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4625B1 - 차량의 배선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625B1
KR101464625B1 KR1020130146793A KR20130146793A KR101464625B1 KR 101464625 B1 KR101464625 B1 KR 101464625B1 KR 1020130146793 A KR1020130146793 A KR 1020130146793A KR 20130146793 A KR20130146793 A KR 20130146793A KR 101464625 B1 KR101464625 B1 KR 10146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late
unit sealing
vehicle
power supply
conductive patte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
이석호
배철용
유성민
지성원
강여진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4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62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천장패널에 연결되고 조각화된 단위 실링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실링 플레이트, 이 단위 실링 플레이트에 도전성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됨으로써 실링 플레이트에 설정된 궤적을 따라 비연속되게 패터닝되는 도전패턴층, 및 이 단위 실링 플레이트를 천장패널에 연결 고정하는 고정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차량의 천장 내부에 절연재질인 실링 플레이트(ceiling plate)를 구비하여 회로 패터닝을 함에 따라 비교적 굵은 다발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배선량을 줄일 수 있어 부품과 차량 하중을 저감시킴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회로 패터닝을 한 실링 플레이트를 조각화한 후 비연속된 회로 패터닝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실링 플레이트의 부분적 파손이나 단락 발생시에 실링 플레이트를 부분적으로 교체함에 따른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배선장치{WIR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천장 내부에 절연재질인 실링 플레이트(ceiling plate)를 구비하여 회로 패터닝을 함에 따라 비교적 굵은 다발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배선량을 줄일 수 있어 부품과 차량 하중을 저감시킴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회로 패터닝을 한 실링 플레이트를 조각화한 후 비연속된 회로 패터닝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실링 플레이트의 부분적 파손이나 단락 발생시에 실링 플레이트를 부분적으로 교체함에 따른 유지 보수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차량의 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룸 등의 내부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와이어링 하네스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여 각 기능 부품에 전달해주는 구성요소로써,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배선을 세트화한 것을 말하며,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은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링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는 고정시키지 않을 경우 차량의 주행 진동으로 인해 유동되어 다른 부품과 마찰을 일으켜 파손되는 등 차량의 운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종 서포트(Support) 부재, 예를 들어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를 사용하여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게 된다. 기존의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를 차체 등에 고정 또는 탈거하기 위해서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기존 차체의 배선(와이어링 하네스)은 플로어패널에 비교적 굵은 다발의 와이어링 하네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차체 하중이 저감되는데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해, 연비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8534호(2012. 08. 03. 공개, 발명의 명칭: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천장 내부에 절연재질인 실링 플레이트(ceiling plate)를 구비하여 회로 패터닝을 함에 따라 비교적 굵은 다발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배선량을 줄일 수 있어 부품과 차량 하중을 저감시킴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차량의 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로 패터닝을 한 실링 플레이트를 조각화한 후 비연속된 회로 패터닝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실링 플레이트의 부분적 파손이나 단락 발생시에 실링 플레이트를 부분적으로 교체함에 따른 유지 보수비용을 줄이고자 하 는 차량의 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선장치는: 차량의 천장패널에 연결되고, 조각화된 단위 실링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실링 플레이트, 상기 단위 실링 플레이트에 도전성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링 플레이트에 설정된 궤적을 따라 비연속되게 패터닝되는 도전패턴층, 및 상기 단위 실링 플레이트를 상기 천장패널에 연결 고정하는 고정설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설치부는, 상기 단위 실링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돌출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천장패널에 형성되어 대응되는 후크를 삽입하여 결속하는 후크홀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는 상기 실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실링 플레이트에 의해 비연속되는 상기 도전패턴층은 점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프부는, 이웃한 상기 도전패턴층에 대응되도록 상기 단위 실링 플레이트 각각에 실장되는 단자핀, 상기 단자핀 각각의 상측에 함몰되는 단자홈부, 및 이웃한 상기 단자홈부에 각각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브릿지를 갖는 퓨즈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선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차량의 천장 내부에 절연재질인 실링 플레이트(ceiling plate)를 구비하여 회로 패터닝을 함에 따라 비교적 굵은 다발의 와이어링 하네스의 배선량을 줄일 수 있어 부품과 차량 하중을 저감시킴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로 패터닝을 한 실링 플레이트를 조각화한 후 비연속된 회로 패터닝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실링 플레이트의 부분적 파손이나 단락 발생시에 실링 플레이트를 부분적으로 교체함에 따른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선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선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실링 플레이트와 천장패널의 결속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실링 플레이트와 천장패널이 결속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실링 플레이트 간의 도전패턴층을 점핑(jumping)하는 상태의 구조를 보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선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선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선장치(100)는 실링 플레이트(ceiling plate,105), 도전패턴층(110) 및 고정설치부(210)를 포함한다.
실링 플레이트(105)는 차량(10)의 천장(ceiling) 내부에 구비된 천장패널(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편의상, 실링 플레이트(105)는 천장패널(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차량(10)의 천장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도전패턴층(110)은 차량(10)의 천장 내부에 구비된 실링 플레이트(105)에 설정된 궤적을 따라 도전성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된다. 이때, 실링 플레이트(105)는 수지 재질 등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전성잉크는 압전잉크젯방식 등에 의해 실링 플레이트(105)에 인쇄됨으로써, 도전패턴층(110)이 형성된다. 도전성잉크는 도체 성질을 갖는 잉크액이다. 즉, 차량(10)의 배선을 위해, 도전패턴층(110)이 통상적으로 차량(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실링 플레이트(105)에 회로 패터닝되어 형성됨으로써, 기존 차체의 플로어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와이어링 하네스로 배선하는 것에 비해 중량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물론, 실링 플레이트(105)는 천장패널(20) 자체일 수도 있다. 아울러, 도전패턴층(110)이 실링 플레이트(105)에 회로 패터닝됨에 따라, 와이어링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도시하지 않음) 등의 구성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차량(10)의 배선은 엔진룸에 장착된 배터리(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전장품(도시하지 않음)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실링 플레이트(105)의 도전패턴층(110)은 차량(10)의 A필러(A-Pillar,30)를 통해 배터리(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A필러(30)와 B필러(40) 및 C필러(5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이 각 전장품에 인가된다. 여기서, 전장품은 독서등, 윈도우 작동용 액추에이터, 블랙박스, 내부등, 후미등 등 차량(10)에 장착되는 전자제품인 것으로 한다.
이때, 도전패턴층(110)이 하나의 실링 플레이트(105) 전체에 걸쳐 형성될 경우, 어느 일부분의 파손이나 단락시에도, 실링 플레이트(105)는 교체되어야 한다. 그래서, 유지 보수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링 플레이트(105)는 조각화된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로 이루어지고,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 각각은 설정된 궤적을 따라 도전패턴층(11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각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의 도전패턴층(110)은 설정된 궤적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도전패턴층(110)은 설정된 궤적을 따라 실링 플레이트(105) 상에서 비연속적으로 패터닝된다.
아울러, 도전패턴층(110)이 A필러(30), B필러(40) 및 C필러(50) 내측에 구비된 사출물(도시하지 않음)에 형성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A필러(30), B필러(40) 및 C필러(50) 내측에는 케이블부재(120,130)가 배선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케이블부재(120,130)가 A필러(30), B필러(40) 및 C필러(50) 내측에 배선됨에 따라, 케이블부재(120,130)의 레이아웃(lay-out) 자유도가 향상된다.
더욱 상세히, 해당되는 도전패턴층(110) 각각의 일측과 배터리(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케이블부재(120)가 구비되고, 해당되는 도전패턴층(110) 각각의 타측과 대응되는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인가케이블부재(130)가 구비된다. 물론, 전원공급케이블부재(120)와 전원인가케이블부재(130)는 가닥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전원공급케이블부재(120)는 도전패턴층(110)을 형성한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전원인가케이블부재(130)는 도전패턴층(110)을 형성한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선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링 플레이트(105) 중 일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해당되는 도전패턴층(110) 각각의 일측에 대응되도록 전원공급핀(142)을 실장한다. 이때,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 각각은 도전패턴층(110)의 일측에 대응되도록 제 1비아홀(112)을 통공한다. 그리고, 전원공급핀(142)은 제 1비아홀(112)에 삽입 후 본딩이나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전원공급핀(142)은 하나 또는 복수 개 구비되고, 제 1비아홀(112)은 전원공급핀(142)에 일대일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원공급핀(142)은 전원공급하우징(144)에 일부 노출되도록 커버링된다. 전원공급하우징(144)은 사출물로서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원공급하우징(144)은 양측으로 개방되어 전원공급핀(142)을 전측으로 노출되도록 후측으로 삽입한다.
아울러, 전원공급케이블부재(120)는 전원공급핀(142)에 접속되도록 제 1메일커넥터(146)에 연결된다. 즉, 제 1메일커넥터(146)가 전원공급하우징(144)에 결속됨과 동시에, 전원공급케이블부재(120)는 전원공급핀(142)에 접속된다. 더욱 상세히, 제 1메일커넥터(146)는 전원공급핀(142)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전원공급접속핀(148)을 구비한다. 전원공급접속핀(148)은 전원공급핀(142)을 삽입하여 통전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원공급하우징(144)과 제 1메일커넥터(146)는 로킹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원공급하우징(144)은 해당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전원공급하우징(144)은 대응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를 삽입하기 위해 후측에 제 1요입홈부(145)를 형성한다. 그래서,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의 일측 가장자리는 제 1요입홈부(145)에 삽입된다. 이때, 전원공급핀(142)이 전원공급하우징(144)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전원공급하우징(144)은 임의적으로 해당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로부터 분리 방지되어야 한다. 그래서, 제 1요입홈부(145)는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제 1결속돌기(149)를 돌출한다. 아울러, 대응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제 1결속돌기(149)를 수용하기 위해 제 1수용홈부(147)를 형성한다. 즉,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가 전원공급하우징(144)의 제 1요입홈부(145)에 삽입시, 제 1요입홈부(145)에 의해 나뉘어지는 양측의 제 1접촉블록(143)은 제 1결속돌기(149) 길이만큼 소정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 1결속돌기(149)가 제 1수용홈부(147)에 삽입시, 마주하는 제 1접촉블록(143)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의 대응되는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공급하우징(144)은 실링 플레이트(105)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대응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도전패턴층(110) 각각의 타측에 대응되도록 전원인가핀(152)을 실장한다. 이때, 해당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도전패턴층(110)의 타측에 대응되도록 제 2비아홀(114)을 통공한다. 전원인가핀(152)은 제 2비아홀(114)에 삽입 후 본딩이나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물론, 전원인가핀(152)은 하나 또는 복수 개 구비되고, 제 2비아홀(114)은 전원인가핀(152)에 일대일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원인가핀(152)은 전원인가하우징(154)에 일부 노출되도록 커버링된다. 전원인가하우징(154)은 사출물로서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원인가하우징(154)은 양측으로 개방되어 전원인가핀(152)을 전측으로 노출되도록 후측으로 삽입한다.
아울러, 전원인가케이블부재(130)는 전원인가핀(152)에 접속되도록 제 2메일커넥터(156)에 연결된다. 즉, 제 2메일커넥터(156)가 전원인가하우징(154)에 결속됨과 동시에, 전원인가케이블부재(130)는 전원인가핀(152)에 접속된다. 더욱 상세히, 제 2메일커넥터(156)는 전원인가핀(152)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전원인가접속핀(158)을 구비한다. 전원인가접속핀(158)은 전원인가핀(152)을 삽입하여 통전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원인가하우징(154)과 제 2메일커넥터(156)는 로킹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원인가하우징(154)은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전원인가하우징(154)은 대응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를 삽입하기 위해 후측에 제 2요입홈부(155)를 형성한다. 그래서,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제 2요입홈부(155)에 삽입된다. 이때, 전원인가핀(152)이 전원인가하우징(154)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전원인가하우징(154)은 임의적으로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로부터 분리 방지되어야 한다. 그래서, 제 2요입홈부(155)는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제 2결속돌기(159)를 돌출한다. 아울러, 해당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제 2결속돌기(159)를 수용하기 위해 제 2수용홈부(157)를 형성한다. 즉, 해당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가 전원인가하우징(154)의 제 2요입홈부(155)에 삽입시, 제 2요입홈부(155)에 의해 나뉘어지는 양측의 제 2접촉블록(153)은 제 2결속돌기(159) 길이만큼 소정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 2결속돌기(159)가 제 2수용홈부(157)에 삽입시, 마주하는 제 2접촉블록(153)은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의 대응되는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인가하우징(154)은 실링 플레이트(105)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링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로 이루어진 실링 플레이트(105)는 도전패턴층(110)을 형성하기 전(前)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160)을 형성한다. 즉, 코팅층(160)은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의 상면에 코팅액이 도포된다. 그리고 나서, 코팅층(160) 상면에 도전성잉크가 도포되어 도전패턴층(110)이 형성된다. 코팅층(160)이 형성되는 이유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에 직접적으로 도전성잉크가 도포될 경우 번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도전패턴층(110)의 상면에는 절연층(170)이 형성된다. 절연층(170)은 도전패턴층(110)의 상면에 절연성잉크를 인쇄하여 형성된다. 절연성잉크는 도전패턴층(110)을 포함한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의 상측에 도포되거나, 도전패턴층(110)의 상측에만 도포된 후 UV 빔 조사 등에 의해 건조된다. 이때, 절연층(170)은 도전패턴층(110)과 접착시에 높은 습윤성과 접착성을 갖는 역할을 하며, 도전패턴층(1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절연층(170)을 형성하는 절연성잉크는 경화 시에 형태의 변형이 적어 치수안정성이 높은 잉크액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층(170)의 상측에는 방수층(180)이 형성된다. 방수층(180)은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의 최상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필름으로 코팅되거나 투명한 실리콘수지로 도포된 후 건조되어 외부로부터 물 등의 이물질이 도전패턴층(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실링 플레이트와 천장패널의 결속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실링 플레이트와 천장패널이 결속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2, 도 8 및 도 9에서처럼,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차량(10)의 천장 내부에 통상 구비되는 천장패널(20)에 고정 결속되어야 한다. 이때, 복수 개의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 중 실링 플레이트(105)의 테두리 궤적을 따라 위치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가 천장패널(20)에 결속되고, 이웃한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대향하는 테두리끼리 면접됨으로써, 모든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고정된다. 즉, 후크(212)는 실링 플레이트(105)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의 하측면에 돌출된다.
실링 플레이트(105)의 테두리 궤적을 따라 위치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고정설치부(210)에 의해 천장패널(20)에 고정된다. 즉, 고정설치부(210)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를 천장패널(20)에 연결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고정설치부(210)는 후크(212) 및 후크홀(214)을 포함한다.
후크(212)는 해당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의 하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후크(212)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물론, 후크(21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후크홀(214)은 후크(212)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천장패널(20)에 형성된다. 그래서, 후크(212)가 대응되는 후크홀(214)에 억지 끼움되어 이탈 방지됨으로써,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 각각은 천장패널(20)에 결속 고정된다.
물론,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천장패널(20)이 아닌 다른 내장재에 결속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실링 플레이트 간의 도전패턴층을 점핑(jumping)하는 상태의 구조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10에서처럼, 분리된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에 의해, 도전패턴층(110)은 비연속되게 형성된다. 이때, 도전패턴층(110)은 설정된 궤적을 따라 연속성을 가져야 한다. 그래서, 설정된 궤적 상에서 비연속되는 도전패턴층(110)은 점프부(2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점프부(220)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에 의해 비연속되는 도전패턴층(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점프부(220)는 단자핀(222), 단자홈부(224) 및 퓨즈부재(226)를 포함한다.
단자핀(222)은 이웃한 도전패턴층(110)에 대응되도록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 각각에 실장된다. 이때,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도전패턴층(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홀(223)을 통공한다. 단자핀(222)이 단자홀(223)에 삽입됨과 동시에 도전패턴층(110)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단자핀(222)은 단자홀(223)에 삽입된 채 본딩 등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단자홈부(224)는 단자핀(222) 각각의 상측에 함몰 형성된다.
아울러, 퓨즈부재(226)는 설정된 궤적 상에서 이웃하는 도전패턴층(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퓨즈부재(226)는 대응되게 이웃한 단자홈부(224)에 각각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브릿지(227)를 구비한다. 브릿지(227)는 대응되는 단자핀(222)의 단자홈(224)에 삽입된다. 이때, 브릿지(227)는 단자핀(222)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한 쌍의 브릿지(227)는 퓨즈부재(226) 내측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실링 플레이트(105)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가 후크(212)에 의해 천장패널(20)에 결속되고, 이웃한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끼리는 퓨즈부재(226)에 의해 통전됨과 동시에 결속됨으로써, 모든 단위 실링 플레이트(107)는 서로 결속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량 20: 천장패널
100: 배선장치 105: 실링 플레이트
107: 단위 실링 플레이트 110: 도전패턴층
120: 전원공급케이블부재 130: 전원인가케이블부재
142: 전원공급핀 144: 전원공급하우징
147: 제 1수용홈부 149: 걸림돌기
152: 전원인가핀 154: 전원인가하우징
157: 제 2수용홈부 159: 제 2결속돌기
160: 코팅층 170: 절연층
180: 방수층 210: 고정설치부
212: 후크 220: 점프부
222: 단자핀 224: 단자홈부
226: 퓨즈부재

Claims (5)

  1. 차량의 천장패널에 연결되고, 조각화된 단위 실링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실링 플레이트;
    상기 단위 실링 플레이트에 도전성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링 플레이트에 설정된 궤적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패터닝되는 도전패턴층; 및
    상기 단위 실링 플레이트를 상기 천장패널에 연결 고정하는 고정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설치부는,
    상기 단위 실링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돌출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상기 천장패널에 형성되어 대응되는 후크를 삽입하여 결속하는 후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실링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단위 실링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실링 플레이트에 의해 비연속되는 상기 도전패턴층은 점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부는,
    이웃한 상기 도전패턴층에 대응되도록 상기 단위 실링 플레이트 각각에 실장되는 단자핀;
    상기 단자핀 각각의 상측에 함몰되는 단자홈부; 및
    이웃한 상기 단자홈부에 각각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브릿지를 갖는 퓨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선장치.
KR1020130146793A 2013-11-29 2013-11-29 차량의 배선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6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793A KR101464625B1 (ko) 2013-11-29 2013-11-29 차량의 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793A KR101464625B1 (ko) 2013-11-29 2013-11-29 차량의 배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625B1 true KR101464625B1 (ko) 2014-11-25

Family

ID=5229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7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4625B1 (ko) 2013-11-29 2013-11-29 차량의 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6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6879B2 (ja) * 1988-06-02 1998-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ユニット
JPH11195327A (ja) * 1998-01-06 1999-07-21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39238A (ja) * 1999-07-29 2001-02-13 Yazaki Corp 自動車用フラット回路体配索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6879B2 (ja) * 1988-06-02 1998-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ユニット
JPH11195327A (ja) * 1998-01-06 1999-07-21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39238A (ja) * 1999-07-29 2001-02-13 Yazaki Corp 自動車用フラット回路体配索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826B1 (ko)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US7775694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nit
CN110549961A (zh) 车辆电路体以及制造车辆电路体的方法
CN104755325B (zh) 线束装接结构
CN1922703A (zh) 熔丝模块
CN103427050B (zh) 电源装置
KR101723037B1 (ko) 이차전지팩의 이차전지 연결장치
US20140362499A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water proof type housing sealing and method thereof
CN105742730A (zh) 电池模块
KR20180088827A (ko) 에어백 모듈의 케이블들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도관 장치, 배선 시스템, 에어백 모듈, 및 상기 유형의 케이블 도관 장치를 포함하는 조향 휠 또는 차량
CN102842873A (zh) 盒主体
JP5917806B2 (ja) プロテクタの製造方法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US910228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674439B1 (ko) 도어모듈의 와이어링 하네스 어셈블리
KR101464625B1 (ko) 차량의 배선장치
CN103782462A (zh) 具有夹子的线束
KR101553595B1 (ko) 차량의 배선장치
JP2010136496A (ja) 回路構成体、及び回路構成体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接続箱
CN112789693B (zh) 布线构件及布线构件的配设结构
US9192068B2 (en) Electric junction box
KR20150057867A (ko) 접속 단자
WO2014076987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システム
JP5970389B2 (ja) 端子保護カバー及び端子保護方法
CN118753186A (zh) 线束结构、玻璃总成及车辆
JP2014054070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