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9465B1 -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및 조절가능한 자동차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및 조절가능한 자동차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465B1
KR101469465B1 KR1020127033150A KR20127033150A KR101469465B1 KR 101469465 B1 KR101469465 B1 KR 101469465B1 KR 1020127033150 A KR1020127033150 A KR 1020127033150A KR 20127033150 A KR20127033150 A KR 20127033150A KR 101469465 B1 KR101469465 B1 KR 101469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aring
threaded spindle
base assembly
bearing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413A (ko
Inventor
닐스 마그누스
마르쿠스 검브리시
Original Assignee
존슨 콘트롤즈 메탈즈 앤드 메카니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콘트롤즈 메탈즈 앤드 메카니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존슨 콘트롤즈 메탈즈 앤드 메카니즘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2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46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36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whol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1Rods
    • B60N2/1615Parallelogram-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4Linear actuator, e.g. screw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0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조립체에 대한 시트 구조물의 조절 및 지탱에 적합하며 일단부가 시트 구조물에, 그리고 타단부가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관절식 결합될 수 있는 길이조절가능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특히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어 유닛(1)은, 충돌시에 시트 구조물(2) 및/또는 시트 베이스 조립체(3)에 대해 피봇 방식으로, 그리고 이동 가능한(shiftable) 방식으로 일단부 및/또는 양 단부들이 지탱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및 조절가능한 자동차 시트 {ADJUSTMENT DEVICE FOR MOTOR VEHICLE SEATS AND AN ADJUSTABLE MOTOR VEHICLE SEAT}
본 발명은,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대한 시트 구조물의 조절 및 지탱에 적합하며 일단부가 시트 구조물에, 그리고 타단부가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관절식 결합될 수 있는, 길이 조절가능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특히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조절 장치, 특히 높이 조절 장치를 갖는, 조절 가능한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신 차량들에서의 자동차 시트들은, 사용자들의 요구들에 대해 자동차 시트를 최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허용하는 다수의 조절 옵션들을 갖는다. 자동차 시트의 수동 조절가능성 이외에, 대응하는 제어 요소들을 사용하여 차량 시트들이 안락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모터 구동식 조절 장치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시트 표면, 백레스트(backrest), 헤드레스트(headrest) 등과 같은 별개의 시트 영역들 또는 각각의 시트 구조물들을 조절하기 위해서, 길이 조절 가능한 제어 유닛들이, 유닛들의 길이 조절에 의해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서로 또는 각각에 대해 시트 구조물들이 조절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높이 조절 장치에 의해, 조절 장치는, 일단부가, 조절될 시트 부재, 일반적으로 시트 팬에 바람직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시트 상부 레일과 같은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연결되며, 시트의 설정(set) 높이는 제어 유닛의 설정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본 출원의 문맥에서의 시트 베이스 조립체는, 차량 플로어, 특히, 시트 하부 레일들, 시트 상부 레일들뿐만 아니라 이들 위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에 연결가능한 조립체인 것으로 이해된다.
공지된 조절 장치들, 특히 스핀들 드라이브들을 갖는 조절 장치들, 또는 높이 조절을 위해서 시트 팬과 시트 베이스 조립체 사이에 배열되는 것들의 문제점은, 차량의 후미 추돌(rear-end collision)시 조절 장치에 작용하는 힘들이, 특히 차량 구동 유닛이 사용될 때 아주 현저한 관성력을 발생시키는 것에 기인하여 너트 스핀들 시스템과 같은 제어 유닛을 구부러지게 할 위험이 있다는 점이다. 힘의 경로들로부터 기인한 구부러짐 방향에 따라서, 구부러짐의 단부들은 바람직하지 않은 조건들 하에 시트 팬을 향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핀들 구동장치들에 대해 짧은 스핀들을 사용하거나 구성요소들을 보강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조치들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은 바람직한 설치 공간을 적게 사용하며 상당한 노력과, 무게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절 장치의 구부러짐 방향이 충돌시에 미리정해진, 조절 장치를 갖는 조절 장치뿐만 아니라 자동차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항의 특징부를 갖는 조절 장치에 의해, 그리고 제 9 항의 특징부를 갖는 조절 가능한 자동차 시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자동차 시트들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가능한 제어 유닛들을 갖는 범용 조절 장치들을 사용하는 것은, 조절 장치가 양단부들에서 피봇가능하게, 즉, 한편으로는 시트 조립체에 대해 조절되게,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대해 연결되게 할 필요가 있다. 최소 유극(play) 및 단순한 관절식 결합에 의한 지탱을 이루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조절 장치의 순수 피봇 연결을 가능케하는 제어 유닛의 길이방향 축에, 관절 포인트들의 배열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열체의 경우에, 시트 구조물을 통해 작용하는 축방향력들이 조절 장치 및 제어 유닛에 작용하는 후미 추돌 또는 전방 충돌시에 제어 유닛이 구부러지는 방향이 예측될 수 없을지라도, 조절 장치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들에 기인하여, 제어 유닛, 예컨대 시트 베이스 조립체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피봇 포인트의 배열체가 편향될 때 토크가 발생함으로써, 부하 작용시에 구부러지는 방향이 결정되도록 허용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에 따라, 제어 유닛은 충돌시 시트 구조물 및/또는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대해 피봇 방식으로 그리고 변위가능하게 일단부 및/또는 양단부에서 지탱하도록 설계된다. 피봇된 베어링은 시트 구조물 또는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대한 제어 유닛의 임의의 선형의 이동 없이 자동차 시트의 정상 작동시 조절 장치의 매끄러운 작동을 보장한다. 그러나, 시트 구조물 및/또는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대한 조절 유닛의 로드 의존형 이동성(shiftability)은, 시트 구조물 및/또는 시트 베이스 조립체와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예컨대, 베어링 볼트, 핀 등에 대해, 제어 유닛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편향하는 위치로 특정된 힘이 도달한다면, 제어 유닛이 이동되게 허용한다. 그 결과, 충돌시에 조절 장치에 작용하는 힘들이 제어 유닛의 구부러짐 방향을 결정하는 이동된 관절 포인트에 대한 토크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순수 피봇식으로 그리고 이에 따라 정상 작동시 유극없이(play-free) 쉽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부하가 증가하여 조절 장치가 구부러지면, 관성력들 하에 구부러짐이 발생한다면, 이것이 시트 팬들의 반대 방향으로 발생하도록 제어 유닛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상이하게 배열된 이동가능한 베어링에 기인하여, 조절 장치가 충돌 베어링으로 이동된다. 특히, 모터화된 구동 유닛이 사용될 때, 이에 따라 충돌시에 발생하는 증가된 관성력들 하에 구부러짐 방향이 신뢰가능하게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조절 장치의 길이 조절 가능한 설계는, 예컨대, 유압 또는 공압 시스템들이 또한, 상정가능한 임의의 방식으로 원칙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나사식 스핀들을 가지탱만, 또한 나사식 스핀들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나사식 스핀들에 적합한 내부 나사를 갖는 수용 유닛을 가지며, 수용 유닛은 시트 베이스 조립체 및 시트 구조물에 나사식 스핀들로 관절식 결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히 단순하며 경제적인 설계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수용 유닛에 대해 나사식 스핀들을 회전시킴으로써 길이가 쉽게 바뀔 수 있으며, 너트 스핀들 기구는, 조절될 시트 구조물의 매우 정교한 조절을 가능케 한다.
조절 기구는, 충돌시에 베어링 이동을 가능케 하도록 일단부 및/또는 양단부들에 원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용 유닛은, 내부 나사에 대향하는 수용 유닛의 일단부에서, 제어 유닛이 충돌시에 베어링 축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시트 베이스 조립체의 베어링 축에 대해 피봇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나사식 스핀들이 수용 유닛에 대향하는 나사식 스핀들의 단부의 영역에 바람직하게 배열된 구동 유닛으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이 위치에서 설치 공간이 매우 작을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 영역에서 특히 실현하기 쉬운 것으로 구분된다. 또한, 시트 구조물 상에서 피봇되는 방식으로만 지탱되는 제어 유닛은, 충돌시에 발생하는 힘들의 매우 신뢰가능한 도입을 보장하며, 이는 제어 유닛이 고장 날 때까지 충돌하는 구성요소들이 버티지 못하는 특히 신뢰가능한 방식으로 보장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충돌시에 시트 구조물 및/또는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대한 이동가능한 베어링 및 정상 작동시 피봇되는 베어링을 실현하도록 임의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유닛은, 길이방향 베어링 개구, 바람직하게는 슬롯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시트 베이스 조립체 상에 장착되게 내부 나사의 대향 단부에, 나사식 스핀들의 길이방향 축에 배열되는 제 1 정상(normal) 베어링 포인트, 및 나사식 스핀들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편향되며 내부 나사를 갖는 수용 유닛의 단부를 향해서 정상 베어링 포인트에 대해 이동되도록 배열되는 제 2 충돌(crash) 베어링 포인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으로서 바람직하게 설계된 수용 유닛의 베어링 개구는 베어링 개구의 단부들에 의해 설정된 2 개의 베어링 포인트들 또는 별개의 슬롯을 가지며, 즉, 정상 작동시 조절 장치를 작동시키는 정상 베어링 포인트와 충돌시에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제어 유닛이 연결되는 충돌 베어링 포인트를 갖는다.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수용 유닛의 관절식 결합을 위한 베어링 개구에 배열된 베어링 요소, 예컨대, 대응하는 베어링 볼트, 핀 등은, 수용 유닛 또는 별개의 제어 유닛에 작용하는 미리 특정된 힘이 베어링 개구의 해당 실시예에 부여된 것을 초과한 후에만 단지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충돌 베어링 포인트로의 접근이 해제되고, 이에 의해 정상 베어링 포인트로부터 충돌 베어링 포인트까지 베어링 요소가 통과하는 동안 부과된 힘들이 작용하여 제어 유닛이 이동하게 된다. 제어 유닛이 나사식 스핀들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이동한 후에, 나사식 스핀들 상에 그리고 나사식 스핀들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의 충돌시에 부과되는 힘들은, 제어 유닛의 고장시 제어 유닛의 구부러짐 방향을 결정하는 토크를 발생시킨다. 길이방향 베어링 개구, 특히 슬롯의 사용은, 특히 설계가 쉽고 경제적이다.
베어링 개구의 설계는, 정상 작동시 제어 유닛의 순수 피봇되는 배열체를, 베어링 요소가 충돌시에 발생하는 증가된 힘들의 작용하에서만 충돌 베어링 포인트로의 베어링 개구에서 이동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비제한적이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링 개구는 정상 베어링 포인트와 충돌 베어링 포인트 사이에 영역이 협소한 협소부를 갖는다. 이는, 정상 베어링 포인트에 베어링 요소를 배열하는 신뢰성 있는 옵션을 산출한다. 협소부는, 제어 유닛에 작용하는 베어링 요소로부터 증가된 힘들의 작용하에 변위 또는 별개로 변형됨으로써 베어링 요소가 충돌 베어링 포인트로 이동되는 것을 유발하도록 설계된다. 협소부는, 매우 쉽고 경제적으로 설계될 수 있고, 이는 정상 작동시 시트 베이스 조립체 등으로의 제어 유닛의 신뢰성 있는 피봇식 배열을 보장한다.
협소부를 갖는 베어링 개구의 설계에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베어링 개구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의 정상 베어링 포인트 둘레 영역에서 변형 요소에 의해 폐쇄되며, 이는 충돌시에 변형되고 충돌 베어링 포인트로 접근 해제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 요소는, 정상 작동시, 베어링 개구만이 배열체의 정상 베어링 포인트를 해제하고, 정상 작동중 발생하는 힘들이 변형 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베어링 개구에 배열된다. 변형 요소는, 충돌시에 증가된 힘들이 발생할 때, 충돌 베어링 포인트로의 베어링 요소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정상 베어링 포인트로부터 충돌 베어링 포인트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변형 요소는, 정상 작동 및 충돌시 발생하는 힘들에 따라 설계되는 금속들 및/또는 플라스틱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닛은, 원칙적으로는, 임의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게다가, 나사식 스핀들을 유지하는 수용 유닛은, 원칙적으로는, 임의의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러나, 일단부에는, 나사식 스핀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나사를 가지며, 타단부에는, 베어링 개구를 갖는 평탄화된 영역을 갖는 홀딩 튜브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홀딩 튜브는, 특히 쉽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홀딩 튜브를 사용함으로써, 나사식 스핀들에 조화된 내부 나사가, 조절 장치를 특히 쉽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홀딩 튜브 내측에 통합될 수 있다.
수용 유닛에 배열된 나사식 스핀들이 사용되면, 제어 유닛은 수용 유닛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조절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식 스핀들은 수용 유닛으로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나사식 스핀들의 단부에서, 시트 구조물에 관절식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하우징에서, 나사식 스핀들은 스핀들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에 맞물릴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제어 유닛이 쉽게 구동되며, 이와 동시에, 충돌시 시트 구조물 상에 작용하는 힘들이 시트 구조물로의 하우징의 피봇식 연결을 통해서 제어 유닛에 신뢰성 있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특히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구부러짐 방향을 특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조절 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특히 높이 조절 장치는, 조절 장치가, 일단부에서, 수용 개구의 정상 베어링 포인트를 통해 신장하도록 시트 베이스 조립체 상에 배열된 베어링 볼트 상에 수용 유닛을 갖도록 배열되고, 타단부에서, 나사식 스핀들이 피봇가능하게 지탱하는 하우징을 통해 시트 구조물에 관절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는, 전술한 조절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조절 장치의 제어 유닛이 구부러질 때, 즉 시트 베이스 조립체의 방향으로, 특정 구부러짐 운동이 발생하도록 시트 베이스 조립체 상에 배열된 베어링 볼트에 배열시킴으로써 수용 개구에서의 정상 베어링 포인트로부터 충돌 베어링 포인트로의 충돌시 베어링 볼트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그 위에 조절 장치가 배열되는 자동차 시트의 섹션의 측면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조절 장치의 제어 유닛의 측면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도 2에서 제어 유닛의 베어링 개구의 설계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2에서 제어 유닛의 베어링 개구의 설계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그 위에 조절 장치의 제어 유닛(1)이 배열되는 자동차용 시트의 섹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어 유닛(1)은 시트면으로서 설계된 시트 구조물(2) 및 시트 베이스 조립체(3)의 시트 상부 레일(13) 사이에서 신장하며, 상기 시트 상부 레일(13)은 차량 플로어(floor) 상에 배열된 시트 하부 레일(14)에 대해 가동식으로 장착된다.
시트 높이의 조절을 허용하는 도 2에 단독으로 도시된 제어 유닛(1)은, 시트 표면(2)상의 관절식 배열체를 위한 베어링 볼트(도시 생략)를 수용하도록 베어링 개구(15)를 갖는 하우징(11)을 일단부 상에 갖는다. 제어 유닛(1)의 나사식 스핀들(5)은 하우징(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우징(11)은 나사식 스핀들(5)을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도시 생략)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나사식 스핀들(5)은 하우징(11)의 반대 단부에서 홀딩 튜브(4)로서 설계된 수용 유닛에 배열되며, 홀딩 튜브(4)는 나사식 스핀들(5)에 마주하며 스핀들에 적합한 내부 나사를 튜브의 단부에 갖는다. 이에 따라, 나사식 스핀들(5)은 회전하지만, 홀딩 튜브(4)가 고정유지됨으로써, 하우징(11) 사이 거리가 홀딩 튜브(4)에 대해 변화하게 된다.
나사식 스핀들(5)의 반대의 단부에서, 홀딩 튜브(4)는 길이방향 베어링 개구(7)가 배열되는 평탄화된 영역을 갖는다. 베어링 개구(7)는 정상의 베어링 포인트(6)와 충돌 베어링 포인트(9)를 갖는다. 정상의 베어링 포인트(6)와 하우징(11)의 베어링 개구(15)는, 나사식 스핀들(5)이 회전함에 따라 제어 유닛(1)의 길이가 변화할 때, 제어 유닛(1)이 시트 베이스 조립체(3)와 시트 표면(2)에 대한 방해받지 않는(unimpeded) 스윙 움직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나사식 스핀들(5)의 길이방향 축 상에 배열된다.
정상의 베어링 포인트(6)로부터 선행하는 충돌 베어링 포인트(9)로의 접근은, 베어링 개구(15) 내에 도입되고 바람직하게는 개구 내에 클립식으로 결합되는 플라스틱 요소(16)에 의해 차단되며, 충돌시 발생하는 미리 정해진 힘에 도달될 때, 플라스틱 요소(16)가 터지게되며(breached), 이에 따라 베어링 볼트(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베어링 개구(7)는, 슬롯으로서 설계되며, 정상의 베어링 포인트(6)의 반대의 슬롯에 배열되는 충돌 베어링 포인트(9)는 나사식 스핀들(5)의 길이방향 축과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시트 베이스 조립체(3)에 홀딩 튜브(4)가 관절식 결합됨으로써, 베어링 볼트(12)가 충돌 베어링 포인트(9)에 배열될 때, 나사식 스핀들(5)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부과되는 충돌시 발생하는 힘으로부터 토크가 발생하며, 이는, 제어 유닛(1)이 구부러질 때, 즉 시트 베이스 조립체(3)를 향하게 될 때 구부러짐 방향을 결정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베어링 개구(7)의 서브분할(subdivision)의 대안의 실시예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베어링 볼트(12)가 단지 충돌시에만 이동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베어링 개구(7)는 플라스틱 요소(16)로 밀봉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충돌 시에 이에 해당하는 이전에 규정된 힘들의 작용 하에 변형되도록 설계된 변형 요소(10)로 밀봉되며, 이는 정상의 베어링 지점(6)으로부터 충돌 베어링 지점(9)으로 베어링 볼트(12)가 움직이는 것을 유발한다.
베어링 개구(7)의 대안의 실시예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베어링 개구(7a)는 정상의 베어링 지점(6)과 충돌 베어링 지점(9) 사이에서 신장하는 협소부(8)를 가지며, 이는 정상 작동중 베어링 개구(7a)에서 베어링 볼트(12)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협소부(8)는, 충돌시 발생한 상승된 힘들이 생길 때만, 협소부(8)에 작용한 힘들이 변형을 유발하도록 설계되며, 이에 의해 베어링 볼트(12)가 충돌 베어링 지점(9)으로 이동 가능하다.

Claims (9)

  1.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대한 시트 구조물의 조절 및 지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일단부가 시트 구조물에, 그리고 타단부가 시트 베이스 조립체에 관절식 결합될 수 있는 길이조절가능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은, 충돌시에 상기 시트 구조물(2) 및 상기 시트 베이스 조립체(3) 중 하나 이상에 대해 피봇(pivoted) 방식으로, 그리고 이동 가능한(shiftable) 방식으로 일 단부 또는 양 단부들이 지탱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어 유닛(1)은 나사식 스핀들(5) 및 상기 나사식 스핀들(5)에 맞춰진 내부 나사를 갖는 수용 유닛(4)을 가지며, 상기 수용 유닛 내부에 상기 나사식 스핀들(5)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내부 나사에 대향하는 수용 유닛(4)의 단부는, 상기 시트 베이스 조립체(3) 상에 지탱되기 위해서, 길이방향 베어링 개구(7)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 개구는, 상기 나사식 스핀들(5)의 길이방향 축에 배열되는 제 1 정상(normal) 베어링 포인트(6), 및 상기 나사식 스핀들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내부 나사를 갖는 상기 수용 유닛(4)의 단부를 향해서 상기 정상 베어링 포인트에 대해 이동되도록 배열되는 제 2 충돌 베어링 포인트(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4)은 상기 시트 베이스 조립체(3)에 관절식 결합가능하며, 상기 나사식 스핀들(5)은 상기 시트 구조물(2)에 관절식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에 대향하는 상기 수용 유닛(4)의 단부는, 상기 제어 유닛(1)이 충돌시에 베어링 축(6)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 베이스 조립체(3)의 베어링 축에 대해 피봇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개구(7)는 상기 정상 베어링 포인트(6)와 상기 충돌 베어링 포인트(9) 사이의 영역에 협소부(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개구(7)는, 충돌시에 변형되고 상기 충돌 베어링 포인트(9)로의 접근을 릴리즈하도록 설계되는 변형 요소(10)에 의해 상기 정상 베어링 포인트(6) 둘레 영역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4)은, 상기 나사식 스핀들(5)을 수용하도록 상기 내부 나사를 일단부에 가지며 베어링 개구(7)를 갖는 평탄화된 영역을 타단부에 갖는 홀딩 튜브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4)을 등지는 상기 나사식 스핀들(5)의 단부는, 상기 시트 구조물(2)에 관절식 결합될 수 있는 하우징(11)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11) 내에서 상기 나사식 스핀들(5)은 상기 나사식 스핀들(5)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에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5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를 갖는, 조절 가능한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수용 유닛(4)을 갖는 조절 장치(1)의 일단부는, 시트 개구(7)의 정상 베어링 포인트(6)를 통해 연장하도록 시트 베이스 조립체(3) 상에 배열되는 베어링 볼트(12) 상에 배열되고, 상기 조절 장치의 타단부에서, 나사식 스핀들(5)을 피봇가능하게 지탱하는 하우징(11)에 의해 상기 나사식 스핀들(5)이 시트 구조물(2) 상에 관절식 연결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자동차 시트.
KR1020127033150A 2010-05-19 2011-04-01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및 조절가능한 자동차 시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469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9129.3 2010-05-19
DE102010029129A DE102010029129A1 (de) 2010-05-19 2010-05-19 Verstell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sitze, insbesondere Höhenverstellvorrichtungen
PCT/EP2011/055115 WO2011144381A2 (de) 2010-05-19 2011-04-01 Verstell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sitze, insbesondere höhenverstellvorricht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413A KR20130029413A (ko) 2013-03-22
KR101469465B1 true KR101469465B1 (ko) 2014-12-05

Family

ID=4462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1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9465B1 (ko) 2010-05-19 2011-04-01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및 조절가능한 자동차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13247A1 (ko)
EP (1) EP2571720A2 (ko)
JP (1) JP5642264B2 (ko)
KR (1) KR101469465B1 (ko)
CN (1) CN102985285A (ko)
DE (1) DE102010029129A1 (ko)
WO (1) WO20111443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8842B2 (en) * 2014-02-24 2016-04-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yrotechnic fastener seat arrangement for unbelted occupant protection
JP6130327B2 (ja) * 2014-05-09 2017-05-17 株式会社ジャムコ 航空機の乗客用シート
DE102014217506A1 (de) * 2014-09-02 2016-03-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Deformationselement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CN105539213A (zh) * 2016-02-02 2016-05-04 沈阳市中瑞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座椅高度提升机构
US10081279B2 (en) * 2016-04-12 2018-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thigh extension trim tensioning slider mechanism
DE102016217405B3 (de) * 2016-09-13 2018-01-18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Energieabsorber für einen fahrzeugsitz sowie linear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mit einem energieabsorber
DE102016225053B4 (de) * 2016-12-14 2025-07-1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einrichtung für die Längsverstellung eines Fahrzeugsitzes
DE102018119702B4 (de) * 2018-08-14 2020-06-04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19200250A1 (de) * 2019-01-10 2020-07-16 Thyssenkrupp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CN111976561A (zh) * 2020-09-22 2020-11-24 重庆宏立至信科技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带吸能结构的座椅座框侧板和座椅骨架
WO2024180381A1 (de) * 2023-02-28 2024-09-06 Adient Us Llc Fahrzeugsitz, insbesondere für ein autonom fahrendes kraft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213A (ja) * 2006-08-11 2010-01-07 フォルシア シエジュ ドトモビル 自動車の座席のための衝撃時のエネルギー吸収装置、その装置を備える座席および自動車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388A (en) * 1975-08-11 1976-10-12 Uop Inc. Vertically adjustable seat with energy absorbing means
DE4020057C2 (de) * 1990-06-23 1996-05-09 Bayer Ag Fahrzeugsitz
US5912202A (en) * 1997-01-10 1999-06-15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activity
FR2908699B1 (fr) * 2006-11-17 2009-01-16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avec assise reglable
DE202007006910U1 (de) * 2007-05-14 2008-09-1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höhenverstelleinrichtung sowie Kraftfahrzeugsitz
DE102008030608B4 (de) * 2007-08-09 2010-11-25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Sitztiefenverstellbarer Kraftfahrzeugsitz
CN101509540B (zh) * 2008-02-14 2011-06-15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动力传输装置
DE102009025694A1 (de) * 2009-06-20 2010-02-04 Daimler Ag Höhen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0213A (ja) * 2006-08-11 2010-01-07 フォルシア シエジュ ドトモビル 自動車の座席のための衝撃時のエネルギー吸収装置、その装置を備える座席および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42264B2 (ja) 2014-12-17
WO2011144381A3 (de) 2012-09-20
WO2011144381A2 (de) 2011-11-24
EP2571720A2 (de) 2013-03-27
DE102010029129A1 (de) 2011-11-24
JP2013526453A (ja) 2013-06-24
US20130113247A1 (en) 2013-05-09
KR20130029413A (ko) 2013-03-22
CN102985285A (zh)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465B1 (ko)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및 조절가능한 자동차 시트
US7604213B2 (en)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JP4620665B2 (ja) 自動車シート用の自動車シートバック構造
EP1905640B1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9718381B2 (en) Power headrest apparatus
JP5386344B2 (ja) シートアジャスタ用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デバイス
US7374245B2 (en) Vehicular seat
EP2325043A1 (en)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KR102235731B1 (ko)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KR100365124B1 (ko) 조절가능한 페달용 장착 조립체
JP2001097083A (ja)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US7648200B2 (en) Headrest device
JP2007508976A (ja) 車両シート用ヘッドレスト
KR20090031413A (ko) 조정식 볼스터 조립체
KR20210021020A (ko) 차량 시트용 등받이 및 등받이 헤드 모듈
CN115139871A (zh) 机动车辆座椅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5153794B2 (ja) バックレスト支持機構
JPS63291741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シート
CN110654287B (zh) 用于车辆座椅的腿部支撑件
CN109689427B (zh) 一种车辆座椅的线性调节器以及车辆座椅
CN113950430A (zh) 纵向调节器和车辆座椅
KR101945797B1 (ko) 파워 헤드레스팅 장치
KR101116704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JP2003341488A (ja) ペダル後退量抑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