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2038B1 -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 Google Patents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038B1
KR101462038B1 KR1020130111166A KR20130111166A KR101462038B1 KR 101462038 B1 KR101462038 B1 KR 101462038B1 KR 1020130111166 A KR1020130111166 A KR 1020130111166A KR 20130111166 A KR20130111166 A KR 20130111166A KR 101462038 B1 KR101462038 B1 KR 10146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bination
foaming
pow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하
엄기용
박상민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11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0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에 반응성 고분자, 금속 파우더 및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발포체의 제조 시 적용함으로써, 동등 이상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발포체의 성형시간을 30% 이상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FAST FOAMING AGENT COMPOSITION,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OAM USING THESAME}
본 발명은 발포체의 제조 시, 동등 이상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발포체의 성형시간을 30% 이상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용 발포체의 경우, 중창, 일체형 창 등 부품과 발포샌들 등의 완제품이 IP(Injection Phylon) 공정을 필두로 최근 국내 생산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의 대부분은 기능성 제품보다는 일반적인 특성을 가지는 EVA 발포체가 주를 이루고 있어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발포체의 성형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성형온도를 높이거나 발포체 성형을 촉진시키는 첨가제를 도입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 중 성형온도를 높이는 경우 색상 변색문제와 사출 성형시 원료 투입 부분이 갈라져 성형 불량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신발용 발포체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성형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발포체 성형을 촉진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도입하는 방법을 적용해야 하며, 관련 선행기술로써 특허문헌 1 내지 4가 있다.
EVA 등의 반결정성 고분자 소재의 경우 발포체 성형시 가교와 발포가 동시에 진행되어야 하지만 현재까지의 발포체 성형을 촉진시키는 첨가제는 발포제 분해촉진제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성형시간 단축으로 가교가 부족해질 경우 물성이 급격히 저하되고 발포체 제조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된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1208호 "맞춤형 인솔"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11537호 "발포수지의 제조방법"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25052호 "건축용 발포수지의 제조방법"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7621호 "발포플로트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에 반응성 고분자, 금속 파우더 및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발포체의 제조 시 적용함으로써, 동등 이상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발포체의 성형시간을 30% 이상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속 발포 조제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고분자 40 ~ 100 중량부, 금속 파우더 5 ~ 50 중량부, 발포촉진제 20 ~ 100 중량부, 점착방지제 1 ~ 10 중량부, 충진제 5 ~ 50 중량부 및 가공유 5 ~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고분자 40 ~ 100 중량부, 금속 파우더 5 ~ 50 중량부, 점착방지제 1 ~ 10 중량부, 충진제 5 ~ 50 중량부, 가공유 5 ~ 30 중량부 및 발포촉진제 20 ~ 100 중량부를 80 ~ 100℃의 니이더에서 5 ~ 15분간 혼련한 후,
상기 혼련된 혼련물을 다이 온도 80 ~ 100℃의 압출기에서 압출 및 냉각, 절단하여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발포되는 발포체를 과제의 또 다른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반응성 고분자는, 1,2 폴리부타디엔 또는 금속 아크릴 모노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파우더는, 은 파우더, 구리 파우더, 알루미늄 파우더 또는 아연 파우더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촉진제는, 아연 파라-톨루엔설피네이트, 파라-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지드 또는 변성 아조카본디아마이드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방지제는, 스테아린산 또는 아연스테아레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진제는, 경질 탄산칼슘, 탄산 마그네슘, 카오린 또는 탈크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공유는, 파라핀계 또는 화이트 오일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에 반응성 고분자, 금속 파우더 및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발포체의 제조 시 적용함으로써, 동등 이상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발포체의 성형시간을 30% 이상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고분자 40 ~ 100 중량부, 금속 파우더 5 ~ 50 중량부, 발포촉진제 20 ~ 100 중량부, 점착방지제 1 ~ 10 중량부, 충진제 5 ~ 50 중량부 및 가공유 5 ~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적용하며, 폴리에틸렌 중에서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반응성 고분자는, 가교를 빠르게 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1,2 폴리부타디엔 또는 금속 아크릴 모노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적용하며, 반응성 고분자의 함량이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미만일 경우, 가교가 부족할 우려가 있으며, 1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발포체 제조가 불가능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금속 파우더는 열전달 속도를 빠르게 하여 가교와 발포를 촉진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은 파우더, 구리 파우더, 알루미늄 파우더 또는 아연 파우더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적용하며, 반응성 고분자의 함량이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성형시간의 단축효과가 미비할 우려가 있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발포체 제조가 불가능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포촉진제는 발포체 분해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아연 파라-톨루엔설피네이트, 파라-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지드 또는 변성 아조카본디아마이드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적용하며, 발포촉진제의 함량이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성형시간의 단축효과가 미비할 우려가 있으며, 1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발포체 제조가 불가능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방지제는 발포체 성형 시, 그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스테아린산 또는 아연스테아레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적용하며, 점착방지제의 함량이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속 발포 조제 제조시 점착에 의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발포체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충진제는, 발포 안정성과 흐름성을 조절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경질 탄산칼슘, 탄산 마그네슘, 카오린 또는 탈크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적용하며, 충진제의 함량이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발포 안정성과 흐름성을 조절 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성형시간 단축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공유는 탄성체 조성물의 연질화를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파라핀계 또는 화이트 오일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적용하며, 가공유의 함량이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연질화 효과가 미비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성형품의 표면으로 가공유의 마이그레이션(migration)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고분자 40 ~ 100 중량부, 금속 파우더 5 ~ 50 중량부, 점착방지제 1 ~ 10 중량부, 충진제 5 ~ 50 중량부, 가공유 5 ~ 30 중량부 및 발포촉진제 20 ~ 100 중량부를 80 ~ 100℃의 니이더에서 5 ~ 15분간 혼련한 후,
상기 혼련된 혼련물을 다이 온도 80 ~ 100℃의 압출기에서 압출 및 냉각, 절단하여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조성물 및 함량에 대한 임계적 의의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때, 혼련단계(S100) 및 가공단계(S200)에 한정된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의 제조 조건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성 및 방법으로 제조되는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은 다양한 발포체의 제조공정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에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사출 성형을 이용한 발포체의 제조
(실시예 1)
저밀도폴리에틸렌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폴리부타디엔을 40 중량부, 은 파우더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5 중량부, 파라핀계 가공유 5 중량부, 아연 파라-톨루엔설피네이트(Zinc P-Toluenesulfinate) 20 중량부, 변성 아조카본디아마이드 40 중량부를 첨가하여 80~100℃의 니이더에서 약 10분 정도 혼련한 후 다이 온도 약 80℃의 압출기에서 압출 후 냉각 절단하여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산화티탄 4중량부, 순도 99% 디큐밀펄옥사이드 0.92 중량부, 트리아릴이소시아누레이트 0.25 중량부, 분해온도가 160℃인 아조계 발포제 4 중량부 및 상기에서 제조된 속 발포 조제 조성물를 첨가하여 80~100℃의 니이더에서 약 20분 정도 혼련 후 압출기에서 압출을 통해 사출성형 발포체용 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원료를 사출기 배럴(barrel) 온도가 80~100℃ , 금형온도 170℃, 금형두께 10mm인 조건에서 250초간 성형하여 사출성형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산화티탄 4중량부, 순도 99% 디큐밀펄옥사이드 0.92 중량부, 트리아릴이소시아누레이트 0.25 중량부, 분해온도가 160℃인 아조계 발포제 4중량부를 첨가하여 80~100℃의 니이더에서 약 20분 정도 혼련 후 압출기에서 압출을 통해 사출성형 발포체용 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원료를 사출기 배럴(barrel) 온도가 80~100℃ , 금형온도 170℃, 금형두께 10mm인 조건에서 400초간 성형하여 사출성형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산화티탄 4중량부, 순도 99% 디큐밀펄옥사이드 0.92 중량부, 트리아릴이소시아누레이트 0.25 중량부, 분해온도가 160℃인 아조계 발포제 4중량부를 첨가하여 80~100℃의 니이더에서 약 20분 정도 혼련 후 압출기에서 압출을 통해 사출성형 발포체용 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원료를 사출기 배럴(barrel) 온도가 80~100℃ , 금형온도 170℃, 금형두께 10mm인 조건에서 250초간 성형하여 사출성형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산화티탄 4중량부, 순도 99% 디큐밀펄옥사이드 0.92 중량부, 트리아릴이소시아누레이트 0.25 중량부, 분해온도가 160℃인 아조계 발포제 4중량부 및 발포제 분해촉진인 Cellcom TS[(주)금양]를 2중량부를 첨가하여 80~100℃의 니이더에서 약 20분 정도 혼련 후 압출기에서 압출을 통해 사출성형 발포체용 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원료를 사출기 배럴(barrel) 온도가 80~100℃ , 금형온도 170℃, 금형두께 10mm인 조건에서 250초간 성형하여 사출성형 시편을 제조하였다.
2. 프레스 성형을 이용한 발포체의 제조
(실시예 2)
저밀도폴리에틸렌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폴리부타디엔을 100 중량부, 은 파우더 50 중량부, 스테아린산 10 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50 중량부, 파라핀계 가공유 30 중량부, 아연 파라-톨루엔설피네이트(Zinc P-Toluenesulfinate) 20 중량부, 변성 아조카본디아마이드 40 중량부를 첨가하여 80~100℃의 니이더에서 약 10분 정도 혼련한 후 다이 온도 약 80℃의 압출기에서 압출 후 냉각 절단하여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60 중량부와 에틸렌-알파올레핀 4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산화티탄 4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30 중량부, 순도 99% 디큐밀펄옥사이드 1.2 중량부, 분해온도가 145℃인 아조계 발포제 6 중량부 및 상기에서 제조된 속 발포 조제 조성물를 첨가하여 80~100℃의 니이더에서 약 20분 정도 혼련 후 롤밀에서 프레스 성형 발포체용 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원료를 프레스에서 150℃가 유지되고 있는 45mm 두께의 금형에서 1800초간 가압하여 프레스 성형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60 중량부와 에틸렌-알파올레핀 4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산화티탄 4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30 중량부, 순도 99% 디큐밀펄옥사이드 1.2 중량부, 분해온도가 145℃인 아조계 발포제 6 중량부를 첨가하여 80~100℃의 니이더에서 약 20분 정도 혼련 후 롤밀에서 프레스 성형 발포체용 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원료를 프레스에서 150℃가 유지되고 있는 45mm 두께의 금형에서 2700초간 가압하여 프레스 성형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60 중량부와 에틸렌-알파올레핀 4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산화티탄 4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30 중량부, 순도 99% 디큐밀펄옥사이드 1.2 중량부, 분해온도가 145℃인 아조계 발포제 6 중량부를 첨가하여 80~100℃의 니이더에서 약 20분 정도 혼련 후 롤밀에서 프레스 성형 발포체용 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원료를 프레스에서 150℃가 유지되고 있는 45mm 두께의 금형에서 1800초간 가압하여 프레스 성형 시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60 중량부와 에틸렌-알파올레핀 4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5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산화티탄 4중량부, 경질 탄산칼슘 30 중량부, 순도 99% 디큐밀펄옥사이드 1.2 중량부, 분해온도가 145℃인 아조계 발포제 6 중량부 및 발포제 분해촉진인 Cellcom TS[(주)금양]를 2중량부를 첨가하여 80~100℃의 니이더에서 약 20분 정도 혼련 후 롤밀에서 프레스 성형 발포체용 배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원료를 프레스에서 150℃가 유지되고 있는 45mm 두께의 금형에서 1800초간 가압하여 프레스 성형 시편을 제조하였다.
3. 발포체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내지 6을 아래와 같은 측정방법으로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1) 경도 : KS M 6518에 준한 경도는 Shore C type 또는 Shore A type의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시편의 임의 지점을 열 번 이상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2) 비중 : 자동 비중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5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3) 인장강도 및 신장율 : KS M 6518에 준한 B형 커터(cutter)로 시험편(두께 약 5mm)을 제작하여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동일시험에 사용한 시험편은 5개로 하였으며,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4) 인열강도 : KSM 6518에 준하여 측정을 하였다. 이때, 동일시험에 사용한 시험편은 5개로 하였으며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5) 영구압축변형률 : 50℃에서 6시간 동안 50% 압축한 조건에서의 영구압축변형률을 측정하였다. 이때, 동일시험에 사용한 시험편은 5개로 하였으며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성형시간(170℃, 10mm 두께 금형) 250sec. 400sec. 250sec. 250sec.
발포배율 (%) 168 168 154 168
경도 (C형) 50 50 53 49
비중 0.173 0.175 0.201 0.172
인장강도 (kgf/cm2) 34 30 27 28
신장율 (%) 260 250 250 320
인열강도 (kgf/cm) 12.8 10.9 11.6 10.4
Split 인열강도 (kgf/cm) 2.3 2.0 2.5 2.0
영구압출줄음율 (%) 56 56 63 65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성형시간을 줄이더라도 기준배합인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가지는 반면, 비교예 2의 경우, 성형시간 단축시 발포 및 가교가 잘되지 않아 사이즈가 작고 영구압축출음율이 저하되며, 비교예 3의 경우, 발포분해 촉진제만을 투입시 발포는 잘되지만 가교가 부족해 영구압축줄음율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성형시간(150℃, 45mm 두께 금형) 1800sec. 2400sec. 1800sec. 1800sec.
발포배율 (%) 161 160




제품 불량








제품 불량

경도 (A형) 50 51
비중 0.192 0.197
인장강도 (kgf/cm2) 24 22
신장율 (%) 300 280
인열강도 (kgf/cm) 9.1 8.9
Split 인열강도 (kgf/cm) 2.9 2.9
영구압출줄음율 (%) 57 58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2의 경우, 성형시간을 줄이더라도 기준배합인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가지는 반면, 비교예 5 및 6의 경우, 내부 가교 부족으로 제품이 불량임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속 발포 조제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고분자 40 ~ 100 중량부, 금속 파우더 5 ~ 50 중량부, 발포촉진제 20 ~ 100 중량부, 점착방지제 1 ~ 10 중량부, 충진제 5 ~ 50 중량부 및 가공유 5 ~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반응성 고분자는, 1,2 폴리부타디엔 또는 금속 아크릴 모노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 파우더는, 은 파우더, 구리 파우더, 알루미늄 파우더 또는 아연 파우더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촉진제는, 아연 파라-톨루엔설피네이트, 파라-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지드 또는 변성 아조카본디아마이드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방지제는, 스테아린산 또는 아연스테아레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진제는, 경질 탄산칼슘, 탄산 마그네슘, 카오린 또는 탈크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공유는, 파라핀계 또는 화이트 오일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 발포 조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반응성 고분자 40 ~ 100 중량부, 금속 파우더 5 ~ 50 중량부, 점착방지제 1 ~ 10 중량부, 충진제 5 ~ 50 중량부, 가공유 5 ~ 30 중량부 및 발포촉진제 20 ~ 100 중량부를 80 ~ 100℃의 니이더에서 5 ~ 15분간 혼련한 후,
    상기 혼련된 혼련물을 다이 온도 80 ~ 100℃의 압출기에서 압출 및 냉각, 절단하여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반응성 고분자는, 1,2 폴리부타디엔 또는 금속 아크릴 모노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 파우더는, 은 파우더, 구리 파우더, 알루미늄 파우더 또는 아연 파우더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발포촉진제는, 아연 파라-톨루엔설피네이트, 파라-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지드 또는 변성 아조카본디아마이드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방지제는, 스테아린산 또는 아연스테아레이트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진제는, 경질 탄산칼슘, 탄산 마그네슘, 카오린 또는 탈크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공유는, 파라핀계 또는 화이트 오일 중에서 단독 또는 혼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따른 속 발포 조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발포되는 발포체.
KR1020130111166A 2013-09-16 2013-09-16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Expired - Fee Related KR101462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166A KR101462038B1 (ko) 2013-09-16 2013-09-16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166A KR101462038B1 (ko) 2013-09-16 2013-09-16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038B1 true KR101462038B1 (ko) 2014-11-18

Family

ID=5229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1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2038B1 (ko) 2013-09-16 2013-09-16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0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4768A (ja) * 1996-05-29 1997-12-09 Sekisui Chem Co Ltd 複合プラスチック発泡体シート
KR0139144B1 (ko) * 1994-03-30 1998-05-01 강박광 발포체 프리폼을 이용한 신발중창의 제조방법
KR20020000264A (ko) * 2000-06-22 2002-01-05 박정수 가교조제를 사용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060053790A (ko) * 2004-11-17 2006-05-22 한국신발피혁연구소 부표용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144B1 (ko) * 1994-03-30 1998-05-01 강박광 발포체 프리폼을 이용한 신발중창의 제조방법
JPH09314768A (ja) * 1996-05-29 1997-12-09 Sekisui Chem Co Ltd 複合プラスチック発泡体シート
KR20020000264A (ko) * 2000-06-22 2002-01-05 박정수 가교조제를 사용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060053790A (ko) * 2004-11-17 2006-05-22 한국신발피혁연구소 부표용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2952B1 (en) Eva recycling method
US10266689B2 (en) Composition and process of manufacture for a shoe sole component for footwear
CN107090118A (zh) 一种eva‑tpu双硬度发泡鞋底材料及其制备方法
EP2998346A1 (en) Compounds based on crosslinkable polyolefins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s
KR101346824B1 (ko) 데브리스가 개선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KR101075070B1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실리콘 고무가 함유된 발포체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140016548A (ko)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한 발포용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제조된 발포체
KR0139147B1 (ko) 신발중창의 제조방법
US11396591B2 (en)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lightweight footwear having improved heat-resistance and lightweight footwea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206348B1 (ko) 내열수축특성이 우수한 발포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5883B1 (ko) 저밀도 수지 발포체 조성물
KR101462038B1 (ko) 속 발포 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KR100575604B1 (ko) 생분해성 신발중창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6160B1 (ko) 경량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신발 겉창의 제조방법
KR101756083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TW201934625A (zh) 聚烯烴彈性體組成物及發泡彈性體
KR102493711B1 (ko) 신발 중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신발 중창의 제조방법
KR101473401B1 (ko)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KR101603292B1 (ko) 초임계 발포 사출용 저비중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KR101440110B1 (ko) 점착 방지 및 미끄러짐 방지 특성이 향상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KR20130037536A (ko) 신발 인솔용 고무계 발포체 조성물
KR101157112B1 (ko) 연질특성 발포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TW201915080A (zh) 用於形成塑化材料的組成物、鞋中底與其製備方法
KR102013905B1 (ko) 개선된 cmp 공정을 이용한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2731457B1 (ko) 고기능성 발포용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0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0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10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0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