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146B1 - Ton-Bag having tunnel - Google Patents
Ton-Bag having tunn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8146B1 KR101458146B1 KR1020130140769A KR20130140769A KR101458146B1 KR 101458146 B1 KR101458146 B1 KR 101458146B1 KR 1020130140769 A KR1020130140769 A KR 1020130140769A KR 20130140769 A KR20130140769 A KR 20130140769A KR 101458146 B1 KR101458146 B1 KR 1014581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nnel
- rings
- bag
- present
- 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826860 Trapez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65D88/1687—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the forks of a forkli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톤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향 형성된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하여 지게차 포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톤백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ne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nne bag having a tunnel between opposing formed rings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a forklift fork.
일반적으로 톤백(Ton-Bag)이라 함은 비료, 곡물, 광물, 화합물 등을 적재하고 운반 및 포장 등을 하고자 할 때 쓰이는 커다란 자루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또는 벌크백(Bulk-Bag)으로 지칭되기도 한다.In general, Ton-Bag refers to a large bag that is used to load, transport and package fertilizers, grains, minerals, and compounds. It is also referred to as FIBC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Bulk-Bag).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톤백의 구조를 살펴보면 직물재 등 유연한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자루의 측면 부분에 지게차의 포크에 걸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대체로 상기 고리는 쌍을 이루며 대향 형성되어, 지게차의 포크에 의해 삽입되어 운반이 가능하다.The structure of the tone bag that is currently on the market includes at least two rings formed on side portions of a bag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fabric material so as to hang on a fork of a forklift truck. Generally, the rings are formed in pairs and opposed to each other, and can be inserted and carried by the fork of the forklift.
한편, 지게차의 포크가 상기 대향 형성된 고리에 삽입됨에 있어서, 지게차의 포크에 고리를 걸거나 벗기기 위해서는 수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삽입 각도에 대한 지게차 운전자의 집중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작업시 문제가 되며,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ork of the forklift is inserted into the opposed formed ring,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manual operation is required for hooking or unlatching the fork of the forklift, and focus of the forklift driver on the insertion angle is requir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e work, and accidents occur frequentl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558호 "저온 저장용 톤백"(이하 인용발명1) 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톤백의 일측 모서리를 중심으로 양 측면을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고리(3)를 형성하며 상기 톤백 상부에 네 개의 고리를 갖고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1의 톤백은 고리가 아래로 처지거나 구겨진 상태로 유지되어 지게차의 포크가 상기 고리에 삽입 및 제거될 시 수작업이 필요하고, 수작업이 수반되지 않을 시 상기 포크가 고리에 삽입되지 않아 상기 톤백의 운반이 가능하지 않다.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5558 entitled "Low Temperature Storage Toner Bag"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ference 1), as shown in FIG. 1, a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8890호 "톤백"(이하 인용발명2)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는 자루 형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면 상부에 걸고리(21)가 형성되되, 상기 걸고리(21) 전체 내부에 탄성을 가진 심재(30)를 내장하여, 걸고리(21)가 항상 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인용발명2는 걸고리(21)가 항상 기립할 수 있다고 하나 지게차의 포크가 상기 걸고리(21)에 삽입될 때, 삽입될 모든 걸고리(21)에 한번에 삽입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게차 운전자의 포크 진입각도에 대한 많은 집중을 요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As shown in FIG. 2, the "tonne bag"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invention") of the 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No. 20-2011-0008890 has a bag-shap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게차의 포크 삽입시 가이드가 가능한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nne bag provided with a tunnel between rings which can be guided when a fork of a forklift is insert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은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ne bag having a collier tunnel,
자루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고리와, 상기 한 쌍의 고리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고리를 연결하는 상부가 덮인 터널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터널이 지게차 포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least a pair of rings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being opposed to each other, and a tunnel which is connected to the pair of rings and connects the pair of rings, Thereby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the fork.
본 발명에 따르면 톤백의 고리에 터널이 형성되어 상기 터널이 지게차 포크의 진입가이드를 해줄 수 있어 수작업 없이 일측 고리에 상기 포크가 삽입되면 타측 고리까지 곧바로 삽입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널의 소재에 따라 상기 고리가 기립할 수 있는 효과도 갖고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unnel is formed in the ring of the tongue bag, so that the tunnel guides the entrance of the forklift fork, so that when the fork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orklift without manual operation, the tunnel can be inserted directly into the other side. In addition, the loop can stand up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tunnel.
도 1 및 2 는 인용발명1 및 인용발명2 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톤백에 운반장치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 내지 8 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에 운반장치가 삽입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 및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 및 1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터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 내지 15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터널 일 예의 전개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터널에 마디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톤백의 일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s of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tone bag having a tunnel between the r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rier is inserted into a ton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 carrier into a ton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ton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structure of a tunne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5 are views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a tunne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node formed in a tunne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on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on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톤백의 고리를 기립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지게차 포크의 진입을 위한 가이드를 확보하기 위하여, 자루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고리와 상기 한 쌍의 고리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고리를 연결하는 상부가 덮인 터널을 포함하여, 지게차의 포크 등의 운반장치(이하 "운반장치")가 고리에 삽입되고자 진입할 시 상기 터널은 가이드역할의 수행이 가능하여 상기 운반장치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을 제안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cure a guide for entry of a forklift fork, in addition to being capable of raising a ring of a tone bag, at least a pair of rings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facing each oth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rrying device") of a fork of a forklift is inserted into the loop, and the tunnel is guided by the tunnel Thereby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the conveying device. ≪ RTI ID = 0.0 > [10] < / RTI >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을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18 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tone bag having a colliery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도 3 및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 tone bag having a tunnel between r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인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형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고리(200)와, 상기 고리(200) 사이를 이어 연결하는 터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3, the tonne bag having a collar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몸체(100)는 천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각이 진 육면체 또는 자루형과 주머니형인 것을 모두 포함하나, 후술에 있어서는 상부가 개방되는 각이진 육면체로서 서술한다. The
상기 고리(200)는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며, 다수 개 일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향되도록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200)는 운반장치(A)를 이용한 삽입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향되도록 형성된 고리(200)는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00) 외면 상측에 한 꼭지점을 중심으로 양 측면을 세로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한 측면 모서리에 형성되어 한 측면을 잇는 경우도 포함한다.
The
이어서, 도 5 내지 8 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운반장치(A)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nveying device A in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FIG.
상기 고리(2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향되도록 형성된 고리(200)가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00) 외면 상측에 한 꼭지점을 중심으로 양 측면을 세로 방향으로 이어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은 도 5 내지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장치(A)의 삽입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운반장치(A)가 삽입될 때 상기 운반장치(A)는 좌, 우로 벌어졌다 모일 수 있는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장치(A)가 본 발명에 삽입될 때,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반장치(A)들의 서로의 거리가 일정거리보다 더 벌어져 삽입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때,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보다 떨어져 벌어진 상기 운반장치(A)는 서로 안쪽으로 오므려질 수 있고, 상기 고리(200) 및 터널(300)에 진입할 수 있는 거리까지 좁혀져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200) 및 터널(300)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운반장치(A)가 일정거리보다 벌어져 삽입을 시도하고 상기 운반장치(A)가 본 발명의 일측을 지나쳐 고리(200) 안에 진입할 때 상기 운반장치(A)를 오므려 적정 거리를 유지하여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3, the
다음으로 도 9 및 10 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리 사이에 단일의 터널을 구비한 모습을 도 3 및 도 4 와 비교하여 설명한다.Next, referring to FIGS. 9 and 10, a single tunnel between r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상기 터널(300)은 대향되도록 형성된 고리(200) 사이에 상기 고리(200)들과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터널(300)의 입구와 출구의 라인을 따라 고리(200)가 감겨 결합될 수 있고, 또는 입구와 출구 부근에 고리(200)가 감겨 결합될 수도 있다. 대향되도록 형성된 상기 고리(200)의 쌍의 개수에 따라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터널(300)이 결합될 수도 있고,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터널(300)이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고리(200)가 대향되도록 형성되었을 경우 상기 고리(200)사이에 단일의 터널(300)이 결합될 수 있고, 혹은 두 쌍의 고리(200)가 대향되도록 형성되었을 경우 상기 고리(200) 사이에 두 개의 터널(300)이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용량 및 수용가능한 무게에 따라 맞춤설계가 가능하여 사용자 혹은 내용물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형태가 가능하다.The
한편, 두 쌍의 고리(200)가 대향되도록 형성되었을 경우에도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터널(300)을 구비할 수 있다. 터널(300)의 입구와 출구에 몸체(100) 양측의 두 개의 고리(200)가 이중으로 감겨 상기 터널(300)과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실시 예는 몸체(100)의 용량 또는 크기가 작으나 무거운 내용물일 경우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even when the two pairs of
또한, 상기 터널(300)의 외형의 예를 도 11 및 12 를 참고하여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outer shape of the
상기 터널(300)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의 옆면이 모두 존재하여 본 발명에 설치시 상, 하부가 덮여진 원통형이거나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만 덮여 상기 고리를 연결하는 반 원통형일 수 있고, 혹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하부가 덮여지며 각이진 각기둥 형태이거나 상부만 덮여 상기 고리를 연결하는 각기둥 형태인 경우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1, the
다음으로 상기 터널(300)의 전개도를 도 13 내지 15 를 참고하여 설명한다.Next, a developed view of the
상기 고리(200)가 도 4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한 측면을 서로 잇도록 형성되었을 경우, 상기 터널(300)의 전개도는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으로 본 발명에 설치 시 원통 혹은 각이 지게 말려 설치 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고리(200)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 외면 상측에 한 꼭지점을 중심으로 양 측면을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상기 고리(200)와 결합되는 터널(300)의 전개도는 도 14 및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에 터널이 설치되었을 시 상부가 덮여져 상기 고리(200) 사이를 연결하는 터널(300)의 전개도이며, 도 15 는 상, 하부 모두 덮여져 상기 고리(200) 사이를 연결하는 터널(300)의 전개도이다.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덮여져 상기 고리 사이를 연결하는 터널(300)의 전개도는 사다리꼴의 형상과 같다. 상기 사다리꼴에서 길이가 짧은 윗변은 상기 터널(300)의 외측 모서리와 만나는 변이며, 길이가 윗변보다 긴 아랫변은 상기 터널(300)의 내측을 연결하는 변이다.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가 모두 덮여져 상기 고리(200) 사이를 연결하는 터널(300)의 전개도는 상부만 덮여진 전개도의 윗변에 직사각형의 터널(300) 부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직사각형의 터널(300) 부분은 고리(200)와 결합시 터널(300)의 하부에 위치되는 부분이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한편, 상기 터널(300)은 에어슬리브(air-sleev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어슬리브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있어 본 발명에 터널(300)이 설치된 후 원통 혹은 반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결합된 고리(200)를 항상 기립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터널(300)을 천이나 합성수지를 이용해 구성한다면, 상기 고리(200)가 스스로 기립하지 않는 한 터널(300)이 제 형상을 갖추고 있기가 쉽지 않다. 또한 만일 상기 고리(200)가 스스로 기립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터널(300)은 천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고리(200)가 결합된 지점과 가장 멀리 있는 터널(300)의 중간지점은 중력의 영향으로 가라앉을 수밖에 없다. 에어슬리브로 되어 있는 터널(300)을 통해 상기 고리(200)를 기립하게 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터널(300)을 통해 운반장치(A) 삽입의 가이드 또한 가능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상기 에어슬리브 터널(300)의 고리(200)와 접하는 일단과 타단까지 '1'자 모양의 다수의 마디(310)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디(310)를 통해 운반장치(A)가 삽입될 때 마디(310) 결을 따라 삽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혹시라도 운반장치(A)에 의해 터널(300)에 상처가 나거나 긁히는 경우 그 마디(310)에만 영향을 주고 다른 마디(310)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운반장치(A)에 의해 구멍이 났을 경우에도 다른 마디(310)의 영향으로 모양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천이나 합성수지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가 생겼을 때 구멍이 발생했을 시에도 수차례 사용하게 되면 구멍이 점점 커지거나 상기 구멍으로 인해 전체가 찢어지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에어슬리브 터널(300)을 이용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1' shaped
본 발명이 상기 고리(200)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며, 상기 대향되도록 형성된 고리(200)가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00) 외면 상측에 한 꼭지점을 중심으로 양 측면을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었을 때, 상측에서 본 발명을 바라보면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200)와 결합된 각 터널(300)은 사다리꼴 형태로 보일 수 있다. 운반장치(A)가 삽입될 때, 삽입되는 터널(300)의 외측은 길이가 짧은 사다리꼴의 윗변과 같고, 내측은 길이가 긴 사다리꼴의 아랫변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널(300)의 외측의 길이가 내측의 길이보다 짧은 것은 상기 운반장치(A)의 삽입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내측의 길이가 외측의 길이보다 긴 이유는 운반장치(A)의 운전자가 터널(300)에 삽입가능한 최소 너비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운반장치(A)의 너비를 지정하는데 더 유리함이 있다.3, the
터널(300)의 입구와 출구가 모두 보일 수 있는 외측에서 본 발명을 바라보았을 때는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톤백의 상부에 고리(200)가 대칭되도록 대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리(200)에 터널(300)이 결합되어 있는 모습이다. 이때 개방된 터널(300)의 입구와 출구는 터널(300)의 내측이 보일 수 있다.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outside where both the entrance and the exit of th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향형성된 고리(200) 사이에 구비된 터널(300)을 이용하여 운반장치(A)가 상기 고리(200)에 삽입될 시 진입경로에 대한 가이드가 가능한바 상기 터널(300)을 관통하여 고리(200)가 운반장치(A)에 쉽게 걸릴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터널(300)의 소재를 에어슬리브를 채택하게 되면 상기 터널(300) 내부에 있는 공기의 효과로 인해 상기 에어슬리브는 항상 원통형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고리(200)도 항상 기립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터널(300) 및 고리(200)의 개수를 사용자 또는 본 발명이 수용하는 물질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veying device A is inserted into the
100 : 몸체 200 : 고리
300 : 터널 310 : 마디
A : 운반장치100: body 200: ring
300: tunnel 310: node
A: Transport device
Claims (5)
상기 몸체(1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고리(200);와,
상기 한 쌍의 고리(200)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고리(200)를 연결하는 상부가 덮인 터널(300);을 포함하여, 상기 터널(300)이 운반장치(A)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되,
상기 터널(300)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있어, 속이 빈 원통 모양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
A bag-shaped body 100,
At least a pair of rings 200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and facing each other,
And a tunnel 300 coupled to the pair of rings 200 and connected to the pair of rings 200. The tunnel 300 facilitates the insertion of the transportation device A However,
Wherein the tunnel (300) is filled with air so that a hollow cylindrical shape is maintained.
상기 대향되도록 형성된 고리(200)는 서로 대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0) 외면 상측에 한 꼭지점을 중심으로 양 측면을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ngs 200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two sides of the ring 200 are longitudin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vertex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터널(300)은 고리(200)에 접한 일측에서 대향형성된 타측 고리(200)까지 다수의 '1'자형 마디가 형성되어 있어,
운반장치(A)에 의해 마디가 손상되어도 다른 마디에 의해 속이 빈 원통 모양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unnel 300 has a plurality of '1' -shaped nodes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tunnel 200 to the other side of the ring 200,
Characterized in that even if a node is damaged by the carrier device (A), it retains a hollow cylindrical shape by another node.
상기 터널(300)은 하나로 이루어지되, 터널(300)의 입구와 출구에 각 두 개의 고리(200)가 이중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 사이에 터널을 구비한 톤백.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nnels (300) are formed as a single tunnel, and two rings (200) are doubly joined to an entrance and an exit of the tunnel (3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0769A KR101458146B1 (en) | 2013-11-19 | 2013-11-19 | Ton-Bag having tun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0769A KR101458146B1 (en) | 2013-11-19 | 2013-11-19 | Ton-Bag having tunne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8146B1 true KR101458146B1 (en) | 2014-11-05 |
Family
ID=5228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07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8146B1 (en) | 2013-11-19 | 2013-11-19 | Ton-Bag having tunn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814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5995A (en) | 2015-07-07 | 2017-01-17 | 도창옥 | A Bulk bag which is easy lift |
KR20220055714A (en) | 2020-10-27 | 2022-05-04 | 유의훈 | Lift Device For Ton Bag |
KR20230172113A (en) | 2022-06-15 | 2023-12-22 | 유의훈 | Cover Lift Device For Ton Ba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26085A (en) * | 2009-05-22 | 2010-12-01 | 권태춘 | Stools with partitions |
KR20110030610A (en) * | 2008-06-16 | 2011-03-23 | 쇼핑 메이트 피엘 | Bulk transport bag with forklift sleeve |
-
2013
- 2013-11-19 KR KR1020130140769A patent/KR10145814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0610A (en) * | 2008-06-16 | 2011-03-23 | 쇼핑 메이트 피엘 | Bulk transport bag with forklift sleeve |
KR20100126085A (en) * | 2009-05-22 | 2010-12-01 | 권태춘 | Stools with partition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5995A (en) | 2015-07-07 | 2017-01-17 | 도창옥 | A Bulk bag which is easy lift |
KR20220055714A (en) | 2020-10-27 | 2022-05-04 | 유의훈 | Lift Device For Ton Bag |
KR20230172113A (en) | 2022-06-15 | 2023-12-22 | 유의훈 | Cover Lift Device For Ton Ba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5405B1 (en) |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supporting belt | |
KR101458146B1 (en) | Ton-Bag having tunnel | |
KR101922377B1 (en) | Baffle type container bag | |
BR112013009638B1 (en) | WIRE CONTAINER APPARATUS AND STRUCTURE | |
KR930003318B1 (en) | casemate | |
US10442575B1 (en) | Waste bag and assembly methods | |
US20140154045A1 (en) | Flexible freight bag and method of transferring cargo using the same | |
US20210155402A1 (en) | Flexible container | |
KR101609339B1 (en) | A bulk bag with stand type pulling up rings | |
KR101964076B1 (en) | Container bag | |
KR102183320B1 (en) | Egg Package Box | |
KR101393619B1 (en) | Consisting of a double-outlet container bag endothelial and it contains the container bag | |
US20210169189A1 (en) | Foldable bag | |
KR101388602B1 (en) | Self-rasing bulk container using the air tube | |
US20210198011A1 (en) | Bulk bag with stand type pulling up rings | |
JP3203723U (en) | Net fixtures in transport containers with nets | |
KR20170005995A (en) | A Bulk bag which is easy lift | |
KR20130091583A (en) | Shopping bag with fixing member | |
JP2003160191A (en) | Flexible container bag | |
KR102484337B1 (en) | fishing bag | |
JPWO2017212536A1 (en) | Returnable box | |
KR200246203Y1 (en) | Container Bag | |
KR200477636Y1 (en) | fixing-apparatus for nonwoven | |
CN203229078U (en) | Handy heavy-duty flexible freight bag | |
JP2008062991A (en) | Hook member, protective member, and load-shift preventing bel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