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7790B1 -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790B1
KR101467790B1 KR1020080088358A KR20080088358A KR101467790B1 KR 101467790 B1 KR101467790 B1 KR 101467790B1 KR 1020080088358 A KR1020080088358 A KR 1020080088358A KR 20080088358 A KR20080088358 A KR 20080088358A KR 101467790 B1 KR101467790 B1 KR 10146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logical
broadcast
channels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537A (ko
Inventor
하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8008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79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8/007248 priority patent/WO2010027126A1/en
Priority to EP15002473.5A priority patent/EP2963919B1/en
Priority to EP20080876883 priority patent/EP2327207A4/en
Priority to CN201510025531.0A priority patent/CN104539976B/zh
Priority to US13/062,581 priority patent/US8839335B2/en
Priority to CN200880131658.9A priority patent/CN102204269B/zh
Publication of KR2010002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7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사용자에 의해 채널 변경이 시도되면, 해당 전송 스트림이 튜너를 통해 수신된다. 제어기는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부가 정보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부가 정보로부터 변경된 채널이 하나의 물리 채널과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동반하는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인지를 체크한다. 상기 변경된 채널이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 채널이면,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스크린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호도에 따라 원하는 논리 채널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튜너, 논리 채널, 물리 채널,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processing method for broadcasting of muti-mode service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수신기와 같은 채널 수신 시스템에서 능동적인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이 최근에 많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주파수 할당된 하나의 물리 채널을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멀티 모드 서비스 (MMS) 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동일 방송물이 다양한 방법들로 녹화되는 것을 방송사가 제공하고 이를 사용자들이 선택하여 볼 수 있게 하는 노력들이 이루어 지고 있다.
종래 텔레비전 수신기 및 채널 수신 시스템은 해당 방송 서비스 업체 및 방송사에서 디지털 방송 환경으로 변경되고 있고 상기 멀티 모드 서비스 (MMS) 등이 도입되면서 주파수 사용에 대한 효율성이 증대되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널들의 수도 급격하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현재는 하나의 물리적 채널에 여러 개의 논리적 채널 번호를 부여하여 기존의 하나의 할당된 채널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채널들을 통해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송출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는 것은 상기 많은 수의 논리 채널들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다른 컨텐츠들을 또는 다른 채널들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여러 개 송출하여 사용자들이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재의 논리 채널들의 기능은 각 논리 채널을 통해 각 다른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고 사용자 또는 시청자의 편리성을 고려하는 서비스 측면은 그다지 고려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논리 채널들은 현재 보다 많은 프로그램들을 송출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채널의 수를 확보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물리적 채널에 속하는 여러 논리 채널들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멀티 모드 서비스 (MMS) 를 이용하여 수신기 사용자에게 다양한 특징들을 갖는 동일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의 채널들을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물리 채널과 적어도 한나의 논리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 멀티 모드 서비스를 사용한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전송 측에서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을 여러 다른 특징들을 갖는 방송 프로그램들로 구성한다. 이 여러 다른 특징들을 갖는 동일 방송 프로그램들은 동일한 물리적 채널에 속하는 복수개의 논리적 채널들을 통하여 동시에 수신기 측으로 전송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한 방송 프로그램이 다른 특징들을 갖는 동일 방송 프로그램들로 바뀌고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측에 전송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전송 측에서는 이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로 다른 특징들을 갖는 채널들에 대해 멀티 모드 서비스를 나 타내는 태그 (Tag) 정보를 함께 송출한다. 따라서, 수신기는 이를 판별하여 사용자가 논리 채널들을 통해 수신되는 다른 특징들을 갖는 동일 방송프로그램들을 인식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본 실시 예들에 의하면, 수신기는 다른 특징들을 갖는 동일 프로그램들을 전송하는 채널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특징을 갖는 한 채널의 프로그램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도록 각 논리 채널의 대표 영상을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바람직하게,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지시하는 플래그는 상기 부가 정보 중 이벤트 정보 테이블 (EIT: Event Information Table) 에 포함되어 질 수도 있으며, 또는 가상 채널 테이블 (VCT: Virtual Channel Table) 에 포함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방송국은 물리적 채널에 속하는 여러 개의 논리적 채널들에 하나의 방송프로그램 (콘텐츠) 로부터 분류되는 다른 특징들을 갖는 콘텐츠들을 제공한다. 이 다른 특징들에 따르면, 논리 채널인 11-1, 11-2 등에서는 각각 다른 각도로 배치된 카메라들로 촬영한 다른 각도들의 뷰 (view) 를 갖는 동일 방송 프로그램들이 제공되거나 또는 동일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화질들을 갖는 방송 프로그램들이 제공되거나 또는 한 시리즈 방송 프로그램의 서로 다른 편들이 동시에 상기 논리 채널들을 통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논리 채널 스킵 기능이 제공된다. 이 기능에 의하면, 자동 채널 검색 후 수동 채널 이동 시 즉, 한 칸씩 이동하는 장면에서 먼저, 논리 채널을 다수 개 보유한 물리 채널의 경우 물리 채널로만 바로 이동하고 각 물리 채널에 속한 논리 채널들은 스킵 (skip) 한다. 예로서, 채널들이 ... 10, 11-1, 11-2, 11-3, 11-4, 12,..., 이렇게 존재할 때 수동으로만 채널 이동할 때 사용자가 채널 번호 증가 버튼을 누를 때 채널들은 10, 11-1, 12 순으로 이동한다. 즉, 11-1 에 속하는 논리 채널들 11-2, 11-3, 11-4 는 채널 증감 시 스킵된다.
바람직하게, 논리 채널 록 (lock)기능이 제공된다. 이 기능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논리 채널 검색을 선택하면 한 물리 채널에 속하는 논리 채널들 11-1 부터 11-4 사이에서만 채널 증감이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채널 변경이 시도되면, 해당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스텝,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스텝, 상기 추출된 부가 정보로부터 변경된 채널이 하나의 물리 채널과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동반하는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의 채널인지를 체크하는 스텝, 상기 변경된 채널이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의 채널이면,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스크린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는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튜너, 사용자 조작에 의해 명령 신호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 부터 추출된 부가 정보로부터 하나의 물리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동반하는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 채널임을 인식하고,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상기 사용자 선택 을 위해 물리 채널들 내에서만 채널 이동을 하는 논리 채널 스킵 기능 및 논리 채널들 내에서만 채널 이동을 하는 논리 채널 록 기능용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그리고 상기 논리 채널들의 프리뷰 기능용 대표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생성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기, 그리고 상기 제어기의 제어 하에 상기 대표 영상들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하나의 물리적 채널과 함께 해당하는 논리 채널들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멀티 방송 채널 시스템 (MMS) 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여러 방향으로 녹화되는 카메라 및 여러 시청 환경을 선호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둘째,하나의 동일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다양한 서로 다른 특징들을 갖는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채널 변경 시 마다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멀티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들을 시청하는 데 있어서 원하는 특징을 갖는 채널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 즉, 방송국 측 모델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 에 의하면, 방송국에서 하나의 원 방송 프로그램과 상기 원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하나 각기 다른 특징들을 갖는 방송 프로그램들로 다중화시킨다. 상 기 원 방송 프로그램 및 상기 다른 특징들을 갖는 방송 프로그램들의 판별을 위해 상기 방송국에서는 상기 다중화된 방송 프로그램으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임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삽입한다. 즉, 상기 다중화된 방송 프로그램들 중에서 상기 원 방송 프로그램은 하나의 해당 물리 채널 (예로서 채널 11) 을 통해 그리고 상기 각 다른 특징을 갖는 방송 프로그램들은 상기 물리 채널에 속하는 각 가상 채널, 즉 논리 채널들 (예로서, 11-1, 11-2, ...) 을 통해 송출된다. 도 2 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즉 텔레비전 수신기 측 모델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한편, 수신기 측에서는 상기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상기 다중화된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면,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송 스트림의 부가 정보로부터 상기 멀티 채널 방송용 플래그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멀티 채널 방송용 플래그가 존재하면,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전송 스트림을 역 다중화시키고 (demultiplex) 나서 사용자의 선택을 위하여 선택용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화면을 제공한다. 이때 이후 설명되나 상기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스크린 상에는 상기 논리 채널들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 정보는 멀티 모드 서비스, 논리 채널의 수, 및 각기 다른 특징들을 포함한다. 이 논리 채널들의 특징 정보의 디스플레이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용 스크린은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에 해당하는 물리 채널 (예로서 채널 11) 및 이 물리 채널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 (11-1, 11-2, 11-3,...) 의 방송 프로그램들의 대표 영상을 모두 한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 내용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상에서 상기 사용자 에 의해 상기 물리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수신기는 상기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만을 디코딩하고 나서 상기 화면상에 해당 영상만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3 은 상기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다중화된 방송 프로그램의 일 예로서 다중화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서로 다른 특징들이 서로 다른 멀티 앵글 (또는 각도) 들을 갖는 경우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3 의 예는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원 방송 프로그램) 이 여러 대의 카메라들 (카메라 1, 카메라 2, 카메라 3, 카메라 4) 를 이용하여 여러 각도들에서 촬영되고 나서 다중화되고 상기 멀티 모드 서비스 (MMS: multi Mode Service) 의 서로 다른 4 개의 가상 채널들, 즉 논리 채널들 (예로서 11-1, 11-2, 11-3, 11-4) 을 이용 수신기들을 향해 전송된다. 도 4 는 상기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상기 다중화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다른 예로서 다중화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서로 다른 특징들이 서로 다른 화질들을 갖는 경우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4 의 예는 상기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이 상기 전송측, 즉 방송국 측에서 여러 개의 다른 종류의 화질들의 방송 프로그램들로서 변환되고 나서 상기 멀티 모드 서비스 (MMS) 를 이용한 서로 다른 4 개의 논리 채널들 (예로서 11-1, 11-2, 11-3, 11-4) 을 통하여 수신기들을 향해 전송된다. 도 5 는 상기 다중화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일 예로서 상기 다중화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서로 다른 특징들이 한 시리즈 방송 프로그램의 서로 다른 편들에 해당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3 의 예는 하나의 시리즈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원 방송 프로그램) 의 서로 다른 편 (1편,2 편, 3 편, 4 편) 들이 상기 멀티 모드 서비스 (MMS) 의 서로 다른 4 개의 논리 채 널들 (예로서 11-1, 11-2, 11-3, 11-4) 을 통하여 수신기들을 향해 전송된다. 도 6 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는 크게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 (117), 메모리 (119), 사용자 인터페이스 (116), 상기 제어기 (117) 의 제어 하에 OSD (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생성하는 OSD 생성기 (118),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는 안테나(101), 상기 제어기 (117)의 제어에 따라 시청을 위한 방송 채널을 수신하는 튜너 (102), 상기 튜너 (102) 로 부터의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전송 스트림: Transport Stream 또는 TS)를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부 (103),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부 (103)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 스트림, 그리고 상기 비디오용 오디오와 상기 데이터용 오디오를 포함하는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나서 각각 가청 또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송 신호 출력부 (104), 상기 선택 출력된 오디오를 소정 증폭도로 증폭하는 증폭기 (114), 상기 증폭기 (114) 로 부터의 출력되는 상기 선택 출력된 오디오를 가청 신호로서 출력하는 스피커 (115), 그리고 상기 방송 신호 출력부 (104) 로 부터 출력되는 상기 비디오와 상기 데이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20) 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튜너가 사용되었으나 그 이상의 튜너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상기 구성 요소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를 예로 하였으나 셋톱 박스와 같은 또 다른 수신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기 (117) 은 상기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방송 채널 선택에 따라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조하기 위하여 상기 튜너 (102) 를 구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비디오용 오디오와 상기 데이터용 오디오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 (117) 는 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 (TS) 으로 부터 부가 정보 (PSI 또는 PSIP) 추출한다. 특히 이 부가 정보 중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채널용 플래그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 플래그가 존재하면, 상기 스크린 상에 이 수신된 전송 스트림이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채널에 해당함을 알리는 아이콘 형태로 상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하고 나서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내에 몇 개의 논리 채널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기 (117) 은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 부터 상기 각 논리 채널의 대표 영상 (썸내일 또는 샘플 동영상)을 제작하고 상기 메모리 (119) 내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기 (117) 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OSD 생성기 (134) 는 상기 현재 채널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기 위한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채널임을 알리는 아이콘 (MMS) 에 관한 신호와 상기 각 논리 채널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선택 창에 대한 OSD 신호를 생성하고 나서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 (113) 로 보낸다. 한편,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 (113) 는 상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기 위한 비디오 신호로 상기 OSD 신호를 부가하여 처리하고 나서 상기 디 스플레이 모듈 (120) 로 보낸다. 또한, 상기 제어기 (117) 는 상기 사용자의 기능 선택에 따라 상기 OSD 발생기 (118) 가 해당하는 OSD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예로서, 상기 제어기 (1117) 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132)를 통해 이후에 설명될 논리 채널 스킵 기능 및 논리 채널 록 (lock)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동 채널 이동 키이 (즉, 증감 키이) 가 눌려지면 상기 스크린상에 상기 두 기능들의 항목들을 갖는 OSD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OSD 생성기 (118)를 제어한다. 이어서, 상기 생성된 OSD 신호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 (113) 로 입력되어 상기 비디오와 믹스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120)로 제공된다. 이 기능 항목들은 상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되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 (119) 는 상기 제어기 (117) 의 시스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메모리 (119) 는 상기 제어기 (117) 에 의해 제작된 각 논리 채널의 대표 영상 (썸내일 또는 샘플 동영상) 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기 (117) 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저장된 대표 영상이 상기 OSD 생성기 (118) 에 의해 생성된 해당 프로그램 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120) 로 보내진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116) 는 키패드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 등으로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또는 정보를 상기 제어기 (117) 로 제공한다. 상기 OSD 생성기 (118)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 (117) 의 제어에 따라 상기 OSD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방송 신호 출력부 (104) 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튜너 (102) 는 전송 스트림 (TS) 형태로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들 중 상기 제어기 (117) 의 제어에 의해 하나의 방송 채널 신호를 튜닝하고, 상기 튜닝된 방송 채널의 전송 스트림을 해당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부 (103) 으로 제공한다. 상기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 및 외부 입력 신호와 같이 다양한 소스들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는 본 발명과는 무관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부 (103) 는 복조기 (105) 및 디코더 (106) 로 구성된다. 상기 복조기 (105)는 상기 튜너 (102) 가 제공하는 전송 스트림을 복조하고 상기 디코더 (106) 는 상기 복조된 전송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나서 상기 방송 신호 출력부 (104) 으로 제공한다.
상기 방송 신호 출력부 (104) 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부 (103) 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오디오 스트림, 비디오 스트림, 및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 (107), 상기 디멀티플렉서 (107)에서 분리된 상기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 (108), 상기 디코드된 오디오 신호를 가청 가능한 상기 비디오용 오디오와 상기 데이터용 오디오로 만드는 오디오 프로세서 (109), 상기 디멀티플렉서 (107)에서 분리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데이터 디코더 (110), 상기 디코드된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한 데이터로 만드는 데이터 프로세서 (111), 상기 디멀티플렉서 (107) 에서 분리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 (112), 상기 디코드된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 이 가능한 비디오로 만드는 비디오 프로세서 (113) 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OSD 생성기 (118) 는 상기 제어기(117)의 제어 하에 생성한 상기 OSD 신호를 상기 방송 신호 출력부 (104) 의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 (113) 로 제공하여 상기 비디오에 믹싱되어 (Mixing) 함께 상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OSD 생성기 (118) 는 상기 제어기 (117) 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 스트림이 수신된 후 자동 채널 검색 루틴이 수행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동 채널 이동 (증감) 이 있는지를 체크한다. 이 같은 수동 채널 이동, 즉 채널 증감이 있으면, 상기 OSD 생성기 (118) 은 상기 제어기 (117) 의 제어 하에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논리 채널 스킵 (skip) 기능 및 상기 논리 채널 록 (lock) 기능에 관한 OSD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 (113) 로 보낸다.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132) 를 통해 직접 상기 디스플레이된 두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선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120) 은 LCD 모듈, PDP 모듈, 및 CRT 모듈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부와 하나의 방송 신호 출력부가 사용되었으나 상기 튜너의 수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튜너와 동일한 수의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부와 방송 신호 출력부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너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수신기의 시스템 프로그램의 변경에 의해 상기 화면상에 둘 이상의 PIP (Picture In Picture) 화면 영역들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7 은 본 실시 예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메인 루틴 (main routine)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 에 의하면, 상기 제어기 (117) 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채널 변경이 이루어졌는지를 체크한다. 채널 변경이 이루어졌으면, 이 변경된 채널의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나서 이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부가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 추출된 부가 정보로부터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용 플래그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 이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지시하는 플래그가 존재하면, 상기 현재 변경된 채널의 스크린 상에 이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은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 의 채널 (하나의 물리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로 구성된) 에 해당함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 정보는 멀티 모드 서비스 아이콘 'MMS', 해당 논리 채널들의 수, 각 논리 채널의 특징을 포함한다. 상기 각 논리 채널의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지시하는 플래그는 상기 부가 정보 중 이벤트 정보 테이블 (EIT: Event Information Table) 에 포함되어 질 수도 있으며, 또는 가상 채널 테이블 (VCT: Virtual Channel Table) 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8 은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채널 방송에 해당함을 알리는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8 에 의하면, 현재 변경된 채널이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의 채널 프로그램임을 알리는 아이콘 'MMS', 논리 채널들의 수 (여기서는 3 개 논리 채널), 및 각 논리 채널의 특징 (여기서는 화질에 관한 특징, 11-1: 밝은 화면, 11-2: 어두운 화면, 11-3: 선명한 화면 등을 보여준다) 이 멀티 모드 서 비스 방송의 채널 정보로서 디스플레이 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기 (117) 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수동 채널 이동 및 전체 논리 채널의 내용 프리뷰 (preview)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 (117) 은 수동 채널 이동 루틴 또는 논리 채널의 프리뷰 루틴을 수행한다.
도 9 는 상기 논리 채널 프리뷰 루틴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이다. 먼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논리 채널 프리뷰 요청에 관한 키이 신호가 있으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물리 채널에 속하는 전체 논리 채널들의 프로그램 창들을 현재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상기 각 논리 채널용 프로그램 창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제작되어 상기 메모리 (119) 내에 저장된 대표 영상들 (즉, 썸내일 또는 샘플 동영상 등) 이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각 논리 채널의 대표 영상들을 보고 원하는 논리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한 논리 채널을 선택하게 되면 현재 변경된 (물리 채널 또는 논리 채널) 은 상기 선택 된 논리 채널로 전환되고 상기 전체 스크린 상에는 상기 전환된 논리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10 은 상기 프리뷰 요청 시 전체 논리 채널들의 프로그램 창이 현재 채널의 스크린상에 모두 디스플레이 된 상태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프리뷰 요청 시 초기 구성 시에는 스크린 구성을 위해 해당하는 전체 논리 채널을 검색하여 스크린을 구성하고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포커스 또는 커서 또는 하이라이트) 가 위치한 해당 논리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만을 검색하여 전체 스크린 상에서 재생한다. 즉 현재 채널이 선택된 채널의 스크린으로 전환된다. 도 10 에서 는 두 번째 논리 채널에 해당하는 두 번째 프로그램 창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11 은 상기 각 논리 채널의 대표 영상이 제작되고 디스플레이 되는 루틴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도 9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논리 채널 프리뷰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 (117) 는 상기 해당 멀티 채널의 해당 논리 채널 개수를 확인한다. 이어서, 상기 확인된 논리 채널의 개수와 인덱스를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인덱스는 1 부터 시작하여 상기 논리 채널의 개수까지 '1' 씩 카운트된다. 따라서, 첫 번째 논리 채널부터 채널 전환이 되며 각 논리 채널의 대표 영상이 캡쳐 (capture) 된다. 이 대표 영상은 썸내일 또는 샘플 동영상 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멀티 방송의 각 논리 채널 별로 대표 영상을 제작 및 저장하고 인덱스를 부여한다. 상기 모든 논리 채널들에 대한 대표 영상의 제작 및 저장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기 (117) 의 제어 하에 상기 각 대표 영상은 현재 채널의 스크린의 상기 각 해당 프로그램 창 내에서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P (Picture In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로그램 창을 선택하면 이 선택된 프로그램 창에 포커스 되어 상기 현재 채널이 이 선택된 채널로 전환되고 상기 전체 스크린 상에는 상기 선택된 논리 채널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12 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동 채널 이동 루틴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 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동 채널 이동이 있는지를 먼저 체크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116)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키이부) 를 통해 수동으로 채널의 증감을 시도하면, 이를 수동 키이 이동 신호로 간주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현재 스크린상에 논리 채널 스킵 기능 및 논리 채널 록 기능에 대한 아이콘 또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 문자나 아이콘은 상기 OSD 신호 생성기 (118) 에 의해 생성된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는 수동 채널 검색을 위해 상기 기능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고 어느 것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상기 논리 채널 스킵 기능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116) 통해 채널을 1 씩 증감할 시 논리 채널들을 스킵되고 물리 채널들 내에서만 채널 증감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제어기 (117)는 상기 논리 채널 스킵 기능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해제되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만약, 상기 논리 채널 스킵 기능이 해제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116) 통해 채널을 '1' 씩 증감할 시 논리 채널들 및 물리 채널들을 포함하여 채널 증감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논리 채널 록 (lock)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116) 통해 채널을 '1' 씩 증감할 시 논리 채널들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채널 증감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제어기 (117)는 상기 논리 채널 록 기능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해제되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만약, 상기 논리 채널 록 기능이 해제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116) 통해 채널을 '1' 씩 증감할 시 논리 채널들 및 물리 채널들을 포함한 전체 채널들 내에서 채널 증감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현재의 채널이 논리 채널인 상태에서 수동 채널 이동을 시도할 경우, 선택적으로 상기 논리 채널 록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논리 채널 스킵 기능 및 상기 논리 채널 록 기능 중 어느 것도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116) 통해 채널을 '1' 씩 증감할 시 논리 채널들 및 물리 채널들을 포함한 전체 채널들 내에서 채널 증감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제어기 (117)는 주기적으로 정해진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동 채널 이동 신호가 주어지지 않으면 이 루틴을 종료한다.
도 1 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 모델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모델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 채널들의 일 예로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의 채널들의 서로 다른 특징들이 서로 다른 멀티 각도들인 경우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4 는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의 채널들의 다른 예로서 멀티 모드 서비스방송의 채널들의 서로 다른 특징들이 서로 다른 화질들을 갖는 경우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5 는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의 채널들의 또 다른 예로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의 채널들의 서로 다른 특징들이 한 시리즈 물의 서로 다른 편들에 해당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6 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 은 본 실시 예에 따라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 의 채널을 처리하는 메인 루틴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 은 멀티 채널 방송에 해당함을 알리는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9 는 논리 채널 프리뷰 루틴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 은 프리뷰 요청 시 전체 논리 채널들의 프로그램 창이 현재 채널의 스 크린상에 모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1 은 각 논리 채널의 대표 영상이 제작되고 디스플레이 되는 루틴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 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수동 채널 이동 루틴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들의 설명*
101: 안테나; 102: 튜너, 103: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부; 104: 방송 신호 출력부, 105: 복조기, 106: 디코더, 107: 디멀티플렉서, 108: 오디오 디코더, 109: 오디오 프로세서, 110: 데이터 디코더, 111: 데이터 프로세서, 112: 비디오 디코더, 113: 비디오 프로세서, 114: 증폭기, 115: 스피커, 116: 사용자 인터페이스, 117: 제어기, 118: OSD 생성기, 119: 메모리, 120: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22)

  1. 사용자에 의해 채널 변경이 시도되면, 이 변경된 채널에 해당하는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스텝;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스텝;
    상기 추출된 부가 정보로부터 변경된 채널이 하나의 물리 채널과 상기 물리 채널과 상호 연관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동반하는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 채널인지를 체크하는 스텝;
    상기 변경된 채널이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채널이면, 스크린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텝;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동 채널 이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크린 상에 채널 이동시 논리 채널들을 스킵하는 논리 채널 스킵 기능 및 논리 채널 내에서만 채널 이동이 이루어지는 논리 채널 록 기능에 대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에 대한 정보는, 상기 현재 변경된 채널이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채널임을 알리는 아이콘 'MMS', 상기 해당 논리 채널들의 수, 및 상기 각 논리 채널의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들의 특징들은 하나의 동일 방송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각도들에 위치된 여러 대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촬영된 것들이고, 서로 다른 종류의 화질들을 갖는 것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들의 특징들은 하나의 시리즈 방송 프로그램의 서로 다른 편들에 해당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채널에 속하는 논리 채널들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프리뷰 요청 신호가 있는지를 체크하는 스텝; 및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논리 채널들의 프리뷰 루틴을 수행하는 스텝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루틴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채널에 속하는 전체 논리 채널들의 프로그램 창들을 현재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스텝;
    상기 프로그램 창들을 통해 해당 대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스텝;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한 논리 채널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창을 선택하면, 현재 채널을 상기 선택된 논리 채널로 전환하여 상기 전체 스크린 상에 상기 선택된 논리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영상은 썸내일 또는 샘플 동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스킵 기능이 선택되면, 채널 이동 시 논리 채널들은 스킵하고 물리 채널들 내에서만 채널 증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스킵 기능이 해제되면 논리 채널들 및 물리 채널들을 포함한 전 채널 내에서 채널 증감을 수행하는 스텝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록 기능이 선택되면, 논리 채널들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채널 증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록 기능이 해제되면, 상기 논리 채널들 및 물리 채널들을 포함한 전체 채널들 내에서 채널 증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논리 채널 스킵 기능 및 논리 채널 록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논리 채널들 및 물리 채널들을 포함한 전체 채널들 내에서 채널 증감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전송 스트림이 상기 멀티 모드 서비스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부가 정보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 (EIT: Event Information Table) 또는 가상 채널 테이블 (VCT: Virtual Channel Table)에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17. 삭제
  18.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튜너;
    사용자 조작에 의해 명령 신호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부가 정보로부터 하나의 물리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동반하는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채널임을 인식하고,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그리고 상기 논리 채널들의 프리뷰 기능용 대표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생성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기;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 하에 상기 대표 영상들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동 채널 이동 신호가 입력되면, 채널 이동시 논리 채널들을 스킵하는 논리 채널 스킵 기능 및 논리 채널 내에서만 채널 이동이 이루어지는 논리 채널 록 기능에 대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들의 대표 영상은 썸내일 또는 샘플 동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에 관한 정보는 현재 채널이 멀티 채널 방송임을 알리는 아이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의 수, 및 상기 각 논리 채널의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21.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튜너;
    사용자 조작에 의해 명령 신호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 부터 추출된 부가 정보로부터 하나의 물리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동반하는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채널임을 인식하고,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상기 사용자 선택을 위해 물리 채널들 내에서만 채널 이동을 하는 논리 채널 스킵 기능 및 상기 논리 채널들의 프리뷰 기능용 대표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생성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기;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 하에 상기 대표 영상들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22.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튜너;
    사용자 조작에 의해 명령 신호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 스트림으로 부터 추출된 부가 정보로부터 하나의 물리 채널 및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을 동반하는 멀티 모드 서비스를 이용한 방송 채널임을 인식하고, 상기 부가 정보를 이용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상기 사용자 선택을 위해 논리 채널들 내에서만 채널 이동을 하는 논리 채널 록 기능용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 및 상기 논리 채널들의 프리뷰 기능용 대표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생성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기;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 하에 상기 대표 영상들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KR1020080088358A 2008-09-08 2008-09-08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Active KR10146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58A KR101467790B1 (ko) 2008-09-08 2008-09-08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EP15002473.5A EP2963919B1 (en) 2008-09-08 2008-12-08 Method of processing multi-mode service broadcast signal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EP20080876883 EP2327207A4 (en) 2008-09-08 2008-12-08 METHOD FOR PROCESSING A MULTIMODE SERVICE BROADCAST SIGNAL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THEREWITH
CN201510025531.0A CN104539976B (zh) 2008-09-08 2008-12-08 处理多模式业务广播信号的方法及数字电视接收机
PCT/KR2008/007248 WO2010027126A1 (en) 2008-09-08 2008-12-08 Method of processing multi-mode service broadcast signal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US13/062,581 US8839335B2 (en) 2008-09-08 2008-12-08 Method of processing multi-mode service broadcast signal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CN200880131658.9A CN102204269B (zh) 2008-09-08 2008-12-08 处理多模式业务广播信号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数字电视接收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58A KR101467790B1 (ko) 2008-09-08 2008-09-08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537A KR20100029537A (ko) 2010-03-17
KR101467790B1 true KR101467790B1 (ko) 2014-12-03

Family

ID=4179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358A Active KR101467790B1 (ko) 2008-09-08 2008-09-08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39335B2 (ko)
EP (2) EP2963919B1 (ko)
KR (1) KR101467790B1 (ko)
CN (2) CN104539976B (ko)
WO (1) WO2010027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1921B1 (en) * 2009-07-31 2013-04-16 Pixelworks, Inc. Post processing displays with on-screen displays
CN102364960B (zh) * 2011-11-04 2015-05-27 播思通讯技术(北京)有限公司 移动数字电视画中画和频道缩略图的播放方法及移动终端
KR101869370B1 (ko) 2012-01-02 2018-07-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초고화질 방송 송수신 방법 및 장치
TWI482486B (zh) * 2013-01-30 2015-04-21 Wistron Corp 影音串流的預覽及播放方法及其系統
US9930351B2 (en) 2013-10-11 2018-03-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coding a video bitstream
KR20160028272A (ko) * 2014-09-03 2016-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6209B1 (ko) * 2016-04-19 2018-08-08 (주)휴맥스 미디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409A (ko) * 2006-09-11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채널을 정의하는 방송 신호와, 이를 처리하는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64264A (ko) * 2007-01-04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리뷰 컨텐츠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그의 수신장치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4589A (en) * 1995-01-31 1998-03-31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Digital entertainment terminal with channel mapping
US5659353A (en) * 1995-03-17 1997-08-19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Televis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6163644A (en) * 1995-04-27 2000-12-19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or reproducing digital signal
WO1997043855A1 (fr) * 1996-05-16 1997-11-20 Kabushiki Kaisha Infocity Procede de transmission et d'affichage d'informations et dispositif d'affichage d'informations
EP1018840A3 (en) * 1998-12-08 2005-12-21 Canon Kabushiki Kaisha Digital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DE60025446T2 (de) * 1999-10-29 2006-09-21 Sony Corp. Verfahren und System zur Nutzung einer Vielzahl von Übertragungsleitungen und Einstellung des Verbindungsbetriebsverfahrens
US6970127B2 (en) * 2000-01-14 2005-11-29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Inc. Remote control for wireless control of system and displaying of compressed video on a display on the remote
US20030018970A1 (en) * 2001-07-19 2003-01-23 Digeo, Inc. Object representation of television programs with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EP1289297A3 (en) 2001-07-27 2004-03-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program information
JP4618956B2 (ja) * 2001-12-10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信号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媒体
JP4225771B2 (ja) * 2002-11-25 2009-02-18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6352774A (ja) * 2005-06-20 2006-12-28 Funai Electric Co Ltd 放送受信機
KR100793736B1 (ko) * 2006-02-23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의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EP1848212B1 (en) * 2006-02-23 2012-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broadcast data display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channel visual images
KR100793757B1 (ko) 2006-08-08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양한 epg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제어방법
KR101271665B1 (ko) 2006-09-22 2013-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이동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KR101080418B1 (ko) * 2006-12-20 201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JP5093233B2 (ja) * 2007-04-27 2012-12-12 富士通株式会社 信号出力装置、情報機器、信号出力方法および信号出力プログラム
US8510781B2 (en) * 2007-08-24 2013-08-13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953640B2 (en) * 2009-12-11 2015-02-10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igital broadcast signal in transmitt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409A (ko) * 2006-09-11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채널을 정의하는 방송 신호와, 이를 처리하는 방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64264A (ko) * 2007-01-04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리뷰 컨텐츠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그의 수신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7207A1 (en) 2011-06-01
CN102204269B (zh) 2015-02-18
WO2010027126A1 (en) 2010-03-11
EP2327207A4 (en) 2012-06-13
EP2963919B1 (en) 2018-05-09
US20110181782A1 (en) 2011-07-28
CN102204269A (zh) 2011-09-28
CN104539976A (zh) 2015-04-22
CN104539976B (zh) 2018-01-05
EP2963919A1 (en) 2016-01-06
KR20100029537A (ko) 2010-03-17
US8839335B2 (en)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607B1 (ko) 프로그램 선택방법
USRE43102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CN101237539B (zh) 记录装置
US67313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on-timer channel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US82843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channel
KR101467790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멀티 모드 서비스의 방송을 처리하는 방법
KR10071033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US8336072B2 (en) Television receiver device
US20090013371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KR10072538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검색 방법
CN1956521B (zh) 用于改变/管理频道的方法和广播接收器
JP4522885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電子番組ガイドの表示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74418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04983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70013788A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채널 정보 정렬 방법
KR101341454B1 (ko)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JPH11122548A (ja) 放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10042610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보조 모자이크 이피지 영상표시방법 및 장치
KR100753509B1 (ko) 영상기기 및 그를 이용한 방송프로그램 시청 히스토리 관리방법
KR20070014333A (ko) 방송 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40108232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전환방법
KR20050046986A (ko) 2 튜너를 구비한 방송 수신 장치의 장르별 채널 검색 장치및 방법
JP4234539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KR100662142B1 (ko) 자동 채널 설정 방법 및 텔레비전 방송 수상기
KR20080067197A (ko) 텔레비전의 채널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9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