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3942B1 -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 - Google Patents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942B1
KR101463942B1 KR1020130096488A KR20130096488A KR101463942B1 KR 101463942 B1 KR101463942 B1 KR 101463942B1 KR 1020130096488 A KR1020130096488 A KR 1020130096488A KR 20130096488 A KR20130096488 A KR 20130096488A KR 101463942 B1 KR101463942 B1 KR 101463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cover
locking member
sealing body
sea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델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델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델타
Priority to KR102013009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9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6Windows; Cover glasses; Sealing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인몸체를 계량기커버에 일체로 형성시켜 제조비용을 취급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용도에 따른 적용성을 향상시킨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량기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위한 커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봉인몸체를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봉인몸체를 통해 계량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봉인하기 위해 봉인몸체에 삽입 록킹되는 록킹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록킹부재의 중앙을 통해 삽입되는 하부 끝단에 걸림되는 걸림단이 형성된 상부 외주면에는 계량기의 검증 완료 표시를 위한 검인단이 연성을 갖도록 얇은 두께의 연장단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검인구를 구성하여; 봉인구를 계량기를 커버하는 커버와 일체의 형태로 구성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Sealed body is formed into a single meter cover}
본 발명은 계량기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봉인몸체를 계량기커버에 일체로 형성시켜 제조비용을 취급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용도에 따른 적용성을 향상시킨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량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일반 계량기와 공업용 계량기로 크게 나누며, 일반 계량기는 저울·천칭(天秤) 등의 질량계와 수도 계량기·가스 계량기·가솔린 계량기 등 적산체적계가 대표적인 제품이다.
예를 들면 적산전력계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총량을 측정·기록하는 계기(計器)로서 전기미터 또는 전기계량기라고도 한다. 회전원판에 전력에 비례하는 회전력을 발생하게 하여 전력의 사용시간을 회전수로 적산하는 계기로, 직류용과 교류용이 있다. 직류용으로는 수은형과 정류자형 적산전력계, 교류용으로는 유도형 적산전력계가 쓰인다. 특히 유도형 적산전력계의 경우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싸서 많이 쓰이는데, 각 가정에 설치된 전기계량기는 바로 이 유도형이다.
원판의 총 회전수는 회전축과 연결된 계량장치에 숫자로 표시되는데, 보통 kWh(킬로와트시)로 기록된다. 적산전력계는 전력회사가 관리하므로 개인이 교환할 수 없도록 봉인되어 있다.
종래에 의한 수도, 가스, 가솔린, 전기 등의 계량기용 봉인은 계량기의 일측에 봉인편철을 볼트로 고정하고, 상기 봉인편철의 일단이 볼트의 머리 위를 감싸도록 구부려 두 개의 종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한 후, 상기 종단부를 봉인구의 구멍에 관통시킨 후 봉인공구를 이용해 각인을 누름으로써 봉인을 했다.
상기와 같은 봉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봉인구를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지만 봉인몸체와 봉인부재를 별도로 제작해야하고 준비, 체결하는 과정이 복잡하며, 관리적 측면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1. 등록번호 제10-1025909호 (계량기의 봉인장치) 2.등록번호 제20-0338887호 (원터치 봉인 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봉인구를 계량기를 커버하는 커버와 일체의 형태로 구성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킨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인을 위한 록킹부재와 검인을 위한 검인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와 봉인몸체를 일체의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상의 간편성을 증대하고 제조과정 간단해짐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력계량기, 가스계량기 같은 계량기의 봉인을 위한 계량기커버에 있어서, 계량기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위한 커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봉인몸체를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봉인몸체를 통해 계량기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봉인하기 위해 봉인몸체에 삽입 록킹되는 록킹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록킹부재의 중앙을 통해 삽입되는 하부 끝단에 걸림되는 걸림단이 형성된 상부 외주면에는 계량기의 검증 완료 표시를 위한 검인단이 연성을 갖도록 얇은 두께의 연장단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검인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계량기커버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봉인구를 계량기를 커버하는 커버와 일체의 형태로 구성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그리고, 봉인을 위한 록킹부재와 검인을 위한 검인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커버와 봉인몸체를 일체의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상의 간편성을 증대하고 제조과정 간단해짐으로써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봉인몸체의 렛치단과 록킹부재의 렛치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봉인몸체의 렛치단과 록킹부재의 렛치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도 1에 따른 검인단에 검인을 시행하는 일 실시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전력계량기 및 가스계량기에 계량기커버가 적용된 실시 예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4,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는 전력계량기, 가스계량기 같은 계량기의 봉인을 위한 계량기커버에 관한 것으로, 계량기(200)의 봉인을 위한 봉인몸체(12)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10)와, 상기 봉인몸체(12)에 삽입되어 잠김 기능을 하는 록킹부재(20), 상기 록킹부재(20)에 결합되는 검인단(32)이 형성된 검인구(30)로 계량기커버(100A)를 구성하며, 계량기(200)의 봉인을 위한 봉인몸체(12)가 일체로 형성된 커버(10)와, 상기 봉인몸체(12)에 삽입되어 잠김 기능을 하는 록킹부재(20)로 계량기커버(100B)를 구성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는 전력계량기나 가스계량기와 같은 계량기(200)에서 봉인이 필요한 부분을 커버하는 동시에 봉인하도록 각 계량기(200)의 구조나 특성에 맞게 별도로 제조될 경우 봉인몸체(12)를 사출 방식으로 함께 제조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봉인몸체(12)는 계량기(200)에 볼트나 나사못과 같은 체결부재(201)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위한 커버(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홀(11)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구성하고, 커버(10)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제작과정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봉인몸체(12)는 내주면 상부로부터 암나선(12a)이 형성되는 하부로 렛치단(13)이 구성하는데, 상기 암나선(12a)은 록킹부재(20)가 회전작용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위한 구성이며 렛치단(13)은 직각삼각형 형태의 단면으로 연속적으로 배치 형성되며 경사단(13a)의 방향으로는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고, 직각단(13b)에서 걸림이 발생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20)는 봉인몸체(12)를 통해 계량기(20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01)를 봉인하기 위해 봉인몸체(12)에 삽입 록킹되는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록킹부재(20)는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선이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렛치(22)를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록킹부재(20)의 중앙을 통해 삽입되는 하부 끝단에 걸림되는 걸림단(31)이 형성된 상부 외주면에는 계량기(200)의 검증 완료 표시를 위한 검인단(32)이 일체로 형성된 검인구(30)로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커버(100B)를 구성하는 커버(10)는 전력계량기나 가스계량기와 같은 계량기(200)에서 봉인이 필요한 부분을 커버하는 동시에 봉인하도록 각 계량기(200)의 구조나 특성에 맞게 별도로 제조될 경우 봉인몸체(12)를 사출 방식으로 함께 제조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봉인몸체(12)는 계량기(200)에 볼트나 나사못과 같은 체결부재(201)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위한 커버(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홀(11)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구성하고, 커버(10)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제작과정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봉인몸체(12)는 내주면 상부로부터 암나선(12a)이 형성되는 하부로 렛치단(13)이 구성하는데, 상기 암나선(12a)은 록킹부재(20)가 회전작용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위한 구성이며 렛치단(13)은 직각삼각형 형태의 단면으로 연속적으로 배치 형성되며 경사단(13a)의 방향으로는 걸림이 이루어지지 않고, 직각단(13b)에서 걸림이 발생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20)는 봉인몸체(12)를 통해 계량기(20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01)를 봉인하기 위해 봉인몸체(12)에 삽입 록킹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록킹부재(20)는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선이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렛치(2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커버(100A)는 봉인몸체(12)가 형성되도록 계량기커버(10)를 완성하면 계량기(200)에서 봉인이 필요한 부분에 커버(10)를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201)를 체결홀(11)을 통과시켜 계량기(200)에 커버(1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봉인몸체(12)가 형성된 부분도 다른 부분과 동일하게 체결부재(201)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후, 상기 체결부재(201)가 체결된 봉인몸체(12)에는 록킹부재(20)를 삽입하여 록킹부재(20)의 수나선(20a)이 봉인몸체(12)의 암나선(12a)에 체결되면서 삽입이 완료되는 동시에 렛치(22)가 렛치단(13)의 경사단(13a)을 따라 걸림되지 않고 회전하면서 록킹부재(20)를 반대로 회전시킬 경우 렛치(22)가 직각단(13b)에 걸림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되는 것이다.
즉, 상기 봉인몸체(12)의 암나선(12a)과 록킹부재(20)의 수나선(20a)는 약 1.5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록킹부재(20)가 나선체결로 수나선(20a)이 암나선(12a)를 통과하면 암나선(12a)의 하부로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빈 공간으로 이동하여 수나선(20a)은 더이상 나선체결 되지 않은 상태로 공회전상태를 유지하며 렛치(22)가 렛치단(13)과 접촉하여 경사단(13a)을 따라 걸림되지 않고 공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록킹부재(20)를 반대로 회전시킬 경우 렛치(22)이 렛치단(13)의 직각단(13b)에 걸림되어 회전되지 않으므로 록킹부재(20)를 봉인몸체(12)에서 해체할 수 없도록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록킹부재(20)의 상부면에는 봉인몸체(12)와 체결을 위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공구홈(23)이 본 발명에서는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별도의 드라이버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록킹부재(20)에 형성된 공구홈(23)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21)을 통해 검인구(30)의 걸림단(31)을 삽입하여 걸림단(31)이 관통홀(21)을 통과 후 관통홀(21)의 하부 주면에 넓게 형성된 확장단(21a)에 걸림되도록 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그 다음으로, 계량기(200)의 확인검사가 완료되면 검인단(32)을 상부로 꺽임시켜 별도의 검인표시장비를 이용하여 검인단(32)에 검인표시를 새겨지게 하며, 상기 검인단(32)은 두께가 얇은 연장단(33)에 의해 쉽게 상부로 꺾임된다.
도 4 내지 도 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커버(100B)는 봉인몸체(12)가 형성되도록 계량기커버(10)를 완성하면 계량기(200)에서 봉인이 필요한 부분에 커버(10)를 위치시킨 후 체결부재(201)를 체결홀(11)을 통과시켜 계량기(200)에 커버(1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봉인몸체(12)가 형성된 부분도 다른 부분과 동일하게 체결부재(201)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후, 상기 체결부재(201)가 체결된 봉인몸체(12)에는 록킹부재(20)를 삽입하여 록킹부재(20)의 수나선(20a)이 봉인몸체(12)의 암나선(12a)에 체결되면서 삽입이 완료되는 동시에 렛치(22)가 렛치단(13)의 경사단(13a)을 따라 걸림되지 않고 회전하면서 록킹부재(20)를 반대로 회전시킬 경우 렛치(22)가 직각단(13b)에 걸림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록킹부재(20)의 상부면에는 봉인몸체(12)와 체결을 위해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공구홈(23)이 본 발명에서는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별도의 드라이버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계량기커버(100A)(100B)는 봉인몸체(12)가 커버(10)와 일체의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제작공정이 간단해지며 봉인작업이 간편해지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커버 11 : 체결홀
12 : 봉인몸체 12a : 암나선
13 : 렛치단 13a : 경사단
13b : 직각단 20 : 록킹부재
20a : 수나선 21 : 관통홀
21a : 확장단 22 : 렛치
23 : 공구홈 30 : 검인구
31 : 걸림단 32 : 검인단
33 : 연장단 100A,100B : 계량기커버
200 : 계량기 201 : 체결부재

Claims (6)

  1. 전력계량기, 가스계량기 같은 계량기의 봉인을 위한 계량기커버에 있어서,
    계량기(200)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위한 커버(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홀(11) 중 어느 하나에 봉인몸체(12)를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봉인몸체(12)를 통해 계량기(20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봉인하기 위해 봉인몸체(12)에 삽입 록킹되는 록킹부재(20)를 구성하며,
    상기 록킹부재(20)의 중앙을 통해 삽입되는 하부 끝단에 걸림되는 걸림단(31)이 형성된 상부 외주면에는 계량기(200)의 검증 완료 표시를 위한 검인단(32)이 연성을 갖도록 얇은 두께의 연장단(3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검인구(3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계량기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몸체(12)는 내주면 상부로부터 암나선이 형성되는 하부로 렛치단(13)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계량기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20)는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며,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선이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렛치(2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계량기커버.
  4. 전력계량기, 가스계량기 같은 계량기의 봉인을 위한 계량기커버에 있어서,
    계량기(200)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설치하기 위한 커버(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홀(11) 중 어느 하나에 봉인몸체(12)를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봉인몸체(12)를 통해 계량기(20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봉인하기 위해 봉인몸체(12)에 삽입 록킹되는 록킹부재(2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계량기커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몸체(12)는 내주면 상부로부터 암나선이 형성되는 하부로 렛치단(13)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계량기커버.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20)는 상부 외주면에는 수나선이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렛치(22)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계량기커버.
KR1020130096488A 2013-08-14 2013-08-14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 Active KR10146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88A KR101463942B1 (ko) 2013-08-14 2013-08-14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88A KR101463942B1 (ko) 2013-08-14 2013-08-14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942B1 true KR101463942B1 (ko) 2014-12-04

Family

ID=5267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488A Active KR101463942B1 (ko) 2013-08-14 2013-08-14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9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01Y1 (ko) * 2002-06-10 2002-09-19 이영근 볼트 풀림방지용 체결구
JP2006283889A (ja) * 2005-03-31 2006-10-19 Daiwa House Ind Co Ltd ネジ締結部におけるロック構造
KR101156138B1 (ko) * 2010-05-25 2012-06-20 김진설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KR20130053809A (ko) * 2011-11-16 2013-05-24 김진설 계량기 나사 봉인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01Y1 (ko) * 2002-06-10 2002-09-19 이영근 볼트 풀림방지용 체결구
JP2006283889A (ja) * 2005-03-31 2006-10-19 Daiwa House Ind Co Ltd ネジ締結部におけるロック構造
KR101156138B1 (ko) * 2010-05-25 2012-06-20 김진설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KR20130053809A (ko) * 2011-11-16 2013-05-24 김진설 계량기 나사 봉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2899B2 (ja) 電流検出装置およびその取付構造
WO2018032711A1 (zh) 一种组合式端子盒结构
KR100972499B1 (ko) 전력량 계 용 봉인 장치
CN105308788B (zh) 电池传感器的定位工具、具备该定位工具的电池传感器组件和电池传感器
KR101463942B1 (ko)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
JP5815807B1 (ja) 電力量計用端子アダプタ
JPWO2018062446A1 (ja) モータ
KR100633487B1 (ko) 계량기의 봉인장치
KR20230011246A (ko) 전기 연결 조립체뿐만 아니라 전기 연결 조립체를 위한 하우징 캡 및 하우징
JP4657085B2 (ja) 計測器の封印構造
KR100681537B1 (ko) 전력량계의 봉인구조
CN201508242U (zh) 温度传感器
JP6521502B2 (ja) 電力量計
CN207785110U (zh) 洗碗机的内门和具有其的洗碗机
CN203555735U (zh) 一种心电电极夹装置
CN104180835B (zh) 传感器安装附件
CN210269948U (zh) 具有表盖的电表
KR101007970B1 (ko) 계량기의 봉인장치
CN212158814U (zh) 一种卡扣开合结构
FR2973172B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e enveloppe d'equipement electrique
KR101317721B1 (ko) 계량기 나사못 봉인구
JP6177069B2 (ja) 電力量計
JP2009521794A (ja) 差込み接続装置
CN219201737U (zh) 带铅封防拆型多功能表
CN207215199U (zh) 卡装电磁式水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