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9748B1 -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 Google Patents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748B1
KR101469748B1 KR1020130127849A KR20130127849A KR101469748B1 KR 101469748 B1 KR101469748 B1 KR 101469748B1 KR 1020130127849 A KR1020130127849 A KR 1020130127849A KR 20130127849 A KR20130127849 A KR 20130127849A KR 101469748 B1 KR101469748 B1 KR 10146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rain plug
die
punch
pl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현기
Original Assignee
(주)와이에스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에스더블유 filed Critical (주)와이에스더블유
Priority to KR102013012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7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코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둥부 상단에 확장부를 갖도록 제작된 자석이 수직방향에 장입될 수 있도록 기둥안내부 및 확장안내부로 이루어진 금형부를 형성하는 다이스; 상기 다이스의 상부에서 드레인 플러그의 볼트머리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시켜 드레인 플러그의 나사부 선단에 형성한 자석 삽입부가 금형부의 확장안내부 내면을 따라서 수축변형되어 자석의 확장부 외주연을 코킹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펀치부; 상기 펀치부를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승강대; 및 상기 펀치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이스에 장입된 드레인 플러그를 자동 취출하는 플러그 취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Magnet Caulking Apparatus of Drain Plug}
본 발명은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스 수단을 이용해 드레인 플러그의 선단에 자석이 코킹되도록 하고, 코킹 작업된 드레인 플러그를 자동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레인 플러그는 차량의 엔진이나 변속기의 오일 탱크 하부의 오일 배출구 등에 체결되는 볼트형태의 부재로서, 체결시 오일탱크 내부의 오일 유출을 방지하고, 오일 교체시에는 내부의 오일을 배출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해체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엔진이나 변속기 내부에는 엔진구동과 변속기 구동중에 발생하는 금속성 이물질이 축적되게 되고, 이 금속성 이물질이 함유된 오일이 그대로 엔진이나 변속기에 공급되기 때문에 금속성 이물질로 인하여 엔진이나 변속기의 마모를 유발하기 쉽고, 각종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오일속의 금속성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플러그(10)의 나사부(3a) 끝단에 일정한 크기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자석(4)을 삽입 부착하고, 오일탱크(1)의 오일 배출구(2)에 외부로 노출된 드레인 플러그의 플러그 헤드(3b)를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탱크속의 오일 내부에 존재하는 금속성 이물질을 흡착하고, 차후 오일 교체시 자석에 부착된 금속성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드레인 플러그의 나사부 끝단에 이종 재질인 자석(4)을 용접 등을 이용해 영구적으로 결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억지끼움 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자석(4)이 파쇄될 우려가 있어 접착제 등을 이용해 자석(4)을 접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해 드레인 플러그와 자석을 접합하는 방법은 차체 진동이나 계절변화 등에 따른 피로누적에 의해 접착부가 사용도중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분리된 자석은 차량의 변속기 기어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히 제거되어야 하는데, 자석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오일탱크 및 밋션을 분해하는 등 정비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5016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석의 기둥부 상단에 마련된 확장부를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삽입부에 끼워 다이스에 삽입한 후 펀치부를 이용해 드레인 플러그를 가압시켜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삽입부가 다이스의 금형부 형상에 맞춰 압축 변형되어 코킹 결합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레인 플러그 선단에 자석을 영구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펀치부의 가압력이 자석에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석이 파쇄되는 것을 방지하며, 펀치부의 일측에 플러그 취출장치를 마련하여 펀치부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하고, 펀치부 복귀시 자석이 코킹된 드레인 플러그를 자동 취출되도록 하여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기둥부 상단에 확장부를 갖도록 제작된 자석이 수직방향에 장입될 수 있도록 기둥안내부 및 확장안내부로 이루어진 금형부를 형성하는 다이스; 상기 다이스의 상부에서 드레인 플러그의 볼트머리부를 수직방향으로 가압시켜 드레인 플러그의 나사부 선단에 형성한 자석 삽입부가 금형부의 확장안내부 내면을 따라서 수축 변형되어 자석의 확장부 외주연을 코킹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펀치부; 상기 펀치부를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승강대; 및 상기 펀치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이스에 장입된 드레인 플러그를 자동 취출하는 플러그 취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코킹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스는 기둥부 상단에 확장부를 갖도록 제작된 자석이 수직방향에 장입될 수 있도록 기둥안내부 및 확장안내부로 이루어진 금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 안내부 바닥에 자석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안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드레인 플러그 및 자석 결합부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에어노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펀치부는 승강대의 하강압력에 의해 드레인 플러그의 볼트머리부를 가압하는 해머; 및 상기 해머를 승강대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 안내하는 해머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취출장치는 펀치부의 해머블록에 슬라이드바로 연결되어 횡방향 이송되는 횡방향 이송블록; 상기 횡방향 이송블록의 하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그; 및 상기 지그 하부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집게형태의 취출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석의 기둥부 상단에 마련된 확장부를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삽입부에 끼워 다이스에 삽입한 후 펀치부를 이용해 드레인 플러그를 가압시켜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삽입부가 다이스의 금형부 형상에 맞춰 압축 변형되어 코킹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드레인 플러그 선단에 자석을 영구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펀치부의 가압력이 자석에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석이 파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펀치부의 일측에 플러그 취출장치를 마련하여 펀치부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하고, 펀치부 복귀시 자석이 코킹된 드레인 플러그가 자동 취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개선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수작업 시 작업자가 입을 수 있는 부상 위험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드레인 플러그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이 코킹된 드레인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를 이용해 드레인 플러그와 자석을 코킹 결합하는 작업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작업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의 코킹 작업된 드레인 플러그를 플러그 취출장치를 이용해 취출하는 공정을 도시한 실물작업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이 코킹된 드레인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드레인 플러그(210)의 나사부(213) 선단에 원통형 자석 삽입홈(215)를 형성하고, 상기 자석 삽입홈(215) 내에 자석(220)의 확장부(223)가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 자석 삽입홈(215) 외주연을 가압시켜 자석(220)의 확장부(223) 외면을 코킹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 플러그(210)는 일반적인 볼트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볼트머리부(211) 및 나사부(213)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부(213) 선단을 연장시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원통형 자석 삽입홈(215)를 형성하고, 상기 자석 삽입홈(215)의 선단을 가압시켜 내측방향으로 절곡 변형하는 코킹부(217)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자석(220)은 원통형의 기둥부(221)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 기둥부(221)의 일측 단부의 직경을 확장시켜 확장부(223)를 형성한다.
상기 자석(220)의 확장부(223)는 기둥부(221)와 연결부위의 단면을 모따기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자석(220)의 확장부(223) 단면을 모따기 및 라운드 처리하는 것은 드레인 플러그(210)의 코킹부(217)의 변형시 프레스 압력에 의해 모서리부가 파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코킹부(217)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자석(220)의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드레인 플러그(210)와 자석(220)의 코킹 결합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자석 코킹장치를 이용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플러그의 코킹장치는 드레인 플러그(210)의 원통형 자석 삽입홈(215) 내에 자석(220)의 확장부(223)가 끼워진 상태로 다이스(110)의 금형부(111)에 수직방향으로 장입되고, 상기 드레인 플러그(210)의 볼트머리부(211)를 펀치부(120)가 프레스 가압시켜 드레인 플러그(210)의 자석 삽입홈(215)가 다이스(110)의 금형부(111) 내면 형상에 맞춰 압축 변형되어 자석(220)의 확장부(223) 외면을 코킹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는 크게 다이스(110), 펀치부(120), 승강대(130), 플러그 취출장치(1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다이스(11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다이스(110)는 기둥부(221) 상단에 확장부(223)를 갖도록 제작된 자석(220)이 수직방향에 장입될 수 있도록 기둥안내부(111a) 및 확장안내부(111b)로 이루어진 금형부(11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다이스(110)는 원형 기둥형상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고, 그 중심에 금형부(111)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금형부(111)의 재질을 몸체와는 다른 별도의 재질을 이용해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금형부(111)의 재질을 몸체를 형성하는 재질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하여 별도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금형부(111)는 실질적인 프레스 압력이 집중되는 부위로서 마모 및 변형이 심하기 때문에 다이스(110) 전체 수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부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형부(111) 만을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대체시켜 다이스 전체 수명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금형부(111)의 내부형상은 자석(220)의 외형과 유사하게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자석(220)의 기둥부(221)에 대응하는 기둥안내부(111a)를 형성하고, 자석(220)의 확장부(223)에 대응하는 확장안내부(111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형부(111)는 전체적으로 자석(220)의 외형 치수보다 공차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자석(220)의 장입 및 이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자석(220)의 확장부(223)와 확장안내부(111b) 사이에는 드레인 플러그(210)의 자석 삽입홈(215)가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갭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이스(110)는 상기 기둥안내부(111a) 바닥에 자석(220)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13)는 압축스프링 등이 이용될 수 있는데, 펀치부(120)의 압축시 프레스충격이 자석(220)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스프링을 통해 완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13)는 코킹작업 이후에 자석(220)의 바닥면을 상부로 밀어 올려 드레인 플러그(210)를 쉽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푸쉬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13)는 압축스프링 외에도 수축 및 팽창작용이 가능한 구조물(예: 고무, 실린더 등)로 대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이스(110)는 상기 기둥안내부(111a)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드레인 플러그(210) 및 자석(220) 결합부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에어노즐(1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노즐(115)은 다이스(110) 몸체의 외면부로부터 금형부(111)의 중심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를 통해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금형부(111) 내에 압축공기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사된 압축공기는 자석(220)이나 드레인 플러그(21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 상기 펀치부(12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펀치부(120)는 상기 다이스(110)의 상부에서 드레인 플러그(210)의 볼트머리부(211)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승강대(130)의 하강압력에 의해 드레인 플러그(210)의 볼트머리부(211)를 가압하는 해머(121) 및 상기 해머(121)를 승강대(13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 안내하는 해머블록(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펀치부(120)에 의해 가압된 드레인 플러그(210)는 나사부(213)의 선단에 형성한 자석 삽입홈(215)가 금형부(111)의 확장안내부(111b) 내면을 따라서 수축 변형되면서 자석(220)의 확장부(223) 외주연을 코킹하여 결합하게 된다.
상기 펀치부(120)의 해머(121)는 드레인 플러그(210)의 볼트머리부(211)를 가압 및 타격하게 되는데, 금속재질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해머블록(123)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해머블록(123)은 전면에 해머(121)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결합하고, 내부에는 플러그 취출장치(140)를 탑재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별도의 액츄에이터(미도시)가 내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유공압 실린더 및 솔레노이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머블록(123)의 후면은 승강대(130)에 승하강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다음, 상기 승강대(13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승강대(130)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기둥체로서 제작될 수 있는데, 펀치부(120)를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이때, 상기 승강대(130) 내부에는 펀치부(120)를 승강 작동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승강장치(미도시)는 유압실린더의 신축 작용에 의해 연동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 형태의 스크류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스크류 상에 펀치부(120)의 후면과 연결되는 이송부재를 나선 결합시켜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펀치부(120)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플러그 취출장치(14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코킹 작업된 드레인 플러그를 플러그 취출장치를 이용해 취출하는 공정을 도시한 실물작업사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 취출장치(140)는 상기 펀치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이스(110)에 장입된 드레인 플러그(210)를 자동 취출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플러그 취출장치(140)는 횡방향 이송블록(141), 지그(143) 및, 취출아암(145)으로 구성된다.
상기 횡방향 이송블록(141)은 펀치부(120)의 해머블록(123)에 슬라이드바(142)로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바(142)는 해머블록(123) 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연동되어 횡방향으로 진퇴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바(142)는 복수 개가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 이송블록(141)의 하단에 한 쌍의 지그(143)가 연결된다. 상기 지그(143)는 횡방향 이송블록(141)과 하부의 취출아암(145)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취출아암(145)은 상기 지그(143) 하부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집게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취출아암(145)은 특정구간의 폭을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연장된 끝단부 측 구간의 폭을 드레인 플러그(210)의 볼트머리부(211)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하여 드레인 플러그(210)의 볼트머리부(211)가 수직방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파지하는 파지구간(145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구간(145a)의 단부를 수직방향으로 절곡시켜 후퇴시 볼트머리부(211)가 간섭되도록 이탈방지턱(145b)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구간(145a) 내측의 지그(143) 연결부 측 구간의 폭을 드레인 플러그(210)의 볼트머리부(211) 직경보다 넓게 형성하여 드레인 플러그(210)의 볼트머리부(211)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하는 낙하구간(145c)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취출아암(145)은 낙하구간(145c)으로부터 파지구간(145a)의 높이를 점차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파지구간(145a)에 위치했던 드레인 플러그(210)가 자중에 의해 낙하구간(145c) 측으로 흘러내려 자동 낙하된 후, 배출 슬로프(150)로 공급된다.
상기 배출 슬로프(150)는 코킹작업된 드레인 플러그를 미끄럼 이동시켜 저장용기(미도시)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석 코킹장치를 이용해 드레인 플러그를 조립하는 공정에 대해 도 4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를 이용해 드레인 플러그와 자석을 코킹 결합하는 작업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작업공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이스(110)의 금형부(111)에 자석(220) 및 드레인 플러그(210)가 차례로 장입된다. 이때, 펀치부(120)는 승강된 상태로 대기 중이며, 플러그 취출장치(140)의 횡방향 이송블록(141)은 해머블록(123)으로부터 최대 이격된 거리 상에 대기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이스(110)의 금형부(111)에 자석(220)이 먼저 장입되도록 한 후, 상기 자석(220)의 확장부(223)와 드레인 플러그(210)의 자석 삽입홈(215)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장입된 자석(220) 및 드레인 플러그(210)는 금형부(111) 내에 설치된 탄성부재(113)에 의해 탄력 지지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자석(220) 및 드레인 플러그(210)가 장입된 상태에서 펀치부(120)가 하강하여 드레인 플러그(210)를 가압시키게 된다.
이때, 펀치부(120)에 의한 가압력을 받는 드레인 플러그(210)가 하강하게 되며, 드레인 플러그(210)의 선단에 마련된 자석 삽입홈(215)가 다이스(110)의 금형부(111)의 확장안내부(111b)와 만나게 된다.
이때, 상기 확장안내부(111b)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자석 삽입홈(215)의 외경보다 좁아지는 라운드 및 모따기 경사면을 형성함에 따라, 펀치부(120)의 하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연질의 자석 삽입홈(215)가 금형부(111)의 확장안내부(111b) 형상에 맞춰 수축 변형됨으로써, 코킹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펀치부(120)의 압착 공정과 더불어 플러그 취출장치(140)의 횡방향 이송블록(141)이 다이스(110)의 중심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취출아암(145)이 드레인 플러그(210)의 볼트머리부(211) 하측으로 진입하여 파지구간(145a) 상측에 볼트머리부(211)가 위치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취출아암(145)의 파지구간(145a) 상부에 드레인 플러그(210)가 위치된 상태에서 펀치부(120)를 승강시켜 드레인 플러그(210) 및 자석(220)을 다이스(110)의 금형부(111)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드레인 플러그(210) 및 자석(220)이 금형부(111)로부터 완전히 이탈됨과 동시에 횡방향 이송블록(141)이 다이스(110)의 중심측 외곽방향으로 이동하여 드레인 플러그(210)를 배출 슬로프(150)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출 슬로프(150) 상측의 드레인 플러그(210)가 자중에 의해 취출아암(145)의 파지구간(145a)으로부터 낙하구간(145c)으로 슬립 이동함으로써, 자연낙하 되고, 낙하된 드레인 플러그(210)는 배출 슬로프(150)를 따라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드레인 플러그는 소정의 저장수단에 수납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자석의 기둥부 상단에 마련된 확장부를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삽입부에 끼워 다이스에 삽입한 후 펀치부를 이용해 드레인 플러그를 가압시켜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삽입부가 다이스의 금형부 형상에 맞춰 압축변형되어 코킹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드레인 플러그 선단에 자석을 영구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펀치부의 가압력이 자석에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석이 파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펀치부의 일측에 플러그 취출장치를 마련하여 펀치부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하고, 펀치부 복귀시 자석이 코킹된 드레인 플러그가 자동 취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개선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수작업 시 작업자가 입을 수 있는 부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를 제한적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다이스 111: 금형부
111a: 기둥안내부 111b: 확장안내부
113: 탄성부재 115: 에어노즐
120: 펀치부 121: 해머
123: 해머블록 130: 승강대
140: 플러그 취출장치 141: 횡방향 이송블록
142: 슬라이드 바 143: 지그
145: 취출아암 145a: 파지구간
145b: 이탈방지턱 145c: 낙하구간
150: 배출 슬로프 210: 드레인 플러그
211: 볼트머리부 213: 나사부
215: 자석 삽입홈 217: 코킹부
220: 자석 221: 기둥부
223: 확장부

Claims (6)

  1. 삭제
  2. 기둥부(221) 상단에 확장부(223)를 갖도록 제작된 자석(220)이 수직방향에 장입될 수 있도록 기둥안내부(111a) 및 확장안내부(111b)로 이루어진 금형부(111)를 형성하는 다이스(110);
    상기 다이스(110)의 상부에서 드레인 플러그(210)의 볼트머리부(211)를 수직방향으로 가압시켜 드레인 플러그의 나사부(213) 선단에 형성한 자석 삽입홈(215)가 금형부(111)의 확장안내부(111b) 내면을 따라서 수축변형되어 자석(220)의 확장부(223) 외주연을 코킹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펀치부(120);
    상기 펀치부(120)를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승강대(130); 및
    상기 펀치부(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다이스(110)에 장입된 드레인 플러그(210)를 자동 취출하는 플러그 취출장치(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코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110)는 기둥부(221) 상단에 확장부(223)를 갖도록 제작된 자석(220)이 수직방향에 장입될 수 있도록 기둥안내부(111a) 및 확장안내부(111b)로 이루어진 금형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기둥안내부(111a) 바닥에 자석(220)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113)를 형성하며, 상기 기둥안내부(111a)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드레인 플러그(210) 및 자석(220) 결합부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에어노즐(11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코킹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부(120)는 승강대(130)의 하강압력에 의해 드레인 플러그(210)의 볼트머리부(211)를 가압하는 해머(121); 및
    상기 해머(121)를 승강대(13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 안내하는 해머블록(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코킹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취출장치(140)는 펀치부(120)의 해머블록(123)에 슬라이드바(142)로 연결되어 횡방향 이송되는 횡방향 이송블록(141);
    상기 횡방향 이송블록(141)의 하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그(143); 및
    상기 지그(143) 하부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집게형태의 취출아암(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코킹장치.
  6. 삭제
KR1020130127849A 2013-10-25 2013-10-25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Active KR10146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849A KR101469748B1 (ko) 2013-10-25 2013-10-25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849A KR101469748B1 (ko) 2013-10-25 2013-10-25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748B1 true KR101469748B1 (ko) 2014-12-05

Family

ID=5267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849A Active KR101469748B1 (ko) 2013-10-25 2013-10-25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7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861B1 (ko) * 2015-03-23 2015-05-18 (주)와이에스더블유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KR101669153B1 (ko) 2015-08-21 2016-10-25 대원금속 주식회사 자성 드레인볼트 제조장치
CN114713715A (zh) * 2022-02-25 2022-07-08 卓越紧固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放油螺栓的加工模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0148A (en) * 1987-04-09 1989-03-07 Ishikawa Tekko Kabushiki Kaisha Drain bolt
KR19980065210A (ko) * 1997-01-06 1998-10-15 김광호 로터의 e-링 및 마그네트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0148A (en) * 1987-04-09 1989-03-07 Ishikawa Tekko Kabushiki Kaisha Drain bolt
KR19980065210A (ko) * 1997-01-06 1998-10-15 김광호 로터의 e-링 및 마그네트 삽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861B1 (ko) * 2015-03-23 2015-05-18 (주)와이에스더블유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KR101669153B1 (ko) 2015-08-21 2016-10-25 대원금속 주식회사 자성 드레인볼트 제조장치
CN114713715A (zh) * 2022-02-25 2022-07-08 卓越紧固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放油螺栓的加工模具
CN114713715B (zh) * 2022-02-25 2024-02-09 卓越紧固系统(上海)有限公司 一种放油螺栓的加工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00598B (zh) 一种卡簧的上下料装置
KR101469748B1 (ko)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CN104240995B (zh) 一种按钮开关的弹簧与底盖自动装配机
EP1250968A1 (en) Pressing apparatus
CN111215872B (zh) 一种链条销轴与外附板的自动压合设备及其使用方法
CN111015190A (zh) 机壳上装弹簧片装置
CN108971955B (zh) 顶升式螺母拧装机及其拧装方法
CN204117901U (zh) 一种按钮开关的弹簧与底盖自动装配机
CN103511475A (zh) 一种轴承钢珠下球库装置
CN208303769U (zh) 一种铆钉自动放置和打钉装置
JP5433914B2 (ja) 焼結部品のサイジング用金型とサイジング装置
KR102528837B1 (ko) 스터드볼트의 발화제 삽입 자동화 장치
CN209174772U (zh) 一种自动出料的金属冲压装置
US4852231A (en) Piston wrist pin installation and remov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KR100419958B1 (ko) 자동 부싱 스웨징기
JP5330822B2 (ja) 成形金型装置
CN205324515U (zh) 一种自动扩管机的智能压紧装置
KR200417672Y1 (ko) 상부 취출형 단조금형장치
KR101520861B1 (ko)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CN111302027B (zh) 一种钢板输送装置
CN213561032U (zh) 一种新型自动钻孔压铆一体机
CN111633607A (zh) 一种压装轴承外圈和油封的装置
CN210450894U (zh) 一种压铸件孔内飞边清理装置
KR200244040Y1 (ko) 자동 부싱 스웨징기
CN204183188U (zh) 凸轮轴u形帽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