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0663B1 -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집진판 및 이를 사용하는 습식전기집진기 - Google Patents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집진판 및 이를 사용하는 습식전기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663B1
KR101460663B1 KR20130125041A KR20130125041A KR101460663B1 KR 101460663 B1 KR101460663 B1 KR 101460663B1 KR 20130125041 A KR20130125041 A KR 20130125041A KR 20130125041 A KR20130125041 A KR 20130125041A KR 101460663 B1 KR101460663 B1 KR 101460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plate
frame
dust
cartri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아름드리
Original Assignee
서울샤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샤프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샤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5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663B1/ko
Priority to PCT/KR2014/009685 priority patent/WO201506057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6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6Electrode-carrying mean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아크 방전에 의한 집진을 제공하는 습식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집진의 효율을 향상토록 하는 관체로 이루어지는 집진판의 제조의 용이성과 집진효율을 위한 집진판의 균일성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집진판을 숩식전기집진기에 장착할 경우에 장착의 특이성에 의하여 장착의 용이성은 물론 집진효율도 향상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카본 FRP를 사용하여 사각체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관체로 제작토록 한 후 상기 각각의 관체가 서로 연결되어지는 밀착면으로는 접착의 용이성을 위하여 스크래칭 면을 형성토록 한 후 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연속으로 접착토록 하여 하나의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집진판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접착고정토록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집진판은 상하단에 보강테를 형성하여 보강토록 하고, 보강테가 형성된 부분에는 집진기에 설치를 위하고 동시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후레임을 구비토록 한 후 접착고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카트리지 형태의 집진판의 상하단에 형성된 보강테와 상기 보강테의 상면에 형성된 후레임은 집진기의 내공간에 집진판의 설치를 위하여 격자바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격자바에 안착되어진 상태에서 후레임의 연결되는 부위에는 카본시트로 접착토록 하여 기밀을 유지토록 함은 물론 카트리지 형태의 집진판이 공장설비의 배출가스의 기준에 의하여 설계되는 집진기의 내공간에 정확한 갯수로 장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조각집진판을 구비토록 한 후 조립토록 하고, 이러한 상태로 조립된 상태에서 집진판의 테두리와 집진기의 내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에는 마감판을 구비토록 한 후 마감판과 집진판의 사이에 카본시트를 이용하여 접착고정토록 하여 기밀유지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집진판 및 이를 사용하는 습식전기집진기{Wet typ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아아크 방전에 의한 집진을 제공하는 습식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집진의 효율을 향상토록 하는 관체로 이루어지는 집진판과 이를 사용하는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의 용이성과 집진효율을 위한 집진판의 균일성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집진판을 습식전기집진기에 장착할 경우에 장착의 특이성에 의하여 장착의 용이성은 물론 집진효율도 향상토록 한 것이다.
현재 공장 등의 설비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 등에 함유되는 유해가스와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공해방지설비가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 스크라바에 의하여 처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입자상의 먼지 등은 제거가 용이한 반면에 물에 녹지 않는 유해가스의 제거가 곤란하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가스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아아크방전에 의하여 유해가스의 이온화를 유도하여 집진토록 하는 전기집진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집진판에 집진되어진 것의 처리에 어려움이 있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출원인이 전기집진기의 집진판에 물을 분사토록 함으로서 집진판의 집진효율을 우수하게 한 습식전기집진기를 제안한 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습식전기집진기에 사용되는 집진판은 수시로 물을 사용하게 됨으로 내습성이 우수하고 전도성이 우수한 티타늄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이 고가이고 또한 고중량이기 때문에 최근에는 가벼우면서도 전도성이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본원출원인이 제안한 카본 FRP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에서 아아크방전을 위한 전극봉이 2장의 대응되는 집진판의 사이에 위치됨으로 결국에는 집진이 좌우 평면으로 위치되어지는 집진판에서만 집진되어짐으로 집진의 효율이 좌우로만 이루어짐으로 집진의 효율이 떨어진다라는 것이다.
삭제
따라서 이러한 집진의 효율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전극봉의 사면에서 집진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관체를 구비하는 집진판의 형태를 사용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집진판에 다수개의 관체를 구비하고자 할 경우에 다수개의 관체의 구현하기 위하여 2장의 판재사이에 칸막이를 각각으로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 각각으로 칸막이로 구현되는 관체의 내부공간의 면적에 대한 균일성 유지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각각의 관체를 구획하게 되는 칸막이도 상기와 같이 수지접착제에 카본파우더가 혼합된 상태에서 매트를 중첩되게 덧대면서 FRP판재에 부착되어짐으로 결국 평판이고, 또한 집진판의 길이가 짧게는 4~5미터에서 10여미터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칸막이로 균일한 내공간의 면적을 구현한다라는 것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이러한 칸막이가 판상이기 때문에 평활도 유지등에 어려움이 있어 각각의 관체로 구획된 상태에서도 사용도중의 온도변화로 인한 비틀림으로 하자발생은 물론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특허공보 공고번호 1996-4523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집진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다수개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집진판을 사용할 경우에 제작이 용이토록 함은 물론 일정길이로 이루어지는 관체로 이루어지는 집진판을 사용할 경우에도 비틀림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각각의 관체의 내공간을 항상 균일한 면적으로 유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집진판을 습식전기집진기에 장착할 경우에 기밀성의 유지는 물론 장착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카본 FRP를 사용하여 사각체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관체로 제작토록 한 후 상기 각각의 관체가 서로 연결되어지는 밀착면으로는 접착의 용이성을 위하여 스크래칭 면을 형성토록 한 후 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연속으로 접착토록 하여 하나의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집진판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접착고정토록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집진판은 상하단에 보강테를 형성하여 보강토록 하고, 보강테가 형성된 부분에는 집진기에 설치를 위하고 동시에 기밀유지를 위하여 후레임을 구비토록 한 후 접착고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카트리지 형태의 집진판의 상하단에 형성된 보강테와 상기 보강테의 상면에 형성된 후레임은 집진기의 내공간에 집진판의 설치를 위하여 형성된 격자바에 안착토록 하고, 상기 격자바에 안착되어진 상태에서 후레임의 연결되는 부위에는 카본시트로 접착토록 하여 기밀을 유지토록 함은 물론 카트리지 형태의 집진판이 공장설비의 배출가스의 기준에 의하여 설계되는 집진기의 내공간에 정확한 갯수로 장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조각집진판을 구비토록 한 후 조립이 용이토록 하고, 이러한 상태로 조립된 상태에서 집진판의 테두리와 집진기의 내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에는 마감판을 구비토록 한 후 마감판과 집진판의 사이에 카본시트를 이용하여 접착고정토록 하여 기밀유지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관체가 조립되어 카트리지를 구성토록 하여 각각의 관체의 내공간의 균일한 면적유지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사각체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관체의 어느 일면끼리 서로 접착되어짐으로 카트리지로 조립된 상태에서 비틀림등에 의한 보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상하단으로 보강테를 형성하여 각각의 관체를 보강토록 하고, 그 보강테의 상면에 후레임을 결합함으로서 후레임이 집진기의 설치를 위한 격자바에 안착될 경우에 보강이 가능하게 되면서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런 상태에서 기밀유지를 위하여 또는 집진기의 내공간의 면적에 따라 조각카트리지를 구비토록 하여 조립토록 함으로서 간단한 조립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그 상태에서 카트리지와 집진기의 내공간을 형성하는 내벽과는 마감판을 사용하여 카본시트로 접착토록 함으로서 기밀유지는 물론 습에 의하여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저중량에 의한 안정성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카트리지 형태로 이루어지는 관체의 균일한 내공간으로 인하여 집진효율을 우수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그 효율을 장시간 유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유지 보수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큰 묶음체를 형성하는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각각의 관체를 접착하는 공정도.
도3은 본 발명의 큰 묶음체의 카트리지로 구현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작은 묶음체의 카트리지로 구현된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큰것과 작은 카트리지로 조립된 집진판의 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상단의 보강테에 후레임이 조립되는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카트리지가 격자바에 놓여지는 상태도.
도8은 본 발명의 격자바에 놓여진 후레임의 경계선이 밀봉되는 상태도.
도9는 본 발명의 하단의 보강테에 마감판이 연결되는 공정도.
도10은 본 발명의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큰 묶음체의 상단에 보강테가 형성되는 공정도.
도12는 본 발명의 습식전기집진기에 집진판이 설치된 상태도.
도13은 본 발명의 집진판에 전극봉이 형성된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식전기집진기에 설치되는 집진판을 각각의 카트리지(1)의 형태로 구현한 것으로 이러한 카트리지(1)의 구조는 내공간(11)이 균일한 면적이 유지되는 사각체로 이루어진 각각의 관체(10a,10a-1…,10b,10b-1…,10c,10c-1…)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관체(10a,10a-1…,10b,10b-1…,10c,10c-1…)의 서로 밀착되어지는 어느 일측면 이상을 밀착면(12)으로 하여 상기 밀착면(12)을 서로 접착고정토록 함으로서 열과 종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큰 묶음체(10)로 형성토록 하고, 상기 큰 묶음체(10)만으로는 집진기의 내공간에 정확하게 채움할 수 없을 경우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관체(10a,10a-1…)가 일렬 또는 이열로 접착되어지는 소묶음체(10-1)를 구비토록 한 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묶음체(10)와 소묶음체(10-1)로 집진기의 내부에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묵음체(10,10-1)의 상단과 하단에는 묶음체(10,10-1)를 형성하는 각각의 관체(10a,10a-1…,10b,10b-1…,10c,10c-1…)가 어느 일측면의 밀착면(12)으로만 부착되어 고정됨으로 고정력이 약해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묶음체(10,10-1)의 상단과 하단을 묶음토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도록 각각의 보강테(20,20a)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테(20,20a)도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시트를 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여러장을 덧대면서 반복적으로 수지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다층으로 중첩토록 하여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고, 특히 상단에 형성되는 보강테(20)에는 보강테(20)의 보강된 상태의 견고한 고정과 습식전기집진기에 설치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후레임(30)을 장착하여 하나의 카트리지(1)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에도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레임과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보강테와의 전면 또는 이면에 카본시트를 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여러장을 덧대면서 반복적인 수지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다층으로 중첩토록 하여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카트리지(1)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전기집진기에 조립설치가 용이하도록 습식전기집진기(100)의 내부에는 카트리지(1)가 위치되어지는 위치에 서로 직교하는 격자바(110)를 구비토록 하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1)를 형성하는 후레임(30)은 상기 격자바(110)에 안착되어진 상태에서 서로의 후레임(30,30a)이 안착되어지면서 서로의 후레임(30,30a)이 밀착되게 연결되는 경계선(31)이 형성되는 부위에는 카본시트를 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여러장을 덧대면서 반복적인 수지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다층으로 중첩토록 하여 기밀을 유지토록 하여 습식전기집진기에서의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도 새어남이 없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1)는 공장설비의 배출가스의 기준에 의하여 설계되는 습식전기집진기의 내공간에 정확한 갯수로 장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소묶음체(10-1)로 이루어지는 소 카트리지(1a)를 구비토록 한 후 서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카트리지(1,1a)로 조립된 상태에서 습식전기집진기의 내벽과 기밀유지를 위하여 카트리지(1,1a)의 하단에는 습식전기집진기의 내벽과 근접하게 되는 위치에는 카트리지의 후레임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마감판(15)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마감판(15)은 카트리지의 하단의 보강테(20a)의 사이에 상하면으로 카본시트(2)와 수지접착제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덧대어 중첩토록 하면서 접착고정토록 하여 기밀유지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묶음체(10,10-1)를 형성할 경우에 관체의 밀착면(12)에는 접착을 용이토록 하면서 접착력을 향상토록 하기 위하여 스크래칭면(12a)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스크래칭면(12a)에는 FRP에 친화력을 갖는 수지계열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3)을 형성한 후 서로 가압하여 접착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접착이후에는 각각의 관체(10a,10b,10c …)를 접착하여 형성되는 밀착면(12)에는 별도의 클랩프(도시생략)를 이용하여 고정이 유지토록 함으로서 접착력을 균일하고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전기집진기로 유입되는 연소가스 등은 세정과정을 거쳐 집진판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집진판을 형성하는 균일한 내공간을 갖는 사각체로 이루어지는 관체로 진입되어지고, 이때 습식전기집진기의 내벽에도 마감판으로 막혀 있고 관체를 연결하는 부위에도 서로 접착층(13)으로 막혀 있음은 물론 후레임(30)이 서로 연결되는 경계선(31)도 막혀 있기 때문에 관체로만 진입되어지고 관체로 진입되어지는 연소가스 등은 전극봉(120)의 아아크방전등에 의하여 관체의 내벽에 접착되어지면서 많은 접착면적에 의하여 집진효율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1:카트리지 2:카본시트
10:묶음체 10a,10b,10c…:관체
11:내공간 12:밀착면
13:접착층 15:마감판
20:보강테 30:후레임

Claims (4)

  1. 습식전기집진기의 격자판에 설치되는 집진판을 내공간(11)이 균일한 면적이 유지되는 사각체로 이루어진 관체(10a,10b,10c …)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사각체로 이루어진 관체는 복수의 분리되어진 각각의 관체(10a,10b,10c …)로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관체의 어느 일측면을 밀착면(12)으로 하여 상기 각각의 관체의 밀착면(12)에는 접착을 용이토록 하면서 접착력을 향상토록 하기 위하여 스크래칭면(12a)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칭면(12a)에는 FRP에 친화력을 갖는 수지계열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3)을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서로 가압하여 서로 밀착되게 하여 접착고정토록 하여 하나의 묶음체(10)로 형성토록 하고,
    상기 묶음체(10)의 상단과 하단에는 묶음체를 형성하는 각각의 관체가 일측면의 밀착면으로만 부착되어 고정됨으로 고정력이 낮아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묶음체(10)를 묶음토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도록 각각의 보강테(20,20a)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테(20,20a)는 카본시트를 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여러장을 덧대면서 반복적으로 수지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다층으로 중첩토록 하여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고
    상단에 형성되는 보강테(20)에는 보강테(20)의 보강된 상태의 견고한 고정과 습식전기집진기에 설치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후레임(30)을 장착하고,
    상기 후레임(30)은 후레임과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보강테와의 전면 또는 이면에 카본시트를 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여러장을 덧대면서 반복적인 수지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다층으로 중첩 고정하여 하나의 카트리지(1)로 구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집진판
  2. 유입되는 연소가스와 유입된 연소가스의 세정과정을 거쳐 집진판으로 상승하는 연소가스를 전기분해하여 집진판에 집진토록 하고 집진판에 집진된 연소가스를 세정수단에 의하여 수시로 세정토록 하는 습식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을 균일한 내공간을 갖는 사각체로 이루어지는 관체로 형성하면서 복수의 분리되어진 각각의 관체(10a,10b,10c …)로 구성하고,
    상기 각각의 관체의 어느 일측면을 밀착면(12)으로 하여 상기 각각의 관체의 밀착면(12)에는 접착을 용이토록 하면서 접착력을 향상토록 하기 위하여 스크래칭면(12a)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래칭면(12a)에는 FRP에 친화력을 갖는 수지계열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3)을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서로 가압하여 서로 밀착되게 하여 접착고정토록 하여 하나의 큰 묶음체(10)로 형성토록 하고,
    상기 큰 묶음체(10)의 상단과 하단에는 묶음체를 형성하는 각각의 관체가 일측면의 밀착면으로만 부착되어 고정됨으로 고정력이 낮아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묶음체(10)를 묶음토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도록 각각의 보강테(20,20a)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테(20,20a)는 카본시트를 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여러장을 덧대면서 반복적으로 수지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다층으로 중첩토록 하여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고
    상단에 형성되는 보강테(20)에는 보강테(20)의 보강된 상태의 견고한 고정과 습식전기집진기에 설치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후레임(30)을 장착하고,
    상기 후레임(30)은 후레임과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보강테와의 전면 또는 이면에 카본시트를 수지접착제를 사용하여 여러장을 덧대면서 반복적인 수지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다층으로 중첩 고정하여 하나의 카트리지(1)로 구성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큰 묶음체보다 작은 소 묶음체(10-1)를 더 구비한 후
    상기 큰묶음체의 카트리지와 소 묶음체의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집진판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습식전기집진기의 집진판이 위치되는 부위에 형성된 격자판의 상면에 상기 큰묶음체와 소 묶음체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의 후레임(30)이 놓여지도록 한 후 후레임의 연결되는 경계선(31)에는 카본시트를 덧대어서 접착하여 밀봉토록 하고,
    집진기의 내벽에는 마감판을 사용하여 카본시트와 덧대어서 카트리지와 접착하여 막힘토록 함으로서 연소가스가 관체로만 진입되어지고 관체로 진입되어지는 연소가스는 전극봉(120)의 아아크방전에 의하여 관체의 내벽에 접착되어지면서 많은 접착면적에 의하여 집진효율이 우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집진판이 장착되는 습식전기집진기




  3. 삭제
  4. 삭제
KR20130125041A 2013-10-21 2013-10-21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집진판 및 이를 사용하는 습식전기집진기 Active KR101460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041A KR101460663B1 (ko) 2013-10-21 2013-10-21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집진판 및 이를 사용하는 습식전기집진기
PCT/KR2014/009685 WO2015060575A1 (ko) 2013-10-21 2014-10-15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집진판 및 이를 사용하는 습식전기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5041A KR101460663B1 (ko) 2013-10-21 2013-10-21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집진판 및 이를 사용하는 습식전기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663B1 true KR101460663B1 (ko) 2014-11-20

Family

ID=5229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5041A Active KR101460663B1 (ko) 2013-10-21 2013-10-21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집진판 및 이를 사용하는 습식전기집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0663B1 (ko)
WO (1) WO201506057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3752B1 (en) 2020-02-27 2021-09-21 Infinite Cooling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species from a gas stream
US11123751B2 (en) 2019-08-01 2021-09-21 Infinite Cooling Inc. Panels for use in collecting fluid from a gas stream
US11298706B2 (en) * 2019-08-01 2022-04-12 Infinite Cool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fluid from a gas stream
KR20220070744A (ko) 2020-11-23 2022-05-31 최재철 세척수단이 구비된 습건식 전기 집진기
KR102412926B1 (ko) 2022-05-17 2022-06-23 정영봉 전기 집진기 집진판 번들 제조장치 및 방법
JP7433826B2 (ja) 2019-09-27 2024-02-20 住友金属鉱山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8347B (zh) * 2018-05-21 2024-09-10 中信重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净化静电除尘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845A (ja) * 1994-12-27 1996-07-09 Daikin Ind Ltd 集塵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73307A (ko) * 1999-07-01 1999-10-05 김병두 에프알피전기집진판의제조방법
KR20130029221A (ko) * 2011-09-14 2013-03-22 주식회사 리트코 허니컴대전부를 갖는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0510A (en) * 1990-06-09 1992-11-03 Metallgesellschaft Aktiengesellschaft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ying dust- and pollutant-containing exhaust gas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845A (ja) * 1994-12-27 1996-07-09 Daikin Ind Ltd 集塵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73307A (ko) * 1999-07-01 1999-10-05 김병두 에프알피전기집진판의제조방법
KR20130029221A (ko) * 2011-09-14 2013-03-22 주식회사 리트코 허니컴대전부를 갖는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3751B2 (en) 2019-08-01 2021-09-21 Infinite Cooling Inc. Panels for use in collecting fluid from a gas stream
US11298706B2 (en) * 2019-08-01 2022-04-12 Infinite Cool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fluid from a gas stream
US11786915B2 (en) 2019-08-01 2023-10-17 Infinite Cool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fluid from a gas stream
JP7433826B2 (ja) 2019-09-27 2024-02-20 住友金属鉱山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US11123752B1 (en) 2020-02-27 2021-09-21 Infinite Cooling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species from a gas stream
KR20220070744A (ko) 2020-11-23 2022-05-31 최재철 세척수단이 구비된 습건식 전기 집진기
KR102412926B1 (ko) 2022-05-17 2022-06-23 정영봉 전기 집진기 집진판 번들 제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0575A1 (ko)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663B1 (ko) 집진효율을 향상시킨 집진판 및 이를 사용하는 습식전기집진기
US5401301A (en) Device for the transport of materials and electrostatic precipitation
CN103384566B (zh) 用于静电除尘器的高电压部件附近的结构的电气屏蔽装置
US20040074387A1 (en) Low pressure drop deep electrically enhanced filter
CN107442275B (zh) 一种易于清洗的可分离式净化内芯
JP2011218347A (ja) 電気集塵機用の集塵極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423568A (zh) 柔性湿式电除尘器收尘极板固定装置及柔性湿式电除尘器
CN118903908A (zh) 一种含有纤维纸的静电滤芯结构
RU79802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CN201140110Y (zh) 插接式蜂窝圆管结构阳极板
KR101331611B1 (ko) 집진판 교체가 용이한 전기집진장치
CN102506606A (zh) 一种具有清污功能的管壳式换热器
CN204233914U (zh) 一种具有夹紧边的滤芯
CN206139343U (zh) 一种用于电除尘器的极板组
CN207520757U (zh) 一种空气净化器过滤装置
CA2899751A1 (en) Bag filter extender
CN209918076U (zh) 湿式电除尘器的阴极框架
CN222817024U (zh) 一种用于高压湿式静电除尘器内部的均气装置
CN222411874U (zh) 电解槽隔膜框
CN107282309A (zh) 收尘极板优化结构、阳极系统以及柔性湿式电除尘器
CN203874599U (zh) 微尘净化滤筒
CN110449265A (zh) 一种管式湿式静电除尘器
CN218394126U (zh) 一种新型复合材料的湿式静电阳极管
CN204135946U (zh) 一种六边形阳极管装配夹具
CN213810688U (zh) 一种净化稳定的发电锅炉烟气脱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