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4075B1 - Multi Purpose Sling - Google Patents

Multi Purpose S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075B1
KR101454075B1 KR1020120106829A KR20120106829A KR101454075B1 KR 101454075 B1 KR101454075 B1 KR 101454075B1 KR 1020120106829 A KR1020120106829 A KR 1020120106829A KR 20120106829 A KR20120106829 A KR 20120106829A KR 101454075 B1 KR101454075 B1 KR 101454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ling
bands
band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35210A (en
Inventor
김록곤
Original Assignee
김록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록곤 filed Critical 김록곤
Publication of KR20130035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2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07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7Pivoting arms, e.g. crane typ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6Uppe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Lower body, e.g. pelvis,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 용도가 다양한 다목적 슬링에 관한 것이다.
장애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좌변기에 앉으면 환자 상체의 체중이 하의를 누르고 있어서 환자가 용변을 보기 위하여 하의를 벗거나 입는 것이 불편하다, 그리고 무릎이나 기타의 질환 내지 장애로 인하여 간병인의 부축을 받아야만 앉거나 일어설 수 있는 환자는 앉거나 서는 것도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은 가운데 부위가 상호 교차되고, 집게 축(4)은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이 교차점에 설치하며, 행거프레임(16)은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하여 구성되고, 고리(17, 18)는 상기한 좌우 행거프레임에 구비되며, 좌우 밴드(19. 20)는 후단을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 고정하고, 상기한 좌우 밴드(19, 20)의 전단은 상호 연결 내지 분리가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며, 좌우 밴드로프(34)는 하단을 상기한 좌우 밴드(19, 20)의 전방에 각각 고정하고 상단은 상기한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좌우에 배치된 전방 고리(17)에 각각 걸어서 설치하고, 가드밴드(30)는 양단을 상기한 좌우 밴드(19, 20)의 전방의 내측에 배치하며, 슬링로프(40)는 양단을 상기 좌우 행거프레임(16)의 후방 고리(18)에 각각 걸어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이용하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라도 용변을 볼 때 하의를 벗거나 입기가 편리하게 하고, 무릎이나 기타의 질환 내지 장애로 인하여 혼자서 앉거나 일어서는 것이 어려웠던 환자들도 혼자서 서거나 앉는 것도 쉽고, 휠체어에서 좌변기로 이동하면서 용변을 볼 수 있게 하의를 벗고 입는 것도 가능하여 용변보기가 한결 편리하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sling having various uses.
Patients who are uncomfortable due to disability are ineffective when the patient's upper body weight is lowered when sitting on the left side and the patient is uncomfortable to take off the bottom or wear to see the toilet, and should receive support from a caregiver due to a knee or other disease or disorder Patients who can sit or stand up are also inconvenient to sit or st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ngue- And the hanger frame 16 extends forward from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2 and 3 and the tongues 17 and 18 are provided at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2 and 3.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provided with means for mutually connecting and separating The left and right band ropes 34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ron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 ropes 34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ront rings 17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 Both ends of the guard band 30 are disposed inside the fron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Ring rope 40 is installed on each foot rear ring 18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 16 at both ends.
With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a patient is uncomfortable, it is difficult to sit down or stand alone due to knee or other diseases or disorders, It is easy for patients to stand or sit alone, and it is also possible to take off the bottoms so that they can see the toilet while moving from the wheelchair to the toilet seat.

Description

다목적 슬링{Multi Purpose Sling}Multipurpose Sling {Multi Purpose Sling}

본 발명은 슬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 적합한 용도가 다양한 다목적 슬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sling having various applications suitable for a patient having an uncomfortable condition.

장애 등으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일상생활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불편하다. Patients with uncomfortable mobility due to disability are uncomfortable in their daily lives.

주요 불편사항을 살펴보면, 먼저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용변을 보는 일이 불편하다. 그 이유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용변을 보기 위해 휠체어 등으로부터 화장실의 좌변기에 앉기가 어렵고, 환자가 좌변기에 앉으면 환자 상체의 체중이 엉덩이 부위에 집중하여 누르고 있기 때문에 용변을 보기위하여 하의를 벗거나 입기도 매우 불편하다. 환자가 용변을 볼 때 하의를 벗거나 입기가 편리하게 한 기술로서는 본인이 선 출원한 좌변기용 리프트장치가 있다. The major inconveniences are that patients who are uncomfortable in the first place are uncomfortable to see the toile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difficult to sit on the left side of the toilet from the wheelchair to see the toilet, and when the patient sits on the toilet seat, the body weight of the upper body is concentrated on the buttocks, Also very uncomfortable. There is a lifting device for a toilet seat that I have filed in advance, as a technique that makes it easier to take off the bottom or wear it when the patient looks at the toilet.

[문헌 1] KR 출원번호: 10-2011-0047615 2011. 5. 20. 도 1. [Reference 1] KR Application No.: 10-2011-0047615 May 20, 2011 Figure 1.

상기한 좌변기용 리프트장치는 환자가 좌변기에 앉아 있으면 하체받침대와 허리받침대를 이용하여 환자를 들어서 편리하게 하의를 벗거나 입게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좌변기용 리프트장치에 구비된 벨트 고리의 길이가 너무 길게 조정되어 있으면 환자의 엉덩이 부위가 하체받침대와 허리받침대 사이로 밀려들어가서 환자가 불편하고, 상기한 벨트 고리의 길이가 너무 짧게 조정되어 있으면 하체받침대가 환자의 엉덩이 쪽으로 치우쳐서 하의가 하체받침대에 걸리기 때문에 하의를 벗기가 어렵다.When the patient sits at the left side of the toilet, the lifting device for the left side lifts the patient by lifting the patient by using the lower body support and the waist support to easily remove the lower body or wear the lower body. However, if the length of the belt loop provided in the left-side lift device is adjusted to be too long, the hip portion of the patient is pushed between the lower body support and the waist support to inconvenience the patient, and if the length of the belt loop is adjusted to be too shor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lower body because the lower body base is biased toward the patient's hip and the lower body is caught on the lower body base.

그리고 환자가 걷기 재활운동이나 척추견인 등의 치료를 할 때에는 통상 재활훈련기라 불리는 기기를 사용한다. 환자가 상기한 재활훈련기를 사용할 때에는 환자가 재활훈련기에 설치된 슬링을 착용하게 된다. 상기한 슬링은 환자의 몸통을 감싸서 환자가 넘어지거나 주저앉지 못하게 재활훈련기의 승강부에 매달려 있다. 그런데 기존의 슬링은 환자의 몸통이 슬링의 아래로 빠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샅을 전후로 지나게 벨트를 좌우에 배치하고, 환자의 몸통이 슬링의 아래로 빠질 때 좌우벨트에 환자가 걸려서 슬링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좌우벨트는 착용이 번거롭고, 환자의 몸통이 슬링으로부터 빠지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도 못하고 있다. When a patient performs a walking rehabilitation exercise or a spinal traction treatment, a device called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s usually used. When the patient uses the above-mentioned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the patient wears the sling installed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The sling is wrapped around the body of the patient so that the sling hangs on the lifting portion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so that the patient can not fall or fall down. However, the conventional sling has a problem that the body of the patient falls down the sl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belt is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to pass the groin forward and backward, and when the patient's body falls down the sling, the patient is caught by the left and right belts, However, the above-described left and right belts are troublesome to wear and do not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that the body of the patient is pulled out of the sling.

또한, 근육의 퇴화로 환자의 하체가 너무 빈약하거나, 또는 하체를 잃은 환자의 경우에는 기존의 슬링을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다. 그 이유는 슬링이 환자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부실하거나 없기 때문이다. In addition, it is inconvenient to wear a conventional sling when a patient's lower body is too weak due to muscle degeneration or a patient who has lost a lower bod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ling can not support the patient or the support is poor.

한편, 무릎이나 허리 등의 질환 내지 장애가 있는 환자는 앉아 있다가 일어서거나 서 있다가 앉는 것이 불편하다. 이러한 환자들은 간병인의 도움으로 앉거나 일어서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On the other hand, patients with diseases or disorders such as knee or waist are uncomfortable to sit, stand up, or sit. These patients are uncomfortable because they have to sit or stand with the help of caregivers.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간병인의 도움으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지만, 간병인은 간병 활동으로 인하여 허리질환을 얻는 등의 또 다른 문제도 야기하고 있다.Therefore, a patient having an uncomfortable movement as described above can perform daily life with the help of a caregiver, but the caregiver also causes other problems such as a back disease due to nursing activitie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다목적 슬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sling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슬링을 이용하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라도 휠체어에서 좌변기로 또는 좌변기에서 휠체어로의 이동이 쉽고, 환자가 용변을 볼 때 하의를 벗거나 입기도 편리하며, 재활훈련기를 사용하여 재활운동을 하다가 넘어지더라도 슬링으로부터 아래로 빠지지도 않고, 무릎이나 허리 등의 질환으로 혼자 일어서기가 어려웠던 환자도 혼자서 편리하게 일어설 수 있게 한다.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move from a wheelchair to a left-hand side or from a left-hand side to a wheelchair even when a patient has an uncomfortable mobility, Even if the patient falls, they do not fall down from the sling, and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standing alone due to diseases such as knees or backs can easily stand alone.

환자를 드는데 사용되는 슬링에 있어서, In the sling used to hold the patient,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은 가운데 부위가 상호 교차되게 좌우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s are arranged so that the middle portions are alternately left and right so as to cross each other,

상기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은 상기 교차점에 설치된 집게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되며,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is pivotally moved about the pincer axis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좌우 행거프레임은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하여 구성되고,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extend forward from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좌우 밴드는 후단을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의 하단에 각각 고정하고 전단은 상호 연결 내지 분리가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The left and right bands are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and the front ends thereof are provided with means for mutually connecting and separating,

좌우 밴드로프는 상단을 상기한 좌우 행거프레임에 구비된 전방 고리에 설치하고 하단은 상기 좌우 밴드의 전방 상부에 걸어서 설치되며,The left and right band ropes are installed on the front ring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and the lower ends are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슬링로프는 양단을 상기 좌우 행거프레임에 구비된 후방 고리에 각각 고정하고, 슬링고리는 상기 슬링로프의 가운데를 고정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ng rope has both ends fixed to the rear hook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and the sling loop is fixed by fixing the center of the sling rope.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슬링은 환자 몸통을 좌우 밴드가 감싸 조여서 환자의 상체를 들거나 내린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슬링을 이용하여 환자가 앉은 면으로부터 엉덩이가 들리게 환자 상체를 들면 환자는 엉덩이 부위가 아무런 구속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환자는 용변을 보게 하의를 벗을 수 있고, 용변을 보고 난 다음에는 환자는 하의를 쉽게 입을 수 있다. In 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bands are wrapped around the patient's body to lift or lower the patient's upper body. 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atient to take off the bottom of the patient's body when the patient's upper body is lifted from the side on which the patient is seated, Next, the patient can easily wear the underpants.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슬링은 환자의 상체만 들게 할 수도 있고 상체와 하체를 함께 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함께 들면 환자는 가만히 있어도 휠체어에서 좌변기로 그리고 좌변기에서 휠체어로 이동이 가능하고, 환자의 상체와 하체가 함께 들려도 환자는 엉덩이 부위는 구속받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용변을 볼 수 있게 하의를 벗거나 입을 수 있다.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up of only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or the lower body together with the upper body. When the patient's upper body and lower body are used together with 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can move from the wheelchair to the left side and from the left side to the wheelchair while the patient is still standing. Since it is in a state of not being able to see the panties can wear off or wea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슬링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를 들었을 때 환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서 스스로 하의를 벗거나 입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body of a patient is lifted by using 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can freely use both hands, so that the lower body can be removed or worn by itself.

그리고 재활훈련기에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을 설치하여 사용하면 환자는 다목적 슬링의 아래로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환자가 약간의 힘으로라도 스스로 설 수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에 구비된 좌우 밴드는 환자의 몸통을 압박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는 재활훈련에 집중할 수 있고, 재활운동을 하다가 환자가 갑자기 넘어지거나 주저앉으면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은 환자의 몸통을 잡아주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the patient does not fall down the multipurpose sling. In the case where the patient can stand by himself even with a slight force, the left and right bands provided in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concentrate on the patient's torso so that the patient can concentrate on rehabilitation training, Once in place,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fely used because it catches the patient's torso.

또한, 근육의 퇴화로 환자의 하체가 너무 빈약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은 환자 몸통을 좌우 밴드가 감싸 조여서 환자의 상체를 들고 하체받침대가 하체를 받쳐주기 때문에 사용이 쉽고, 하체를 잃은 환자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은 환자 몸통을 좌우 밴드가 감싸 조여서 환자의 몸체를 들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In addition, even if the lower body of the patient is too weak due to muscle degeneration,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use because the lower body supports the lower body while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supported by tightening the body of the patient with the left and right bands wrapped around. In the case of a patient,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patient's body is held by the left and right bands wrapped around the patient's body.

한편, 무릎이나 허리 등의 질환 내지 장애가 있는 환자는 앉아 있다가 일어서거나 서 있다가 앉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편리하다.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을 환자리프트나 재활훈련기의 승강부에 설치하고, 환자는 앉아서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슬링을 착용한 뒤 환자가 완전히 서는 높이로 환자리프트나 재활훈련기의 승강부를 상승시키면 환자는 쉽게 일어서고, 서있는 환자가 다목적 슬링을 착용한 뒤 환자리프트나 재활훈련기의 승강부를 하강시키면 환자는 쉽게 앉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patients with diseases or disorders such as knees or backs are not comfortable sitting up and standing or standing, so it is convenient to use them as follows. If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ift of a patient lift or a rehabilitation trainer and the patient sits and wears 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tient lifts the lift of the patient lift or the rehabilitation trainer at a height of full standing, The patient can easily sit if the standing patient is wearing a multipurpose sling and then lowering the lift of the patient lift or rehabilitation train.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슬링은 착용과 탈거가 간편하고, 사용할 때에는 사용에 따른 불쾌감이나 불편함도 거의 없는 것이 장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은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환자리프트나 재활훈련기 등의 리프트장치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wear and detach, and there is almost no discomfort or discomfort due to use when used. 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economically because it can be installed in a lift apparatus such as a patient lift or a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that has been already used.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에서 집게 축 부위의 주요부를 분해 및 절개한 부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에서 좌우 밴드 부위의 주요부를 분해 및 가드밴드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좌측 밴드의 전방에 버클의 삽입체가 조립된 부위의 부분도
도 5는 버클의 삽입체에 벨트가 조립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삽입체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도
도 6은 본 발명의 우측 밴드의 전방에 버클의 몸체가 조립된 부위의 부분도
도 7은 버클의 몸체에 벨트가 조립된 구조를 설명하기 몸체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도
도 8은 본 발명의 좌우 밴드를 환자가 착용하였을 좌우 밴드 부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좌우 밴드를 환자가 착용하고 환자의 상체를 들었을 때 좌우 밴드 부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을 이용하여 좌변기에 앉은 환자의 상체를 든 상태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받침대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을 설치한 리프트장치가 화장실의 좌변기 근처에 설치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과 하체받침대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와 하체가 들린 상태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좌우 밴드에 벨크로가 설치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좌우 밴드의 전단이 벨크로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부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좌우 밴드의 전단에 걸쇠와 고정 링이 설치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우측 밴드의 전단에 고정 링이 고정되고 좌측 밴드 전단은 유동 링의 장공에 삽입된 상태의 부분도
도 18는 본 발명의 좌우 밴드의 전단이 걸쇠와 고정 링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부분도
도 19는 본 발명의 측정 바가 좌우 행거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된 부위의 도면
도 20은 좌측 행거프레임의 전방에 힌지가 설치된 부위의 부분도
도 21은 우측 행거프레임의 전방에 기준 링이 설치된 부위의 부분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이 재활훈련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ly explod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grip shaft in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main part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are disassembled and a part of the guard band is cut
Figure 4 is a parti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buckle insert is assembled in front of the left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artial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insert in order to explain a structure in which a belt is assembled to an insert of a buckle;
6 is a parti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body of the buckle is assembled in front of the right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belt is assembled to a buckle body.
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left and right bands in which a patient wears left and righ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eft and right band portions when the patient wears the right and lef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ars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FIG. 10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seated in the left-hand side using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body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lift device provided with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near the left side of the toilet
FIG. 13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of the patient are held by using the multipurpose sling and the lower body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Velcro is installed in left and righ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artial view showing the state where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by the velcro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tch and a retaining ring are provided on the front ends of left and righ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artial view of the state where the fixing ring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right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left band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fluid ring
Fig. 18 is a parti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by a latch and a retaining ring
Fig. 19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measurement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Fig. 20 shows a portion of a portion where a hing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left hanger frame
Fig. 21 is a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a portion where a reference ring is provided in front of the right hanger frame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슬링은,In 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은 가운데 부위가 상호 교차되게 좌우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s are arranged so that the middle portions are alternately left and right so as to cross each other,

상기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은 상기 교차점에 설치된 집게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되며,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is pivotally moved about the pincer axis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좌우 행거프레임은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하여 구성되고,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extend forward from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좌우 밴드는 후단을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의 하단에 각각 고정하고 전단은 상호 연결 내지 분리가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The left and right bands are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and the front ends thereof are provided with means for mutually connecting and separating,

좌우 밴드로프는 상단을 상기한 좌우 행거프레임에 구비된 전방 고리에 설치하고 하단은 상기 좌우 밴드의 전방 상부에 걸어서 설치되며,The left and right band ropes are installed on the front ring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and the lower ends are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슬링로프는 양단을 상기 좌우 행거프레임에 구비된 후방 고리에 각각 고정하고, 슬링고리는 상기 슬링로프의 가운데를 고정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ng rope has both ends fixed to the rear hook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and the sling loop is fixed by fixing the center of the sling rop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에서 집게 축 부위의 주요부를 분해 및 절개한 부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에서 좌우 밴드 부위의 주요부를 분해 및 가드밴드의 일부를 절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agmentary view of a main part of a grip shaft in a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And a part of the guard band is cut.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슬링(1)에서 In the multipurpose sling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좌측으로 기울어진 집게프레임(2)과 우측으로 기울어진 집게프레임(3)은 가운데 부근이 상호 교차되게 좌우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집게 축(4)은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이 교차되는 지점에 설치하여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은 상기한 집게 축(4)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The left and right tilting frame 2 and the right tilting gripping frame 3 are arranged so as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in the vicinity of each other so as to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right and left tilting frames 2 and 3 can be pivoted about the above tongs 4.

상기한 집게 축(4)이 설치된 부위의 구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에서 우측으로 기울어진 집게프레임(3)의 교차점에는 집게 축(4)이 삽입되는 홀(5)을 구비한 슬리브가 구비되고, 좌측으로 기울어진 집게프레임(2)의 교차점에는 상하가 개방된 직사각관 형상의 각관(6)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각관(6)에는 좌우 집게프레임(2, 3)이 교차되는 지점에 집게 축(4)이 삽입되는 홀(7)이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관(6)은 구조강도를 충분히 지님과 동시에 다음의 조건도 충족해야 한다. 상기한 각관(6)의 전후 내폭은 우측으로 기울어진 집게프레임(3)과 홀(5)을 구비한 슬리브가 조립될 수 있어야 하고, 상기한 각관(6)의 좌우 내폭은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이 집게 축(4)을 중심으로 희망하는 각도로 회동할 때 좌측으로 기울어진 집게프레임(2)을 간섭하지 않게 길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은 다음과 같이 조립한다. 우측으로 기울어진 집게프레임(3)은 좌측으로 기울어진 집게프레임(2)의 각관(6)의 내부에 삽입하고,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에 구비된 홀(5, 7)의 중심이 일치되게 맞춘 곳에 집게 축(4)을 삽입한 뒤 집게 축(4)이 이탈하지 못하게 볼트(8) 등을 이용하여 집게 축(4)의 후방을 고정하면 된다. 상기한 집게 축(4)의 머리 부근에는 홈(10)이 형성되어 있고, 머리의 끝에 지지대(12)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12)는 판재(13)가 집게 축(4)의 머리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상기한 판재(13)의 전면에는 쿠션(14)을 부착하여 부드러운 접촉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집게 축(4)의 머리에 형성된 홈(10)에 후술하는 가드로프(37)의 상단을 거는 자리로 제공된다. The structure of the portion where the above-described clamping shafts 4 are install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 sleeve having a hole 5 into which a grip shaft 4 is inserted is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grip frame 3 tilted to the right in the right and left grip frame 2 and 3, 2 is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left and right gripper frames 2 and 3 at the intersection of the left and right gripper frames 2 and 3 in the respective pipes 6, (7) are formed so as to penetrate front and rear. Each of the pipes 6 should have sufficient structural strength and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The front and rear inner widths of the tube 6 should be such that the sleeve having the right and left tongue frame 3 and the hole 5 can be assembled and the right and left inner widths of the tubes 6 The grippers 2 and 3 must be long enough not to interfere with the left-handed gripper frame 2 when turning at a desired angle about the gripper shafts 4.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2 and 3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re assembled as follows. The right tilted clamp frame 3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tubes 6 of the clamp frame 2 tilted to the left so that the center of the holes 5 and 7 provided in the clamp frame 2 It is only necessary to fix the rear of the gripper shaft 4 by using bolts 8 or the like so that the gripper shaft 4 can not be detached after inserting the gripper shaft 4 in the aligned position. A groove 10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head of the tongue shaft 4 and a support table 12 is fixed to the end of the head. The support table 12 is fixed to the head of the tongue shaft 4, And a cushion 14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member 13 to enable smooth contact. And is provided in the groove 10 formed in the head of the above tongue shaft 4 for holding the upper end of the guard rope 37 to be described later.

좌우 행거프레임(16)은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환자가 착용하였을 때 상기 행거프레임(16)의 전단은 환자 무릎의 상부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전방에는 전방 고리(17)가 각각 구비되고, 좌우 행거프레임(16)의 후방에는 후방 고리(18)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are formed so as to extend forward from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2, 3. When the patient wears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hanger frame 16 preferably extends to a length reaching the top of the patient's knee. Front rings 17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and rear rings 18 are provided behind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조립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은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사이가 멀어지게 집게 축(4)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각관(6)의 좌측 하부 또는 우측 상부에 우측으로 기울어진 집게프레임(3)의 일부가 닿아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회동은 제한되고, 반대로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사이가 가깝게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을 회동시키면 각관(6)의 우측 하부와 또는 좌측 상부에 우측으로 기울어진 집게프레임(3)의 일부가 닿거나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이 닿으면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회동은 제한된다. The left and right tilting clamp frames 2 and 3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are pivoted about the pivot shaft 4 so that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rt of the tilted gripper frame 3 is tilted so that the pivoting of the tilting frame 2 and 3 tilting to the left and right is restricted and the tilting frames 2 and 3, A part of the gripper frame 3 tilted to the right is contacted to the lower right portion or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tube 6 or the left and right gripper frames 2, , 3) is limited.

다음은 좌측에 배치된 밴드(19)와 우측에 배치된 밴드(20)의 후단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 설치된 구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structure in which the band 19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 rear end of the band 20 disposed on the right side are provided on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2,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좌우 밴드(19, 20)는 후단에 상하로 개방된 포켓(21)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한 포켓(21)의 상하에는 조립공(22)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고정프레임(23)은 얇은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길이는 밴드(20)의 높이와 같고 상하에는 조립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프레임(23)을 상기한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에 구비된 포켓(21)에 각각 삽입하여 맞추면 고정프레임(23)의 상하에 구비된 조립공(24)과 포켓(21)의 상하에 구비된 조립공(22)이 일치하여 관통된 조립공(22, 24)이 형성된다.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pockets 21 opened at the rear end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ckets 21 are formed through the assembly holes 22. The fixed frame 23 has a thin rectangular bar shape having a length equal to the height of the band 20, and upper and lower assembly holes 24 are formed. When the fixing frame 23 is inserted into the pockets 21 provided at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the fitting holes 24 and the pockets 21 provided above and below the fixing frame 23, The assembling holes 22 and 24 are formed so as to be coincident with the assembling holes 22 provided above and below.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는 고정부(26)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한 고정부(26)에는 상호 마주보는 조립면의 상하에는 각각 나사 홀(27)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에 고정프레임(23)이 조립된 포켓(21)을 배치된 방향에 있는 고정부(26)에 각각 맞추면 포켓(21)의 상하에 관통하여 형성된 조립공(22, 24)과 고정부(26) 조립면의 상하에 구비된 나사 홀(27)의 중심이 모두 일치된다. 따라서 볼트(28)는 상기와 같이 일치된 조립공(22, 24)을 경유하여 고정부(26)에 형성된 나사 홀(27)에 견고하게 각각 조립하면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은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부(26)에 조립되면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은 상하로 펴진 상태로 고정된다. Fixing portions 26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ing clamp frames 2 and 3 respectively and screw holes 27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unti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fixing portion 26 have. When the pockets 21 in which the fixing frame 23 is assembled to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aligned with the fixing portions 26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ckets 21 are formed, 24 and the centers of the screw holes 27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ssembly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6 are all aligned. Therefore, when the bolts 28 are firmly assembled to the screw holes 27 formed in the fixing portions 26 via the corresponding assembly holes 22 and 24 as described above,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re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lifting tongue frames (2, 3). When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assembled to the fixing portions 26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tilt frames 2 and 3 as described above,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vertically extended .

가드밴드(30)는 높이가 상기 좌우 밴드(19, 20)의 높이와 유사하고, 가드밴드(30)의 길이는 좌우 밴드(19, 20)를 합한 길이 보다는 더 길게 제작하며, 가드밴드(30)는 좌우 밴드(19, 20)의 내측에 배치해서 양단을 상기한 좌우 밴드(19, 20)의 전단에 고정한다. 도 3에서 가드밴드(30)의 가운데 부근을 일부 절개한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해 밴드의 조립공(22)을 보이게 하기 위함이다.The guard band 30 has a height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the length of the guard band 30 is longer than the combined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disposed inside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so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 In FIG. 3, a part of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guard band 30 is cut in order to show the assembly hole 22 of the ban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보강프레임(31)은 상기 고정프레임(23)과 같은 형상으로 얇은 직사각 막대이고 높이는 좌우 밴드(19, 20)의 높이와 유사하고 상하로는 접히지 않으며, 좌우로는 휘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상기한 보강프레임(31)은 좌우 밴드(19, 20)의 전단과 가드밴드(30)의 양단 사이에 각각 개재시켜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이나 볼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견고하게 각각 고정한다. 상기한 좌우 밴드(19, 20)는 후단에 각각 조립된 고정프레임(23)과 전방의 좌우에 각각 조립된 보강프레임(31)에 의해서 좌우 밴드(19, 20)가 당겨지는 인장력을 받더라도 펴진 상태로 환자 몸통의 외면에 고르게 밀착된다.The reinforcing frame 31 has the same shape as the fixed frame 23 and is a thin rectangular bar and has a height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does not bend up and down and does not bend right and left. The reinforcing frame 31 is fixed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both ends of the guard band 30 by means of sewing or using bolts as shown in Figs. do. Although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subjected to a tensile forc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pulled by the fixed frame 23 assembled at the rear end and the reinforcing frame 31 assembled at the left and right front respectively, To the outside of the patient's body.

전방 가드밴드(32)는 높이가 좌우 밴드(19, 20)의 높이와 유사하고, 전방 가드밴드(32)의 길이는 좌우 밴드(19, 20)를 환자가 착용하였을 때 좌우 밴드(19, 20)의 전단이 벌어지는 부위를 충분히 가릴 수 있는 길이로 제작한다. 상기한 전방 가드밴드(32)는 가드밴드(30)의 좌우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여 구성해도 되고 별도로 제작하여 상기한 좌우 밴드(19, 20)의 전단 한쪽에 고정하여도 된다.The front guard band 32 has a height similar to tha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the length of the front guard band 32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 Is made to have a length sufficient to cover the area where the shear of the sheath is spread. The front guard band 32 may be extended from one of left and right ends of the guard band 30 or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fixed to one of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

좌우 밴드로프(34)는 상단을 상기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자유단에 구비된 전방 고리(17)에 각각 걸어서 설치하고, 좌우 밴드로프(34)의 하단은 여닫이 고리(35)를 구비하여 상기 좌우 밴드(19, 20)의 전방에 구비된 밴드고리(36)에 각각 걸어서 설치한다. 상기 좌우 밴드로프(34)는 상기한 좌우 밴드(19, 20)의 전방이 아래로 쳐지지 않게 지지하기 때문에 적절한 길이로 제작해야 한다.The left and right band ropes 34 are mounted on the front ring 17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respectively and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 ropes 34 are provided with a hanger ring 35 And the band rings 36 provided in fron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respectively. Since the left and right band ropes 34 are supported so that the front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do not fall down,

가드로프(37)는 하단을 상기한 가드밴드(30)의 가운데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상단은 고리 형상을 만들어서 상기한 집게 축(4)의 머리에 형성된 홈(10)에 걸어서 설치한다. 상기한 가드로프(37)는 상기한 가드밴드(30)의 후방이 아래로 처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게 적절한 길이로 제작해야 한다. The guard rope 37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guard band 30 and the upper end of the guard rope 37 is hooked to the groove 10 formed in the head of the pivot shaft 4. The guard rope 37 should be made of a suitable length so that the rear portion of the guard band 30 can be supported without falling down.

한편, 상기한 좌우 밴드(19, 20)는 부드럽고 약간의 신축성이 있으면서 인장강도가 강한 소재로 제작해야 한다. 그 이유는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의 외면에 고르게 밀착시켜야만 환자에게 가해지는 좌우 밴드(19, 20)의 압박감을 줄일 수 있고,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환자를 들더라도 좌우 밴드(19, 20)가 파손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should be made of a soft, slightly stretchable material having a high tensile strength. This is because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required to be evenly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tient's body to reduce the pressure feeling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pplied to the patient,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should not be damaged.

슬링로프(40)는 양단을 좌우 행거프레임(16)의 후방 고리(18)에 각각 고정하고, 균형로프(39)는 양단을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전방 고리(17)에 고정하며, 상기 균형로프(39)와 슬링로프(40)의 가운데는 하나로 묶어서 링 형상의 슬링고리(41)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균형로프(39)와 슬링로프(40)는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상단이 최대한 벌어졌을 때 좌우 행거프레임(16)에 사이에서 약간 늘어지는 길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슬링고리(41)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슬링고리(41)를 사용하면 균형로프(39)와 슬링로프(40)가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환자리프트의 승강부에 매달리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oth ends of the sling rope 40 are fixed to the rear hooks 18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and both ends of the balanced rope 39 are fixed to the front hooks 17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The center of the balanced rope 39 and the sling rope 40 are bundled together and fixed to the ring-shaped sling loop 41. It is preferable that the balanced rope 39 and the sling rope 4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are made to have a length slightly slu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when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2, Do. Although the sling loop 41 is not necessarily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ling loop 41 because the balance rope 39 and the sling rope 40 are not biased to the left and right, .

그리고 상기 슬링고리(41)를 들어서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이 바닥으로부터 들렸을 때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전후방 높이가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슬링고리(41)를 들었을 때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전방이 아래로 기울어지면 균형로프(39)의 길이는 줄이면서 슬링로프(40)는 비례해서 늘리고, 반대로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전방이 위로 올라가게 기울면 균형로프(39)의 길이는 늘리고 비례해서 슬링로프(40)의 길이를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조정하면 좌우 행거프레임(16)은 앞뒤로 기울지 않고 수평을 이루게 된다. 그러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은 전후로 기울지 않고 수직에 가깝게 서게 된다. 이와 같이 균형로프(39)와 슬링로프(4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맞추면, 슬링고리(41)에 매달린 다목적 슬링(1)은 비어있거나 환자가 다목적 슬링(1)을 착용하여 매달려 있거나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한다. 그리고 균형로프(39)가 없고 슬링로프(40)만 설치한 뒤 슬링로프(40)의 양단을 고정한 후방 고리(18)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좌우 행거프레임(16)이 수평을 이루도록 균형점을 찾더라도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전후방 높이는 어느 정도 수평을 이루게 할 수도 있다. When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fted from the floor by lifting the sling loop 41,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and rear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are horizontal. If the front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 16 is tilted downward when the sling loop 41 is lifted up, the length of the balanced rope 39 is reduced while the sling rope 40 is proportional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balancing rope 39 is increased and the length of the sling rope 40 is proportionally adjusted. Thus,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are horizontally arranged without tilting back and forth. Then, the left and right tilting frames 2, 3 are not tilted back and forth but stand close to the vertical. If the length of the balance rope 39 and the sling rope 40 are properly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sling 1 suspended from the sling loop 41 is empty or the patient is hanging by wearing the multipurpose sling 1, Maintain correct posture. The balance rope 39 is not installed and only the sling rope 40 is installed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hook 18 fixing the both ends of the sling rope 40 is moved back and forth while balancing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The height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may be made somewhat horizontal.

다음은 좌우 밴드의 전방을 상호 연결 내지 분리하는 수단으로 버클을 이용한 실시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an embodiment in which buckles are used as means for interconnecting or separating the front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문헌 2] KR 10-2006-0009144 A 2006. 10. 12. 도 1 외 [Document 2] KR 10-2006-0009144 A 2006.10.2.

버클은 상기와 같은 기술 외에도 많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버클의 구조와 기능도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간단히 설명한다.A number of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buckle,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uckl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도 4는 본 발명의 좌측 밴드의 전방에 버클의 삽입체가 조립된 부위의 부분도이고, 도 5는 버클의 삽입체에 벨트가 조립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삽입체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우측 밴드의 전방에 버클의 몸체가 조립된 부위의 부분도이고, 도 7은 버클의 몸체에 벨트가 조립된 구조를 설명하기 몸체의 일부를 절개한 부분도이다.FIG. 4 is a parti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buckle insert is assembled in front of the left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the insert to explain a structure in which a belt is assembled to the buckle insert. FIG. 6 is a partial view of a portion where a buckle body is assembled in front of a right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arti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belt is assembled to a buckle body.

버클은 몸체(45)와 삽입체(46)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우측 밴드(20)의 전단에는 고정벨트(47)를 이용하여 버클의 몸체(45)가 설치되고, 도면에서 좌측 밴드(19)의 전단에는 길이조절 벨트(48)에 버클의 삽입체(46)가 조립하여 설치된다. The buckle is composed of a body 45 and an insert 46. The body 45 of the buckle is provided on the front end of the right band 20 in the figure using a fixing belt 47. The front end of the left band 19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belt 48, 46 are assembled and installed.

버클의 삽입체(46)는 한쪽에 걸쇠로드(50)가 구비되고 다른 쪽에는 길이조절 벨트(48)의 연결부가 제공된다. 상기한 삽입체(46)에 구비된 걸쇠로드(50)는 단부에 걸림 턱(51)이 구비되고, 삽입체(46)의 연결부에는 길이조절 벨트(48)가 삽입되는 제 1홀(52)과 제 2홀(53)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54)는 상기한 제 1홀(52)과 제 2홀(53)의 사이에 위치되고, 캐치로드(55)는 연결부의 끝에 배치된다. 상기한 로드(54)와 캐치로드(55)의 표면은 불균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적절히 형성하여 길이조절 벨트(48)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The insert 46 of the buckle is provided with a latching rod 50 on one side and a connecting portion of a length-regulating belt 48 on the other side. The latching rod 50 provided on the insert 46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51 at an end thereof and a first hole 52 into which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is inserted, And a second hole 53. The rod 54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ole 52 and the second hole 53 and the catch rod 55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surfaces of the rod 54 and the catch rod 55 are appropriately formed to have a nonuniform structure to facilitate fixing of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

길이조절 벨트(48)는 일단을 좌측 밴드(19)의 전단과 보강프레임(31)과 가드밴드(30)의 좌단과 전방 가드밴드(32)의 일단을 함께 재봉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하고, 길이조절 벨트(48)의 타단은 상기한 삽입체(46)의 연결부에 구비된 제 1홀(52)과 제 2홀(53)을 경유시켜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길이조절 벨트(48)에 조립된 삽입체(46)는 제 2홀(53)을 경유한 길이조절 벨트(48)가 캐치로드(55)와 제 1홀(52)로 들어가는 길이조절 벨트(48)의 사이에 압박되게 삽입체(46)를 당기면 삽입체(46)는 길이조절 벨트(48)로부터 유동되지 않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삽입체(46)가 길이조절 벨트(48)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길이조절 벨트(48)가 고정된 지점으로부터 삽입체(46)를 당기는 방향과 삽입체(46)의 길이 방향이 도 5와 같이 일치되면 된다. 반면에 도 5에서 삽입체(46)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삽입체(46)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캐치로드(55)와 제 1홀(52)로 들어가는 길이조절 벨트(48)의 사이에는 회동되는 양에 비례해서 틈이 생기기 때문에 삽입체(46)는 길이조절 벨트(48)로부터 유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삽입체(46)는 길이조절 벨트(48)의 일단을 고정한 좌측 밴드(19)의 전단으로부터 가까이 또는 멀리 떨어지게 조정할 수 있다.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has one end firmly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left band 19, the reinforcing frame 31, the left end of the guard band 30 and one end of the front guard band 32 together by sewing And the oth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is assembled via the first hole 52 and the second hole 53 provid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inserting body 46. The insertion body 46 assembled with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can be adjusted in length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passed through the second hole 53 into the catch rod 55 and the first hole 52 When the insert 46 is pushed in between the belt 48, the insert 46 is fixed from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so as not to flow. In order to fix the insertion body 46 to the length adjustment belt 48,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body 46 is pull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length adjustment belt 48 is fixed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body 46 are shown in FIGS. If it coincides, it becomes. On the other hand, in FIG. 5, when the insert 46 is rotated clockwise abou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insert 46, the catch rod 55 and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which enters the first hole 52, The insert 46 is able to flow from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because there is a gap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rotation. Thus, the insert 46 can be adjusted so that one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belt 48 is closer or farther away from the front end of the fixed left band 19.

버클의 몸체(45)는 한쪽에 삽입체(46)의 걸쇠로드(50)가 수용되는 삽입 홀(57)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고정벨트(47)의 연결부가 제공된다. 상기한 삽입 홀(57)에는 상하가 관통된 결합 홀(58)이 몸체(45)의 가운데 부근의 상하에 형성하여 상기한 걸쇠로드(50)에 구비된 걸림 턱(51)과 결합되게 제공된다. 몸체(45)의 연결부에는 고정벨트(47)가 삽입되는 관통 홀(59)이 형성된다. 고정벨트(47)는 상기한 몸체(45)의 연결부에 구비된 관통 홀(59)을 경유시켜서 양단을 우측 밴드(20)의 전단과 보강프레임(31)과 가드밴드(30)의 우단을 함께 재봉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해서 몸체(45)를 우측 밴드(20)의 전단에 고정한다. The body 45 of the buckle is provided at one side with an insertion hole 57 for receiving the latching rod 50 of the insert 46 and on the other side with a connecting portion of the fixing belt 47. A coupling hole 58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formed in the insertion hole 57 at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body 45 and is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latching jaw 51 provided in the latching rod 50 . A through hole 59 through which the fixing belt 47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ody 45. The fixing belt 47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right band 20 and the right end of the guard band 30 via the through holes 59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body 45 And the body 45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right band 20 by firmly fixing the body 45 by a method such as sewing.

상기한 버클의 몸체(45)에 형성된 삽입 홀(57)에 버클 삽입체(46)의 걸쇠로드(50)가 완전히 삽입되면 걸쇠로드(50)에 구비된 걸림 턱(51)이 삽입 홀(57)에 구비된 결합 홀(58)에 걸려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는 분리되지 않게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는 스스로는 분리되지 않고, 이용자가 걸쇠로드(50)의 걸림 턱(51)을 결합 홀(58)의 안쪽으로 눌러서 걸림 턱(51)이 결합 홀(58)로부터 해방되어야만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는 분리된다.When the latching rod 50 of the buckle insert 46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7 formed in the body 45 of the buckle, the latching jaw 51 provided on the latching rod 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7 So that the body 45 of the buckle and the insert 46 are fastened together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body 45 and the insert 46 of the buckle fastened as described above are not separated by themselves but the user pushes the latching jaw 51 of the latching rod 50 inwardly of the coupling hole 58, 51 are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hole 58, the body 45 of the buckle and the insert 46 are separated.

상기와 같이 좌우 밴드(19, 20)의 상하에 구비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를 모두 체결하면 좌우 밴드(19, 20)의 전단은 버클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고, 좌우 밴드(19, 20)의 상하에 구비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를 모두 분리하면 좌우 밴드(19, 20)의 전단도 분리된다. When the body 45 of the buckl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the insert 46 are fastened together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uckle,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also separated by separating both the body 45 of the buckle provided on the upper and the lower sides of the arms 19 and 20 and the insert 46. [

한편, 상술한 실시례에서 삽입체(46)가 길이조절 벨트(48)의 전후로 이동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몸체(45)의 연결부에도 길이조절 벨트가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길이조절 벨트를 조립하여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 설명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의 구조는 일실시례일 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자동차 시트벨트에 사용되는 버클 등 다양한 형태의 버클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버클과 버클에 조립된 벨트는 본 발명의 좌우 밴드(19, 20)의 전단을 서로 연결하였을 때 사용에 필요한 연결강도는 충분히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좌우 밴드(19, 20)의 전단에 설치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는 하나 이상을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좌우 밴드(19, 20)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좌우 밴드(19, 20)의 전단에 각각 구비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는 반드시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쌍을 이루게 구비하여야 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nsertion member 46 can be fixed while being moved forward and backward of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length adjusting belt may be assemb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body 45 and the length adjusting belt may be assembled. The structure of the buckle body 45 and the insert 46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buckles such as a buckle used for a seat belt of an automobile can be used. However, the buck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elt assembled to the buckle must have sufficient connection strength for use when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e or more of the body 45 and the insert 46 provided at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may be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bands 19, Respectively. The body 45 of the buckle and the insert 46 provided at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must be paired at mutually corresponding positions.

다음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의 구성에 따른 작용과에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and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에 구비된 슬링고리(41)를 들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은 집게 축(4)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서 회동하여 하단에 고정된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은 서로 근접하여 만나고,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상단에 구비된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사이는 약간의 거리를 두고 매달린다. 상기와 같이 다목적 슬링(1)이 슬링고리(41)에 매달려 있을 때 좌우 밴드(19, 20)의 전단에 구비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를 잡고 배치된 쪽의 좌우로 당기면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고정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은 좌우로 벌어지고,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상단에 구비된 좌우 행거프레임(16)도 비례해서 좌우로 벌어진다.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를 좌우로 당겼던 힘을 제거하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 고정된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은 서로 근접하여 다시 만나고, 비례해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상단에 구비된 좌우 행거프레임(16)도 가까워진다. The left and right tilting frames 2 and 3 are pivoted about the pivot shaft 4 by their own weight and are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nd the left and right hanging frames 2 and 3 are hanged with a slight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eft and right tenter frames 2 and 3. When the multipurpose sling 1 is suspended from the sling loop 41 as described above, the body 45 of the buckl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s 2 and 3 fixed to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pulled to the right and left and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2 and 3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tilt frames 2 and 3, 16) is proportional to the left and right.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2 and 3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gain And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right and left tongue-tie frames 2, 3 are also close to each other.

상술한 설명에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 고정된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서로 근접하여 만나더라도 상부에 배치된 좌우 행거프레임(16)은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상당한 거리를 두어야 한다. 그 이유는 첫째, 슬링고리(41)를 들었을 때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을 회동시키는 힘은 집게 축(4)의 중심으로부터 좌우 행거프레임(16)이 좌우로 떨어진 거리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을 회동시키는 힘은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 구비된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서로 만나려는 힘이 되고,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서로 만나려는 힘이 강해야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고 조여서 들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사이가 너무 가까우면 환자가 다목적 슬링(1)을 착용하였을 때 환자 머리 부위가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사이에 집히는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Even if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right and left tilt frame 2, 3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re should be considerable distance left and right.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when the sling loop 41 is lifted, the force for rotating the left and right tilting frames 2 and 3 is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from the center of the tongs 4 Because. The force for rotating the left and right tilting clamp frames 2 and 3 is a force for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ing frames 2 and 3 t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19, 20) are strong enough to meet each other,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can be wrapped around the patient's body and tightened. Secondly,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atient's head part is picked up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when the patient wears the multipurpose sling 1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is too close.

다음은 환자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에서 좌우 밴드(19, 20)를 착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how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in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좌우 밴드를 환자가 착용하였을 좌우 밴드 부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left and right bands where a patient wears left and righ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에 구비된 좌우 밴드(19, 20)의 후방이 환자의 등에 오게 위치시킨다. 환자는 우측 팔을 우측에 배치된 밴드로프(34)의 뒤로 넣어서 밴드로프(34)가 환자의 우측 앞으로 배치하고, 좌측 팔은 좌측에 배치된 밴드로프(34)의 뒤로 넣어서 밴드로프(34)가 환자의 좌측 앞으로 배치한다. 여기서 환자가 팔을 좌우 밴드로프(34)의 뒤로 넣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좌우 밴드로프(34)의 하단에 각각 구비된 여닫이 고리(35)를 열어서 좌우 밴드(19, 20)의 상단에 구비된 각 밴드고리(36)로부터 분리한 뒤, 좌우 밴드로프(34)를 환자의 앞으로 배치하고 다시 여닫이 고리(35)를 열어서 좌우 밴드(19, 20)의 상단에 구비된 각각의 밴드고리(36)에 걸어서 설치하면 매우 편리하다. The rear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provided in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on the back of the patient. The patient puts his / her right arm behind the band rope 34 disposed on the right side so as to place the band rope 34 in front of the right side of the patient and the left arm behind the band rope 34 disposed on the left side, To the left of the patient.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 to put his / her arm behind the left and right band ropes 34, the hosepipes 35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 ropes 34 are opened, The left and right band ropes 34 are placed in front of the patient and the hanger ring 35 is opened again so that the respective band rings 36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It is very convenient to install on foot.

이어서 좌우 밴드(19, 20)의 하부에 배치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를 잡고 배치된 방향의 좌우로 당겨 가드밴드(30)를 펴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은 벌어진다. 상기한 가드밴드(30)가 좌우로 펴진 상태를 유지하여 환자 몸통을 감싸면서 버클의 몸체(45)에 구비된 삽입 홀(57)에 버클의 삽입체(46)에 구비된 걸쇠로드(50)를 삽입하여 체결하고, 좌우 밴드(19, 20)의 상부에 배치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도 가드밴드(30)가 펴진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와 같이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를 체결한다. 그러면 좌우 밴드(19, 20)의 전단은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 때 전방 가드밴드(32)는 펴서 자유단이 우측 밴드(20)의 전단부 내측에 위치시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가 환자 몸통에 닿지 못하게 보호한다. The guard band 30 is pulled by pulling the body 45 of the buckl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the insert 46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arranged to stretch the guard band 30, ) Is opened. The guard band 30 is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to cover the patient's body and the latching rod 50 provided in the insertion body 46 of the buck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7 provided in the body 45 of the buckle, The body 45 and the insert 46 of the buckle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inserted into the body 45 of the buckle And the insert 46 are fastened. Then,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ront guard band 32 is stretched to position the free en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right band 20 to protect the body 45 of the buckle and the insert 46 from touching the patient's body.

한편, 환자 몸통이 굵어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의 체결이 불가능하면 길이조절 벨트(48)에 조립된 삽입체(46)를 좌측 밴드(19)의 전단으로부터 멀어지게 적절히 이동시켜 체결하고, 반대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를 체결하더라도 환자 몸통이 가늘어서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벌어지지 않으면 길이조절 벨트(48)에 조립된 삽입체(46)를 좌측 밴드(19)의 전단에 가깝게 적절히 이동시켜 체결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body of the patient is thick and the body 45 of the buckle can not be fastened with the insert 46, the insert 46 assembled with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is moved away from the front end of the left band 19 If the patient body is thin and the rear end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is not opened even if the buckle body 45 and the insertion body 46 are fastened to each other, May be appropriately moved close to the front end of the left band 19 and fastened.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에서,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바람직하게 착용한 상태는 다음과 같다. 환자가 좌우 밴드(19, 20)의 전단 상하에 각각 구비된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를 각각 체결하면 가드밴드(30)는 펴져서 환자 몸통을 감싸고,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은 좌우로 최대 내지 희망하는 만큼 벌어져 있으며, 전방 가드밴드(32)는 펴서 자유단이 우측 밴드(20)의 전단 내측에 위치하여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가 환자 몸통에 닿지 못하게 보호하며, 좌우 밴드(19, 20)와 가드밴드(30)가 환자의 하의는 감싸지 못하게 환자 몸통의 상부를 감싸야 한다. In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preferably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as follows. When the patient fastens the body 45 of the buckle and the body 46 provided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the guard band 30 is spread to wrap the patient's body, The front guard band 32 is extended so that its free end is locat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right band 20 and the body 45 of the buckle and the insertion body 46 And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the guard band 30 should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patient's body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tient can not be wrapped.

따라서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사용할 수 있는 환자는 몸통의 굵기는 다양하여도 이용이 가능하다. 즉,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상술한 방법으로 바람직하게 착용하였을 때, 길이조절 벨트(48)에 조립된 삽입체(46)를 좌측 밴드(19)의 전단에 최대한 근접시켜야 한다면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사용할 수 있는 환자 몸통의 굵기가 가장 가는 경우이고,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상기와 같이 바람직하게 착용하였을 때, 길이조절 벨트(48)에 조립된 삽입체(46)를 좌측 밴드(19)의 전단에서 최대한 멀리 위치시켜야 한다면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사용할 수 있는 환자 몸통의 굵기가 가장 굵은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한 좌우 밴드(19, 20)와 가드밴드(30)와 길이조절 벨트(48)와 전방 가드밴드(32) 등의 길이를 상호 적절하게 결정하면 사용 가능한 환자몸통 굵기의 범위가 결정된다. Therefore, a patient who can use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sizes of the body. That is to say, if the patient is to wear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preferably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and the insert 46 assembled with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should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ront end of the left band 19, The thickness of the patient's body that can use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invention is the thinnest and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s described above, If the body 46 is to be position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front end of the left band 19, the thickness of the patient's body that can use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hickest. Therefore, if the length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the guard band 30,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and the front guard band 32 are appropriately determined mutually, the range of usable patient body thickness is determined.

다음은 환자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의 상체를 드는 과정과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and principle of lifting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while the patient wears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좌우 밴드를 환자가 착용하고 환자의 상체를 들었을 때 좌우 밴드 부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left and right bands when a patient wears a left and righ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tient's upper body is lifted.

환자가 상기와 같이 좌우 밴드(19, 20)를 바람직하게 착용하고 슬링고리(41)를 들면 균형로프(39)와 슬링로프(40)에 의해서 좌우 행거프레임(16)은 상호 가까워지며 들리기 때문에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은 상단과 하단은 비례하여 좁혀진다. 그러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 고정된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좁혀지는 만큼 좌우 밴드(19, 20)는 환자 몸통을 감싸서 조인다. 상기와 같이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조이는 힘이 환자의 상체를 드는 힘에 이르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회동은 멈추고 환자의 상체는 좌우 밴드(19, 20)에 감싸여 도 10과 같이 들린다. 환자 상체가 좌우 밴드(19, 20)에 감싸여 들릴 때 밴드로프(34)는 좌우 밴드(19, 20)의 전방이 아래로 쳐지지 않게 지지한다.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preferably worn by the patient and the sling loop 41 is lift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can be heard by the balance rope 39 and the sling rope 40, The upper and lower clamping frames 2 and 3 are narrowed in proportion to each other. As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right and left tongue clamping frames 2, 3 are narrowed,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tightly tighten the patient's body. When the tightening force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wrapping around the patient body reaches the force of lifting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the pivoting of the pivot frame 2, 3 is stopped and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left and right by the left and right bands 19, ), And sounds as shown in Fig. When the patient's upper body is wrapped around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the band rope 34 supports the front side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without falling down.

상기와 같이 좌우 밴드(19, 20)가 환자의 상체를 들 수 있는 것은 환자 몸통을 좌우 밴드(19, 20)가 감싸 조여서 환자 몸통이 좌우 밴드(19, 20)의 아래로는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환자의 몸통은 하부에 비해서 상부가 일반적으로 굵기 때문에 환자 몸통이 좌우 밴드(19, 20)의 아래로 빠지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좌우 밴드(19, 20)는 환자 몸통의 둘레를 감싸기 때문에 좌우 밴드(19, 20)가 조이는 압박감은 환자 몸통의 둘레에 고르게 분산되어서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은 거의 없다.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can hold the patient's upper body because the patient's body is wrapped around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so that the patient's body does not fall down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 Since the upper part of the patient's body is generally thicker than the lower part, the patient's body does not fall down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Since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periphery of the patient's body, the tightness of tightening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is uniformly distributed around the patient's body,

상기와 같이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조이는 힘은 환자 상체를 드는데 까지만 작용한다. 그리고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들 때 몸통을 조이는 힘 때문에 환자가 불편하다면 환자는 좌우 밴드(19, 20)를 약간 이완되게 착용하면 된다.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이완되게 착용한다는 것은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착용하였을 때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이 적절하게 덜 벌어지게 착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적절히 이완되게 착용하고, 슬링고리(41)를 들어서 환자의 상체가 완전히 들리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이 서로 만나기 때문에 좌우 밴드(19, 20)는 환자 몸통을 더는 조이지 못해서 불편이 해소되는 것이다. 그런데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너무 이완되게 착용하면 좌우 밴드(19, 20)의 아래로 환자의 몸통이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orce by which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wrapped around the patient body acts only until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lifted. If the patient is uncomfortable due to the force of tightening the body when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wrapped around the patient's body, the patient may wear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slightly loosely.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in a relaxed manner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wears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gripping frames 2 and 3 so that the lower ends thereof are appropriately less widened. Thus,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in a loosely fit state and the sling loop 41 is lifted and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completely heard,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ing frames 2 and 3 meet each other, (19, 20) is unable to tighten the patient's body further, thereby relieving the discomfort. However, if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too loosely, the patient's body may fall below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so care must be taken.

상기 가드밴드(30)는 환자가 상기 좌우 밴드(19, 20)를 착용할 때 펴진 상태로 환자 몸통의 후방과 좌우를 감싸고 있다. 슬링고리(41)를 들어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 고정된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환자 몸통을 조일 때, 가드밴드(30)는 환자가 입고 있는 옷이나 환자 몸통의 일부가 좌우 밴드(19, 20)의 후단 내지는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 사이에 집히지 못하게 환자 몸통을 보호한다. 따라서 상기한 가드밴드(30)는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만나거나 떨어지는 부위에 해당하는 가운데는 유연하지만 잘 접히지 않는 자재로 제작해야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상호 근접하거나 만날 때 집히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서 가드밴드(30)의 가운데 부근에 내마모성과 유연성을 지닌 자재를 추가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한 가드밴드(30)는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조이는 힘을 방해하지 않게 측면부 등은 유연해야 한다. The guard band 30 surrounds the back and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atient's body in an extended state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When the patient body is tightened while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clamping frames 2 and 3 lifted to the left and right by lifting the sling loop 41 are close to each other, A part of the patient's body or the clothes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or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lifting frames 2 and 3 to the left and right. Therefore, the guard band 30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soft but not folded in the middle of the portion where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meet or fall, so that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When you meet, you will not be picked up. For this purpose, a material having abrasion resistance and flexibility is attached near the center of the guard band 30 and used. In addition, the guard band 30 should be flexible in the side portions and the like so that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do not interfere with the tightening force of the patient body.

전방 가드밴드(32)는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착용하였을 때 전방 가드밴드(32)의 자유단은 우측 밴드(20)의 전단부의 안쪽으로 펴지게 배치하여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와 길이조절 벨트(48)가 환자 몸통에 직접 닿지 못하게 보호한다. 왜냐하면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조일 때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 그리고 길이조절 벨트(48) 등의 일부가 환자 몸통에 닿아서 압박하면 환자가 불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방 가드밴드(32)는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 그리고 길이조절 벨트(48)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집중적인 압박을 전방 가드밴드(32)의 전면으로 분산시켜서 환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한다. 만약, 버클의 몸체(45)와 삽입체(46) 그리고 길이조절 벨트(48) 등이 환자 몸통에 가해지는 압박강도가 약해서 환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면 상기한 전방 가드밴드(32)는 없어도 무방하다. The front guard band 32 is arranged so that the free end of the front guard band 32 is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end of the right band 20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The insertion member 46 and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are prevented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patient's body. This is because when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wrapped around the patient body and a part of the body 45 of the buckle, the insert 46,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etc. is pressed against the patient's body, It is because. Therefore, the front guard band 32 disperses the intensive pressure that may occur in the buckle body 45, the insert 46, the length adjustment belt 48, etc.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guard band 32, . The front guard band 32 may be omitted if the patient feels uncomfortable because the compression strength applied to the patient's body by the buckle body 45, the insertion body 46, the length adjusting belt 48, .

다음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이용하여 환자가 용변을 보기 위하여 하의를 벗거나 입기 위하여 상체를 드는 높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the height at which the patient uses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lift the upper body to take off or wear the lower body to see the toilet.

도 10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을 이용하여 좌변기에 앉은 환자의 상체를 든 상태의 측면도이다.FIG. 10 is a side view of a state where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seated at the left side using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은 슬링고리(41)를 리프트장치(a)에 구비된 승강프레임(b)의 자유단에 있는 후크(c)에 걸어서 설치한다. 좌우 밴드(19, 20)의 후방은 환자의 등에 오도록 조정하고, 환자는 상기와 같이 좌우 밴드(19, 20)를 바람직하게 착용한다.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hooking the sling loop 41 to the hook c at the free end of the lifting frame b provided in the lifting device a. The rear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is adjusted to come to the back of the patient, and the patient preferably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as described above.

이어서 리프트장치(a)의 액추에이터(d)를 구동시켜 슬링고리(41)가 들리게 승강프레임(b)의 자유단을 상승시키면, 균형로프(39)와 슬링로프(40)에 의해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은 집게 축(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좌우 행거프레임(16)은 슬링고리(41)를 향해 모이면서 상승하고, 비례해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이 좁혀지면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좁혀지면서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고 조이는 힘은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조이는 힘이 환자의 상체를 드는 힘에 이르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회동은 멈추면서 환자의 상체는 도 10과 같이 들린다. 또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이 제한된 범위까지 회동하여 멈출 때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드는 힘과 일치되는 시점일 때에도 동일하게 환자의 상체는 도 10과 같이 들린다. When the free end of the lifting frame b is lifted so that the sling loop 41 is lifted by driving the actuator d of the lifting device a, the balance rope 39 and the sling rope 40 are lifted The frames 2 and 3 are pivoted about the pivot shafts 4 so that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are gathered toward the sling loop 41 and rise in proportion to the lower ends of the pivoting frames 2 and 3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narrow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surround the patient body and the tightening force increases. When the force of tightening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by wrapping the patient's body reaches the force of lifting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the pivoting of the pivot frame 2, 3 is stopped and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sounds as shown in Fig. . When the left and right tilting frames 2 and 3 stop rotating to a limited range and stop when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coincide with the wrapping force of the patient's body, It sounds.

도 10과 같이 환자의 엉덩이가 좌변기(e)로부터 들리면 승강프레임(b)의 상승을 멈추고, 환자는 용변을 볼 수 있게 하의를 벗는다. 환자는 하의를 벗은 다음 좌변기(e)에 내려앉게 승강프레임(b)을 하강시킨다. 환자가 좌변기(e)에 앉아서 용변을 보고나면 다시, 환자의 엉덩이가 들리게 승강프레임(b)을 상승시킨다. 환자의 엉덩이가 좌변기(e)로부터 도 10과 같이 들리면 환자는 벗었던 하의를 입고, 승강프레임(e)을 하강시켜서 환자는 좌변기(e)에 내려앉는다. 이어서 환자는 좌우 밴드(19, 20)의 전단을 연결한 부위를 분리하고 다목적 슬링(1)을 환자로부터 분리한 뒤 좌변기(e)에서 내려오면 용변보기가 완료된다. As shown in Fig. 10, when the patient's hips are heard from the left side (e), the elevation frame (b) is stopped from rising and the patient takes off the bottom so that the patient can see the toilet. The patient takes off the lower body and then lowers the lifting frame (b) so as to sit on the left side (e). When the patient sits in the left-hand side (e) and sees the toilet, he lifts the lifting frame (b) so that the patient's hip can be heard again. When the patient's hips are heard from the left side (e) as shown in Fig. 10, the patient wears the naked lower body, descends the lift frame (e), and the patient sits on the left side (e). Then, the patient removes a portion connecting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separates the multi-purpose sling 1 from the patient,

다음은 환자가 일어서거나 앉을 때의 이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환자가 일어서는 과정이다. 환자는 의자, 바닥, 침대, 좌변기 등에 앉아서, 리프트장치의 승강프레임에 매어달린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의 좌우 밴드(19, 20)를 상기와 같이 바람직하게 착용하고, 환자가 서는 높이에 이르게 리프트장치의 승강프레임을 상승시켜 환자의 상체를 들어준다. 환자의 상체가 들려서 완전히 일어서면 다목적 슬링(1)을 환자로부터 탈거하면 된다. 다음은 서있는 환자가 앉는 과정이다. 서있는 환자가 의자, 바닥, 침대, 좌변기 등에 앉기 위해서는, 리프트장치의 승강프레임에 매어달린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의 좌우 밴드(19, 20)를 선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바람직하게 착용하고, 환자 몸통이 약간 들리게 승강프레임을 상승시키면 환자의 몸통은 좌우 밴드(19, 20)에 조여서 고정되고, 이어서 환자가 앉을 때까지 승강프레임을 하강시킨다. 환자는 희망하는 곳에 안전하게 앉으면 상기 다목적 슬링(1)을 환자로부터 분리하면 환자가 앉는 과정이 완료된다. 여기서, 승강프레임을 구비한 리프트장치는 환자가 일어서거나 앉기 위한 장소에 구비되어 있어야 하고, 희망하는 만큼 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어야 한다.The following explains how to use when the patient is standing or sitting. First, the patient is in the process of getting up. The patient is preferably placed on the chair, the floor, the bed, the toilet seat, and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of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lifting frame of the lif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frame of the lifting device is elevated to lift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f the patient's upper body is fully lifted, the multipurpose sling (1) can be removed from the patient. The following is the process by which a standing patient sit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of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lifting frame of the lifting device are preferably worn in the line stat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it on the chair, the floor, the bed, When the lifting frame is raised so that the patient's body is slightly lifted, the patient's body is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then the lifting frame is lowered until the patient is seated. When the patient sits safely in the desired place, the multi-purpose sling 1 is separated from the patient, and the patient's sitting process is completed. Here, the lift apparatus having the lift frame should be provided at a place where the patient is standing or sitting, and should be lifted or lowered as desired.

다음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드는 실시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of lift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a patient using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체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을 설치한 리프트장치가 화장실의 좌변기 근처에 설치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과 하체받침대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체와 하체가 들린 상태의 측면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body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lift apparatus equipped with a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near the left side of a toilet, FIG. 13 is a side view, A side view of the patient's upper body and lower body.

본 발명에 의한 하체받침대(67)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 받침대(68)가 있고, 상기 받침대(68)의 좌우에는 받침고리(69)가 구비되며, 좌우 받침로프(70)의 하단에 각각 구비된 여닫이 고리(71)는 상기 좌우 받침고리(69)에 걸거나 분리할 수 있고, 좌우 받침로프(70)의 상단에 구비된 고리(72)는 상기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전방에 구비된 전방 고리(17)에 걸어서 설치가능하게 구성된다.The lower body support 6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edestal 68 formed to be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 11, and a pedestal ring 69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edestal 68, The hooks 71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right and left support ropes 70 can be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right and left support rings 69. The hooks 72 provided at the upper ends of the right and left support ropes 70 are engaged with the left and right support frames 16, The front ring 17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상기한 여닫이 고리(71)는 항상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용자에 의해서만 여닫이 고리(71)의 한쪽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이는 여닫이 고리(71)로부터 받침고리(69)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필요할 때에는 여닫이 고리(71)로부터 받침고리(69)를 분리할 수 있게 한다. The hinge ring 71 is always kept closed and only one side of the hinge ring 71 can be opened or closed by the user. This prevents arbitrary detachment of the support ring 69 from the hinge ring 71 and allows the support ring 69 to be detached from the hinge ring 71 when necessary.

한편, 좌우 받침로프(70)의 상단에 구비된 고리(72)에도 상기 여닫이 고리(71)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여닫이 고리를 구비하고, 사용할 때에는 여닫이 고리를 상기 전방 고리(17)에 걸어서 하체받침대(67)를 다목적 슬링(1)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여닫이 고리를 상기 전방 고리(17)로부터 분리하여 하체받침대(67)를 다목적 슬링(1)으로부터 분리하면 편리하다. The ring 7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right and left support ropes 70 also has a hanger ring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hanger ring 71. When the hanger ring is used, the hanger ring is hooked to the front ring 17, It is convenient to dispose the shroud 67 on the multipurpose sling 1 and use it when the shroud is not in use and separate the shroud collar from the front loop 17 to separate the lower body support 67 from the multipurpose sling 1.

그리고 다목적 슬링(1)에 하체받침대(67)를 걸어서 보관할 때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로프(70)의 하단에 구비된 여닫이 고리(71)의 한쪽을 열어서 받침고리(69)로부터 분리하여 둔다. 그러면 행거프레임(16)의 한쪽에는 받침대(68)가 받침로프(70)에 의해 매달리고 다른 쪽에는 받침로프(70)가 매달린다. 이와 같이 받침대(68)와 받침로프(70)의 하단이 아래로 쳐지더라도 바닥에는 일반적으로 닿지 않는다. 만일 좌우 받침로프(70)중에서 상부 한쪽을 전방 고리(17)로부터 분리하여두면, 분리된 받침로프(70)가 아래로 쳐지면서 화장실 등의 바닥에 닿아서 오염되면 사용하기가 불편해질 수 있다. When the multi-purpose sling 1 is to be held by the lower body support 67, one of the casings 71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pe 70 is opened and separated from the support ring 69 as described later . One end of the hanger frame 16 is then suspended by the support rope 70 and the support rope 70 is suspended from the other end. Thus, even if the pedestal 68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rope 70 are struck down, they do not generally touch the floor. If the upper one of the right and left support ropes 70 is separated from the front loop 17, the separated support rope 70 may be tilted downward and may be uncomfortable to use when it touches the floor of the toilet or the like and is contamina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의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전방에 하체받침대(67)를 설치하여 사용하면 환자는 상체와 함께 하체를 들어서 원하는 곳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환자가 들려서 이동할 때에는 용변을 볼 수 있게 하의를 벗거나 입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하체받침대(67)와 다목적 슬링(1)을 이용하여 환자가 휠체어에서 화장실의 좌변기로 또는 좌변기에서 휠체어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When the lower body support 67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 of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atient can move to a desired position by lifting the lower body together with the upper body, It is also possible to take off and wear the bottoms so that they can be seen when they are moved and moved. Next, the process of moving the patient from the wheelchair to the toilet seat of the toilet or from the toilet seat to the wheelchair using the lower body support 67 and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화장실에 설치된 리프트장치(f)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좌변기(j)의 근처에는 리프트장치(f)가 구비된다. 상기한 리프트장치(f)에 구비된 승강프레임(g)의 자유단에는 회동이 가능한 후크(h)가 구비되고, 승강액추에이터(i)는 상기한 승강프레임(g)의 자유단을 소망하는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한 승강프레임(g)의 자유단에 구비된 후크(h)는 좌변기(j)의 상부 내지 좌변기(j)의 주변에 오는 휠체어의 상부로 이동되게 승강프레임(g)을 좌우로 회동시키는 회동액추에이터(k)가 구비된다. The lift device f installed in the toile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 lift apparatus (f) is provided near the left side (j). The lifting frame g provided on the lifting device f is provided with a hook h capable of pivoting and the lifting actuator i lifts the free end of the lifting frame g to a desired height As shown in FIG. The hook h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lifting frame g is pivot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lifting frame g so as to be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chair that com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left- An actuator k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은 슬링고리(41)를 상기한 후크(h)에 걸어서 리프트장치(f)에 설치하고, 하체받침대(67)는 받침대(68)의 좌우에 구비된 받침로프(70)의 상단을 좌우 행거프레임(16)의 전단에 구비된 전방 고리(17)에 걸어서 설치한다. 이어서 받침대(68)의 한쪽 여닫이 고리(71)를 열어서 받침고리(69)로부터 분리하여 두면, 행거프레임(16)의 한쪽에는 받침대(68)가 받침로프(70)에 의해 매달리고 다른 쪽에는 받침로프(70)가 매달린다.The multipurpose slin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sling loop 41 is hooked on the hook h to install it on the lift device f and the lower body support 67 is supported on the support rope 70 are hooked on the front link 17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 16. Then, when one of the casement hooks 71 of the cradle 68 is opened and separated from the cradle ring 69, the cradle 68 is held by the cradle 70 on one side of the hanger frame 16, (70).

환자는 휠체어를 타고 좌변기(j)의 근처에 가면 승강프레임(g)의 자유단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켜서 다목적 슬링(1)에 구비된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환자의 등에 오게 조정하고, 환자는 좌우 밴드(19, 20)를 상기와 같이 바람직하게 착용한다. 이어서 받침대(68)를 환자의 무릎 안쪽 아래에 넣고, 받침대(68)의 한쪽에 분리하였던 여닫이 고리(71)를 열어서 받침고리(69)에 걸어준다. 그러면 받침대(68)는 환자의 무릎 안쪽 아래에서 좌우로 배치되어 수평을 유지하며 매달려 있게 된다.The patient rotates the free end of the lifting frame g to the left or right side when the patient rides in the vicinity of the left side j of the wheelchair to ride on the back of the patient's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provided on the multi- And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preferably as described above. Next, the pedestal 68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knee of the patient, and the hinge ring 71 which has been separated at one side of the pedestal 68 is opened and hooked to the pedestal hook 69. The pedestal (68) is then positioned left and right under the patient ' s knee to remain horizontal and suspended.

환자는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의 좌우 밴드(19, 20)와 하체받침대(67)를 착용한 뒤 승강프레임(g)을 상승시키면, 환자의 상체는 좌우 밴드(19, 20)에 감싸여서 들리고, 환자의 하체는 받침대(68)에 의해서 들리기 때문에 환자는 상체와 하체가 함께 들린다. 환자의 상체와 하체가 휠체어로부터 충분히 들리면 환자가 좌변기(j)의 상부로 이동되게 회동액추에이터(k)를 구동하고, 환자가 좌변기(j)의 상부에 이르면 환자가 좌변기(j)에 앉을 수 있게 회동하면 후크(h)가 회동하여 방향이 조정된다.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과 하체받침대(67)에 의해서 환자의 몸 전체가 들리더라도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는 용변을 볼 수 있게 하의를 벗거나 입을 수 있다. 환자는 용변을 볼 수 있게 하의를 벗고 승강프레임(g)을 하강시켜 좌변기(j)에 환자가 앉는다. 환자는 좌변기(j)에 앉아서 용변을 보고나면 승강프레임(g)을 상승시켜 환자의 상체와 하체를 충분히 상승시키고, 환자는 벗었던 하의를 입는다. 그리고 승강프레임(g)의 자유단에 매달린 환자가 휠체어의 상부에 이르게 회동액추에이터(k)를 구동시키고, 환자가 휠체어의 상부에 이르면 환자가 휠체어에 앉을 수 있게 방향을 회동시킨 뒤, 승강프레임(g)을 하강시켜 휠체어에 환자가 앉는다.When the patient lifts the lifting frame g after wearing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the lower body support 67 of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 And the lower body of the patient is heard by the pedestal (68), so the patient can hear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together. When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of the patient are sufficiently heard from the wheelchair, the rotation actuator k is driven so that the patient moves to the upper part of the left side j, and when the patient reaches the upper side of the left side j, The hook h rotates and the direction is adjusted. Even if the entire body of the patient is heard by the multipurpose sling 1 and the lower body support 67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can take off or wear the bottom so as to see the toilet, as shown in Fig. The patient takes off the bottom so that the patient can see the toilet and descends the lifting frame (g), and the patient sits at the left side (j). When the patient sits on the left side (j) and sees the toilet, the patient lifts the upper and lower bodies sufficiently by raising the lift frame (g), and the patient wears the naked lower body. Then, the patient hanging on the free end of the lifting frame g drives the pivoting actuator k to reach the top of the wheelchair. When the patient reaches the top of the wheelchair, the patient rotates so that the patient can sit on the wheelchair. g) is lowered and the patient sits in the wheelchair.

환자가 휠체어에 앉으면 받침대(68)의 한쪽에 구비된 여닫이 고리(71)를 열어서 받침고리(69)로부터 분리하고, 받침대(68)는 환자의 무릎 아래로부터 빼어내면 받침대(68)는 다시 행거프레임(16)의 전단의 한쪽에 매달린다. 이어서 좌우 밴드(19, 20)의 전단을 상호 연결하였던 부위를 분리하고, 승강프레임(g)을 회동시켜 다목적 슬링(1)을 휠체어로부터 멀어지게 하면, 환자로부터 다목적 슬링(1)의 분리가 완료되어 환자는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이용하여 휠체어에서 좌변기(j)로 이동하여 용변을 보고, 다시 좌변기(j)에서 휠체어로 이동하는 과정이 완료된다.When the patient sits on the wheelchair, the hanger ring 7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edestal 68 is opened to separate the pedestal 68 from the pedestal hook 69. When the pedestal 68 is pulled out from under the knee of the patient, (16). The multifunctional sling 1 is separated from the wheelchair by separating the portions to which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have been interconnected and turning the elevating frame g to separate the multipurpose sling 1 from the patient The patient can then move in a wheelchair.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wheelchair to the left side (j) using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seeing the used side, and moving from the left side (j) to the wheelchair is completed.

다음은 좌우 밴드의 전단을 서로연결 내지 분리하는 수단으로 벨크로를 이용한 실시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using Velcro as mean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문헌 3] KR 10-0928394-0000 B1 2009. 11. 7. 도 8a ~ 도 8c.[Document 3] KR 10-0928394-0000 B1 Nov. 7, 2009 7. Figures 8a-8c.

벨크로는 상기와 같은 기술 외에도 많은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벨크로의 구조와 기능도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echnology, many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for the Velcro.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Velcro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4는 본 발명의 좌우 밴드에 벨크로가 설치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좌우 밴드의 전단이 벨크로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부분도이다.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Velcro is installed on left and righ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parti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front ends of left and righ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by Velcro.

본 발명의 좌우 밴드(19a, 20a)의 후단은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 상술한 방법으로 각각 고정되고, 가드밴드(30a)의 양단은 좌우 밴드(19a, 20a)의 전방의 내측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한 좌측 밴드(19a)의 내면에는 벨크로의 루프 면(73)을 전체에 형성하고, 우측 밴드(19a)의 자유단의 외면에는 벨크로의 후크가 구비된 후크 면(74)이 일정한 크기로 구비된다.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a and 20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2 and 3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Both ends of the guard band 30a are fixed to left and right bands 19a and 20a Respectively. A loop surface 73 of the Velcro is form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left band 19a and a hook surface 74 having hooks of Velcro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ee end of the right band 19a. do.

상기한 벨크로는 한 면이 탄성을 지닌 많은 수의 후크로 이루어진 후크 면이고, 벨크로의 다른 면은 상기한 후크 면에 대응하기 위한 많은 수의 루프로 이루어진 루프 면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후크 면과 루프 면이 상호 만나면 다수의 후크가 다수의 루프에 걸려서 후크 면과 루프 면은 접착된 상태가 되고, 일정한 힘을 받으면 상기한 후크 면과 루프 면이 분리되는 방법이다.The above-mentioned velcro is constituted by a loop surface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loops, one surface of which is a hook surface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hooks having elasticity,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velcro has a large number of loops corresponding to the above hook surface. When the hook surface and the loop surface meet each other, a plurality of hooks are caught by the plurality of loops, so that the hook surface and the loop surface are bonded together. When the hook surface and the loop surface meet, the hook surface and the loop surface are separated.

상기한 좌우 밴드(19a, 20a)를 환자가 바람직하게 착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환자는 가드밴드(30a)가 펴지게 좌우 밴드(19a, 20a)의 전단을 좌우로 당기면서 환자 몸통을 감싸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은 좌우로 벌어진다.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이 좌우로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게 우측 밴드(20)의 외면에 구비된 후크 면(74)에 루프 면(73)이 구비된 좌측 밴드(19a)의 내면을 밀착시킨다. 그러면 벨크로의 후크 면(74)과 루프 면(73)이 접착된 상태가 되어서 좌우 밴드(19a, 20a)의 전단은 연결된 상태가 된다.A method in which the left and right bands 19a and 20a are preferably worn by the patient is as follows. The patient pulls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a and 20a in such a manner that the guard band 30a spreads to the left and right while wrapping the patient's body and the lower ends of the tilting frames 2 and 3 open to the left and right. The left side band 19a having the loop surface 73 provided on the hook surface 74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ight side band 2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eft and right tilting frame 2, Cling to the inner surface. Then, the hook surface 74 of the Velcro and the roof surface 73 are bon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a and 20a are connected.

상기와 같이 벨크로에 의해서 연결된 좌우 밴드(19a, 20a)의 전단을 분리할 때에는 좌측 밴드(19a)의 자유단을 잡고 외측으로 서서히 당기면 벨크로의 후크 면이 우측 밴드(20a)의 전단에 구비된 후크 면(74)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쉽게 분리된다. When separating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a and 20a connected by the Velcro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ree end of the left band 19a is gripped and pulled outward slowly, the hook surface of the Velcro is hooked on the front end of the right band 20a It is separated easily from the surface 74 and therefore easily separated.

여기서 우측 밴드(20a)의 자유단에 구비된 벨크로의 후크 면(74)과 좌측 밴드(19a)의 내면에 형성된 벨크로의 루프 면(73)이 부착되는 힘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떨어지지 않는 힘으로 접착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때 우측 밴드(20a)의 자유단에 구비된 후크 면(74)이 좌측 밴드(19a)의 내면에 형성된 벨크로의 루프 면(73)이 떨어지지 않도록 후크 면(74)은 충분한 크기로 제작하여야 한다. The force to which the loop surface 73 of the velcro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band 19a and the hook surface 74 of the velcro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right band 20a is attached thereto is the same as that of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normally, the adhesive should be connected with a force that does not fall. Therefore, when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used, the loop surface 73 of the velcro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ft band 19a of the hook surface 74 provided on the free end of the right band 20a is not hooked The surface 74 should be of sufficient size.

상기와 같이 좌우 밴드(19a, 20a)의 전단에 벨크로의 후크 면(74)과 루프 면(73)을 구비하여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방법을 취하면, 환자 몸통의 굵기가 다양하더라도 환자 몸통의 굵기에 맞게 언제나 좌우 밴드(19a, 20a)를 편리하게 착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내면에 루프 면(73)을 형성한 좌측 밴드(19a)의 길이가 길면 그만큼 환자 몸통의 굵기가 굵은 환자도 착용이 가능하다. If the hook surface 74 and the loop surface 73 of the Velcro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a and 20a to connect or separate the left and right bands 19a and 20a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patient body is varied, The left and right bands 19a and 20a can be conveniently worn at any time. That is, if the length of the left band 19a having the loop surface 73 formed on the inner surface is long, the patient having the thick body of the patient can be worn.

다음은 좌우 밴드의 전단을 서로연결 내지 분리하는 수단으로 걸쇠와 링을 이용하고, 좌우 밴드에서 전방의 상부가 개방된 실시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embodiment in which a latch and a ring are used as mean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and the front upper portion is opened in the left and right bands.

도 16은 본 발명의 좌우 밴드의 전단에 걸쇠와 고정 링이 설치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우측 밴드의 전단에 고정 링이 고정되고 좌측 밴드 전단은 유동 링의 장공에 삽입된 상태의 부분도이며, 도 18는 본 발명의 좌우 밴드의 전단이 걸쇠와 고정 링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부분도이다.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latch and a retaining ring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and righ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retaining ring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right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parti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by a latch and a retaining ring.

좌우 밴드(19b, 20b,)는 환자가 좌우 밴드(19b, 20b)를 착용하였을 때, 이해를 돕기 위해 환자 몸통에 밀착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전방과 측면 그리고 후방으로 구분한다. 상기한 좌우 밴드(19b, 20b)는 좌우 측면과 후방에 비해서 전방의 높이는 낮다. 상기한 좌우 밴드(19b, 20b)의 후단은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에 상술한 방법으로 각각 고정되고, 가드밴드(30b)는 좌우 밴드(19b, 20b)의 내측에 배치하여 가운데는 가드로프(37b)에 지지되고 양단은 좌우 밴드(19b, 20b)의 측면 전방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are divided into a front side, a side side, and a rear side based on a position where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tient's body to help understand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is lower than that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nd the rear side.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2 and 3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and the guard band 30b is disposed inside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And the center thereof is supported by the guard ropes 37b and both ends thereof are firmly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고정 링(75)은 전방에 배치된 우측 밴드(20b)의 높이로 장공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한 고정 링(75)의 우측 테두리는 전방에 배치된 우측 밴드(20b)의 전단에 감싸여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유동 링(76)은 전방에 배치된 좌측 밴드(19b)의 높이로 장공을 형성하고, 걸쇠(78)는 전방에 배치된 우측 밴드(20b)의 높이로 제작하여 유동 링(76)의 우측 테두리에 일체가 되게 부착하고, 상기 걸쇠(78)는 상기 고정 링(75)의 좌측 테두리(79)에 걸거나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좌측 밴드(19b)의 자유단을 좌측 밴드(19b)의 외측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벨크로나 버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벨크로를 이용한 실시례이다. 상기한 좌측 밴드(19b)의 외면에는 벨크로의 루프를 전체에 형성해서 루프 면(81)으로 이루어져 있고, 좌측 밴드(19b)의 외면에서 자유단 근처에는 벨크로의 후크가 구비된 후크 면(80)을 도 17과 같이 구비된다. The fixed ring 75 is formed by forming a long hole at the height of the right side band 20b disposed at the front side and the right side edge of the fixed ring 75 is wrapped around the front side of the right side band 20b disposed at the front And is firmly fixed. The flow ring 76 forms a long hole at the height of the front left band 19b and the latch 78 is made at the height of the front right band 20b, And the latch 78 can be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left edge 79 of the retaining ring 75. [ As a method of fixing the free end of the left band 19b to the outside of the left band 19b, a velcro or a buckle or the like can be used.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using velcro is used. A loop surface 8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band 19b as a whole and a hook surface 80 having hooks of Velcro is provided near the free e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band 19b. As shown in Fig.

좌측 밴드(19b)에서 전방의 자유단은 상기한 유동 링(76)의 장공에 후크 면(80)을 지나게 도 18과 같이 삽입하여 좌측 밴드(19b)의 사용 길이에 맞게 유동 링(76)의 위치를 정하고, 좌측 밴드(19b)의 전방은 상기한 유동 링(76)의 좌측 테두리(77)가 있는 지점이 접히게 외측으로 180도 회동시켜 유동 링(76)의 좌측 테두리(77)를 감싼 다음 좌측 밴드(19b)의 자유단을 좌측 밴드(19b)의 외면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좌측 밴드(19b)의 자유단에 구비된 후크 면(80)의 후크가 좌측 밴드(19b)의 외면에 구비된 루프 면(81)의 루프에 걸려서 좌측 밴드(19b)의 자유단은 좌측 밴드(19b)의 외면에 도 16 또는 도 18과 같이 고정된다. The free end of the front side of the left band 19b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fluid ring 76 through the hook surface 80 as shown in FIG. And the front edge of the left band 19b is rotated by 180 degrees outwardly so that the point at which the left edge 77 of the floating ring 76 is folded out to surround the left edge 77 of the floating ring 76 And the free end of the next left band 19b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band 19b. The hook of the hook surface 80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left band 19b is caught by the loop of the loop surface 8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band 19b so that the free end of the left band 19b is hooked to the left band 16 or 18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19b.

여기서 좌측 밴드(19b)의 자유단에 구비된 벨크로의 후크 면(80)이 좌측 밴드(19b)의 외면에 형성된 벨크로의 루프 면(81)에 고정되는 힘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떨어지지 않는 힘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때 좌측 밴드(19b)의 자유단에 구비된 후크 면(80)이 좌측 밴드(19b)의 외면에 형성된 벨크로의 루프 면(81)에 떨어지지 않도록 후크 면(80)의 크기를 결정하고 제작해야 한다. The force to which the hook surface 80 of the velcro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left band 19b is fixed to the loop surface 81 of the velcro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band 19b is the same as that of the multi- When used normally, it must have a force that does not fall. Therefore, when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used, the hook surface 80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left band 19b is not hooked to the loop surface 81 of the velcro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band 19b, The size of the surface 80 must be determined and fabricated.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밴드(19b)에서 유동 링(76)은 좌측 밴드(19b)의 사용 길이에 맞춰서 전후로 이동시켜 위치를 결정하면 좌측 밴드(19b)의 길이는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환자 몸통의 굵기에 맞게 좌측 밴드(19b)의 길이를 조정하면 환자 몸통의 굵기가 다양한 사람이 함께 사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left band 19b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moving the flow ring 76 in the left band 19b back and forth in accordance with the used length of the left band 19b. Therefore, if the length of the left band 19b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patient's body, a person having various thicknesses of the patient's body can be used together.

그리고 환자가 상기한 좌우 밴드(19b, 20b)의 전단을 상호 연결하여 착용하면 도 18과 같이 되어서 환자의 가슴 부위는 좌우 밴드(19b, 20b)의 전방의 높이가 낮게 구성하여 환자의 가슴 부위를 감싸지 않는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좌우 밴드(19b, 20b)는 환자가 착용하였을 때 가슴 부위는 좌우 밴드(19b, 20b)가 감싸지 않기 때문에 가슴이 큰 여성 환자도 본 발명의 좌우 밴드(19b, 20b)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밴드(19b, 20b)와 측면과 전방 부위의 경계 지점에는 보강프레임(31b)이 배치되어 있어서, 좌우 밴드(19b, 20b)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조일 때 좌우 밴드(19b, 20b)는 위치에 관계없이 환자 몸통을 고르게 감싸서 조인다. 18, when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height of the fron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is set low, Do not wrap. That is, since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wrapped around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Can be conveniently used. The reinforcing frame 31b is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and between the side and front portions so that when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are wrapped around the patient body and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are tightened Tighten the patient's body evenly, regardless of position.

환자가 좌우 밴드(19b, 20b)를 바람직하게 착용한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는 좌측 밴드(19b)의 전단에 고정된 유동 링(76)의 걸쇠(78)를 우측 밴드(20b)의 전단에 구비된 고정 링(75)의 좌측 테두리(79)에 걸어서 도 18과 같이 좌우 밴드(19b, 20b)의 전단을 연결한다. 그러면 가드밴드(30b)는 펴져서 환자 몸통의 후방과 측면을 감싸고, 좌우 밴드(19b, 20b)는 환자의 가슴을 제외한 몸통의 전방과 좌우 측면을 감싸고, 좌우 밴드(19b, 20b)의 후단이 고정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은 희망하는 만큼 좌우로 벌어져 있으며, 좌우 밴드(19b, 20b)의 전방 부위는 가슴 아래에 위치하여 환자의 가슴 부위는 감싸지 않는다. 사용 후 좌측 밴드(19b)의 전단에 구비된 걸쇠(78)를 우측 밴드(20b)의 전단에 구비된 고정 링(75)의 좌측 테두리(79)로부터 분리하면 좌우 밴드(19b, 20b)의 전단은 분리된다. A state in which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is described as follows. The patient hooks the latch 78 of the floating ring 76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left band 19b to the left edge 79 of the fixing ring 75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ight band 20b, And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are connected.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surround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excluding the patient's chest and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are fixed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ing clamp frames 2 and 3 are opened to the left and right as desired. The front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are located below the chest, and the patient's chest is not wrapped. The hook 78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eft band 19b after use is separated from the left edge 79 of the fixing ring 75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ight band 20b, Are separated.

상기와 같이 좌우 밴드(19b, 20b)의 전단에 걸쇠(78)와 고정 링(75)을 각각 구비하면 좌우 밴드(19b, 20b)의 전단을 연결 내지 분리가 쉽고, 좌측 밴드(19b)의 사용 길이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서 길이 조정이 쉽다. It is easy to connect or separate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when the latch 78 and the fixing ring 75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b and 20b, Easy to adjust the length, so easy to adjust the length.

다음은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착용할 때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이 적절하게 벌어졌는지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visually confirming whether the lower ends of the right and left tilting clamp frames 2, 3 are properly opened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9는 본 발명의 측정 바가 좌우 행거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된 부위의 도면이고, 도 20은 좌측 행거프레임의 전방에 힌지가 설치된 부위의 부분도이며, 도 21은 우측 행거프레임의 전방에 기준 링이 설치된 부위의 부분도이다.20 is a partial view of a portion where a hinge is provided in front of the left hanger frame, and Fig. 21 is a 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where the reference ring is provided in front of the right hanger frame It is a partial view of the installed part.

좌측에 배치된 행거프레임(16a)의 전방에 힌지 축(85)이 브라켓에 설치되고, 우측에 배치된 행거프레임(16a)의 전방에는 기준 링(86)이 구비되며, 측정 바(87)는 좌우 행거프레임(16a)을 가로지르는 길이로 제작하여 일단을 상기한 힌지 축(8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자유단은 상기한 기준 링(86)의 내주에 유동 가능하게 삽입하여 설치되며, 상기한 측정 바(87)의 자유단 근처의 외주에 식별마크(88)가 표시되어 있다. A hinge shaft 85 is provided on the bracket in front of the hanger frame 16a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a reference ring 86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hanger frame 16a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a free end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reference ring 86 so as to be able to rotate, An identification mark 88 is marked on the outer periphery of a free end of a measurement bar 87.

상기와 같이 설치된 측정 바(87)는 좌우 행거프레임(16a)이 좌우로 벌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거리에 비례해서 측정 바(87)의 자유단은 기준 링(86)의 내주에서 좌우로 유동된다. 상기한 좌우 행거프레임(16a)이 좌우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도 같은 비율로 벌어지거나 좁혀진다. 따라서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바람직하게 착용하였을 때에는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의 하단이 희망하는 만큼 벌어지고, 비례해서 좌우 행거프레임(16a)도 좌우로 벌어져서 도 21과 같이 측정 바(87)에 표시된 식별마크(88)가 기준 링(86)의 근처에 위치된다. The free end of the measuring bar 87 is moved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reference ring 86 to the left and right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a are opened or closed. Whe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a are widened or narrowed to the left and right, the lower ends of the tilt frames 2, 3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widened or narrowed at the same ratio. Therefore,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preferably,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ing frames 2 and 3 are widened as desired, and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16a also spread left and right proportionally, The identification mark 88 shown in the measurement bar 87 is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reference ring 86 as well.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착용하고 측정 바(87)의 자유단에 새겨진 식별마크(88)가 도 21과 같이 기준 링(86)의 내주에 머물 때 환자가 착용한 좌우 밴드(19, 20)의 후단이 좌우로 최대한 벌어진 상태가 되게 한다. 따라서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착용하였을 때 측정 바(87)에 표시된 식별마크(88)가 도 21과 같이 기준 링(86)에 위치하면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조이는 힘은 강하게 작용하고, 반대로 측정 바(87)에 표시된 식별마크(88)의 자유단 쪽이 기준 링(86)으로부터 우측으로 멀리 떨어지면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2, 3)이 덜 벌어져서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조이는 힘은 비교적 약하다. 따라서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착용하였을 때 측정 바(87)에 새겨진 식별마크(88)가 기준 링(86)으로부터의 떨어진 위치에 따라서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서 조이는 힘의 강도를 알 수 있다.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nd the identification mark 88 engraved on the free end of the measurement bar 87 stays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eference ring 86 as shown in FIG. So that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are maximally opened to the left and right. Therefore, when the identification mark 88 shown on the measurement bar 87 is positioned on the reference ring 86 as shown in FIG. 21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When the free end of the identification mark 88 shown on the measurement bar 87 is moved farther to the right from the reference ring 86,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s 2 and 3 are less widened, The force of tightening the bands 19, 20 around the patient's body is relatively weak. Therefore,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wrap the patient's body along the position where the identification mark 88 engraved on the measurement bar 87 is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ring 86 The tightening can be seen in the strength of the force.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 바(87)에 새겨진 식별마크(88)가 기준 링(86)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머무는 위치를 보면서 환자가 좌우 밴드(19, 20)를 착용하면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조이는 힘을 원하는 데로 맞출 수 있다. 그러므로 환자는 좌우 밴드(19, 20)가 환자 몸통을 감싸 조여서 들 때 환자 몸통이 좌우 밴드(19, 20)의 아래로 빠지지 않는 최소한의 조임으로 착용하여 사용이 가능해서 편리하다. When the patient wears the left and right bands 19 and 20 while viewing the position where the identification mark 88 engraved on the measurement bar 87 stays left or right from the reference ring 86 as described above, Can be adjusted as desired to tighten the patient ' s body. Therefore, it is convenient for the patient to wear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with a minimum tightening that does not fall down the left and right bands 19, 20 when the patient body is wrapped around the patient body.

다음은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을 재활훈련기기에 설치하여 사용한 실시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an embodiment in which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2는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이 재활훈련기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FIG.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multipurpose s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재활훈련기(m)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바퀴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n)이 좌우에 구비되고, 상기한 베이스프레임(n)의 후방에는 메인프레임(o)이 직립하여 배치되며, 상기한 메인프레임(o)의 상부에는 좌우가 연결된 프레임의 가운데에 구동부(p)가 배치되고, 상기한 구동부(p)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프레임의 단부에는 상하로 승강되는 로프(q)가 구비되며, 상기한 로프(q)의 하단에는 갈고리(r)가 배치되고, 손잡이(s)는 전방으로 만곡부를 지니게 구성하여 상기한 메인프레임(o)의 가운데 부근에 고정하여 배치되고, 상기한 로프(q)는 상기한 구동부(p)의 작동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된다. The rehabilitation trainer (m) is generally constructed as follows. A main frame o is disposed upright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frame n and a base frame n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frame n. And a rope q which is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rame extending forward from the driving part p and a hook r The ropes q are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main frame o in such a manner that the knobs s have a curved portion forward and the rope q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ortion p It is lifted up and down.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은 슬링고리(41)를 상기한 갈고리(r)에 걸어서 재활훈련기(m)에 설치한다. 환자는 일반적으로 휠체어 등을 이용하여 상기한 다목적 슬링(1)을 착용할 수 있게 이동하고, 환자는 다목적 슬링(1)을 상기한 방법으로 바람직하게 착용한다. 그리고 구동부(p)를 조작하여 상기한 로프(q)를 상승시키면 다목적 슬링(1)이 상승하여 환자는 일어서게 된다. 환자가 일어선 다음에는 걷기 등의 재활훈련기(m)에 의지하여 재활운동이나 척추견인 등의 치료를 하면 된다. In the multipurpose sling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ng loop 41 is hooked on the hook r and installed in the rehabilitation trainer m. The patient generally moves using a wheelchair or the like to wear the multipurpose sling 1, and the patient preferably wears the multipurpose sling 1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When the rope q is raised by operating the driving part p, the multipurpose sling 1 is lifted and the patient stands up. Once the patient is working, he or she can rehabilitate the patient by using a rehabilitation trainer (m) such as walking, or perform a treatment such as traction of the vertebrae.

그리고 환자가 자력으로 서서 걷기 등의 재활운동을 할 때에는 다목적 슬링(1)의 높이를 재활훈련기(m)로부터 약간 낮게 조정해 둔다. 그러면 다목적 슬링(1)의 좌우 밴드는 환자의 몸통을 압박하지 않아서 환자는 쾌적하게 걷기 등의 재활운동을 할 수 있고, 환자가 걷기 등의 재활운동을 하다가 갑자기 넘어지거나 주저앉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목적 슬링(1)은 즉시 환자의 몸통을 잡아서 다목적 슬링(1)의 아래로 절대로 빠지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환자는 안심하고 재활훈련에 전념할 수 있다.
When the patient is standing by himself and doing rehabilitation such as walking, the height of the multipurpose sling (1) is adjusted slightly lower from the rehabilitation trainer (m). Then, the left and right bands of the multipurpose sling (1) do not compress the body of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 can perform a rehabilitation exercise such as walking comfortably. If the patient suddenly falls or sags while perform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such as walking, The multipurpose sling (1) immediately catches the patient's torso so that it never falls under the multipurpose sling (1). Therefore, patients can concentrate on rehabilitation training with confidence.

2, 3: 집게프레임 4: 집게 축 16: 행거프레임
17: 전방 고리 18: 후방 고리 19, 20: 밴드
34: 밴드로프 40: 슬링로프 41: 슬링고리
45: 몸체 46: 삽입체 67: 하체받침대
68: 받침대 70: 받침로프 74: 후크 면
73: 루프 면 75: 고정 링 78: 걸쇠
2, 3: forceps frame 4: pincers axis 16: hanger frame
17: front ring 18: rear ring 19, 20: band
34: band rope 40: sling rope 41: sling ring
45: body 46: insertion body 67: lower body pedestal
68: pedestal 70: support rope 74: hook face
73: Loop face 75: Retaining ring 78: Clasp

Claims (5)

환자를 드는데 사용되는 슬링에 있어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은 가운데 부위가 상호 교차되게 좌우로 엇갈리게 배치하고,
상기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은 교차점에 설치된 집게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좌우 행거프레임은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하여 구성되고,
좌우 밴드는 후단을 상기한 좌우로 기운 집게프레임의 하단에 각각 고정하고 전단은 상호 연결 내지 분리가 가능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좌우 밴드로프는 상단을 상기한 좌우 행거프레임에 구비된 전방 고리에 설치하고 하단은 상기 좌우 밴드의 전방에 걸어서 설치되며,
슬링로프는 양단을 상기 좌우 행거프레임에 고정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슬링.
In the sling used to hold the patient,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s are arranged so that the middle portions are alternately left and right so as to cross each other,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is pivoted about a tongue shaft installed at an intersectio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extend forward from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The left and right bands are fixed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tilt frame and the front ends thereof are provided with means for mutually connecting and separating,
The left and right band ropes are installed on the front ring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and the lower ends ar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left and right bands,
Wherein the sling rope is fixed by fixing both ends thereof to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밴드의 전단을 상호 연결 내지 분리하는 수단으로, 상기 좌우 밴드의 전단에 고정된 벨트에 버클의 몸체와 삽입체를 각각 조립하여 좌우 밴드의 전단을 연결 내지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슬링.[2]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wherei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are connected or separated by assembling the body and the insert of the buckle on the belt fixed to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Purpose sl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우 밴드의 전단을 상호 연결 내지 분리하는 수단으로, 벨크로의 후크 면과 루프 면을 좌우 밴드의 전단에 각각 구비하여 좌우 밴드의 전단을 연결 내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슬링.[2] The buck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are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eans of connecting and separating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Multipurpose Sl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우 밴드의 전단을 상호 연결 내지 분리하는 수단으로, 고정 링과 걸쇠를 좌우 밴드의 전단에 각각 배치하여 좌우 밴드의 전단을 연결 내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슬링.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are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rranging the fixing ring and the latches at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bands,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행거프레임에 구비된 전방 고리에 받침대의 좌우에 구비된 받침로프의 상단을 걸어서 하체받침대를 사용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슬링.The multipurpose sl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wer body support is used by hanging the upper ends of the support rope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edestal in the front ring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hanger frames.
KR1020120106829A 2011-09-29 2012-09-26 Multi Purpose Sling Expired - Fee Related KR10145407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98919 2011-09-29
KR1020110098919 2011-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210A KR20130035210A (en) 2013-04-08
KR101454075B1 true KR101454075B1 (en) 2014-11-03

Family

ID=48437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8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454075B1 (en) 2011-09-29 2012-09-26 Multi Purpose S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0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6192B2 (en) 2019-04-19 2022-09-20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Two piece subject support apparatu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250A (en) * 1998-10-23 2000-05-09 Mikuni Corp Lifts for nursing care lifts
JP2001017486A (en) * 1999-07-09 2001-01-23 Susumu Takahashi Human body moving device
JP2002333001A (en) * 2001-05-09 2002-11-22 Sadamu Mizobuchi Elevating arm operating device for caregiving lift
KR101186778B1 (en) * 2010-08-02 2012-09-27 김세곤 Safe jacket for walking assistanc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250A (en) * 1998-10-23 2000-05-09 Mikuni Corp Lifts for nursing care lifts
JP2001017486A (en) * 1999-07-09 2001-01-23 Susumu Takahashi Human body moving device
JP2002333001A (en) * 2001-05-09 2002-11-22 Sadamu Mizobuchi Elevating arm operating device for caregiving lift
KR101186778B1 (en) * 2010-08-02 2012-09-27 김세곤 Safe jacket for walking assistanc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6192B2 (en) 2019-04-19 2022-09-20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Two piece subject support apparat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210A (en)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832B2 (en) Progressive mobility assistance garment for rehabilitation
US4739526A (en) Lifting apparatus for use in lifting a disabled person or patient
EP2055284B1 (en) A rescuing and carrying device
US9854898B2 (en) Suspension therapy apparatus
US6715167B2 (en) Patient lift and transfer apparatus
US10398618B2 (en) Body harness
US20050192159A1 (en) Modular harness assembly and mobility system
JP2010188171A (en) Lumbago treatment device
JP2011529364A (en) Patient lifting device
AU2018272912A1 (en) Flexible leg supporting membrane, leg support frame and mobile patient standing and raising aid
US11246779B2 (en) Manual assistance transfer belt utilizing individual thigh straps
JP5444575B1 (en) Human body lifting harness
US201002405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e
JP2004073445A (en) Hanging walk aid
TW201238580A (en) Patient support for handling and transfers
JP2007185246A (en) Hanging tool
US20040025250A1 (en) Transfer assembly for use by caregivers to lift, support and move the elderly or infirm
KR101454075B1 (en) Multi Purpose Sling
JP6662985B1 (en) Transfer assistance belt
CN222383649U (en) Sports slings
JP2015009133A (en) Improvement tool for lower back pain or spinal cord injury pain using gravity
JP2001224613A (en) Figure straightening apparatus
CN207768634U (en) Patient in hospital wheelchair Shatter-resistant device
EP4166124B1 (en) Equipment for transferring persons
JP3957661B2 (en) Auxiliary device for holding the sitting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