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4730B1 -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730B1
KR101454730B1 KR1020120134986A KR20120134986A KR101454730B1 KR 101454730 B1 KR101454730 B1 KR 101454730B1 KR 1020120134986 A KR1020120134986 A KR 1020120134986A KR 20120134986 A KR20120134986 A KR 20120134986A KR 101454730 B1 KR101454730 B1 KR 101454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ilicone oil
dimethicone
coated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570A (ko
Inventor
조익현
김은숙
최용문
Original Assignee
이스트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트힐(주) filed Critical 이스트힐(주)
Priority to KR1020120134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7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7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4Coated by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분체를 특정의 실리콘 오일로 코팅하여 고굴절율, 특히 피지로 적셔진 이후에도 높은 반사율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색소가 침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분체 80 내지 98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1 실리콘 오일로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1 내지 10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2 실리콘 오일로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hicone)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Powder type material for cosmetic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분체를 특정의 실리콘 오일로 코팅하여 고굴절율, 특히 피지로 적셔진 이후에도 높은 반사율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색소가 침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제품의 설계에 있어서 분체의 역할은 제품의 기능성과 사용성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분체 설계의 목적에 부합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분체의 표면을 오일, 특히 실리콘 오일로 표면처리하여 분체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파우더나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품의 분체들은 친수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피부는 땀이나 물에 잘 지워지는 친유성을 갖고 있는 바, 발수성 및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장품의 분체에 실리콘계 오일을 코팅하여 제조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체, 특히, 무기분체의 표면개질제로서의 메치콘(methicone)은 실란기(silane group ; Si-H)의 반응에 근본을 두고 있어 수소가스의 발생을 필연적으로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무기분체의 표면개질제로서의 실리콘계 오일의 주의깊은 선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표면개질제로서의 실리콘계 오일의 선택에 의하여 고굴절율, 특히 피지로 적셔진 이후에도 높은 반사율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색소가 침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개질제로서의 실리콘계 오일의 선택에 의하여 코팅 작업 시 반응생성물로서의 수소가스의 발생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과정에서의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개질제로서의 실리콘계 오일의 선택에 의하여 실리콘계 오일의 코팅에 의하여 수득되는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특히 메이크업 제형에서 분산성 및 흐름성이 우수하여 색소티가 발생되지 않고 자연스러운 발색을 부여할 수 있으며, 부드럽고(soft), 매끄러운(silky) 느낌의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는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코팅분체는, 분체 80 내지 98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1 실리콘 오일로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1 내지 10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2 실리콘 오일로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hicone)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체는 판상, 구상, 침상, 주상 및 무정형 중의 어느 한 형태의 입자 형상을 갖는 분체가 될 수 있다.
상기 분체는 활석, 운모, 견운모, 질화붕소, 황산바륨, 판상 알루미나, 이산화티탄/운모 2상 파우더(40 내지 80중량%의 범위 이내의 양의 운모의 표면에 60 내지 20중량%의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2상 파우더, 상품명 펄(pearl)'이라 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실리카, 나일론, 이산화티탄, 산화철,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가교 중합체(cross polymer),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산 가교 중합체,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용 코팅분체는 상기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에 더해 제3 실리콘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리콘 오일은 메치콘, 디메치콘, 하이드로겐 디메치콘, 트리에톡시카프릴일실란, 디메칠 실리콘, 아크릴 실리콘, 세틸 디메치콘 공중합체, 아미노프로필 디메치콘,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알루미늄 미리스테이트, 소듐 미리스테이트, 칼슘 미리스테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아미노 변성 실리콘, 탄소수 12 내지 15의 알킬벤조에이트, 광물성 오일,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 국제화장품 규격(INCI)의 명칭 ; 아크릴레이트), 디메틸트리에톡시실란, N-라우로일 L-라이신(N-Lauroyl L-Lysine), 소듐라울리글루타메이트, 세라마이드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코팅분체의 제조방법은, (1) 분체 80 내지 98중량%에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1 실리콘 오일로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1 내지 10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2 실리콘 오일로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hicone)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200 내지 900rpm에서 1 내지 5분간 혼합하여 분체-실리콘 오일 혼합물을 수득하는 혼합단계; (2)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분체-실리콘 오일 혼합물을 100℃내지 160℃에서 120 내지 420분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3) 상기 건조단계에서 수득되는 건조된 생성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단계 이전에 상기 혼합단계에서 사용되는 미코팅된 상태의 상기 분체 만을 200 내지 900rpm에서 1 내지 5분간 교반시키는 교반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에 더해 제3 실리콘 오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분체를 특정의 실리콘 오일로 코팅하여 고굴절율, 특히 피지로 적셔진 이후에도 높은 반사율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색소가 침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득된 화장품용 코팅분체와 비교예들로서의 화장품용 코팅분체들의 피지 적심 이전의 파장에 따른 굴절율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득된 화장품용 코팅분체와 비교예들로서의 화장품용 코팅분체들의 피지 적심 이후의 파장에 따른 굴절율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코팅분체는, 분체 80 내지 98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1 실리콘 오일로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1 내지 10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2 실리콘 오일로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hicone)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분체 상에 코팅되는 실리콘 오일에 대하여 주의 깊게 연구한 결과, 적절한 실리콘 오일을 선택하여 분체 상에 코팅하는 것에 의하여 고굴절율, 특히 피지로 적셔진 이후에도 높은 반사율을 제공함과 동시에 화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색소가 침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용 코팅분체를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상기 분체는 판상, 구상, 침상, 주상 및 무정형 중의 어느 한 형태의 입자 형상을 갖는 분체가 될 수 있다. 상기 분체는, 바람직하게는, 활석, 운모, 견운모, 질화붕소, 황산바륨, 판상 알루미나, 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실리카, 나일론, 이산화티탄, 산화철, 이산화규소, 실리콘 파우더, 구상 무정형의 파우더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리콘 오일로서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은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실리콘 오일로서, 일본국 소재 신에츠사(Shinetsu)로부터 상품명 KF 56A로서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112012097879782-pat00001
이 제1 실리콘 오일로서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은 분체 상에 코팅되어 고굴절율을 갖는 분체를 수득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은 분체에 코팅하여 사용하는 경우, 피부 밀착감이 우수하고, 분산성이 뛰어나며, 코팅 시 잔류가스가 생성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이 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코팅된 분체의 굴절율이 충분히 높아지지 않고, 피부 밀착감, 분산성 및 제형 안정성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분체에 과량으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이 혼합되어 뭉침현상 및 피부 도포 시 퍼짐성 및 파우더 분산시 자연스러운 흐름성을 기대할 수 없고, 화장품 제형에 들어가면 점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실리콘 오일로서의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hicone)은 하기 화학식 2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실리콘 오일로서, 역시 위 일본국 소재 신에츠사로부터 상품명 KF 9909로서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112012097879782-pat00002
이 제2 실리콘 오일로서의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은 특히 분체와의 코팅 시, 특히 분체로서 표면에 히드록시를 갖는 분체의 표면에 코팅되는 경우, 종래의 디메치콘과 같은 일반적인 실리콘 오일의 코팅 시 생성되는 반응생성물로서 수소 가스를 발생하는 대신 에탄올(EtOH)을 생성하면서 분체 표면 상에 실리콘 오일의 코팅막을 형성시켜 수득되는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이 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배합제품의 적은 코팅량으로 사용감에서 일반적인 코팅제품과 차이를 느낄 수 없고 소수성 및 발수성이 저하되며 밀착감을 기대할 수 없고,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파우더의 뭉침현상 및 피부 도포 시 퍼짐성 및 파우더 분산 시 자연스러운 흐름성을 기대할 수 없고, 코팅 시 전혀 다른 성분의 화학구조로 변할 수 있고, 제조 시 과량의 오일로 인해 장비에 흡착되어 생산성에도 손실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장품용 코팅분체는 상기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에 더해 제3 실리콘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리콘 오일은 메치콘, 디메치콘, 하이드로겐 디메치콘, 트리에톡시카프릴일실란, 디메칠 실리콘, 아크릴 실리콘, 세틸 디메치콘 공중합체, 아미노프로필 디메치콘,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알루미늄 미리스테이트, 소듐 미리스테이트, 칼슘 미리스테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아미노 변성 실리콘, 탄소수 12 내지 15의 알킬벤조에이트, 광물성 오일,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 국제화장품 규격(INCI)의 명칭 ; 아크릴레이트), 디메틸트리에톡시실란, N-라우로일 L-라이신(N-Lauroyl L-Lysine), 소듐라울리글루타메이트, 세라마이드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코팅분체의 제조방법은, (1) 분체 80 내지 98중량%에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1 실리콘 오일로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1 내지 10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2 실리콘 오일로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hicone)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200 내지 900rpm에서 1 내지 5분간 혼합하여 분체-실리콘 오일 혼합물을 수득하는 혼합단계; (2)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분체-실리콘 오일 혼합물을 100 내지 160에서 1 내지 5분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3) 상기 건조단계에서 수득되는 건조된 생성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혼합단계는 분체 80 내지 98중량%에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1 실리콘 오일로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1 내지 10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2 실리콘 오일로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hicone)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200 내지 900rpm에서 1 내지 5분간 혼합하여 분체-실리콘 오일 혼합물을 수득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상기에서 혼합은 슈퍼믹서(대한민국 소재 주식회사 제이분체(JE POWDER)로부터 상품명 JE-SM150으로 구입가능)를 이용하여 200 내지 900rpm의 속도로 1 내지 5분간 교반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속도와 시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장비에 열이 발생하여 무리한 사용으로 인한 효율성(생산성)이 저하되며, 속도와 시간의 차이에 따라 파우더(백색 파우더 및 색소 파우더)의 명도와 채도가 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2)의 건조단계는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분체-실리콘 오일 혼합물을 100℃내지 160℃에서 120 내지 420분간 건조시키는 것으로 수행된다. 상기 건조에서 온도가 100℃미만으로 되는 경우, 용제인 이소프로필알코올 성분의 존재 가능성이 있어 실리콘 오일의 분체 코팅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60℃를 초과하는 경우, 실리콘오일의 분체와 반응하는 온도는 105℃부터 시작되므로 건조공정이 끝나면 파우더에 실리콘 오일이 남아 있는 확률이 낮아 코팅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속도와 시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장비에 열이 발생하여 무리한 사용으로 인한 효율성(생산성)이 저하되며, 속도와 시간의 차이에 따라 파우더(백색 파우더 및 색소 파우더)의 명도와 채도가 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3)의 분쇄단계는 상기 건조단계에서 수득되는 건조된 생성물을 분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분쇄단계에서의 분쇄의 이유는 실리콘 코팅 후, 건조 공정이 끝나면 파우더 안의 이물질 혼재 위험 및 미립자 파우더가 뭉쳐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해쇄과정이 필요하며, 균일한 입자를 얻기 위하여 분쇄 공정이 수행된다. 파우더 원시원료의 크기마다 차이가 있으나(예를 들어 미립자 산화티탄의 입자의 경우 0.2 내지 0.5 이하의 평균입경), 분체의 평균입경의 범위를 벗어나면 코팅된 파우더의 코팅제 특징인 사용질감 및 파우더의 형상, 입자의 크기를 확인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분쇄단계에서 상기 분쇄에 의해 수득되는 분체의 평균입경은 0.05 내지 50가 되도록 수행될 수 있으나, 이는 최종 목적하는 화장품에서의 분체의 용도에 따라 적의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혼합단계 이전에 상기 혼합단계에서 사용되는 미코팅된 상태의 상기 분체 만을 200 내지 900rpm에서 1 내지 5분간 교반시키는 교반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반단계에서의 교반은 통상의 헨셀믹서를 사용하여 200 내지 900rpm의 회전속도로 1 내지 5분간 교반시키는 것에 의하여 분체를 적절히 분산시켜 후속하는 혼합단계에서의 실리콘 오일로의 코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에 더해 제3 실리콘 오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리콘 오일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반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분체로서 미리 헨셀믹서로 600rpm의 속도로 3분 동안 교반시킨 산화철 96g에 제1 실리콘 오일로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3g 및 제2 실리콘 오일로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 1g을 첨가하고, 슈퍼믹서(대한민국 소재 주식회사 제이분체(JE POWDER)로부터 상품명 JE-SM150으로 구입가능)를 이용하여 800rpm의 속도로 교반시켜 혼합한 후, 120℃의 온도에서 300분 동안 건조시킨 후, 수득되는 생성물을 0.2의 평균입경을 갖도록 분쇄시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코팅분체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실시예 1에서 실리콘 오일로 코팅하기 전의 무처리된 상태의 산화철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 대신 메치콘을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의 합계량과 등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3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 대신 디메치콘을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의 합계량과 등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4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 대신 디메틸트리에톡시실란을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의 합계량과 등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5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 대신 트리에톡시카프릴일실란(Triethoxycaprylylsilane)을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의 합계량과 등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수득된 코팅된 분체들을 분광 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 ; 자스코사(Jasco) ; 일본국 소재, 품명 ; V-650)를 이용하여 400 내지 800의 파장 범위에서 인공 피지 성분(caprylic/capric triglycerides)의 적심 전 후의 반사율을 측정(인공 피지 성분 적심량은 분체 100g 당 5g으로 함)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인공 피지 성분 적심 이전) 및 도 2(인공 피지 적심 이후)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체의 경우, 인공 피지 적심 전 후 반사율이 높게 나타남이 확인되어 피지에 의한 색소 침착 방지 및 화장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팅되지 않은 대조군으로서의 비교예 1은 인공 피지 적심 전에는 반사율이 다른 분체들에 비해 높았으나, 인공 피지 적심 이후에는 반사율이 낮아져서 피지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타 디메치콘으로 코팅된 분체(비교예 3), 알킬실란으로 코팅된 분체(비교예 5), 디메틸트리에톡시실란으로 코팅된 분체(비교예 4), 메치콘으로 코팅된 분체(비교예 2)의 순으로 피지 성분에 따른 반사율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1 실리콘 오일로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과 제2 실리콘 오일로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 2종의 특별히 선정된 실리콘 오일들로 코팅된 실시예 1이 분체의 표면 흡착 및 실록산 결합으로 인하여 고굴절율을 나타내고 피지를 컨트롤하여 화장의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색소가 침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용 코팅분체는 색소 베이스로서 파우더 팩트, 비비크림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비크림(BB cream)의 처방을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비비크림의 제형으로 인한 실제 사용감의 변화 및 일반적인 실리콘 코팅제로서 디메치콘을 코팅한 색소 베이스 원료의 비교예(비교예 6)와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수득된 색소 베이스(실시예 2)를 적용한 비비크림을 사용자가 구분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패널을 선정하여 일정기간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점수로 산출하도록 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2 비교예 6
A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10 0.10
시신나메이트 1.50 1.50
디메치콘 8.00 8.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0 20.00
헥실라우레이트 3.00 3.00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 아크릴에이트/트리에톡시실리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0 1.00
피이지 디메치콘
(PEG dimethicone)
3.00 3.00
B 점증제 1.30 1.30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디스테아릴디오늄클로라이드) 0.20 0.20
C 방부제(프로필 파라벤) 0.10 0.10
팔미트산 0.20 0.20
D 실시예 1의 분체 12.00 -
비교예 6의 분체 - 12.00
E 38.60 38.60
방부제(메틸 파라벤) 0.20 0.20
달팽이 추출물 3.00 3.00
마그네슘 설페이트 0.70 0.70
글리세린 2.00 2.00
부틸렌글리콜 5.00 5.00
F 0.10 0.10
비비크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공정 1. 원료 A상과 B상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분산시켰다.
공정 2. 원료 C상과 D상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가온한 후, 80로 유지시켰다.
공정 3. E상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가온한 후, 80로 유지시켰다.
공정 4. 공정 1에서 수득된 혼합물과 공정 2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공정 3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3회에 나누어 유화시켰다.
공정 5. 공정 4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F상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상온까지 자연 냉각시켰다.
상기 비교예 6과 실시예 2의 비비크림을 실제 사용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20대에서 40대까지의 여성 8명으로 구성된 패널로 하여금 3주간 비교 품평하도록 하여 자연스러움, 뭉침현상, 색소티 발생 여부, 지속력, 색소 침착 여부, 발림성 등 총 6개 항목에 대하여 각 항목 당 점수를 5.0점을 만점으로 하여 평가토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자연스러움 뭉침
현상
색소티
발생
색소
침착
지속력 발림성 평균
실시예 2 4.4 4.5 4.8 4.7 4.7 4.5 4.6
비교예 6 3.9 4.1 3.8 4.1 4.1 4.2 4.03
점수 ; 1 아주 나쁨, 2 나쁨, 3 중간, 4 좋음, 5 아주 좋음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팅분체를 포함하는 실시예 2의 비비크림이 일반 코팅제로 코팅된 코팅분체를 포함하는 비교예 6의 비비크림에 비하여,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지 흡수 후 색소 침착이 발생하지 않아 화장의 지속성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감 면에서도 자연스러움, 뭉침현상 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비크림으로의 제형의 완료 후, 분체로서 색소 안료가 사용되었을 때, 코팅분체로서의 색소 베이스로 인한 색소티가 발생하지 않아 색소의 분산성 및 흐름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되는 실리콘계 오일로 코팅된 무기분체는 무기분체 상에 코팅되는 실리콘계 오일의 코팅이 우수하여 강한 소수성과 뛰어난 발수력을 가지고, 코팅 작업 시 반응생성물로서의 수소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안정성 및 경시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화장품을 구성하는 오일성분, 특히 실리콘계 오일성분과의 친화성이 우수하여 화장품 제형 시 분산성이 양호하고, 이러한 무기분체를 포함하는 화장품은 감촉이 부드러워 화장품의 사용감을 향상시키고, 밀착성이 우수하여 제품의 높은 지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의 원료나 화장품 완제품을 제조하는 장업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면 부호 없음)

Claims (8)

  1. 분체 80 내지 98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1 실리콘 오일로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1 내지 10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2 실리콘 오일로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hicone)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코팅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가 판상, 구상, 침상, 주상 및 무정형 중의 어느 한 형태의 입자 형상을 갖는 분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코팅분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가 활석, 운모, 견운모, 질화붕소, 황산바륨, 판상 알루미나, 이산화티탄/운모 2상 파우더(40 내지 80중량%의 범위 이내의 양의 운모의 표면에 60 내지 20중량%의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2상 파우더, 상품명 펄(pearl)'이라 함),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실리카, 나일론, 이산화티탄, 산화철,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가교 중합체(cross polymer), 비닐 디메치콘/메치콘 실세스퀴옥산 가교 중합체,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코팅분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용 코팅분체가 상기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에 더해 제3 실리콘 오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코팅분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실리콘 오일이 메치콘, 디메치콘, 하이드로겐 디메치콘, 트리에톡시카프릴일실란, 디메칠 실리콘, 아크릴 실리콘, 세틸 디메치콘 공중합체, 아미노프로필 디메치콘,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알루미늄 미리스테이트, 소듐 미리스테이트, 칼슘 미리스테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아미노 변성 실리콘, 탄소수 12 내지 15의 알킬벤조에이트, 광물성 오일,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 국제화장품 규격(INCI)의 명칭 ; 아크릴레이트), 디메틸트리에톡시실란, N-라우로일 L-라이신(N-Lauroyl L-Lysine), 소듐라울리글루타메이트, 세라마이드 및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코팅분체.
  6. (1) 분체 80 내지 98중량%에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1 실리콘 오일로서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1 내지 10중량%와 상기 분체 상에 코팅되는 제2 실리콘 오일로서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치콘(triethoxysilylethyl polydimethylsiloxyethyl hexyl dimethicone) 1 내지 10중량%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200 내지 900rpm에서 1 내지 5분간 혼합하여 분체-실리콘 오일 혼합물을 수득하는 혼합단계;
    (2)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분체-실리콘 오일 혼합물을 100℃내지 160℃에서 120 내지 420분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3) 상기 건조단계에서 수득되는 건조된 생성물을 분쇄하는 분쇄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코팅분체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 이전에 상기 혼합단계에서 사용되는 미코팅된 상태의 상기 분체 만을 200 내지 900rpm에서 1 내지 5분간 교반시키는 교반단계가 더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코팅분체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단계에서 상기 제1 실리콘 오일과 제2 실리콘 오일에 더해 제3 실리콘 오일을 더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코팅분체의 제조방법.
KR1020120134986A 2012-11-27 2012-11-27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Active KR101454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986A KR101454730B1 (ko) 2012-11-27 2012-11-27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986A KR101454730B1 (ko) 2012-11-27 2012-11-27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570A KR20140067570A (ko) 2014-06-05
KR101454730B1 true KR101454730B1 (ko) 2014-10-27

Family

ID=5112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986A Active KR101454730B1 (ko) 2012-11-27 2012-11-27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7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611B1 (ko) 2014-12-18 2015-11-02 (주)바이오제닉스 화장용 철분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9137A (ko) 2018-10-31 2020-05-08 이스트힐(주) 색조 화장료용 코팅 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40173253A (ko) 2023-06-01 2024-12-11 이스트힐(주) 화장품용 아미노산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784524B1 (ko) 2024-07-17 2025-03-24 (주)젠퓨어 화장료용 미세플라스틱 분체 대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50097441A (ko) 2023-12-21 2025-06-30 이스트힐(주) 화장품용 진주광택펄안료의 코팅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132B1 (ko) * 2016-11-11 2021-12-07 (주)아모레퍼시픽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88779A1 (ko) * 2016-11-11 2018-05-17 (주)아모레퍼시픽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037929A (zh) * 2019-05-31 2019-07-23 刘桂琴 一种保湿修护精华棒及其制备方法
KR102309640B1 (ko) * 2019-10-30 2021-10-07 코스맥스 주식회사 두 개의 피복층을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및 그 제조방법
CN112641648A (zh) * 2020-12-24 2021-04-13 美氏诗言(厦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产品护肤品配方
CN115350108A (zh) * 2022-08-24 2022-11-18 广州贝凯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无机硅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6172A1 (en) 2007-02-27 2008-08-28 Fatemeh Mohammadi Clear sunscreen gel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90280147A1 (en) 2007-08-13 2009-11-12 Peter Carl Anders Alberius Compositions comprising dye-loaded part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6172A1 (en) 2007-02-27 2008-08-28 Fatemeh Mohammadi Clear sunscreen gel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90280147A1 (en) 2007-08-13 2009-11-12 Peter Carl Anders Alberius Compositions comprising dye-loaded particl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611B1 (ko) 2014-12-18 2015-11-02 (주)바이오제닉스 화장용 철분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98961A1 (ko) * 2014-12-18 2016-06-23 (주)바이오제닉스 화장용 철분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9137A (ko) 2018-10-31 2020-05-08 이스트힐(주) 색조 화장료용 코팅 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40173253A (ko) 2023-06-01 2024-12-11 이스트힐(주) 화장품용 아미노산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50097441A (ko) 2023-12-21 2025-06-30 이스트힐(주) 화장품용 진주광택펄안료의 코팅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784524B1 (ko) 2024-07-17 2025-03-24 (주)젠퓨어 화장료용 미세플라스틱 분체 대체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570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730B1 (ko) 화장품용 코팅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6506995B2 (ja) 天然のエステル、ワックス、又は油で処理された顔料、それの生産のための工程、及びそれと共に作られた化粧品
US7582285B2 (en)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a metallic pigment
CN108135800A (zh) 包含柔焦填料以及基于非球形氧化铝和金属氧化物的复合颜料的组合物
TW200934524A (en) Gel technology suitable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KR102586449B1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TW200838564A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ovel fractal particle-based gels
JP7677604B2 (ja) 化粧料用粉末材料、及び化粧料
KR20120021926A (ko) 실리콘 파우더 복합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980429B (zh) 化妆品和个人护理产品中的苯乙烯马来酸酐聚合物
JP7697927B2 (ja) 粉末含有化粧料
JP2018070516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4859044B2 (ja) 化粧料
JP2008050309A (ja) 固形粉末化粧料
JP2010163373A (ja) 複合処理粉体及び化粧料
KR20180111261A (ko)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JP6462583B2 (ja) テアニンを用いた表面処理粉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6821826B2 (ja) マイカと不揮発性非フェニルシリコーンオイルとアモルファス炭化水素系ブロックコポリマーとをベースとする表面処理タルクフリーのコンパクトパウダー
JP6114066B2 (ja) 固形粉末化粧料
JPH1087433A (ja) メークアップ化粧料
WO2022097476A1 (ja) 化粧料
JPH0826931A (ja) 化粧料
JPH0558841A (ja) 粉体化粧料
JP4328103B2 (ja) 化粧料
JP2023057309A (ja) 固形粉末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