되며, 배기가스 유입구(120)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금속산화물은 귀금속 물질 또는 비귀금속 물질의 산화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산화물은 비귀금속 물질의 산화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금속산화물은 산화코발트, 산화구리 또는 산화철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산화코발트를 촉매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코발트는 귀금속물질에 비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가능하고, 약 -75 ℃에서부터 일산화탄소(CO) 산화 가능한 저온 활성 특성에 의해 약 150 ℃에서 일산화탄소(CO) 100% 산화, 일산화질소(NO) 약 50% 환원이 가능한 바, 냉간 시동시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의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는 나노선(nanowire), 나노로드(nanorod), 나노판(nanoplate), 나노파인(nanopine) 또는 나노벽(nanowall)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담체(200)의 표면에 촉매를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것보다 나노구조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촉매 변환 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정화 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배기가스 처리장치용 담체 표면에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배기가스 처리장치용 담체를 준비한다(S100). 이러한 담체는 벌집구조 또는 그물구조망일 수 있다.
그 다음에 금속산화물 전구체가 용해된 금속산화물 전구체 용액에 상기 담체를 투입한다(S200). 예를 들어 금속산화물 전구체는 코발트산화물 전구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류수에 질산 코발트 6수화물(Cobalt Nitrate Hexahydrate), 요소(Urea)를 용해시킨 전구체 용액에 그물구조망 형태의 담체를 투입할 수 있다. 만일, 담체 중 접착력(adhesion)이 떨어지는 재질(유리)인 경우에는 접착보조제로서 예컨대, 불화 암모늄(Ammonium Fluoride)을 전구체 용액에 용해시켜 담체와 산화 코발트 나노선 촉매 사이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그 다음에, 담체가 투입된 금속산화물 전구체 용액을 저온 상태에서 가열할 수 있다(S300). 이때의 저온 가열 단계는 담체의 표면에 금속 나노구조체를 성장시키는 단계로서, 이때의 저온 가열 온도 100 ℃ 내지 130 ℃ 일 수 있다.
또한, 이때의 가열 시간은 온도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보통 5시간 내지 15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20 ℃에서 가열할 경우 이때의 가열 시간은 10시간 내지 15시간일 수 있다.
이 때, 성장되는 금속 나노구조체는 수열합성법에서 용액의 농도, 반응시간 등의 조건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농도의 첨가물이 투입된 용액에 담체를 투입하여 수열합성한 경우, 담체 표면에 나노선 형태의 나노구조체가 성장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담체를 용액에서 꺼내 잔해물을 제거할 수 있다(S400). 이때, 물을 이용하여 잔해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잔해물을 제거한 담체를 고온 상태에서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고온 가열 단계는 금속 나노구조체를 산화시켜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때의 고온 가열 온도는 300℃ 내지 40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에서 꺼낸 담체를 400 ℃에서 가열하여 코발트 나노구조체를 산화시켜 코발트산화물 나노구조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가열 시간은 2시간 내지 4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때의 가열 시간은 3시간일 수 있다.
제조예 1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평평한 기판인 알루미늄 기판 상에 산화코발트 나노선 촉매를 제조하였다.
먼저 증류수에 질산 코발트 6수화물(Cobalt Nitrate Hexahydrate)과 요소(Urea)를 용해시켜 전구체 용액를 제작한다.
그 후 이러한 전구체 용액에 알루미늄 기판을 투입하고 저온(100~130℃)에서 10~15시간 가열하여 기판 상에 코발트 나노선 구조체를 제작하였다.
그, 다음에, 저온 반응이 끝난 후 기판을 전구체 용액에서 꺼내 증류수로 잔해물을 제거하였다.
이 후 기판을 고온(300~400℃)에서 2~4시간 가열하여 코발트 나노선을 산화시켜 산화코발트 나노선 촉매를 제조하였다.
도 3은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산화코발트 나노선 촉매의 SEM 이미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 상에 산화코발트 나노선 촉매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그물구조망 형태의 담체 상에 산화코발트 나노선 촉매를 제조하였다. 이때의 담체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강이다.
먼저, 증류수에 질산 코발트 6수화물(Cobalt Nitrate Hexahydrate)과 요소(Urea)를 용해시켜 금속산화물 전구체 용액을 제작하였다.
그 후 금속산화물 전구체 용액에 그물구조망 형태의 담체를 투입하고 저온(100~130℃)에서 10~15시간 가열하여 담체 표면에 코발트 나노선 구조체를 제작하였다.
저온 반응이 끝난 후 담체를 금속산화물 전구체 용액에서 꺼내 증류수로 잔해물을 제거하였다.
이 후 담체를 고온(300~400℃)에서 2~4시간 가열하여 산화시켜 산화코발트 나노선 촉매를 제조하였다.
도 4는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표면에 산화코발트 나노선 촉매가 형성된 그물 구조망 담체의 SEM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그물 구조망 담체의 표면에 산화코발트 나노선 촉매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들의 SEM 이미지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열합성법을 이용할 경우 전구체 용액의 적절한 배합을 통해 나노선 구조체뿐만 아니라 마름모 모양의 나노로드(Rhombus like nanorod, 도 5(a)), 나노판(Nanoplate, 도 5(b)), 솔잎 모양의 나노파인(Nanopine, 도 5(c)) 및 나노벽(Nanowall, 도 5(d))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담체의 표면에 나노구조체 촉매를 형성함으로써 촉매 변환 할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켜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나노 구조체 촉매를 이용함으로써, 귀금속 촉매 대신 비귀금속 촉매를 사용하여도 충분한 정화 효율을 갖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비귀금속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귀금속 촉매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동등한 성능의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 비귀금속 촉매 중 산화코발트를 촉매로 사용함으로써 냉간 시동 시의 문제점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하우징 110: 배기가스 처리공간
120: 배기가스 유입구 130: 배기가스 배출구
200: 담체 300: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

Claims (7)

  1. 내부에 배기가스 처리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배기가스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에 배기가스 배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배기가스 처리공간에 수용되는 담체; 및
    상기 담체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기가스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구조체는 나노선, 나노로드, 나노판, 나노파인 또는 나노벽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는 CO, HC 또는 NOx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벌집 구조 또는 그물구조망 형태인 배기가스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비귀금속 물질의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산화코발트, 산화구리 또는 산화철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 촉매는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상기 담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140076067A 2014-06-20 2014-06-20 배기가스 처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72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6067A KR101472255B1 (ko) 2014-06-20 2014-06-20 배기가스 처리장치
PCT/KR2014/012517 WO2015194724A1 (ko) 2014-06-20 2014-12-18 배기가스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6067A KR101472255B1 (ko) 2014-06-20 2014-06-20 배기가스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255B1 true KR101472255B1 (ko) 2014-12-16

Family

ID=5267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60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2255B1 (ko) 2014-06-20 2014-06-20 배기가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2255B1 (ko)
WO (1) WO20151947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88655A1 (en) * 2017-06-20 2021-06-24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Methods of synthesizing metal oxide nanostructures and photocatalytic water treatment applications of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594B1 (ko) 2005-04-01 2006-11-23 희성엥겔하드주식회사 입자물질 산화촉매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젤 입자물질배기필터
JP2012223667A (ja) 2011-04-15 2012-11-15 Toyota Motor Corp 柱状セリア触媒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1363B2 (ja) * 1996-07-25 2005-11-0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窒素酸化物接触還元除去触媒及び窒素酸化物接触還元除去方法
KR20040037724A (ko) * 2002-10-30 2004-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정화 기능을 갖는 매연 여과장치
JP2013173112A (ja) * 2012-02-27 2013-09-05 Tohoku Univ 排ガス浄化用触媒
JP5974579B2 (ja) * 2012-03-28 2016-08-2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排ガス浄化用担持触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594B1 (ko) 2005-04-01 2006-11-23 희성엥겔하드주식회사 입자물질 산화촉매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디젤 입자물질배기필터
JP2012223667A (ja) 2011-04-15 2012-11-15 Toyota Motor Corp 柱状セリア触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4724A1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08606A5 (ko)
JP5864444B2 (ja) 排気ガス浄化用触媒及び排気ガス浄化用触媒構成体
RU2015136783A (ru) Катализатор окисления аммиака
JP2012237282A (ja) 触媒装置
JP2008073654A (ja) ガス浄化方法,ガス浄化装置及びガス浄化触媒
JP5331177B2 (ja) 内燃機関の卑金属排ガス浄化装置
JP2008114153A (ja) 排気ガス浄化触媒、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及び排気ガス浄化方法
JP2008136979A5 (ko)
KR101472255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JP6107487B2 (ja) N2o分解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n2o含有ガスの分解方法
JP2004188388A (ja) ディーゼル排ガス浄化用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74670B2 (ja) 排ガス浄化用触媒
CN109317145B (zh) 一种锰氧化物贵金属复合型催化剂、制备方法及其应用
JP2016500331A (ja) ゾーン化ディーゼル酸化触媒
JP2006150223A (ja) 排ガス浄化フィルタ、該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排ガス浄化装置
JP6119426B2 (ja) 尿素scrシステム
JP4901938B2 (ja) Nox浄化用触媒
JP6126858B2 (ja) 内燃機関の排ガス浄化装置
JP4030515B2 (ja) 排ガス浄化触媒
JP6263991B2 (ja) 触媒材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触媒付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ガソリンエンジン用三元触媒の製造方法。
JP5476770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0115600A (ja) 酸化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排気処理装置
JP2004225067A (ja) 金属担体触媒装置からの貴金属回収方法
KR101637259B1 (ko) 산화촉매
JP2005296861A (ja) ディーゼル排ガス浄化用フィルタおよび排ガス浄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