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563B1 - 인지무선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간 자원공유를 위한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지무선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간 자원공유를 위한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1563B1 KR101471563B1 KR1020080067290A KR20080067290A KR101471563B1 KR 101471563 B1 KR101471563 B1 KR 101471563B1 KR 1020080067290 A KR1020080067290 A KR 1020080067290A KR 20080067290 A KR20080067290 A KR 20080067290A KR 101471563 B1 KR101471563 B1 KR 1014715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hannel
- control header
- coexistence
- fram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한편, CR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지국들이 공존하는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채널수가 적어서 CR 시스템들 또는 CR 기지국들이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SCH를 전송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설명과 같이 SCH는 각각의 슈퍼프레임의 시작점에서 전송되도록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CR 기지국들이 동시에 복수의 SCH들을 송신하게 되고, 상기 송신된 SCH들이 충돌할 수 밖에 없다. 즉, 종래 슈퍼프레임 구조에서는 단말의 제어, CR 시스템들(또는 CR 기지국들)간의 공존을 위한 정보를 송신할 때, 인접 CR 시스템 또는 CR 기지국간 신호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네트워크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동일한 채널에 공존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모드정보와 프레임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헤더를 생성하는 제어기와,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프레임들의 제1 프레임에 상기 제어헤더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는 슈퍼프레임에서 프레임마다 채널을 공유하고, 상기 모드정보는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의해 동작되는 현재 셀에 대해서 공존모드(coexistence mode) 혹은 정상모드(normal mode)인지를 지시하고, 상기 프레임할당 정보는 어떤 프레임들이 상기 현재 셀에 할당되었는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다수의 무선네트워크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의 장치에 있어서,
모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드정보와 프레임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헤더를 수신하는 제1 프레임 처리부와, 상기 모드정보를 기반으로 공존모드가 지시되어졌는지를 결정하는 프레임 관리기와, 상기 공존모드가 지시되어 있을 때, 상기 프레임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헤더를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네트워크는 슈퍼프레임에서 프레임마다 채널을 공유하고, 상기 모드정보는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의해 동작되는 현재 셀에 대해서 공존모드(coexistence mode) 혹은 정상모드(normal mode)인지를 지시하고, 상기 프레임할당 정보는 어떤 프레임들이 상기 현재 셀에 할당되었는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견지에 따르면, 복수의 인지무선(Cognitive Radio: CR) 네트워크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채널을 공유하기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슈퍼프레임 내에서, 기지국에 할당된 다수의 프레임 중 시작 프레임의 위치를 가리키는 프레임 오프셋과, 하나의 슈퍼프레임 내에서, 기지국에 할당된 프레임 정보를 위한 프레임 할당 맵을 포함하는 슈퍼프레임 제어 헤더(Super frame Control Header: SCH)를 다수의 기지국 각각에 대해 구성하여 각각의 기지국에 할당된 다수 프레임 중 각각 시작 프레임 위치에서 송수신하는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8 견지에 따르면, 복수의 인지무선(Cognitive Radio: CR) 통신시스템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채널을 공유하기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슈퍼프레임 내에서, 기지국에 할당된 프레임 정보를 위한 프레임 할당 맵, 상기 기지국에 대한 공존모드 혹은 정상모드인지를 지시하는 모드정보, 슈퍼프레임 번호, QP(Quiet Period) 정보 그리고 상기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슈퍼프레임 제어 헤더(Super frame Control Header: SCH)를 다수의 기지국 각각에 대해 구성하여 각각의 기지국에 할당된 다수 프레임 중 각각 해당 프레임 위치에서 송수신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9 견지에 따르면, 복수의 인지무선(Cognitive Radio: CR) 무선네트워크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프레임간 자원공유를 위한 기지국 동작 방법에 있어서, 운용가능한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운용가능한 채널이 없을 시, 다른 무선네트워크가 점유하고 있는 채널에 대해서,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점유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프레임 점유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슈퍼프레임 내에서 사용가능한 프레임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사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정보, 상기 기지국에 대한 공존모드 혹은 정상모드인지를 지시하는 모드정보, 슈퍼프레임 번호, QP(Quiet Period) 정보 그리고 상기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슈퍼프레임 제어 헤더(Super frame Control Header: SCH)를 상기 슈퍼프레임 내의 해당 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0 견지에 따르면, 복수의 인지무선(Cognitive Radio: CR) 무선네트워크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프레임간 자원공유를 위한 단말 동작 방법에 있어서, 공존모드인지 일반모드인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공존모드인 경우, 슈퍼프레임 내의 해당 프레임에서 프레임 할당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슈퍼프레임 내에서 할당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3에서는 하나의 슈퍼프레임 내에서 기지국 1 내지 기지국 3이 프레임을 할당받아 각각 시작하는 프레임(예: 기지국 1의 시작 프레임은 프레임 1이고 기지국 2의 시작 프레임은 프레임 2이고, 기지국 3의 시작 프레임은 프레임 3임)에 SCH가 포함되지만, 구현에 따라서, 상기 SCH는 슈퍼프레임 내에서 기지국이 각각 할당받은 다수의 프레임 중, 시작 프레임이 아닌 다른 어떤 프레임에 포함될 수도 있다.
Syntax | Notes |
Superframe_Control_Header_Format() { |
|
SCH_Type | Indicates the operation mode of current cell Normal mode =0 Coexistence mode = 1 |
If SCH_Type=1 { | |
Frame_Offset | Indicate the index of first operating frame within a super-frame |
Inter-Frame_Scheduling_MAP | Indicate which frames in a super-frame are assigned to present cell |
} | |
CT | Content Type Indicates the type of the content following the transmission of the SCH. Superframe = 0 CBP Beacon = 1 |
Superframe Number | Positive integer that represents the superframe number (modulo 255). |
TxID | MAC address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CPE or BS transmitting the SCH. |
CN | Indicates the physical TV channel number used by the BS. |
CP | Cyclic Prefix Factor: Specifies the size of the cyclic prefix in this superframe. |
Quite period information | Quite period scheduling information. |
Other IEs | Other information to be broadcast |
Claims (27)
- 동일한 채널에 공존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네트워크들의 방법에 있어서,모드정보와 프레임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헤더를 생성하는 과정과,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네트워크 각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이상 무선네트워크 각각에 할당된 프레임들의 제1 프레임에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되,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는 슈퍼프레임에서 프레임마다 채널을 공유하고,상기 모드정보는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의해 동작되는 현재 셀에 대해서 공존모드(coexistence mode) 혹은 정상모드(normal mode)인지를 지시하고,상기 프레임할당 정보는 어떤 프레임들이 상기 현재 셀에 할당되었는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헤더는 슈퍼프레임번호, QP(Quiet Period) 정보,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현재 기지국의 식별자, 상기 현재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물리적 TV 채널번호, 그리고 협상된 다수의 프레임들 셋에서 CP(Cyclic Prefix)의 크기를 명시하는 CP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다수의 프레임 셋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상기 다수의 프레임 셋을 결정하는 과정은,적어도 하나의 공존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채널을 스캔하는 과정과,이용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존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들로부터 프레임간 공유(inter-frame sharing)를 위한 채널을 선택하는 과정과,상기 프레임간 공유를 위한 선택된 채널의 프레임 점유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하나의 공존시스템만이 상기 프레임간 공유를 위한 선택된 채널을 점유하는 경우, 채널 임대/제공 및 채널 경쟁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채널 기반의 공존메커니즘(coexistence mechanism)에 기반하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채널이 공유되고,하나 이상의 공존시스템이 상기 프레임간 공유를 위한 선택된 채널을 점유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점유 상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간 공유를 위한 선택된 채널의 모든 프레임들이 점유되는 경우, 프레임 임대/제공 및 프레임 경쟁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레임간 공존메커니즘(coexistence mechanism)을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동일한 채널에 공존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네트워크들의 방법에 있어서,모드정보와 프레임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헤더를 생성하는 과정과,적어도 둘 이상의 기지국 각각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기지국 각각에 할당된 프레임들의 제1 프레임에 상기 제어헤더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되,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는 슈퍼프레임에서 프레임마다 채널을 공유하고,상기 모드정보는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의해 동작되는 현재 셀에 대해서 공존모드(coexistence mode) 혹은 정상모드(normal mode)인지를 지시하고,상기 프레임할당 정보는 어떤 프레임들이 상기 현재 셀에 할당되었는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헤더는 슈퍼프레임번호, QP(Quiet Period) 정보,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현재 기지국의 식별자, 상기 현재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물리적 TV 채널번호, 그리고 협상된 다수의 프레임들 셋에서 CP(Cyclic Prefix)의 크기를 명시하는 CP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다수의 무선네트워크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모드정보와 프레임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헤더를 수신하는 과정과,상기 모드정보를 기반으로 공존모드가 지시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과정과,상기 공존모드가 지시되어 있을 때, 상기 프레임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헤더를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되,상기 무선네트워크는 슈퍼프레임에서 프레임마다 채널을 공유하고,상기 모드정보는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의해 동작되는 현재 셀에 대해서 공존모드(coexistence mode) 혹은 정상모드(normal mode)인지를 지시하고,상기 프레임할당 정보는 어떤 프레임들이 상기 현재 셀에 할당되었는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헤더는 슈퍼프레임번호, QP(Quiet Period) 정보,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현재 기지국의 식별자, 상기 현재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물리적 TV 채널번호, 그리고 협상된 다수의 프레임들 셋에서 CP(Cyclic Prefix)의 크기를 명시하는 CP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네트워크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동일한 채널에 공존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모드정보와 프레임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헤더를 생성하는 생성기와,상기 적어도 하나이상 무선네트워크 각각에 할당된 프레임들의 제1 프레임에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되,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는 슈퍼프레임에서 프레임마다 채널을 공유하고,상기 모드정보는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의해 동작되는 현재 셀에 대해서 공존모드(coexistence mode) 혹은 정상모드(normal mode)인지를 지시하고,상기 프레임할당 정보는 어떤 프레임들이 상기 현재 셀에 할당되었는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어헤더는 슈퍼프레임번호, QP(Quiet Period) 정보,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현재 기지국의 식별자, 상기 현재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물리적 TV 채널번호, 그리고 협상된 다수의 프레임들 셋에서 CP(Cyclic Prefix)의 크기를 명시하는 CP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네트워크 각각에 대한 다수의 프레임 셋을 결정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상기 제어기는,적어도 하나의 공존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채널을 스캔하고,이용가능한 채널이 없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존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들로부터 프레임간 공유(inter-frame sharing)를 위한 채널을 선택하고,상기 프레임간 공유를 위한 선택된 채널의 프레임 점유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하나의 공존시스템만이 상기 프레임간 공유를 위한 선택된 채널을 점유하는 경우, 채널 임대/제공 및 채널 경쟁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채널 기반의 공존메커니즘(coexistence mechanism)에 기반하여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채널이 공유되고,하나 이상의 공존시스템이 상기 프레임간 공유를 위한 선택된 채널을 점유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점유 상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간 공유를 위한 선택된 채널의 모든 프레임들이 점유되는 경우, 프레임 임대/제공 및 프레임 경쟁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레임간 공존메커니즘(coexistence mechanism)을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적어도 둘 이상의 무선네트워크가 공존하는 환경에서 동일한 채널에 공존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모드정보와 프레임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헤더를 생성하는 제어기와,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프레임들의 제1 프레임에 상기 제어헤더를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되,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네트워크는 슈퍼프레임에서 프레임마다 채널을 공유하고,상기 모드정보는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의해 동작되는 현재 셀에 대해서 공존모드(coexistence mode) 혹은 정상모드(normal mode)인지를 지시하고,상기 프레임할당 정보는 어떤 프레임들이 상기 현재 셀에 할당되었는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제어헤더는 슈퍼프레임번호, QP(Quiet Period) 정보,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현재 기지국의 식별자, 상기 현재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물리적 TV 채널번호, 그리고 협상된 다수의 프레임들 셋에서 CP(Cyclic Prefix)의 크기를 명시하는 CP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다수의 무선네트워크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CPE(Customer Premise Equipment)의 장치에 있어서,모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드정보와 프레임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헤더를 수신하는 제1 프레임 처리부와,상기 모드정보를 기반으로 공존모드가 지시되어졌는지를 결정하는 프레임 관리기와,상기 공존모드가 지시되어 있을 때, 상기 프레임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헤더를 전송하는 무선네트워크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상기 무선네트워크는 슈퍼프레임에서 프레임마다 채널을 공유하고,상기 모드정보는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의해 동작되는 현재 셀에 대해서 공존모드(coexistence mode) 혹은 정상모드(normal mode)인지를 지시하고,상기 프레임할당 정보는 어떤 프레임들이 상기 현재 셀에 할당되었는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어헤더는 슈퍼프레임번호, QP(Quiet Period) 정보, 상기 무선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상기 제어헤더를 방송하는 현재 기지국의 식별자, 상기 현재 기지국에 의해 사용된 물리적 TV 채널번호, 그리고 협상된 다수의 프레임들 셋에서 CP(Cyclic Prefix)의 크기를 명시하는 CP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복수의 인지무선(Cognitive Radio: CR) 네트워크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채널을 공유하기 장치에 있어서,하나의 슈퍼프레임 내에서, 기지국에 할당된 다수의 프레임 중 시작 프레임의 위치를 가리키는 프레임 오프셋과,하나의 슈퍼프레임 내에서, 기지국에 할당된 프레임 정보를 위한 프레임 할당 맵을 포함하는 슈퍼프레임 제어 헤더(Super frame Control Header: SCH)를 다수의 기지국 각각에 대해 구성하여 각각의 기지국에 할당된 다수 프레임 중 각각 시작 프레임 위치에서 송수신하는 장치.
- 복수의 인지무선(Cognitive Radio: CR) 통신시스템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채널을 공유하기 장치에 있어서,하나의 슈퍼프레임 내에서, 기지국에 할당된 프레임 정보를 위한 프레임 할당 맵, 상기 기지국에 대한 공존모드 혹은 정상모드인지를 지시하는 모드정보, 슈퍼프레임 번호, QP(Quiet Period) 정보 그리고 상기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슈퍼프레임 제어 헤더(Super frame Control Header: SCH)를 다수의 기지국 각각에 대해 구성하여 각각의 기지국에 할당된 다수 프레임 중 각각 해당 프레임 위치에서 송수신하는 장치.
- 복수의 인지무선(Cognitive Radio: CR) 무선네트워크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프레임간 자원공유를 위한 기지국 동작 방법에 있어서,운용가능한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과,상기 운용가능한 채널이 없을 시, 다른 무선네트워크가 점유하고 있는 채널에 대해서,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점유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상기 프레임 점유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슈퍼프레임 내에서 사용가능한 프레임을 결정하는 과정과,상기 결정된 사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정보, 상기 기지국에 대한 공존모드 혹은 정상모드인지를 지시하는 모드정보, 슈퍼프레임 번호, QP(Quiet Period) 정보 그리고 상기 기지국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슈퍼프레임 제어 헤더(Super frame Control Header: SCH)를 상기 슈퍼프레임 내의 해당 프레임에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CR 무선네트워크가 점유하고 있는 채널이 상기 기지국에 영향을 주지않으면, 채널기반의 공존메커니즘에 따라 상기 다른 CR 무선네트워크가 점유하고 있는 채널을 공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이 상기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프레임을 점유할 시,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 할당 정보를 슈퍼프레임 제어 헤더에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CR 무선네트워크가 점유하고 있는 채널에 대해서, 상기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이 모두 점유되어 있을 시, 프레임 기반의 공존 메커니즘(프레임 임대/제공, 프레임 경쟁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가능한 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CR 무선네트워크가 점유하고 있는 채널에 대해서, 상기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프레임 중 상기 기지국에 영향을 주지않는 프레임을 고려하여 사용가능한 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복수의 인지무선(Cognitive Radio: CR) 무선네트워크들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프레임간 자원공유를 위한 단말 동작 방법에 있어서,공존모드인지 일반모드인지를 결정하는 과정과,상기 공존모드인 경우, 슈퍼프레임 내의 해당 프레임에서 프레임 할당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슈퍼프레임 내에서 할당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6항에 있어서,상기 일반모드는 슈퍼프레임 내의 모든 프레임을 하나의 CR 무선네트워크가 점유하고 있는 상태이고, 상기 공존모드는 다수의 CR 무선네트워크가 슈퍼프레임 내의 프레임을 공유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7290A KR101471563B1 (ko) | 2008-07-10 | 2008-07-10 | 인지무선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간 자원공유를 위한 방법및 장치 |
US12/501,085 US8289903B2 (en) | 2008-07-10 | 2009-07-10 |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based resource sharing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system |
PCT/KR2009/003791 WO2010005262A2 (en) | 2008-07-10 | 2009-07-10 |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based resource sharing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system |
CN200980126708.9A CN102089999B (zh) | 2008-07-10 | 2009-07-10 | 认知无线电通信系统中基于帧的资源共享的方法和装置 |
EP09794668.5A EP2297877B1 (en) | 2008-07-10 | 2009-07-10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rame based resource sharing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67290A KR101471563B1 (ko) | 2008-07-10 | 2008-07-10 | 인지무선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간 자원공유를 위한 방법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938A KR20100006938A (ko) | 2010-01-22 |
KR101471563B1 true KR101471563B1 (ko) | 2014-12-11 |
Family
ID=4150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672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1563B1 (ko) | 2008-07-10 | 2008-07-10 | 인지무선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간 자원공유를 위한 방법및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289903B2 (ko) |
EP (1) | EP2297877B1 (ko) |
KR (1) | KR101471563B1 (ko) |
CN (1) | CN102089999B (ko) |
WO (1) | WO2010005262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54922B2 (en) | 2006-10-16 | 2012-08-28 | Stmicroelectronics, Inc. | Zero delay frequency switching with dynamic frequency hopping for cognitive radio based dynamic spectrum access network systems |
US8494546B2 (en) | 2006-10-16 | 2013-07-23 | Stmicroelectronics, Inc. | Method of inter-system communications dynamic spectrum access network systems-logical control connections |
US7869400B2 (en) * | 2006-10-16 | 2011-01-11 | Stmicroelectronics, Inc. | Method of inter-system coexistence and spectrum sharing for dynamic spectrum access networks-on-demand spectrum contention |
US8824432B2 (en) * | 2008-01-16 | 2014-09-02 | Stmicroelectronics, Inc. | Beaconing period framing for efficient multi-channel inter-cell communications in cognitive radio networks |
US8780882B2 (en) * | 2008-01-16 | 2014-07-15 | Stmicroelectronics, Inc. | On-demand spectrum contention for inter-cell spectrum sharing in cognitive radio networks |
US20100232380A1 (en) * | 2009-03-10 | 2010-09-16 |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spectrum operation modes in dynamic spectrum access systems |
US8374140B2 (en) | 2009-03-10 | 2013-02-12 | Stmicroelectronics, Inc. | Frame based, on-demand spectrum contention data frame acquisition |
TWI562654B (en) * | 2010-07-15 | 2016-12-11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Methods and system for efficient self-coexistence of wireless regional area networks |
WO2012036362A1 (ko) * | 2010-09-16 | 2012-03-22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인컴번트 신호 검출 및 채널 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US9019910B2 (en) | 2010-12-29 | 2015-04-2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
US8755275B2 (en) | 2010-12-29 | 2014-06-17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
US8804510B2 (en) * | 2010-12-29 | 2014-08-12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
CN102790980B (zh) * | 2011-05-19 | 2016-06-15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基于Wimax系统的上行频谱扫描方法及装置 |
WO2013153884A1 (ja) * | 2012-04-11 | 2013-10-17 |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 無線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管理装置 |
CN102905381B (zh) * | 2012-09-24 | 2015-03-11 | 上海交通大学 | 认知无线电中基于异构用户高效节能的合作感知调度方法 |
CN105376862B (zh) * | 2014-08-28 | 2019-04-19 |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 基于可调整竞争窗在免许可信道上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24824A (ko) * | 2006-09-15 | 2008-03-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협대역 모드 단말에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수퍼 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0008119D0 (en) * | 2000-04-03 | 2000-05-24 | Nokia Networks Oy | Estimating communication quality |
AU2002249746A1 (en) * | 2002-04-03 | 2003-10-13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Power contro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US20040141572A1 (en) * | 2003-01-21 | 2004-07-22 | Johnson Phillip Marc | Multi-pass inband bit and channel decoding for a multi-rate receiver |
CN1286301C (zh) * | 2003-10-17 | 2006-11-22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双向环网络的环号协商方法 |
US20060078059A1 (en) * | 2004-10-11 | 2006-04-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 and power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
JP5172680B2 (ja) | 2005-09-16 | 2013-03-27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自己共存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 |
CN101366307A (zh) * | 2005-09-28 | 2009-02-11 | Lg电子株式会社 | 频域信号处理的预处理方法和装置 |
US7710919B2 (en) * | 2005-10-21 | 2010-05-04 | Samsung Electro-Mechanics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pectrum-sensing cognitive radios |
KR101202901B1 (ko) * | 2005-11-05 | 2012-11-1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선 인지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 분배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
KR100825739B1 (ko) * | 2005-11-14 | 2008-04-2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Ofdma 기반 인지 무선 시스템에서의 동적 자원 할당방법 및 이를 위한 하향 링크 프레임 구조 |
US20080159208A1 (en) * | 2006-12-28 | 2008-07-03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on of shared spectru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9413686B2 (en) * | 2007-06-04 | 2016-08-09 | Qualcomm Incorporated | Establishing a unique end-to-end management key |
-
2008
- 2008-07-10 KR KR1020080067290A patent/KR10147156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
- 2009-07-10 CN CN200980126708.9A patent/CN10208999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7-10 EP EP09794668.5A patent/EP2297877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9-07-10 WO PCT/KR2009/003791 patent/WO2010005262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7-10 US US12/501,085 patent/US828990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24824A (ko) * | 2006-09-15 | 2008-03-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협대역 모드 단말에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수퍼 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0005262A2 (en) | 2010-01-14 |
EP2297877A4 (en) | 2016-05-11 |
US20100009692A1 (en) | 2010-01-14 |
WO2010005262A3 (en) | 2010-04-15 |
CN102089999A (zh) | 2011-06-08 |
KR20100006938A (ko) | 2010-01-22 |
EP2297877A2 (en) | 2011-03-23 |
EP2297877B1 (en) | 2017-09-06 |
US8289903B2 (en) | 2012-10-16 |
CN102089999B (zh) | 2015-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1563B1 (ko) | 인지무선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간 자원공유를 위한 방법및 장치 | |
JP6082041B2 (ja) | TVWS(TVWhiteSpace)で存在するネットワークをスキャニン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US20160308656A1 (en) | Bandwidth signalling | |
KR20100047170A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가 구성 망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EP2245796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switching channel under wireless network circumstances | |
US9516510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CN108028735B (zh) | 无线网络中的复用消息传送 | |
KR20130038362A (ko) |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에서 존재하는 네트워크 탐색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100063221A (ko) | 인지 무선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자원 교환 장치 및 방법 | |
US8958805B2 (en) | Method of managing terminal and controlling interference in small base station | |
US2010000829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existence beacon protocol packet in cognitive radio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844213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existence beacon protocol packet in cognitive rad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8411622B2 (en) | Multi-channel inter base-station communication | |
KR101548961B1 (ko) | 인지무선 시스템에서 운용모드들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100007675A (ko) | 인지 무선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공존 비콘 프로토콜패킷 송신 장치 및 방법 | |
US20240284435A1 (en) | Methods and devices of clear medium calibration coordination | |
CN102067710B (zh) | 使用不同无线接入技术的网络之间进行共存的方法及装置 | |
KR101478260B1 (ko)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가공존 영역 결정 장치 및 방법 | |
US8780852B2 (en) | Multi-channel inter base-station communication | |
KR101454004B1 (ko)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 |
KR20100051199A (ko) | 인지무선 시스템에서 프레임간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7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