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6553B1 - 유아용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553B1
KR101466553B1 KR1020130155428A KR20130155428A KR101466553B1 KR 101466553 B1 KR101466553 B1 KR 101466553B1 KR 1020130155428 A KR1020130155428 A KR 1020130155428A KR 20130155428 A KR20130155428 A KR 20130155428A KR 101466553 B1 KR101466553 B1 KR 10146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ontainer
disk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주)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영 filed Critical (주)미영
Priority to PCT/KR2013/0116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16436A1/ko
Priority to US14/786,694 priority patent/US20160083154A1/en
Priority to JP2016508850A priority patent/JP6114465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5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는 음료를 담는 용기 및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유아용 음료용기에 있어서, 뚜껑은,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본체부; 본체부에 결합되어 빨대를 꽂을 수 있는 빨대꽂이부; 및 빨대꽂이부를 본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빨대꽂이부의 하측에서 본체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용기에 담긴 음료를 먹을 때 음료가 용기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빨대를 이용해 용기에 담긴 음료를 먹을 수 있고, 세척을 위해 부품의 분리가 가능하며, 장기간 반복적인 사용에도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음료용기{BEVERAGE RECEPTACLE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기들이 물, 우유, 주스 등의 음료를 용기에 담아 먹을 때 음료가 쏟아지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신체적 발육이 완성되지 않아 거동이 자유롭지 못하다. 유아에게 물, 우유, 주스 등의 음료를 컵 등에 담아주면 먹다가 흘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옷이나 주변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66728호 ‘유아용 다용도 컵’은 뚜껑부의 나팔꼭지 및 그 나팔꼭지의 구멍에 형성된 덮개 막의 구성으로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16126호 '스트로우 및 이 스트로우가 구비된 기밀 음료용기'는 음료용기의 내용물을 스트로우에 의해 원하는 양만큼 마신 후 스트로우를 절첩시켜 고정하므로써, 용기에 남아있는 음료를 기밀되게 보관할 수 있는 스트로우가 구비된 기밀 음료용기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129032호 '유아용 컵'은 유출공에 삽입되는 빨대는 보조마개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돌기를 통해 그 상단히 항시 물린 상태로 보관되게 하고, 보조마개의 외주연에 형성된 환형돌기는 접촉되는 유출공의 외주연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유출공으로 음료가 유출되지 않게 하는 유아용 컵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은 뚜껑이 부착된 용기는 개구부가 너무 넓으므로 유아가 빨대를 사용하지 않고 취식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흘러나와 쏟아지는 것이 문제점이 있었고, 빨대를 사용하여 취식하는 경우에도 빨대를 꽂은 부위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내용물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용기에 담긴 음료를 먹을 때 음료가 용기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둘째, 다양한 종류의 빨대를 이용해 용기에 담긴 음료를 먹을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셋째, 세척을 위해 부품의 분리가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넷째, 장기간 반복적인 사용에도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음료를 담는 용기 및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유아용 음료용기에 있어서, 음료를 담는 용기 및 상기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유아용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빨대를 꽂을 수 있는 빨대꽂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빨대꽂이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빨대꽂이부의 하측에서 본체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 주위에 장착부가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 하부에는 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빨대꽂이부는 상기 장착부의 걸림턱에 끼워져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 주위에 장착부가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외주면 상부에는 고정홈이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착부를 감싸는 형태로서 빨대가 통과할 수 있는 제3통공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턱이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빨대꽂이부는,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는 연질의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재는 제2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막에는 빨대가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빨대꽂이부는, 상기 빨대가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주변에 신축성을 갖는 가요부가 형성된 제1디스크와, 상기 제1디스크에 중첩되며, 상기 빨대가 통과되며, 빨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씰에 절개부가 형성된 제2디스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는 연결부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접히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제1디스크는 용기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기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기공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제1디스크는 하단 둘레를 따라 제1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1디스크와 상기 제2디스크 사이의 가장자리는 밀폐되고 중앙부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단턱의 폭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 2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디스크와 상기 제2디스크 사이의 가장자리는 밀폐되고 중앙부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제2디스크는 상기 기공이 맞닿는 곳의 가장자리 외측을 절반정도 감싸며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제1디스크는 상면에 제1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르면, 상기 제2디스크는 하단 둘레를 따라 제2단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는 용기의 뚜껑에 본체부, 빨대꽂이부 및 고정부를 포함하므로, 용기에 담긴 음료를 먹을 때 음료가 용기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빨대를 이용해 용기에 담긴 음료를 먹을 수 있고, 세척을 위해 부품의 분리가 가능하며, 장기간 반복적인 사용에도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뚜껑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뚜껑의 분리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뚜껑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빨대꽂이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에 빨대를 꽂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에 빨대를 꽂은 부분단면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빨대꽂이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빨대꽂이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빨대꽂이부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제1디스크와 제2디스크가 중첩된 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분리 상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에 빨대를 꽂은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는 음료를 담는 용기(10) 및 상기 용기(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100)을 포함하는 유아용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은,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10)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본체부(120);
상기 본체부(120)에 결합되어 빨대(20)를 꽂을 수 있는 빨대꽂이부(140); 및
상기 빨대꽂이부(140)를 상기 본체부(1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빨대꽂이부(140)의 하측에서 본체부(120)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0)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본체부(120), 빨대꽂이부(140), 고정부(160) 순으로 결합된다.
상기 본체부(120)는, 용기(10)의 상측 개구부를 대부분 밀폐하는 부분으로서, 상하를 관통하는 제1통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122) 주위에 장착부(124)가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24)는 상기 본체부(120)의 하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직경이 상기 제1통공(122)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124)의 내주면 하부에는 걸림턱(126)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장착부(124)의 외주면 상부에는 고정홈(128)이 내측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빨대꽂이부(140)는 상기 장착부(124)의 걸림턱(126)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124)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160)는, 측면에서 본 단면이 대략 ‘┗┛’형상이며, 상기 장착부(124)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서 빨대(20)가 통과할 수 있는 제3통공(164)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124)의 고정홈(128)에 결합되는 고정턱(162)이 상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장착부(124)에 억지끼움된다.
즉, 상기 빨대꽂이부(140)는 상기 장착부(124)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되지만, 상기 고정부(160)가 이중으로 빨대꽂이부(140)를 고정하여 장착부(1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빨대꽂이부(140)는, 원판 형상의 제1디스크(141) 및 제2디스크(145)를 포함하고, 상기 제1디스크(141)는 중심부에 연질의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2디스크(145)는 중심부에 제2통공(148)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막에는 빨대(20)가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14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144)는 빨대(20)가 통과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두 개 이상의 절개선이 교차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제2디스크(145)는, 용기(10)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기공(147)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기공(147)은 빨대(20)를 이용해 용기(10) 내부의 음료를 마실 때 용기(10)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들어가서 음료를 빨아들이기 쉽게 한다. 즉, 상기 기공(147)은 상기 빨대꽂이부(140)에 빨대(20)를 꽂을 경우 상기 제3통공(164)과 절개부(144) 사이의 틈을 연결하여 용기(10) 외부와 내부의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공(147)은 공기는 흐르되 음료는 용기(10) 외부로 잘 배출되지 않도록 작은 직경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제1디스크(141) 및 제2디스크(145)는 연결부(149)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149)를 중심으로 접히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49)에 의해 제1디스크(141)와 제2디스크(145)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124)의 일측은 상기 연결부(149)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1디스크(141)와 제2디스크(145)는 위치가 서로 바뀌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디스크(141)가 아래에 위치하고 제2디스크(145)가 제1디스크(141) 위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부(124)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뚜껑(100)은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본체부(120), 빨대꽂이부(140), 고정부 순으로 결합되는데, 빨대(20)는 제1통공(122), 절개부(144), 제2통공(148), 제3통공(164) 순으로 뚜껑(100)을 통과하여 용기(1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20), 빨대꽂이부(140), 고정부에는 결합시에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용홈과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빨대꽂이부(140)의 제1디스크(141)는 상면에 제1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2수용홈(142)이 형성되며, 제2디스크(145)는 상면에 상기 제2수용홈(142)에 수용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제3수용홈(1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면(장착부(124) 내부)에 상기 제1돌출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12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제3통공(164) 주위로 상기 제3수용홈(150)에 수용되는 제3돌출부가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1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용기(1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100)에 의해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일차적으로 방지된다. 그리고 빨대꽂이부(140)의 절개부(144)는 빨대(20)를 꽂지 않은 경우 용기(10)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게 되고 빨대(20)를 꽂을 경우에는 용기(10) 내측으로 휘어지며 빨대(20)를 감싸게 된다. 이때 기공(147)을 통해서 공기가 용기(10) 외부와 내부를 통하게 되므로 빨대(20)를 이용해 음료를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르면, 도 10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에는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본체부(220), 빨대꽂이부(240), 고정부(290)순으로 결합된다.
상기 본체부(220)은, 용기(10)의 상측 개구부를 대부분 밀폐하는 부분으로서, 상하를 관통하는 제1통공(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222)에는 하향돌출부(223)가 제1통공(222)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하향돌출부(223)는 외주면에 제1수용홈(229)이 형성되어 후술된 빨대꽂이부(240)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하향돌출부(223)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장착부(224)가 하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24)는 상기 본체부(220)의 하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후술될 연결부(249)를 끼우기 위하여 원통형의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장착부(224)에는 고정부(290)가 결합되게 되는데, 이 고정부(290)는 측면에서 본 단면이 대략 ‘┗┛’형상이며, 상기 장착부(224)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서 빨대(20)가 통과할 수 있는 제3통공(294)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224)의 고정홈(228)에 결합되는 고정턱(292)이 상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224)에 억지끼움된다. 상기 장착부(224)와 상기 고정부(290)가 결합되었을 때, 장착부(224)와 고정부(290)의 내주면의 높이 차이는 빨대꽂이부(240)의 높이와 유사하여, 상기 장착부(224)와 고정부(290)이 결합된 사이로 상기 빨대꽂이부(240)가 위치하게 된다.
전술된 빨대꽂이부(240)는,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크(241)와 제2디스크(245)와 연결부(249)로 구성되는데, 이중 제1디스크(241)는, 빨대꽂이부(240)가 뚜껑(200)에 결합 될때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직경이 일반 빨대(20)보다 크게 형성된 원반 형태를 가지며 연질의 소재이다. 상기 연질의 소재로는 신축성와 밀폐력을 동시에 갖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다.
전술된 제1디스크(241)의 중앙에는 제2통공(248)이 형성되는데, 이 제2통공(248)을 통하여 빨대(20)가 꽂히게 되고, 상기 제2통공(248)은 빨대(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은 가지고 형성된다.
전술된 제2통공(248)의 주변에는 가요부(261)가 형성되는데, 이 가요부(261)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그로인해 빨대(20)의 직경보다 작은 상기 제2통공(248)으로 빨대가 꽂아지더라도 가요부(261)의 신축성으로 인해 상기 제2통공(248)이 확장되게 되고, 상기 가요부(261)는 부드럽게 빨대가 꽂히는 방향으로 휘면서 상기 빨대(20)의 외주부에 밀착되어 빨때(20) 주위를 밀폐하게 된다.
제2디스크(245)는, 빨대꽂이부(240)가 뚜껑(200)에 결합 될때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전술된 제1디스크(241)와 상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반형태로 형성되며 연질의 소재이다. 상기 제2디스크(245)는 제1디스크(241)와 같이 상기 연질의 소재로는 신축성과 밀폐력을 갖는 실리콘과 같은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다.
전술된 제2디스크(245)에는 중앙부에 씰(271)이 형성되는데, 이 씰(271)은 제1디스크(241)의 가요부(261)처럼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디스크(241)의 가요부(261)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는 상기 가요부(261)는 빨대(20)의 직경보다 작은 제2통공(248)이 형성되기 때문에 빨대(20)가 통과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신축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전술된 씰(271)에는 절개부(244)가 형성되는데, 이 절개부(244)는 제2디스크(245)의 중앙으로부터 빨대의 직경 정도까지 형성되며, 2개의 직선이 십(十)자로 교차하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하여 빨때(20)가 꽂아지면 절개된 씰(271)이 유연하게 아래로 휘어지게 되며 빨대(20)의 외주부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빨대꽂이부(240)에 빨대(20)가 꽂히게 될때에는 제1디스크(241)에 형성된 제2통공(248)을 먼저 통과하여 빨대(20)의 외주부가 밀폐되게 되고, 그 후 제2디스크(245)에 형성된 절개부(244)를 통과하면서 밀폐력을 향상시키고 빨대(20)를 단단하게 결속하게 되어, 본체부(220)에 결합되었을때, 빨대(20)를 꽂게 되더라도 빨대(20) 주위로 음료가 새어나오지 않는것이다. 하지만 빨대(20)를 제외한 모든 공간이 밀폐되게 되면 빨대(20)로 음료를 빨게될 경우, 공기의 이동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대기압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음료를 마시기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전술한 제1디스크(241)에는 기공(247)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 기공(247)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미세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로인해 빨대(20)로 음료를 흡입할 때 상기 기공(247)을 통하여 공기가 용기(10) 내로 들어오게 되어 기압차를 발생시키고, 사용자는 손쉽게 음료를 빨대(20)로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공(247)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직경이 크고 하부의 직경이 작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부를 통해 공기는 흡입하되, 용기(10) 내에 저장된 음료가 기공(247)을 통해 새어 나가지 않기 위함이다.
전술한 제1디스크(241)와 제2디스크(245)는 연결부(249)로 연결되게 된다. 이 연결부(249)는 제1디스크(241)와 제2디스크(245)를 중첩 결합시키기 위하여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제1디스크(241)와 제2디스크(245)의 일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49)의 중간부에는 홈부(250)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249)가 반으로 손쉽게 접힐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2에 따르면, 상기 기공(247)을 통하여 용기(10) 내의 물은 새어 나가지 못하고, 사용자가 빨대(20)로 음료를 빨아 마실때 공기를 용기(10) 내로 출입시기키 위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디스크(241)와 상기 제2디스크(245)가 중첩될 때, 그 둘레는 밀폐되어 결합되고, 그 중앙부는 공간(v)을 형성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디스크(241)와 상기 제2디스크(245) 사이의 둘레는 밀폐시키고 중앙부는 공간(v)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디스크(241)의 하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1단턱(263)이 형성된다.
또한 전술된 제1단턱(263)의 밀폐력을 더 강화하기 위하여 제2디스크(245)의 상부면에는 제1단턱(263)의 폭만큼 외경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246)가 형성된다. 상기 제1단턱(263)과 상기 제2돌출부(246)는 모두 단면이 사각져 형성되며, 톱니가 맞물리듯이 상기 제1단턱(263) 내부에 상기 제2돌출부(246)가 맞물려 결합되어 밀폐력이 향상된다.
전술된 제2디스크(245)의 상부면에는 제2돌출부(246)로부터 연장된 호형돌출부(275)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형돌출부(275)는 제1디스크(241)에 형성된 기공(247)의 외주를 절반정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공기는 기공(247)을 통하여 출입하고, 용기(10) 내에 저장된 음료는 최대한 기공(247)을 통해 새어나가지 않도록 접촉면적을 줄이는 것이다.
전술된 제1디스크(241)의 상면에는 제1돌출부(24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제1돌출부(243)는 빨대꽂이부(240)가 뚜껑(200)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예컨데 도 16와 같이 용기(10)의 제1통공(222) 외주면의 형태에 맞도록 제1디스크(241)의 가장자리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원주를 따라 형성되며 단면이 네모진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의 형태에 따라 제1돌출부(243)의 형태는 유동적으로 그 모양이 변할 수 있다.
전술된 제2디스크(245)의 하단에는 제2단턱(27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전술된 제1돌출부(243)와 마찬가지로, 빨대꽂이부(240)가 뚜껑(200)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예컨데 도 16와 같이, 하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단면이 네모진 형태로 돌출되어 용기(10)에 형성되는 고정부(29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의 형태에 따라 제2단턱(273)의 형태는 유동적으로 그 모양이 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르면 빨대꽂이부(240)에 빨대(20)가 꽂혀지더라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크(241)의 가요부(261)에 의해 빨대(20)의 외주부가 밀폐되게 되며, 제2디스크(245)의 씰에 의해 다시한번 밀폐력을 강화하게 되고, 또한 빨대(2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사용자가 용기(10)에 설치된 본 발명에 꽂힌 빨대(20)로 음료를 빨아먹게 될 경우에는 제1디스크(241)에 형성된 기공(247)에 의해 공기가 출입하므로 기압차가 발생하여 편안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상기 기공(247)은 미세한 크기를 갖고 주위에 호형돌출부(275)가 형성됨으로써 용기(10) 내부의 음료는 외부로 거의 새어 나오지 않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라 빨대꽂이부(240)에 빨대(20)가 꽂혀진 상태로 용기(10)를 기울이더라도. 빨대(20)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수밀성을 가져 물이 새지 않으며, 빨대(20) 내부에는 대기압이 작용하여 물이 새어나오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는 용기(10)의 뚜껑(100)에 본체부(120), 빨대꽂이부(140) 및 고정부를 포함하므로, 용기(10)에 담긴 음료를 먹을 때 음료가 용기(10)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빨대(20)를 이용해 용기(10)에 담긴 음료를 먹을 수 있고, 세척을 위해 부품의 분리가 가능하며, 장기간 반복적인 사용에도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음료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용기 20 : 빨대
100 : 뚜껑 120 : 본체부
122 : 제1통공 124 : 장착부
126 : 걸림턱 128 : 고정홈
129 : 제1수용홈 140 : 빨대꽂이부
141 : 제1디스크 142 : 제2수용홈
143 : 제1돌출부 144 : 절개부
145 : 제2디스크 146 : 제2돌출부
147 : 기공 148 : 제2통공
149 : 연결부 150 : 제3수용홈
160 : 고정부 162 : 고정턱
164 : 제3통공 166 : 제3돌출부
200 : 뚜껑 220 : 본체부
222 : 제1통공 224 : 장착부
228 : 고정홈 229 : 제1수용홈
240 : 빨대꽂이부 241 : 제1디스크
243 : 제1돌출부 244 : 절개부
245 : 제2디스크 246 : 제2돌출부
247 : 기공 248 : 제2통공
249 : 연결부 261 : 가요부
263 : 제1단턱 271 : 씰
273 : 제2단턱 275 : 호형돌출부
290 : 고정부 292 : 고정턱
294 : 제3통공 296 : 제3돌출부
250 : 홈부 v : 공간
223 : 하향돌출부

Claims (14)

  1. 음료를 담는 용기(10) 및 상기 용기(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100, 200)을 포함하는 유아용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 200)은,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10)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본체부(120, 220);
    상기 본체부(120, 220)에 결합되어 빨대를 꽂을 수 있는 빨대꽂이부(140, 240);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꽂이부(140)는, 제1디스크(141) 및 제2디스크(145)를 포함하고, 상기 제1디스크(141)는 연질의 차단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2디스크(145)는 제2통공(148)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막에는 빨대가 통과할 수 있는 절개부(1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꽂이부(140, 240)를 상기 본체부(120, 22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빨대꽂이부(140, 240)의 하측에서 본체부(120, 220)에 결합되는 고정부(160, 2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20)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통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120) 주위에 장착부(124)가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24)의 내주면 하부에는 걸림턱(126)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빨대꽂이부(140)는 상기 장착부(124)의 걸림턱(126)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20)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통공(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222) 주위에 장착부(224)가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장착부(224)의 외주면 상부에는 고정홈이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90)는, 상기 장착부(224)를 감싸는 형태로서 빨대가 통과할 수 있는 제3통공(294)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5. 삭제
  6. 음료를 담는 용기(10) 및 상기 용기(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200)을 포함하는 유아용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은,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10)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는 본체부(220);
    상기 본체부(220)에 결합되어 빨대를 꽂을 수 있는 빨대꽂이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꽂이부(240)는, 상기 빨대가 통과되는 제2통공(248)이 형성되며, 상기 제2통공(248)의 주변에 신축성을 갖는 가요부(261)가 형성된 제1디스크(241)와,
    상기 제1디스크(241)에 중첩되며, 상기 빨대가 통과되며, 빨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씰(271)에 절개부(244)가 형성된 제2디스크(2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7. 제1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141, 241) 및 제2디스크(145, 245)는 연결부(149, 249)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149, 249)를 중심으로 접히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8. 제1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141, 241)는 용기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기공(147, 247)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147, 247)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241)는 하단 둘레를 따라 제1단턱(263)이 형성되어 상기 제1디스크(241)와 상기 제2디스크(245) 사이의 가장자리는 밀폐되고 중앙부는 공간(V)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크(245)는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단턱(263)의 폭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 2돌출부(246)가 형성되어 상기 제1디스크(241)와 상기 제2디스크 (245)사이의 가장자리는 밀폐되고 중앙부는 공간(V)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크(245)는 상기 기공(247)이 맞닿는 곳의 가장자리 외측을 절반정도 감싸며 상기 제2돌출부(246)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호형돌출부(27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241)는 상면에 제1돌출부(2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디스크(245)는 하단 둘레를 따라 제2단턱(27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음료용기.
KR1020130155428A 2013-08-01 2013-12-13 유아용 음료용기 Active KR101466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11619 WO2015016436A1 (ko) 2013-08-01 2013-12-13 유아용 음료용기
US14/786,694 US20160083154A1 (en) 2013-08-01 2013-12-13 Beverage container for child
JP2016508850A JP6114465B2 (ja) 2013-08-01 2013-12-13 幼児用飲料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453 2013-08-01
KR20130091453 2013-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553B1 true KR101466553B1 (ko) 2014-11-28

Family

ID=5229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428A Active KR101466553B1 (ko) 2013-08-01 2013-12-13 유아용 음료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83154A1 (ko)
JP (1) JP6114465B2 (ko)
KR (1) KR101466553B1 (ko)
WO (1) WO2015016436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72Y1 (ko) 2013-12-13 2015-04-10 김종석 수밀성을 갖는 밀봉장치
KR200480487Y1 (ko) * 2014-12-05 2016-05-31 신예현 보관 용기
KR200480691Y1 (ko) * 2015-05-28 2016-06-24 김현순 빨대 지지부가 구비된 텀블러
KR20200000153U (ko)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아이엔피 유아용 빨대 컵
KR20200033447A (ko) * 2018-09-20 2020-03-30 정효경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KR102139906B1 (ko) * 2019-10-29 2020-07-30 김하진 탈착식 향 배출튜브가 구비된 전자향로
KR102162890B1 (ko) 2020-02-05 2020-10-07 주식회사 아이엔피 빨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빨대컵
KR20240165549A (ko) * 2023-05-16 2024-11-25 최준혁 유아용 다용도 빨대컵
KR20250081216A (ko) 2023-11-29 2025-06-05 윤혜정 전기 훈향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3463A (zh) * 2018-03-15 2018-07-24 陈夏风 一种奶粉存储格
TWI709401B (zh) * 2019-12-11 2020-11-11 鴻聚科技股份有限公司 嬰幼兒學習擷取水分的手持裝置
USD951024S1 (en) * 2020-06-05 2022-05-10 Fourstar Group Inc. Cup
AU2022205619B2 (en) 2021-01-08 2024-09-12 Yeti Coolers, Llc Li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USD1031365S1 (en) * 2021-10-20 2024-06-18 Eazy-Pz Llc Toddler's drinking cup lid
USD1082422S1 (en) * 2024-10-21 2025-07-08 Qingqing Song Cup cov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785B2 (ko) * 1985-10-04 1993-12-24 Abbott Lab
JP5088785B2 (ja) * 2007-11-30 2012-12-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飲料容器
KR200466313Y1 (ko) * 2013-02-01 2013-04-08 김광현 멀티 빨대 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877A (ja) * 1983-01-18 1984-08-01 Terumo Corp 弁体
JP2001187110A (ja) * 1999-10-20 2001-07-10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薬剤容器
JP3088853U (ja) * 2002-03-26 2002-10-04 ニッスイ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ー付き飲料容器
US20050167438A1 (en) * 2004-02-02 2005-08-04 Max Minyayev Secure spill-proof configuration for child training cup
KR20110000821U (ko) * 2009-07-17 2011-01-25 조문식 빨대가 구비된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8785B2 (ko) * 1985-10-04 1993-12-24 Abbott Lab
JP5088785B2 (ja) * 2007-11-30 2012-12-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飲料容器
KR200466313Y1 (ko) * 2013-02-01 2013-04-08 김광현 멀티 빨대 컵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72Y1 (ko) 2013-12-13 2015-04-10 김종석 수밀성을 갖는 밀봉장치
KR200480487Y1 (ko) * 2014-12-05 2016-05-31 신예현 보관 용기
KR200480691Y1 (ko) * 2015-05-28 2016-06-24 김현순 빨대 지지부가 구비된 텀블러
KR20200000153U (ko)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아이엔피 유아용 빨대 컵
KR20200033447A (ko) * 2018-09-20 2020-03-30 정효경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KR102146805B1 (ko) * 2018-09-20 2020-08-21 정효경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KR102139906B1 (ko) * 2019-10-29 2020-07-30 김하진 탈착식 향 배출튜브가 구비된 전자향로
KR102162890B1 (ko) 2020-02-05 2020-10-07 주식회사 아이엔피 빨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빨대컵
KR20240165549A (ko) * 2023-05-16 2024-11-25 최준혁 유아용 다용도 빨대컵
KR102775417B1 (ko) 2023-05-16 2025-02-28 최준혁 유아용 다용도 빨대컵
KR20250081216A (ko) 2023-11-29 2025-06-05 윤혜정 전기 훈향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14465B2 (ja) 2017-04-12
WO2015016436A1 (ko) 2015-02-05
US20160083154A1 (en) 2016-03-24
JP2016515503A (ja)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553B1 (ko) 유아용 음료용기
ES2681441T3 (es) Contenedor resellable con collar y tapa
US8091730B2 (en) Readily cleanable spill-resistant drinking vessel and valve
JP4809910B2 (ja) 飲料用容器
US20040256345A1 (en) Single use recyclable infant feeding bottle
JP5379306B2 (ja) こぼれ防止機能付き乳児用哺乳瓶の閉止システム
KR101485171B1 (ko) 빨대삽입밸브를 구비하는 빨대컵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KR102687219B1 (ko) 실리콘 식품 및 음료 저장 용기들
US20100294772A1 (en) Closures
US20030085232A1 (en)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KR20100017415A (ko) 아동용 음료병 또는 아동용 음료컵용의 마개 시스템
CN110710849A (zh) 婴儿吸管杯
KR20070011385A (ko) 음료 용기용 배출 장치와, 음료 용기 및 그의 형성 방법
US10654627B2 (en) Spill-proof lid for container
KR20130030192A (ko) 교체가능한 실리콘 내피를 구비하는 다중구조 음료병
CN103781706B (zh) 一次性奶瓶套件
KR200476872Y1 (ko) 수밀성을 갖는 밀봉장치
ES2746563T3 (es) Tapa de plástico superior abatible
US10426280B2 (en) Multifunctional universal silicon spout adaptor for drinking vessels
KR20170002104U (ko) 밸브패킹을 구비한 물병
US20100051630A1 (en) Children's disposable drinking cap
JP6108777B2 (ja) 乳幼児用飲料容器
KR200474741Y1 (ko) 유아용 컵뚜껑
US20130048595A1 (en) Universal standard teat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