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9093B1 -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 - Google Patents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093B1
KR101459093B1 KR1020130117954A KR20130117954A KR101459093B1 KR 101459093 B1 KR101459093 B1 KR 101459093B1 KR 1020130117954 A KR1020130117954 A KR 1020130117954A KR 20130117954 A KR20130117954 A KR 20130117954A KR 101459093 B1 KR101459093 B1 KR 101459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main body
tap
pin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남
Priority to KR1020130117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09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스크의 배선홀에 장착되어서 데스크 위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간편하게 접속될 수 있는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은 플러그가 접속되는 본체; 데스크의 배선홀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를 데스크 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Multi-tap fixed on hole of desk}
본 발명은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스크의 배선홀에 장착되어서 데스크 위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간편하게 접속될 수 있는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데스크나 사무실의 데스크에는 PC, 스탠드, 음향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제품이 구비된다.
이러한 데스크의 전자제품들은 매입형 콘센트에 연결된 멀티탭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데스크의 전자제품에 구비되는 플러그의 케이블이 데스크 위에 배치되면 미관이 조잡해지고 데스크의 사용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데스크의 모서리 부분에는 플러그의 케이블이 관통하는 배선홀이 천공되어서, 플러그의 케이블을 배선홀로 관통시키고 데스크 아래에 배치된 멀티탭에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한다.
이처럼 배선홀을 이용해 데스크 아래에서 플러그를 멀티탭에 접속하는 방식은 데스크 위가 깔끔하게 정리되지만, 플러그를 멀티탭에 접속시키거나 접속을 해제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몸을 낮추고 허리를 굽혀서 데스크 아래로 들어가야 하는 불편이 있고, 부주의에 의해서 사용자의 발이나 사용자가 앉아 있는 의자가 멀티탭을 건드려서 멀티탭이 파손되거나 플러그의 접속이 끊기는 등의 사고가 종종 발생된다.
이와 같이 멀티탭이 데스크 아래에 배치됨에 따른 불편과 사고의 예방을 위해서 데스크 위에 멀티탭을 올려놓고 사용하기도 하지만, 멀티탭이 고정되지 않고 방치되어서 미관을 해치고, 멀티탭이 데스크 위에서 떨어져 손상되는 일이 종종 발생된다.
그래서 멀티탭을 데스크 위에 고정하여 배치시킴으로써, 플러그의 접속과 접속의 해제가 편리하고, 멀티탭과 플러그의 케이블에 의해 미관이 조잡해지며 데스크의 사용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멀티탭이 데스크에서 낙하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멀티탭을 데스크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2009-0013978호 "고정장치가 구비된 멀티탭"이 개시되었다.
상기 공개특허 제2009-0013978호 "고정장치가 구비된 멀티탭"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결합되는 멀티탭 본체와, 브라켓을 데스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개특허 제2009-0013978호는 브라켓을 데스크의 상부면이나 상부의 측면에 조임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데스크에 손상을 주고, 브라켓과 멀티탭의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서 미관을 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멀티탭이 사용자의 잦은 활동영역에 있는 데스크 위에 설치되면 부주의로 데스크에 쏟는 물기와 접촉될 소지가 많다.
멀티탭에 물기 유입되면 감전이나 전기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멀티탭에서는 물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데스크에 구비되는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탭을 데스크 아래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의 불편과 부주의에 의한 파손의 문제, 그리고 멀티탭을 데스크 위에 올려놓고 방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미관의 조잡과 데스크 사용의 방해와 멀티탭의 낙하에 의한 파손 문제와, 멀티탭의 케이블이 노출됨에 따른 미관의 조잡과 데스크 사용의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멀티탭을 데스크 위에 고정하여 배치시킴으로써 플러그의 접속과 해제가 편리하고, 멀티탭이 데스크에서 낙하되어 손상될 위험이 없고, 특히 데스크의 모서리 부분에 천공되어 있는 배선홀에 멀티탭을 고정시킴으로써 플러그의 케이블이 보다 깔끔하게 정리되어서 미관을 해하고 사용자의 데스크 사용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멀티탭의 케이블은 배선홀을 관통하여 은폐됨으로써 멀티탭의 케이블이 미관을 해치거나 데스크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데스크 위에 배치되어서 물기와 접촉될 가능성이 커져서 감전이나 전기화재 등이 위험에 대비하여 방수성을 강화한 데스크이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은
플러그가 접속되는 본체;
데스크의 배선홀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를 데스크 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선홀에 관통 배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본체가 고정되고, 내부로는 상기 본체의 케이블이 관통하며,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하부측 외면에 스크류결합되어서 데스크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장착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볼트부재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서 데스크의 상부면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일측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접촉하여 파지하는 두 그립과,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며 양측으로 연결된 상기 두 그립의 간격을 조절하여서 두 그립이 상기 본체를 가압하여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는 간격조절핀을 포함하는 파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간격조절핀의 양측으로는 상기 두 그립이 각기 스크류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되, 양측의 나사산은 서로 역방향으로 형성되어서 간격조절핀의 정역회전에 따라 두 그립이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간격조절핀의 중앙부위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내부로 삽입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오목홈에 배치되어서 간격조절핀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센터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은 플러그가 접속되는 멀티탭 본체가 책상에 구비되어서 사용자가 플러그를 본체에 접속하거나 접속을 해제하는 것이 편리하고, 멀티탭 본체가 데스크의 모서리에 천공된 배선홀에 고정되어서 멀티탭 본체가 데스크에서 낙하되어 손상될 위험이 없으며 플러그의 케이블이 데스크의 뒤쪽에 배열 고정되기에 케이블에 의한 미관의 조잡과 데스크 사용의 방해를 최소화하고, 멀티탭 본체의 케이블은 배선홀을 관통하여 데스크 아래에 은폐됨으로써 멀티탭 본체 케이블에 의한 미관의 조잡과 사용의 방해가 없는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이고, 더불어 멀티탭 본체에 방수수단을 도입하여 멀티탭 본체에 물기가 침투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감전이나 전기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탭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하다.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이 데스크에 고정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 는 도1에서 파지부재를 더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이 데스크에 고정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1의 단면도 및 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은 본체(10)와 고정수단(S),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수수단(40)의 구성요소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통상의 멀티탭에 상응(발명의 명칭과 혼동이 없도록 '본체'로 명명하였음)하는 구성요소로서, 구성품들을 내장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구(13)를 포함하고, 각 접속구(13)가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개별전원스위치와, 모든 접속구(13)가 플러그에 전원을 일괄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일괄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10)에는 통상의 멀티탭(즉,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기사용중인 멀티탭)에 비해 방수수단(40)을 더 구비하는데, 기사용중인 통상의 멀티탭을 본체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방수수단(40)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고정수단(S)은 상기 본체(10)를 데스크(1)의 배선홀(3)에 장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수단(S)은 상기 본체(1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서, 본 발명을 위해 제작된 전용 멀티탭 본체(10) 뿐만 아니라 기사용중인 멀티탭 본체(10)도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S)은 접속구(13)가 2개, 3개, 4개 있는 멀티탭 본체(10), 접속구(13) 이외에 전원스위치, 전력량계 등이 있는 멀티탭 본체(10) 등과 같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여러 종류의 멀티탭 본체(10)도 체결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수단(S)은 볼트부재(50), 너트부재(60), 걸림판(70), 지지판(80), 파지부재(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부재(50)는 데스크(1)의 배선홀(3)에 관통되어 배치되고, 외면에는 상기 너트부재(60)가 스크류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본체(10)의 케이블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하를 관통하여 중공(51)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재(60)는 상기 볼트부재(50)에 스크류 결합되어서 배선홀(3) 주면의 데스크(1) 하부면을 접촉 가압하여, 고정수단(S)을 데스크(1)에 고정 장착시킨다.
데스크(1)의 하부면에 접촉되는 상기 너트부재(60) 전체 또는 너트부재(60)의 상부면은 접촉 가압되는 데스크(1)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스크류결합이 풀려 접촉 가압력이 약해지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부드러운 재질(예; 고무, 실리콘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걸림판(70)은 상기 볼트부재(5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서 배선홀(3) 주변의 데스크(1) 하부면에 걸려 지지된다.
상기 지지판(80)은 상기 걸림판(70)의 일측, 즉, 후방측에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서 상기 본체(10)의 후면을 접촉 지지하고,
상기 파지부재(90)는 상기 지지판(80)에 지지된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파지함으로써 본체(10)를 고정시킨다.
본체(10)는 접속구(13)의 개수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지고, 접속구(13) 옆에 스위치나 전력량계 등의 구비여부에 따라 그 폭이 달라져서, 길이와 폭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다.
그래서 상기 고정수단(S)은 길이와 폭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본체(1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미관을 고려하여 그 노출은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다양한 종류의 멀티탭 본체(10)에 가장 작은 것은 도면과 같이 접속구(13)를 2개 갖고, 스위치 등이 구비되지 않는 본체(10), 즉, 2구 멀티탭이다.
그래서 본체(10)의 후면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판(80)은 2구 멀티탭의 길이와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길이와 폭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데스크(1) 앞에서 앉아서 볼 때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0)의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상기 파지부재(90)의 두 그립(91)은 그 좌우 간격이 임의로 조절되도록 하여 폭이 다른 멀티탭 본체(10)도 파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지부재(90)는 상기 본체(10)의 양측을 각각 가압하여 파지하는 두 그립(91)과, 상기 지지판(80)의 후면에 구비되는 몸체(93)와, 상기 몸체(93)를 관통하며 관통된 양측에는 각기 상기 그립(91)이 스크류결합되는 간격조절핀(9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간격조절핀(95)의 양측 외면에는 각기 상기 그립(91)이 스크류결합되도록 나사산(95a)이 형성되는데, 양측의 나사산(95a)은 그 방향이 역방향으로 형성되어서 간격조절핀(95)이 정역회전에 따라 양측의 두 그립(91)이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하여 간격이 좁아지거나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하여 간격이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그립(91)이 본체(10)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속도가 보다 빨리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93)를 관통한 상기 간격조절핀(95)이 몸체(93)의 일측으로 치우쳐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간격조절핀(95)의 중앙부위에는 오목홈(95b)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95b)에는 센터핀(97)의 단부가 배치되어서, 오목홈(95b)에 걸린 센터핀(97)에 의해서 간격조절핀(95)이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터핀(97)은 상기 몸체(93)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스크류결합되어 고정되며, 몸체(93) 내부로 삽입된 단부는 몸체(93)를 관통한 간격조절핀(95)의 오목홈(95b)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핀(95)의 일측 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간격조절핀(95)을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손잡이(95c)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상기 고정수단(S)은 상기 지지판(8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상기 본체(10)의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안정성을 높인다.
여러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탭은 감전이나 전기화재 등의 전기사고 예방을 위해서 방수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손이 쉽게 미칠 수 있는 주변 데스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멀티탭으로서 물기와 접촉될 소지가 많아서 방수성이 더욱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하우징(11)에 방수수단(40)을 도입하였다.
우선, 상기 본체(10)의 하우징(11)은 서로 맞물려 조립결합되는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6)로 구성된다.
서로 맞물려 조립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21)에는 내측으로 단차진 내단턱(2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6)에는 외측으로 단차진 외단턱(27)에 형성되어, 내단턱(22)과 외단턱(27)이 맞물린다.
그리고 맞물린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6)가 분리되지 않고 조립결합되도록 상기 내단턱(22)에는 후크홀(23)이 형성되고 상기 외단턱(27)에는 후크돌기(28)가 형성되어서, 상기 후크돌기(28)가 상기 후크홀(23)에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된다.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6)는 맞물려 조립결합됨으로써 내부에 각종 구성품(예; 접속수의 접속단자, 스위치의 온오프단자 등)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이처럼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하우징(11)의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6)의 결합틈새를 밀폐하는 상기 방수수단(40)은
상기 상부케이스(21)의 내단턱(22)의 내측으로 연결된 하부접촉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상부끼움돌기(41)와,
상기 하부케이스(26)의 외단턱(27)의 내측으로 연결된 상부접촉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끼움돌기(41)에 엇갈려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하부끼움돌기(42)와,
상기 상부끼움돌기(41)와 하부끼움돌기(42)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중간부는 지그재그구조를 갖고, 내부에는 에어가 채워져서, 상부끼움돌기(41)와 하부끼움돌기(42)가 끼움결합될 때 내부의 에어가 양측 가장자리로 몰리면서 양측이 각각 팽창하여 상부끼움돌기(41)와 하부끼움돌기(42)에 밀착되는 밀폐패드(43)와,
에어가 몰려 팽창되는 상기 밀폐패드(43)의 가장자리가 케이스에 밀착되도록 밀폐패드(43)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부(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패드(43)의 내측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모두 연결되어서 상기 상부끼움돌기(41)와 하부끼움돌기(42)의 결함틈새를 덮어 밀폐하고, 외측은 수용된 좁은 공간 내에서 팽창하여 결합틈새를 밀폐시킨다.
상기 밀폐패드(43)는 그 형상을 최대한 유지하며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서, 상부끼움돌기(41)와 하부끼움돌기(42)가 끼움결합되어 접촉 가압하면, 내부의 에어가 접촉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양측으로 이동을 하여서 양측이 팽창을 하게 되고,
팽창된 양측은 각각 상부끼움돌기(41)와 하부끼움돌기(42)의 결합 틈새를 덮으면서 케이스에 밀착되어서, 케이스(20)의 수용공간으로 외부의 물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40 : 방수수단
41 : 상부끼움돌기 42 : 하부끼움돌기
43 : 밀폐패드
50 : 볼트부재
60 : 너트부재
70 : 걸림판
80 : 지지판
90 : 파지부재
91 : 그립 93 : 몸체
95 : 간격조절핀 97 : 센터핀

Claims (4)

  1. 플러그가 접속되는 본체;
    데스크의 배선홀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를 데스크 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배선홀에 관통 배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본체가 고정되고, 내부로는 상기 본체의 케이블이 관통하며,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하부측 외면에 스크류결합되어서 데스크의 하부면을 가압하여 장착시키는 너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서 데스크의 상부면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의 일측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접촉하여 파지하는 두 그립과,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를 관통하며 양측으로 연결된 상기 두 그립의 간격을 조절하여서 두 그립이 상기 본체를 가압하여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는 간격조절핀을 포함하는 파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핀의 양측으로는 상기 두 그립이 각기 스크류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되, 양측의 나사산은 서로 역방향으로 형성되어서 간격조절핀의 정역회전에 따라 두 그립이 동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간격조절핀의 중앙부위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내부로 삽입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오목홈에 배치되어서 간격조절핀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센터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
KR1020130117954A 2013-10-02 2013-10-02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 Expired - Fee Related KR101459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54A KR101459093B1 (ko) 2013-10-02 2013-10-02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954A KR101459093B1 (ko) 2013-10-02 2013-10-02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093B1 true KR101459093B1 (ko) 2014-11-12

Family

ID=5228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95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9093B1 (ko) 2013-10-02 2013-10-02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0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3190A (zh) * 2016-08-03 2016-11-09 眉山市政鑫科技有限公司 多功能节能环保液压升降火锅餐桌
KR102046923B1 (ko) * 2018-05-23 2019-11-20 (주)코스모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567Y1 (ko) * 2004-09-09 2004-11-26 장근대 책상용 전선 안내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567Y1 (ko) * 2004-09-09 2004-11-26 장근대 책상용 전선 안내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3190A (zh) * 2016-08-03 2016-11-09 眉山市政鑫科技有限公司 多功能节能环保液压升降火锅餐桌
CN106073190B (zh) * 2016-08-03 2018-07-13 眉山市政鑫科技有限公司 多功能节能环保液压升降火锅餐桌
KR102046923B1 (ko) * 2018-05-23 2019-11-20 (주)코스모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0940C (en)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with housing
US8920191B2 (en) Clamp-on furniture electrical outlet
US20070275594A1 (en) Multipurpose power center
CA2832523C (en) Child-resistant plug
US6036536A (en) Different features in the structure of an electrical outlet
KR101459093B1 (ko) 데스크의 배선홀 고정형 멀티탭
US9590371B2 (en) Assemblies for selectable mounting of power input cabl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180115852A (ko)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JP2004355987A (ja) 防水型モジュラコネクタ
US11682863B2 (en) Secure outlet device and method
KR101323598B1 (ko) 멀티탭
AU2015101842A4 (en) Power Assembly
KR101583784B1 (ko) 스위치 조작이 용이한 클램핑 설치형 멀티탭 어셈블리
KR200419477Y1 (ko) 플러그 분리수단을 구비한 멀티탭
KR101459094B1 (ko) 데스크용 멀티탭
KR20130112396A (ko) 커넥터
US5222131A (en) Telephone protector including removable fuse holder
EP2317608B1 (en) Cable plug system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CN218677741U (zh) 一种防水插座
KR101714447B1 (ko) 윙 미니 usb 플러그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훅크를 통한 모니터와 거치대의 결합구조
CN222233901U (zh) 一种穿墙式接线端子
JP6158490B2 (ja) マグネット式テーブルタップ
CN204481242U (zh) 带线缆防脱器的电气箱
JP2001326030A (ja) 多口タ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