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524B1 - Wheel-axle set active steering equipment for railway vehicle - Google Patents
Wheel-axle set active steering equipment for railway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5524B1 KR101465524B1 KR1020130066051A KR20130066051A KR101465524B1 KR 101465524 B1 KR101465524 B1 KR 101465524B1 KR 1020130066051 A KR1020130066051 A KR 1020130066051A KR 20130066051 A KR20130066051 A KR 20130066051A KR 101465524 B1 KR101465524 B1 KR 1014655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aulic
- units
- driven
- hydraulic pressure
- mou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 B61F5/46—Adjustment controlled by a sliding axle under the same vehicle underfram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직선 및 곡선 선로 주행시 윤축 조향 성능을 향상시켜 차륜의 플랜지 마모를 저감은 물론 그에 따른 진동 저감 및 철도차량의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대차 프레임 상부의 폭 방향 양측에 상호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한 좌·우측 제 1 마운팅; 상기 제 1 마운팅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 위치에 있는 차체 하부에 폭 방향 양측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한 좌·우측 제 2 마운팅; 양단이 전후 배치의 상기 제 1, 2 마운팅에 각각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2 마운팅 사이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여 신축 구동하는 좌·우측 구동유닛; 및 대차 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단부가 대응하는 윤축의 저널 박스에 링크로 연결되며, 상기 좌·우측 구동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신축 구동하는 좌·우측 종동유닛;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차체와 대차 사이의 비틀림 변화에 따라 대차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서 윤축 간 간격이 변화하여 곡선 구간의 곡률에 대응하는 조향이 실현되고, 좌측과 우측의 구동유닛 간의 유압 밸런스가 유지됨에 의해 직진의 안전성까지도 확보되고,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동력 소모의 방지와 제어에 따른 부수장치가 필요치 않아 비용 절감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axle steering apparatus for a railway vehicle, which improves the steering performance of the axle when running on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line of a railway vehicle, thereby reducing flange wear of the wheel and thereby ensuring vibration reduction and running stability of the railway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first mounting portions are provided 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uck frame at mutually spaced intervals; A left and a right second mounting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t the front or rear position from the first mounting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n both sides; Right and left drive unit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ounts at both ends by a hinge to expand and contract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s; And left and right driven unit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and connected to the journal box of the corresponding wheel axis by a link and extending and driven to receive power from the left and right drive units.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axles of the wheels changes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gie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twist change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bogie, so that the steering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bogie section is realized and the hydraulic bal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drive units is maintained The safety of the straight running is ensured. In this process,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is prevented and an auxiliary device for control is not required, so that cost reduction and maintenance are easy.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철도차량의 직선 및 곡선 선로 주행시 윤축 조향 성능을 향상시켜 차륜의 플랜지 마모를 저감은 물론 그에 따른 진동 저감 및 철도차량의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axle steering apparatus for a railway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flange wear of a wheel by improving steering shaft steering performance when traveling on a straight line or curved line of a railway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axle steering apparatus for a railway vehicle.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대차는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각 차륜에 차체의 중량을 고르게 분산시키며, 차체와 궤조 사이에서 방향 전환이 유연한 상태로 있어 철도차량의 주행을 원활하도록 기능 한다.Generally, a truck of a railway vehicle supports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distributes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evenly to each wheel, and smoothly changes the direction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railway, thereby facilitating the running of the railway vehicle.
종래의 대차는 철도차량의 곡선주행시에 차륜과 레일 간에 발생하는 원심력과 하중을 완화시키기 위한 조향 성능이 충분하지 못하여 차륜의 플랜지와 레일 측면간의 마찰로 높은 소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진동이 수반되면서 승객이 느끼는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 bogies have insufficient steering performance for relieving centrifugal force and load generated between a wheel and a rail at the time of curved running of a railway vehicle, resulting in high nois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flange and the rail side of the whe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eel of ride is lowered.
또한 차륜의 플랜지와 레일 측면간의 마찰은, 차륜과 레일의 마모 내지 파손 및 철도차량의 탈선으로 확대될 수 있어 경제적 손실을 물론 대형사고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으며, 다양한 레일의 곡선 반경과 철도차량의 속도에 대응하여 조향성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friction between the flange of the wheel and the side of the rail can be widened due to wear and tear of the wheel and the rail and derailment of the railway vehicle. Therefore, the risk of large accident as well as economic loss is inherent. There is a limitation in exercising the steering performance in response to the speed.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4157호("철도차량용 조향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Among the efforts to remedy this problem, Korea Patent No. 1084157 ("steering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s ";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 has been disclosed.
위의 선행기술에 의하면, 윤축 조향을 위한 많은 센서와 컨트롤 구성 추가 및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른 추가적인 동력 소모가 요구되어 제조 및 유지관리 차원에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cost and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s increase due to the addition of many sensors and control components for steering the shaft, and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due to driving of the actuator.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운행 과정에서 차체와 대차 사이의 비틀림 변위 변화에 따라 좌측과 우측에서의 윤축 간의 간격 변화를 유도하여 차륜의 플랜지와 레일의 마모 저감은 물론 조향과 직진의 안전성을 확보토록 하고,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동력 소모의 방지와 제어에 따른 부수장치의 배제를 통해 비용 절감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variation in a distance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vehicle, This system is designed to reduce the wear of flanges and rails of wheels and to ensure the safety of steering and straight ahead. In this process,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to eliminate costly accessories and maintenance, And to provide an active axle steering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의 구성은, 대차 프레임 상부의 폭 방향 양측에 상호 간격을 두고 각각 구비되는 좌·우측 제 1 마운팅과; 상기 제 1 마운팅의 수직 위치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차체 하부에 폭 방향 양측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좌·우측 제 2 마운팅과; 양단이 전후 배치의 상기 제 1, 2 마운팅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 1, 2 마운팅 사이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여 신축 구동하는 좌·우측 구동유닛; 및 대차 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구동유닛에 각각 대응 연결되어 연동하여 신축 구동하는 좌·우측 종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차 프레임과 차체가 상호 틀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좌·우측 구동유닛의 신축 구동량 차이로 연동하는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의 신축 구동량을 조절하여 상기 대차 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전후 배치의 윤축 사이 간격을 조절하게 한 것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tive axle steering apparatus for a railway vehicle, comprising: a left and right first mounting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a top of a truck frame, A left and a right second mounting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or rearward from a vertical position of the first mounting 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 left and right drive unit that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ounts at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arrangement to expand and contract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s; And left and right driven unit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and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drive units to expand and drive the bogie frame, The adjustment of the amount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linked with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ight drive unit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heels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gie frame.
또한, 상기 좌·우측 제 1 마운팅은 상기 대차 프레임의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상호 대칭인 위치에 고정 설치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mounting portions are fixed at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widthwise center of the bogie frame.
더불어 상기 구동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 1 마운팅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마운팅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 1, 마운팅 사이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는 신축 구동으로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drive unit is constituted by a hydraulic cylinder,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first mount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second mounting, and which generates hydraulic pressure by stretching and driving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the mounting .
한편, 상기 종동유닛은 상기 구동유닛과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하고, 상기 유압동기회로는 상기 좌·우측 구동유닛 각각의 유압 변화를 각각 대응 연결되는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에 전달하는 유압호스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유압호스에 상기 좌·우측 구동유닛 각각의 유압 변화를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에 대응하는 유압으로 변환하는 버퍼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iven unit is constituted by a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drive unit by a hydraulic pressure synchronous circuit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he hydraulic pressure synchronous circuit switches the hydraulic pressur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drive units to the corresponding left and right driven units And a buffer unit for converting a hydraulic pressure change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drive units into the hydraulic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to the hydraulic hose.
이에 더하여 상기 버퍼부에는 상기 유압동기회로 내의 유압이 이미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작용함에 대응하여 유체의 흐름을 유도 배출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한 바이패스부가 더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 unit further include a bypass unit including a check valve for inducing and discharging the flow of the fluid in response to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hydraulic pressure circuit operating in a range exceeding the predetermined range.
또한,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은, 양방향 유압실린더로 구성하고, 각각의 실린더는 그 길이 방향이 전·후 배치의 상기 저널 박스 사이에 놓이며, 각 방향 로드는 단부가 대응하는 상기 저널 박스에 연결토록 하며, 상기 좌측 구동유닛은 상기 우측 종동유닛과 유압동기회로로 연결하고, 상기 우측 구동유닛은 상기 좌측 종동유닛과 유압동기회로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are each constituted by a bi-directional hydraulic cylinder, and each of the cylinders is placed between the journal box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spective journal boxes, and each of the direction rods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journal box And the left drive unit is connected to the right driven unit via a hydraulic synchronous circuit, and the right drive unit is connected to the left driven unit via a hydraulic synchronous circuit.
그리고,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은, 상기 저널 박스 각각에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되는 일 방향 로드를 갖는 유압실린더이고, 전방의 상기 저널 박스에 대응 연결되는 것은 전방의 상기 저널 박스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진행 방향으로 설치되고, 후방의 상기 저널 박스에 대응 연결되는 것은 후방의 상기 저널 박스보다 전방 위치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진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측 구동유닛은 전후 배치의 상기 우측 종동유닛들에 대하여 분기된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되고, 상기 우측 구동유닛은 전후 배치의 상기 좌측 종동유닛들에 대하여 분기된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are hydraulic cylinders each having a unidirectional rod connected to each of the journal boxes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and corresponding to the journal box in front of the journal box, Wherein the left and right drive units are installed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frame and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the rear journal box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uck frame at a position ahead of the journal box in the rear, And the right drive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synchronous circuit branched to the left and right rear driven units.
또 다른 유형으로,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은, 상기 저널 박스 각각에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되는 일 방향 로드를 갖는 유압실린더이고, 전방의 상기 저널 박스에 대응 연결되는 것은 전방의 상기 저널 박스보다 더 전방 위치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진행 방향으로 설치되고, 후방의 상기 저널 박스에 대응 연결되는 것은 후방의 상기 저널 박스보다 더 후방 위치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진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측 구동유닛은 전후 배치의 상기 좌측 종동유닛들에 대하여 분기된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되고, 상기 우측 구동유닛은 전후 배치의 상기 우측 종동유닛들에 대하여 분기된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type, 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are hydraulic cylinders having unidirectional rods connect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to each of the journal boxes, and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the journal box in front of the journal box, And the left drive unit is install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journal box at a position further rearward than the rear journal box, And the right drive unit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pressure synchronous circuit branched to the right and left driven units.
더불어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들의 각 로드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저널 박스 사이에는 힌지 또는 볼조인트 및 이들의 조합의 연결로 이루어지는 링크를 더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ink between the respective rods of 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and the journal box corresponding thereto, the link comprising a hinge or a ball joint and a combination of these.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을 진입하는 과정에서 차체와 대차 사이의 비틀림 변화에 따라 좌측과 우측의 구동유닛의 신축 변위가 변화하고, 이와 연동하여 대차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 종동유닛이 대응하는 좌측과 우측의 윤축 간 간격을 변화시켜 곡선 주행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차륜의 플랜지와 레일의 마모 저감은 물론 조향과 직진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동력 소모의 방지와 제어에 따른 부수장치가 필요치 않아 비용 절감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eft and right drive units changes according to the twist change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truck during the course of entering the curved section of the railway car, So that the safety of the steering and the straight ahead is secured as well as the wear of the flange and the rail of the wheel is ensured. In addition, in this process, the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There is no need for an auxiliary device for prevention and control, which is advantageous in cost reduction and easy maintenance.
도 1은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대차와 차체 사이의 틀어짐 정도와 그에 따른 좌측과 우측 윤축의 간격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차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구동유닛의 설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동유닛과 그 설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배치 및 구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종동유닛과 그 설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구성으로부터 그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7은 버퍼부의 변형 실시 예와 그에 따른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
도 8은 버퍼부의 또 다른 변형 실시 예와 종동유닛의 변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계통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gree of deformation between a truck and a vehicle during a course of a railway vehicle passing through a curve section, and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wheelsets.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installation relationship of a drive unit installed on a bogi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rive unit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in Fig.
FIG.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active whisker steering apparatus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rrangement and a driving relationship of these configurations.
Fig.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en unit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of Fig. 4; Fig.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from the configuration of Fig. 4.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buffer unit and an operation configuration therefor.
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buffer unit and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driven unit.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그리고, 본 발명의 기재에 있어서, 좌측과 우측은 대차 프레임의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가리키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indicat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center of the bogie fram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일반적으로 대차는, 도 1 또는 도 2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레일(R)에 대하여 좌·우 양측과 전후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차륜(10)과, 차륜(10)을 지지하는 전·후방 윤축(12a, 12b) 및 각 윤축(12a, 12b)의 양단에 설치되는 저널박스(14)로부터 제 1 현가장치(S/S1)에 의해 지지되는 대차 프레임(16)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Generally, as shown in Fig. 1 or Fig. 2, the bogie generally includes a
또한, 대차 프레임(16) 상부에는 제 2 현가장치(S/S2)가 설치되고, 제 2 현가장치(S/S2)의 상부에는 차체(18)가 얹혀지고, 대차 프레임(16)과 차체(18)는 상호 동력전달 링크(도시 안됨) 또는 요댐퍼 등의 장치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A second suspension S / S2 is provided above the
상술한 구성 중 제 1, 2 현가장치(S/S1, S/S2)는, 레일(R)과 차륜(10) 사이의 진동을 흡수하며 차체(18)의 중량을 지지할 뿐 아니라 곡선구간에 따른 선회시나 급제동시를 포함하여 차체(18)의 상하 움직임 및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허용한다.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devices S / S1 and S / S2 amo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bsorb the vibration between the rail R and the
이러한 제 1, 2 현가장치(S/S1, S/S2)에 움직임 허용범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 구간을 진행할 때에 대차 프레임(16)의 길이 방향(T)과 차체(18)의 길이 방향(L)이 상호 틀어지게 한다.As shown in Fig. 1, the motion tolerance range for the first and second suspension devices S / S1 and S / S2 is set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 of the
이때 대차 프레임(16)의 길이 방향(T)과 차체(18)의 길이 방향(L)이 이루는 각도 변위(θ)는 레일(R)이 이루는 곡률(r)과 비례한다.The angular displacement θ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 of the
이러한 작용은 하나의 대차 프레임(16)에 있어서, 전방 윤축(12a)과 후방 윤축(12b) 상호 간의 각도 변위(θ/d)에서도 나타난다.This action is also exhibited in an angular displacement (? / D) between the front and
이것은 결국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대차 프레임(16)의 좌측과 우측의 각 위치에서 전후방 배치되는 차륜(10) 사이의 간격 변화(c/d, c/d')로 나타난다.(C / d, c / d ') between the
즉, 철도차량이 곡선 구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대차 프레임(16)과 차체(18) 사이의 상호 간의 틀어지는 각도 변위(θ)는, 대차 프레임(16)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방으로 배치된 윤축(12a, 12b) 단부 간의 간격 변화(c/d, c/d')와 비례관계에 있다.That is, the angular displacement (?) Between th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대차 프레임(16)과 차체(18)의 틀어지는 각도 변위(θ)를 이용하여 대차 프레임(16) 좌측과 우측의 전·후방 배치의 윤축(12a, 12b) 단부 간의 간격 변화(c/a > c/a')를 유도함으로써 윤축(12a, 12b)에 대한 조향을 실현하고, 이를 통해 차륜(10)의 플랜지(F) 부위 마모 방지와 그에 따른 진동과 소음을 줄이기 위해 착안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end portions of the front and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은, 대차 프레임(16)의 상부에 폭 방향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한 좌측와 우측으로 각각 동일한 간격(d = d') 배치로 제 1 마운팅(22a, 22b)을 구비하고, 제 1 마운팅(22a, 22b)의 수직 위치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차체(18) 하부에는 폭 방향 양측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좌·우측 제 2 마운팅(24a, 24b)을 각각 구비한다.The
즉, 좌측 제 1 마운팅(22a)과 좌측 제 2 마운팅(24a)은 대차 프레임(16)의 폭 방향 좌측에서 상호 전후방으로 배치를 이루고, 우측 제 1 마운팅(22b)과 우측 제 2 마운팅(24b)도 대차 프레임(16)의 폭 방향 우측에서 상호 전후방으로 배치를 이룬다.That is, the left first mounting 22a and the left
또한, 전후방으로 배치된 좌측 제 1, 2 마운팅(22a, 24a)에는 이들 사이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여 신축 구동하는 좌측 구동유닛(26a)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전후방 배치의 우측 제 1, 2 마운팅(22b, 24b)에는 좌측과 마찬가지로 이들 사이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여 신축 구동하는 우측 구동유닛(26b)의 설치가 이루어진다.The left and right mounting
여기서, 좌·우측 구동유닛(26a, 26b)은 각각 유압실린더로 구성하고, 이들 각 유압실린더의 설치는, 제 2 현가장치(S/S2)에 의한 대차 프레임(16)과 차체(18) 사이의 간격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각각 대응하는 제 1, 2 마운팅(22a, 22b, 24a, 24b)에 힌지(hinge:h) 연결로 이루어진다.Each of the left and
그리고, 대차 프레임(16)의 좌측에는, 좌측 또는 우측의 구동유닛(26a, 26b)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신축 구동하는 좌·우측 종동유닛(28a, 28b)이 각각 설치된다.Left and right driven
이러한 좌·우측 종동유닛(28a, 28b)은, 그 신축 구동하는 부위가 해당 위치에서의 전후방 배치를 이루는 저널 박스(14)에 각각 대응하게 연결되어 신축 구동으로부터 저널 박스(14)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어내거나 끌어당기는 기능을 한다.The left and right driven
즉, 좌·우측 구동유닛(22a, 22b)은 대차 프레임(16)과 차체(18)가 상호 틀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호 다른 신축 구동량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이것을 좌측 또는 우측에 대응 연결되는 종동유닛(28a, 28b)에 대한 동력으로 제공하고, 좌·우측 종동유닛(28a, 28b)은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신축 구동하여 대응 연결된 저널 박스(14)를 밀거나 당기는 것으로 윤축(12a, 12b)의 조향을 실현하게 된다.That is, the left and
여기서, 좌·우측 종동유닛(28a, 28b)은, 좌·우측 구동유닛(26a, 26)을 유압실린더로 구성함에 대응하여 이들과 유압동기회로(34)로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The left and right driven
또한, 좌·우측 종동유닛(28a, 28b)은,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로드(S/L)를 갖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하여 대차 프레임(16) 양측의 전후 배치를 이루는 저널 박스(14)들 사이에 연결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left and right driven
이때, 상술한 좌·우측 구동유닛(26a, 26b)과 좌·우측 종동유닛(28a, 28b) 사이의 동력 전달을 위한 연결관계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구동유닛(26a)은 우측의 종동유닛(28b)에 대하여 유압동기회로(34)로 연결하고, 우측 구동유닛(26b)은 좌측 종동유닛(28a)에 유압동기회로(34)로 연결하여, 좌측과 우측이 상호 엇갈리게 연결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relationship for transmitting the power between the left and
이러한 연결관계 구성은, 도 5의 계통도에서 표현되는 바와 같이, 양방향 로드(S/L)의 유압실린더를 각 로드(S/L) 방향이 상호 반대 방향에 있도록 일 방향 로드(S/L)를 갖는 유압실린더(28a', 28a", 28b', 28b") 두 개로 대체하고, 이들을 전후 배치의 두 개의 유압실린더(28a', 28a", 28b', 28b")에 대하여 동일한 압력이 분할되어 제공되게 유압동기회로(34')를 분기시켜 연결하는 것으로도 같은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Such a connection relationship may be achieved by providing a unidirectional rod (S / L) such that the hydraulic cylinders of the bidirectional rod (S / L) are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each rod (S / L) 28a ', 28b', 28b '', and the same pressure is divided and supplied to the two
이에 대하여 예시하자면,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철도차량이 우측으로 굽은 곡선구간을 진행할 때, 우측 구동유닛(26b)인 유압실린더는 우측의 제 1, 2 마운팅(22b, 24b) 사이의 간격(c/a')이 좁혀짐에 따라 압축되고, 이로부터 발생하여 높아진 유압은 좌측 종동유닛(28a, 28a', 28a")에 제공되어 대차 프레임(16) 좌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저널 박스(14) 사이 간격이 벌어지게 한다.1, when the railway vehicle travels in a curve section curved rightward, the hydraulic cylinder, which is the
이와 동시에 좌측 구동유닛(22a)인 유압실린더는 좌측의 제 1, 2 마운팅(22a, 24a) 사이의 간격(c/a)이 벌어짐에 따라 신장되고, 이로부터 그 내부의 낮아진 유압은 우측 종동유닛(28b, 28b', 28b")에 전달되어 대차 프레임(16) 우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저널 박스(14) 사이 간격을 좁히게 한다.At the same time, the hydraulic cylinder, which is the
이때, 구동유닛(26a, 26b)의 구동 대비 전후방 배치의 저널 박스(14) 사이의 간격 변화의 비율 즉, 전후방 윤축(12a, 12b) 상호 간의 각도에 따른 조향의 정확도가 요구된다.At this time, the accuracy of steering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change in interval between the
이러한 조향의 조절방법은, 우선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구동유닛(26a, 26b)과 종동유닛(28a, 28a', 28a", 28b, 28b', 28b")의 용량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구동유닛(26a, 26b)을 대차 프레임(16)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를 조절토록 하는 방법 및 이들 두 방법을 병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A method of adjusting this steering may be a method of adjusting the capacities of the
이들 방법 중 대차 프레임(16)의 중심에 대하여 구동유닛(26a, 26b)의 이격 거리 즉,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예를 들자면, 좌·우측 구동유닛(26a, 26b)들이 대차 프레임(16)의 폭 방향 중심으로 상호 근접할 경우, 이들 구동유닛(26a, 26b)들이 제공하는 유압의 크기가 작을 뿐 아니라 이들 상호 간의 유압 차이도 작게 나타난다.For example, the left and
반대로 좌·우측 구동유닛(26a, 26b)들이 각각 대차 프레임(16)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근접할 경우 즉, 상호 간의 간격이 멀어질 경우에는 구동유닛(26a, 26b)들이 제공하는 유압의 크기가 클 뿐 아니라 이들 상호 간의 유압 차이도 크게 나타나며, 이러한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종동유닛(28a, 28a', 28a", 28b, 28b', 28b")의 신축 구동량을 조절하여 전후방 윤축(12a, 12b) 상호 간의 각도 조절 즉, 조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ft and
도 7은 좌·우측 종동유닛(28a, 28b)을 일 방향 로드(S/L)를 갖는 복수의 유압실린더(28a', 28a", 28b', 28b")로 구성하되, 이들 각각은 전방에 위치한 저널 박스(14)에 대하여 그보다 더 전방 위치에 설치하고, 후방에 위치한 저널 박스(14)에 대하여 그보다 더 후방 위치에 설치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Fig. 7 shows that the left and right driven
이때에는, 좌측 구동유닛(26a)은 좌측의 전후방으로 배치된 종동유닛(28a', 28a")들에 대응하여 분기시킨 유압동기회로(34)로 연결하고, 우측 구동유닛(26b)은 우측의 전후방으로 배치된 종동유닛(28b', 28b")들에 대응하여 분기시킨 유압동기회로(34)를 통해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좌·우측 구동유닛(26a, 26b)의 구동에 따른 전후방 윤축(12a, 12b) 간의 각도 변위 조절 방법 중 바람직한 또 다른 방법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26a, 26b)으로부터 종동유닛(28a, 28b)으로 유압을 전달하는 유압동기회로(34)에 유량 또는 이를 포함한 유압을 조절토록 하는 통상의 유압제어장치를 포함한 버퍼부(36, 36', 36")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nother preferred method of adjusting the angular displacement between the front and
즉, 버퍼부(36, 36', 36")는 구동유닛(26a, 26b)의 구동에 따른 유압을 수렴하고, 이것을 대차 프레임(16)의 좌측과 우측에서 전후방 배치된 저널 박스(14) 간의 간격변화가 소망하는 간격을 이루도록 종동유닛(28a, 28)의 신축 구동량 조절 및 그 유압 전달 시간을 완만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at is, the
또한, 버퍼부(36, 36', 36")에는 순간적이며 과도한 유압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압동기회로(34) 내의 유체를 바이패스시키는 체크밸브(도시 안됨)를 포함한 바이패스부(38, 38', 38")가 더 구비된다.The
이러한 바이패스부(38, 38', 38")는 구동유닛(26a, 26b)으로부터 종동유닛(28a, 28b)에 전달되는 유압이 비정상적인 경우에 대응하여 유압동기회로(34)를 통한 유압의 전달을 바이패스시켜 차단함으로써 윤축(12a, 12b)이 차륜(10)의 플랜지(F)를 통한 자유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이에 대하여 예시하자면, 유압동기회로(34)에 의한 유압 전달 체계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포함하여 종동유닛(28a, 28b)의 과도한 신축 구동으로 차륜(10)의 플랜지(F) 부위가 레일(R) 측벽으로부터 저항을 받는 경우, 그 힘의 영향을 받는 바이패스부(38, 38', 38")는 유압동기회로(34) 내의 유체 이동을 바이패스시켜 해당 종동유닛(28a or 28b)의 신축 구동을 자유 상태에 있도록 한다.The flange F of the
이때, 좌·우측 종동유닛(28a, 28b)은 대차 프레임(16) 좌측 또는 우측에 있는 전후방 배치의 저널박스(14) 간격을 상호 상대적으로 구동하는 관계에 있으므로, 어느 일 측 종동유닛(28a or 28b)만의 신축 구동은 양측에서의 신축 구동에 비교하여 그 조향 성능이 저감되지만, 이는 차륜(10)의 플랜지(F)와 레일(R) 간의 마찰에 따른 기존의 조향 성능 보다는 조금은 더 낳은 조건을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left and right driven
상술한 유압동기회로(34)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구성은, 구동유닛(26a, 26b)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유압이 유압호스를 따라 버퍼부(38)에 전달되고, 버퍼부(38)에 의해 조절된 유압은 유압호스를 통해 진행하다가 유압호스의 끝단에서 분기되어 전후방 배치된 각 종동유닛(28a', 28a", 28b', 28b")에 대응하여 유압을 전달함에 따라 윤축(12a, 12b)에 대한 조향을 실현하도록 한 것이다.5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by the
또한, 도 6에 도시한 유압동기회로(34')는, 좌·우측 구동유닛(26a, 26b)의 구동에 따른 유압이 양방향 로드를 갖는 실린더 형태의 버퍼부(36')에 제공되고, 이 버퍼부(36')는 좌·우측 구동유닛(26a, 26b)의 유압 차이를 좌·우측 종동유닛(28a, 28b)의 그 신축 구동의 균형이 유지되게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The hydraulic pressure synchronizing circuit 34 'shown in Fig. 6 is provided in a cylinder-shaped buffer portion 36' having a bi-directional rod and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driving
이러한 구성은, 양방향 로드 형태의 것뿐 아니라 로터리 형식 등 통상의 유압조절장치를 접목하는 것으로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such a configuration may be achieved by combining a conventional hydraulic control device such as a rotary type as well as a bi-directional rod type.
여기서, 상술한 유압동기회로(3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26a, 26b)과 종동유닛(28a, 28b)의 용량 선택 또는 대차 프레임(16)의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한 구동유닛(26a, 26b) 상호 간의 간격 조절 등을 통해 윤축(12a, 12b) 조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경우, 유압동기회로(34)는 구동유닛(26a, 26b)과 종동유닛(28a, 28b) 사이의 유체 흐름을 단순히 전달하는 유압호스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4, the above-described hydraulic
또한, 상술한 도 4 내지 도 7의 연결관계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저널 박스(14)와 이에 대응하는 실린더 로드(S/L) 사이에는, 힌지 또는 볼조인트 및 이들의 조합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법의 링크(29)로 연결함이 바람직하다.4 to 7, a hinge or a ball join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provided between each
이러한 링크(29)의 연결은 제 1 현가장치(S/S1)에 따른 대차 프레임(16)과 저널 박스(14) 사이의 변위와 윤축(12a, 12b)과 함께 저널 박스(14)가 조향 방향으로의 틀어짐(tilting)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connection of the
그리고, 상술한 구성 중 좌·우측 제 1 마운팅(22a, 22b)을 대차 프레임(16)의 폭 방향 중심(C)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상호 대칭인 위치에 설치한 것은, 곡선 구간이 좌측으로 굽은 경우와 우측으로 굽은 경우에 대응하여 해당하는 좌측과 우측에서의 윤축(12a, 12b)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변화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left and right first mounting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구동유닛(26a, 26b)과 종동유닛(28a, 28b)을 유압실린더로 하여 설명한 것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 제시한 것이고, 전후 배치의 제 1, 2 마운팅(22a, 22b, 24a, 24b) 사이의 간격 변화 즉, 거리 변화를 전후 배치의 저널 박스(14) 사이의 거리 변화로 변환시키기 위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제 1 마운팅(22a, 22b)에 힌지를 대신하여 피니언(도시 안됨)을 구비한 회전축으로 대체하고, 제 1, 2 마운팅(22a, 22b, 24a, 24b) 사이에 래크(도시 안됨)를 설치하여, 이들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의 동력을 대차 프레임(16) 측부의 전후 방향 배치된 저널 박스(14) 사이에 기어박스와 더불어 래크와 피니언 또는 캠 및 토션 바 등의 구성을 이용한 연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regard, for example, the first mounting 22a, 22b is replaced by a rotary shaft with a pinion (not shown) instead of a hinge, and a rack (not show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22a, 22b, 24a, 24b The power of the rotating shaft which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space therebetween is provided between the gear box and the rack box and the pinion or the cam and the torsion bar (not shown) And the like.
그리고, 곡선 구간에서 차체의 쏠림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 1 마운팅(22a, 22b)은 대차 프레임(16)에 고정된 구성으로 하고, 제 2 마운팅(24a, 24b)은 차체(18)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고정과 슬라이딩 관계는 반대로 적용하여도 동일 내지 동일 범주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The
10: 차륜 12a, 12b: 윤축
14: 저널 박스 16 :대차 프레임
18: 차체 22a, 22b: 제 1 마운팅
24a, 24b: 제 2 마운팅 26a, 26b: 구동유닛
28a, 28a', 28a", 28b, 28b', 28b": 종동유닛
29: 링크 4: 유압동기회로
36, 36', 36": 버퍼부 38, 38', 38": 바이패스부10:
14: Journal box 16: Balance frame
18:
24a, 24b: second mounting 26a, 26b: drive unit
28a, 28a ', 28a ", 28b, 28b', 28b"
29: Link 4: Hydraulic synchronous circuit
36, 36 ', 36 ":
Claims (12)
상기 제 1 마운팅의 수직 위치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차체 하부에 폭 방향 양측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좌·우측 제 2 마운팅;
양단이 전후 배치의 상기 제 1, 2 마운팅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 1, 2 마운팅 사이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여 신축 구동하는 좌·우측 구동유닛; 및
대차 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구동유닛에 각각 대응 연결되어 연동하여 신축 구동하는 좌·우측 종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차 프레임과 차체가 상호 틀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좌·우측 구동유닛의 신축 구동량 차이로 연동하는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의 신축 구동량을 조절하여 상기 대차 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전후 배치의 윤축 사이 간격을 조절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제 1 마운팅은 상기 대차 프레임의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상호 대칭인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제 2 마운팅은 상기 차체의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의 상호 대칭인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 1 마운팅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마운팅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 1, 2 마운팅 사이의 간격 변화에 대응하는 신축 구동으로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실린더이고,
상기 종동유닛은 상기 구동유닛과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유압실린더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
A left and a right first mounting provided at mutually spaced intervals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uck frame;
A left and right second mounting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or rearward from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rst mounting 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 left and right drive unit that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ounts at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arrangement to expand and contract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s; And
And left and right driven unit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gie frame and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drive units and extending and driven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amount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linked to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eft and right drive unit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utual turning of the vehicle frame and the vehicle body, There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electrode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eft and right mounting portions are fixedly installed at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widthwise center of the bogie frame,
The left and right second mounts are fixedly installed at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herein the drive unit is a hydraulic cylinder that is hinged at one end to the first mounting and hinged at the other end to the second mounting to generate hydraulic pressure in a stretching drive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Wherein the driven unit is a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drive unit by a hydraulic pressure synchronous circuit and interlocked with the driven unit.
상기 유압동기회로는 상기 좌·우측 구동유닛 각각의 유압 변화를 각각 대응 연결되는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에 전달하는 유압호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ydraulic pressure synchronous circuit is a hydraulic hose that transmits hydraulic pressure changes of the left and right drive units to the corresponding left and right driven units, respectively.
상기 유압호스에는 상기 좌·우측 구동유닛 각각의 유압 변화를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에 대응하는 유압으로 변환하는 버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ydraulic hose includes a buffer unit for converting hydraulic pressure changes of the left and right drive units into hydraulic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상기 버퍼부에는 상기 유압동기회로 내의 유압이 이미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작용함에 대응하여 유체의 흐름을 유도 배출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한 바이패스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uffer unit further includes a bypass unit including a check valve for inducing and discharging a flow of fluid in response to a hydraulic pressure in the hydraulic pressure synchronous circuit being in a range exceeding a preset range.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은, 양방향 유압실린더이고, 각각의 실린더는 그 길이 방향이 전·후 배치의 저널 박스 사이에 놓이며, 각 방향 로드는 단부가 대응하는 상기 저널 박스에 연결되며,
상기 좌측 구동유닛은 상기 우측 종동유닛과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되고,
상기 우측 구동유닛은 상기 좌측 종동유닛과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driven pulleys are bidirectional hydraulic cylinders, each cylinder is placed between journal boxes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of the cylinders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journal box at an end thereof,
Wherein the left drive unit is connected to the right driven unit via a hydraulic pressure synchronous circuit,
And the right drive unit is connected to the left driven unit through a hydraulic pressure synchronous circuit.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은, 저널 박스 각각에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되는 일 방향 로드를 갖는 유압실린더이고, 전방의 저널 박스에 대응 연결되는 것은 전방의 저널 박스보다 후방 위치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진행 방향으로 설치되고, 후방의 저널 박스에 대응 연결되는 것은 후방의 저널 박스보다 전방 위치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진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측 구동유닛은 전후 배치의 상기 우측 종동유닛들에 대하여 분기된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되고,
상기 우측 구동유닛은 전후 배치의 상기 좌측 종동유닛들에 대하여 분기된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are hydraulic cylinders each having a unidirectional rod connected to each of the journal boxes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manner, and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is connected to the front journal box,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journal box in a forward direction of the rear journal box,
Wherein the left drive unit is connected to a branched hydraulic hydraulic circuit for the right and left driven units arranged in the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Wherein the right drive unit is connected to a hydraulic synchronous circuit branched to the left and right rear driven units.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은, 저널 박스 각각에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되는 일 방향 로드를 갖는 유압실린더이고, 전방의 저널 박스에 대응 연결되는 것은 전방의 저널 박스보다 더 전방 위치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진행 방향으로 설치되고, 후방의 저널 박스에 대응 연결되는 것은 후방의 저널 박스보다 더 후방 위치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진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좌측 구동유닛은 전후 배치의 상기 좌측 종동유닛들에 대하여 분기된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되고,
상기 우측 구동유닛은 전후 배치의 상기 우측 종동유닛들에 대하여 분기된 유압동기회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are hydraulic cylinders each having a unidirectional rod connect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to each of the journal boxes. The corresponding one of 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is connected to the front journal box,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journal box at a position further rearward than the rear journal box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gie frame,
The left drive unit is connected to the branched hydraulic hydraulic circuit for the left and right rear driven units,
Wherein the right drive unit is connected to a hydraulic synchronous circuit branched to the right and left driven units arranged in the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상기 좌·우측 종동유닛들의 각 로드와 이에 대응하는 저널 박스 사이에는 힌지 또는 볼조인트 및 이들의 조합의 연결로 이루어지는 링크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능동 윤축 조향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nk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rods of the left and right driven units and a journal box corresponding thereto, the link comprising a hinge, a ball joint, and a combination of the link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051A KR101465524B1 (en) | 2013-06-10 | 2013-06-10 | Wheel-axle set active steering equipment for railway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6051A KR101465524B1 (en) | 2013-06-10 | 2013-06-10 | Wheel-axle set active steering equipment for railway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65524B1 true KR101465524B1 (en) | 2014-11-26 |
Family
ID=5229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6051A Active KR101465524B1 (en) | 2013-06-10 | 2013-06-10 | Wheel-axle set active steering equipment for railway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552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1634B1 (en) | 2015-06-08 | 2016-11-02 | 현대로템 주식회사 | Method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wear quantity for shaft parts of power transmission system |
JP2018534194A (en) * | 2015-09-28 | 2018-11-22 | ボンバルディア トランスポーテイション ゲーエムベーハー | Traveling apparatus with passive hydraulic wheel set steer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
CN109854640A (en) * | 2018-12-18 | 2019-06-07 | 清华大学苏州汽车研究院(相城) | A kind of brake system for eliminating mechanical hysteresi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3959A (en) * | 2002-12-16 | 2004-06-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mber control suspension of vehicle |
KR100657621B1 (en) * | 2005-07-13 | 2006-12-1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Traction link device for railway vehicle |
KR20090059536A (en) * | 2007-12-06 | 2009-06-1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Active Steering Bogies for Rail Vehicles |
KR20100136170A (en) * | 2009-06-18 | 2010-12-28 | 현대로템 주식회사 | Wheelset Steer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
-
2013
- 2013-06-10 KR KR1020130066051A patent/KR10146552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3959A (en) * | 2002-12-16 | 2004-06-2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amber control suspension of vehicle |
KR100657621B1 (en) * | 2005-07-13 | 2006-12-14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Traction link device for railway vehicle |
KR20090059536A (en) * | 2007-12-06 | 2009-06-1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Active Steering Bogies for Rail Vehicles |
KR20100136170A (en) * | 2009-06-18 | 2010-12-28 | 현대로템 주식회사 | Wheelset Steer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1634B1 (en) | 2015-06-08 | 2016-11-02 | 현대로템 주식회사 | Method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wear quantity for shaft parts of power transmission system |
JP2018534194A (en) * | 2015-09-28 | 2018-11-22 | ボンバルディア トランスポーテイション ゲーエムベーハー | Traveling apparatus with passive hydraulic wheel set steer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s |
CN109854640A (en) * | 2018-12-18 | 2019-06-07 | 清华大学苏州汽车研究院(相城) | A kind of brake system for eliminating mechanical hysteresis |
CN109854640B (en) * | 2018-12-18 | 2024-05-17 | 清华大学苏州汽车研究院(相城) | Brake system capable of eliminating mechanical hysteresi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86973B2 (en) | Track-type vehicle and vehicle body tilt control method | |
US8056484B2 (en) | Vehicle with anti-roll devices | |
CN102498024B (en) | Railway vehicle having a transversely flexible connection of the body to the bogie | |
CA2955206C (en) | Chassis for a rail vehicle | |
KR101970508B1 (en) | Vehicle body support device and railroad vehicle | |
CA2775957C (en) | Spring assembly for level control in a vehicle | |
CN102712324A (en) | Actuator having multiple effects | |
FI91730B (en) | Vehicle without reversible vehicle, in particular a rail vehicle | |
KR101465524B1 (en) | Wheel-axle set active steering equipment for railway vehicle | |
RU2283254C2 (en) | Method of and device for active control of radial setting of wheelsets or pairs of wheels of rail vehicles | |
EP0547010A1 (en) | A multipurpose rail bogie truck | |
CN101247979B (en) | Running gear for rail vehicles | |
EP3529121B1 (en) | Wheel control assembly for a bogie | |
AU2006281450B2 (en) | Multiple-unit vehicle with anti-roll devices | |
JP5259999B2 (en) | Axle box support device for bogie for high-speed railway vehicles | |
RU2318690C1 (en) | Six-axle traction rail vehicle (versions) | |
KR20130004242U (en) | wheel-axle steering angle control systems | |
KR101040375B1 (en) | Section 3 Steering Bogie for Railroad Vehicles Using Link Method | |
KR101590711B1 (en) | Steering system for low-floor articulated vehicles | |
DK2158114T3 (en) | Rail vehicle with single stage suspension | |
KR101635680B1 (en) | Steering system and low-floor articulated vehicles using the same | |
KR20130080527A (en) | Wheel-axle set steering system for railway vehicle | |
KR20130046538A (en) | Steering apparatus for railway vehicle using mr damper | |
RU2289525C1 (en) | Railway eight-axle traction vehicle | |
RU2301754C1 (en) | Railway passenger car (vers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