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0648B1 -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648B1
KR101470648B1 KR1020080109483A KR20080109483A KR101470648B1 KR 101470648 B1 KR101470648 B1 KR 101470648B1 KR 1020080109483 A KR1020080109483 A KR 1020080109483A KR 20080109483 A KR20080109483 A KR 20080109483A KR 101470648 B1 KR101470648 B1 KR 101470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downlink data
cel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677A (ko
Inventor
김형태
김병훈
서한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648B1/ko
Priority to PCT/KR2009/005392 priority patent/WO2010036006A2/en
Priority to US13/063,373 priority patent/US8811280B2/en
Publication of KR2010003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6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1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2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에 대한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이 복원할 수 있는 인접 셀 내의 제 2 단말에 대한 데이터이다.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제어신호 및 제어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SIGNAL IN MULTI-CELL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Multi-Cell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차세대 멀티미디어 무선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정보를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로 처리할 것을 요구한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질 수 있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OFDM은 주파수 대역을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로 분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 반송파 변조 기법이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는 OFDM에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결합하여 다중 사용자의 다중화를 제공하는 기법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ase Station; BS)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User Equipment; UE)을 포함한다. 단말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이하에서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전송을 의미하고,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전송을 의미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효율적인 시스템 구성을 위해 셀(cell) 구조를 갖는다. 셀이란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넓은 지역을 작은 구역으로 세분한 구역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셀의 중심부에 기지국을 설치하여 단말을 중계하며, 셀은 하나의 기지국이 제공하는 서비스 영역을 말한다.
다중 셀 환경하에서 OFDM/OFDMA 시스템의 인접하는 셀이 동일한 부반송파를 사용하게 되면, 이는 사용자들에게 간섭(interference)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를 셀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이라 한다. 특히, 셀간 간섭은 셀의 경계 부근에 있는 단말에게 큰 문제가 된다. 하향링크에서 셀의 경계 부근에 있는 단말은 인접 셀로부터 강한 간섭을 받는다. 상향링크에서 셀의 경계 부근에 있는 단말은 인접 셀에 강한 간섭을 줄 뿐만 아니라, 서빙 셀에서 경로 손실(Path Loss)에 의하여 낮은 전송률을 가지게 된다.
셀간 간섭을 줄이고 높은 데이터 전송률 및 시스템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하 여, 셀간 협력을 지원하는 다중 셀(Multi-cell) 협력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다중 셀 협력 방식에 따를 경우, 새로운 유형의 제어신호가 필요하다. 또한, 셀간 신호 처리를 위하여 많은 양의 제어신호가 요구되므로, 효과적인 제어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셀간 협력을 지원하는 다중 셀 협력 방식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제어신호와 제어 메커니즘을 필요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중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협력을 지원하는 제어신호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중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협력을 지원하는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1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2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에 대한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이 복원할 수 있는 인접 셀 내의 제 2 단말에 대한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서빙 기지국에서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1 제어신호를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인접 기지국에서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2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에 대한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제 1 단말이 복원할 수 있는 인접 셀 내의 제 2 단말에 대한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1 제어신호 및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2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서빙 셀로부터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접 셀로부터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원하여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로 인한 간섭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로 인한 간섭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단말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고,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1 제어신호 및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2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서빙 셀로부터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접 셀로부터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원하여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을 제거하고, 상기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원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은 제 1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1 제어신호 및 제 2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2 제어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2 제어신호를 인접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상향링크 데이터는 서빙 셀만이 복원할 수 있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상향링크 데이터는 서빙 셀 및 인접 셀이 복원할 수 있는 데이터이다.
다중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및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에 셀간 협력을 지원하는 새로운 유형의 제어신호 및 제어 메커니즘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다중 셀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ase Station; BS, 2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User Equipment; UE, 10)을 포함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시스템일 수 있다. OFDM은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subcarrier)를 이용한다. OFDM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와 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의 직교성 특성을 이용한다. 송신기는 데이터에 대해 IFFT를 수행하여 전송한다. 수신기는 수신신호에 대해 FFT를 수행하여 원래 데이터를 복원한다. 송신기는 다수의 부반송파들을 결합하기 위해 IFFT를 사용하며, 수신기는 다중 부반송파들을 분리하기 위해 대응하는 FFT를 사용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분일 수 있다.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이 존재할 수 있다. 셀은 하나의 기지 국(20)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이다. 다중 셀(multi cell)은 적어도 하나의 셀을 가지는 기지국이 복수로 배치되어 이루질 수 있다. 단말(10)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서빙기지국(Serving BS)이라 하고, 서빙기지국에 인접하는 기지국을 인접기지국(Neighbor BS)이라 한다. 서빙기지국의 셀을 서빙셀(Serving Cell)이라 하고, 인접기지국의 셀을 인접셀(Neighbor Cell)이라 한다.
기지국A(20-A)는 단말A(10-A)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지국B(20-B)는 단말B(10-B)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자. 단말A(10-A)에 대하여 기지국A(20-A)는 서빙기지국이고 기지국B(20-B)는 인접기지국이다. 단말B(10-B)에 대하여 기지국B(20-B)는 서빙기지국이고 기지국A(20-A)는 인접기지국이다. 단말A(10-A) 및 단말B(10-B)는 각자의 서빙셀의 경계에 위치한다고 하자. 기지국A(20-A)는 단말A(10-A)에게 스케줄링을 통하여 무선자원을 할당하고, 하향링크 데이터(DL DATA)를 전송한다. 기지국 B(20-B)가 전송하는 하향링크 데이터는 단말 B(10-B)뿐만 아니라 단말 A(10-A)로 수신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 B(20-B)의 하향링크 데이터는 단말 A(10-A)에게 큰 간섭(interference)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단말A(10-A)는 할당된 무선자원을 통하여 상향링크 데이터(UL DATA)를 전송한다. 단말A(10-A)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기지국A(20-A)뿐만 아니라 기지국B(20-B)로 수신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A(10-A)의 상향링크 데이터는 기지국B(20-B)에게 큰 간섭(interference)으로 작용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동일한 셀 내에서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으로 직교성이 있으므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 간에는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인접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 간에는 직교성이 유지되지 않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기지국A(20-A)와 기지국B(20-B)가 서로 협력하는 경우, 각 기지국에 위치한 안테나들은 다른 셀에 위치한 단말들을 고려하여 동작한다. 즉, 안테나들이 여러 셀에 흩어져 있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A(20-A)와 기지국B(20-B)가 서로 협력하는 방식을 다중 셀 협력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신호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및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로 나눌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는 무선자원영역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RS(Reference Signal) 정보 및 단말 어드레스(User Address)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자원영역(DL-MAP 또는 Resource Allocation) 정보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각 단말이 확보하고 있는 무선자원에 대한 정보이다.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무선자원영역 정보를 통해 자신의 무선자원영역을 확인하고, RS 정보를 참고하여 채널을 추정하며, MCS 레벨에 따라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단말 어드레스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단말 별로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는 기지국이 단말로 무선자원영역 정보 및 MCS 레벨 등의 제어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완화 및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다중 계층으로 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 다중 계층으로 나누어져 전송되는 데이터를 위한 새로운 제어신호 및 제어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먼저,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및 처리에 관한 제어신호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셀간 협력에 따른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A는 셀 A의 중심에 위치하고, 단말 B는 셀 B의 경계에 위치한다. 기지국 A는 셀 A의 기지국이고, 기지국 B는 셀 B의 기지국이다. 단말 A의 입장에서 셀 A는 서빙 셀이고, 셀 B는 인접 셀이다. 단말 B의 입장에서 셀 B는 서빙 셀이고, 셀 A는 인접 셀이다. 셀 A과 셀 B는 같은 시간 및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단말 B는 셀 B의 경계에 위치하므로, 셀 A에 의하여 강한 간섭을 받을 수 있다. 단말 A는 셀 A의 중심에 위치하므로, 셀 B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셀 A 및 셀 B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셀 A는 단말 B에 미치는 하향링크 간섭을 줄이고자 노력하는 셀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간 협력을 기반으로 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 예시한 셀 및 단말의 구성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 A는 단말 A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dA.DL)를 공통 데이터(Common data, dAc,DL) 및 개별 데이터(Pravite data, dAp,DL)로 나눈다(S100). 공통 데이터(dAc,DL)는 단말 A 및 단말 B가 모두 복원 할 수 있는 데이터로 정의한 다. 개별 데이터(dAp,DL)는 단말 A는 복원할 수 있으나, 단말 B는 복원할 수 없는 데이터로 정의한다.
기지국 A는 단말 A에 대한 공통 데이터(dAc,DL)와 개별 데이터(dAp,DL)를 하향링크로 전송하고, 이와 중첩되는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 B는 단말 B에 대한 개별 데이터(dBp,DL)를 하향링크로 전송한다(S110). 단말 B에 대한 개별 데이터(Pravite data, dBp,DL)는 단말 B는 복원할 수 있으나, 단말 A는 복원할 수 없는 데이터로 정의한다. 단계 S110에서, 기지국 A는 공통 데이터(dAc,DL)와 개별 데이터(dAp,DL)를 중첩 코딩(Superposition Coding) 등의 방법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A는 공통 데이터(dAc,DL)와 개별 데이터(dAp,DL)은 단말 A로 전송하지만, 단말 B가 셀 A 및 셀 B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단말 B는 상기 공통 데이터(dAc,DL)와 개별 데이터(dAp,DL)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A는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고, 간섭을 제거한다(S120). 단말 B도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고, 간섭을 제거한다(S121). 단계 S120에서, 단말 A는 개별 데이터(dAp,DL)로 인한 간섭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고 공통 데이터(dAc,DL)로 인한 간섭을 제거한다. 단말 A는 공통 데이터(dAc,DL)를 자신에 대한 데이터로 인식하여 적절한 처리를 수행한다. 단말 B는 개별 데이터(dAp,DL 및 dBp,DL)로 인한 간섭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고 공통 데이터(dAc,DL)로 인한 간섭을 제거한다. 단말 B는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고 간섭을 제거한 후, 상기 공통 데이터(dAc,DL)를 폐기한다.
간섭을 제거한 후, 단말 A는 개별 데이터(dAp,DL)를 복원한다(S130). 간섭을 제거한 후, 단말 B는 개별 데이터(dBp,DL)를 복원한다.(S131).
이에 따라, 단말 B의 입장에서, 기지국 A가 단말 B에 미치는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전력을 낮추어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지국 A의 입장에서, 단말 B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전송전력 및 전송률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단말은 개별 데이터(dAp,DL 또는 dBp,DL) 및 공통 데이터(dAc,DL)를 모두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새로운 제어신호의 정의 및 제어신호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 예시된 셀 및 단말의 구성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 B는 기지국 A로부터 단말 A에 대한 공통 데이터(dAc,DL)에 관한 제어신호(CAc,DL)를 수신한다(S200). 인접 기지국 간에 협력이 가능하므로, 제어신호의 교환이 가능하다.
기지국 B는 단말 B에 대한 개별 데이터(dBp,DL,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관한 제어신호(CBp,DL, 제 1 제어신호) 및 단계 S200에서 수신한 단말 A에 대한 공통 데이터(dAc,DL,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관한 제어신호(CAc,DL, 제 2 제어신호)를 단말 B(제 1 단말)로 전송한다(S210). 이와 함께, 기지국 A는 단말 A에 대한 개별 데이터(dAp,DL)에 관한 제어신호(CAp,DL)및 공통 데이터(dAc,DL)를 단말 A(제 2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211).
기지국 B는 단말 B에 대하여 하향링크로 개별 데이터(dBp,DL)만을 전송한다. 다만, 단말 B는 셀 A 및 셀 B의 경계에 위치하므로 기지국 A가 단말 A에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B는 기지국 A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복원하여 간섭을 제거한 후, 개별 데이터(dBp,DL)를 복원한다. 이때, 단말 B는 기지국 A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복원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필요로 한다. 즉, 단말 B는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공통 데이터에 대한 제어신호(CAc,DL)를 기지국 B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신호(CAc,DL)는 무선자원영역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수준, RS(Reference Signal) 정보, 단말 어드레스(User Address) 및 공통 데이터(dAc,DL)의 복원 후 폐기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Fla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CAc,DL, CAp,DL, CBp,DL)는 단말 어드레스로 CRC 마스킹(Cyclic Redundancy Check Mask)되어 전송될 수 있다. 즉, 기지국 B는 단말 B의 어드레스로 CRC 마스킹된 제어신호(CBp,DL)를 단말 B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A는 단말 A의 어드레스로 CRC 마스킹된 제어신호(CAc,DL, CAp,DL)를 단말 A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A 및 단말 B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CRC 체크를 하고, 자신에 대한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 B는 단말 B에 대한 개별 데이터(dBp,DL,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관한 제어신호(CBp,DL, 제 1 제어신호)를 단말 B(제 1 단말)로 전송한다(S300). 이와 함께, 기지국 A는 단말 A에 대한 개별 데이터(dAp,DL)에 관한 제어신호(CAp,DL) 및 공통 데이터(dAc,DL)에 관한 제어신호(CAc,DL)를 단말 A(제 2 단말)로 전송한다(S301). 기지국 A는 단말 A에 대한 공통 데이터(dAc,DL,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관한 제어신호(CAc,DL, 제 1 제어신호)를 단말 B(제 1 단말)로 전송한다(S310). 여기서, 단계 S310의 과정이 별도로 발생하지 않고, 단계 S301에서 기지국 A가 단말 A로 전송한 신호를 단말 B가 수신하여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기지국 B는 단말 B에 대하여 하향링크로 개별 데이터(dBp,DL)만을 전송한다. 다만, 단말 B는 셀 A 및 셀 B의 경계에 위치하므로 기지국 A가 단말 A로 전송한 신 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B는 기지국 A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복원하여 간섭을 제거한 후, 개별 데이터(dBp,DL)를 복원한다. 이때, 단말 B는 기지국 A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복원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필요로 한다. 즉, 단말 B는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공통 데이터에 대한 제어신호(CAc,DL)를 기지국 A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신호(CAc,DL)는 무선자원영역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수준, RS(Reference Signal) 정보, 단말 어드레스(User Address) 및 공통 데이터(dAc,DL)의 복원 후 폐기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Flag)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CAc,DL)는 단말 어드레스로 CRC 마스킹(Cyclic Redundancy Check Mask)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단말 B는 기지국 A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CAc,DL)를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 A가 제어신호(CAc,DL)를 협력에 참여하는 단말(예를 들어, 단말 B)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CAc,DL)를 공통 단말 어드레스로 CRC 마스킹하여 전송할 수 있다. 공통 단말 어드레스는 협력에 참여하는 복수의 단말에 대하여 공통으로 적용되는 어드레스이다. 단말 B가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신의 단말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공통 단말 어드레스로 수신된 제어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공통 어드레스로 수신된 제어신호는 구체적으로 어느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추가적인 단말 어드레스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A는 제어신호(CAc,DL)를 단말 A에 대한 어드레스로 CRC 마스킹하여 단말 B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기지국 A 또는 기지국 B는 추가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 B에게 이를 알려주어야 한다.
이하,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단말 B가 공통 데이터(dAc,DL)를 수신하기 위하여 필요로하는 제어신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어신호(CAc,DL)는 무선자원영역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수준, RS(Reference Signal) 정보, 단말 어드레스(User Address) 및 공통 데이터(dAc,DL)의 복원 후 폐기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Flag)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역 A는 기지국 A의 단말 A에 대한 개별 데이터(dAp,DL) 및 공통 데이터(dAc,DL)가 실리는 영역이다. 영역 B는 기지국 B의 단말 B에 대한 개별 데이터(dBp,DL)가 실리는 영역이다. 영역 A 및 영역 B가 겹쳐지는 부분에는 단말 A에 대한 개별 데이터(dAp,DL), 공통 데이터(dAc,DL) 및 단말 B에 대한 개별 데이터(dBp,DL)가 실릴 수 있다. 단말 B의 입장에서, 영역 A와 영역 B가 겹치는 부분에 실린 단말 A에 대한 데이터는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B는 단말 A에 대한 개별 데이터(dAp,DL)로 인한 간섭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여 공통 데이터(dAc,DL)로 인한 간섭을 제거한 후, 단말 B에 대한 개별 데이터(dBp,DL)를 복원한다. 이에 따라, 단말 B는 기지국 A로부터 받는 간섭을 완화할 수 있다.
단말 B는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기 위하여, 공통 데이터(dAc,DL)가 실린 무선자원영역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한다. 따라서, 제어신호(CAc,DL)는 공통 데이터(dAc,DL)가 실리는 무선자원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CAc,DL)는 MCS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데이터(dAc,DL)는 단말 A 및 단말 B가 모두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공통 데이터(dAc,DL)의 MCS 레벨은 단말 A 및 단말 B가 수신할 수 있는 MCS 레벨 가운데 낮은 전송률을 가지는 MCS 레벨로 설정되어야 한다.
제어신호(CAc,DL)는 RS(Reference Signa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B는 RS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데이터 복원을 위한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단말 B는 기지국 B로부터 단말 B에 대한 개별 데이터(dBp,DL)를 수신하고, 기지국 A로부터 단말 A에 대한 공통 데이터(dAc,DL)를 수신한다. 따라서, 단말 B의 개별 데이터(dBp,DL) 및 공통 데이터(dAc,DL) 각각에 대한 RS 정보는 다르다. 부가적으로, 단말 A의 입장에서, 단말 A는 기지국 A로부터 개별 데이터(dAp,DL) 및 공통 데이터(dAc,DL)를 수신한다. 이때, 효과적인 채널 추정을 위하여, 개별 데이터(dAp,DL) 및 공통 데이터(dAc,DL)각각에 대한 RS 정보는 다를 수 있다. RS 정보의 예로, RS 인덱스, 셀 인덱스, 단말 인덱스 및 RS 패턴 등이 있다.
제어신호(CAc,DL)는 단말 어드레스(User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B가 기지국 A로부터 수신하는 개별 데이터(dAp,DL) 및 공통 데이터(dAc,DL)는 단말 A에 대한 데이터이다. 따라서, 단말 B가 수신한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하여, 데이터가 어떤 단말을 대상으로 전송된 것인지를 지시하는 단말 어드레스가 필요하다. 단말 A에 대한 공통 데이터(dAc,DL)에 대한 단말 어드레스는 단말 A의 어드레스 또는 공통 어드레스일 수 있다. 공통 데이터(dAc,DL)에 대한 단말 어드레스가 단말 A의 어드레스인 경우, 기지국 A 또는 기지국 B는 단말 B로 공통 데이터(dAc,DL)가 단말 A의 어드레스를 사용한다는 정보를 알려주어야 한다. 공통 데이터(dAc,DL)에 대한 단말 어드레스가 공통 단말 어드레스인 경우, 공통 단말 어드레스는 단말 A 및 단말 B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용 어드레스이다. 공통 단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는 협력에 참여하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각각의 단말 어드레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CAc,DL)는 단말 어드레스로 CRC 마스킹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어드레스는 단말 A의 어드레스 또는 공통 단말 어드레스일 수 있다. 단말 B는 CRC 체크를 통하여, 제어신호(CAc,DL)가 자신에게 전송된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신호(CAc,DL)는 밸리드 플래그(Valid Flag)를 포함할 수 있다. 밸리드 플 래그는 데이터가 해당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인지 여부를 지시하는 비트이다. 예를 들어, 공통 데이터(dAc,DL)가 공통 단말 어드레스로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 A는 해당 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하여, 단말 A가 공통 데이터(dAc,DL)를 자신의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B는 해당 플래그를 'off'로 설정하여, 단말 B가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고, 이를 이용하여 간섭을 제거한 후, 폐기(discard)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 예시된 셀 및 단말의 구성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B는 단말 B에 대한 개별 데이터(dBp,DL,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관한 제어신호(CBp,DL, 제 1 제어신호) 및 단말 A에 대한 공통 데이터(dAc,DL,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관한 제어신호(CAc,DL, 제 2 제어신호)를 수신한다(S400). 제어신호(CAc,DL)는 기지국 A 및 기지국 B 간의 신호 교환을 통하여 기지국 B가 단말 B로 전송하거나, 기지국 A가 단말 B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단말 B는 기지국 B로부터 단말 B에 대한 개별 데이터(dBp,DL)를 수신하고, 기지국 A로부터 단말 A에 대한 개별 데이터(dAp,DL) 및 공통 데이터(dAc,DL)를 수신한다(S410). 개별 데이터(dAp,DL) 및 공통 데이터(dAc,DL)는 기지국 A가 단말 A로 전송한 데이터이다. 다만, 단말 B는 셀 A 및 셀 B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개별 데이터(dAp,DL) 및 공통 데이터(dAc,DL)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B는 개별 데이터(dAp,DL)의 간섭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여 공통 데이터(dAc,DL)로 인한 간섭을 제거한다(S420). 단말 B는 단계 S400에서 수신한 제어신호(CAc,DL)를 이용하여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할 수 있다.
단말 B는 공통 데이터(dAc,DL)로 인한 간섭이 제거된 상태에서 개별 데이터(dBp,DL)를 복원할 수 있다. 단말 B는 단계 S400에서 수신한 제어신호(CBp,DL)를 이용하여 개별 데이터(dBp,DL)를 복원할 수 있다.
단말 B는 RF(Radio Frequency)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프로세서는 상기 RF부와 연결되고, 개별 데이터(dBp,DL)에 대한 제어신호(CBp,DL) 및 공통 데이터(dAc,DL)에 대한 제어신호(CAc,DL)를 수신하고, 서빙 셀로부터 상기 개별 데이터(dBp,DL)를 수신하고, 인접 셀로부터 상기 공통 데이터(dAc,DL)를 수신하며, 공통 데이터(dAc,DL)를 복원하여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을 제거하고, 상기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개별 데이터(dBp,DL)를 복원한다.
이에 따라,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제어신호 및 효율적인 제어 메커니즘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셀간 협력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및 처리에 관한 제어신호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은 셀간 협력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A는 셀 A의 경계에 위치하고, 단말 B는 셀 B의 중심에 위치한다. 기지국 A는 셀 A의 기지국이고, 기지국 B는 셀 B의 기지국이다. 단말 A의 입장에서 셀 A는 서빙 셀이고, 셀 B는 인접 셀이다. 단말 B의 입장에서 셀 B는 서빙 셀이고, 셀 A는 인접 셀이다. 셀 A과 셀 B는 같은 시간 및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단말 A는 셀 A의 경계에 위치하므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시에 셀 B에 대하여 강한 간섭을 미칠 수 있다. 단말 B는 셀 B의 중심에 위치하므로, 셀 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간섭을 미칠 수 있다. 셀 A 및 셀 B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단말 A는 셀 B에 미치는 상향링크 간섭을 줄이고자 노력하는 셀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은 단말 A가 셀 중심에 위치하고 단말 B가 셀 경계에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간 협력을 기반으로 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서 예시된 셀 및 단말의 구성을 기초로 설명한다. 다만, 단말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 A는 상향링크 데이터(dA,UL)를 공통 데이터(Common data, dAc,UL) 및 개별 데이터(Pravite data, dAp,UL)로 나눈다(S500). 상향링크 데이터(dA,UL)는 단말 A가 기지국 A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이다. 공통 데이터(dAc,UL)는 단말 A의 서빙 셀(셀 A) 및 인접 셀(셀 B)이 모두 복원 할 수 있는 데이터로 정의한다. 개별 데이터(dAp,UL)는 셀 A는 복원할 수 있으나, 셀 B는 복원할 수 없는 데이터로 정의한다.
단말 A는 단말 A의 공통 데이터(dAc,UL)와 개별 데이터(dAp,UL)를 기지국 A로 전송하고, 이와 중첩되는 무선자원을 사용하여 단말 B는 단말 B의 개별 데이터(dBp,UL)를 기지국 B로 전송한다(S510). 공통 데이터(dAc,UL)와 개별 데이터(dAp,UL)은 기지국 A에 전송되는 데이터이다. 다만, 단말 A는 셀 A 및 셀 B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단말 A의 공통 데이터(dAc,UL)와 개별 데이터(dAp,UL)는 기지국 B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기지국 A는 단말 A의 개별 데이터(dAp,UL)로 인한 간섭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공통 데이터(dAc,UL)를 복원하고, 이로 인한 간섭을 제거한다(S520). 기지국 B는 단말 A의 개별 데이터(dAp,UL) 및 단말 B의 개별 데이터(dBp,UL)로 인한 간섭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공통 데이터(dAc,UL)를 복원하고, 이로 인한 간섭을 제거한다(S521). 단계 S520에서 간섭을 제거한 후, 기지국 A는 공통 데이터(dAc,UL)를 자신의 데이터로 인식하고 적절한 처리를 한다. 단계 S521에서 간섭을 제거한 후, 기지국 B는 공통 데이터(dAc,UL)를 폐기한다.
간섭을 제거한 후, 기지국 A는 단말 A의 개별 데이터(dAp,UL)를 복원한다(S530). 간섭을 제거한 후, 기지국 B는 단말 B의 개별 데이터(dBp,UL)를 복원한다(S531).
이에 따라, 기지국 B의 입장에서, 단말 A가 기지국 B에 미치는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전력을 낮추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말 A의 입장에서, 기지국 B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전송전력 및 전송률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를 개별 데이터 및 공통 데이터로 분리된 다중 계층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제어신호의 정의 및 제어신호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서 예시된 셀 및 단말의 구성을 기초로 설명한다. 다만, 단말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경우, 기지국은 자신의 셀에 속한 단말들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제어신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중 계층으로 분리된 데이터에 대한 제어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 A는 단말 A의 개별 데이터(dAp,UL, 제 1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신호(CAp,UL, 제 1 제어신호) 및/또는 공통 데이터(dAc,UL, 제 2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신호(CAc,UL, 제 2 제어신호)를 기지국 B로 전송한다(S600). 기지국 A 및 기지국 B 간의 전송은 상기 기지국을 연결하는 유선링크를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 B는 S600에서 수신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단말 B의 개별데이터(dBp,UL, 제 3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신호(CBp,UL, 제 3 제어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 A는 단말 A의 개별 데이터(dAp,UL)에 대한 제어신호(CAp,UL) 및 공통 데이터(dAc,UL)에 대한 제어신호(CAc,UL)를 단말 A로 전송하고(S610), 기지국 B는 단말 B의 개별 데이터(dBp,UL)에 대한 제어신호(CBp,UL)를 단말 B로 전송한다(S620). 단계 S610 및 단계 S620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단말 A의 공통 데이터(dAc,UL)는 단말 A가 기지국 A에 전송하는 데이터이다. 다만, 단말 A는 셀 A 및 셀 B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단말 A가 전송한 데이터는 기지국 B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 B는 공통 데이터(dAc,UL)의 복원을 위한 제어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기지국 B는 기지국 A로부터 수신한 제어정보를 바탕으로 단말 B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할 수 있다. 단말 B의 상향링크 데이터의 MCS 수준을 정함에 있어서, 단말 A로 인 한 간섭이 제거될 것을 고려하여 높은 수준으로 MCS 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신호(CAc,UL)는 공통 데이터(dAc,UL)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신호(CAc,UL)는 무선자원영역 정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수준, RS(Reference Signal) 정보 및 단말 어드레스(User Addr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CAc,UL)는 각 단말에 대한 무선자원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 A가 개별 데이터(dAp,UL) 및 공통 데이터(dAc,UL)을 싣는 무선자원영역 및 단말 B가 개별 데이터(dBp,UL)를 싣는 무선자원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CAc,UL)는 MCS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데이터(dAc,UL)는 기지국 A 및 기지국 B가 모두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공통 데이터(dAc,UL)의 MCS 레벨은 기지국 A 및 기지국 B가 수신할 수 있는 MCS 레벨 가운데 낮은 전송률을 가지는 MCS 레벨로 설정되어야 한다.
제어신호(CAc,UL)는 RS(Reference Signa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B는 RS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데이터 복원을 위한 값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 B는 단말 B로부터 개별 데이터(dBp,UL)를 수신하고, 단말 A로부터 공통 데이터(dAc,UL)를 수신한다. 따라서, 개별 데이터(dBp,UL) 및 공통 데이터(dAc,UL) 각각에 대한 RS 정보는 다르다. 부가적으로, 기지국 A의 입장에서, 기지국 A는 단말 A로부터 개별 데이터(dAp,UL) 및 공통 데이터(dAc,UL)를 수신한다. 이때, 효과적인 채널 추정을 위하여, 개별 데이터(dAp,UL) 및 공통 데이터(dAc,UL)각각에 대한 RS 정보는 다를 수 있다. RS 정보의 예로, RS 인덱스, 셀 인덱스, 단말 인덱스 및 RS 패턴 등이 있다.
제어신호(CAc,UL)는 단말 어드레스(User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B가 단말 A로부터 수신하는 공통 데이터(dAc,UL)는 기지국 A에 대한 데이터이다. 따라서, 기지국 B가 수신한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하여, 데이터가 어떤 단말에 의하여 전송된 것인지를 지시하는 단말 어드레스가 필요하다. 단말 A의 공통 데이터(dAc,UL)에 대한 단말 어드레스는 단말 A의 어드레스 또는 공통 어드레스일 수 있다. 공통 데이터(dAc,UL)에 대한 단말 어드레스가 단말 A의 어드레스인 경우, 기지국 A 또는 단말 A는 기지국 B로 공통 데이터(dAc,UL)가 단말 A의 어드레스를 사용한다는 정보를 알려주어야 한다. 공통 데이터(dAc,UL)에 대한 단말 어드레스가 공통 단말 어드레스인 경우, 기지국 A 또는 단말 A는 기지국 B로 공통 데이터(dAc,UL)가 공통 단말 어드레스를 사용한다는 정보를 알려주어야 한다. 공통 단말 어드레스는 단말 A 및 단말 B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용 어드레스이다. 공통 단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는 협력에 참여하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각각의 단말 어드레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과 달리,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CAc,UL) 는 밸리드 플래그(Valid Flag)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서는 기지국이 데이터를 수신한다. 공통 데이터(dAc,UL)의 폐기 여부는 기지국 B가 기지국 A와의 협력을 통하여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데이터(dAc,UL)의 폐기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정보는 필요하지 않다.
단계 S600에서 제어신호(CAc,UL, CAp,UL)를 수신한 단말 A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공통 데이터(dAc,UL) 및 개별 데이터(dAp,UL)를 기지국 A로 전송한다. 제어신호(CAc,UL)에서 단말 어드레스를 공통 단말 어드레스로 사용할 것을 지시하고 있는 경우, 단말 A는 공통 단말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공통 데이터(dAc,UL)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제어신호 및 효율적인 제어 메커니즘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다중 셀 환경에서의 무선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셀간 협력에 따른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간 협력을 기반으로 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자원영역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셀간 협력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셀간 협력을 기반으로 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1 제어신호 및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2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서빙 셀로부터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접 셀로부터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하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는 서로 간섭되고,
    상기 제1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단말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는 다른 단말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다른 단말 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에 의해서도 복원될 수 있고,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원된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하향링크 데이터 내에 포함된 간섭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단말 어드레스로 CRC 마스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서빙 셀로부터 수신하거나 인접 셀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무선자원영역,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수준, RS(Reference Signal) 정보, 단말 어드레스(User Address) 및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의 복원 후 폐기 여부를 지시하는 플래그(Flag)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RS 정보는 RS 인덱스, 셀 인덱스, 단말 인덱스 및 RS 패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신호 전송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가 '1'이면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자신의 데이터로 간주하고, '0'이면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신호 전송 방법.
  17. 삭제
  18.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고, 제 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1 제어신호 및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 2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서빙 셀로부터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접 셀로부터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 2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제 2 하향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하향링크 데이터 내에 포함된 간섭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 1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원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는 서로 간섭되고,
    상기 제1 하향링크 데이터는 단말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는 다른 단말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다른 단말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에 의해서도 복원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단말 어드레스로 CRC 마스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80109483A 2008-09-24 2008-11-05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70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483A KR101470648B1 (ko) 2008-09-24 2008-11-05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PCT/KR2009/005392 WO2010036006A2 (en) 2008-09-24 2009-09-22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signal in multi-cell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3/063,373 US8811280B2 (en) 2008-09-24 2009-09-22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signal in multi-cell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90008P 2008-09-24 2008-09-24
US61/099,900 2008-09-24
KR1020080109483A KR101470648B1 (ko) 2008-09-24 2008-11-05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677A KR20100034677A (ko) 2010-04-01
KR101470648B1 true KR101470648B1 (ko) 2014-12-09

Family

ID=4206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4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0648B1 (ko) 2008-09-24 2008-11-05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11280B2 (ko)
KR (1) KR101470648B1 (ko)
WO (1) WO20100360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999B1 (ko) 2010-12-01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상 단말 및 협력 단말의 협력 통신 방법
KR101752229B1 (ko) * 2011-01-12 201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협력 방법 및 장치
US9276709B2 (en) 2011-11-08 2016-03-0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cellular networks
GB2512268B (en) * 2012-12-03 2015-02-18 Broadcom Corp Interference cancellation
FR3003718A1 (fr) 2013-03-19 2014-09-26 France Telecom Procede de signalisation dan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s cellulaire
FR3003719A1 (fr) 2013-03-19 2014-09-26 France Telecom Procede de signalisation dan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s cellulaire
KR20140145524A (ko) * 2013-06-13 2014-12-23 주식회사 케이티 듀얼 커넥티비티 구성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29260B1 (ko) * 2013-10-04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조적 식별자 할당에 기반한 간섭 제거를 위한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CN105684491B (zh) 2013-10-30 2020-02-07 株式会社Kt 用于在移动通信网络中配置双连接的方法及其装置
US20160204915A1 (en) * 2015-01-14 2016-07-14 Xiaogang Chen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ceiving signal fields in a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area network
FR3033105B1 (fr) * 2015-02-19 2018-03-02 Sigfox Procedes d'emission et de reception de messages descendants avec identification implicite de destinataires
WO2017117253A1 (en) * 2015-12-30 2017-07-06 Idac Holdings,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cooperation
EP3566474B1 (en) * 2017-01-06 2022-03-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7018571B (zh) * 2017-06-07 2020-04-28 广东工业大学 一种部分频率复用的小区间干扰抑制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709A (ko) * 2006-01-24 200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3671A (en) * 1983-05-18 1986-01-07 At&T Bell Laboratories Coding technique
US6665521B1 (en) 2000-08-17 2003-12-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diversity
KR20050121624A (ko) * 2004-06-22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가진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셀룰라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 오프 시스템 및 방법
JP4330520B2 (ja) * 2004-12-08 2009-09-16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
US7889755B2 (en) * 2005-03-31 2011-02-15 Qualcomm Incorporated HSDPA system with reduced inter-user interference
KR100790133B1 (ko) * 2005-07-08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할당 주파수간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7999A (ko) * 2005-08-3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할당된 자원 수신 방법
ATE397345T1 (de) * 2006-01-13 2008-06-15 Alcatel Lucent Adaptive subträger- zuteilung zu einer mobilstation in einem multicell fdm oder ofdm netzwerk
JP4447575B2 (ja) * 2006-05-01 2010-04-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KR20080037398A (ko) 2006-10-26 2008-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협력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30524B1 (ko) * 2007-01-09 200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중계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687562B2 (en) * 2007-07-12 2014-04-0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Wireless network enhancements
KR101169541B1 (ko) * 2008-08-12 2012-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709A (ko) * 2006-01-24 200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11280B2 (en) 2014-08-19
KR20100034677A (ko) 2010-04-01
WO2010036006A2 (en) 2010-04-01
WO2010036006A3 (en) 2010-06-24
US20110164572A1 (en)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648B1 (ko)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KR101169541B1 (ko) 다중 셀 협력적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EP19800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control channel information in ofdma systems
US831563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for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for relay-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465281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08833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175114B2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recep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480550B1 (ko) 셀간 간섭 조절의 수행방법
JP4875504B2 (ja) Ofdma無線システム及び中継局
US973019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1300281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Format Detection in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JP5158384B2 (ja) 制御情報を送信する方法
JP5934700B2 (ja) 中継局、基地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JP2009194901A (ja) 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無線中継装置、移動局及び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方法
US11349597B2 (en) Method and device in UE and base station for multi-antenna communication
JP5828891B2 (ja) 中継局、基地局、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WO2010087175A1 (ja)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送信方法
US11064481B2 (en) Method and device in UE and base s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4135451B1 (en) Method for operating iab node connected to plurality of parent nod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ing method
EP4383633A1 (en) Method for operating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same method
CN107113812B (zh) 一种信息的传输方法、信息的处理方法和基站及用户设备
EP4510747A1 (en) Method for operating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same method
JP4871784B2 (ja) 無線通信装置
KR1009351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프레임 송수신 장치 및방법
US20240195562A1 (en) Method and device in nodes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