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4312B1 -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312B1
KR101454312B1 KR1020140033212A KR20140033212A KR101454312B1 KR 101454312 B1 KR101454312 B1 KR 101454312B1 KR 1020140033212 A KR1020140033212 A KR 1020140033212A KR 20140033212 A KR20140033212 A KR 20140033212A KR 101454312 B1 KR101454312 B1 KR 10145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board
substrate
reinforcing plate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수
주원희
서정윤
임정욱
황대위
장은지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드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텍 filed Critical (주)드림텍
Priority to KR102014003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3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2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in the same plane, e.g. auxiliary printed circuit insert mounted in a main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1Arrangements for reducing stress or warp in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e.g. caused by loads, vibrations or differences in thermal expan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메인 기판을 준비하는 메인 기판 준비단계와,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로 보강플레이트를 표면실장하는 보강플레이트 표면실장단계와, 보강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서브 기판을 메인 기판에 고정시키는 서브 기판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메인 기판에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에 표면실장 되고, 상기 메인 기판은 상기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로 체결 나사가 삽입되는 제1나사공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제1나사공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 나사가 삽입되는 제2나사공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 나사가 상기 서브 기판, 상기 보강플레이트, 상기 메인 기판 순으로 관통하여 삽입 체결되는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METHOD OF ATTACHING SUB PCB AND ATTACHMENT STRUCTURE THEROF}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기판 상에 서브 기판을 고정시킬 때 기판 간의 고정력을 강화시키고 고정부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내장된다. 일 예로서, USB, 전원연결 단자 모듈을 비롯하여 카메라 모듈, 스피커 모듈, 각종 센서 모듈 등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모듈들은 모바일 기기의 메인 기판과 별도로 제공되는 소형의 기판에 탑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기판을 메인 기판과 구분하기 위하여 서브 기판이라 통칭한다. 이러한 서브 기판은 메인 기판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한편, 서브 기판 중에서, 특히 USB 단자, 전원 단자 등과 같이 케이블 등이 끼워지거나 빠지는 형태의 사용 방식을 갖는 경우, 서브 기판 자체에 반복적으로 외력이 가해져 서브 기판을 고정하는 메인 기판에 손상 또는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같은 현상은 모바일 기기의 내구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6035호(2001.11.29. 공개)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기판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이 메인 기판에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기판 간의 고정력을 강화시킴은 물론 고정된 부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기판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메인 기판을 준비하는 메인 기판 준비단계; 상기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로 보강플레이트를 표면실장하는 보강플레이트 표면실장단계; 및 상기 보강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서브 기판을 상기 메인 기판에 고정시키는 서브 기판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서브 기판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기판은, 상기 메인 기판에 비해 두께가 얇고 경량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기판은 상기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에 체결 나사가 삽입되는 제1나사공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제1나사공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 나사가 삽입되는 제2나사공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 나사가 상기 서브 기판, 상기 보강플레이트, 상기 메인 기판 순으로 관통하여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메인 기판에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에 표면실장 되고, 상기 메인 기판은 상기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로 체결 나사가 삽입되는 제1나사공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제1나사공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 나사가 삽입되는 제2나사공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 나사가 상기 서브 기판, 상기 보강플레이트, 상기 메인 기판 순으로 관통하여 삽입 체결되는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서브 기판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기판은, 상기 메인 기판에 비해 두께가 얇고 경량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이 메인 기판 상부에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기판 간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기판 간의 고정된 부위에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USB 단자, 전원 단자 등과 같이 사용 중에 반복적으로 외력이 가해질 수 있는 모듈이 구비된 서브 기판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서브 기판이 고정된 부위에서 메인 기판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중 메인 기판 준비단계의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중 보강플레이트 표면실장단계의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중 서브 기판 고정단계의 공정도.
도 5는 도 4의 A-A 구간 단면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의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는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의 세부 단계의 공정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이를 병행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은 메인 기판 준비단계(S100), 보강플레이트 표면실장단계(S200), 서브 기판 고정단계(S300)를 포함한다.
메인 기판 준비단계(S100)
본 단계는 메인 기판 준비단계로서, 상기 메인 기판은 모바일 기기의 기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이 고정될 수 있다.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내장된다.
일 예로서, USB, 전원연결 단자 모듈을 비롯하여 카메라 모듈, 스피커 모듈, 각종 센서 모듈 등이 내장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들은 모바일 기기의 메인 기판과 별도로 제공되는 소형의 기판에 탑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기판을 메인 기판과 구분하기 위하여 서브 기판이라 지칭한다. 상기 서브 기판은 메인 기판에 고정된다.
도 2는 본 단계의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기판(100)이 준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기판(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P)가 마련된다.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P)는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기판(100)의 일측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보강플레이트 표면실장단계(S200)
본 단계는 보강플레이트 고정단계로서,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상에 표면실장 될 수 있다. 여기서, 표면실장이란 관용적으로 알려진 SMT(Surface Mounting Technology)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말한다.
도 3은 본 단계의 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는 상기 메인 기판(100)의 일측 상단에 마련된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P)에 표면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는 경량이면서도 강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 강(SU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이와 유사한 특징을 갖는 복합소재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는 서브 기판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는 서브 기판의 크기에 비해 조금 작은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서브 기판과 대면하여 접촉되는 표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방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는 서브 기판의 평면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는 상기 메인 기판(100)에 다수의 부품 모듈(102, 103)이 표면실장 될 때, 이와 동시에 메인 기판(100)에 표면실장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번거롭게 표면실장 공정을 여러 번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본 단계를 거치면서,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P)로 서브 기판에 앞서 보강플레이트(200)가 표면실장되어 견고하게 접합된다.
한편, 상기 메인 기판(100)은 상기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P) 내부에 체결 나사(B, 도 4 및 도 5 참조)가 삽입되는 제1나사공(11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플레이트(200)는 상기 제1나사공(110)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 나사(B, 도 4 및 도 5 참조)가 삽입되는 제2나사공(2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2 나사공(110, 210)을 통해 이어지는 다음 단계에서 상기 체결 나사(B, 도 4 및 도 5 참조)가 서브 기판, 보강플레이트, 메인 기판을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서브 기판 고정단계(S300)
본 단계는 서브 기판 고정단계로서, 이전 단계에서 메인 기판에 표면실장되어 고정시킨 보강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서브 기판을 메인 기판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서브 기판은 메인 기판에 비해 두께가 얇고 경량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상기 서브 기판과 메인 기판 사이에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체결 나사를 이용하여 서브 기판과 메인 기판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서브 기판의 손상 또는 파손이 우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에 구조적으로 강성이 확보된 보강플레이트를 미리 접합시켜 두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힘을 주어 체결 나사를 고정시킬 경우에도, 서브 기판에 집중되는 하중을 보강플레이트가 후면에서 견고하게 지지해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단계의 공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기판(300)이 보강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메인 기판(100)에 고정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기판, 보강플레이트 및 메인 기판 간의 고정은 체결 나사(B)에 의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미 설명된 도면부호 302는 서브 기판(300)에 구비된 모듈을 의미한다.
도 5는 도 4의 A-A 구간 단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 나사(B)가 상기 서브 기판(300), 상기 보강플레이트(200) 및 상기 메인 기판(1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됨에 따라 서브 기판이 메인 기판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서브 기판(300)과 메인 기판(100) 사이에 구비된 보강플레이트(200)는 체결 나사(B)가 회전 체결될 때 상기 서브 기판(300) 쪽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서브 기판 하부에서 견고하게 지지해 줄 수 있다.
그 결과, 서브 기판과 메인 기판 간의 강인한 체결 상태를 확보하면서도 이들의 고정 시 서브 기판 쪽에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이 메인 기판 상부에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기판 간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기판 간의 고정된 부위에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USB 단자, 전원 단자 등과 같이 사용 중에 반복적으로 외력이 가해질 수 있는 모듈이 구비된 서브 기판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서브 기판이 고정된 부위에서 메인 기판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체결 나사
P: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
100: 메인 기판
102, 103: 모듈
110: 제1나사공
200: 보강플레이트
210: 제2나사공
300: 서브 기판
302: 모듈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메인 기판을 준비하는 메인 기판 준비단계;
    상기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로 보강플레이트를 표면실장하되, 상기 메인 기판에 다수의 부품 모듈이 표면실장 될 때 상기 보강플레이트를 함께 표면실장하는 보강플레이트 표면실장단계; 및
    상기 보강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서브 기판을 상기 메인 기판에 고정시키는 서브 기판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서브 기판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 기판은 상기 메인 기판에 비해 두께가 얇고 경량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기판은 상기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에 체결 나사가 삽입되는 제1나사공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제1나사공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 나사가 삽입되는 제2나사공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 나사가 상기 서브 기판, 상기 보강플레이트, 상기 메인 기판 순으로 관통하여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적어도 하나의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메인 기판에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기판에 다수의 부품 모듈이 표면실장 될때 상기 메인 기판 상에서 상기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에 표면실장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 강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서브 기판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 기판은 상기 메인 기판에 비해 두께가 얇고 경량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기판은 상기 서브 기판이 고정되는 위치로 체결 나사가 삽입되는 제1나사공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제1나사공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 나사가 삽입되는 제2나사공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 나사가 상기 서브 기판, 상기 보강플레이트, 상기 메인 기판 순으로 관통하여 삽입 체결되는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33212A 2014-03-21 2014-03-21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454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212A KR101454312B1 (ko) 2014-03-21 2014-03-21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212A KR101454312B1 (ko) 2014-03-21 2014-03-21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312B1 true KR101454312B1 (ko) 2014-10-23

Family

ID=5199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2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4312B1 (ko) 2014-03-21 2014-03-21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3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300A (ko) * 2002-11-13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씨디엠에이 모듈의 피씨비 휨 방지구조
KR20070047721A (ko) * 2005-11-02 2007-05-07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소자 장착 구조
JP2009087976A (ja) * 2007-09-27 2009-04-23 Polymatech Co Ltd 緩衝体
KR20100115641A (ko) * 2009-04-20 2010-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연성기판 및 연성기판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300A (ko) * 2002-11-13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씨디엠에이 모듈의 피씨비 휨 방지구조
KR20070047721A (ko) * 2005-11-02 2007-05-07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소자 장착 구조
JP2009087976A (ja) * 2007-09-27 2009-04-23 Polymatech Co Ltd 緩衝体
KR20100115641A (ko) * 2009-04-20 2010-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연성기판 및 연성기판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9197B1 (en) Mobile terminal
KR101402925B1 (ko) 플렉시블 회로기판 진공 흡착 지그 장치
US854248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TW200728792A (en) Image pickup device mounting structure
US8305514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TW200736698A (en) Fr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080025005A1 (en) Hand-held device enclosure
KR101454312B1 (ko) 모바일 기기의 서브 기판 고정방법 및 그 고정구조
US20150257270A1 (en) Structure
US20140093330A1 (en) Attachment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KR1008793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N102606571A (zh) 连接件及具有该连接件的电子装置
CN101452145A (zh)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KR20140058043A (ko) 진공 흡착 지그 장치를 이용한 플렉시플 회로기판 부품 장착 방법
US201001497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ssembly of a portable apparatus
JP2006235092A (ja) 表示装置
WO2019116819A1 (ja) 電池モジュール
CN102612260A (zh) 补强fpc板及制造方法
CN110329538B (zh) 一种飞机机头雷达罩的加载装置
US20060084299A1 (en) Flat panel displays
JP6338495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製造方法
CN210351759U (zh) 加固框架、结构组件和模块设备
JP2008166389A (ja) 基板取付器
KR20070020995A (ko) 휴대폰 사이드키 조립체
US20130107475A1 (en) Flexible circuit board stac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7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9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7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