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60495B1 -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 - Google Patents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495B1
KR101460495B1 KR20140007239A KR20140007239A KR101460495B1 KR 101460495 B1 KR101460495 B1 KR 101460495B1 KR 20140007239 A KR20140007239 A KR 20140007239A KR 20140007239 A KR20140007239 A KR 20140007239A KR 101460495 B1 KR101460495 B1 KR 10146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boring hole
boring
camera
moni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4000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현
한동훈
Original Assignee
백종현
한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현, 한동훈 filed Critical 백종현
Priority to KR2014000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49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7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projecting a pattern on the objec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21F17/16Modification of mine passages or chambers for storage purposes, especially for liquids or g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G01N2021/9542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using a probe
    • G01N2021/954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using a probe with emitter and receiver on the prob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2Crack or fl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 막장면에 형성한 대구경의 보링공 내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이동탐사장치를 투입하여 촬영하고, 촬영화면을 모니터로 확인하면서 미굴착 터널 막장면 전방에 대한 지질 및 상태를 정확하게 사전에 파악하여 터널 발파형태 및 장약량 등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터널 바닥면의 상부 0.3~1.7m 높이에서, 막장면 전방을 향하여 대구경의 보링공(10)을 천공하는 선대구경 보링공형성단계(S100);
상기 보링공(10)에 카메라(102)가 장착된 이동탐사장치(100)를 투입하는 이동탐사장치 투입단계(S200);
상기 이동탐사장치(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보링공(10)의 내부를 촬영하는 보링공 촬영단계(S300);
상기 이동탐사장치(100)로 촬영되는 보링공(10)의 내부를 외부 모니터(200)로 관찰하는 모니터 관찰단계(S400);
상기 모니터(200)로 확인되는 보링공(10)의 내부를 통해 터널 막장면 전방의 지질상태 확인단계(S5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탐사장치 투입단계(S200)에서는 상기 이동탐사장치(100)가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101)의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105)가 설치되고, 몸체(101)의 양측면부에는 조명(106)이 설치되어 보링공(10)의 내부를 밝혀주며, 몸체(101)의 전면부에는 보링공(1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카메라(102)가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102)는 360° 회전되면서 상기 카메라(102)를 상,하,좌,우로 조정이 가능한 헤드(104)에 설치되고,
보링공 촬영단계(S300)에서는 송수신케이블(120)이 이동탐사장치(100)와 이동탐사장치(100)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장치(150)와 연결되고, 제어장치(150)는 수신케이블(121)에 의해 모니터(200)와 연결되어, 모니터(200)로 확인하면서 제어장치(150)에서 조정을 하여 이동탐사장치(100)의 구동과 촬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

Description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METHOD FOR TUNNEL GEOLOGICAL INVESTIGATION USING BORING EXCAVATION}
본 발명은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 막장면에 형성한 대구경의 보링공 내부에 카메라가 설치된 이동탐사장치를 투입하여 촬영하고, 촬영화면을 모니터로 확인하면서 미굴착 터널 막장면 전방에 대한 지질 및 상태를 정확하게 사전에 파악하여 터널 발파형태 및 장약량 등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터널을 설계함에 있어서 터널 굴착 심도에서의 지질정보를 완전히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지표조사 또는 시추조사 등에서 얻어진 대략적인 정보에 의해 지질 상태를 예측하여 터널을 설계할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시공 도중 설계 전에 예측하지 못했던 지질 상태의 출현은 터널 시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상황이며, 적절하고 신속한 현장 대응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터널 막장의 붕괴 및 낙반 등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을 가져온다.
이와 같이 터널 시공현장에서 터널 막장의 지질 상태에 대한 신속한 현장 대응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경우 이에 대한 객관적 정보가 미흡한 상태에서 전적으로 현장기술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지지보강재의 종류, 간격 및 두께에 대한 변화를 주는 시공 중 현장설계가 이루어지거나, 이에 대한 정보 관리 및 분석이 사실상 방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시공 중 막장 지질암반 정보의 확보 및 관리의 부적절함은 시공 완료 후 터널의 효과적인 유지 관리에 있어서도 커다란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288180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227582호와 같이 현장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종합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었으나 막장 정보의 수집이 기존의 방법을 벗어나지 못함으로 인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현장 분석이 불가능하고 시공 중의 현장 설계는 여전히 현장기술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널의 막장면에 대구경의 보링공을 천공하고 보링공 내부에 이동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탐사장치를 투입하여 보링공의 내부를 촬영한 후 촬영된 화면을 외부 모니터로 관찰하므로 터널 굴착 예정 장소의 정확한 지질조사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보링공 내부에 발생되어 있는 크랙, 지하수 유출, 암반의 풍화대 구간등을 보수하여 발파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는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 바닥면의 상부 0.3~1.7m 높이에서, 막장면 전방을 향하여 대구경의 보링공(10)을 천공하는 선대구경 보링공형성단계(S100)와
상기 보링공(10)에 카메라(102)가 장착된 이동탐사장치(100)를 투입하는 이동탐사장치 투입단계(S200)와
상기 이동탐사장치(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보링공(10)의 내부를 촬영하는 보링공 촬영단계(S300)와
상기 이동탐사장치(100)로 촬영되는 보링공(10)의 내부를 외부 모니터(200)로 관찰하는 모니터 관찰단계(S400)와
상기 모니터(200)로 확인되는 보링공(10)의 내부를 통해 터널 막장면 전방의 지질상태 확인단계(S5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탐사장치 투입단계(S200)에서는 상기 이동탐사장치(100)가 이동가능하도록 몸체(101)의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105)가 설치되고, 몸체(101)의 양측면부에는 조명(106)이 설치되어 보링공(10)의 내부를 밝혀주며, 몸체(101)의 전면부에는 보링공(1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카메라(102)가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102)는 360° 회전되면서 상기 카메라(102)를 상,하,좌,우로 조정이 가능한 헤드(104)에 설치되고,
보링공 촬영단계(S300)에서는 송수신케이블(120)이 이동탐사장치(100)와 이동탐사장치(100)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장치(150)와 연결되고, 제어장치(150)는 수신케이블(121)에 의해 모니터(200)와 연결되어, 모니터(200)로 확인하면서 제어장치(150)에서 조정을 하여 이동탐사장치(100)의 구동과 촬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널 굴착 예정장소의 지질 및 상태를 미리 빠른 시간 안에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지질 및 상태를 통해 터널 발파 형태, 굴진거리, 장약량 등을 선정할 수 있어 터널 발파시 작업시간 단축과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리측정장치가 설치된 이동탐사장치를 통해 보링공 내에 발생되어 있는 크랙, 지하수 유출, 풍화대 분포구간 등을 확인할 수 있고, 크랙발생, 지하수 유출, 풍화대 분포 구간 등을 보수제로 보수하여 터널 발파시 발파효율을 높이고 터널 붕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본 발명에 따른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2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막장면에 형성된 보링공 상태도.
도3 본 발명에 따른 보링공촬영을 위한 장치의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막장면에 형성된 보링공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링공촬영을 위한 장치의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은 선대구경 보링공형성단계(S100), 이동탐사장치 투입단계(S200), 보링공 촬영단계(S300), 모니터 관찰단계(S400), 지질상태 확인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대구경 보링공형성단계(S100)에서는 보링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지질조사를 하기위한 터널의 막장면 전방을 향해 대구경의 보링공(10)을 천공한다.
이때, 보링공(10)의 높이는 터널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0.3~1.7mm(종래에 비해 낮은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터널의 막장면을 형성하는 암석은 인장력에 대해 제일 약하고, 그 다음으로 전달력에 대해 약하며, 압축력에 대하여는 가장 강하다.
그래서 보링공(10)을 통한 터널의 지질조사 후에 보링공(10)을 자유면으로 이용하여 터널을 발파시, 자유면의 상부 암석은 자유면 방향(중력방향)을 향하여 인장력(중력)을 받게 되므로, 작은 발파력(적은 장약량)에 의해서도 쉽게 발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보링공(10)의 0.3~1.7m 높이는 현실적인 장비의 규모, 중량 등을 고려하였을 때, 보링공(10) 형성을 위한 가장 낮은 위치인 것이다.
상기 이동탐사장치 투입단계(S200)에서는 상기 보링공형성단계(S100)에서 천공된 보링공(10) 내에 카메라(102)가 장착된 이동탐사장치(100)를 투입한다.
상기 이동탐사장치(100)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몸체(101)의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105)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101)의 양측면부에는 보링공(10)의 내부를 밝게 비춰주도록 조명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탐사장치(100)의 몸체(101) 전방에는 보링공(1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카메라(102)가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102)는 몸체(101)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360° 회전가능하며, 상기 카메라(102)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는 헤드(104)에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링공 촬영단계(S300)에서는 이동탐사장치(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보링공(10)의 내부를 이동탐사장치(100)에 설치된 카메라(102)로 촬영을 한다.
상기 이동탐사장치(100)에는 이동탐사장치(100)를 조정하고, 이동탐사장치(10)의 카메라(102)로 촬영되는 화면을 모니터(200)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장치(150)가 송수신케이블(120)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어장치(150)는 수신케이블(121)에 의해 모니터(200)와 연결되어 외부에 설치된 모니터(200)로 이동탐사장치(100)의 이동을 확인하면서 제어장치(150)로 이동탐사장치(100)의 전,후방 이동 및 카메라(102)의 회전등을 조정하여 보링공(10)의 내부를 상,하,좌,우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 관찰단계(S400)에서는 상기 이동탐사장치(100)의 카메라(102)로 촬영된 화면을 외부에 설치된 모니터(200)로 관찰한다.
상기 이동탐사장치(100)의 카메라(102)로 촬영된 보링공(10) 내부의 화면은 송수신케이블(120)을 통해 제어장치(150)에 전송되고, 제어장치(150)에서는 전송되는 이동탐사장치(100)에서의 촬영화면을 모니터(200)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해주어, 작업자가 외부에 설치된 모니터(200)를 통해 보링공(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지질상태 확인단계(S500)에서는 작업자가 모니터(200)에 디스플레이된 보링공(10)의 내부를 관찰하여 터널 막장면 전방의 지질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모니터(200)를 통해 보링공(10)의 내부를 확인하면서, 보링공(10) 내부에 발생되어 있는 크랙, 지하수 유출, 암반의 풍화대 분포구간 등을 조사하여, 터널의 발파형태, 굴진거리, 장약량, 터널 보강공법 등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동탐사장치(100)에는 몸체(101)의 전면부 하측으로 거리측정장치(107)가 설치되어, 거리측정장치(107)를 통해 이동탐사장치(10)의 이동거리를 모니터(200)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보링공(10) 내부에 발생되어 있는 크랙, 지하수 유출, 암반의 풍화대 분포구간 등의 위치를 작업자가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터널 발파 예정구간에 크랙발생, 지하수 유출, 암반의 풍화대 분포구간등이 넓을 경우에는 터널 굴착을 위한 발파시, 크랙, 유출되는 지하수등에 의해 장약이 불완전 발파되어 유독가스의 발생 및 발파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와 풍화대 분포구간 등에 의한 터널 풍괴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터널 막장면에서 보링공(10)의 외측이며, 이동탐사장치(100)를 통해 확인된 크랙, 지하수 유출, 암반의 풍화대 분포 위치등에 맞혀 소형시추공(20)을 천공하고, 천공된 소형시추공(20)에 보수제를 주입하여 크랙, 지하수 유출, 암반의 풍화대 분포구간 등을 보수하도록 한다.
그리고 크랙발생, 지하수 유출, 암반의 풍화대 분포구간 등을 보수하기 위한 보수제는 다공성과 투수성이 낮아 방수성능이 뛰어난 알루미네이트 시멘트 30~50중량%, 다른 조성물들의 침강을 방지하는 벤토나이트 30~50중량%, 보수제의 접착력을 증가시켜주며 보습성을 향상시켜 보수제의 물리적 성능을 향상시켜주는 메틸셀룰로오즈 3~6중량%, 보수제의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는 나프탈렌 술폰산 나트륨염 3~6중량%, 보수제의 탄성력을 증대시키며 갈라짐을 방지하는 디부틸프탈레이트 5~1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을 통해서는 터널 굴착 예정 장소의 정확한 지질 및 상태(내부 출수, 절미방향, 강도, 풍화 등)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터널 발파형태, 장약량 및 터널 보강공법 등을 미리 선정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보수, 보강작업을 할 수 있어 터널 발파시 발파효율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어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에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보링공 20-소형시추공
100-이동탐사장치 101-몸체
102-카메라 104-헤드
105-바퀴 106-조명
107-거리측정장치 120-송수신케이블
121-수신케이블 150-제어장치
200-모니터

Claims (4)

  1. 터널 바닥면의 상부 0.3~1.7m 높이에서, 막장면 전방을 향하여 대구경의 보링공(10)을 천공하는 선대구경 보링공형성단계(S100);
    상기 보링공(10)에 카메라(102)가 장착된 이동탐사장치(100)를 투입하는 이동탐사장치 투입단계(S200);
    상기 이동탐사장치(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보링공(10)의 내부를 촬영하는 보링공 촬영단계(S300);
    상기 이동탐사장치(100)로 촬영되는 보링공(10)의 내부를 외부 모니터(200)로 관찰하는 모니터 관찰단계(S400);
    상기 모니터(200)로 확인되는 보링공(10)의 내부를 통해 터널 막장면 전방의 지질상태 확인단계(S5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탐사장치 투입단계(S200)에서는 상기 이동탐사장치(100)가 이동가능하도록 몸체(101)의 하부에 다수개의 바퀴(105)가 설치되고, 몸체(101)의 양측면부에는 조명(106)이 설치되어 보링공(10)의 내부를 밝혀주며, 몸체(101)의 전면부에는 보링공(1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카메라(102)가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102)는 360° 회전되면서 상기 카메라(102)를 상,하,좌,우로 조정이 가능한 헤드(104)에 설치되고,
    보링공 촬영단계(S300)에서는 송수신케이블(120)이 이동탐사장치(100)와 이동탐사장치(100)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장치(150)와 연결되고, 제어장치(150)는 수신케이블(121)에 의해 모니터(200)와 연결되어, 모니터(200)로 확인하면서 제어장치(150)에서 조정을 하여 이동탐사장치(100)의 구동과 촬영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탐사장치(100)에는 몸체(101)의 전면부 하측에 거리측정장치(107)가 설치되어 보링공(10) 내부의 크랙발생 위치, 지하수 유출 위치, 암반의 풍화대 분포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보링공(10) 내부의 크랙발생, 지하수 유출, 암반의 풍화대 분포 위치를 확인한 후 보링공(10)의 외측에서 크랙발생, 지하수 유출, 암반의 풍화대 분포 위치에 소형시추공(20)을 천공한 후 소형시추공(20)에 보수제를 주입하여 보수하며,
    상기 보수제는 알루미네이트 시멘트 30~50중량%, 벤토나이트 30~50중량%, 메틸셀룰로오즈 3~6중량%, 나프탈렌 술폰산 나트륨염 3~6중량%, 디부틸프탈레이트 5~10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140007239A 2014-01-21 2014-01-21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6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239A KR101460495B1 (ko) 2014-01-21 2014-01-21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239A KR101460495B1 (ko) 2014-01-21 2014-01-21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495B1 true KR101460495B1 (ko) 2014-11-11

Family

ID=5228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72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0495B1 (ko) 2014-01-21 2014-01-21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4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796A (ko) * 2019-10-24 2021-05-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천공 경로 탐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공 경로 탐색 방법
CN118688429A (zh) * 2024-08-29 2024-09-24 中铁二十一局集团轨道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模拟在渗流状态下隧道掘进的试验系统及试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858B1 (ko) * 2003-06-27 2005-11-28 이철민 관로 탐사장치
KR100537047B1 (ko) * 2002-12-13 2005-12-16 탑전자산업 주식회사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047B1 (ko) * 2002-12-13 2005-12-16 탑전자산업 주식회사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자주차
KR100530858B1 (ko) * 2003-06-27 2005-11-28 이철민 관로 탐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796A (ko) * 2019-10-24 2021-05-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천공 경로 탐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공 경로 탐색 방법
KR102258271B1 (ko) * 2019-10-24 2021-05-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천공 경로 탐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공 경로 탐색 방법
CN118688429A (zh) * 2024-08-29 2024-09-24 中铁二十一局集团轨道交通工程有限公司 一种模拟在渗流状态下隧道掘进的试验系统及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153B1 (ko) 토압 균형식 tbm 설계, 연구를 위한 굴착과 배토과정 모사 시험장치,시험방법 및 분석 시스템
CN105339579B (zh) 用于控制冲击式钻凿过程的布置
US60418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imaging and downhole operations at a work site in wellbores
CN106245626A (zh) 一种硬岩层旋挖钻进方法
CN105697023B (zh) 一种隧道地质勘探方法、系统及微型掘进机
CN108360527A (zh) 一种土石方开挖施工方法
CN108678739A (zh) 一种用于复杂地层的多功能钻具总成及其钻进方法
Navarro et al. Assessment of drilling deviations in underground operations
JP5472998B2 (ja) トンネルの切羽前方の地山・地質構造の探査方法
KR101460495B1 (ko) 선대구경 굴착에 의한 터널 지질조사방법
CN117111175A (zh) 一种tbm隧洞综合地质预报方法
Cheng et al. Control of jet grouting process induced ground displacement in clayey soil
CN104806256B (zh) 一种盾构突遇溶腔洞内处理方法
CN110847809B (zh) 紧邻地下结构的桩基成孔方法
CN117703374A (zh) 小煤柱巷道覆岩层区域造缝卸压方法
CN106592654A (zh) 一种钢管桩垂直度监测方法
KR102183346B1 (ko) 천공 데이터 분석 시스템 및 그의 분석 방법
CN108590668A (zh) 一种暗挖车站超长管棚拉管法
KR20250038948A (ko) 터널 발파형태 및 장약량의 선정을 위한 터널지질 조사방법
CN114294061A (zh) 一种采区矿压立体化监测方法
CN113833432A (zh) 水力压裂弱化卸压施工方法及施工系统
Rodgers et al. Monitoring while drilling shafts in Florida limestone
CN118837938B (zh) 一种护盾式tbm掘进隧洞地震反射超前预报装置与方法
CN219932059U (zh) 一种复杂土体层原位试验引孔装置
KR20020025936A (ko) 방향제어 시추조사장치, 조사방법 및 그에 따른 터널의시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