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700B1 - Ice-Box Having A Separated Room For Fluid of Thawed Coolant - Google Patents
Ice-Box Having A Separated Room For Fluid of Thawed Coola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5700B1 KR101455700B1 KR20130005672A KR20130005672A KR101455700B1 KR 101455700 B1 KR101455700 B1 KR 101455700B1 KR 20130005672 A KR20130005672 A KR 20130005672A KR 20130005672 A KR20130005672 A KR 20130005672A KR 101455700 B1 KR101455700 B1 KR 1014557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water
- storage
- liquid separation
- liqu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089 carb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57 i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4 liqu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601 medicin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7 polystyrene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뚜껑(16)에 의해 그 상부 개방부가 개폐되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하부에는 배수구(14)를 구비하는 함체(12)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P)과 냉각재(I)를 함께 담는 단열박스(10)를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12)의 내부공간은 상기 보관물(P)과 냉각재(I)가 배치되는 보관공간(124), 및 상기 냉각재(I)가 녹아 발생된 액체(W)가 흘러내려 모이는 액체분리공간(122)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공간(124)과 상기 액체분리공간(122)은, 상기 함체(12)의 내부공간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투수성 구조물(20, 30, 40, 60, 70, 80, 90)에 의해 상하로 인접하도록 분리되며; 상기 투수성 구조물(20, 30, 40, 60, 70, 80, 90)은, 상기 보관공간(124)과 상기 액체분리공간(122)의 경계면으로서 다공성의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62, 72, 82, 92)를 구비하고, 상기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62, 72, 82, 92)는 상기 보관공간(124)에 배치된 보관물(P)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I)가 그 하부의 액체분리공간(122)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한편 액체(W)만이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보관물이 아이스박스 내에서 발생하는 액체와 뒤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아이스박스를 제공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This is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ose upper opening is opened and closed by a lid 16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 storage P and a coolant I are placed in an inner space of a housing 12 having a drain 14 at the bottom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12 includes a storage space 124 in which the storage P and the coolant I are disposed and a space 124 in which the coolant I is accommodated, And a liquid separating space (122) through which the generated liquid (W) flows and collects; The storage space 124 and the liquid separation space 122 are formed by the water permeable structures 20, 30, 40, 60, 70, 80, 90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2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The permeable structure (20, 30, 40, 60, 70, 80, 90) has a porous permeable interface (22, 32, 42, Wherein the water-permeable interface (22, 32, 42, 62, 72, 82, 92) comprises a reservoir (P)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124) Only the liquid W is passed while preventing the coolant I from moving to the liquid separation space 122 at the lower part thereof.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rage material from mixing with the liquid generated in the ice box, and to provide a hygienic ice box.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음식 등의 보관물을 저온에서 일시 보관하기 위한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함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과 저온의 고체 냉각재를 함께 담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 등을 별도로 분리하여 차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액체분리공간을 구성함으로써, 보관물이 아이스박스 내에서 발생하는 액체와 뒤섞이는 것을 방지한 새로운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an ice box for temporarily storing foods and the like at a low tempera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box for storing a storage material and a low-temperature solid coolant in an inner space of a housing made of a heat- A liquid separating space capable of separately separating the liquid generated by dissolving the coolant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so as to prevent the stored liquid from mixing with the liquid generated in the ice box, Ice box.
일반적으로, 아이스박스는 야외 나들이, 캠핑, 낚시 등의 활동시 필요한 음식이나 기타 물품을 저온에서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이스박스는 대체로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스티렌 폼 등의 단열재로 만든 직육면체 또는 원통형 등의 함체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함체의 상부는 개폐가능한 커버 또는 뚜껑에 의해 개폐된다. 이러한 함체의 내부 공간에, 저온 보관을 원하는 음식 등의 물품 즉 보관물을 얼음과 같은 냉각재와 함께 집어넣게 된다.Generally, ice boxes are widely used to store fresh food or other items needed for outdoor activities such as outings, camping, fishing, etc. at a low temperature. The ice box generally has an inner space of a casing,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cylinder,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or polystyrene foam.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is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or a lid which can be opened or closed. In the inner space of such a housing, an item such as a food or the like to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s put together with a coolant such as ice.
이와 같이 아이스박스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과 0℃ 이하의 냉각재를 함께 집어넣고, 예를 들어 20 ~ 30℃ 정도의 상태에서 방치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냉각재인 얼음은 액상의 물로 변하게 된다. 이렇게 얼음이 녹아서 발생된 액체 즉 물은 아직 녹지않은 얼음 및 보관물과 뒤섞이게 되는데, 이에 따라 아이스박스 내부가 지저분해지고, 물에 젖어있는 보관물을 아이스박스 외부로 꺼내야 하므로 불편하고, 얼음이 물에 닿아 상대적으로 빨리 녹아내리는 경향이 있어 저온 보관 시간이 짧아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들이 있었다. 그러므로, 비록 얼음이라는 냉각재가 일반인의 입장에서 비교적 저가의 비용으로 손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상술한 문제들이 해소되어야 한다는 기술적 요구가 있었다.In this way, when a storage material and a coolant of 0 ° C or lower are put together in the inner space of the ice box and left to stand, for example, at about 20 to 30 ° C, the ice as the coolant changes into liquid water . The liquid generated by melting the ice, that is, the water, is mixed with the ice which is not melted yet and the storage material. Therefore, the inside of the ice box becomes dirty and it is inconvenient to take out the wet water storage to the outside of the ice box. And there is a tendency to dissolve relatively quickly so that the cryogenic storage time is shortened. Therefore, 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olant called ice can be easily obtained at a relatively low cost in terms of the public, there is a technical demand tha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should be solved.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냉각재로서, 고체-액체 상변이를 하는 얼음이 아니라, 고체-기체 상변이를 하는 드라이아이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외피 내에 고체-액체 상변이를 하는 냉각재를 담은 구조의 아이스팩을 사용하는 예가 알려져 있다.In order to meet this demand, an ice pack of a structure containing a solid-liquid phase-changeable coolant in a shell of a dry ice or plastic material which does a solid-gas phase change is used instead of a solid-liquid phase ice as a coolant Is known.
그런데 드라이아이스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물질이며 실온에서는 급격하게 기화하므로 보관이 어렵다. 때문에 일반인이 얻기 힘들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어, 고가의 의약용 제품의 보관 등의 특수 목적에만 사용된다는 한계가 있었다.Dry ice, however, is a relatively expensive material and it evaporates rapidly at room temperature, making it difficult to stor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for the general public to obtain, and it is inconvenient and troublesome to use,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used only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storage of expensive medicinal products.
한편 아이스팩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나일론과 PE(폴리에틸렌)를 합지한 봉지 형태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소형 상자 형태의 외피 내에 물과 폴리머의 혼합물인 냉매를 넣고 얼려 사용한다. 이러한 아이스팩은 현재 축산물이나 수산물의 택배시 널리 사용 중이다. 그러나 아이스팩은 일정한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아이스박스 내부 공간 중 아이스팩이 점유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커서 보관물을 위한 공간이 크게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외피를 개봉하여 냉매 중 물을 완전히 말려서 버려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아이스박스 내부에서 아이스팩의 외피가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는 경우에는, 내부의 냉매가 녹은 액체가 흘러나와 보관물과 섞이게 되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In the case of ice packs, for example, a refrigerant mixture of water and polymer is placed in a bag-shaped bag made of nylon and PE (polyethylene) or made of plastic in the form of a small box. These ice packs are now widely used for delivering livestock products and aquatic products. However, since the ice pack has a certain sha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ice pack is relatively large in the space inside the ice box, so that the space for the storage space is greatly reduced. Also, since the water in the refrigerant must be completely dried It wa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In addition, when the outer packaging of the ice pack is torn or punctured inside the ice box,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liquid refrigerant inside the refrigerant flows out and mixes with the storage.
한편 냉각재와 보관물이 서로 분리된 공간에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에 예를 들어 국내 특허 등록 10-0797019 (2008.1.16 등록)의 등록공보에는 아이스박스의 내부공간을 통기성 격벽부재를 사용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격벽 부재가 아이스박스 내의 공간을 구획하여 냉각재와 보관물을 따로 별도의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냉각재와 보관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분리용 격벽부재가 냉각재의 냉각 효과를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단점을 커버하기 위해 비록 격벽부재에 기체가 통과되는 통기공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이는 드라이아이스와 같이 냉기흐름이 기체로서 구현되는 냉각재의 경우에만 적용된다는 한계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rrange the coolant and the storage in separate spaces, conventionally, for example, in a registration document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97019 (registered on Jan. 16, 2008), the inner space of the ice- Into a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ccording to this technique, the partition member separates the space in the ice box and inserts the coolant and the storage in separate spaces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coolant and the storage. However, according to this prior ar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eparating partition member lowers the cooling effect of the coolant. In order to cover this disadvantage, there has been a limitation in that a vent hole through which gas is passed through the partition member is formed, but this is applied only to a coolant in which a cold air flow is implemented as a gas, such as dry ice.
그러므로, 보관물과 고체 냉각재를 함께 담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 등의 아이스박스 내에서 발생하는 액체와 보관물이 뒤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Therefore, there is still a need for a technique for preventing mixing of a liquid and a liquid generated in an ice box, such as a liquid generated by dissolution of a coolant, in an ice box containing a storage and a solid coolant together.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함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과 저온의 고체 냉각재를 함께 담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 등을 별도로 분리하여 차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액체분리공간을 구성함으로써, 보관물이 아이스박스 내에서 발생하는 액체와 뒤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새로운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advantages. In particular, in an ice box for storing a storage material and a low-temperature solid coolant in an inner space of a housing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separate the liquid generated in the melted state and to separate the liquid from the liqui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as to prevent the stored product from mixing with the liquid generated in the ice box, Box. ≪ / RTI >
본 발명은 아이스박스 내부 공간에서, 아이스박스의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과 그 나머지 보관공간을 수평 분할하는 투수성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아이스박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액체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투수성 구조물을 통과하여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으로 저장된 후 배출되도록 하는 새로운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permeable structure that horizontally divides the liquid separation space and the remaining storage space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ice box in the ice box interior space so that the liquid generated in the ice box is naturally passed through the water- And a new liquid separation space for storing and discharging the liquid into the lowermost liquid separation space.
또한 본 발명은 아이스박스의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과 그 나머지 보관공간을 수평 분할하는 투수성 구조물을, 적어도 그 바닥이 투수성인 함체, 바구니, 또는 주머니의 형태로서 그 내부에 보관물을 담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아이스박스 내에 보관되는 보관물을 꺼낼 때 투수성 구조물에 담긴 채로 꺼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ter-permeable structure for horizontally dividing the liquid separation space and the remaining storage space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ice box into at least the form of a container, a basket, or a pocke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 box having a new liquid separation space which can be taken out while being held in a water permeable structure when taking out a stored article stored in the ice box.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above objects are achieved by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는,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뚜껑에 의해 그 상부 개방부가 개폐되며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하부에는 배수구를 구비하는 함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과 냉각재를 함께 담는 단열박스를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은 상기 보관물과 냉각재가 배치되는 보관공간, 및 상기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가 흘러내려 모이는 액체분리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공간과 상기 액체분리공간은,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투수성 구조물에 의해 상하로 인접하도록 분리되며;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상기 보관공간과 상기 액체분리공간의 경계면으로서 다공성의 투수성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투수성 인터페이스는 상기 보관공간에 배치된 보관물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가 그 하부의 액체분리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한편 액체만이 통과되도록 하는 구성될 수 있다.An ice box provided with a liquid separation space provid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opening portion is opened and closed by a lid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is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ere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include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torage material and the coolant are disposed and a liquid separation space in which the coolant is melted to generate a liquid, ; Wherein the storage space and the liquid separation space are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by a water permeable structure disposed at a constant position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water-permeable structure has a porous water-permeable interface as an interface between the storage space and the liquid separation space, wherein the water-permeable interface is formed by a liquid material While preventing liquid from passing through the space while allowing only liquid to pass through.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의 투수성 인터페이스의 상기 액체분리공간측에 면하는 표면에는, 상기 함체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스페이서가 고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rface facing the liquid separation space side of the water-permeable interface of the water-permeable structure may be fixed with a spac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maintain a gap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의 투수성 인터페이스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함체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의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는 단턱에 접촉하여 수직방향에서 하방으로의 진행이 중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edge of the water-permeable interface of the water-permeable structure is in contact with a step formed at a position of a height for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The process can be configured to stop.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의 투수성 인터페이스가 상기 함체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 중 소정 위치에 탈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수단은, 돌기가 홈에 끼워지는 돌기-홈 구조, 자력에 의해 탈착되는 구조, 또는 벨크로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water-permeable interface of the water-permeable structure is fixed at a position of a height at which the water-permeable interface of the water-permeable structure is maintained at a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attachment / detachment means for attaching / Here, the detachment mean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trusion-groove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is detached by a magnetic force, or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is in a Velcro structure.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상기 투수성 인터페이스를 바닥면으로 하여 그 상단이 개방되고 상기 보관물과 고체 냉각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ater-permeabl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side wall portion having a bottom surface with the water-permeable interface opened to form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torage and the solid coolant.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sidewall portion may have a porous structure.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할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water-permeable structure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handle of a hand-held structure.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그물망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ater-permeable structure may be formed including a mesh structure.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상기 함체 내에 복수 개가 삽입되어 상기 함체의 보관공간을 별도로 구분된 복수의 보관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water-permeable structur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parate storage spaces by inserting a plurality of the water-permeable structures into the housing.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진 함체의 내부 공간에 보관물과 저온의 고체 냉각재를 함께 담는 아이스박스에 있어서,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 등을 별도로 분리하여 차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액체분리공간을 구성함으로써, 보관물이 아이스박스 내에서 발생하는 액체와 뒤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적인 아이스박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n ice box for containing a storage material and a low-temperature solid coolant together in an inner space of a housing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liquid generated by melting the coolant is separately separated, By configuring the liquid separation space, the storage is prevented from intermingling with the liquid generated in the ice box and provides a hygienic ice box.
본 발명은 아이스박스 내부 공간에서, 아이스박스의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과 그 나머지 보관공간을 수평 분할하는 투수성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아이스박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액체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투수성 구조물을 통과하여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으로 저장된 후 배출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permeable structure that horizontally divides the liquid separation space and the remaining storage space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ice box in the ice box interior space so that the liquid generated in the ice box is naturally passed through the water- So as to be stored in the lowermost liquid separation space and then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은 아이스박스의 최하부의 액체분리공간과 그 나머지 보관공간을 수평 분할하는 투수성 구조물을, 적어도 그 바닥이 투수성인 함체, 바구니, 또는 주머니의 형태로서 그 내부에 보관물을 담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아이스박스 내에 보관되는 보관물을 꺼낼 때 투수성 구조물에 담긴 채로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ter-permeable structure for horizontally dividing the liquid separation space and the remaining storage space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ice box into at least the form of a container, a basket, or a pocke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arkable effect such that the stored contents stored in the ice box can be taken out while being held in the water permeable structure when taken out,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 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and 11 are schematic 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s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 9;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는 단열박스(10)와 투수성 구조물(20, 30, 40, 60, 70, 80, 90)을 포함한다.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아이스박스'는, 개폐가능한 내부공간에 보관물과 냉각재를 함께 수납시키는 단열재로 만들어진 벽체를 포함하는 구조이면 충분하므로,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원통형의 견고한 벽체로 된 형상을 가지는 아이스박스(Ice box)를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아이스박스'가 이것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미사용시에는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단열성 벽체를 제조한 아이스백(Ice bag)도 포함하는 의미로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Herein, the term 'ice box'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a structure including a wall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ich houses a storage and a coolant together in an openable and closable inner space. Therefore, a shape of a solid wall (Ice box). In addition, the 'ice box'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n ice bag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folded and stored when it is not used includes an ice bag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as meaning.
단열박스(10)는, 종래의 아이스박스에 있어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함체(12), 배수구(14), 뚜껑(16)을 포함할 수 있다. 함체(12)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도록 단열성 재질로 만든 바닥면 및 측벽면을 구비한다. 함체(12)의 바닥면이나 측벽면 중 하부에는 배수구(14)가 구비된다. 함체(12)의 상부면은 개방부를 이루는데, 이 개방부는 역시 단열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뚜껑(16)에 의해 개폐된다. 이들 이외에, 함체(12)의 외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아이스박스를 잡기 편하게 하는 손잡이나 어깨에 맬 수 있게 하는 끈이 부착될 수 있고, 뚜껑(16)이 함체(12)에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압박하는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단열박스(10)는 그 내부공간에 보관물(P)과 냉각재(I)를 수납하는 일반적인 아이스박스 자체와 대체로 유사하다.The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는, 이 단열박스(10) 내에 삽입되는 투수성 구조물(20, 30, 40, 60, 70, 80, 90)이다. 이 투수성 구조물은, 무엇보다도 먼저, 단열박스(10)의 함체(12)의 내부공간을 인접하지만 서로 분리된 두 개의 공간 즉 상부의 보관공간(124) 및 하부의 액체분리공간(122)으로 분할하는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permeable structure (20, 30, 40, 60, 70, 80, 90) inserted into the insulating box (10). This water-permeable structure first of all comprises two spaces, that is, an
보관공간(124)은 보관물(P)과 냉각재(I)가 배치되는 공간이다. 한편 액체분리공간(122)은, 보관공간(124)에서 예컨대 얼음과 같이 고체인 냉각재(I)가 녹아 발생된 액체(W) 즉 물이 흘러내려 모이는 공간이다. 보관공간(124)에 보관 중인 보관물(P)에서 액체 성분이 흘러내리는 경우에도 역시 액체분리공간(122)으로 모이게 된다.The
이를 위하여, 투수성 구조물(20, 30, 40, 60, 70, 80, 9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공통적으로, 함체(12)의 내부공간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수평의 인터페이스 면이면서 다공성의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62, 72, 82, 92)를 구비한다.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62, 72, 82, 92)는 보관공간(124)에 배치된 보관물(P)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I)가 그 하부의 액체분리공간(122)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한편 액체만이 통과되도록 하는 다공성 구조를 가진다.To this e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이러한 다공성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22)는 액체가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223)이 형성되어 있는 견고한 하나의 다공판(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도 3에 예시되어 있는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32)는 하나 이상의 수평의 지지프레임 (322)과 그 위에 겹쳐 놓이는 하나의 그물망(3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도 4 및 도 5에 예시되어 있는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42)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함체나 바구니 형상을 하는 그물망 구조물의 하부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방식으로, 도 9에 예시되어 있는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92)는 수평의 지지프레임 없이 그물망(923)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1 and 2, the water-
본 발명에 따라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62, 72, 82, 92)를 함체(12)의 특정 위치에 고정 배치하는 방식은 크게 3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각각 스페이서 방식, 상단 부착방식, 및 단턱 접촉방식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이들 방식들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채용할 수 있다.The manner in which the water
스페이서 방식은, 도 1 및 도 2의 제 1 실시예와 도 3의 제 2 실시예와 도 8의 제 6 실시예와 도 9의 제 7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액체분리공간(122)의 높이(H)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23, 33, 83, 93)를 채용한 방식이다. 이들 스페이서는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82, 92)의 하부면 즉 액체분리공간(122)측에 면하는 표면에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23, 33, 83, 93)는 각각 가느다란 수직 기둥 형태로서 4개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런 형태와 배치의 스페이서로만 국한될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해서, 스페이서의 형태는, 투수성 인터페이스의 하부면과 함체(12)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H)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라면 제한없이 가능하다.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위치도 반드시 모서리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투수성 인터페이스 하부면의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수로 배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1 and 2,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3, the sixth embodiment of Fig. 8, and the seventh embodiment of Fig. 9, And
단턱 접촉방식은, 도 6의 제 4 실시예와 도 7의 제 5 실시예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62, 72)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함체(12)의 내부공간에 돌출되어 있는 단턱(120)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방식이다. 이 단턱(120)은 함체(12)의 바닥면과의 간격(H)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H)의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는 돌출 형상이다. 투수성 인터페이스(62, 72)는 단턱(120)에 그 가장자리의 하부면이 접촉하며, 이에 따라 수직방향에서 하방으로의 진행이 중지되고, 이에 따라 투수성 인터페이스(62, 72)에 대해 상부에서 하부로 보관물과 냉각재의 무게가 실린다고 하더라도, 투수성 인터페이스(62, 72)는 단턱(120)에 걸려 하방으로 움직이지 않으며, 따라서 함체(12)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H)가 유지될 수 있다.6, at least a part of the edges of the water-
상단 부착방식은, 도 4 및 도 5의 제 3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투수성 인터페이스(42)를 함체(12)의 바닥면과의 간격(H)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의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함체(12)의 내부공간 중 소정 위치에 탈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51, 52)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식이다.The upper attaching method is a method of fixing the water-
여기서 탈착수단은, 도시된 예에서는, 돌기-홈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한편으로는 투수성 구조물(40) 측에 결합돌기(51)를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 함체(12)의 측벽면 상단에 결합홈(52)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돌기(51)를 결합홈(52)에 끼워 부착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투수성 구조물(40)에 결합돌기(51)가 형성되어 있고 함체(12)에 결합홈(52)이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투수성 구조물(40)에 결합홈(52)이 형성되고 함체(12)에 결합돌기(51)가 형성되는 예도 가능하다.Here, the detachment means exemplifies a protrusion-groove structure in the illustrated example. In other words, on the one hand, the engaging
더 나아가, 본 발명이 이러한 돌기-홈 구조의 탈착수단에 국한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구조의 탈착수단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51)와 결합홈(52) 대신 그 위치에 소형의 자석을 구비시켜, 자석끼리 서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일명 찍찍이라고도 하는 벨크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o the detachment means of such protruding-groove structure, but various detachment means are possible. For example, instead of the engaging
인터페이스 기능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인 투수성 구조물의 두번째 주요한 기능은, 보관물 및 고체 냉각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한다는 점이다.In addition to the interface function, the second major function of the permeable structure, which is a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ha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torage and solid coolant.
이러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의 제 1 실시예와 도 3의 제 2 실시예와 도 4 및 도 5의 제 3 실시예와 도 9 내지 도 11의 제 7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수성 구조물(20, 30, 40, 90)은 투수성 인터페이스(22, 32, 42, 90)를 바닥면으로 하여 그 상단이 개방되고 보관물과 고체 냉각재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측벽부(26, 36, 46, 96)를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투수성 인터페이스와 측벽부는,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이 수납공간에는 보관물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가 수납될 수 있다.In order to form such a storage space,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s. 1 and 2,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3, the third embodiment of Figs. 4 and 5, and the seventh embodiment of Figs. 9 to 11, The water
본 발명에 따라,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인 투수성 인터페이스 외에, 측벽부(26, 36, 46, 96)도 역시 다공성 구조, 바람직하게는 그물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측벽부(26, 36, 46, 96)를 통해 냉기흐름이 통할 수 있으므로,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투수성 구조물(90)이 하나의 아이스박스의 단열박스(10)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냉각효율이 저하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permeable interface which is the bottom surface forming the receiving space, the
투수성 구조물(90)이 함체(12) 내에 복수 개가 삽입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함체(12)의 상대적으로 큰 용적의 보관공간(124)을 별도로 구분된 복수의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의 수납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투수성 구조물(20, 30, 40, 70, 80)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조의 손잡이(28, 38, 48, 78, 88, 98)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손잡이는 투수성 구조물을 함체(12) 내부공간에서 꺼내거나 그 안으로 집어넣는 행위를 용이하게 하며, 더 나아가 투수성 구조물의 수납공간에 넣어져 있는 보관물을 투수성 구조물과 함께 함체(12)의 내부공간으로부터 꺼내거나 그 안으로 집어넣기 용이하게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본 발명에 따라, 투수성 구조물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재료는 막이나 직물의 그물망 구조 형태의 유연한 소재일 수도 있고, 금속망이나 단단한 플라스틱 판과 같은 경질 소재일 수도 있고, 유연한 소재와 경질 소재를 혼합할 수도 있다. 다만 이들 재료는 보관물 및 물과 항시 접촉하게 되므로, 녹이 슬지 않고, 물과 얼음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며, 촉감이 좋으며, 스크랫치로 인해 보관물의 표면에 상처를 낼 염려가 없으며, 보관물이 흡착되지 않도록 하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water-permeable structure may be a flexible material in the form of a mesh structure of a membrane or fabric, a hard material such as a metal mesh or a hard plastic plate, a soft material mixed with a hard material You may. However, since these materials always come into contact with the storage and water, they do not rust, they are not deformed by water and ice, they are good in touch, they do not cause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storage due to the scratch, It may be desirable to select a material that will not be presen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특징들을 하나 이상 채용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7 실시예를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제 1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있는 상자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20)이 삽입된다. FIG.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 . In this first embodiment, a
이 투수성 구조물(20)은 투수성 인터페이스(22), 이를 바닥면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26), 및 다리 즉 스페이서(23)를 포함한다. 투수성 인터페이스(22)는 테두리 프레임(221)에 둘러싸이고 다수의 관통공(223)을 구비하는 하나의 다공판(222)으로 구성된다. 측벽부(26)는 그물망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측벽부(26)의 모서리에는 수직프레임(24)이 포함되고 측벽부(26)의 상단에는 상단 테두리 프레임(27)이 형성되어 수납공간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테두리 프레임(27)에는 2개의 손잡이(28)가 구비되어 있다.The water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있는 상자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30)이 삽입된다.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water-
이 투수성 구조물(30)은,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그물망 구조의 투수성 인터페이스(32)를 포함하는 외에, 이를 바닥면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36), 및 다리 즉 스페이서(33)를 포함하는 점에서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투수성 인터페이스(32)는 테두리 프레임(321)에 둘러싸이고 다수의 지지프레임(322)을 구비하는 하나의 그물망(323)으로 구성된다. 측벽부(36)도 역시 그물망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측벽부(36)의 모서리에는 수직프레임(34)이 포함되고 측벽부(36)의 상단에는 상단 테두리 프레임(37)이 형성되어 수납공간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테두리 프레임(37)에는 손잡이(38)가 구비되어 있다.The water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없는 바구니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40)이 삽입된다.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4 . In the third embodiment, a
이 투수성 구조물(40)은, 제 1 및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그물망 구조의 바구니 형태로 연속되는 측벽부(46)와 바닥면인 투수성 인터페이스(42)를 포함하며, 탈착수단으로서 돌기-홈 구조(51, 52)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도시된 예에서 측벽부(46)의 모서리는 그대로 연속되는 그물망 구조로서 이어져 있으며, 측벽부(46)의 상단에는 상단 테두리 프레임(47)이 형성되어 수납공간의 개방부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테두리 프레임(47)에는 손잡이(48)가 구비되어 있다.The water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 4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없고 보관공간에 대해 분리되어 있는 수납공간이 없는 수평 플레이트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60)이 삽입된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a
이 투수성 구조물(60)은, 수납공간이 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는 달리, 수납공간을 형성하지 않으며, 다만 다수의 관통공(63)이 구비되어 있는 다공판 형태의 투수성 인터페이스(62)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함체(12)의 내부면에 형성된 단턱(120)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높이 H인 액체분리공간(122)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Unlike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the water-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제 5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없고 수납공간도 없으며 손잡이 달린 수평 플레이트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70)이 삽입된다.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fth embodiment, the water-
이 투수성 구조물(70)은,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납공간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단턱(120) 구조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높이 H인 액체분리공간(122)을 형성한다는 점도 제 4 실시예와 같다. 다만, 테두리 프레임(721)과 그 내부에 교차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722) 및 지지프레임(722)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그물망(723)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투수성 인터페이스(72)를 가진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그리고 이 투수성 인터페이스(72)의 테두리 프레임(721)에는 두 개의 손잡이(78)가 형성되어 있다.This water-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제 6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다리 있고 수납공간이 없는 손잡이 달린 수평 플레이트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80)이 삽입된다.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xth embodiment, in the
이 투수성 구조물(80)은, 제 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납공간을 가지지 않지만, 단턱(120) 구조가 아니라 스페이서(83)에 의해 고정된 높이 H인 액체분리공간(122)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리고 투수성 인터페이스(82)는 테두리 프레임(821)과 그 내부에 다수의 관통공(823)이 형성된 하나의 다공판(822)으로 굿어된다. 그리고 이 투수성 인터페이스(82)의 테두리 프레임(821)에는 두 개의 손잡이(88)가 형성되어 있다.This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 7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 7 실시예에서 단열박스(10)의 함체(12) 내부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리 있는 상자 형태의 투수성 구조물(30)과 유사한 투수성 구조물(90)이 "복수개" 삽입된다.FIG. 9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n ice box having a liquid separation spa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0 and 11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seventh embodiment shown in FIG. Respectively. In the seventh embodiment, in the
도시된 예에서 3개가 삽입되는 투수성 구조물(30)은 각각, 그물망 구조의 투수성 인터페이스(92)를 포함하고, 이를 바닥면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96), 및 다리 즉 스페이서(93)를 포함한다. 투수성 인터페이스(92)는 테두리 프레임(921)에 둘러싸인 하나의 그물망(923)으로 구성된다. 측벽부(96)도 역시 그물망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측벽부(96)의 모서리에는 수직프레임(94)이 포함되고 측벽부(96)의 상단에는 상단 테두리 프레임(97)이 형성되어 수납공간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테두리 프레임(97)에는 손잡이(98)가 구비되어 있다.Each of the thre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아이스박스 내부에, 투수성 구조물을 사용하여, 음식 등의 보관물과 얼음 등의 냉각재가 수납되는 보관공간과는 별도로 액체만이 모이는 액체분리공간이 제공된다. 액체분리공간에는 얼음이 녹은 물이나 보관물에서 흘러나오는 액상의 물질이 모일 수 있으며, 배수구를 통해 손쉽게 아이스박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liquid-permeable structure is used in the ice box to provide a liquid separation space in which only liquid is collected separately from the storage space in which food and other coolants such as ice are stored. do. In the liquid separation space, liquid materials from ice water or storage can be collected, and can easily be discharged outside the ice box through a drain.
이에 따라 아이스박스에서 보관 중인 보관물이 얼음물과 섞이지 않은 상태로 보관될 수 있어, 그렇지 못한 경우에 비해, 보관물이 더 청결하고 위생적이며 더 오랫동안 신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This provides the advantage that the storage in the icebox can be stored unmixed with ice water, which makes the storage more clean, hygienic and fresh for longer.
더 나아가 냉각재로서 저가이며 얻기 쉬운 얼음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물과 얼음을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캠핑이나 낚시 등의 야외 활동시 아이스박스를 사용하는 일반인들에게, 편리하고 저렴하면서도 냉각 효과가 큰 아이스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제공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it is not only necessary to use low-cost and easy-to-obtain ice as a coolant but also to separate the storage and ice into different spaces, it is convenient for ordinary people using ice boxes in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and fishing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ce box which is inexpensive and has a large cooling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투수성 구조물을, 보관공간과 액체분리공간을 분할하는 투수성 인터페이스 외에 보관물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도록 하는 구성에 의하면, 아이스박스로부터 보관물을 꺼낼 때, 투수성 구조물의 수납공간에 담겨있는 보관물들을 한꺼번에 꺼낼 수 있다는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water-permeable interface for dividing the storage space and the liquid separation space, the water-permeable structure ha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storage material and the solid-state cool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take out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permeable structure all at once.
더 나아가 아이스박스 내에서 보관공간이 복수의 투수성 구조물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아이스박스 내의 하나의 보관공간이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수납공간에 서로 성질이 다른 보관물을 수납할 수 있는데, 예컨대, 하나의 수납공간에는 음료수들을 넣고, 다른 수납공간에는 요리할 식재료 중 고기종류를 넣고, 또 다른 수납공간에는 채소류를 넣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수납공간에는 각각 보관물과 냉각재를 전부 넣을 수도 있지만, 보관물만 수납할 수도 있고, 냉각재만 수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아이스박스 내의 공간을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체계화시킬 수 있어, 아이스박스 내에서 원하는 물건을 찾기 위해 보관물들을 뒤적이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는 등의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a plurality of water-permeable structures to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in the ice box, one storage space in the ice box can b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this case, For example, drinking water may be put in one storage space, meat type in the other storage space, and vegetables in another storage space. 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and the cooling material may be all contained in the respective storage spaces, but only the storage material or only the cooling material may be stored. In this manner, the space in the ice box can be structur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convenience can be provided such that the time for backing up the storage in order to find a desired object in the ice box can be sav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10 : 단열 박스
12 : 함체
120 : 단턱부
122 : 액체분리공간
124 : 보관공간
14 : 배수구
16 : 뚜껑
20, 30, 40, 60, 70, 80, 90 : 투수성 구조물
22 : 투수성 인터페이스
221 : 투수성 인터페이스 테두리 프레임
222 : 다공판
223 : 관통공
23 : 스페이서
24 : 수직 모서리 프레임
26 : 측벽부
27 : 상부 테두리 프레임
51 : 결합돌기
52 : 결합홈10: Heat insulation box
12: Enclosure
120:
122: liquid separation space
124: Storage space
14: Sewer
16: Lid
20, 30, 40, 60, 70, 80, 90: Permeable structure
22: Permeable interface
221: Permeable interface border frame
222: Perforated plate
223: Through hole
23: Spacer
24: Vertical edge frame
26:
27: upper border frame
51: engaging projection
52: engaging groove
Claims (10)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은 상기 보관물과 냉각재가 배치되는 보관공간, 및 상기 냉각재가 녹아 발생된 액체가 흘러내려 모이는 액체분리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공간과 상기 액체분리공간은,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는 투수성 구조물에 의해 상하로 인접하도록 분리되며;
상기 투수성 구조물은, 상기 보관공간과 상기 액체분리공간의 경계면으로서 다공성 바닥면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보관물을 담는 바구니 또는 주머니 형태이며, 상기 다공성 바닥면은 상기 보관공간에 배치된 보관물과 고체 상태의 냉각재가 그 하부의 액체분리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한편 액체만이 통과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투수성 구조물의 다공성 바닥면이 상기 함체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높이의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바구니 또는 주머니 형태의 상단 프레임의 복수의 위치가 상기 함체의 내부공간 중 소정 위치에 탈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분리공간을 구비하는 아이스박스.1. An ice box comprising a heat insulating box formed by a lid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upper open portion being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lower portion having a drain hole,
Where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include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torage material and the coolant are disposed, and a liquid separation space in which the coolant is melted to generate a liquid,
Wherein the storage space and the liquid separation space are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by a water permeable structure disposed at a constant position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water permeable structure has a porous bottom surface as an interface between the storage space and the liquid separation space and is in the form of a basket or bag for containing a storage material therein, And the liquid in the solid state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liquid separating space below the liquid separating space,
Wherein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basket or the bag-shaped upper frame are fixed to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inner space of the enclosure in order to fix the porous bottom surface of the water- And a detachment means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liquid separation space to the liquid separation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05672A KR101455700B1 (en) | 2013-01-18 | 2013-01-18 | Ice-Box Having A Separated Room For Fluid of Thawed Coola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05672A KR101455700B1 (en) | 2013-01-18 | 2013-01-18 | Ice-Box Having A Separated Room For Fluid of Thawed Coola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3405A KR20140093405A (en) | 2014-07-28 |
KR101455700B1 true KR101455700B1 (en) | 2014-11-03 |
Family
ID=5173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056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5700B1 (en) | 2013-01-18 | 2013-01-18 | Ice-Box Having A Separated Room For Fluid of Thawed Coola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570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22873A (en) * | 2016-10-20 | 2017-01-11 |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 Cold storage tank |
KR20220027697A (en) | 2020-08-27 | 2022-03-08 | 에이스유통주식회사 | Refrigeration and freezing device for transport and storage of confectionery and baker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1610B1 (en) * | 2015-09-15 | 2016-03-09 | 김대수 | Ice-box Using Liquefied Fuel Gas |
KR101984648B1 (en) * | 2017-11-08 | 2019-05-31 | 최병달 | Icebax |
KR200488482Y1 (en) * | 2018-06-28 | 2019-02-08 | 신경용 | Icebox with Portable Lamp as Inner Illumination |
CN118083323B (en) * | 2024-04-18 | 2024-06-28 | 河南禾胜合食品有限公司 | Article storage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65074A (en) * | 1982-01-18 | 1986-01-21 | Morgan Marshall M | Ice tray for use with a portable ice chest |
US6193097B1 (en) * | 2000-02-25 | 2001-02-27 | Miguel Angel Martin Perianes | Portable cooler |
-
2013
- 2013-01-18 KR KR20130005672A patent/KR10145570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65074A (en) * | 1982-01-18 | 1986-01-21 | Morgan Marshall M | Ice tray for use with a portable ice chest |
US6193097B1 (en) * | 2000-02-25 | 2001-02-27 | Miguel Angel Martin Perianes | Portable cool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22873A (en) * | 2016-10-20 | 2017-01-11 |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 Cold storage tank |
KR20220027697A (en) | 2020-08-27 | 2022-03-08 | 에이스유통주식회사 | Refrigeration and freezing device for transport and storage of confectionery and bak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3405A (en) | 2014-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5700B1 (en) | Ice-Box Having A Separated Room For Fluid of Thawed Coolant | |
US6085926A (en) | Floating cooler with drink tray | |
US1054397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temperature within a cooler | |
US6574983B2 (en) | All purpose portable ice chest | |
US20170101301A1 (en) | Unique self-pressurizing, self-cooling beverage system, having impact-and-vibration-absorbing systems, anti-shaking anti-rolling clamping system, root-beer-float system, beverage-dispensing system, and multi-height spigot system | |
JP3187021U (en) | Cold freezing cup | |
KR20140048860A (en) | Rigid collapsible liner for insulated container | |
WO2021145971A1 (en) | Collapsible hard-sided cooler | |
US11199353B2 (en) | Cooler with a secondary compartment | |
US20150253056A1 (en) | Food Container | |
AU2012296171A1 (en) | Delivery container for temperature sensitive goods | |
WO2016000082A1 (en) | Cooling pack,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and corresponding method of cooling bottled beverages | |
CN202704252U (en) | Square red bayberry refreshment basket | |
US8695372B1 (en) | Beverage cooling device with adjustable cooling air sliding plate | |
KR101941708B1 (en) | Liquor or beverage cooling storage device | |
KR101679025B1 (en) | Container attached with a magnet | |
KR200467329Y1 (en) | Drawer type refrigerator for side-dishes | |
RU115055U1 (en) | BAG | |
US7628033B1 (en) | Removable cooler accessory to prevent soaking | |
KR101984648B1 (en) | Icebax | |
CN101744535A (en)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ilk container thereof | |
JPS6324840Y2 (en) | ||
CN215246920U (en) | Water-proof thermal insulation box | |
KR20110010671A (en) | Kettle with removable refrigerant pack | |
KR101385596B1 (en) | Device for storing deodorant and refrigerator having deodorizing function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