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1747B1 - Coil lifter - Google Patents

Coil lif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747B1
KR101461747B1 KR1020120151576A KR20120151576A KR101461747B1 KR 101461747 B1 KR101461747 B1 KR 101461747B1 KR 1020120151576 A KR1020120151576 A KR 1020120151576A KR 20120151576 A KR20120151576 A KR 20120151576A KR 101461747 B1 KR101461747 B1 KR 10146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il
winding unit
wire winding
variable sho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5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2118A (en
Inventor
임태균
배근상
송희석
배효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747B1/en
Priority to CN201380066853.9A priority patent/CN104903225B/en
Priority to EP13866010.5A priority patent/EP2937305B1/en
Priority to PCT/KR2013/011943 priority patent/WO2014098514A1/en
Publication of KR2014008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74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코일 리프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코일 리프터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코일을 이송하는 코일 리프터로서, 제1 및 제2 와이어 권취유닛이 구비된 리프트 프레임;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서 코일의 폭방향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프트 아암;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아암에 제공되어 상기 제1와이어 권취유닛의 와이어를 상기 코일의 코어홀을 통과하여 제2와이어 권취유닛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유닛;을 포함하며, 코일의 코어홀을 통해 와이어를 연결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연결 불량 등에 의한 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The coil lifter is started. A coil lift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il lifter for feeding a coil using a wire, comprising: a lift frame having first and second wire winding units; A pair of lift arms extending from the lift frame to both widthwise sides of the coil; And a wire connecting unit provided on the pair of lift arms to connect the wire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to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through the core hole of the coil, The connection work is automatically carried out, thereby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worker to the dangerous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work stability and preventing an accident caused by wire connection failure occurring in the work process.

Description

코일 리프터 {COIL LIFTER}[0001] COIL LIFTER [0002]

본 발명은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의 이동시 와이어를 연결하여 코일을 들어올리도록 제공된 코일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lif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il lifter provided for lifting a coil by connecting wires when moving the coil.

일반적으로 제철 공장내의 열간 압연기 또는 냉간 압연기 등을 통해 연속 생산되는 강판은 일정 폭을 가지며, 코일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 또는 이송된다. In general, a steel sheet continuously produced through a hot rolling mill or a cold rolling mill in a steel mill has a constant width and is wound and wound in the form of a coil.

종래 기술에 따른 코일 리프터(1)의 정면도인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에 코일을 이송하는 코일 리프터(coil lifter)(1)는 크레인에 연계되어 이동하며 코일을 집어 원하는 지점까지 운송할 수 있다.1, which is a front view of a coil lifter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coil lifter 1 for transferring a coil has been conventionally moved in connection with a crane, and can pick up a coil and transport it to a desired point .

이를 위해, 종래의 코일 리프터(1)는 크레인 등에 결합되는 본체부(10)와, 이 본체부(10)의 양측에서 코일의 폭넓이 만큼 이격되어 코일의 양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프터 아암(arm)(2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onventional coil lifter 1 includes a main body 10 coupled to a crane or the like, a lifter arm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by a width of the coil and extending in both side directions of the coil, (20).

또한, 리프터 아암(20)에는 코일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코어홀에 삽입되어 코일의 내주면을 들어올리는 슈(shoe)(22)가 제공된다.Further, the lifter arm 20 is provided with a shoe 22 which is inserted into a core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il to lif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il.

그런데, 종래의 코일 리프터(1)는 리프터 아암(20)의 슈(22)가 코어홀의 내주면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얇은 두께의 냉연 코일 제품에 손상을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의 코일 리프터(1)는 두꺼운 코일 제품의 이송이나 창고용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il lifter 1, the shoe 22 of the lifter arm 20 often causes damage to the cold-rolled coil product of a thin thickness during the lifting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hole, The conventional coil lifter 1 is limitedly used for transporting thick coil products and for warehousing.

이에 따라 종래에는 코일의 이송시 와이어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작업자가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를 코어홀에 통과시키면, 코일의 반대편에 있는 다른 작업자가 와이어를 넘겨 받아 크레인에 연결하는 작업으로 코일을 결합한다. 그리고, 와이어를 크레인에 연결한 후, 크레인으로 와이어 및 이에 연결된 코일을 들어올려 코일을 이송하고 있다. 또한, 코일의 이송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연결의 역순으로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를 풀어 코일의 권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a wire is used for transporting a coil. When a worker passes a wire connected to a crane through a core hole, another worke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il transfers the wire to the crane, do. After connecting the wire to the crane, the wire is lifted by the crane and the coil connected to the wire is lifted to transfer the coil. Further, when the transfer of the coil is completed, the operator releases the wire connected to the crane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nnection, and performs the work of winding the coil.

그러나, 종래에는 코일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과정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와이어를 연결하는 복수의 작업자 및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크레인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신호원 등 다수의 작업자가 작업에 투입되고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a process of connecting a wire to a coil is manually performed by an operator. Accordingly, a plurality of operators connecting a wire and a signal source for informing a crane operator of the connection state of the wire .

이와 같이, 종래에는 와이어 연결에 필요이상으로 많은 작업인력이 투입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의 연결이나 코일의 운송과정에서 작업자 등의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코일에 와이어를 자동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this wa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not only a lot of workforce is put into the wire connection more than necessary for the wire connection, but there is a risk of exposure to the risk of the worker in the process of wire connection or coil transportation.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ique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wire to a co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일에 와이어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과도한 작업 인력의 투입을 줄일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성도 확보하도록 한 코일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il lifter which can automatically carry out a work of connecting a wire through a coil, thereby reducing the input of excessive work force and securing the safety of the worker The purpos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코일 리프터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코일을 이송하는 코일 리프터로서, 제1 및 제2 와이어 권취유닛이 구비된 리프트 프레임;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서 코일의 폭방향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프트 아암; 및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아암에 제공되어 상기 제1와이어 권취유닛의 와이어를 상기 코일의 코어홀을 통과하여 제2와이어 권취유닛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연결유닛은 상기 리프트 아암의 단부에 회전 또는 신축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코어의 코어홀에 진입 또는 이탈되는 제1가변슈 및 제2가변슈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변슈는 상기 제1와이어 권취유닛의 와이어를 걸어 상기 코어홀의 소정 위치로 진입되도록 신축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2가변슈는 상기 제1가변슈에 의해 진입된 와이어에 걸림되도록 소정 위치로 진입되도록 신축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와이어가 걸린 후 회전하여 상기 제2와이어 권취유닛의 와이어에 연결하도록 제공된다.A coil lift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il lifter for feeding a coil using a wire, comprising: a lift frame having first and second wire winding units; A pair of lift arms extending from the lift frame to both widthwise sides of the coil; And a wire connecting unit provided on the pair of lift arms to connect the wire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to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through the core hole of the coil, And a first variable shoe and a second variable shoe which are rotatably or retractably provided on an end portion of the arm and enter or leave the core hole of the core, wherein the first variable shoe hooks the wire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Wherein the second variable shoe is provided so as to be retractable so as to enter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re hole, and the second variable shoe is provided so as to be retractable so as to enter a predetermined posi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wire entered by the first variable shoe, And is connected to the wire of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삭제delete

또한, 상기 제1와이어 권취유닛의 와이어는 단부에 고리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와이어 권취유닛의 와이어는 단부에 걸이부가 제공될 수 있다.The wire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ring portion at an end thereof, and the wire of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at an end portion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의 코어홀을 통해 와이어를 연결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와이어의 연결 불량 등에 의한 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of connecting the wire through the core hole of the coil is automatically progressed, thereby minimizing exposure of the worker to a dangerous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work stabil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a wire connection failure or the lik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코일 리프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가 코일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에서 제1와이어 권취부의 와이어가 제1가변슈에 연결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에서 제1와이어 권취부의 와이어를 코일의 코어홀로 진입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에서 제1와이어 권취부의 와이어를 코어홀에 위치한 제2가변슈에 연결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에서 제1와이어 권취부의 와이어가 제2가변슈에 의해 코어홀을 통과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에서 제1와이어 권취부의 와이어가 제2가변슈에 의해 제2와이어 권취부에 연결된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가 코일을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coil lif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front view of a coil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coil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that it is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coil.
Fig. 4 is a front view of a wire in a first wire winding portion of a coil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first variable shoe; Fig.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coil lif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ire of the first wire winding portion enters the core hole of the coil. Fig.
6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wire of a first wire winding portion is connected to a second variable shoe located in a core hole in a coil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wire of a first wire winding portion in a coil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assed through a core hole by a second variable shoe;
8 is a front view of the wire lifting portion of the coil lif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winding portion by the second variable shoe;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il lifter moves a c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의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of a coil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100)는 냉연 코일의 이송시 와이어를 코일(200)의 코어홀(210)을 관통하여 연결한 후, 와이어 및 이에 연계된 냉연 코일(200)을 들어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il lif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nects a wire through the core hole 210 of the coil 200 when the cold-rolled coil is fed, and then connects the wire and the cold- ).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코일 리프터(100)는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 및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이 구비된 리프트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il lift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lift frame 110 provided with a first wire winding unit 112 and a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리프트 프레임(110)은 코일(200)의 이동선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크레인 등의 고소설비에 연계되어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lift frame 110 may be provided on the movement line of the coil 200 and may be provided movably in association with a high-altitude facility such as a crane.

또한, 리프트 프레임(110)에는 코일(200)의 폭방향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프트 아암(120, 130)이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lift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lift arms 120, 130 extending to both widthwise sides of the coil 200.

이러한 리프트 아암(120, 130)은 리프트 프레임(110)에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The lift arms 120 and 13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ift frame 110.

일례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의 리프트 아암(120)의 상부에는 이동지지부(122)가 제공될 수 있고, 이 이동지지부(122)는 리프트 프레임(110)에 제공된 다수의 가이드(124)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24) 중 어느 하나에는 외주면에 나선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나선부는 일측에 제공된 구동부(126)에 연계되어 회전될 수 있다.For example, a moving support portion 12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 lift arm 120 based on the drawing, and the moving support portion 12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s 124 provided on the lift frame 110 . In addition, any one of the guides 124 may be provided with a spiral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piral portion may be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driving portion 126 provided on one side.

따라서, 구동부(126)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124)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지지부(122)가 가이드(124)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동지지부(122)의 이동에 의해 리프트 아암(120)이 리프트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refore, as the guide 124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part 126, the movable supporting part 122 moves along the guide 124, and when the movable supporting part 122 moves, And can move along the frame 110.

이와 같이, 리프트 아암(120)은 리프트 프레임(110)의 폭방향 이동에 의해 코일(200)의 양측면에 인접하게 폭이 조절될 수 있다.As such, the lift arm 120 can be adjusted in width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coil 200 by the lateral movement of the lift frame 110. [

한편,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은 이동지지부(122)에 결합되어 리프트 아암(1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can be coupled to the moving support part 122 and move together with the lift arm 120.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은 코일(200)의 코어홀(210)에 끼워지는 와이어(114)를 감거나 풀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은 와이어(114)가 권취된 (도시되지 않은) 보빈 및 이 보빈을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구동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can wind or unwind the wire 114 fitted in the core hole 210 of the coil 200. To this end,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may include a bobbin (not shown) in which the wire 114 is wound and a driving unit 113 provided to rotate the bobbin.

또한,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은 다른 한쪽, 즉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의 리프트 아암(130)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된 이동지지부(1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이동지지부(132)는 리프트 프레임(110)에 제공된 다수의 가이드(134)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34) 중 어느 하나에는 외주면에 나선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나선부는 일측에 제공된 구동부(136)에 연계되어 회전 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can be coupled to the moving support portion 132 provided to move the right lift arm 130 to the other side, that i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he moving support portion 132 may be provided movably in the plurality of guides 134 provided in the lift frame 110. [ In addition, any one of the guides 134 may be provided with a spiral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piral portion may be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driving portion 136 provided on one side.

따라서, 구동부(136)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134)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지지부(132)가 가이드(134)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동지지부(132)의 이동에 의해 리프트 아암(130)이 리프트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guide 134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136, the moving support unit 132 moves along the guide 134, and when the lift arm 130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support unit 132, And can move along the frame 110.

또한,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은 와이어(118)가 권취된 (도시되지 않은) 보빈 및 이 보빈을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구동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의 와이어(118)에는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may include a bobbin (not shown) in which the wire 118 is wound and a driving unit 117 provided to rotate the bobbin. The wire 118 of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with the wire 114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는 단부에 고리부(115)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의 와이어(118)에는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에 제공된 고리부(1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걸이부(119)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의 와이어(118)에 제공된 걸이부(119)는 후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후크 형태의 걸이부(119)가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에 제공된 고리부(115)에 걸려서 결합 유지됨에 따라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As an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wire 114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may be provided with a ring 115 at its end. The hook 118 of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may be provided with a hook 119 so as to be coupled to the hook 115 provided on the wire 114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have. The hook portion 119 provided on the wire 118 of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ok and the hook portion 119 in the form of a hook can be provided on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The connection state can be maintained by being engaged and held by the hook 115 provided on the wire 114 of the wire 114. [

또한, 코일 리프터(100)는 한 쌍의 리프트 아암(120)의 단부에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를 코일(200)의 코어홀(210)을 통과하여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il lifter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ire 114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is wound around the end of the pair of lift arms 120 through the core hole 210 of the coil 200, And a wire connecting unit 150 for connecting to the unit 116. [

와이어 연결유닛(150)은 제1가변슈(152)와 제2가변슈(1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connecting unit 150 may include a first variable shoe 152 and a second variable shoe 154.

여기서, 제1가변슈(152)는 좌측의 리프트 아암(120) 단부에 회전 및 신축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가변슈(152)는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를 걸어 코어홀(210)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Here, the first variable shoe 152 may be rotatably and retractably provided on the left end of the lift arm 120. The first variable shoe 152 can be mov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re hole 210 by hanging the wire 114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

또한, 제2가변슈(154)는 우측의 리프트 아암(130) 단부에 회전 및 신축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가변슈(154)는 제1가변슈(152)에 의해 코어홀(210)에 위치된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를 걸어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의 와이어(118)에 연결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can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retractable on the right end lift arm 130 end.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by the wire 114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located in the core hole 210 by the first variable shoe 152, To the wire 118 of the wire.

즉, 본 실시예에서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는 제1가변슈(152)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가변슈(152)가 회전하며 와이어(114)를 코일(200)의 코어홀(210) 내측으로 인도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wire 114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first variable shoe 152, the first variable shoe 152 is rotated and the wire 114 is wound around the coil 200 Of the core hole 210 of the core.

이때, 제1가변슈(152)는 리프트 아암(120)의 단부에서 신장되어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를 걸은 후, 수축된 상태에서 코일(200)의 코어홀(210)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variable shoe 152 is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lift arm 120 and hooks the wire 114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and then is wound around the core hole 210 of the coil 200 in a contracted state As shown in FIG.

그리고 좌측의 리프트 아암(120)이 코일(20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제1가변슈(152)가 신장됨에 따라 제1가변슈(152)에 걸린 와이어(114)가 코어홀(210)의 중앙부로 이동할 수 있다.As the left lift arm 120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il 200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variable shoe 152 is extended, the wire 114 caught by the first variable shoe 152 contacts the core hole 210 As shown in FIG.

한편, 좌측의 리프트 아암(120) 및 제1가변슈(152)의 이동에 연계하여 우측의 리프트 아암(130) 및 제2가변슈(154)도 코일(200)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right lift arm 130 and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can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il 200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eft lift arm 120 and the first variable shoe 152.

이때, 제2가변슈(154)는 코일(200)의 코어홀(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신장되며, 제1가변슈(152)에 걸린 와이어(114)가 걸리며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14)는 제1가변슈(15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is extend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ore hole 210 of the coil 200, and the wire 114 caught by the first variable shoe 152 can be hooked and connected. At this time, the wire 114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variable shoe 152.

그리고, 제2가변슈(154)에 와이어(114)가 연결되면, 제2가변슈(154)가 수축된다.Then, when the wire 114 is connected to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contracts.

이후 좌측 및 우측의 리프트 아암(120, 130)이 코일(200)에 대해 후퇴하며, 이와 동시에 제1가변슈(152) 및 제2가변슈(154)가 회전하게 된다.The left and right lift arms 120 and 130 are retracted with respect to the coil 200 while the first variable shoe 152 and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rotate at the same time.

또한, 제2가변슈(154)는 신장되며 와이어(114)를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의 와이어(118)에 걸 수 있다. Further,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is stretched and the wire 114 can be hooked to the wire 118 of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이때, 제1가변슈(152)로부터 전달된 와이어(114)는 고리부(115)가 제2가변슈(154)에 의해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에 제공된 와이어(118)의 걸이부(119)에 걸리며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 114 delivered from the first variable shoe 152 is hooked on the hook 118 of the wire 118 provided to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by the ring gear 115 by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119, respectively.

이와 같이,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는 제1가변슈(152)에 의해 코일(200)의 코어홀(210)로 인도된 후, 제2가변슈(154)에 의해 코일(200)을 관통하여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의 와이어(118)에 연결될 수 있다.The wire 114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is guided by the first variable shoe 152 to the core hole 210 of the coil 200 and then by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And may be connected to the wire 118 of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through the coil 200.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와이어(114)가 코일(200)을 관통하여 연결되면, 리프트 프레임(110)이 크레인 등에 연계하여 상승하고, 와이어(114)가 적정한 길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코일(200)을 들어올려 적절한 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When the wire 114 is connected through the coil 200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lift frame 110 is lifted in conjunction with the crane and the like, and the coil 110 is lifted up with the wire 114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ngth And can be transported to a suitable pl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리프터(100)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to 9, which sequentially show the operating states of the coil li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tates of the coil lif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same.

먼저, 도 3과 같이 코일 리프터(100)가 크레인 등에 연계하여 코일(200)의 상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코일 리프터(100)는 리프트 아암(120)이 코일(200)의 폭방향에 대응하여 이동된 상태에서 코일(200)에 인접하도록 하강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coil lifter 100 mov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200 in connection with a crane or the like. The coil lifter 100 is lowered adjacent to the coil 200 in a state in which the lift arm 120 is moved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il 200. [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어느 한 쪽의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리프트 아암(120)에 제공된 제1가변슈(152)가 신장되어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와 연결된다.Next, as shown in Fig. 4, the first variable shoe 152 provided on one of the lift arms 120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drawing) is elongated so that the wires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114).

그리고, 도 5와 같이, 제1가변슈(152)가 리프트 아암(120)에서 코일(200)의 코어홀(210)을 향하여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의 와이어(114)가 풀리면서 코일(200)의 코어홀(210)로 인도된다.5, the first variable shoe 152 rotates from the lift arm 120 toward the core hole 210 of the coil 200, and thereby the wire 114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And is guided to the core hole 210 of the coil 200.

도 6을 참고하면, 제1가변슈(152) 및 제2가변슈(154)가 신장되며, 제1가변슈(152)에 걸린 와이어(114)가 제2가변슈(154)에 걸려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와이어(114)는 제1가변슈(152)로부터 이탈된다.6, the first variable shoe 152 and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are extended, and the wire 114 caught by the first variable shoe 152 is engaged with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At the same time, the wire 114 is released from the first variable shoe 152.

그리고, 도 7과 같이, 제1가변슈(152) 및 제2가변슈(154)는 수축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114)는 코어의 코어홀(210)을 통과하게 된다.7, the first variable shoe 152 and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contract, and the wire 114 passes through the core hole 210 of the core.

다음으로 도 8과 같이, 코어의 코어홀(210)을 통과한 와이어(114)는 제2가변슈(154)의 회전 및 신장에 의해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의 와이어(118)에 연결된다. 이때, 제2와이어 권취유닛(116)의 와이어(118)는 단부에 후크 형태의 걸이부(119)가 제공되어, 제1와이어 권취유닛(112)유닛의 와이어(114)에 제공된 고리부(115)에 걸림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8, the wire 114 passing through the core hole 210 of the core is connected to the wire 118 of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by rotation and extension of the second variable shoe 154 do. At this time, the wire 118 of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116 is provided at the end with a hook-shaped hook portion 119, so that the hook portion 119 provided on the wire 114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112 unit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와이어(114)가 코어의 코어홀(210)을 관통하여 연결되면, 도 9와 같이 리프트 프레임(110)이 크레인 등에 연계하여 상승하고, 와이어(114)가 적정한 길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코일(200)을 들어올려 적절한 장소로 이송된다.9, when the wire 114 is connected to the core hole 210 of the core, the lift frame 110 rises in conjunction with a crane and the like, (200) is lifted and transported to an appropriate place.

또한, 양쪽 와이어(114, 118)의 상대 길이를 조정하여 코일(200)을 틸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일(200)을 권하할 위치의 바닥 기울기에 대응하여 코일의 손상이 없도록 적하할 수 있다.The coils 200 can be tilted by adjusting the relative lengths of the wires 114 and 118 so that the coils 200 can be dropped so as not to damage the coils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of the coil 200.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00: 코일 리프터 110: 리프트 프레임
112: 제1와이어 권취유닛 113: 구동부
114: 와이어 115: 고리부
116: 제2와이어 권취유닛 117: 구동부
118: 와이어 119: 걸이부
120, 130: 리프트 아암 122, 132: 이동지지부
124, 134: 가이드 126, 136: 구동부
150: 와이어 연결유닛 152: 제1가변슈
154: 제2가변슈 200: 코일
210: 코어홀
100: coil lifter 110: lift frame
112: first wire winding unit 113:
114: wire 115:
116: second wire winding unit 117:
118: wire 119:
120, 130: lift arm 122, 132:
124, 134: Guide 126, 136:
150: wire connecting unit 152: first variable shoe
154: second variable shoe 200: coil
210: core hole

Claims (3)

삭제delete 와이어를 이용하여 코일을 이송하는 코일 리프터로서, 제1 및 제2 와이어 권취유닛이 구비된 리프트 프레임; 상기 리프트 프레임에서 코일의 폭방향 양측면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프트 아암; 및 상기 한 쌍의 리프트 아암에 제공되어 상기 제1와이어 권취유닛의 와이어를 상기 코일의 코어홀을 통과하여 제2와이어 권취유닛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연결유닛은
상기 리프트 아암의 단부에 회전 또는 신축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코어의 코어홀에 진입 또는 이탈되는 제1가변슈 및 제2가변슈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변슈는 상기 제1와이어 권취유닛의 와이어를 걸어 상기 코어홀의 소정 위치로 진입되도록 신축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2가변슈는 상기 제1가변슈에 의해 진입된 와이어에 걸림되도록 소정 위치로 진입되도록 신축가능하게 제공되되, 상기 와이어가 걸린 후 회전하여 상기 제2와이어 권취유닛의 와이어에 연결하도록 제공되는 코일 리프터.
A coil lifter for feeding a coil using a wire, comprising: a lift frame having first and second wire winding units; A pair of lift arms extending from the lift frame to both widthwise sides of the coil; And a wire connecting unit provided on the pair of lift arms to connect the wire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to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through the core hole of the coil,
The wire connecting unit
And a first variable shoe and a second variable shoe which are rotatably or retractably provided on an end portion of the lift arm and enter or leave the core hole of the core,
Wherein the first variable shoe is provided so as to extend and retract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re hole by hooking the wire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The second variable shoe is provided so as to be stretchable so as to enter a predetermined position so as to be hooked on the wire entered by the first variable shoe. The second variable shoe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wire of the second wire- Coil lift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권취유닛의 와이어는 단부에 고리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와이어 권취유닛의 와이어는 단부에 걸이부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리프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ire of the first wire winding unit is provided with an annular portion at an end thereof,
And the wire of the second wire winding unit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at an end thereof.
KR1020120151576A 2012-12-21 2012-12-21 Coil lifter Active KR101461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76A KR101461747B1 (en) 2012-12-21 2012-12-21 Coil lifter
CN201380066853.9A CN104903225B (en) 2012-12-21 2013-12-20 Coil Elevator
EP13866010.5A EP2937305B1 (en) 2012-12-21 2013-12-20 Coil lifter
PCT/KR2013/011943 WO2014098514A1 (en) 2012-12-21 2013-12-20 Coil lif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76A KR101461747B1 (en) 2012-12-21 2012-12-21 Coil lif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118A KR20140082118A (en) 2014-07-02
KR101461747B1 true KR101461747B1 (en) 2014-11-14

Family

ID=5097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576A Active KR101461747B1 (en) 2012-12-21 2012-12-21 Coil lift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937305B1 (en)
KR (1) KR101461747B1 (en)
CN (1) CN104903225B (en)
WO (1) WO201409851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636B1 (en) 2021-04-20 2021-11-22 정희준 Lifting lug for cable winding bobb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7993A (en) * 1990-11-28 1992-07-17 Nippon Steel Corp Sling type hanging device
JP2000026067A (en) 1998-07-15 2000-01-25 Sumitomo Metal Ind Ltd Coil hang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3130A (en) * 1974-05-15 1976-06-15 Syracuse Supply Co., Inc. Coil unloader
US4360112A (en) * 1980-09-26 1982-11-23 Amca International Corporation Two-way extendable crane trolley
JP3618179B2 (en) * 1996-09-19 2005-02-09 三井造船株式会社 Suspended load turn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3212472A (en) * 2002-01-24 2003-07-30 Nippon Steel Corp Coil hanger
KR100879322B1 (en) * 2002-09-30 2009-01-19 주식회사 포스코 Lifting device for conveying coil of crane
KR100642316B1 (en) * 2005-11-07 2006-11-02 (주)새텍 Gripping device of coil lift and its control method
KR100711431B1 (en) * 2006-05-03 2007-04-24 주식회사 포스코 Coil Lifter with Rope
JP5130569B2 (en) * 2006-08-29 2013-01-30 イーグルクランプ株式会社 Coil lifter
CN201206080Y (en) * 2008-05-12 2009-03-11 巨力索具股份有限公司 Electric horizontal coil clamper with telescopic chel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7993A (en) * 1990-11-28 1992-07-17 Nippon Steel Corp Sling type hanging device
JP2000026067A (en) 1998-07-15 2000-01-25 Sumitomo Metal Ind Ltd Coil han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636B1 (en) 2021-04-20 2021-11-22 정희준 Lifting lug for cable winding bob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03225B (en) 2017-03-08
WO2014098514A1 (en) 2014-06-26
EP2937305A4 (en) 2015-11-11
EP2937305A1 (en) 2015-10-28
KR20140082118A (en) 2014-07-02
CN104903225A (en) 2015-09-09
EP2937305B1 (en)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50039U (en) Bar baiting structure and bar diced system
EP3197803B1 (en) Method for handling parent reels in paper converting plants
EP2809607B1 (en) A method, a device and a hoist for handling tyres
US201701743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coiled materials
JP2017528391A5 (en)
CN207671388U (en) Inflation film winder quickly up and down winding apparatus
KR101461747B1 (en) Coil lifter
KR101695485B1 (en) System for winding and/or unwinding storage reels
KR101917433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coil and apparatus for banding coil using same
KR20180021304A (en) Jig used for replacing sleeve and apparatus for replacing sleeve using same
KR20160002215U (en) Apparatus for turning over steel plate coil
KR102135157B1 (en) Apparatus for withdrawing sleev from pay off reel
CN202429772U (en) Shafted emptying unit of splitting machine
CN208054637U (en) A kind of double-station disjunctor winder
CN105858292A (en) Copper roll inspection platform with surface anti-wearing protection
CN221662141U (en) Textile fabric unreeling device
KR20130088502A (en) Drawing apparatus for strip
JP3086808U (en) Material roll mounting device for slitters
KR101091933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positon of rolled coil
KR200215177Y1 (en) Transfer guidanc apparatus for strip coil finished goods
KR20150031681A (en) Roll Transportation Car
CN111847227A (en) Four-combined sleeve lifting device and lifting method
JP6402032B2 (en) Hanging point changing pulley mechanism and method for suspending heavy load using the same
JP2019038644A (en) Device for conveying round steel ingot
JP2019107685A (en) Coil sagging correction method and coil sagging corr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