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875B1 - Sectional flat bench for tent installation - Google Patents
Sectional flat bench for tent install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0875B1 KR101470875B1 KR20130146992A KR20130146992A KR101470875B1 KR 101470875 B1 KR101470875 B1 KR 101470875B1 KR 20130146992 A KR20130146992 A KR 20130146992A KR 20130146992 A KR20130146992 A KR 20130146992A KR 101470875 B1 KR101470875 B1 KR 1014708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frame
- coupling
- tent
- male scre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육면체로 된 몸체(101)에 " ㄱ "자 형과 하향으로 각각 결합돌부(102)를 형성하고 각 결합돌부(102)에 체결공(103)을 형성하며, 몸체(101)의 평면상에는 결합홈(104)을 형성한 코너브라켓(1)과;
정육면체로 된 몸체(201)에 " T "자 형과 하향으로 각각 결합돌부(202)를 형성하고 각 결합돌부(202)에 체결공(203)을 형성한 센터브라켓(2)과;
각관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통공(301)을 형성하여 양단부에 각각 코너브라켓(1)과 센터브라켓(2)의 결합돌부(102, 202)가 끼워진 후 통공(301)을 관통하여 체결공(103, 20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에 의해 고정되는 가로프레임(3)과;
각관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통공(401)을 형성하여 양단부에 코너브라켓(1)의 결합돌부(102)가 끼워진 후 통공(401)을 관통하여 체결공(10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에 의해 고정되며, 내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결합홈(402)을 형성한 세로프레임(4)과;
각관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센터브라켓(2)의 결합돌부(202)가 끼워지며,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결합홈(502)을 형성한 센터프레임(5)과;
각관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통공(601)을 형성하여 그 상단부에 코너브라켓(1) 또는 센터브라켓(2)에서 하향으로 형성된 결합돌부(102, 202)를 끼운 후 통공(601)을 관통하여 체결공(103, 20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로 고정하고, 하단부에는 암나사부(602)를 형성하여 상부에 수나사(603a)가 형성된 높이조절발(603)을 나사 결합한 다리프레임(6)과;
양단부에 걸림턱(701a)을 가진 결합부(701)를 형성하여 일단부는 세로프레임(4)의 패널결합홈(402)에 끼우고, 타단부는 센터프레임(5)의 일측면 패널결합홈(502)에 끼워서 결합하되, 세로프레임(4)의 길이만큼 다수 개를 밀착되게 결합하는 바닥패널(7)과;
상하 양단부에 수나사부(801)를 형성하여 통공(802b)을 구비한 돌편(802a)이 형성된 연결구(802)를 수나사부(801)에 각각 회전 가능케 끼운 후 하단부의 수나사부(801)는 코너브라켓(1)의 평면상에 형성된 결합홈(104)에 끼워서 고정하고, 상단부의 수나사부(801)에는 고정너트(803)를 나사 결합하는 지주봉(8)과;
두 개의 막대가 절첩 가능하도록 각 막대의 일측 끝 지점을 서로 힌지 결합하고, 양단부에는 하향으로 수나사부(901)를 형성하여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지주봉(8)에 설치된 연결구(802)의 돌편(802a)에 형성된 통공(802b)에 수나사부(901)를 끼운 후 체결너트(902)로 체결하여 고정하되, 한 쌍을 " X " 형으로 교차되게 설치하는 텐트프레임(9)으로 구성함으로써 평상 전체를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프레임을 이용해 평상의 바닥면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면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따른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텐트를 쉽게 칠 수 있도록 한 평탄한 평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install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nt,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body 101 having a cube shape and a coupling protrusion 102 downwardly, A corner bracket 1 on which a coupling groove 104 is formed on the plane of the body 101;
A center bracket 2 formed with a "T" shape on a cube body 201 and a coupling protrusion 202 formed downwardly and a coupling hole 203 formed on each coupling protrusion 202;
The through holes 30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enter bracket 1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02 and 202 of the center bracket 1 and the center bracket 2 are fitted to both ends of the coupling holes 103, A horizontal frame 3 fixed by a fastening bolt B fastened to the frame body 203;
A through hole 40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rner bracket 1 and the fastening bolt B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03 through the through hole 401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102 of the corner bracket 1 is inserted into both ends thereof. And a vertical frame 4 having a panel coupling groove 40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ide thereof;
A center frame 5 formed at each end of the center bracket 2 and fitt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02 of the center bracket 2 and having panel coupling grooves 502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hrough hole 601 is formed in the upper end and the corner bracket 1 or the coupling protrusions 102 and 202 formed downward from the center bracket 2 ar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601, A foot frame 6 having a height adjusting foot 603 formed by screwing a male screw 603 and a female screw 602 at a lower end of the leg frame 603 is fastened by fastening bolts B fastened to the holes 103 and 203, and;
One end portion is fitted into the panel engagement groove 402 of the vertical frame 4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engaged with the one side panel engagement groove 701a of the center frame 5 502), the floor panel (7) hav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connected frames (4);
A male screw portion 801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so that a connecting hole 802 formed with a protrusion 802a having a through hole 802b is rotatably fitted to the male screw portion 801. The male screw portion 801 at the lower end, A holding rod 8 which is fitted and fixed in an engaging groove 104 formed on the plane of the upper body 1 and to which a fixing nut 803 is screwed to the upper male threaded portion 801;
One end of each rod is hing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rods can be folded and a male screw portion 901 is formed downward at both ends so that the rod 8 of the connecting rod 802 provided on the diagonally- And a tent frame 9 which is fixed by fastening with a tightening nut 902 after inserting the male screw portion 901 into the through hole 802b formed in the through hole 802a, It is easy to carry and store by minimizing the volume by making the whole disassembly and assembling possible. By using the leg frame which can adjust the height, it is possible to keep the floor surface at a constant height and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floor surf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ooth flat surface for easily tenting the t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체를 분해 조립 가능하고, 높이 조절과 경사도 조절이 가능케 하여 장소에 따른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텐트를 쉽게 칠 수 있도록 한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주 5일 근무의 확산과 더불어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가족간의 유대감을 높이기 위해 산이나 들 또는 바닷가 따위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는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다양한 캠핑용품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With the proliferation of five-day workweek,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camping by camping with tents in the mountains, in the mountains, or on the beach in order to relieve stress and improve family ties, Camping equipment is being developed.
한편, 산이나 들 또는 바닷가 따위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는 것이 핵심인 캠핑의 특성상 여러 가지 캠핑 장비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텐트이기 때문에 텐트는 아무 곳에나 치는 것이 아니라 캠핑을 즐기기에 적합한 최적의 장소에 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nature of camping, which is the key to camping in a tent in the mountains, on the beach or on the beach, is the most important of all camping equipment, so the tent is not the place to go anywhere but the best place to camp .
따라서 일반적으로 캠핑을 즐기기 위하여 마련된 캠핑장의 경우에는 주로 그늘이 있고, 바닥이 평탄하며, 화장실이나 개수대가 근접해 있는 지정된 장소에 텐트를 치도록 하고 있으나, 캠핑장이 아닌 일반 휴양림이나 숲 속 또는 계곡이나 해수욕장 등과 같이 캠핑을 목적으로 준비된 장소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가 적절한 곳을 찾아서 텐트를 설치하게 된다.
Therefore, in general, camping sites designed to enjoy camping usually have a shade, a flat bottom, and a tent in a designated place near a toilet or a sink. However, in general, it is not a camping site but a recreational forest, a forest, , The user finds a suitable place and installs the tent.
그런데 숲 속이나 계곡 또는 주로 산악 지역에 마련되는 휴양림의 경우에는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지역이 많고, 바닥에 자갈이나 작은 암석이 많은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텐트를 치기 위한 장소를 찾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However, recreational forests located in forests, valleys, or mainly mountainous areas have many uneven surfaces, and there are many gravels and small rocks on the floo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ind a place to hit the tent .
그리하여 최근에는 휴양림과 같은 곳에서는 텐트를 치고 야영을 즐기는 야영객들을 위하여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경사지에 평상을 설치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아직도 텐트를 치기 위한 평상이 설치되지 않은 휴양림이 많을뿐만 아니라, 휴양림이 아닌 계곡이나 해수욕장 등과 같은 곳에서는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별도로 마련된 평상이 전무하기 때문에 캠핑을 위해서 텐트를 쳐야하는 야영객들은 부득이하게 바닥이 평탄하지 않거나, 자갈과 같은 작은 돌이 많고, 습기가 많은 지역에 텐트를 쳐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된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creational forests, such as recreational forests, where a tent is installed on a slope so that a tent can be installed for campers enjoying camping.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recreational forests However, campers who have to tent themselves for camping are unavoidably uneven in flooring, there are lots of small stones like gravel, and there is no moisture,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ground to install tents in places such as valleys or beaches. Frequently, you have to wear a tent in many areas.
위와 같이 바닥이 평탄하지 않거나, 자갈과 같은 작은 돌이 많고, 습기가 많은 지역에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는 경우에는 편안한 잠자리가 되지 않아서 불편할 뿐만 아니라, 텐트의 바닥면이 지면에 닿아 있기 때문에 개미 등 각종 벌레 등이 텐트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커서 텐트에서 야영을 하는데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If the floor is not flat or there is a lot of small stones such as gravel, and camping with a tent in a wet area, it is inconvenient because it does not become a comfortable bed, and because the bottom of the ten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camping in the tent is inconvenient due to the possibility that the insects enter the tent.
또한, 최근의 텐트들은 방수, 방풍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짐에 따라서 가격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인데, 위와 같이 자갈과 같은 작은 돌이 많고, 습기가 많은 지역에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는 경우에는 고가의 텐트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recent years, tents have been increasing in price due to various functions such as waterproof and windproof. In the case of camping with tents in a place where there are many small stones such as gravel and moisture,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it was easily damage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를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바닥면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하면서도 바닥면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따른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텐트를 쉽게 칠 수 있도록 한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entire body, And to provide a prefabricated flat for installation of a tent so that the tent can be easily hit while minimizing the constraint.
정육면체로 된 몸체(101)에 " ㄱ "자 형과 하향으로 각각 결합돌부(102)를 형성하고 각 결합돌부(102)에 체결공(103)을 형성하며, 몸체(101)의 평면상에는 결합홈(104)을 형성한 코너브라켓(1)과;A
정육면체로 된 몸체(201)에 " T "자 형과 하향으로 각각 결합돌부(202)를 형성하고 각 결합돌부(202)에 체결공(203)을 형성한 센터브라켓(2)과;A
각관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통공(301)을 형성하여 양단부에 각각 코너브라켓(1)과 센터브라켓(2)의 결합돌부(102, 202)가 끼워진 후 통공(301)을 관통하여 체결공(103, 20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에 의해 고정되는 가로프레임(3)과;The through
각관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통공(401)을 형성하여 양단부에 코너브라켓(1)의 결합돌부(102)가 끼워진 후 통공(401)을 관통하여 체결공(10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에 의해 고정되며, 내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결합홈(402)을 형성한 세로프레임(4)과;A through
각관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센터브라켓(2)의 결합돌부(202)가 끼워지며,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결합홈(502)을 형성한 센터프레임(5)과;A
각관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통공(601)을 형성하여 그 상단부에 코너브라켓(1) 또는 센터브라켓(2)에서 하향으로 형성된 결합돌부(102, 202)를 끼운 후 통공(601)을 관통하여 체결공(103, 20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로 고정하고, 하단부에는 암나사부(602)를 형성하여 상부에 수나사(603a)가 형성된 높이조절발(603)을 나사 결합한 다리프레임(6)과;A through
양단부에 걸림턱(701a)을 가진 결합부(701)를 형성하여 일단부는 세로프레임(4)의 패널결합홈(402)에 끼우고, 타단부는 센터프레임(5)의 일측면 패널결합홈(502)에 끼워서 결합하되, 세로프레임(4)의 길이만큼 다수 개를 밀착되게 결합하는 바닥패널(7)과;One end portion is fitted into the
상하 양단부에 수나사부(801)를 형성하여 통공(802b)을 구비한 돌편(802a)이 형성된 연결구(802)를 수나사부(801)에 각각 회전 가능케 끼운 후 하단부의 수나사부(801)는 코너브라켓(1)의 평면상에 형성된 결합홈(104)에 끼워서 고정하고, 상단부의 수나사부(801)에는 고정너트(803)를 나사 결합하는 지주봉(8)과;A
두 개의 막대가 절첩 가능하도록 각 막대의 일측 끝 지점을 서로 힌지 결합하고, 양단부에는 하향으로 수나사부(901)를 형성하여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지주봉(8)에 설치된 연결구(802)의 돌편(802a)에 형성된 통공(802b)에 수나사부(901)를 끼운 후 체결너트(902)로 체결하여 고정하되, 한 쌍을 " X " 형으로 교차되게 설치하는 텐트프레임(9)으로 구성된다.
One end of each rod is hing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rods can be folded and a
한편, 방수 원단을 이용해 사각 돔 형태로 형성되어, 천장의 네 모서리 부분에 연결공(T101)을 형성하고, 측면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지퍼를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여 개폐 가능케 한 코너개방부(T102)를 형성하며, 각 측면에는 지퍼를 이용해 개폐 가능한 출입구(T103)를 형성하되, 각 출입구(T103)는 방충망과 방수지가 이중 구조로 형성된 텐트의 연결공(T101)에 지주봉(8)의 수나사부(801)가 관통하도록 텐트(T)를 텐트프레임(9)과 지주봉(8)에 덮어씌운 후 지주봉(8)의 수나사부(801)에 고정너트(803)를 나사 결합하여 텐트(T)를 고정하고, 측면 네 모서리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끈(T104)을 지주봉(8)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구(802)의 돌편(802a)에 묶어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a waterproof fabric is used to form a square dome, and a connection hole T101 is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ceiling. A corner opening T102 is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side, (T103)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by using a zipper, and each of the entrance (T103) has a connecting hole (T101) of a tent formed by a double structure of an insecting net and a waterproofing paper, The tent T is covered with the
또한, 일측에 통공(302a)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바닥패널(7)을 지탱하는 막대형으로 된 보조프레임(303)의 단부가 삽입되는 요입홈(302b)을 형성한 보조브라켓(302)을 각 가로프레임(3)의 중간 지점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304)에 체결볼트(B)로 나사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 through
본 발명은 평상 전체를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프레임을 이용해 평상의 바닥면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면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따른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텐트를 쉽게 칠 수 있도록 한 평탄한 평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volume by minimizing the volume to facilitate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and is also capable of easily carrying and storing, and is capable of maintaining the floor surface at a constant height and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floor surf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at flat surface which can easily hit the tent while minimizing the restriction according to the place.
또한, 본 발명은 지주봉과 텐트브라켓을 이용해 평상 상부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텐트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tent can be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on the upper part of the flat surface by using the support rod and the tent bracke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너브라켓 설치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센터브라켓 설치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주봉 설치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텐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텐트 설치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텐트 설치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프레임 설치 상태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bracket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enter bracket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bar mount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of a t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nt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nt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frame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It is to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ny of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known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Come on.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의 네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코너브라켓(1)은 정육면체로 된 몸체(101)에 " ㄱ "자 형과 하향으로 각각 결합돌부(102)를 형성하고 각 결합돌부(102)에 체결공(103)을 형성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이때, 몸체(101)의 단면 형상보다 결합돌부(102)의 단면 형상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결합돌부(102)가 가로프레임(3)이나 세로프레임(4) 또는 다리프레임(6)과 결합될 때, 각 프레임의 끝 부분과, 코너브라켓(1)의 몸체(101)가 만나는 경계 지점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When the
코너브라켓(1)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센터브라켓(2)은 정육면체로 된 몸체(201)에 " T "자 형과 하향으로 각각 결합돌부(202)를 형성하고 각 결합돌부(202)에 체결공(203)을 형성하게 된다.
The
또한, 센터브라켓(2) 역시 코너브라켓(1)과 마찬가지로 몸체(201)의 단면 형상보다 결합돌부(202)의 단면 형상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결합돌부(202)가 가로프레임(3)이나 센터프레임(5), 다리프레임(6)과 결합될 때, 각 프레임의 끝 부분과, 센터브라켓(2)의 몸체(201)가 만나는 경계 지점의 높이가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가로프레임(3)은 사각 단면을 가진 각관으로 형성하되, 양단부에는 통공(301)을 형성하여 양단부에 각각 코너브라켓(1)과 센터브라켓(2)의 결합돌부(102, 202)를 끼운 후 체결볼트(B)의 나사부가 통공(301)을 관통하여 결합돌부(102, 202)에 형성된 체결공(103, 203)에 나사 결합되게 함으로써 가로프레임(3)을 코너브라켓(1)과 센터브라켓(2) 사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A through
세로프레임(4)은 가로프레임(3)과 마찬가지로 사각 단면을 가진 각관으로 형성하되, 양단부에는 통공(401)을 형성하여 양단부에 코너브라켓(1)의 결합돌부(102)를 끼운 후 체결볼트(B)의 나사부가 통공(401)을 관통하여 결합돌부(102, 202)에 형성된 체결공(103, 203)에 나사 결합되게 함으로써 세로프레임(4)을 코너브라켓(1) 사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The
센터프레임(5)은 가로프레임(3)이나 세로프레임(4)과 마찬가지로 사각 단면을 가진 각관으로 형성하여 양단부에 센터브라켓(2)의 결합돌부(202)를 끼워서 결합하게 된다.
The
한편, 세로프레임(4) 내측면과 센터프레임(5)의 양 측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패널결합홈(402, 502)을 형성함으로써 패널결합홈(402, 502)에 바닥패널(7)을 끼워서 설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즉, 바닥패널(7)의 양단부에는 걸림턱(701a)을 가진 결합부(701)를 형성함으로써, 일단부는 세로프레임(4)의 패널결합홈(402)에 끼우고, 타단부는 센터프레임(5)의 일측면 패널결합홈(502)에 끼워서 결합하되, 세로프레임(4)의 길이만큼 다수 개의 바닥패널(7)을 밀착되게 결합하게 된다. That is, by forming the
이때, 바닥패널(7)은 편백나무와 같이 인체에 유익한 친환경 소재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그리하여 코너브라켓(1)과 센터브라켓(2)을 이용하여 가로프레임(3)과 세로프레임(4)과 센터프레임(5)을 바닥패널(7)과 함께 결합함으로써 사각 형태의 평상틀 구조를 완성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평상틀 구조는 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게 된다.
By combining the
한편, 평상틀을 지탱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다리프레임(6)은 다른 프레임들과 마찬가지로 사각 단면을 가진 각관으로 형성하되 상단부에는 통공(601)을 형성하여 그 상단부에 코너브라켓(1) 또는 센터브라켓(2)에서 하향으로 형성된 결합돌부(102, 202)를 끼운 후 체결볼트(B)의 나사부가 통공(601)을 관통하여 결합돌부(102, 202)에 형성된 체결공(103, 203)에 나사 결합되게 함으로써 다리프레임(6)을 코너브라켓(1) 또는 센터브라켓(2)의 하부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또한, 다리프레임(6)의 하단부에는 암나사부(602)를 형성함으로써 상부에 수나사(603a)가 형성된 높이조절발(603)을 암나사부(602)에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되며, 높이조절발(603)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다리프레임(6)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따라서 평상틀을 구성하는 코너브라켓(1)과 센터브라켓(2)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다리프레임(6)을 이용해 평상틀을 지탱함으로써 평상틀의 바닥면을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 상에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다리프레임(6)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서 다리프레임(6)이 지탱하는 평상틀의 경사도도 함께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경사도 조절시에는 다리프레임(6)의 높이조절발(603)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발(603)의 저면은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Therefore, by supporting the flat frame by using the plurality of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된 평상에 텐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한편, 첨부도면 도 1 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봉(8)과 텐트프레임(9)을 설치하게 되는데, 지주봉(8)은 상하 양단부에 수나사부(801)를 형성하여 통공(802b)을 구비한 돌편(802a)이 형성된 연결구(802)를 지주봉(8)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801)에 각각 회전 가능케 끼운 후 하단부의 수나사부(801)는 코너브라켓(1)의 평면상에 형성된 결합홈(104)에 끼워서 고정하고, 상단부의 수나사부(801)에는 고정너트(803)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단부의 수나사부(801)에 끼워진 연결구(80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stall the tent on the flat surfac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ing
또한, 텐트프레임(9)은 두 개의 막대가 절첩 가능하도록 각 막대의 일측 끝 지점을 서로 힌지 결합하고, 양단부에는 하향으로 수나사부(901)를 형성하여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지주봉(8)에 설치된 연결구(802)의 돌편(802a)에 형성된 통공(802b)에 수나사부(901)를 끼운 후 체결너트(902)로 체결하여 고정하되, 한 쌍의 텐트프레임(9)이 " X " 형으로 교차되게 설치함으로써 모두 4개의 지주봉(8)과 2개의 텐트프레임(9)이 서로 연결되어 텐트를 지탱하기 위한 견고한 골격 구조를 이루게 된다.
In addition, the
그리하여 평상 상부에 위와 같이 텐트 지탱을 위한 지지봉과 텐트프레임(9)의 설치가 완료되면,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원단을 이용해 사각 돔 형태로 형성되어, 천장의 네 모서리 부분에 연결공(T101)을 형성하고, 측면의 네 모서리 부분에는 지퍼를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여 개폐 가능케 한 코너개방부(T102)를 형성하며, 각 측면에는 지퍼를 이용해 개폐 가능한 출입구(T103)를 형성하되, 각 출입구(T103)는 방충망과 방수지가 이중 구조로 형성한 텐트(T)의 연결공(T101)에 지주봉(8)의 수나사부(801)가 관통하도록 텐트를 텐트프레임(9)과 지주봉(8)에 덮어씌운 후 지주봉(8)의 수나사부(801)에 고정너트(803)를 나사 결합하여 텐트(T)를 고정하고, 측면 네 모서리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고정끈(T104)을 지주봉(8)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구(802)의 돌편(802a)에 묶어서 고정함으로써 평상 상부에 텐트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support rods and the
이때, 텐트(T)는 측면의 네 모서리 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코너개방부(T102)를 설치함으로써 원하는 벽면을 쉽게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텐트 내부의 개방감, 환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출입구(T103)는 방충망과 방수지를 이용하여 이중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방수지만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환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각종 벌레 등이 텐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tent T is provided with the corner opening T102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four corners of the side, the desired wall surface can be easily opened, thereby maximizing the open feeling and ventilation inside the tent , All the entrance (T103) are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using an insect screen and a waterproof paper, thereby selectively opening the waterproof but improving the ventilation and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various insects into the interior of the tent.
한편,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지붕면에 " X " 형으로 다수 개의 걸고리(T105)를 구비한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일반적인 돔형 텐트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면과 같이 지지붕에 의해 지지되는 텐트프레임(9)에 텐트의 걸고리(T105)를 걸고, 텐트의 바닥면 네 모서리에 연결되는 끈을 각 지주봉(8)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구(802)의 돌편(802a)에 묶어서 고정함으로써 평상 상부에 텐트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installing a conventional dome-type tent which is commercially available and has a plurality of hooks T105 on the roof surface in an "X & A tether frame T105 is attached to a
또한, 첨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과 같이 일측에 통공(302a)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요입홈(302b)을 형성한 보조브라켓(302)을 각 가로프레임(3)의 중간 지점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304)에 밀착시킨 후 체결볼트(B)의 나사부가 통공(302a)을 관통하여 체결공(304)에 나사 결합되게 함으로써 보조브라켓(302)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through
그리하여 각 가로프레임(3)의 중간 지점에 서로 대칭되도록 보조브라켓(302)을 설치한 후 서로 대향하는 보조브라켓(302)의 요입홈(302b)에 막대형으로 된 보조프레임(303)의 양 단부를 끼워서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e
따라서 바닥패널(7)이 설치된 평상틀의 저면에 보조브라켓(302)을 이용해 막대형으로 된 보조프레임(303)을 설치하게 되면, 보조프레임(303)이 평상틀에 설치된 바닥패널(7)의 가운데 지점을 가로지르면서 바닥패널(7)을 지지함으로써 평상틀의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바닥패널(7)의 하중지지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Whe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코너브라켓 101: 몸체
102: 결합돌부 103: 체결공
104: 결합홈 2: 센터브라켓
201: 몸체 202: 결합돌부
203: 체결공 3: 가로프레임
301: 통공 302: 보조브라켓
302a: 통공 302b: 요입홈
303: 보조프레임 4: 세로프레임
401: 통공 402: 패널결합홈
5: 센터프레임 502: 패널결합홈
6: 다리프레임 601: 통공
602: 암나사부 603: 높이조절발
603a: 수나사 7: 바닥패널
701: 결합부 701a: 걸림턱
8: 지주봉 801: 수나사부
802: 연결구 802a: 돌편
802b: 통공 803: 고정너트
9: 텐트프레임 901: 수나사부
902: 체결너트 B: 체결볼트
T: 텐트 T101: 연결공
T102: 지퍼 T103: 출입구
T104: 고정끈 T105: 걸고리1: corner bracket 101: body
102: coupling projection 103:
104: coupling groove 2: center bracket
201: body 202:
203: fastener 3: horizontal frame
301: through hole 302: auxiliary bracket
302a: through
303: Auxiliary frame 4: Vertical frame
401: through hole 402: panel coupling groove
5: center frame 502: panel joining groove
6: leg frame 601: through hole
602: Female thread portion 603: Height adjustable foot
603a: male thread 7: floor panel
701: engaging
8: Support rod 801: Male thread
802:
802b: Through hole 803: Fixing nut
9: tent frame 901: male thread portion
902: fastening nut B: fastening bolt
T: Tent T101: Connecting ball
T102: Zipper T103: Doorway
T104: Tie strap T105: Tie strap
Claims (3)
정육면체로 된 몸체(201)에 " T "자 형과 하향으로 각각 결합돌부(202)를 형성하고 각 결합돌부(202)에 체결공(203)을 형성한 센터브라켓(2)과;
각관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통공(301)을 형성하여 양단부에 각각 코너브라켓(1)과 센터브라켓(2)의 결합돌부(102, 202)가 끼워진 후 통공(301)을 관통하여 체결공(103, 20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에 의해 고정되는 가로프레임(3)과;
각관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는 통공(401)을 형성하여 양단부에 코너브라켓(1)의 결합돌부(102)가 끼워진 후 통공(401)을 관통하여 체결공(10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에 의해 고정되며, 내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결합홈(402)을 형성한 세로프레임(4)과;
각관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센터브라켓(2)의 결합돌부(202)가 끼워지며,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패널결합홈(502)을 형성한 센터프레임(5)과;
각관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통공(601)을 형성하여 그 상단부에 코너브라켓(1) 또는 센터브라켓(2)에서 하향으로 형성된 결합돌부(102, 202)를 끼운 후 통공(601)을 관통하여 체결공(103, 20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로 고정하고, 하단부에는 암나사부(602)를 형성하여 상부에 수나사(603a)가 형성된 높이조절발(603)을 나사 결합한 다리프레임(6)과;
양단부에 걸림턱(701a)을 가진 결합부(701)를 형성하여 일단부는 세로프레임(4)의 패널결합홈(402)에 끼우고, 타단부는 센터프레임(5)의 일측면 패널결합홈(502)에 끼워서 결합하되, 세로프레임(4)의 길이만큼 다수 개를 밀착되게 결합하는 바닥패널(7)과;
상하 양단부에 수나사부(801)를 형성하여 통공(802b)을 구비한 돌편(802a)이 형성된 연결구(802)를 수나사부(801)에 각각 회전 가능케 끼운 후 하단부의 수나사부(801)는 코너브라켓(1)의 평면상에 형성된 결합홈(104)에 끼워서 고정하고, 상단부의 수나사부(801)에는 고정너트(803)를 나사 결합하는 지주봉(8)과;
두 개의 막대가 절첩 가능하도록 각 막대의 일측 끝 지점을 서로 힌지 결합하고, 양단부에는 하향으로 수나사부(901)를 형성하여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두 지주봉(8)에 설치된 연결구(802)의 돌편(802a)에 형성된 통공(802b)에 수나사부(901)를 끼운 후 체결너트(902)로 체결하여 고정하되, 한 쌍을 " X " 형으로 교차되게 설치하는 텐트프레임(9)으로 구성되는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
A coupling protrusion 102 is formed in a cuboid body 101 and a coupling protrusion 102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n the body 101 and a coupling hole 103 is formed in each coupling protrusion 102. On the plane of the body 101, (104);
A center bracket 2 formed with a "T" shape on a cube body 201 and a coupling protrusion 202 formed downwardly and a coupling hole 203 formed on each coupling protrusion 202;
The through holes 30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enter bracket 1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02 and 202 of the center bracket 1 and the center bracket 2 are fitted to both ends of the coupling holes 103, A horizontal frame 3 fixed by a fastening bolt B fastened to the frame body 203;
A through hole 40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rner bracket 1 and the fastening bolt B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03 through the through hole 401 after the fastening protrusion 102 of the corner bracket 1 is inserted into both ends thereof. And a vertical frame 4 having a panel coupling groove 40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ide thereof;
A center frame 5 formed at each end of the center bracket 2 and fitt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02 of the center bracket 2 and having panel coupling grooves 502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hrough hole 601 is formed in the upper end and the corner bracket 1 or the coupling protrusions 102 and 202 formed downward from the center bracket 2 ar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601, A foot frame 6 having a height adjusting foot 603 formed by screwing a male screw 603 and a female screw 602 at a lower end of the leg frame 603 is fastened by fastening bolts B fastened to the holes 103 and 203, and;
One end portion is fitted into the panel engagement groove 402 of the vertical frame 4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engaged with the one side panel engagement groove 701a of the center frame 5 502), the floor panel (7) hav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connected frames (4);
A male screw portion 801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so that a connecting hole 802 formed with a protrusion 802a having a through hole 802b is rotatably fitted to the male screw portion 801. The male screw portion 801 at the lower end, A holding rod 8 which is fitted and fixed in an engaging groove 104 formed on the plane of the upper body 1 and to which a fixing nut 803 is screwed to the upper male threaded portion 801;
One end of each rod is hing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rods can be folded and a male screw portion 901 is formed downward at both ends so that the rod 8 of the connecting rod 802 provided on the diagonally- Which is composed of a tent frame 9 which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802b formed in the through hole 802a by inserting the male screw portion 901 and then tightened with the tightening nut 902 while the pair of the male screw portion 901 is crossed with the X- Prefabricated flat for installation.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aterproof fabric is used to form a square dome, wherein a connection hole (T101) is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ceiling, and a zipper is provided vertically at four corners of the side, (T103)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by using a zipper, and each of the entrance (T103) is provided with a support rod (8) on a tent connection hole (T101) The tent T is covered with the tent frame 9 and the support bar 8 so that the male screw portion 801 passes through the male screw portion 801 and then the fixing nut 803 is screwed to the male screw portion 801 of the support bar 8 The tent T is fixed and a fixing strap T104 formed at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four side edges is tied to the protrusion 802a of the connecting port 802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rut 8, Prefabricated flat for install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46992A KR101470875B1 (en) | 2013-11-29 | 2013-11-29 | Sectional flat bench for tent install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46992A KR101470875B1 (en) | 2013-11-29 | 2013-11-29 | Sectional flat bench for tent install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0875B1 true KR101470875B1 (en) | 2014-12-09 |
Family
ID=5267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469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0875B1 (en) | 2013-11-29 | 2013-11-29 | Sectional flat bench for tent install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0875B1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9937A (en) * | 2014-12-09 | 2016-06-17 | (주)옥시캡플러스 | A chamber for hyperbaric oxygen treatment |
KR20160069939A (en) * | 2014-12-09 | 2016-06-17 | (주)옥시캡플러스 | A chamber for hyperbaric oxygen treatment |
KR101674300B1 (en) | 2015-05-11 | 2016-11-09 | 권해경 | Leisure table |
KR101747884B1 (en) * | 2015-07-29 | 2017-06-15 | 정영길 | Sectional flat bench |
KR20180012234A (en) * | 2017-12-29 | 2018-02-05 | 김재흥 | Prefabricated tent |
KR101871780B1 (en) | 2017-04-27 | 2018-07-31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Tables convertible into temporary housing structures |
KR101946385B1 (en) * | 2018-08-10 | 2019-02-11 | 주식회사 유퍼니 | Low wooden bench |
KR200488715Y1 (en) * | 2018-02-07 | 2019-06-24 | 이승준 | A assembly type floor for camping |
JP2019112773A (en) * | 2017-12-21 | 2019-07-11 | 菱熱工業株式会社 | Structure for hot yoga |
KR102022027B1 (en) * | 2018-04-05 | 2019-09-17 | 최문규 | Self-assembly shelves |
KR102029257B1 (en) * | 2019-05-22 | 2019-10-08 | 박충서 | Disassembled assembly flat for tent installation |
KR102082005B1 (en) * | 2019-07-16 | 2020-05-29 | 최용석 | Floating and movable fishing pedestal |
US20220064975A1 (en) * | 2020-09-02 | 2022-03-03 | Bil-Jax, Inc. | Floor struc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
CN114673401A (en) * | 2022-04-14 | 2022-06-28 | 无锡铁川科技有限公司 | A special protective tent that can be quickly opened and using method |
CN115444256A (en) * | 2022-09-21 | 2022-12-09 | 故宫博物院 | Supporting device, turntabl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0432A (en) * | 2003-03-11 | 2004-09-30 | Seong-Tae Kim | Built-up bungalow |
CN201722976U (en) * | 2010-05-18 | 2011-01-26 | 石丰铭 | Environmentally friendly elevated ceiling combined living device with quick positioning structure |
-
2013
- 2013-11-29 KR KR20130146992A patent/KR1014708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70432A (en) * | 2003-03-11 | 2004-09-30 | Seong-Tae Kim | Built-up bungalow |
CN201722976U (en) * | 2010-05-18 | 2011-01-26 | 石丰铭 | Environmentally friendly elevated ceiling combined living device with quick positioning structure |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9939A (en) * | 2014-12-09 | 2016-06-17 | (주)옥시캡플러스 | A chamber for hyperbaric oxygen treatment |
KR101675087B1 (en) | 2014-12-09 | 2016-11-22 | (주)옥시캡플러스 | A chamber for hyperbaric oxygen treatment |
KR101675083B1 (en) | 2014-12-09 | 2016-11-22 | (주)옥시캡플러스 | A chamber for hyperbaric oxygen treatment |
KR20160069937A (en) * | 2014-12-09 | 2016-06-17 | (주)옥시캡플러스 | A chamber for hyperbaric oxygen treatment |
KR101674300B1 (en) | 2015-05-11 | 2016-11-09 | 권해경 | Leisure table |
KR101747884B1 (en) * | 2015-07-29 | 2017-06-15 | 정영길 | Sectional flat bench |
KR101871780B1 (en) | 2017-04-27 | 2018-07-31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Tables convertible into temporary housing structures |
JP2019112773A (en) * | 2017-12-21 | 2019-07-11 | 菱熱工業株式会社 | Structure for hot yoga |
KR20180012234A (en) * | 2017-12-29 | 2018-02-05 | 김재흥 | Prefabricated tent |
KR102087159B1 (en) * | 2017-12-29 | 2020-03-10 | 김재흥 | Prefabricated tent |
KR200488715Y1 (en) * | 2018-02-07 | 2019-06-24 | 이승준 | A assembly type floor for camping |
KR102022027B1 (en) * | 2018-04-05 | 2019-09-17 | 최문규 | Self-assembly shelves |
KR101946385B1 (en) * | 2018-08-10 | 2019-02-11 | 주식회사 유퍼니 | Low wooden bench |
KR102029257B1 (en) * | 2019-05-22 | 2019-10-08 | 박충서 | Disassembled assembly flat for tent installation |
KR102082005B1 (en) * | 2019-07-16 | 2020-05-29 | 최용석 | Floating and movable fishing pedestal |
US20220064975A1 (en) * | 2020-09-02 | 2022-03-03 | Bil-Jax, Inc. | Floor struc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
US11959300B2 (en) * | 2020-09-02 | 2024-04-16 | Bil-Jax, Inc. | Floor structure system and method of use |
CN114673401A (en) * | 2022-04-14 | 2022-06-28 | 无锡铁川科技有限公司 | A special protective tent that can be quickly opened and using method |
CN115444256A (en) * | 2022-09-21 | 2022-12-09 | 故宫博物院 | Supporting device, turntabl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CN115444256B (en) * | 2022-09-21 | 2024-02-02 | 故宫博物院 | Support device, turntable device and imag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0875B1 (en) | Sectional flat bench for tent installation | |
KR100914768B1 (en) | Portable flat bench | |
US20240044125A1 (en) | Modular furniture system | |
US10760280B2 (en) | Rail system for an outdoor shelter | |
US20170335595A1 (en) | Rail System For An Outdoor Shelter | |
KR101462789B1 (en) | house type movement assembly tent | |
US20130312355A1 (en) | Quick assembly modular partitions | |
US20060054208A1 (en) | Atmospheric protection device | |
KR101674300B1 (en) | Leisure table | |
US10914096B1 (en) | Tent with transparent top | |
US7377231B2 (en) | Retractable pet house | |
KR102029257B1 (en) | Disassembled assembly flat for tent installation | |
US20060283103A1 (en) | Gazebo | |
KR101520465B1 (en) | Romovable wondumak | |
KR102087159B1 (en) | Prefabricated tent | |
US20220154487A1 (en) | Self erecting protective shielding device for a one or more user | |
KR102183911B1 (en) | Balcony railing reinforcement device for apartment house | |
US6334456B1 (en) | Multi-level portable housing structure | |
KR102259197B1 (en) | The seating place for leisure | |
WO2018013059A1 (en) | A shelter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KR200467934Y1 (en) | Tarp for camping | |
KR101556543B1 (en) | Camping House having Extending Panel Module | |
KR102664965B1 (en) | Prefab house for easy movement | |
KR200475922Y1 (en) | Frame Structure with prefabricated flat bench of Frame Structure | |
US12258771B2 (en) | Modular tent system with removable roof and fl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