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6858B1 -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858B1
KR101466858B1 KR20130103753A KR20130103753A KR101466858B1 KR 101466858 B1 KR101466858 B1 KR 101466858B1 KR 20130103753 A KR20130103753 A KR 20130103753A KR 20130103753 A KR20130103753 A KR 20130103753A KR 101466858 B1 KR101466858 B1 KR 101466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 exchanger
direct
auxiliary heat
rin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인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8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헹굼수로 사용되는 직수가 저장되는 헹굼수탱크(12)와, 상기 헹굼수탱크(12)의 직수를 고온수로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19)와, 상기 헹굼수탱크(12)의 직수를 상기 열교환기(19)로 안내하는 직수공급라인(20)과, 상기 직수공급라인(20) 상에 배치되어 헹굼수탱크(12)의 직수를 열교환기(19)로 펌핑시키는 헹굼펌프(12a) 및 상기 열교환기(19)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상기 헹굼수탱크(12)로 돌려보내는 고온수회수라인(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9)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이용하여 외부 직수와의 열 교환을 통해 이 직수를 중온수로 변환시켜 식기세척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열교환수단이 추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에 사용되는 온수를 식기세척 이외의 다른 용도, 즉 싱크대 등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싱크대용 온수기의 추가 설치가 필요없게 되는 등 설치작업 삭제에 따른 공수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Water circulation system of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의 전체 물순환시스템 중 특히 헹굼수탱크의 직수를 열교환기에서 고온 가열하여 된 고온수를 다시 헹굼수탱크로 보내 저장하도록 하는 물순환구조와 연결되되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이용하여 외부 직수와의 열 교환을 통해 이 직수를 중온수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열교환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식기세척에 사용되는 온수를 식기세척 이외의 다른 용도, 즉 싱크대 등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싱크대용 온수기의 추가 설치가 필요없게 되는 등 설치작업 에 따른 공수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사 등에 사용된 후 오염된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소형 식기세척기에서부터 대형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대용량 식기세척기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와 같은 전반적인 식기세척기는 세척 및 헹굼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세척수 및 헹굼수를 각각 개별적으로 준비한 후 세척에서부터 헹굼까지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식기를 세척하도록 되어 있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식기세척기의 세척 및 헹굼 기능 수행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식기세척기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세척수탱크(11)와, 헹굼수를 저장하는 헹굼수탱크(12)와, 이들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세척실(13)과, 상기 세척수탱크(11)로부터 세척실(13)까지 연결되는 세척라인(14)과, 상기 헹굼수탱크(12)로부터 세척실(13)까지 연결되는 헹굼라인(15)과, 세척라인(14) 상에 배치되는 세척펌프(11a)와, 헹굼라인(15) 상에 배치되는 헹굼펌프(12a)와, 세척시 사용되는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펌프(16)와, 헹굼시 사용하는 린스를 공급하는 린스펌프(17)와, 외부의 직수를 상기 헹굼수탱크(12)로 공급 및 차단을 단속하는 수전자변(1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종래 기술의 식기세척기의 세척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세척준비를 위해 급수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 급수 과정은 식기세척기의 전원 온(on) -> 헹굼수탱크(12)의 수위 판별 -> 수전자변(18) 온(on) 및 급수 -> 헹굼수탱크(12) 만수위 검지 -> 세척수탱크(11) 수위판별 및 헹굼펌프(12a) 작동 -> 세척수 공급 -> 세척수탱크(11) 만수위 검지전까지 헹굼펌프(12a) 2-3회 작동 순으로 급수를 수행한다.
이렇게 세척수펌프(11) 및 헹굼수펌프(12)로의 급수가 완료되면 이들 직수를 식기의 세척 및 헹굼에 알맞은 온도로 가열한다.
여기서, 상기 헹굼수는 대략 90도 정도로 가열되도록 하고, 세척수는 대략 65도 정도로 가열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직수의 가열은 별도의 열교환기(미도시)를 통해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헹굼수의 만수위를 검지하여 헹굼수의 온도가 90도 이상이면 세척수의 만수위를 검지하여 만수위가 검지되면 세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척을 수행하게 되면, 도 1에서와 같이, 세척펌프(11a)가 작동되고 세재펌프(16)에 의해 세제가 같이 공급되면서 세척수가 세척실(13)로 분사되어 세척이 수행된다.
세척이 완료되고 헹굼을 수행하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세척펌프(11a)가 정지되고 헹굼펌프(12a)가 작동되며 린스펌프(17)에 의해 린스가 같이 공급되면서 세척실(13)로 헹굼수를 분사하여 헹굼이 수행된다.
그리고, 세척 및 헹굼이 완료되면 헹굼펌프(12a)를 정지하고 건조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식기세척기에서 식기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헹굼수를 가열하는 물순환구조를 살펴보면,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헹굼수로 사용되는 직수가 저장되는 상기 헹굼수탱크(12)와, 상기 헹굼수탱크(12)의 직수를 고온수로 가열하기 위한 상기 열교환기(19)와, 상기 헹굼수탱크(12)의 직수를 상기 열교환기(19)로 안내하는 직수공급라인(20)과, 상기 직수공급라인(20) 상에 배치되어 헹굼수탱크(12)의 직수를 열교환기(19)로 펌핑시키는 헹굼펌프(12a) 및 상기 열교환기(19)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상기 헹굼수탱크(12)로 돌려보내는 고온수회수라인(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물순환구조는 헹굼수의 직수가 헹굼펌프(12a)를 통해 직수공급라인(20)을 따라 열교환기(19)로 공급되어 적정온도로 가열된 후 다시 고온수회수라인(21)을 통해 헹굼수탱크(12)로 회수되는 과정을 통해 헹굼수탱크(12)에 고온수가 저장되고 나서 세척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물순환시스템은 열교환기를 통해 가열된 고온수가 식기세척시에만 사용되는 이외에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전혀 불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싱크대 등에서 온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온수기를 설치하여야 만이 온수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식기세척기의 전체 물순환시스템 중 특히 헹굼수탱크의 직수를 열교환기에서 고온 가열하여 된 고온수를 다시 헹굼수탱크로 보내 저장하도록 하는 물순환구조와 연결되되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이용하여 외부 직수와의 열 교환을 통해 이 직수를 중온수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열교환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식기세척에 사용되는 온수를 식기세척 이외의 다른 용도, 즉 싱크대 등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싱크대용 온수기의 추가 설치가 필요없게 되는 등 설치작업 삭제에 따른 공수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은 헹굼수로 사용되는 직수가 저장되는 헹굼수탱크; 상기 헹굼수탱크의 직수를 고온수로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 상기 헹굼수탱크의 직수를 상기 열교환기로 안내하는 직수공급라인; 상기 직수공급라인 상에 배치되어 헹굼수탱크의 직수를 열교환기로 펌핑시키는 헹굼펌프;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상기 헹굼수탱크로 돌려보내는 고온수회수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이용하여 외부 직수와의 열 교환을 통해 이 직수를 중온수로 변환시켜 식기세척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열교환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교환수단은, 상기 고온수회수라인 상에 배치되는 삼방밸브; 상기 삼방밸브를 통해 상기 고온수회수라인으로부터 인출된 고온수와 외부 직수 간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보조열교환기; 상기 삼방밸브와 상기 보조열교환기를 연결하는 고온수인출라인; 및 상기 보조열교환기에서 외부 직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진 후 저온 상태로 있는 저온수를 다시 상기 열교환기로 순환 및 가열시키기 위한 저온수회수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기로부터의 고온수와 외부의 직수 간의 열 교환을 위한 매개체가 되는 매개수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 구조로서, 상기 보조열교환기의 외측면에 각각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고온수가 유입되는 고온수유입구; 상기 내부 매개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진 후 상기 보조열교환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저온수배출구; 상기 외부의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유입구; 및 상기 내부 매개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진 후 외부로 배출되는 중온수배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열교환기의 내부에 상기 고온수유입구와 저온수배출구를 연결하는 온수유로 및 상기 직수유입구와 중온수배출구를 연결하는 직수유로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교환기의 일측에 내부의 매개수를 보충하기 위해 개폐되는 보충수주입구가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되어 저온 상태로 된 저온수를 회수하기 위한 상기 저온수회수라인은 그 일단부가 상기 보조열교환기의 저온수배출구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헹굼펌프 인접부인 직수공급라인으로 연결된 후 상기 열교환기로 순환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은 식기세척기의 전체 물순환시스템 중 특히 헹굼수탱크의 직수를 열교환기에서 고온 가열하여 된 고온수를 다시 헹굼수탱크로 보내 저장하도록 하는 물순환구조와 연결되되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이용하여 외부 직수와의 열 교환을 통해 이 직수를 중온수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열교환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식기세척에 사용되는 온수를 식기세척 이외의 다른 용도, 즉 싱크대 등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싱크대용 온수기의 추가 설치가 필요없게 되는 등 설치작업 삭제에 따른 공수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헹굼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중 헹굼수탱크와 열교환기 간의 물순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중 헹굼수탱크와 열교환기 사이에 보조열교환기가 개재된 상태의 물순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물순환구조에서 보조열교환기가 가동되는 동안 물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의 물순환구조에 적용되는 보조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물순환구조에 적용되는 삼방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물순환구조에서 보조열교환기와 삼방밸브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은 헹굼수로 사용되는 직수가 저장되는 헹굼수탱크(12)와, 상기 헹굼수탱크(12)의 직수를 고온수로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19)와, 상기 헹굼수탱크(12)의 직수를 상기 열교환기(19)로 안내하는 직수공급라인(20)과, 상기 직수공급라인(20) 상에 배치되어 헹굼수탱크(12)의 직수를 열교환기(19)로 펌핑시키는 헹굼펌프(12a) 및 상기 열교환기(19)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상기 헹굼수탱크(12)로 돌려보내는 고온수회수라인(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9)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이용하여 외부 직수와의 열 교환을 통해 이 직수를 중온수로 변환시켜 식기세척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열교환수단이 추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열교환수단은, 상기 고온수회수라인(21) 상에 배치되는 삼방밸브(30)와, 상기 삼방밸브(30)를 통해 상기 고온수회수라인(21)으로부터 인출된 고온수와 외부의 직수 간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열교환기(40)와, 상기 삼방밸브(30)와 상기 보조열교환기(40)를 연결하는 고온수인출라인(51) 및 상기 보조열교환기(40)에서 외부 직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진 후 저온 상태로 있는 저온수를 다시 상기 열교환기(19)로 순환 및 가열시키기 위한 저온수회수라인(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삼방밸브(30)는 열교환기(19)의 고온수가 유입되는 고온수입구(31)와, 이 고온수입구(31)에서 곧바로 헹굼수탱크(12)로 안내되도록 하는 고온수출구(32) 및 상기 고온수입구(31)에서 보조열교환기(40)로 안내되도록 하는 열교환기출구(3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열교환기(40)는, 상기 열교환기(19)로부터의 고온수와 외부의 직수 간의 열 교환을 위한 매개체가 되는 매개수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 구조로서, 상기 보조열교환기(40)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열교환기(19)로부터 고온수인출라인(51)을 통해 고온수가 유입되는 고온수유입구(41)와, 상기 내부 매개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진 후 상기 보조열교환기(40)의 외부로 배출되는 저온수배출구(42)와, 상기 외부의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유입구(43) 및 상기 내부 매개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진 후 외부로 배출되는 중온수배출구(44)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열교환기(40)의 내부에는 상기 고온수유입구(41)와 저온수배출구(42)를 연결하는 온수유로(45) 및 상기 직수유입구(43)와 중온수배출구(44)를 연결하는 직수유로(46)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온수유로(45) 및 직수유로(46)는 상기 보조열교환기(40)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상 등으로 구현되어 최대한 경로를 길게 함으로써 상기 보조열교환기(4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매개수와 충분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열교환기(40)의 일측에는 내부의 매개수를 보충하기 위해 개폐되는 보충수주입구(4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열교환기(40)에서 열 교환되어 저온 상태로 된 저온수를 회수하기 위한 상기 저온수회수라인(52)은 그 일단부가 상기 보조열교환기(40)의 저온수배출구(42)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헹굼펌프(12a) 인접부인 직수공급라인(20)으로 연결된 후 상기 열교환기(19)로 순환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미 설명부호 22는 열교환기(19)에서 생성된 고온수의 적정온도(대략 90도)를 감지하여 열교환기(19)의 작동을 단속하기 위한 서머센서를 나타낸 것이고, 60은 보조열교환기(40)에서 생성된 중온수의 적정온도(대략 50도)를 감지하여 열교환기(19)의 작동을 단속하기 위한 서머센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헹굼펌프(12a)의 유입구 인접 유로(20) 상에는 이 헹굼펌프(12a)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23)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을 통한 세척 및 헹굼 과정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 기술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식기 세척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삼방밸브(30)의 열교환기출구(33)는 닫혀있고 고온수출구(32)가 열려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식기세척기의 식기 세척 과정 중 보조열교환기(40)를 통해 중화된 중온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삼방밸브(30)를 작동시켜 상기 세척시와 반대로 열교환기출구(33)를 개방시키고 고온수출구(32)는 폐쇄시킨다.
그러면, 상기 고온수회수라인(21)을 타고 회수되는 고온수가 고온수인출라인(51)을 통해 상기 보조열교환기(40)로 안내되도록 하면 이 고온수는 보조열교환기(40)의 열 교환을 거쳐 저온수로 상변형이 이루어진 다음 저온수회수라인(52)을 통해 다시 헹굼펌프(12a) 인접부인 직수공급라인(20)으로 안내된 후 상기 열교환기(19)로 보내져서 재가열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19)에서 공급되는 대략 90도의 고온수는 보조열교환기(40)의 고온수유입구(41)를 통해 내부의 온수유로(45)를 경유한 후 저온수배출구(42)를 통해 상기 저온수회수라인(52)으로 배출되는 동안 상기 보조열교환기(40) 내부의 매개수를 가열하게 되고, 이와 아울러, 중온수로 사용하기 위한 외부의 직수는 상기 보조열교환기(40)의 직수유입구(43)를 통해 유입되어 내부의 직수유로(46)를 경유하면서 상기 가열된 매개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져 대략 50도 정도의 중온수를 생성시킨 후 중온수배출구(44)를 통해 중온수를 필요로 하는 싱크대 등의 별도의 장소 등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머센서(22,60)들을 통해서는 열교환기(19)의 출구 온도 및 보조열교환기(40)의 출구 온도를 각각 감지하여 이들 온도가 항상 정상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열교환기(19)의 작동을 적절히 단속하면서 물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은 식기세척기의 전체 물순환시스템 중 특히 헹굼수탱크의 직수를 열교환기에서 고온 가열하여 된 고온수를 다시 헹굼수탱크로 보내 저장하도록 하는 물순환구조와 연결되되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이용하여 외부 직수와의 열 교환을 통해 이 직수를 중온수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열교환수단을 마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식기세척에 사용되는 온수를 식기세척 이외의 다른 용도, 즉 싱크대 등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싱크대용 온수기의 추가 설치가 필요없게 되는 등 설치작업 삭제에 따른 공수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1 : 세척수탱크 11a : 세척펌프
12 : 헹굼수탱크 12a : 헹굼펌프
13 : 세척실 14 : 세척라인
15 : 헹굼라인 16 : 세제펌프
17 : 린스펌프 18 : 수전자변
19 : 열교환기 20 : 직수공급라인
21 : 고온수회수라인 22 : 서머센서
23 : 필터 30 : 삼방밸브
31 : 고온수입구 32 : 고온수출구
33 : 열교환기출구 40 : 보조열교환기
41 : 고온수유입구 42 : 저온수배출구
43 : 직수유입구 44 : 중온수배출구
45 : 온수유로 46 : 직수유로
51 : 고온수인출라인 52 : 저온수회수라인
60 : 서머센서

Claims (5)

  1. 헹굼수로 사용되는 직수가 저장되는 헹굼수탱크;
    상기 헹굼수탱크의 직수를 고온수로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
    상기 헹굼수탱크의 직수를 상기 열교환기로 안내하는 직수공급라인;
    상기 직수공급라인 상에 배치되어 헹굼수탱크의 직수를 열교환기로 펌핑시키는 헹굼펌프;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상기 헹굼수탱크로 돌려보내는 고온수회수라인;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고온수를 이용하여 외부 직수와의 열 교환을 통해 이 직수를 중온수로 변환시켜 식기세척 이외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열교환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열교환수단은,
    상기 고온수회수라인 상에 배치되는 삼방밸브;
    상기 삼방밸브를 통해 상기 고온수회수라인으로부터 인출된 고온수와 외부 직수 간에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보조열교환기;
    상기 삼방밸브와 상기 보조열교환기를 연결하는 고온수인출라인; 및
    상기 보조열교환기에서 외부 직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진 후 저온 상태로 있는 저온수를 다시 상기 열교환기로 순환 및 가열시키기 위한 저온수회수라인;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출구 온도 및 상기 보조열교환기의 출구 온도를 각각 서머센서를 통해서 감지하여 이들 온도가 항상 정해진 온도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의 작동을 단속하면서 물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기로부터의 고온수와 외부의 직수 간의 열 교환을 위한 매개체가 되는 매개수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 구조로서,
    상기 보조열교환기의 외측면에 각각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고온수가 유입되는 고온수유입구;
    상기 내부 매개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진 후 상기 보조열교환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저온수배출구;
    상기 외부의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유입구; 및
    상기 내부 매개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진 후 외부로 배출되는 중온수배출구;
    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열교환기의 내부에 상기 고온수유입구와 저온수배출구를 연결하는 온수유로; 및
    상기 직수유입구와 중온수배출구를 연결하는 직수유로;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교환기의 일측에 내부의 매개수를 보충하기 위해 개폐되는 보충수주입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되어 저온 상태로 된 저온수를 회수하기 위한 상기 저온수회수라인은 그 일단부가 상기 보조열교환기의 저온수배출구에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헹굼펌프 인접부인 직수공급라인으로 연결된 후 상기 열교환기로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5. 삭제
KR20130103753A 2013-08-30 2013-08-30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Active KR101466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753A KR101466858B1 (ko) 2013-08-30 2013-08-30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753A KR101466858B1 (ko) 2013-08-30 2013-08-30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858B1 true KR101466858B1 (ko) 2014-12-03

Family

ID=52676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3753A Active KR101466858B1 (ko) 2013-08-30 2013-08-30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858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831B1 (ko) * 2016-04-25 2017-05-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온수가열 성능 저하 시 온수공급 제어방법
KR101771584B1 (ko) * 2016-05-31 2017-08-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가열 시스템이 구비된 식기세척기에서 온수 사용시 바이패스 유량 제어방법
KR101793466B1 (ko) * 2016-04-25 2017-11-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온도저하 방지방법
KR101793467B1 (ko) * 2016-04-25 2017-11-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온수공급 제어방법
KR20170136085A (ko) * 2016-05-31 2017-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열량 최적 제어방법
KR101823960B1 (ko) * 2016-11-30 2018-03-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온수 공급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80077754A (ko) 2016-12-29 2018-07-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시스템
CN109288479A (zh) * 2018-12-12 2019-02-0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内胆结构及洗碗机
JP2019141254A (ja) * 2018-02-19 2019-08-29 株式会社パロマ 食器洗浄機用ブースター
CN110507270A (zh) * 2019-09-18 2019-11-29 河北深度自动化设备有限公司 洗碗机
JP2020171552A (ja) * 2019-04-11 2020-10-22 ホシザキ株式会社 洗浄機
JP2020171548A (ja) * 2019-04-11 2020-10-22 ホシザキ株式会社 洗浄機
CN113693535A (zh) * 2021-08-25 2021-11-26 浙江亨德清洗科技有限公司 智能加热装置
CN115581422A (zh) * 2022-10-13 2023-01-10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控制洗碗机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088A (ja) * 2005-05-13 2006-11-24 Hanshin Electric Co Ltd 食器洗浄乾燥装置の排熱利用方法、および食器洗浄乾燥装置の排熱利用システム
KR100770072B1 (ko) 2005-10-31 2007-10-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KR20090102940A (ko)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수와 온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보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088A (ja) * 2005-05-13 2006-11-24 Hanshin Electric Co Ltd 食器洗浄乾燥装置の排熱利用方法、および食器洗浄乾燥装置の排熱利用システム
KR100770072B1 (ko) 2005-10-31 2007-10-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KR20090102940A (ko)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수와 온수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보일러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467B1 (ko) * 2016-04-25 2017-11-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온수공급 제어방법
KR101731831B1 (ko) * 2016-04-25 2017-05-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온수가열 성능 저하 시 온수공급 제어방법
KR101793466B1 (ko) * 2016-04-25 2017-11-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온도저하 방지방법
KR102317314B1 (ko) * 2016-05-31 2021-10-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열량 최적 제어방법
KR101771584B1 (ko) * 2016-05-31 2017-08-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가열 시스템이 구비된 식기세척기에서 온수 사용시 바이패스 유량 제어방법
KR20170136085A (ko) * 2016-05-31 2017-12-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온수 사용시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열량 최적 제어방법
KR101823960B1 (ko) * 2016-11-30 2018-03-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온수 공급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80077754A (ko) 2016-12-29 2018-07-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시스템
JP2019141254A (ja) * 2018-02-19 2019-08-29 株式会社パロマ 食器洗浄機用ブースター
JP7083147B2 (ja) 2018-02-19 2022-06-10 株式会社パロマ 食器洗浄機用ブースター
CN109288479A (zh) * 2018-12-12 2019-02-0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内胆结构及洗碗机
CN109288479B (zh) * 2018-12-12 2024-03-22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内胆结构及洗碗机
JP2020171552A (ja) * 2019-04-11 2020-10-22 ホシザキ株式会社 洗浄機
JP2020171548A (ja) * 2019-04-11 2020-10-22 ホシザキ株式会社 洗浄機
CN110507270A (zh) * 2019-09-18 2019-11-29 河北深度自动化设备有限公司 洗碗机
CN113693535A (zh) * 2021-08-25 2021-11-26 浙江亨德清洗科技有限公司 智能加热装置
CN113693535B (zh) * 2021-08-25 2024-03-26 浙江亨德清洗科技有限公司 智能加热装置
CN115581422A (zh) * 2022-10-13 2023-01-10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控制洗碗机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858B1 (ko) 식기세척기의 물순환시스템
KR102595022B1 (ko) 식기세척기
US20230035638A1 (en) Dishwasher having a heat exchanger
US8307839B2 (en) Dishwasher with a latent heat accumulator
EP2830476B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operating dishwasher
US20130333238A1 (en) Waste heat recovery and storage system for a dishwashing appliance
CN101543389B (zh) 具有废水热量回收的批量洗碗机
US20110114140A1 (en) Water-conducting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dishwasher or washing machine
KR102603449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US20110048472A1 (en) Dishwasher
ES2375915T3 (es) Procedimiento de lavado para un aparato doméstico que lleva agua, particularmente un lavavajillas.
CN102149864B (zh) 用于加热护理衣物用的带水运行的家用器具的处理水的装置以及具有这种装置的家用器具
US2011008369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JP2009297356A (ja) 食器洗浄機
KR101361322B1 (ko) 식기세척기
JP6577779B2 (ja) 洗浄機
KR101488322B1 (ko) 식기세척기의 온수공급장치
US10758108B2 (en) Heating assembly for a washing appliance
AU2009273323B2 (en) Rinsing method for a water-conveying domestic appliance
JP5221974B2 (ja) 給湯システム
KR101974560B1 (ko) 스팀 식기세척기
US10820782B2 (en) Heating assembly for a washing appliance
US10820781B2 (en) Heating assembly for a washing appliance
CN209840764U (zh) 洗碗机热量回收装置及洗碗机
CN102076257B (zh) 一种操作载水家用电器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