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6127B1 -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127B1
KR101456127B1 KR1020130078236A KR20130078236A KR101456127B1 KR 101456127 B1 KR101456127 B1 KR 101456127B1 KR 1020130078236 A KR1020130078236 A KR 1020130078236A KR 20130078236 A KR20130078236 A KR 20130078236A KR 101456127 B1 KR101456127 B1 KR 101456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rowth
weight
present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송
Original Assignee
윤희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송 filed Critical 윤희송
Priority to KR1020130078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1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기자 및 두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생약복합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옛날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생약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독성 문제가 없으며, 골성장 효능이 우수하여 소인증, 왜소증 및 소아의 발육부진과 같은 성장 저하 등 성장 장애 관련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정상인의 성장 발육 촉진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A composition for increasing bone growth}
본 발명은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생약복합재 추출물 및 난각칼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성장 촉진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통상 '성장'이라 함은 성숙에 수반되는 크기의 변화로서 복잡한 생물학적 현상이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는 신장의 증가를 일컫는 것으로, 신장의 증가는 연골조직합성, 골격길이 성장과 골격의 광범위한 골성장을 포함하는 골격대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Crotton. PM. et al.(1997), Clin. Chem., 43(9); 1577~81 참조).
성장에 기여하는 주 인자는 골격길이의 증가인데 뼈의 종적증가는 연골내골화에 일어나며, 뼈의 성장은 연골조직이 골 조직으로 전환되어 일어난다. 연골내골화는 주로 사지의 장관골에서 일어나며, 뼈의 폭증가는 섬유성막에서 직접적으로 골격조직으로 발달한다.
성장도를 평가하는 측정지표는 다양하지만 동물시험에서의 측정지표는 체중(g)을 가장 많이 측정하며, 대퇴부의 길이, 무게, 부피, 밀도, 면적, 무기질 함량, 무기질 밀도측정을 통한 골성장 정도, 골밀도 등을 측정한다. 아이지에프-1(Insulin-like growth factor-1, 이하, 'IGF-1')은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간세포에서 발현하여 혈중으로 방출되므로 혈중의 아이지에프-1 농도의 측정은 간접적으로 성장호르몬 분비를 평가 할 수 있다.(전 징경 등(2000),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5(1); 75 ~ 82). IGF-1은 성장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인슐린의 표적조직에서 당질, 지질, 단백질의 합성을 자극하여 인슐린과 비슷한 작용을 한다. 즉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함으로서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조골세포와 연골세포에 IGF-1 수용체가 존재하며, IGF-1은 연골세포의 효과를 통해서 골격성장을 유도하며, 조골세포에 대해 유사분열을 유도하고, 조골세포에 의한 콜라겐(Collagen)합성을 촉진하며, 골격 형성을 촉진한다. IGF-1은 체내에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므로 측정이 비교적 용이하며, 내인성 성장호르몬 분비 평가에 유용한 진단적 지표이다.
국민소득증대에 따라 유년기 성장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영양섭취수준증가, 생활환경개선, 생활습관의 합리화 등 유년기에서부터 사춘기의 평균신장, 체중 등이 점차 증가 개선되고 있으며, 큰 신장의 이점으로 인한 인식변화에 따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 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간(肝)과 신(腎)의 기운을 보(補)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는 한약을 복용하면서 체질적으로 오는 질병 등의 성장 장애의 원인을 제거한다. 또한 부족한 기운을 보강하여 병에 대한 면역 기능과 에너지 대사를 좋아지게 한다. 하체의 허리와 다리를 강하게 하고 성장시켜 건강한 몸을 만들어 주는 데 큰 효과가 있다.
성장에 좋은 한약으로는 육미지황탕, 사륙탕, 총명성장탕, 독활기생탕, 삼기음, 보아탕, 아과지황탕, 보중익기탕, 삼출건비탕, 귀비탕, 육군자탕, 인삼양위탕, 가미청담보심탐 등이 있으며, 아이의 체질과 병증을 고려하여 가감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영양의 균형화를 이루기 위하여 많은 성장 촉진용 건강식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단순히 성장을 위하여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성분들의 조합에만 그침으로써 아직도 그 효과가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한약재 추출물의 성장 촉진 제제를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04455호로서 등록받은 바 있다.
여기에 더하여 본 발명자들은 골성장 특히 골길이 성장 촉진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생약복합재 함유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상기한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한약재에 더하여 구기자 및 두충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유효성분으로 첨가함으로써 골성장, 특히 골길이 성장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골길이 성장에 우수한 영향을 주는 한약재로 구성된 성장 촉진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생약복합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성장 촉진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생약복합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성장 촉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성장 촉진을 위한 생약복합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옛날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생약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독성 문제가 없으며, 골성장 효능이 우수하여 소인증, 왜소증 및 소아의 발육부진과 같은 성장 저하 등 성장 장애 관련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정상인의 성장 발육 촉진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구성된 생약복합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성장 촉진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생약복합재 추출물은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경동시장, 서울)을 건조하여 마쇄한 후, 건조된 시료의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또는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5의 혼합비를 갖는 이들의 혼합용매,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증류수로, 실온에서 약 1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한 후 감압 농축 및 동결건조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은 구기자 1 내지 20 중량%, 두충 1 내지 20 중량%, 가시오가피 1 내지 20 중량%, 숙지황 1 내지 20 중량%, 산약 1 내지 20 중량%, 산수유 1 내지 20 중량%, 복령 1 내지 20 중량%, 녹각 1 내지 20 중량%, 인삼 1 내지 20 중량% 및 난각칼슘 1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재인 구기자(拘杞子)는 가지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줄기는 가늘고 회백색이며, 가시가 있으며, 잎은 호생(互生)하는데 난상피침형(卵狀披針形) 또는 타원형이며, 여름에는 자색꽃을 피며 가을에는 장과로 붉은 과일을 맺게 된다. 이와 같은 구기자는 한국각지와 중국, 일본에 분포되어 있으며, 붉은 과실은 구기자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어린잎은 식용 가능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기자는 방약합편에 의하면, '그 맛이 단맛과 구수한 맛 등이 어울린 온화한 맛을 주며, 정신을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풍을 쫓아내고, 근골을 튼튼히 하며, 양기를 북돋운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현대생약학에 의하면, '구기자중의 betaine hydrochloride은 항지간 작용이 있어 간장병, 고혈압등의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withanolid는 당뇨병, 자양강장, 강정제로 작용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구기자의 효능은 정력강장, 성인병예방과 치료, 시력보호, 피부미용, 정신집중력향상, 청혈작용등의 효능이 인정되고 있으며, 한방의 필수약제로 오랜세월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현대 의학계에 있어서는 드링크제 원료의 첨가제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특히, 음주자들이 복용하는 경우 지방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재인 두충은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은 두충나무과(Eucomm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중국 사천성(四川省)부근이 원산지이며 은행나무처럼 암수 딴그루이고 1과 1속 1종에 속하는 희귀한 수목이다. 두충은 줄기나 잎 등이 예로부터 차로서 음용되어 왔으며,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되어 있고 부신의 기능을 높이는 작용과 함께 심장병과 당뇨병, 동맥경화 예방에 효과가 있다. 그 줄기나 잎 등이 옛부터 고혈압, 스트레스, 관절염, 숙취 등의 각종 질병에 유용한 약재로서 음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임상적인 실험을 통해 두충엽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약리학적 메카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재인식되고 있고, 건강차로서 많이 음용되고 있다. 주요성분으로는 두중교, 수지, 알칼로이드, 유기산,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항염증, 진정, 진통, 혈압강하 작용과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재인 가시오가피는 오가과(Araliaceae)에 속한 낙옆관목인 자오가 Acanthopanax senticosus (R UPR . et M AXIM ) HARMS의 뿌리와 근경 및 수피를 건조한 것으로 카로텐(carotene), 리구스트린(ligustrin), 7-메틸-6,8-디메틸쿠마린글리코사이드(7-methyl- 6,8-dimethylcoumarineglycoside), 갈락토사이드(galactoside), 시린가레시놀 디-O-베타-D-글루코사이드(syringaresinol di-o-beta-D-glucoside) 및 카리오피레놀(caryophyllenol) 등의 여러가지 배당체와 클로로제닉 에시드(chlorogenic acid), 플라본(flavone), 정유, 다당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가시오가피의 약리 작용으로는 진정작용, 항스트레스작용, 면역증강작용, 평활근이완작용, 소염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國家中醫藥管理局 : 中華本草,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8), 건비익기(建脾益氣), 보신안신(補腎安神), 보신강요(補腎强腰), 익기안신(益氣安神), 활혈통락(活血通絡)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비페기허(脾肺氣虛)로 인한 체권핍력(體倦乏力), 식욕감약(食慾減弱)과 비신양허(脾腎陽虛)로 인한 요슬산연(腰膝酸軟), 체허핍력(體虛乏力)과 심비량허(心脾兩虛)로 인한 혈허체약(血虛體弱), 식욕부진, 실면다몽(失眠多夢) 질 환, 소아근골허 약, 각기수종, 류마치스성 관절염 등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國家中醫藥管理局 : 中華本草, 上海, 上海科學技術 出版社, 1998). 또한, 가시오가피는 정신적, 육체적 활력을 불어넣으며 강장 효과 및 비특이적인 저항력 증가(Wagner, 1985)를 나타내어 질병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으며, 혈당저하 작용, 암, 저혈압에도 효과가 있으며 사람을 흥분시키지 않기 때문에 인삼과는 달리 불면증 등의 부작용이 없다(Loydia, Vol. 32. 1, 1969)고 알려져 있다. 또한, 파라티온(parathion)으로 유발된 독성에 대한 보호작용을 나타내고(Ferguson P. W. 등, 1984), 항응고 작용(Yun-Choi H. S. 등, 1987), 방사선 조사에 대한 방어작용(Miyanomae T 등, 1988)을 나타내며, 혈중 지질 수치를 낮춘다(Sui D. Y. 등, 1994)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방출을 억제하고(Kang H. S. 등, Cell Immuno. Vol. 170, No. 2, p212, 1996), 클로로제닉 에시드 및 시린가레시놀디-O-베타-D-글루코사이드는 냉수욕 스트레스에 따른 위궤양 유발을 낮추며 (Fujikawa T. 등, 1996), 엘로이테로사이드(eleutheroside) B는 염증성의 COX를 저해하고, 디텔펜(diterpene; 예를 들어 pinoresinol, sesamin 등) 계통의 약물 분자도 이런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경희대 약대 논문집 Bull K.H. Pharma, Sci. vol. 18, p43, 1990). 또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PLA2(Phospholipase A2)를 억제하듯이, β-시토스테롤(sitosterol) 등의 스테로이드성 물질들 역시 이런 기능을 가져 세포막 인지질로부터 아라키돈산이 유리되는 것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0-9820호).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재인 숙지황은 자음보혈(滋陰補血), 익정전수(益精塡髓)의 효능으로 간신음허,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 골증조열, 도한유정 등 증상을 치료하는데 상용되어온 한약으로 주요성분으로는 스타키오스(stachyose), 베르바스코스(verbascose), 만노트리오스(mannotriose), 라피노스(raffinose), 수크로스(sucrose) 등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재인 산약은 건비(健脾), 보폐(補肺), 고신(固腎), 익정(益精)의 효능으로 비허설사, 오래된 설사, 허로해수, 소갈, 유정, 대하, 소변빈삭 증상을 치료하는데 상용되는 한약으로 주성분으로 사포닌(saponin), 점액, 콜린(cholin), 전분, 글라이코프로테인(glycoprotein), 유리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재인 산수유는 보익간신(補益肝腎), 삽정고탈(澁精固脫)의 효능으로 현훈, 이명, 요슬산통, 양위유정, 유뇨, 뇨의빈삭, 붕루대하 등 증상을 치료하는데 상용되는 한약으로 코닌(cornin), 베르베날린(verbenalin), 사포닌(saponin), 탄닌(tannin), 우르소산(ursolic acid), 사과산, 주석산 등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재인 복령은 이수삼습(利水渗濕), 건비녕심(健脾寧心)의 효능으로 수종뇨소, 담음현훈, 비허식소, 변당설사, 심신불안 등증상을 치료하는데 상용되어온 한약으로 주성분은 베타-패시만(β-pacyman)이 7.5% 함유되어 있고, 또 트리터페노이드(triterpenoid) 화합물인 패시믹산(pachymic acid), 에브리코익산(ebricoic acid), 튜무로식산(tumulosic acid), 피니코릭산(pinico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재인 녹각은 온신양(溫腎陽), 강근골(强筋骨), 행혈소종(行血消腫)의 효능으로 양위유정, 요슬관절이 시리고 아플 때 상용되어온 한약으로 주성분은 교질과, 인산칼슘, 탄산칼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약재인 인삼은 대보원기(大補元氣), 고탈생진(固脫生津), 안신(安神)의 효능으로 과로로 인한 허로증상, 식사량감소, 무기력증, 건망증, 양위증, 소갈증 등에 사용하는 한약으로 주성분은 사포닌 성분과, 베타엘레멘(β-elemen), 팔미틴산(palmitin acid), 스테아린산(stearin acid), 올레인산(olein acid), 리놀산(linol acid) 등의 인삼산과 콜린(cholin), 단백류, 다당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난각칼슘은 고도의 기술을 이용하여 계란껍질(난각)에서 칼슘을 분리시킨 것으로, 난각칼슘은 96%가 탄산칼슘이고 나머지 4%가 단백질과 기타 17가지 이상의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금속이 없는 안전한 칼슘이다.
일반적으로 칼슘(탄산칼슘)은 광물질(돌)에서 추출되며, 광물질에서 추출된 칼슘제는 소화가 잘 안되어서 소화장애(복통, 소화불량, 변비 등)를 일으키기 쉬우나, 난각칼슘은 소화에 예민한 사람들에게도 문제없이 잘 소화되며 또 흡수될 수 있는 우수한 칼슘 성분으로, 뼈와 치아의 형성을 돕고 신경과 근육기능 유지에 도움을 줘 청소년의 성과와 중 장년층의 골다공증 위험 방지에 필수 영양소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난각칼슘은 칼슘성분의 용해속도를 고려하여 100~200 메쉬(mesh)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복합생약재 추출물을 마우스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000 ㎎/㎏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된다.
생약복합재 추출물은 안전한 물질이며, 성장호르몬보다 우수한 골길이 성장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성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성장 촉진을 위한 생약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옛날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생약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독성 문제가 없으며, 골성장 효능이 우수하여 소인증, 왜소증 및 소아의 발육부진과 같은 성장 저하 등 성장 장애 관련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정상인의 성장 발육 촉진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골성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은 조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구성된 생약복합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성장 촉진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약복합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캔디,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골성장 촉진의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또는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또는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단계 1) 생약복합재 추출물 제조
실험에 사용된 성장촉진 추출물 원료 약재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의 검증을 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구기자 20 중량%, 두충 15 중량%, 가시오가피 10중량%, 숙지황 10중량%, 산약 10중량%, 산수유 10중량%, 복령 10중량%, 녹각 10중량%, 인삼 5 중량%를 각각 칭량한 후 추출 탱크에 투입하였다. 원료 총 합계의 10배(W/V)에 해당하는 50%에탄올 수용액으로 1 시간 동안 침적하였다. 7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초음파 추출법으로 10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이 끝난 후, 1차로 투입되어 있는 한약재를 제거하고 남은 여액을 Micro filter (밀리포아, 미국)를 사용하여 추출용매에 잔존하는 불용성 물질들을 제거한 후 분리된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65%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이 농축액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동결 건조하고 분쇄하여 분말의 성상으로 제조하였다. 이때의 동결 건조된 추출물 분말의 수득율은 추출공정 초기에 투입된 한약재 중량의 10 %(W/W)이었다.
(단계 2)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생약복합재 추출물과 난각칼슘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추출용매로서 50% 에탄올 수용액 대신 물을 사용하고 추출온도를 95℃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때의 동결 건조된 추출물 분말의 수득율은 추출공정 초기에 투입된 한약재 중량의 14 %(W/W)이었다.
상기 수득한 생약복합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함유하는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구기자를 사용하지 않고 두충 25 중량% 및 가시오가피 2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난각칼슘을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두충을 사용하지 않고 구기자 30 중량% 및 가시오가피 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난각칼슘을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구기자와 두충을 사용하지 않고 가시오가피 35 중량% 및 숙지황 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난각칼슘을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난각칼슘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성장효과 관찰
1. 실험동물
80g 내외의 스프라그-다울리(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3주령)을 대한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시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5일간 실험환경에 적응시킨 다음 정상군과 실험군 A(9마리), B(9마리), C(9마리) 및 D(9마리)로 나누어 실험에 착수하였다.
2. 재료
시료로 상기 실시예 1과 2에서 제조된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3. 과정
각 조성물을 각각 100 ㎎/㎖의 농도로 생리식염수에 녹여 각각 100 ㎎/㎏의 용량으로 실험군 A, B, C 및 D에 하루에 1회, 5일 동안 복강내 투여하였다. 정상군에는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시료투약 개시 후 3일에 테트라사이클린(tetracyline)을 10㎎/㎖의 농도로 생리식염수에 녹여 20㎎/㎏의 용량으로 실험군과 정상군에 복강내 투여하고, 1일이 지난 후 같은 시간에 같은 농도와 용량으로 한번 더 복강내 투여하였다. 테트라사이클린(tetracyline)은 체내에 들어가면 신속히 흡수되어 골 형성이 활발한 부위나 무기질 침착 부위에 집중되어 있어 조직절편에서 밝은 형광선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2회 이상 체내 흡수하면 각 투여량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성장한 골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4. 조직표본제작
마지막으로 테트라사이클린(Tetracyline)을 투여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흰쥐의 경골을 채취하여 4% 포스페이트 포름알데히드(phosphate formaldehyde)로 고정 및 탈회하고, 탈회된 경골을 동결한 후 슬라이딩 마이크로톰(Sliding Microtome HM 440 E, Microm Co.)을 사용하여 경골의 상부를 포함하는 조직절편을 만들었다. 표본제작을 위한 조직절편은 매 100㎛씩 수집하였다. 제작된 표본을 저배율(ㅧ40)의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3일과 4일 사이 테트라사이클린이 침착되어 이루어진 선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서로 다른 조직 3부위의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한 값을 1일 골성장 길이로 사용하였다. 약물의 효과를 판별하기 위하여 각 실험군을 대조군과 비교하는 스튜던트 t-검정(Student t-test)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골성장 수치
실시예 1 312.2±11.3㎛
실시예 2 309.5±15.6㎛
비교예 1 281.3±13.6㎛
비교예 2 276.9±10.1㎛
비교예 3 268.2±15.1㎛
비교예 4 271.3±11.1㎛
정상군 259.9±13.6㎛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정상군의 골성장 수치는 259.9ㅁ13.6 ㎛인데 비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의 골성장 수치는 312.2ㅁ11.3 ㎛이었고,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의 골성장 수치는 309.5ㅁ15.6 ㎛으로 유의한 골성장 촉진효과를 보였고(*P<0.05),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경우에도 골성장 수치의 향상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의 골성장 촉진효과에 비하여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급성독성 시험
1. 경구투여 추출물을 각각 100, 250 및 500 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후 2주간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 차이를 찾아볼 수 없었다.
2. 복강투여
ICR계 마우스(25ㅁ5)와 스프라그 다울리를 각각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본 발명의 성장촉진 알코올추출물 및 물 추출물을 각각 25, 50, 250 및 500 mg/kg의 용량으로 복강 투여한 후 24시간동안 독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4군 모두에서 사망한 예가 한 마리도 없었고 외견상 대조군과 별다른 증상 차이를 찾아볼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성장촉진제 추출물은 급성독성이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은 통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약제학적으로 통상으로 허용되는 약학적 제제, 예를 들면 주사제, 액제, 시럽제, 정제, 캡슐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성장 장애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약학적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제제예로서 본 발명을 구체화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200mg
유당 100mg
전분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mg
유당 50mg
전분 50mg
탈크 2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00mg
설탕 20mg
이성화당 20m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고 전체 1000 ml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1-5>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g
유당 1.5g
글리세린 1g
자일리톨 0.5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g이 되도록 환제를 제조하였다.
<1-6> 과립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50mg
대추추출물 50mg
포도당 200mg
전분 600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mg을 첨가하여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1-7> 주사제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mg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mg
메틸파라벤 0.8mg
프로필파라벤 0.1mg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앰플에 2ml를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2-1> 건강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0mg
각종 비타민류 100mg
칼슘 150mg
아연 1mg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건강식품의 형태로는 분말, 과립, 정제, 갭슐 또는 음료 등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2> 캔디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중량부
설탕 50-60 중량부
물엿 30-50중량부
비타민 C 1중량부
오렌지향 0.1 중량부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캔디를 제조하였다.
<2-3>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0.1 ~ 10.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0.1 ~ 1.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0.1 ~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 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생약복합재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조성물의 건조분말(1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3-1> 건강 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 ~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g
정제수 전체 900 ㎖가 되도록 하는 양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3-2>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0.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등의 야채의 쥬스 1,000 ㎖에 가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골성장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3>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0.1 g을 사과 또는 포도 등의 과일의 쥬스 1,000 ㎖에 가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골성장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성장 촉진을 위한 생약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옛날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생약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독성 문제가 없으며, 골성장 효능이 우수하여 소인증, 왜소증 및 소아의 발육부진과 같은 성장 저하 등 성장 장애 관련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정상인의 성장 발육 촉진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생약복합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성장 촉진을 위한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구기자 1 내지 20 중량%, 두충 1 내지 20 중량%, 가시오가피 1 내지 20 중량%, 숙지황 1 내지 20 중량%, 산약 1 내지 20 중량%, 산수유 1 내지 20 중량%, 복령 1 내지 20 중량%, 녹각 1 내지 20 중량%, 인삼 1 내지 20 중량% 및 난각칼슘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성장 촉진을 위한 약학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복합재 추출물이 생약재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증류수로 추출한 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성장 촉진을 위한 약학 조성물.
  4. 구기자, 두충, 가시오가피, 숙지황, 산약, 산수유, 복령, 녹각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생약복합재 추출물과 난각칼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성장 촉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KR1020130078236A 2013-07-04 2013-07-04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Active KR101456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236A KR101456127B1 (ko) 2013-07-04 2013-07-04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236A KR101456127B1 (ko) 2013-07-04 2013-07-04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127B1 true KR101456127B1 (ko) 2014-11-03

Family

ID=5228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236A Active KR101456127B1 (ko) 2013-07-04 2013-07-04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1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3166A (zh) * 2018-06-08 2018-11-13 丁申 一种儿童饮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116045A (ko) * 2018-04-03 2019-10-14 (주)하늘마음바이오 소아 성장판 자극 및 키 성장을 위한 한방 조성물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455B1 (ko) * 2001-10-09 2003-11-03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성장촉진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100509983B1 (ko) * 2003-04-29 2005-08-25 주식회사 일신웰스 성장촉진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20060111912A (ko) * 2005-04-25 2006-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성장 촉진용 약학 조성물
KR20130071214A (ko) * 2011-12-20 2013-06-2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kg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455B1 (ko) * 2001-10-09 2003-11-03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성장촉진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100509983B1 (ko) * 2003-04-29 2005-08-25 주식회사 일신웰스 성장촉진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20060111912A (ko) * 2005-04-25 2006-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성장 촉진용 약학 조성물
KR20130071214A (ko) * 2011-12-20 2013-06-2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kg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045A (ko) * 2018-04-03 2019-10-14 (주)하늘마음바이오 소아 성장판 자극 및 키 성장을 위한 한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119665B1 (ko) 2018-04-03 2020-06-08 (주)하늘마음바이오 소아 성장판 자극 및 키 성장을 위한 한방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8783166A (zh) * 2018-06-08 2018-11-13 丁申 一种儿童饮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674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rude drug complex for stimulating bone growth
US20220226409A1 (en) Composition for stimulating of myogenesis and prevention of muscle damage containing ginseng extract
KR20130104692A (ko) 산사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915031B1 (ko) 석류 과실과 칡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여성 갱년기 개선용 기능성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0851855B1 (ko) 생약복합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길이 성장 촉진용 약학적조성물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90369B1 (ko)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29559A (ko) 닥나무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55904B1 (ko)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09151A (ko) 삼백초와 황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18204B1 (ko)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길이 성장촉진용 조성물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0680628B1 (ko) 숙지황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082417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모리 배양물을 함유하는 성장촉진용조성물
CN1709165A (zh) 调脂稳压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533283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130082A (ko)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