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8116B1 -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116B1
KR101468116B1 KR20130109256A KR20130109256A KR101468116B1 KR 101468116 B1 KR101468116 B1 KR 101468116B1 KR 20130109256 A KR20130109256 A KR 20130109256A KR 20130109256 A KR20130109256 A KR 20130109256A KR 101468116 B1 KR101468116 B1 KR 10146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vibration
unit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천
박장운
최영근
유택호
이혜원
사성진
이백희
이지형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0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11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가 개시된다.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는, 차량 시트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와, 차량 시트에 착석(着席)한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운전자의 특정 움직임을 피로(疲勞) 상태의 동작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센싱부로부터 운전자의 움직임 신호를 전송 받아 저장부에 저장된 피로(疲勞) 상태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면 진동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APPARATUS FOR REDUCING DRIVER'S FATIG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졸음 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는 주행 중에 내외부적 부하로 발생되는 정신적 피로로 인한 주행 능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곧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차량 운전 중 발생하는 정신적인 피로는 아래와 같이 다양하게 발생될 수 있다. 즉, 차량 운전 중 발생하는 정신적 피로는, 운전자가 교통이 밀집된 지역에서 운전하거나 운전 중 수행하는 부가 작업들 예를 들면, 통화, 음식물 섭취, 메모 및 화장 등의 부가 작업과 부적합한 시야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장거리 운전에 따른 운전 환경의 단조로움과, 생활주기 변동과 수면 부족 또는 수면 장애에 의해서도 운전 중 정신적인 피로가 유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되는 운전 중 정신적 피로는 각성 정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운전중 정신적인 피로를 저감하고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피로 감지 시스템과 충돌 방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안전 운전 지원 시스템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안전 운전 지원 시스템은, 정신적 피로가 발생되어 주행 능력이 저하된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경고를 주는 후속 조치 방식이다. 또한 도로 면의 거칠기를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설치 및 운용 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피로에 대해 효과적인 사전 예방이 가능하면서 경제적인 안전 운전이 가능한 피로 경감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자의 피로 여부를 미리 확인하여 정신적 피로 발생의 예방이 가능한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시트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와, 차량 시트에 착석(着席)한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와, 운전자의 특정 움직임을 피로(疲勞) 상태의 동작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센싱부로부터 운전자의 움직임 신호를 전송 받아 저장부에 저장된 피로(疲勞) 상태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면 진동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차량 내부의 소리 신호에 따라 진동 발생기의 진동 강약을 조절하는 진동 강약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강약 제어기는,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를 입력 받아 소리 파장의 세기를 분석하는 소리 파장 분석부와, 소리 파장 분석부의 분석 신호에 따라 진동 발생기의 진동 강약을 조절하는 진동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기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제1 진동부와, 차량 시트의 안착부에 설치되는 제2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는, 운전자의 얼굴 표정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운전자의 움직임 위치를 확인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내부에는 운전자의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게임 결과값을 제어부에 전송하여 게임 결과값에 따라 진동 발생기를 구동하는 게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임기는,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부와,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게임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연동되며 게임 신호가 출력되는 소리 출력부와, 게임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는 운전대에 복수개의 입력 버튼으로 설치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차량이 주행하는 지역에 관련된 퀴즈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GPS가 설치된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지역과 연관된 퀴즈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차량의 전면 유리부에 퀴즈 영상을 영사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일 수 있다.
게임기는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퀴즈의 정답율에 따라 진동 발생기의 진동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퀴즈의 정답율에 따라 소리 출력부를 제어하여 음악을 송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정신적인 피로도를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졸음 운전을 방지하고 졸음과 관련된 차량 사고 발생의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와 운전석에 설치된 게임기 간에 양방향 상호 작용으로 운전자의 즐거운 감성을 자극함으로써, 지루한 주행 환경에서 발생되는 운전자의 정신적인 피로도를 경감하여 안전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게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100)는, 차량 시트(101)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110)와, 차량 시트(101)에 착석(着席)한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120)와, 운전자의 특정 움직임을 피로(疲勞) 상태의 동작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부(130)와, 센싱부(120)로부터 운전자의 움직임 신호를 전송 받아 저장부(130)에 저장된 피로(疲勞) 상태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면 진동 발생기(11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진동 발생기(110)는 운전자의 피로 상태가 감지되면 작동되는 것으로서 차량 시트(101)의 등받이부(103)에 설치되는 제1 진동부(111)와, 차량 시트의 안착부(104)에 설치되는 제2 진동부(113)를 포함한다.
제1 진동부(111)는 제어부(140)의 작동에 따라 진동이 선택적으로 발생되어 운전자의 등 부분에 진동 자극을 주도록 작동된다. 제2 진동부(113)는 제어부(140)의 작동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어 운전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 부분에 진동 자극을 주도록 작동된다. 제1 진동부(111) 및 제2 진동부(113)는 일정 간격으로 진동이 발생되는 진동 모터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 진동부(111) 및 제2 진동부(113)는 동시에 작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제어 작동으로 제1 진동부(111) 및 제2 진동부(113)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엉덩이 및 허벅지 부분과 등허리 부분에 함께 진동 자극을 가하거나, 엉덩이 및 허벅지 부분 또는 등허리 부분에 선택적으로 진동 자극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 진동부(111) 및 제2 진동부(113)를 포함하는 진동 발생기(110)는 센싱부(120)를 통한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센싱 신호에 따라 제어부(140)의 제어 작동으로 구동된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의 자세, 움직임, 얼굴 위치 또는 표정 등을 확인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센싱부(120)는, 카메라(121) 및 적외선 센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운전자의 얼굴 표정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CCD (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123)는 운전자의 특정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21) 및 적외선 센서(123)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의 운전에 방해되지 않은 필러(pillar)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센싱부(120)의 설치 위치는 필러(pillar) 위치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운전자를 촬영하기 용이한 룸 미러 등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센싱부(120)에서 센싱된 운전자의 움직임 정보는 제어부(140)로 전송된다.
한편, 저장부(130)에는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특정 움직임을 피로(疲勞) 상태의 동작 정보로 저장된다. 즉, 저장부(130)에는 운전자의 피로 상태에서 졸음 운전시 발생하는 얼굴 부분의 움직임과 앉은 자세 및 표정 등의 피로 정보를 표준화하여 미리 저장된다. 예를 들어, 하품을 하는 표정 또는 졸음에 의해 운전대 방향으로 머리가 기울지는 등의 동작 및 표정 정보를 표준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싱부(120)를 통해 촬영된 운전자의 움직임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부(130)에 저장된 운전자의 피로 정보와 비교한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운전자의 촬영된 영상이 저장부(130)에 저장된 운전자의 피로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진동 발생기(110)를 작동 제어한다. 제어부(140)와 진동 발생기(1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 받도록 연결되어 진동 발생기(110)의 제어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발생기(110)의 작동에 따라 운전자에게 진동 자극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운전중 졸음 운전에 의한 차량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에는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에 따라 진동 발생기(110)의 강약을 조절하는 진동 강약 제어기(150)가 설치된다.
진동 강약 제어기(150)는, 소리 파장 분석부(151)와 진동 조절부(153)를 포함한다.
소리 파장 분석부(151)는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를 입력 받아 소리 파장의 세기를 분석한다. 그리고, 진동 조절부(153)는 소리 파장 분석부(151)를 통해 분석된 소리 파장의 크기에 따라 진동 발생기(110)를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진동 자극의 세기를 조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로 경감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로 경감 장치(200)는, 차량 시트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110)와, 차량 시트(101)에 착석(着席)한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120)와, 운전자의 특정 움직임을 피로(疲勞) 상태의 동작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부(130)와, 센싱부(120)로부터 운전자의 움직임 신호를 전송 받아 저장부(130)에 저장된 피로(疲勞) 상태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면 진동 발생기(11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40)와, 게임기(210)를 포함한다. 진동 발생기(110)와, 센싱부(120)와, 저장부(130)와, 진동 발생기(110) 및 제어부(140)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하에서 그 자세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게임기(210)는, 차량의 내부에서 운전자가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게임 결과값을 제어부(140)에 전송하여 진동 발생기(110)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게임기(210)는,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부(211)와,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게임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13)와, 디스플레이부(213)와 연동되며 게임 신호가 출력되는 소리 출력부(215)와, 게임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217)를 포함한다.
터치 입력부(211)는 차량의 운전대에 복수개의 입력 버튼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터치 입력부(211)는 퀴즈 정답을 버튼을 통해 입력하는 부분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입력부(211)만을 이용하여 퀴즈의 정답을 입력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운전자의 육성을 이용하여 육성 입렵부(212)에 퀴즈의 정답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차량의 내부에는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데이터 베이스(217)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3)는, 게임 실행화면이 표시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전방 윈도우의 하단에 영상을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13)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105)과 연동하여 네비게이션(105)의 표시 화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213)에 표시되는 퀴즈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고 있는 지역과 관련된 퀴즈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소리 출력부(215)는 디스플레이부(213)의 근접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213)에서 출력되는 퀴즈와 관련된 게임 신호를 출력한다. 전술한 디스플레이부(213)에서 출력되는 게임 영상 및 소리 출력부(215)에서 출력되는 게임 소리 신호는 데이터 베이스(217)와 연동하여 출력된다.
데이터 베이스(217)는 게임 관련 자료가 저장되는 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지역과 관련된 퀴즈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217)는 차량의 네비게이션(105)에 설치된 GPS와 연동하여 작동되어, 차량의 현재 주행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퀴즈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13)로 전송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게임기(210)에서 실행된 퀴즈 정답 신호를 전송 받아 진동 발생기(110)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퀴즈의 정답율에 따라 소리 출력부(215)를 제어하여 음악을 송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에는 게임기(210)가 설치되어 차량의 현재 주행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퀴즈 정보를 이용하여 퀴즈 정답율에 대응하여 진동 발생기(110)를 제어하거나, 음악을 송출함으로써, 차량 운전 중에 졸음을 방지하여 안전에 영향 없이 게임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1...차량 시트 103...등받이부
110...진동 발생기 111...제1 진동부
113...제2 진동부 120...센싱부
121...카메라 123...적외선 센서
130...저장부 140...제어부
150...진동 강약 제어기 151...소리 파장 분석부
153...진동 조절부 210…게임기
211...터치 입력부 212...육성 입력부
213...디스플레이부 215...소리 출력부
217...데이터 베이스

Claims (14)

  1. 차량 시트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
    상기 차량 시트에 착석(着席)한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운전자의 특정 움직임을 피로(疲勞) 상태의 동작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운전자의 움직임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피로(疲勞) 상태의 동작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진동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소리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강약을 조절하는 진동 강약 제어기를 포함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강약 제어기는,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 신호를 입력 받아 소리 파장의 세기를 분석하는 소리 파장 분석부; 및
    상기 소리 파장 분석부의 분석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강약을 조절하는 진동 조절부;
    를 포함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차량 시트의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제1 진동부; 및
    상기 차량 시트의 안착부에 설치되는 제2 진동부;
    를 포함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운전자의 얼굴 표정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운전자의 움직임 위치를 확인하는 적외선 센서;
    를 포함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는 상기 운전자의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게임 결과값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여 상기 게임 결과값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기를 구동 하는 게임기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는,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터치 입력부;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며 게임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연동되며 게임 신호가 출력되는 소리 출력부; 및
    게임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를 포함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부는 운전대에 복수 개의 입력 버튼으로 설치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지역에 관련된 퀴즈 정보가 저장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GPS가 설치된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지역과 연관된 퀴즈 영상을 출력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전면 유리부에 퀴즈 영상을 영사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인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는 운전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데이터 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퀴즈의 정답율에 따라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의 강약을 조절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퀴즈의 정답율에 따라 상기 소리 출력부를 제어하여 음악을 송출 제어하는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KR20130109256A 2013-09-11 2013-09-11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68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256A KR101468116B1 (ko) 2013-09-11 2013-09-11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256A KR101468116B1 (ko) 2013-09-11 2013-09-11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116B1 true KR101468116B1 (ko) 2014-12-08

Family

ID=5267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2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8116B1 (ko) 2013-09-11 2013-09-11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653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아이티스테이션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CN114228733A (zh) * 2021-12-13 2022-03-25 浙江自由家居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防疲劳驾驶功能的枕垫
KR102829805B1 (ko) * 2019-05-02 2025-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527A (ko) * 1996-06-27 1998-03-30 김주용 졸음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시스템
JPH10272960A (ja) * 1997-03-31 1998-10-13 Mitsubishi Motors Corp 覚醒度推定装置
KR100412437B1 (ko) * 1996-12-31 2004-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졸음/난폭운전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048605A (ja) * 2007-07-24 2009-03-05 Nissan Motor Co Ltd 居眠り運転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1527A (ko) * 1996-06-27 1998-03-30 김주용 졸음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시스템
KR100412437B1 (ko) * 1996-12-31 2004-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졸음/난폭운전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0272960A (ja) * 1997-03-31 1998-10-13 Mitsubishi Motors Corp 覚醒度推定装置
JP2009048605A (ja) * 2007-07-24 2009-03-05 Nissan Motor Co Ltd 居眠り運転防止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653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아이티스테이션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KR101636241B1 (ko) 2014-11-27 2016-07-05 주식회사 아이티스테이션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KR102829805B1 (ko) * 2019-05-02 2025-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방법
CN114228733A (zh) * 2021-12-13 2022-03-25 浙江自由家居用品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防疲劳驾驶功能的枕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8024B2 (ja) 車体運動および乗員体験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710594B2 (en) Occupant-status prediction system
CN109878527A (zh) 分心感测系统
US20170291544A1 (en) Adaptive alert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
CN112867528A (zh) 用于预测和预防晕动病的系统和方法
JP6589930B2 (ja) 覚醒維持装置
JP5538777B2 (ja)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6776681B2 (ja) ドライバ状態判定装置、及びドライバ状態判定プログラム
US11091168B2 (en) Autonomous driving support systems including vehicle headrest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incorporating the same
CN112568904B (zh) 车辆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7354942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WO2019155913A1 (ja) データ処理装置、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覚醒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7220097A (ja) 運転支援装置
JP2013195351A (ja) 車載機及び車両用乗員覚醒システム
US20220207970A1 (en) Control system and presentation system
CN107953886B (zh) 车辆以及车辆的安全行驶方法
KR101468116B1 (ko) 차량 운전자 피로 경감장치
JP5340660B2 (ja) 車両用乗員覚醒装置
JP2023505890A (ja) 自動車に組み込まれた加速度病に対処することを意図した装置
JP2017004043A (ja) 運転者状態判定方法及びその判定装置
KR20160109243A (ko) 운전자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감성조명 장치
JP2013024753A (ja) 運転支援システム
KR20170086241A (ko) 바이오피드백 가능한 드라이빙 코치 시스템 및 방법
WO2020250645A1 (ja) 車載通信装置、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83888B1 (ko) 운전자 졸음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