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70440B1 - Door ratch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Door ratch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440B1
KR101470440B1 KR1020130112198A KR20130112198A KR101470440B1 KR 101470440 B1 KR101470440 B1 KR 101470440B1 KR 1020130112198 A KR1020130112198 A KR 1020130112198A KR 20130112198 A KR20130112198 A KR 20130112198A KR 101470440 B1 KR101470440 B1 KR 101470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oul
shaft
release
g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성근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4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44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어 마운팅홀에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수용한 래치기어를 구속하여 도어를 잠금하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개구부의 양편에 제 1 축과 제 2 축이 이격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마운팅홀과 하나 이상의 견착부가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의 견착부를 견착하는 구속단이 형성된 파울; 및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해정슬롯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릴리즈 레버의 일편에는 외부 핸들레버가 제 3 축을 통해 회동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에는 상호 당접하는 기어 연동부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릴리즈 레버는 외부 핸들레버와 기어 연동부를 통해 기어구조로 치합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tive door latch for locking a door by restraining a latch gear which is installed in a door of an automobile and accommodates a striker fixed to a vehicle body in a mounting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haf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A latch gear which is installed on the first shaft in a pivotal manner and which has a mounting hole for restricting the striker and at least one fastening portion; A fulcrum rotatably mounted on a second shaft form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restricting end for seizing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latch gear; And a release lever provided on the second shaft provided with the pawl in a pivoting structure and having a release slot formed therein,
Wherein the outer handle lever and the release lever are provided with a gear interlock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handle lever and the release lever so that the release lever is coupled to the outer handle lever and the gear interlocking portion via the gear interlocking portion, So as to be rotated.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래치{Door ratch for automobile}Door latch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어 마운팅홀에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수용한 래치기어를 구속하여 도어를 잠금하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atch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atch for a vehicle which locks a door by restricting a latch gear which is installed in a door of an automobile and accommodates a striker fixed to the vehicle body in a mounting hole.

차량의 시건과 잠금기능을 도모하는 자동차용 도어래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에 마운팅홀이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의 걸림단을 견착하여 구성하는 파울이 탄력적으로 각각 제 1 축과 제 2 축을 통해 회동구조로 설치된 형태이다.An automotive door latch for locking and locking the vehicle comprises a latch gear having a mounting hole formed in a housing formed with an opening portion and a fulcrum constituted by an engaging end of the latching end of the latch gear being elastically fixed to a first shaft and a second shaft, Which is installed in a rotating structure.

상기 래치기어에는 파울에 형성된 구속단에 의해 견착되는 견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한 래치기어는 파울에 의해 구속되어,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latch gear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which is fastened by a restricting end formed on the fulcrum. The latch gear restricting the striker is restrained by the foul so that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is maintained.

즉, 최초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의 마운팅 홀에 진입하면 래치기어는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래치기어는 견착부를 통해 파울의 구속단에 구속되어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first striker enters the mounting hole of the latch gear, the latch gea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t this time, the latch gear is restrained to the restraining end of the foul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한편, 최근에는 파울에 길게 연장된 파울 리프트 레버를 형성하고 상기 파울 리프트 레버에 내부 핸들레버를 링크구조로 연결하여, 락링크에 의한 파울과 릴리즈 레버의 연동상태와 상관없이 내부 핸들레버의 조작에 의해 파울이 회전하여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오버라이드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운전석에서 보다 신속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 fol- low lift lever that is elongated in the foul is formed, and the inner handle lever is linked to the pawl lever by a link structur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inner handle lever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interlocked state of the foul and the release lever by the lock link The fulcrum is rotated by the fulcrum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latch gear due to the foul,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more quickly in the driver's seat.

그러나, 상기 내부 핸들레버와 파울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해 파울에 파울 리프트 레버를 길게 연장하면, 파울의 길이가 길어져 설계적으로 파울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의 강도를 키워야하므로, 파울의 리턴 작용시 과도한 소음이 유발된다.However, if the foul lift lever is extended to the foul so as to interlock the inner handle lever and the foul, the length of the foul is prolonged, so that the strength of the spring for biasing the foul in one direction should be increased. Noise is generated.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시 길게 연장된 파울 리프트 레버에 가해진 충격이 파울에 전달되어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이 임의 해제되어 도어가 무단 개방되는 소지를 갖는다.Particularly, when a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occurs, the impact applied to the foul lift lever extended long extends to the foul so that the restraint of the latch gear due to the foul is arbitrarily released and the door is unfailingly opened.

또한, 종래 자동차용 도어래치는 릴리즈 레버의 편심단을, 외부 핸들레버의 편심단에 설치된 연동핀이 견착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Further, the conventional door latch for a vehicle has been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eccentric end of the release lever is rotatably supported by an interlocking pin provided on the eccentric end of the external handle lever.

그런데, 선회하는 외부 핸들레버의 연동핀은 릴리즈 레버의 편심단을 미끌림하고, 결과적으로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는 과정에 잦은 소음과 릴리즈 레버의 편심단의 물리적 손상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However, the interlocking pin of the pivoting external handle lever slides on the eccentric end of the pivoting lever, resulting in frequent noise and physical damage to the eccentric end of the pivoting lever during the rotation of the external handle lever and the pivoting lever Problems are pointed out.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측면 충돌시 파울 리트프 레버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파울과 래치기어의 구속이 임의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향상된 안전성을 확보하고, 또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 사이의 개량된 연동구조를 형성하여 보다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갖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래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provide an anti-collision apparatus which prevents arbitrary disconnection of fouls and latch gears due to an impact applied to a Paulette lever at a side collision of a vehicle body, And an improved inter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outer handle lever and the release lever is formed to provide improved operation stability.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the following constitution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래치는, In the door latch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구부의 양편에 제 1 축과 제 2 축이 이격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A housing having first and second shaf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마운팅홀과 하나 이상의 견착부가 형성된 래치기어와; A latch gear which is installed on the first shaft in a pivotal manner and which has a mounting hole for restricting the striker and at least one fastening portion;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의 견착부를 견착하는 구속단이 형성된 파울; 및 A fulcrum rotatably mounted on a second shaft form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restricting end for seizing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latch gear; And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해정슬롯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And a release lever provided on the second shaft provided with the pawl in a pivoting structure and having a release slot formed therein,

상기 릴리즈 레버의 일편에는 외부 핸들레버가 제 3 축을 통해 회동구조로 설치되고,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에는 상호 당접하는 기어 연동부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릴리즈 레버는 외부 핸들레버와 기어 연동부를 통해 기어구조로 치합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handle lever and the release lever are provided with a gear interlock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handle lever and the release lever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release lever is connected to the gear lever So as to rot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울의 편심부에는 상향 돌출된 연동단이 형성되고,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 설치된 파울 리프트 레버에는 연동단과 일방향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링크단이 형성된다.Preferably, the eccentric portion of the foul is formed with an upwardly protruding interlocking end, and the pawl lift lever provided on the second shaft provided with the foul is formed with a link end forming a one-way link structure with the interlocking end.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해정슬롯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해정슬롯에는 락링크의 락핀이 진퇴구조로 설치되어서, 상기 락링크에 형성된 락핀의 변위에 의해 릴리즈 레버와 파울 사이의 연동상태가 설정되도록 구성한다.More preferably, the release lever is provided with a pivoting structure on a second shaft provided with the foul, and a release lever having a release slot is provided. The release pin of the lock link is provided in the release slot in a retracted structure, And the interlocking state between the release lever and the foul is set by the displacement.

그리고, 상기 릴리즈 레버의 일편에는 외부 핸들레버가 제 3 축을 통해 회동구조로 설치되고,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에는 상호 당접하는 기어 연동부가 대응되게 형성된다.An external handle lever is installed on a part of the release lever in a pivoting structure through a third axis, and a gear interlocking part contacting with the external handle lever and the release lev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과 내부 핸들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파울 리프트 레버를 분리 구성하고, 이들 사이에 일방향 링크 구조를 형성하여 래치기어의 구속과정에 파울이 독립적으로 정역 회전하여 래치기어를 구속하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l restraining the latch gear and the pawl lift lever rotating in association with the inner handle lever are separated and a unidirectional link structure is formed therebetween so that the foul is independently So that the latch gear is restrained.

따라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과정에 내부 핸들레버와 링크구조를 형성한 파울 리프트 레버는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파울 리프트 레버의 회전에 따른 소음 발생이 방지되고,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시 파울 리프트 레버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 파울에 전달되어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상태가 해체되어서, 도어가 무단 개방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향상된 안정성을 갖는다.Therefore, the fol- low lever, which forms the link structure with the internal handle lever in the process of restraining the latch gear by the foul, forms a fixed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rotation of the pawl lever,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lift lever is transmitted to the foul so that the restraint state of the latch gear due to the foul is disengaged, thereby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without end, thereby having improved stability.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회동구조로 설치된 릴리즈 레버와 외부 핸들레버 사이에 당접부를 형성하고 이들 당접부에 기어구조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릴리즈 레버와 내부 핸들레버가 상호 치합하여 연동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ct portion is formed between a release lever and an external handle lever which are provided in a pivoting structure in the housing, and a gear structure is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release lever and the internal handle lever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interlock.

따라서, 상기 릴리즈 레버와 외부 핸들 레버의 정교하고 부드러운 연동작용이 이룩되므로, 소음 발생이 저감되고 또 우수한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다.Therefore, since the elongated and smooth interlocking action of the release lever and the external handle lever is achieved, noise generation is reduced and excellent operational stability is ensure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있어,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를 통한 도어의 개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있어, 내부 핸들레버와 파울 리프트 레버를 통한 도어의 개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상기 도 3의 'A'부분의 확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FIG. 1 and FIG. 2 show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oor latch for a vehicle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door opening process of an automobile door la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5 are views for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opening process of the door through the inner handle lever and the pawl lever in the door latch for a vehicle,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3.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래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utomotive door latc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있어,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를 통한 도어의 개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있어, 내부 핸들레버와 파울 리프트 레버를 통한 도어의 개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상기 도 3의 'A'부분의 확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1 and 2 show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door latch for a vehicle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door latch for an automobile propos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show a door latch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and FIG. 5, an opening of a door through an internal handle lever and a pawl lever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portion of FIG. 3. FIG.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래치(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구부(10a)의 양편에 제 1 축(11)과 제 2 축(12)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12)의 일편에 제 3축(13)이 이격되게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제 1 축(11)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스트라이커(S)를 구속하는 마운팅홀(21)과 하나 이상의 견착부(22)가 형성된 래치기어(20)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제 2 축(20)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20)의 견착부(22)를 견착하는 구속단(31)이 형성된 파울(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door latch 1 for an automobile propos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haft 11 and the second shaft 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0a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haft (12) a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shaft (13); A latch gear 20 provided on the first shaft 11 formed in the housing 10 in a rotatable manner and having a mounting hole 21 for restricting the striker S and one or more fastening portions 22; And a fulcrum 30 provided on the second shaft 20 formed in the housing 10 and having a restricting end 31 for locking the latching portion 22 of the latch gear 20 .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래치기어(20)와 파울(30)이 좌우 이격되게 설치되며, 통상 상기 제 1 축(11)에 설치된 래치기어(20)과 제 2 축(12)에 설치된 파울(30)은 탄지 스프링(미도시)의 탄지작용에 의해 상호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0b는 베이스 플레이트임.***A latch gear 20 and a foul 30 ar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latch gear 20 and the foul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Generally, the latch gear 20 and the second shaft 12, which are provided on the first shaft 11, The mounted fouls 30 are configured to have mutually different directions due to the elastic function of the tongue spring (not shown). *** Unclear code 10b is the base plate ***

따라서,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S)의 진입에 의해 래치기어(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파울(30)은 구속단(31)을 통해 래치기어(20)의 견착부(22)를 견착시켜,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S)를 구속한 래치기어(20)를 구속시킨 도어의 잠금상태를 형성한다.Therefore, when the latch gear 20 rotates in one direction due to the entry of the striker S fixed to the vehicle body, the foul 30 fixes the latching portion 22 of the latch gear 20 via the restricting end 31 , Thereby forming a locked state of the door in which the latch gear 20 restraining the striker S fixed to the vehicle body is restrained.

그리고, 상기 파울(30)이 설치된 제 2 축(12)에는 릴리즈 레버(50)가 적층되게 설치되고, 상기 릴리즈 레버(40)의 일편에는 외부 핸들레버(60)가 제 3 축(13)을 통해 회동구조로 설치되어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릴리즈 레버(50)는 외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등각 회전하는 외부 핸들레버(6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A release lever 50 is stacked on the second shaft 12 on which the foul 30 is installed and an external handle lever 6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40 to engage the third shaft 13 As shown in FIG. 3, the release lever 50 is configur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handle lever 60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in an unidirectional manner by the operation of an external handl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축(12)에 설치된 릴리즈 레버(50)와 제 3 축(13)에 설치된 외부 핸들레버(60)에 상호 당접하는 기어 연동부(51, 61)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이들 릴리즈 레버(50)와 외부 핸들레버(60)는 기어 연동부(51, 61)를 통해 기어구조로 치합된 상태로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gear interlocking portions 51 and 61 which abut against the release lever 50 provided on the second shaft 12 and the external handle lever 60 provided on the third shaft 13 are correspondingly formed And the release lever 50 and the external handle lever 60 are configured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while engaged with the gear structure through the gear interlocking portions 51 and 61.

이때, 상기 릴리즈 레버(50)는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구성되고 이와 기어구조로 치합되는 외부 핸들레버(60)의 기어 연동부(61)의 표면에는 플라스틱 피막층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release lever 50 is made of plastic yarn and a plastic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ear interlocking portion 61 of the outer handle lever 60 engaged with the gear lever.

그리고, 도 6과 같이 상기 릴리즈 레버(50)에는 곡면의 치합돌기를 갖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핸들레버(50)에는 캠형의 치합돌기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release lever 50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concave projection on the curved surface, and the external handle lever 50 is formed with a cam-like coupling protrusion.

상기 기어 연동부(51, 61)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서, 이들 릴리즈 레버(50)와 외부 핸들레버(60)는 상호 치합되는 기어 연동부(51, 61)를 통해 보다 정교하고 부드럽게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Lubricating oil is applied to the gear interlocking portions 51 and 61 so that the release lever 50 and the external handle lever 60 rotate more smoothly and interlockingly through the gear interlocking portions 51 and 61 .

그리고, 상기 래치기어(20)를 구속한 파울(30)과 외부 핸들레버(60)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는 릴리즈 레버(50) 사이에는 센트롤락 구조가 마련되어, 릴리즈 레버(50)와 파울(30) 사이의 연동상태가 설정되도록 한다.A center lock structure is provided between the release lever 50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foul 30 to which the latch gear 20 is restrained and the outer handle lever 60. When the release lever 50 and the foul 30 Is set.

상기 센트롤락 구조는, 파울(30)이 설치된 제 2 축(12)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해정슬롯(52)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50)와; 상기 해정슬롯(52)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락핀(81)을 변위시켜 락핀(81)을 통한 릴리즈 레버(50)와 파울(30) 사이의 연동상태를 설정하는 락링크(80)를 포함한다.The center lock structure includes a release lever 50 having a pivoting structure on a second shaft 12 on which the foul 30 is installed and having a release slot 52 formed therein; And a lock link 80 for displacing the lock pin 81 installed in the retractable slot 52 in the retracted position to set the interlocked state between the release lever 50 and the foul 30 via the lock pin 81.

따라서, 락모듈(미도시)에 형성된 락레버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락링크(80)의 락핀(81)이 해정슬롯(52)을 따라 전진하면, 릴리즈 레버(50)와 파울(30)이 상호 비 연동하는 센트롤락이 설정된다.Therefore, when the lock lever formed on the lock module (not shown)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lock pin 81 of the lock link 80 advances along the unlocking slot 52, the release lever 50 and the foul 30 A non-interlocked center lock is set.

즉, 외부 핸들레버(60)에 의해 릴리즈 레버(50), 및 락링크(80)의 락핀(81)이 선회하더라도, 락핀(81)의 선회 궤적 상에 파울(30)의 연동단(32)이 위치하지 아니하므로 릴리즈 레버(50)는 공회전하고, 결과적으로 파울(30)에 의한 래치기어(20)의 구속상태는 유지된다.Even if the release lever 50 and the lock pin 81 of the lock link 80 are pivoted by the external handle lever 60 and the lock pin 80 of the lock pin 80 rotates, The release lever 50 idles, and as a result, the restraint state of the latch gear 20 by the foul 30 is maintained.

그러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락모듈에 형성된 락레버(미도시)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락링크(80)의 락핀(81)이 해정슬롯(52)을 따라 후퇴하여 릴리즈 레버(50)와 파울(30)이 상호 연동하는 센트롤 언락이 설정되면, 릴리즈 레버(50)와 파울(30)이 상호 연동하는 센트롤 언락이 설정된다.3, the lock lever (not shown) formed on the lock module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lock pin 81 of the lock link 80 retracts along the unlocking slot 52 to move the release lever 50, The control lever 30 and the fulcrum 3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 centrally unlocked state in which the release lever 50 and the foul 30 interlock with each other is set.

이 상태에서는, 외부 핸들레버(60)에 의해 릴리즈 레버(50), 및 락링크(80)의 락핀(81)이 선회하면 락핀(81)은 파울(30)을 견착하여 일방향으로 선회시켜서, 파울(30)에 의한 래치기어(20)의 구속을 해제한다.In this state, when the release lever 50 and the lock pin 81 of the lock link 80 are rotated by the external handle lever 60, the lock pin 81 fixes the foul 30 and turns in one direction, (30)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latch gear (2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핸들레버(70)의 조작에 의해 파울(30)에 의한 래치기어(20)의 구속이 신속히 해제되도록 하는 기능을 마련하여, 별도의 센트롤 락을 해제하는 번거로움 없이 내부 핸들의 조작을 통해 파울(30)에 의한 래치기어(20)의 구속을 신속히 해체하여 도어의 개방에 따른 신속성이 확보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unction of quickly releasing the latch gear 20 by the foul 30 by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handle lever 70 is provided, and without the hassle of releasing a separate stroke lock The fastening of the latch gear 20 by the foul 30 is quickly dismantl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inner handle to ensure promptness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울(30)의 편심부에 상향 돌출된 연동단(32)을 형성하고, 상기 파울(30)이 설치된 제 2 축(12)에 파울(30)과 분리 제작되어 파울(30)의 연동단(32)과 일방향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링크단(41)이 형성된 파울 리프트 레버(40)가 회동구조로 설치한다.For this, in this embodiment, an interlocking end 32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eccentric portion of the foul 30, and the foul 30 is separately manufactured from the second shaft 12 provided with the foul 30 The pawl lever 40 having the linkage end 32 of the foul 30 and the link end 41 forming the one-way link structure is installed as a pivoting structure.

따라서, 사용자가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내부 핸들(미도시)을 조작하여 내부 핸들레버(70)를 회전시키면, 상기 내부 핸들레버(70)의 회전에 의해 파울(30)과 분리 구성된 파울 리프트 레버(4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과정에 파울 리프트 레버(40)는 링크단(41)을 통해 래치기어(20)를 구속한 파울(30)을 일방향으로 연동되게 회전시켜서, 파울(30)에 의한 래치기어(20)의 구속을 해제시켜서 신속한 도어의 개방을 도모한다.Therefore, when the user rotates the inner handle lever 70 by operating the inner handle (not shown) as shown in FIGS. 4 to 5, the inner handle lever 70 is rotated, The lever 40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pawl lever 40 rotates the pawl 30 restrained by the latch gear 20 through the link end 41 in one direction in an interlocking manner, The latch gear 20 is released from the restraint so that the door can be quickly opened.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이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에 길게 연장된 파울 리프트 레버를 일체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종래 단일 몸체로 제작되던 파울(30)과 파울 리프트 레버(40)를 분리 제작하고 이들 파울(30)과 파울 리프트 레버(40)를 제 2 축에 적층되게 설치, 및 일방향 연동구조를 형성하면,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stead of integrally forming a long fulcrum lever extending in the fulcrum for restraining the latch gear, the fulcrum lever 30 and the fulcrum lever 40, which were conventionally made of a single body, (30) and the pawl lift lever (40) are stacked on the second shaft and the one-way interlocking structure is formed,

파울 리트프 레버(40)가 일체로 형성된 파울(30)에 대비하여 길이가 짧은 관계로 적은 토크를 갖는 스프링을 통해서 파울과 파울 리프트 레버를 탄지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restrain the foul lever and the foul lever through a spring having a small torque in relation to the short length of the foul 30 in which the foul felt 40 is formed integrally.

그리고, 래치기어(20)의 구속과정에 파울(30)의 독립적인 정역 회전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스트라이커의 진입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래치기어(20)를 파울(30)이 정역 회전하면서 구속하는 과정에, 내부 핸들레버와 링크 구조를 형성한 파울 리프트 레버(40)는 파울(30)과 연동하여 회전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파울 리프트 레버 및 내부 핸들레버의 작용에 따른 진동이나 소음 발생이 저감된다.As a result, the latch gear 20, which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entry of the striker, is rotated by the foul 30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ile restraining the latch gear 20, The inner handle lever and the folift lever 40 forming the link structure form a fixed state without being rotated by interlocking with the foul 30, so that the vibration due to the action of the folift lever and the inner handle lever Noise generation is reduced.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시 종래 파울에서 길게 연장된 파울 리프트 레버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 파울에 직접 전달되어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상태가 해체되는 소지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a side collision of a vehicle,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a foul lever extending elongated from a conventional foul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oul,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onnection of the constraint state of the latch gear by the foul.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래치는 파울과 파울 리프트 레버가 분리 구성된 관계로, 차량의 측면 충돌시 내부 핸들레버와 링크구조를 형성한 파울 리프트 레버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파울과 파울 리트프 레버는 분리 구성된 관계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상태를 유지될 수 있어서 보다 향상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That is, the door latch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foul lever and the foul lift lev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even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foul lever which forms the link structure with the internal handle lever at the time of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lever can be kept in a restrained state by the foul so that the safety can be further secured.

1. 자동차용 도어래치
10. 하우징 10a. 개구부
10b. 베이스 플레이트 10c. 백 플레이트
11. 제 1 축 12. 제 2 축
13. 제 3 축 14. 레일홈
20. 래치기어 21. 마운팅 홀
22. 견착부
30. 파울 31. 구속단
32. 연동단
40. 파울 리프트 레버 41. 링크단
50. 릴리즈 레버 51. 기어 당접부
52. 해정슬롯
60. 외부 핸들레버 61. 기어 당접부
70. 내부 핸들레버
80. 락링크 81. 락핀
82. 가이드 돌기
1. Automotive Door Latch
10. Housing 10a. Opening
10b. Base plate 10c. Back plate
11. First axis 12. Second axis
13. 3rd axis 14. Rail groove
20. Latch gear 21. Mounting hole
22. Isolation
30. Foul 31. Restraint unit
32. Interlocking stage
40. Pull-lift lever 41. Link stage
50. Release lever 51. Gear contact
52. Haidian Slots
60. External handle lever 61. Gear contact
70. Inside handle lever
80. Rock Link 81. Rockpin
82. Guide projection

Claims (3)

개구부의 양편에 제 1 축과 제 2 축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 2 축의 일편에 제 3 축이 이격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마운팅홀과 하나 이상의 견착부가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래치기어의 견착부를 견착하여 구속하는 구속단이 형성된 파울; 및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파울과 적층되게 설치되며, 해정슬롯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의 진입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한 래치기어는, 파울의 구속단에 견착부가 견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구속되고,
상기 제 2 축의 일편에 이격되게 형성된 제 3축에는 외부 핸들레버가 회동구조로 설치되어, 제 2 축에 설치된 릴리즈 레버의 일편에 제 3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된 외부 핸들레버가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에는 상호 당접하는 기어 연동부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릴리즈 레버는 외부 핸들레버와 기어 연동부를 통해 기어구조로 치합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는 파울과 분리 제작되어 파울의 연동단과 일방향 링크구조를 형성한 파울 리프트 레버가 회동구조로 설치되어서,
내부 핸들레버에 의해 파울과 분리 제작된 파울 리프트 레버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파울 리트프 레버와 일방향 링크구조를 형성한 파울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기어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A housing having a first axis and a second ax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the third axis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xis;
A latch gear which is installed on the first shaft in a pivotal manner and which has a mounting hole for restricting the striker and at least one fastening portion;
A fulcrum rotatably installed on a second shaft form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restricting end for restraining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latch gear; And
And a release lever which is installed on the second shaft provided with the foul so as to be stacked with the foul by a pivoting structure and in which a release slot is formed,
The latch gear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entry of the striker fixed to the vehicle body is restr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er portion of the foul is caught by the restraining end and rotated in one direction,
An external handle lever is provided in a pivotal manner on a third shaf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ne of the second shafts and an external handle lever provided in a pivotal structure on a third shaft is disposed on one of the release levers provided on the second shaft,
The external handle lever and the release lever are formed so that a gear interlocking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formed so that the release lever is engaged with the gear structure through the external handle lever and the gear interlocking portion,
And a pawl lift lever which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oul on the second shaft on which the foul is installed and forms a one-way link structure with an interlocking end of the foul is installed in a rotating structure,
When the pawl lift lever which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foul by the inner handle lever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foul forming the one-way link structure with the Paulette lev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o release the constraining state of the latch gear Automotive door latch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는 해정슬롯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가 회동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해정슬롯에는 락링크의 락핀이 진퇴구조로 설치되어서,
상기 락링크에 형성된 락핀의 변위에 의해 릴리즈 레버와 파울 사이의 연동상태가 설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release lever having a release slot is provided on a second shaft provided with the foul, and a lock pin of the lock link is installed in the release slot in a forward /
And an interlocking state between the release lever and the foul is set by the displacement of the lock pin formed on the lock link.
삭제delete
KR1020130112198A 2013-09-17 2013-09-17 Door ratch for automobile Expired - Fee Related KR1014704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198A KR101470440B1 (en) 2013-09-17 2013-09-17 Door ratch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198A KR101470440B1 (en) 2013-09-17 2013-09-17 Door ratch for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440B1 true KR101470440B1 (en) 2014-12-09

Family

ID=5267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1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70440B1 (en) 2013-09-17 2013-09-17 Door ratch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4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935A (en) * 1997-09-26 1999-04-15 조현규 Car door lock (latch)
KR20060057056A (en) * 2004-11-23 2006-05-26 평화정공 주식회사 Automotive door lock with freewheel lock lever
KR20090075563A (en) * 2008-01-04 2009-07-08 평화정공 주식회사 Door lock with simplified mounting structure of actuator
KR20090075562A (en) * 2008-01-04 2009-07-08 평화정공 주식회사 Car door latch with simplified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935A (en) * 1997-09-26 1999-04-15 조현규 Car door lock (latch)
KR20060057056A (en) * 2004-11-23 2006-05-26 평화정공 주식회사 Automotive door lock with freewheel lock lever
KR20090075563A (en) * 2008-01-04 2009-07-08 평화정공 주식회사 Door lock with simplified mounting structure of actuator
KR20090075562A (en) * 2008-01-04 2009-07-08 평화정공 주식회사 Car door latch with simplified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1312B1 (en) Locking device
JP5663714B2 (en) Handle of automatic vehicle door opening / closing body
JP5736468B2 (en) Folding backrest lock device for seat
US20060261602A1 (en) Inertia catch for door latches
CN217581693U (en) Door lock device
JP2014134087A (en) Vehicle door lock device
KR101163780B1 (en) Motor vehicle door lock
JP2014510206A (en) Flap or door lock
KR101216625B1 (en) Rear door latch for vehicle
JP5421083B2 (en) Door lock device
KR101470440B1 (en) Door ratch for automobile
KR101517025B1 (en) Door latch for automobile
KR100786541B1 (en) Wheel Lever Vehicle Tail Gate Latch
JP5994151B2 (en) Counterweight mounting structure for door lock device
CN112227848A (en) Trailer door security lock with double-lock-cylinder mechanism
KR102172529B1 (en) Electric child lock door latch
KR100997889B1 (en) Door lock with double lock
JP5252899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KR20200116627A (en) Door latch with deadlock function
CN213953299U (en) Trailer door security lock with double-lock-cylinder mechanism
JP4651009B2 (en) Anti-seismic locking mechanism
KR101216624B1 (en) Front door latch for vehicle
KR102457519B1 (en) Door latch assembly for heavy machinery
KR200483321Y1 (en) Trunk latch for vehicle
CN215889679U (en) Door lock, door module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