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2217B1 -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 - Google Patents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217B1
KR101472217B1 KR1020130104146A KR20130104146A KR101472217B1 KR 101472217 B1 KR101472217 B1 KR 101472217B1 KR 1020130104146 A KR1020130104146 A KR 1020130104146A KR 20130104146 A KR20130104146 A KR 20130104146A KR 101472217 B1 KR101472217 B1 KR 10147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ir
argon gas
air cell
viny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준
Original Assignee
송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준 filed Critical 송원준
Priority to KR102013010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21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시계를 흐리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실,내외 공기의 열교환을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극대화하면서 간단한 설치와 유지보수의 용이성으로 이용자들의 경제적인 부감을 경감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냉,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 또는 알곤 가스 주입에 의하여 팽창과 수축이 일어나는 비닐 재질로 창문을 구성하는 유리의 내면과 연접되고 내부에 에어셀을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하나이상 형성하고, 상기 에어셀과 에어셀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창과, 제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경질이면서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재질로 창문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창유지구로 구성하고, 상기 창유지구는 창문을 구성하는 창틀프레임과 고정수단으로 탈부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A VINYL ADIABATIC WINDOW}
본 발명은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상업 및 산업용 건축물에 형성되는 창문의 내측에 부착하여 실내의 보온 및 보냉성을 향상시키고 결로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냉, 난방비를 절감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비닐 단열창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가정, 상업 또는 산업용)에는 공기나 햇빛을 받을 수 있고,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벽이나 지붕에 창문을 설치하며, 이와 같은 창문은 사각체의 창문프레임에 투명한 재질의 유리를 끼워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창문을 구성하는 유리는 종래에는 단수를 결합하여 사용하였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보온 및 보냉성과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두 장의 유리를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시킨 페어글라스(Pairglass)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창문에 보다 좋은 보온 및 보냉성과 내외부와의 기온차이로 유리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유리표면에 미세한 금속 피막을 형성시키거나, 두 장의 유리 사이에 알곤 가스를 주입하여 가시광선은 투과하고 자외선은 반사시켜 보온성을 높인 창문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커튼월 건축물의 외장재로 쓰이는 유리의 외관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거울 유리를 사용하거나, 옅은 단일색상을 갖는 유리를 사용하거나 유리 일면에 단일색상의 도자 안료를 실크스크린기법으로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고착시킨 스펜드럴 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페어글라스 제품들은 매우 고가인 결점을 내포하면서도 실내 온도의 보온성이 저하됨은 물론 내부 결로현상에 의한 수증기 서림 등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는 실정이며, 유리와 유리 사이에 단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입한 알곤 가스의 경우에도 밀봉기술의 부재로 인하여 쉽게 빠져나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알곤 가스가 무색 투명하기 때문에 창문이 완성된 상태에서도 가스가 주입되었는지 또는 주입된 가스가 잔존하는지 확인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단열창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에 개발된 단열창의 기술적인 내용은 도 5를 통하여 예시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된 단열창(1)은, 한 쌍의 전, 후면판(11)(12)의 사이에 다수의 격벽(13)이 등 간격으로 일체화 연결 설치되고, 상기 격벽(13)의 사이사이에 보온챔버(15)가 격리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 골판지형 보온창(10)과;
상기 골판지형 보온창(10)의 사방 둘레를 감싸면서 견고하게 지지하는 창프레임(20)으로 구성하고, 골판지형 보온창(10)은 폴리카보네이트를 원 소재로 하여 압출성형으로 일체화하면서 투명체이거나 또는 불투명체인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특허출원 제 10 - 2008 - 0062123 호 특허출원 제 10 - 2010 - 0113525 호 특허 제 10 - 1196488 - 0000 호 특허 제 10 - 1206414 - 0000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단열창은, 창문을 창문프레임에 결합 되는 유리 대용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를 보온 챔버를 가지도록 압출성형하여 필요에 맞게 재단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어, 창문을 구성할 때 쉽게 깨어지는 폐단은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창문이 완성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과정이나 창문을 구성하기 위한 작업 과정에서 보온창의 표면이 긁혀지거나 쉽게 이물질이 흡착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창문을 구성하는 보온창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재질이 아니기 때문에 쉽게 구하는 것도 어렵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보온창의 손상이 있을 경우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기 위한 작업 또한 쉽게 이루어지지 않고 그에 따라 많은 유지 보수비용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용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실질적으로 보온창이 보온 챔버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일반적으로 유리를 2중으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창문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결국에는 유리가 폴리카보네이트로 변경된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목적하는 바의 단열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공기 또는 알곤 가스 주입에 의하여 팽창과 수축이 일어나는 비닐 재질로 창문을 구성하는 유리의 내면과 연접되고 내부에 에어셀을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하나이상 형성하고, 상기 에어셀과 에어셀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창과, 제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경질이면서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재질로 창문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창유지구로 구성하고, 상기 창유지구는 창문을 구성하는 창틀프레임과 고정수단으로 탈부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창문 시계를 흐리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실,내외 공기의 열교환을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극대화하면서 간단한 설치와 유지보수의 용이성으로 이용자들의 경제적인 부감을 경감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냉,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창문의 내부 창틀프레임에 부착시켜 실내,외부의 공기가 대류에 의하여 교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열성을 높이도록 하면서 필요에 따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을 도시한 일부파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을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을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단열창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을 도시한 일부파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을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을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의 사용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100)은, 공기 또는 가스 주입에 의하여 팽창과 수축이 일어나는 비닐 재질로 창문(101)을 구성하는 유리(102)의 내면과 연접되고 내부에 에어셀(103)을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하나이상 형성하고, 상기 에어셀(103)과 에어셀(103)을 연결하는 연결부(104)로 구성되는 창(105)을 구비한다.
상기 창(105)은 제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과 같이 투명하면서 경질인 창문(101)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창유지구(106)로 구성하고, 상기 창유지구(106)는 창문(101)을 구성하는 창틀프레임(107)과 접착제, 양면테이프, 레벳, 나사 등과 같은 통상적인 고정수단으로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창(105)과 창유지구(106)는, 실내에서 실외 시야를 확보하는 데 지장이 없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창(105)과 창유지구(106)의 표면에는 미적인 감을 높일 수 있도록 실외 시계 확보에 관계없이 다양한 무늬나 그림, 실사를 표현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창(105)에는 물놀이용 고무(비닐)튜브에 적용되어 공기 주입과 배출을 수행하는 공지기술의 에어밸브(110)를 구비하여 에어셀(103)에 공기 또는 단열성능을 높이도록 알곤 가스를 주입하여 에어셀(103)을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에어밸브(110)는 창(105)에 하나만 구비하여 연결부(104)를 통하여 각각의 에어셀(103)과 에어셀(103)로 공기 또는 알곤 가스가 주입되도록 하여도 되고, 각각의 에어셀(103)에 에어밸브(110)를 주입하여 에어셀(103) 마다 독립되게 공기 또는 알곤 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창(105)은 비닐로 프론트비닐(111)과 리어비닐(112)을 구비한 후 양단부는 기밀상태로 접착(열접착이 바람직함)시키고, 에어셀(103)과 에어셀(10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04)에는 공기 또는 알곤 가스가 유통할 수 있는 이동홀(113)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접합부(114)를 다수 개 형성하여 에어셀(103)에 공기 또는 알곤 가스를 주입하였을 때 연결부(104)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창유지구(106)는 수용홈(115)을 가지는 개략 ㄷ 형상의 모재(116)를 창(105)의 크기에 맞게 절단 또는 절곡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창틀프레임(107)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창(105)과 창유지구(106)의 두께는 창틀프레임(107)에 부착하였을 때 창틀프레임(107) 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될 경우 외관이 좋지 않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창틀프레임(107)에 수용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창(101)을 구성하는 창틀프레임(107)의 크기에 맞게 모재(116)를 이용하여 창유지구(106)를 완성하고, 상기 창유지구(106)의 수용홈(115)에는 창(105)을 수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창(105)에 구비되는 에어밸브(110)에 공기 또는 알곤 가스를 주입하여 에어셀(103)이 팽창되도록 하여 비닐 단열창(100)을 완성하고, 완성된 비닐 단열창(100)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창틀프레임(107)의 내측에 부착시킴으로써 비닐 단열창(10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비닐 단열창(100)은, 창틀프레임(107)의 내부에 밀착된 상태에 있으면서 창(105)을 구성하는 에어셀(103)의 내부에 충진된 공기 또는 알곤 가스에 의하여 실내와 실외의 공기가 열교환 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실내에서 냉,난방중인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최소화되고,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또한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내공기의 외부 유출과 외부공기의 실내유입을 최소화 함으로서 냉방 중일 경우에는 실외의 더운 공기의 실내유입은 방지하면서 실내의 차가운 공기의 실외 유출을 방지하게 되며, 난방 중일 경우에는 실외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실내의 더운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비닐 단열창(100)의 경우에는 필요 시 창문(101)의 실내 창틀프레임(107)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기온이 생활하기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춘절기 또는 추절기에는 이탈시켜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로 보관하여 둠으로써 이용상의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창(105)을 구성하는 에어셀(103)에 공기 또는 알곤 가스를 주입한 상태에서 에어밸브(110)에 의하여 누출이 방지되기 때문에 단열을 위한 공기 또는 알곤 가스의 주입 여부가 바로 체크 되므로 종래와 같이 창을 구성하는 유리와 유리 사이에 알곤 가스 주입 여부 미확인으로 야기될 수 있는 비 단열로 인한 냉,난방비용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창문 시계를 흐리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실,내외 공기의 열교환을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극대화하면서 간단한 설치와 유지보수의 용이성으로 이용자들의 경제적인 부감을 경감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냉,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100; 비닐 단열창
101; 창문
103; 에어셀
104; 연결부
105; 창
106; 창유지구
110; 에어밸브
113; 이동홀
114; 접합부
115; 수용홈

Claims (2)

  1. 공기 또는 알곤 가스 주입에 의하여 팽창과 수축이 일어나는 비닐 재질로 창문을 구성하는 유리의 내면과 연접되고 내부에 에어셀을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하나이상 형성하고, 상기 에어셀과 에어셀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창과;
    제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경질이면서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재질로 창문의 내측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창유지구로 구성하고;
    상기 창유지구는 창문을 구성하는 창틀프레임과 고정수단으로 탈부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하고;
    상기 창에는 공기 또는 알곤 가스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공지의 에어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창은, 프론트비닐과 리어비닐을 밀착시켜 양단부는 기밀상태로 접착시키고, 에어셀과 에어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에는 공기 또는 알곤 가스가 유통할 수 있는 이동홀이 형성되도록 접합부를 형성하여 에어셀에 공기 또는 알곤 가스를 주입하였을 때 연결부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창유지구는, 수용홈을 가지는 ㄷ 형상의 모재를 창 크기에 맞게 절단 또는 절곡하여 창틀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
  2. 삭제
KR1020130104146A 2013-08-30 2013-08-30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 Expired - Fee Related KR10147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146A KR101472217B1 (ko) 2013-08-30 2013-08-30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146A KR101472217B1 (ko) 2013-08-30 2013-08-30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217B1 true KR101472217B1 (ko) 2014-12-11

Family

ID=5267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1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2217B1 (ko) 2013-08-30 2013-08-30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2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552A (ko) * 2020-06-16 2021-12-23 김관호 폴리카보네이트 유리를 이용한 3중 접합유리 및 3중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20240006797A (ko) * 2022-07-07 2024-01-16 한국전력공사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0832A (ja) * 1995-01-27 1996-10-08 Akira Ito ガラス窓の採光断熱カバー
JP2001193183A (ja) * 2000-01-17 2001-07-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建装部材用断熱性シートおよび断熱性建装部材
KR20100039323A (ko) * 2010-03-27 2010-04-15 나상근 에어커튼
JP2012077499A (ja) * 2010-09-30 2012-04-19 Hideyuki Yoshio 窓用断熱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0832A (ja) * 1995-01-27 1996-10-08 Akira Ito ガラス窓の採光断熱カバー
JP2001193183A (ja) * 2000-01-17 2001-07-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建装部材用断熱性シートおよび断熱性建装部材
KR20100039323A (ko) * 2010-03-27 2010-04-15 나상근 에어커튼
JP2012077499A (ja) * 2010-09-30 2012-04-19 Hideyuki Yoshio 窓用断熱具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552A (ko) * 2020-06-16 2021-12-23 김관호 폴리카보네이트 유리를 이용한 3중 접합유리 및 3중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102408878B1 (ko) 2020-06-16 2022-06-27 김관호 폴리카보네이트 유리를 이용한 3중 접합유리 및 3중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20240006797A (ko) * 2022-07-07 2024-01-16 한국전력공사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40124877A (ko) * 2022-07-07 2024-08-19 한국전력공사 경고표시부가 표시되는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40124882A (ko) * 2022-07-07 2024-08-19 한국전력공사 연결통로가 형성된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40125519A (ko) * 2022-07-07 2024-08-19 한국전력공사 걸이홀이 형성된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40125516A (ko) * 2022-07-07 2024-08-19 한국전력공사 주입구마개가 구비된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40125897A (ko) * 2022-07-07 2024-08-20 한국전력공사 공기충전실이 형성된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697231B1 (ko) 2022-07-07 2024-08-22 한국전력공사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712098B1 (ko) 2022-07-07 2024-10-02 한국전력공사 주입구마개가 구비된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712100B1 (ko) 2022-07-07 2024-10-02 한국전력공사 공기충전실이 형성된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712099B1 (ko) 2022-07-07 2024-10-02 한국전력공사 걸이홀이 형성된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712096B1 (ko) 2022-07-07 2024-10-02 한국전력공사 경고표시부가 표시되는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712097B1 (ko) 2022-07-07 2024-10-02 한국전력공사 연결통로가 형성된 지상개폐기의 감전방지용 롤스크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1940B2 (en) Glass element for a cabinet having a refrigerated chamber
ES2965072T3 (es) Acristalamiento aislante con separador de vidrio, especialmente para la unidad de clima controlado
JP2000335945A (ja) 一体型マルチガラス窓ユニットとサッシの組み立て品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18068382B1 (pt) Vidraça isolante notadamente para câmara climática
US20120324806A1 (en) High R-Value, Removable and Transparent Window Insulation Panels
US10704318B2 (en) Insulating glazing unit, in particular for a climate chamber
US20200056422A1 (en) Insulating glazing unit, in particular a triple insulating glazing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sulating glazing unit
KR102209026B1 (ko) 커튼월 창호 프레임
KR101876516B1 (ko) 결로방지용 진공유리 창호
KR101465508B1 (ko) 단열 창호
KR101472217B1 (ko) 알곤 가스가 주입된 비닐 단열창
RU2343371C2 (ru) Дверь с изолирующим остеклением и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такой дверью
US20190249483A1 (en) Universal strut for doors and window elements, apparatus,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102148232B1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덧댐 창호
US10760327B2 (en) Insulating glazing, in particular for a temperature-controlled piece of furniture
KR101368355B1 (ko)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1472986B1 (ko) 에너지 절감형 축열 유닛을 이용한 커튼 월 구조
CN112431522A (zh) 一种基于断桥间隔条的中空玻璃、制作方法及应用
CN205297175U (zh) 一体注塑开启扇及包含其的内开窗户
KR20110125042A (ko) 결로방지용 보온단열창문
KR200455056Y1 (ko) 다중유리
CN222141029U (zh) 一种加强型节能窗框结构及系统窗
CN206267720U (zh) 一种新型铝合金保温窗
JPH084441A (ja) ユニット式組立軽量断熱遮音障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50965Y1 (ko) 유리의 단열카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