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533B1 - System For Reducing Sludge Using Metabolic Uncoupl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ducing Sludge Using Metabolic Uncoup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8533B1 KR101458533B1 KR20140096270A KR20140096270A KR101458533B1 KR 101458533 B1 KR101458533 B1 KR 101458533B1 KR 20140096270 A KR20140096270 A KR 20140096270A KR 20140096270 A KR20140096270 A KR 20140096270A KR 101458533 B1 KR101458533 B1 KR 1014585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tank
- metabolic
- uncoupler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가 유입되어 생물처리공정이 수행되는 생물반응조; 상기 생물반응조로부터 처리수를 유입하여 고액분리가 수행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에서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된 슬러지를 유입하고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투입하여 슬러지를 감량시키는 슬러지감량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이용한 슬러지 감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reactor in which a wastewater is introduced and a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A sedimentation tank into which the treated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bioreactor to perform solid-liquid separation; And a sludge reduction tank for introducing the separated sludge into the sedimentation tank through solid-liquid separation and introducing a metabolic uncoupler into the sludge reducing tank to reduce sludge. Reduction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폐수의 생물학적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 등을 이용하여 감량시켜 슬러지 폐기처리량을 줄이거나 없애고 생물학적 처리에 적합한 상태로 슬러지를 반송시킬 수 있는 슬러지감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ludge generated in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of wastewater and wastewater is reduced by using a metabolic uncoupler or the like to reduce or eliminate the disposal amount of the sludge and to reduce the amount of sludge that can be returned to a state suitable for biological treatment ≪ / RTI >
일반적으로 유기성 하,폐수의 처리에 다양한 공정이 적용되며 그 예로 활성오니 처리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활성오니 처리법은 활성 슬러지(activated sludge)의 생물학적 작용으로 피처리수 중의 유기물을 분해 처리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활성오니 처리법에서는 유기물이 생물학적으로 분해 처리 되는 과정에서 증식한 미생물이 슬러지로서 대량으로 발생한다. Generally, various processes ar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wastewater under organic conditions, for example, an active sludge treatment method is proposed. This activated sludge treatment method is a method of decomposing and treating an organic matter in the water to be treated by a biological action of an activated sludge. In this activated sludge treatment method, a large amount of microorganisms, which have grown in the process of biological decomposition treatment of organic matter, occur as sludge.
이렇게 대량으로 발생한 슬러지는 침전조 등으로 분리 회수되어 그 일부는 생물처리 공정으로 반송되지만 그 외에 부분은 잉여 슬러지로서 처분된다. 잉여 슬러지의 처분 방법으로서는 잉여 슬러지를 농축해 탈수한 후에 소각이나 매립(plug back)에 따라 폐기처분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The sludge generated in such a large amount is separated and recovered by a settling tank and a part of the sludge is returned to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but in addition, the part is disposed as surplus sludge. As a disposal method of surplus sludge, a method of concentrating excess sludge and dehydrating it and disposing it according to incineration or plug back is mainly used.
한편 매립(plug back)에 의한 폐기처분에서는 산업 폐기물(industrial waste)의 매립 처분장의 확보가 어렵고, 게다가 이러한 잉여슬러지의 량은 해마다 증가하여 그 처리비용도 해마다 상승하고 있다. 소각에 의한 폐기처분에서는 잉여 슬러지의 함수율이 높기 때문에 잉여 슬러지를 소각하기 위한 연료비가 커져 에너지 및 환경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즉 폐기처분 외에 잉여 슬러지의 처리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in disposal by plug back, it is difficult to secure a landfill repository for industrial waste, and the amount of such surplus sludge increases year by year, and the treatment cost also increases year by year. In the case of disposal by incineration, the water content of the excess sludge is high, so the fuel cost for incinerating the excess sludge becomes large, resulting in energy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other words, besides disposal, disposal of surplus sludge is required.
이에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 바,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93284호에서는 전처리조인 열분해조로 고온의 증기스팀을 유입시켜 첨가된 알카리제와 융합하면서 짧은 시간내에 유기물을 완전 분해하는 처리방법으로 유기물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과 투입에너지를 절감시키고 필요한 시설부지를 축소시킬 수 있는 화학적 처리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393284 discloses a process for completely decomposing organic matters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introducing high-temperature steam as a pretreatment thermal decomposition tank and fusing with an added alkali agent. It suggests a chemical treatment method that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decomposition, input energy, and reduce necessary site.
그런데 상기 기술에 의하는 경우 슬러지의 감량을 위해 알카리제 등을 과다처리하는 경우 방류수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등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고온증기스팀을 이용함에 따라 에너지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기술에 의해서 충분한 슬러지감량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alkaline agent is over-treated to reduce the amount of sludge, there is a problem in the discharge water qualit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the energy is excessively consumed by using the high-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ufficient amount of sludge reduction by such a technique.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적정의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사용하여 방류수질에 영향이 없으면서도 슬러지를 충분히 감량할 수 있는 슬러지감량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udge weight reduction system capable of sufficiently reducing sludge without affecting discharged water quality by using a proper metabolic uncoupler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이용한 슬러지 감량 시스템은 하,폐수가 유입되어 생물처리공정이 수행되는 생물반응조; 상기 생물반응조로부터 처리수를 유입하여 고액분리가 수행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에서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된 슬러지를 유입하고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투입하여 슬러지를 감량시키는 슬러지감량조;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ludge reduction system using a metabolic uncoupler, the sludge weight reduction system comprising: a bioreactor in which a wastewater flows into a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A sedimentation tank into which the treated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bioreactor to perform solid-liquid separation; A sludge reducing tank for introducing the separated sludge into the sedimentation tank through solid-liquid separation and introducing a metabolic uncoupler to reduce sludg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바람직하게 상기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는 디클로로페놀(2,4-dichlorophenol), 디니클로로페놀(2,4-dinichlorophenol), 파라니트로페놀(para-nitrophenol),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phenol), 트리클로로페놀(2,4,5-trichlorophenol)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타당하다.Preferably, the metabolic uncoupl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4-dichlorophenol, 2,4-dinichlorophenol, para-nitrophenol, pentachlorophenol, (2,4,5-trichlorophenol), or a mixture thereof.
바람직하게 상기 슬러지감량조는 상기 침전조와 슬러지유입라인에 의해 연통하고, 상기 생물반응조와 슬러지반송라인에 의해 연통하며,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가 내재되는 약품조와 주입라인에 의해 연통하는 것이 타당하다. Preferably, the sludge reduction tank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ludge inflow line through the settling tank, and is communicated by the bioreactor and the sludge return line, and is communicated by the infusion line with the chemical tank in which the metabolic uncoupler is installed. Do.
바람직하게 상기 슬러지감량조에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력이 부과되며 상기 슬러지감량조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연동을 하며 단부에 하나 이상의 자석이 장착된 자력인가부; 상기 슬러지감량조 하부에 배치되며 자성을 띈 복수의 자성타격입자;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Preferably, the sludge reduction tank is provided with a rotation axis, which is located inside the sludge reduction tank, to which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by the driving motor. A magnetic force applying unit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rotation shaft and having at least one magnet mounted on an end thereof; And a plurality of magnetic impact particles disposed below the sludge reduction tank and having a magnetic property.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슬러지감량조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자력인가부는 상기 자성타격입자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연동 하는 판체와 상기 판체 테두리에 하나이상 장착된 자석으로 구성됨이 타당하다. More preferably, the rotation shaft is located inside the sludge reduction tank, and the magnetic force applying unit is composed of a plate body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rotation shaft on the magnetic impact particles and a magnet mounted on the plate body fram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판체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판체유입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판체유입홀에는 상향 경사구배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판체유도단이 형성됨이 타당하다. More preferably, the plate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late inlet holes in a radial shape, and a plurality of plate guide ends are formed in each plate inlet hole so as to form an upward slop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슬러지감량조의 하면에는 복수의 진동바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자력인가부에 의해 연동하는 자성타격입자의 타격에 의해 진동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More preferably, a plurality of vibrating bar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udge reduction tank so that vibration energy is generated by the impact of the magnetic impact particles interlocked by the magnetic force applying uni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이용한 슬러지 감량 시스템은 생물반응조에서 생성되는 잉여슬러지에 메타볼릭 언커플러를 반응시킴으로써 원천적으로 미생물세포의 합성을 제어하여 슬러지 감량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ludge weight loss system using the metabolic un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ynthesis of the microbial cells originally by reacting the metabolic uncoupler with the excess sludge produced in the biological reactor to reduce the sludge weight loss efficiency . ≪ / RTI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이용한 슬러지 감량 시스템은 메타볼릭 언커플러에 더하여 물리적 처리를 부가함으로써 방류수 수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슬러지를 감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ludge weight loss system using the metabolic un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sludge can be reduced without affecting the discharged water quality by adding physical treatment in addition to the metabolic uncoupler.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메타볼릭 언커플러의 작용기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슬러지감량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 자력인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슬러지감량조의 작동상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asic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ction mechanism of the metabolic uncoupler,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sludge reduction tank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gnetic force applying unit in FIG. 3,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sludge reduction tank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감량시스템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sludge re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이용한 슬러지 감량 시스템(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폐수가 유입되어 생물처리공정이 수행되는 생물반응조(2); 상기 생물반응조(2)로부터 처리수를 유입하여 고액분리가 수행되는 침전조(3); 상기 침전조(3)에서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된 슬러지를 유입하고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투입하여 슬러지를 감량시키는 슬러지감량조(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1, a sludge weight loss system 1 using a metabolic un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즉 본 발명은 상기 생물반응조(2)에서 생물반응에 의해 하,폐수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잉여슬러지를 상기 슬러지감량조(4)에서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와 반응토록 하여 슬러지를 감량시키고 가용화 된 슬러지를 다시 생물반응조(2)로 반송시키거나 케익화 등 사후처리토록 하는 것이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cess sludge generated in the treatment process of the waste water by the biological reaction in the
상기 생물반응조(2)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에 하,폐수 유입라인(l1)이 구성되어 하,폐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며, 조 내부에서 생물처리공정에 의해 질소, 인 등을 제거한 처리수를 처리수배출라인(l2)을 통해 상기 침전조(3)로 배출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생물반응조(2)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로 구성되어 생물처리공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침전조(3)에서는 상기 생물반응조(2)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비중을 통한 고액분리를 통해 슬러지를 걸러내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렇게 걸러진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감량조(4)로 슬러지유입라인(l3)을 통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상기 슬러지감량조(4)에서는 유입된 슬러지에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투입하여 슬러지 감량화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슬러지감량조(4)는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가 내재되는 약품조(5)와 주입라인(l6)에 의해 연통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주입라인(l6)에 구성된 개폐밸브를 통해 약품조(5)의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가 슬러지감량조(4)로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또한 상기 슬러지감량조(4)는 상기 생물반응조(2)와 슬러지반송라인(l5)에 의해 연통하여 상기 슬러지감량조(4)에서 가용화 된 슬러지 중 일부를 상기 생물반응조(2)로 반송토록 한다. 또한 슬러지배출라인(l4)을 통해 반송되지 않은 슬러지는 외부로 배출토록 하여 케익화 등 후공정에 의한 처리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The
여기서 상기 슬러지감량조(4)에 투입되는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는 ATP와 관련된 동화(catabolism)와 이화(anabolism)의 에너지 기전을 방해(energy uncoupling)하여 기질에서 생성되는 에너지의 일부가 미생물 세포로 합성되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슬러지 생성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e metabolic uncoupler injected into the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기물(A)이 이산화탄소 및 물(B)과 슬러지(S)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가 투입되는 경우 이산화탄소 및 물(B)의 량은 증가하고 슬러지(S)의 량은 감소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the metabolic uncoupler is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organic material A into carbon dioxide, water B and sludge S,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water B increases And the amount of sludge S is reduced.
바람직하게 상기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는 디클로로페놀(2,4-dichlorophenol), 디니클로로페놀(2,4-dinichlorophenol), 파라니트로페놀(para-nitrophenol),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phenol), 트리클로로페놀(2,4,5-trichlorophenol)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타당하다.Preferably, the metabolic uncoupl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4-dichlorophenol, 2,4-dinichlorophenol, para-nitrophenol, pentachlorophenol, (2,4,5-trichlorophenol), or a mixture thereof.
한편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만에 의해 화학적으로 슬러지감량을 수행하는 경우 방류수질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에 의한 화학적 슬러지감량에 더하여 물리적인 슬러지감량을 병행토록 함으로써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의 사용량을 최적으로 줄여 방류수질에 영향없이 슬러지감량이 수행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ludge is chemically reduced by only the metabolic uncoupler, there is a problem in the quality of the discharged w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hemical sludge loss by the metabolic uncoupler, The amount of the metabolic uncoupler can be optimally reduced by reducing the amount of sludge so that the amount of sludge can be reduced without affecting the discharged water quality.
이에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러지감량조(4)에는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력이 부과되며 상기 슬러지감량조(4)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41)과, 상기 회전축(41)과 일체로 회전연동을 하며 단부에 하나 이상의 자석(422)이 장착된 자력인가부(42)와, 상기 자력인가부(42) 하부에 배치되며 자성을 띈 복수의 자성타격입자(43)가 더 구성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3, the
즉 본 실시 예의 슬러지감량조(4)에서는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에 의한 화학적 슬러지감량에 더하여 유입된 슬러지(S)를 자력인가부(42)의 자력에 의해 연동하는 자성타격입자(43)가 슬러지(S)를 타격함으로써 슬러지(S)를 분쇄하여 물리적으로 슬러지의 볼륨을 감량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생물반응조(2)로 반송되는 슬러지(S)를 생물학적 처리에 적합한 상태로 가용화 되어 반송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가용화라 함은 슬러지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데 적합한 상태로 개질한다는 것으로 슬러지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미생물을 분쇄토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That is, in the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슬러지감량조(4)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자력인가부(42)도 상기 슬러지감량조(4) 내부에 위치하되, 상기 자력인가부(42)는 상기 자성타격입자(43)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41)과 일체로 회전연동 하는 판체(421)와 상기 판체(421) 테두리에 하나이상 장착된 자석(422)으로 구성된다. The magnetic
본 실시 예에서 회전축(41)에는 제어턱(411)이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41)과 일체로 회전연동하는 판체(421)가 상,하 연동시 상기 제어턱(411)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판체(421)는 상기 회전축(41)에 체결되어 회전축(41)과 일체로 회전연동함은 물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판체(421)와 상기 회전축(41)은 상기 제어턱(411) 하부에서 각각 기어에 의해 체결되어 회전축(41)의 회전력이 상기 판체(421)에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판체(421)의 상,하 연동도 가능하도록 한다. The
이렇게 판체(421)가 상기 회전축(41)에서 상,하 연동을 하도록 하는 이유는 판체(421)의 하부에서 자성타격입자(43)가 슬러지(S)를 타격에 의해 분쇄하는 작동이 판체(421) 하부로 유입되는 슬러지(S)량에 따라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또한 상기 판체(421)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판체유입홀(421-1)이 형성되며 각각의 판체유입홀(121-1)에는 상향 경사구배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판체유도단(421-2)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체유입홀(421-1)은 원판형의 판체(421) 테두리에서 구심방향으로 형성되며 방사형으로 복수로 구성된다.A plurality of plate inlet holes 421-1 are radially formed in the
또한 상기 판체유도단(421-2)은 각각의 판체유입홀(421-1)에 있어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경사구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판체(421)의 회전에 의해 각각 판체유도단(421-2)의 형상에 기해 상기 판체유입홀(421-1)로 슬러지(S) 및 이와 반응하는 메타볼릭 언커플러(M)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면상 상기 판체(421)에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부과됨으로써 각각의 판체유도단(421-2)에 의해 각각의 판체유입홀(421-1)로 슬러지(S) 및 이와 반응하는 메타볼릭 언커플러(M)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plate-shaped inductors 421-2 are configured to form the same slope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plate-shaped inlet holes 421-1. The plate-shaped inductors 421-2 are formed by rotating the
이러한 구성을 가진 자력인가부(42)의 작용에 의해 비작동시 슬러지감량조(4)의 하면에 배치된 자성타격입자(43)와 그 상부에 배치된 자력인가부(42)가 자력인가부(42) 작동시 자성타격입자(43)에 자력에 의한 회전력이 부과되는 것이며, 이러한 자력인가부(42)의 회전은 상기 판체(421) 하부로 슬러지(S) 및 메타볼릭 언커플러(M)가 유입되도록 하여 자성타격입자(43)가 슬러지(S)를 타격토록 하는 것이며, 슬러지(S) 및 메타볼릭 언커플러(M)가 잘 혼합되도록 교반기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e
상기 자성타격입자(43)는 자성을 띈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자력인가부(42)가 회전시 자력인가부(42)의 자석(422)에 의해 회전연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연동에 의해 슬러지(S)를 타격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자성타격입자(43)는 자성을 띈 재질이면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The
도 5는 상기 슬러지감량조(4)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슬러지감량조(4)로 유입 슬러지(S)량이 많은 경우 등에 자력인가부(42)의 회전에 의해 판체(421) 하부로 유입되는 슬러지(S)량이 증가함에 따라 슬러지감량조(4)에서 자력인가부(42)가 상방향으로 너무 부유되어 자력인가부(42)의 자력영향력이 미미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슬러지(S) 분쇄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슬러지반송라인(l5)으로 처리된 슬러지(S)를 배출하면서 작동케 하는 경우 불균일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5 show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여기서 불균일한 처리라 함은 충분히 슬러지(S)를 언커플링 및 분쇄시키지 못함으로써 가용성이 저하된 슬러지(S)를 반송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슬러지감량조(4)에 수용된 슬러지 전체를 언커플링 및 분쇄하기 위해 과다한 메타볼릭 언커플러가 소요되거나 과다한 에너지가 소모될 수 있다. Here, the non-uniform treatment means that the sludge S whose solubility has deteriorated can be returned by failing to uncouple and crush the sludge S sufficiently. Also, excessive unloading and crushing of the entire sludge contained in the
이에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1)에 제어턱(411)을 구성하여 자력인가부(42)의 상방향 유동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턱(411)에 위치감지센서(412)가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슬러지반송라인(l5)에는 개폐밸브가 구성되고, 상기 위치감지센서(412)와 상기 개폐밸브는 제어부(6)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6)는 상기 모터(m)에도 연결되도록 하여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본 발명을 제어토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실시 예의 작동 예를 보면 제어부(6)의 제어에 의해 모터(m)가 상기 자력인가부(42)를 구동시키게 되며 이러한 자력인가부(42)의 회전에 의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판체유입홀(421-1)로 슬러지(S) 및 메타볼릭 언커플러(M)가 유입되어 교반이 되도록 하고 이러한 유입력에 의해 상기 자력인가부(42)는 상기 회전축(41)에서 제어턱(411)까지 상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example of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motor m drives the magnetic
이렇게 하여 상기 자력인가부(42)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에서 상기 판체(421) 하부에 위치하는 슬러지를 자성타격입자(43)가 타격시키도록 함으로써 충분히 가용화 된 슬러지(S)만을 슬러지반송라인(l5)을 통해 반송토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자력인가부(42)가 상기 제어턱(411)까지 도달하면 위치감지센서(412)가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6)로 자동적으로 전송토록 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6)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이러한 상태로 계속적인 자력인가부(42)의 작동을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판체(421) 하부와 슬러지감량조(4)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충분히 슬러지를 메타볼릭 언커플러와 교반토록 함과 동시에 자성타격입자(43)에 의해 분쇄되도록 하여 가용화 된 슬러지로 개질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과정 중 기 설정된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제어부(6)는 개폐밸브를 on시켜 슬러지반송라인(l5)을 통해 가용화 된 슬러지(S)를 배출토록 하는 것이다. 즉 가용화 된 슬러지(S)만을 생물반응조(2)로 반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The magnetic
이렇게 본 실시 예의 작동에 기해 충분히 가용화 된 슬러지(S)만을 반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고 에너지면에서도 자력인가부(42)의 하면과 슬러지감량조(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서만 충분히 작동될 수 있는 에너지만으로 순차적으로 전체 슬러지감량조(4)에 저장된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유리한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only the sludge S sufficiently solubilize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transported, and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In terms of energy, the
이에 더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감량조(4)의 하면에는 복수의 진동바(44)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자력인가부(42)에 의해 연동하는 자성타격입자(43)의 타격에 의해 상기 진동바(44)에서 진동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는 예가 더 제시되고 있다. 5, a plurality of vibrating
상기 자력인가부(42)에 의해 회전력이 부과된 자성타격입자(43)가 운동과정에서 상기 진동바(44)를 타격하게 되고 이러한 타격은 진동바(44)에 진동을 발생시켜 진동바(44)에 의해 진동에너지가 슬러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진동바(44)에 의해 진동에너지가 직접적으로 슬러지에 전달되어 슬러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생물 분쇄효율 즉 가용효율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진동바(44)는 다양한 탄성재질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1 : 본 발명의 시스템 2 : 생물반응조
3 : 침전조 4 : 슬러지감량조1:
3: Sedimentation tank 4: Sludge reduction tank
Claims (7)
상기 생물반응조로부터 처리수를 유입하여 고액분리가 수행되는 침전조; 및
상기 침전조와 슬러지유입라인에 의해 연통하고, 상기 생물반응조와 슬러지반송라인에 의해 연통하며,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가 내재되는 약품조와 주입라인에 의해 연통하여 상기 침전조에서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된 슬러지를 유입하고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투입하여 슬러지를 감량시키는 슬러지감량조;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감량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력이 부과되며 상기 슬러지감량조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과, 상기 슬러지감량조 하부에 배치되며 자성을 띈 복수의 자성타격입자 및 상기 자성타격입자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연동하는 판체와 상기 판체 테두리에 하나 이상 장착되는 자석으로 구성되는 자력인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체에는 방사형으로 복수의 판체유입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판체유입홀에는 상향 경사구배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판체유도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이용한 슬러지 감량 시스템.
A biological reactor in which wastewater is introduced and a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A sedimentation tank into which the treated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bioreactor to perform solid-liquid separation; And
And is separated from the sedimentation tank by solid-liquid separation through a chemical tank communicating with the sedimentation tank and a sludge inflow line and communicating with the bioreactor and a sludge return line by a chemical tank and an injection line in which a metabolic uncoupler is embedded, And a sludge reduction tank for reducing the sludge by introducing a metabolic uncoupler into the sludge,
The sludge-
A plurality of magnetic impact particle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udge reduction tank and magnetical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shaft at a position above the magnetic impact particles, And a magnetic force applying unit including a plate and a magnet mounted on at least one edge of the plate,
Wherein a plurality of plate inlet holes are formed radially in the plate body, and a plurality of plate guide ends are formed in each plate inlet hole to form an upward slope gradient.
상기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는 디클로로페놀(2,4-dichlorophenol), 디니클로로페놀(2,4-dinichlorophenol), 파라니트로페놀(para-nitrophenol),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phenol), 트리클로로페놀(2,4,5-trichlorophenol)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이용한 슬러지 감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bolic uncoupl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4-dichlorophenol, 2,4-dinichlorophenol, para-nitrophenol, pentachlorophenol, trichlorophenol, (2,4,5-trichlorophenol), or a mixture thereof. The sludge weight reduction system using the metabolic uncoupler.
상기 슬러지감량조의 하면에는 복수의 진동바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자력인가부에 의해 연동하는 자성타격입자의 타격에 의해 진동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볼릭 언커플러(Metabolic uncoupler)를 이용한 슬러지 감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vibrating bar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udge reduction tank so that vibrational energy is generated by the impact of the magnetic impact particles interlocked by the magnetic force applying unit. Weight loss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96270A KR101458533B1 (en) | 2014-07-29 | 2014-07-29 | System For Reducing Sludge Using Metabolic Uncoup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096270A KR101458533B1 (en) | 2014-07-29 | 2014-07-29 | System For Reducing Sludge Using Metabolic Uncoup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8533B1 true KR101458533B1 (en) | 2014-11-07 |
Family
ID=5228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96270A Active KR101458533B1 (en) | 2014-07-29 | 2014-07-29 | System For Reducing Sludge Using Metabolic Uncoup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853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5383B1 (en) * | 2015-10-06 | 2016-08-03 |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ducing sludge |
CN108503164A (en) * | 2018-04-09 | 2018-09-07 | 沈阳双壹市政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mud in-situ treatment device |
CN111825301A (en) * | 2019-04-16 | 2020-10-27 | 哈尔滨工业大学 | A method for strengthening sludge dewatering process based on uncoupling agent 3,3',4',5-tetrachlorosalicylanilide condition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47801A (en) * | 1997-09-12 | 1999-06-02 | Kankyo Eng Co Ltd | Bactericide for active sludge, sterilization of active sludge by using the same and treatment of organic waste water |
JPH11314014A (en) * | 1998-05-06 | 1999-11-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ilter |
KR101018636B1 (en) * | 2010-10-18 | 2011-03-03 | 주식회사 시노펙스 | Phosphorus removal system and method of phosphorus removal of sewage and wastewater |
JP5217778B2 (en) * | 2008-08-25 | 2013-06-19 | 国立大学法人秋田大学 | Surplus sludge grinding method, surplus sludge volume reduction method and surplus sludge grinding device |
-
2014
- 2014-07-29 KR KR20140096270A patent/KR1014585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47801A (en) * | 1997-09-12 | 1999-06-02 | Kankyo Eng Co Ltd | Bactericide for active sludge, sterilization of active sludge by using the same and treatment of organic waste water |
JPH11314014A (en) * | 1998-05-06 | 1999-11-1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ilter |
JP5217778B2 (en) * | 2008-08-25 | 2013-06-19 | 国立大学法人秋田大学 | Surplus sludge grinding method, surplus sludge volume reduction method and surplus sludge grinding device |
KR101018636B1 (en) * | 2010-10-18 | 2011-03-03 | 주식회사 시노펙스 | Phosphorus removal system and method of phosphorus removal of sewage and wastewat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5383B1 (en) * | 2015-10-06 | 2016-08-03 |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ducing sludge |
CN108503164A (en) * | 2018-04-09 | 2018-09-07 | 沈阳双壹市政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mud in-situ treatment device |
CN111825301A (en) * | 2019-04-16 | 2020-10-27 | 哈尔滨工业大学 | A method for strengthening sludge dewatering process based on uncoupling agent 3,3',4',5-tetrachlorosalicylanilide conditioning |
CN111825301B (en) * | 2019-04-16 | 2022-04-22 | 哈尔滨工业大学 | Decoupling agent 3,3 ', 4', 5-tetrachlorosalicylanilide-based method for enhancing sludge dewatering proces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ahmood et al. | A review of secondary sludge reduction technologies for the pulp and paper industry | |
Vandevivere | New and broader applications of anaerobic digestion | |
TWI568687B (en) | Suspended media membrane biological reactor system and process including suspension system and multiple biological reactor zones | |
KR101475137B1 (en) | Ecogreen method for pretreatment, separation, and retreatment and reusing of separated material | |
KR101458533B1 (en) | System For Reducing Sludge Using Metabolic Uncoupler | |
KR101921692B1 (en) | Agitating destruction device of sludge and animal manure and food waste and food wastewater | |
KR100971998B1 (en) | Agitator digester apparatus | |
US6824684B2 (en) |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 |
KR20060059919A (en) | Milling Type Grinding and Centrifugal Solid-liquid Separation Process for the Anaerobic Recycling of Leftover Food Waste and Facility Construction and Operation Plan for Pretreatment Process Using Enzyme Reaction | |
US8974669B2 (en) | Thermally enhanced integrat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Atay et al. | Classification and effects of sludge disintegration technologies integrated into sludge handling units: an overview | |
Şağban et al. | Hydrodynamic cavitation of waste-activated sludge | |
KR200425442Y1 (en) | Pretreatment facility for food waste using milling grinding, centrifugal solid-liquid separation and enzyme reaction | |
KR101704672B1 (en) | Decreasing device of waste water sludge | |
KR101645383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sludge | |
KR101232268B1 (en) | Bioreactor system to treat wastewater of bio-diesel process | |
JP2019084493A (en) | Decomposition purification method of hardly decomposable organic compound | |
KR101458532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Sludge | |
US7651615B2 (en) | Process for reducing waste volume | |
KR102105197B1 (en) | sludge treatment apparatus using ultrasonic wave | |
Amuda et al. | Conversion of sewage sludge to biosolids | |
KR102185013B1 (en) | System for improving anaerobic digested sludge in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 |
JP4449273B2 (en) |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method | |
KR102013032B1 (en) | Sludge reduction apparatus for the wastewater treating apparatus | |
KR20110072605A (en) | Anaerobic Microbial Concent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8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