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108B1 - Communication device having local area communication interfac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local area communication interfa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8108B1 KR101468108B1 KR1020120097133A KR20120097133A KR101468108B1 KR 101468108 B1 KR101468108 B1 KR 101468108B1 KR 1020120097133 A KR1020120097133 A KR 1020120097133A KR 20120097133 A KR20120097133 A KR 20120097133A KR 101468108 B1 KR101468108 B1 KR 1014681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tra
- communication
- voice
- communication device
- crad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외부 통신 기기와 테트라 통신 방식으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테트라 RF 모듈 및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1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음성호 연결을 위한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호처리를 수행하고, 음성호가 연결되면 제1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테트라 RF 모듈을 통해 테트라 통신 방식으로 송수신하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 통신 기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테트라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includes a firs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a TETRA RF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Radio Frequency) And transmits the voice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first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TETRA RF module in a TETRA communication manner when the voice call is connected. When the control data for the voice call connection is received, And a TETRA communicatio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voic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유럽형 디지털 방식의 주파수 공용통신(Trunked Radio System;TRS) 시스템(TErrestrial Trunked RAdio;TETRA)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European trunked radio system (TRS) system (TETR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on.
현재 일반 상용망(2G,3G,4G)을 이용하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대중에게 널리 보급되어 개인 사용 목적 또는 기업체의 업무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Currently,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using general commercial networks (2G, 3G, and 4G) are widely used by the public for personal use or business use.
그러나, 휴대 단말기는 현재까지 그룹통신, 선별통신, 기지국 없이 수행되는 이동 단말간의 통신 및 높은 수준의 암호화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portable terminals are limited to provid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group communication, selectiv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performed without a base station, and high-level encryption function.
즉, 공공기관 예를 들어, 소방 방재청, 철도청, 경찰청, 한국전력, 공항공사 및 자가 통신망을 운용하는 기업체 등과 같이 특수 통신 기능을 요구하는 무선통신망에는 미흡한 측면이 있다. In other word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hat require special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public agencies, such as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National Railroad Agency,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KEPCO, airport corporations, and companies operating their own networks, are insufficient.
그 결과, 공공기관 예를 들어, 소방방재청, 경찰청, 철도청, 공항공사 등이나 및 업무상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기업체에서, 사용자는 업무 성격에 따라 휴대 단말기와 TRS 단말을 모두 필요로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TRS 시스템을 별도로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As a result, in a public institution such as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National Railroad Agency, the airport corporation, or the like, and a company that requires a variety of communication services, the user needs both a portable terminal and a TRS terminal And the TRS system is separately introduced and used.
본 발명과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015296호(2011.02.15)의 'TETRA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이 있다.
Backgroun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TRA gateway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15296 (2011.02.1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테트라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유럽형 디지털 방식의 주파수 공용통신(Trunked Radio System;TRS) 시스템(TErrestrial Trunked RAdio;TETRA)을 통해 외부 통신 기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TR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TErrestrial Trunked Radio (TRS)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는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외부 통신 기기와 테트라 통신 방식으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테트라 RF 모듈;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음성호 연결을 위한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호처리를 수행하고, 음성호가 연결되면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테트라 RF 모듈을 통해 테트라 통신 방식으로 송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통신 기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테트라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ing: a firs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 TETRA RF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Radio Frequency) signal us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nd a TETRA communication method;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call processing when control data for a voice call connection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first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ting voice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first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TETRA communication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TETRA communication through the RF module and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모듈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및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of a wireless LAN (WLAN) module,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ule, and a Bluetooth module.
본 발명의 상기 테트라 RF 모듈은 테트라 릴리즈1(TETRA Release1)과 테트라 릴리즈2(TETRA Release2)의 테트라 규격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ETRA RF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supporting the TETRA standard of TETRA Release 1 and TETRA Release 2.
본 발명의 상기 테트라 통신 제어부와 외부 기기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DC(Universial Docking Connector)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universal docking connector (UDC) port for providing an interface between the TETRA communication control unit and an exter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테트라 통신 제어부로 음성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제1음성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irst voice input / output unit for inputting / outputting voice data to / from the TETRA communication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는 음성호 연결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테트라 통신 장치로 송신하고, 외부 통신 기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테트라 통신 장치에 의해 음성호가 연결되면, 상기 테트라 통신 장치와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음성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제2음성 입출력부; 및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음성호 연결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테트라 통신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테트라 통신 장치에 의해 음성호가 연결되면, 상기 제2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테트라 통신 장치와 송수신하여 상기 외부 통신 기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th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control data for voice call connection to a TETRA communication device, A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for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TETRA communication device; A second voice input / output unit for inputting / outputting voice data; And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ransmits control data for a voice call connection to the TETRA communication device via the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a voice call is connected by the TETRA communication device, the second voice input / And an application process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to and from the TETRA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는 휴대 단말기와 결합되는 크레들 어셈블리; 및 휴대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음성호 연결을 위한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호처리를 수행하고, 음성호가 연결되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테트라 통신 방식으로 외부 통신 기기와 송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통신 기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테트라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ing: a cradle assembly coupled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call processing when control data for voice call connection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hen voice call is connected, voic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short- And a TETR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상기 크레들 어셈블리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크레들 본체; 상기 테트라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크레들 본체와 결합되는 보조장치; 및 상기 크레들 본체와 상기 보조장치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radl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body for housing the portable terminal; An auxiliary device provided with the TETRA communication device and coupled to the cradle body;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cradl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device.
본 발명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크레들 본체에 형성되는 결합홀부; 및 상기 보조장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부에 억지끼움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ngag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hole portion formed in the cradle body; And an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auxiliary device, the engaging protrusion being forcib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하드웨어의 수정없이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드-온(Add-on) 방식으로 테트라 통신 장치를 인터페이스시킴으로써 특수 목적의 업무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 서비스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services suitable for special-purpose tasks through a portable terminal by interfacing a TETRA communication device in an add-on manner via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to a portable terminal without modification of hardware .
또한, 본 발명은 재해 및 재난으로 인해 기지국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비상 통신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 비상 상황시 통제 및 인명 구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a base station failure occurs due to a disaster or a disast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n emergency communication means, and can be utilized for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control and rescue.
또한, 본 발명은 크레들에 설치되어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폰에 장착될 수 있어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cradle and mounted on various types of smart phones,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 통신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테트라 통신 장치의 음성호 연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고 압입식 결합 방식의 크레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고압입 결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식 결합 방식의 크레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결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TETR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call connection procedure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TETR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assembly of a LEGO press-fit type coup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ego indentation fit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type coupling cra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liding coup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트라 통신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테트라 통신 장치의 음성호 연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oice call connection procedure between a portable terminal and a TETR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와 테트라 통신 장치(20) 및 크레들 어셈블리(30)를 포함한다.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휴대 단말기(10)는 일반 상용망(2G,3G,4G)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단말기이다. 더욱이 내부에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테트라 통신 장치(20)와 각종 음성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 및 트래픽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여 외부 통신 기기(40)와 음성 통화 및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상용망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여 일반 상용망을 통한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능할 경우 또는 업무 효율상 테트라의 다양한 통신방법을 이용한 통신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한 테트라 통신 장치(20)를 이용하여 외부 통신 기기(40)와 음성 통화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Here, if the application is unable to perform normal communication through the general commercial network due to a communication failure in the general commercial network, or if communication using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TETRA is required due to operational efficiency, the TETRA
또한, 외부 통신 기기(40)는 상기한 테트라 통신 방식으로 음성 통화가 가능한 단말기이다. Also, the
따라서, 휴대 단말기(10)는 상기한 일반 상용망의 통신 장애로 인해 일반 상용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테트라 통신 장치(20)에 외부 통신 기기(40)와의 음성호 연결을 요청한다. 더욱이, 휴대 단말기(10)는 테트라 통신 장치(20)에 의해 음성호가 연결되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각종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일반 상용망을 이용하지 않고도 테트라 통신 장치(20)를 통해 외부 통신 기기(40)와 음성 통화를 및 문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Accordingly, when the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general commercial network is not possible due to the communication failure of the general commercial network, the
따라서, 소방 방재청, 경찰청, 철도청, 공항공사와 같은 공공기관이나 업무상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기업체에서, 테트라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보조적으로 외부 통신 기기(40)와 통신할 수 있으므로, 일반 상용망에 통신 장애가 발생한 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a public institution such as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National Railroad Agency, the airport corporation, or the like, a company that requires a variety of communication services can communicate supplementarily with the
이러한 휴대 단말기(1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 제2음성 입출력부(12),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 및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을 포함한다.2, the
입력부(11)는 사용자가 외부 통신 기기(40)의 전화번호나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 등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부(11)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상기한 전화번호, 문자 입력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제2음성 입출력부(12)는 음성통화를 위한 각종 음성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외부 통신 기기(4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써, 통상적으로 마이크(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가 포함된다.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로 입력하고, 스피커는 외부 통신 기기(4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2음성 입출력부(12)는 상기한 후술한 테트라 통신 장치(20)를 통해 음성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입출력되지 않을 경우 등, 테트라 통신 장치(20)의 제1음성 입출력부(24)에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second voice input /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은 테트라 통신 장치(20)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second short range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다양한 통신 모듈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채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WLAN(Wireless Lan) 모듈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에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WLAN(Wireless Lan) 모듈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채용될 수 있다. The second short range
여기서,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에는 음성호 연결 및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 데이터와 음성 통화에 따른 음성 데이터 및 문자 송수신 및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트래픽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Here, the data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hort-range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는 테트라 통신 장치(2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휴대 단말기(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The
디스플레이부(16)는 테트라 통신 장치(20)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채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 displays character data input from the TETRA
먼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는 입력부(1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즉,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는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 및 통화 명령이 입력되면, 음성호 연결을 위한 AT Command를 생성하여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을 통해 테트라 통신 장치(20)로 송신한다. First, the
이후, 테트라 통신 장치(20)는 음성호 연결이 완료되면, 제2음성 입출력부(24)를 통해 입출력되는 각종 음성데이터를 외부 기기(40)와 송수신하여 음성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After the voice call connection is completed, the TETRA
참고로, 상용망 통신 처리부(15)는 일반 상용망을 통해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용망 통신 처리부(15)는 휴대 단말기(10)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것으로써,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or reference, the commercial network
테트라 통신 장치(20)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0)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테트라 통신 방식으로 외부 통신 기기(40)와 연결되어 외부 통신 기기(40)와 음성 통화 및 트래픽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테트라 통신 장치(2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1), 테트라 통신 제어부(22), 테트라 RF 모듈(23), 제1음성 입출력부(24) 및 UDC 포트(Universial Docking Connector Port)(25)를 포함한다. 3, the
제1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1)은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된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각종 제어 데이터, 트래픽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first short range
테트라 RF 모듈(23)은 안테나를 통해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테트라 통신 제어부(22)로부터 입력된 송신신호를 테트라 통신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테트라 통신 제어부(22)로 입력한다. 또한, 테트라 RF 모듈(23)은 테트라 릴리즈1(TETRA Release1)과 테트라 릴리즈2(TETRA Release2)의 테트라 규격을 모두 지원하기 위하여 채널 대역폭으로써, 25㎑, 50㎑, 100㎑ 및 150㎑의 대역폭을 선택적으로 지원하여 최대 691Kbps의 그로스 데이터 레이트(Gross Data Rate)를 지원한다. The
제1음성 입출력부(2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변환하고, 외부 통신 기기(40)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1음성 입출력부(24)의 고장이나 에러 발생시,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된 제2음성 입출력부(12)가 보조적으로 음성 데이터를 입출력함으로써, 제1음성 입출력부(24)의 고장시에도 음성 통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voice input /
UDC 포트(25)는 마이크로 USB(Universial Serial Port),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전원 및 오디오 입출력 신호 라인 등을 포함하여 PC(Personal Computer)(미도시)와 외부 인터페이스 기기(미도시) 등의 외부 기기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he
테트라 통신 제어부(22)는 테트라 통신 장치(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써, 음성호 연결을 위한 호처리를 수행하고 각종 트래픽 데이터를 외부 기기와 송수신하는 테트라 프로토콜 스택,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저대역 모뎀, 음성 데이터를 변환하는 음성 코덱,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가 탑재된다. The TETRA
특히,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는 제1 및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21)이 블루투스 모듈인 경우에는 RS-232C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하고, WLAN 모듈인 경우에는 SDIO(Secure Digital Input Output)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한다. 그리고,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1)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AT Command 송수신, 트래픽 데이터 송수신 및 상태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interface uses an RS-232C interface when the first and second short-range
테트라 통신 제어부(22)는 상기한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1)을 통해 음성호를 연결하는 과정을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 procedure for connecting a voice call through the second short range
먼저,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는 입력부(11)를 통해 통화 명령이 입력되면, 음성호 연결을 위한 AT Command를 생성하여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에 입력하고(S10),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은 음성호 연결을 위한 AT Command를 제1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1)로 송신한다(S12).First, the
이에 따라, 제1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1)은 음성호 연결을 위한 AT Command를 수신하고, 테트라 통신 제어부(22)는 음성호 연결을 위한 AT Command를 제1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1)의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SDIO 또는 Serial Interface를 통해 테트라 통신 제어부(22) 내부의 테트라 프로토콜 스택에 입력한다(S14). Accordingly, the first short range
테트라 프로토콜 스택은 음성호 연결을 위한 AT Command에 기반하여 음성호 처리를 수행하여 음성호를 연결하고(S16), 이때 음성호가 연결되면, 음성호 연결에 대한 응답을 역방향으로 휴대 단말기(10)로 전달한다. The TETRA protocol stack performs voice call processing based on AT Command for voice call connection to connect a voice call (S16). When a voice call is connected at this time, a response to the voice call connection is transmitted to the
즉, 테트라 프로토콜 스택은 제1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1)에 음성호 연결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고(S18), 제1근거리 무선통신 모듈(21)은 음성호 연결에 대한 응답을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로 송신한다(S20). 이에,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14)은 음성호 연결에 대한 응답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로 입력한다(S22). That is, the TETA protocol stack inputs a response to the voice call connection to the firs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 (S18), and the first short-range
이와 같이 음성호가 연결되면, 테트라 통신 제어부(22)는 제1음성 입출력부(24)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테트라 RF 모듈(23)을 통해 외부 통신 기기(40)로 송신하고, 테트라 RF 모듈(23)을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1음성 입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추가적으로, 상기한 음성 데이터를 제2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4)를 통해 휴대 단말기(10)와 송수신하여 제2음성 입출력부(12)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를 통해 음성 통화를 할 수도 있도록 한다. When the voice call is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TETRA
이외에도, 테트라 통신 제어부(22)는 휴대 단말기(10)의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된 문자를 수신하여 외부 기기(40)로 송신하도록 함과 더불어, 수신된 문자를 휴대 단말기(10)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6)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ETRA
이와 같이, 테트라 통신 장치(20)는 일반 상용망이 통신 장애로 인해 정상적인 음성 통화가 불가능할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테트라 통신을 위한 음성호 연결을 수행하고,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외부 통신 기기(40)와 테트라 통신 방식으로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각종 문자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way, when the normal commercial network is unable to make a normal voice call due to a communication failure, the
이러한 테트라 통신 장치(20)는 휴대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에 따라, 테트라 통신 장치(20)는 크레들 어셈블리(3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크레들 어셈블리(30)는 크레들 본체(31)와 보조장치(32) 및 크레들 본체(31)와 보조장치(32)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Accordingly, the
특히, 결합부는 도 5 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고압입 방식을 이용하는 레고압입 결합부(33)와 슬라이딩 방식을 이용하는 슬라이딩 결합부(36)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다. 이는 도 5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Particularly,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engaging portion can employ either a legged-in engaging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고 압입식 결합 방식의 크레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고압입 결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식 결합 방식의 크레들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결합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assembly of a LEGO press-fit type coup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legged press fit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type coupling crad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liding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테트라 통신 장치(20)는 크레들 어셈블리(30)의 보조장치(32)에 설치되며, 보조장치(32)와 크레들 본체(31)는 도 5 와 도 6 에 도시된 레고압입 방식 또는 도 7 과 도 8 에 도시된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결합된다.The
도 5 를 참조하면, 크레들 어셈블리(30)는 휴대 단말기(10)를 수용하는 크레들 본체(31)와, 내부에 테트라 통신 장치(20)를 구비하며 크레들 본체(31)와 결합되는 보조장치(32), 크레들 본체(31)와 보조장치(32)를 결합시키는 레고압입 결합부(33) 및 결합 해제부(35)를 포함한다.5, the
크레들 본체(31)에는 크레들 본체 케이스(311)의 각 모서리에서 전방으로 4개의 돌출부(312)가 돌출 형성되어 수용부(313)가 형성되며, 이 수용부(313)에 휴대 단말기(10)가 수용된다. Four protruding
보조장치(32)는 크레들 본체(31)의 배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테트라 통신 장치(20)를 구비한다. The
이와 같이 보조장치(32)에 테트라 통신 장치(20)가 설치됨으로써, 휴대 단말기(10)의 교체 등으로 휴대 단말기(10)의 종류 및 모델이 변경되더라도, 크레들 본체(31)만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테트라 통신 장치(20)는 휴대 단말기(10)의 종류 및 모델과 무관하게 이용되므로, 테트라 통신 장치(20)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by installing the
레고압입 결합부(33)는 크레들 본체(31)와 보조장치(32)를 레고 압입식으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써,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들 본체 케이스(311)에 형성되는 결합홀부(331)와, 보조장치 케이스(321)의 결합홀부(331)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결합홀부(331)에 억지끼움되는 결합돌기부(333)를 포함한다. The lugger press-fitting engaging
결합홀부(331)는 크레들 본체 케이스(311)에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결합돌기부(333)는 보조장치 케이스(321)에 결합홀부(331)의 개수와 동일하게 상기한 결합홀부(3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홀부(331)와 결합돌기부(333)가 억지끼움되어 크레들 본체(31)와 보조장치(32)가 결합된다. A plurality of
특히, 결합돌기부(333)가 결합홀부(331)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부(333)의 단부에는 진입 경사부(334)가 형성되며, 결합홀부(331)의 단부에는 수용 경사부(332)가 형성되어 크레들 본체(31)와 보조장치(32)의 결합성을 향상시킨다. 6, an
이에 따라, 결합돌기부(333)가 결합홀부(331)에 진입할 경우, 진입 경사부(334)가 수용 경사부(332)에 면접되면서 결합돌기부(333)의 진입을 가이드하여 결합돌기부(333)가 결합홀부(331)에 손쉽게 억지끼움될 수 있다. When the engaging
더욱이, 상기한 레고압입 결합부(33)는 크레들 본체(31)와 보조장치(32)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한 결합홀부(331)와 결합돌기부(333)에 보조적으로 홈(미도시)과 돌기(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크레들 본체(31)와 보조장치(32)가 억지끼움이 이루어짐으로써, 크레들 본체(31)와 보조장치(32)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eghy press-
결합 해제부(35)는 크레들 본체(31)와 보조장치(32)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것으로써, 크레들 본체 케이스(311)와 보조장치 케이스(321)의 대응되는 위치 각각에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크레들 본체(31)와 보조장치(32)의 결합 해제시, 결합 해제부(35)에 손톱을 끼워 강제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슬라이딩 결합부(36)는 도 7 과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들 본체(331)의 하부 양측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부(361), 보조장치 케이스(321)의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삼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딩 결합부(362)와 슬라이딩되면서 크레들 본체 케이스(331)와 보조장치 케이스(321)를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제2슬라이딩부(362) 및 보조장치 케이스(32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크레들 본체 케이스(331)와 보조장치 케이스(321)의 분리를 방지하는 래치부(363)를 포함한다.7 and 8, the sliding
특히, 제1슬라이딩부(36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고, 제2슬라이딩부(362)는 외측 방향으로 삼각형 형태로 돌출된다. 게다가, 제1슬라이딩부(361)와 제2슬라이딩부(362)는 서로 면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 결합시 서로 면접되면서 그 결합을 가이드하고, 결합후 크레들 본체 케이스(331)와 보조장치 케이스(321)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킨다.In particular, the first sliding
게다가, 제1슬라이딩부(361)와 제2슬라이딩부(362)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적은 면적으로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한 구조로 고장 발생을 감소시킨다. In addition, the first sliding
또한, 래치부(363)는 크레들 본체 케이스(331)와 보조장치 케이스(321)의 결합후, 크레들 본체 케이스(331)와 보조장치 케이스(321)의 결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등에도 크레들 본체 케이스(331)와 보조장치 케이스(321)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The
참고로, 상기한 레고압입 결합부(33)와 슬라이딩 결합부(36)는 크레들 본체 케이스(331)와 보조장치 케이스(321)를 결합시키기 위한 예시로 제시된 것으로써, 반드시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크레들 본체 케이스(331)와 보조장치 케이스(321)를 결합시키는 다양한 방식을 모두 포함한다할 것이다. The leghy pres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휴대 단말기 11: 입력부
12: 제2음성 입출력부 13: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14: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15: 상용망 통신 처리부
20: 테트라 통신 장치 21: 제2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22: 테트라 통신 제어부 23: 테트라 RF 모듈
24: 제1음성 입출력부 25: UDC 포트
30: 크레들 어셈블리 31: 크레들 본체
311: 크레들 본체 케이스 312: 돌출부
313: 수용부 32: 보조장치
33: 결합부 331: 결합홀부
332: 수용 경사부 333: 결합돌기부
334: 진입 경사부 35: 결합 해제부
36: 슬라이딩 결합부 361: 제1슬라이딩부
362: 제2슬라이딩부 363: 래치부
40: 외부 통신 기기10: portable terminal 11: input unit
12: second voice input / output unit 13: application processor
14: secon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5: commercial network communication processor
20: Tetra communication device 21: Seco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2: Tetra communication control unit 23: Tetra RF module
24: first voice input / output unit 25: UDC port
30: cradle assembly 31: cradle body
311: Cradle main body case 312:
313: accommodating portion 32: auxiliary device
33: coupling portion 331: coupling hole portion
332: accommodation inclined portion 333:
334: entry slope part 35:
36: sliding engagement portion 361: first sliding portion
362: second sliding portion 363: latch portion
40: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Claims (14)
휴대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음성호 연결을 위한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호처리를 수행하고, 음성호가 연결되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테트라 통신 방식으로 외부 통신 기기와 송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통신 기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테트라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크레들 어셈블리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수납하는 크레들 본체; 상기 테트라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크레들 본체와 결합되는 보조장치; 및 상기 크레들 본체와 상기 보조장치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A cradle assembly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control data for the voice call connection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call processing is performed. When the voice call is connected, the voic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transmitted / received to and from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by the TETRA communication method, And a TETRA commun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a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terminal,
The cradle assembly includes a cradle body for housing the portable terminal; An auxiliary device provided with the TETRA communication device and coupled to the cradle body;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cradl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device to each other.
상기 크레들 본체에 형성되는 결합홀부; 및
상기 보조장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부에 억지끼움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 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radle body; And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auxiliary device, the coupling protrusion being forcib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상기 크레들 본체의 하부 양측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부; 및
상기 보조장치의 상부 양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통신 장치.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A first sliding portion protruding inwardly on both sides of a lower portion of the cradle body; And
And a second sliding part protruding out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auxiliary device and slidingly coupled with the first sliding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7133A KR101468108B1 (en) | 2012-09-03 | 2012-09-03 | Communication device having local area communication interfa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7133A KR101468108B1 (en) | 2012-09-03 | 2012-09-03 | Communication device having local area communication interfa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0672A KR20140030672A (en) | 2014-03-12 |
KR101468108B1 true KR101468108B1 (en) | 2014-12-05 |
Family
ID=5064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7133A Active KR101468108B1 (en) | 2012-09-03 | 2012-09-03 | Communication device having local area communication interfa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810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51766A (en) * | 2018-07-17 | 2019-01-04 | 南京地铁建设有限责任公司 | Adaptive rail traffic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TETRA and LT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24380B1 (en) * | 1997-02-28 | 2001-11-27 | Kyocera Corporation | Dual-mode satellite/terrestrial mobile communication unit |
US6377825B1 (en) * | 2000-02-18 | 2002-04-23 | Cellport Systems, Inc. | Hands-free wireless communication in a vehicle |
KR20120040289A (en) * | 2010-10-19 | 2012-04-27 | 김기원 | Radio set combined with host device |
-
2012
- 2012-09-03 KR KR1020120097133A patent/KR10146810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24380B1 (en) * | 1997-02-28 | 2001-11-27 | Kyocera Corporation | Dual-mode satellite/terrestrial mobile communication unit |
US6377825B1 (en) * | 2000-02-18 | 2002-04-23 | Cellport Systems, Inc. | Hands-free wireless communication in a vehicle |
KR20120040289A (en) * | 2010-10-19 | 2012-04-27 | 김기원 | Radio set combined with host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51766A (en) * | 2018-07-17 | 2019-01-04 | 南京地铁建设有限责任公司 | Adaptive rail traffic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TETRA and L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0672A (en) | 2014-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95332B1 (en) | Method for establishing link among telecommunication terminals having bluetooth device | |
US855413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y signaling over a wireless serial communication channel | |
US20120034951A1 (en) | Cradle for extending data capabilities to a wireless device | |
WO2010001983A1 (en) | Communication system | |
US20130065527A1 (en) | Wireless terminal with switched auxiliary device port apparatus and method | |
CN102253395A (en) | Communicator applied to Beidou satellites and method thereof | |
HK1102880A1 (en) | Contention resolution among applications requiringdata connections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d evice and a wireless packet data network | |
CN205792848U (en) | The portable power source of band digital intercom module based on intelligent mobile terminal | |
CN103986492A (en) | Intelligent radio system | |
CN103457640A (en) | Method and system for rapid data transmission and mobile terminals | |
CN202014247U (en) | Communicator applied to Beidou satellite | |
KR101047518B1 (en) | Wireless shoulder microphone using Bluetooth and wireless shoulder microphone communication system using same | |
KR101468108B1 (en) | Communication device having local area communication interface | |
CN109525972B (en) |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controlling other terminals through Bluetooth information | |
KR101495710B1 (en) | Wireless relay system communicating with mobile host equipment | |
US20160219418A1 (en) | Hybrid terminal capable of avoiding signals originated by own terminal | |
CN201535856U (en) | Bluetooth projector | |
KR100713647B1 (en) |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US7142885B2 (en) | Cellular phone cordless home base unit | |
CN203193820U (en) | A wireless interphone equipp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
CN103281415A (en) | Split mobile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private data | |
US20070287499A1 (en) | System for transmitting two-way radio communications via computer networks | |
CN101360292A (en) | Method and system implementing dual SIM card interchanging supported by single Bluetooth in mobile phone | |
KR101866419B1 (en) | Radio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data with audio radio transceiver | |
CN212086190U (en) |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4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10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4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