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982B1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3982B1 KR101453982B1 KR1020120103828A KR20120103828A KR101453982B1 KR 101453982 B1 KR101453982 B1 KR 101453982B1 KR 1020120103828 A KR1020120103828 A KR 1020120103828A KR 20120103828 A KR20120103828 A KR 20120103828A KR 101453982 B1 KR101453982 B1 KR 101453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fidobacterium
- lactobacillus
- kctc
- composition
- lactic ac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3—Lactobacillus acidophi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LR5 균주의 지놈 DNA의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LR5 (Lactobacillus rhamnosus LR5) KCTC 12202BP 균주의 지놈 DNA의 PFGE(Pulse Field Gel Electrophoresis)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LR5 (Lactobacillus rhamnosus LR5) KCTC 12202BP 균주의 효소 활성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 BF3 (Bifidobacterium bifidum BF3)KCTC 12199BP 균주의 16S rRNA 서열 및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 BF3 균주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 T(DSM 20456) 균주의 16S rRNA 서열의 상동성 및 계통발생적 관계를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 BF3 균주의 지놈 DNA의 RAPD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 BF3 균주의 지놈 DNA의 PFGE 분석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락티스 BL3(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BL3) KCTC 11904BP 균주의 16S rRNA 서열 및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락티스 BL3과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T (DSM 10140)의 16S rRNA 서열의 상동성 및 계통발생적 관계를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락티스 BL3 균주의 지놈 DNA의 RAPD 분석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락티스 BL3 균주의 지놈 DNA의 PFGE 분석 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BG7 (Bifidobacterium longum BG7) KCTC 12200BP 균주의 16S rRNA 서열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BG7 균주와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T(ATCC 15707) 균주의 16S rRNA 서열의 상동성 및 계통발생적 관계를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BG7 균주의 지놈 DNA의 RAPD 분석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BG7 균주의 지놈 DNA의 PFGE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BG7 균주의 효소 활성 분석 결과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한 환자의 스크리닝 및 무작위 추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일상생활 및 장증상 개선에 대한 본 발명의 유산균 조성물(실시예) 및 위약(비교예)의 효과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복부 불쾌감 및 복부 팽만감 개선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효과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8은 배변 빈도 및 복부 통증 빈도 개선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효과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유산균 조성물(실시예) 및 위약(비교예)에 의한 복통 증상 호전 여부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유산균 조성물(실시예) 및 위약(비교예)에 의한 배변 습관 변화 여부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유산균 조성물(실시예) 및 위약(비교예)에 의한 전반적인 소화기 증상 개선 효과를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No. | Carbohydrate | Utilized | No. | Carbohydrate | Utilized |
0 | Control | - | 25 | Esculine | + |
1 | Glycerol | + | 26 | Salicine | + |
2 | Erythritol | - | 27 | Cellobiose | + |
3 | D-Arabinose | + | 28 | Maltose | + |
4 | L-Arabinose | - | 29 | Lactose | + |
5 | Ribose | + | 30 | Melibiose | - |
6 | D-Xylose | - | 31 | Saccharose | + |
7 | L-Xylose | - | 32 | Trehalose | + |
8 | Adonitol | - | 33 | Inuline | - |
9 | β-Methyl-xyloside | - | 34 | Melezitose | + |
10 | Galactose | + | 35 | D-Raffinose | - |
11 | D-Glucose | + | 36 | Amidon | - |
12 | D-Fructose | + | 37 | Glycogene | - |
13 | D-Mannose | + | 38 | Xylitol | - |
14 | L-Sorbose | + | 39 | β-Gentiobiose | + |
15 | Rhamnose | + | 40 | D-Turanose | - |
16 | Dulcitol | - | 41 | D-Lyxose | - |
17 | Inositol | + | 42 | D-Tagatose | + |
18 | Mannitol | + | 43 | D-Fucose | - |
19 | Sorbitol | + | 44 | L-Fucose | + |
20 | a-Methyl-D-mannoside | - | 45 | D-Arabitol | - |
21 | a-Methyl-D-glucoside | - | 46 | L-Arabitol | - |
22 | N-Acetyl glucosamine | + | 47 | Gluconate | + |
23 | Amygdaline | + | 48 | 2-Ceto-gluconate | - |
24 | Arbutine | + | 49 | 5-Ceto-gluconate | - |
No | Carbohydrates | Utilized | No | Carbohydrates | Utilized |
0 | Control | - | 25 | Esculine | - |
1 | Glycerol | - | 26 | Salicine | - |
2 | Erythritol | - | 27 | Cellobiose | - |
3 | D-Arabinose | - | 28 | Maltose | - |
4 | L-Arabinose | - | 29 | Lactose | + |
5 | Ribose | - | 30 | Melibiose | - |
6 | D-Xylose | - | 31 | Saccharose | - |
7 | L-Xylose | - | 32 | Trehalose | - |
8 | Adonitol | - | 33 | Inuline | - |
9 | β-Methyl-xyloside | - | 34 | Melezitose | - |
10 | Galactose | + | 35 | D-Raffinose | - |
11 | D-Glucose | + | 36 | Amidon | - |
12 | D-Fructose | + | 37 | Glycogene | - |
13 | D-Mannose | - | 38 | Xylitol | - |
14 | L-Sorbose | - | 39 | β-Gentiobiose | + |
15 | Rhamnose | - | 40 | D-Turanose | - |
16 | Dulcitol | - | 41 | D-Lyxose | - |
17 | Inositol | - | 42 | D-Tagatose | - |
18 | Mannitol | - | 43 | D-Fucose | - |
19 | Sorbitol | - | 44 | L-Fucose | - |
20 | a-Methyl-D-mannoside | - | 45 | D-Arabitol | - |
21 | a-Methyl-D-glucoside | - | 46 | L-Arabitol | - |
22 | N-Acetyl glucosamine | + | 47 | Gluconate | - |
23 | Amygdaline | - | 48 | 2-Ceto-gluconate | - |
24 | Arbutine | - | 49 | 5-Ceto-gluconate | + |
Antibiotics | MIC of BF3 | EFSA breakpoint (mg/L) |
Ampicilin (AMP) | <0.5 | <2 |
Vancomycin (VAN) | <0.5 | <2 |
Gentamycin (GEN) | <8 | <64 |
Kanamycin (KAN) | <64 | n.r. |
Streptomycin (ST) | <32 | <128 |
Erythromycin (ERM) | <0.5 | <0.5 |
Clindamycin (CM) | <0.03 | <0.25 |
synercid (Q/D) | <0.50 | <1 |
Tetracycline (TET) | <8 | <8 |
Chloramphenicol (CP) | <2 | <4 |
No | Carbohydrates | Utilized | No | Carbohydrates | Utilized |
0 | Control | - | 25 | Esculine | + |
1 | Glycerol | - | 26 | Salicine | - |
2 | Erythritol | - | 27 | Cellobiose | - |
3 | D-Arabinose | - | 28 | Maltose | + |
4 | L-Arabinose | w | 29 | Lactose | + |
5 | Ribose | + | 30 | Melibiose | + |
6 | D-Xylose | w | 31 | Saccharose | + |
7 | L-Xylose | - | 32 | Trehalose | - |
8 | Adonitol | - | 33 | Inuline | - |
9 | β-Methyl-xylosid e | - | 34 | Melezitose | - |
10 | Galactose | - | 35 | D-Raffinose | + |
11 | D-Glucose | + | 36 | Amidon | - |
12 | D-Fructose | - | 37 | Glycogene | - |
13 | D-Mannose | - | 38 | Xylitol | - |
14 | L-Sorbose | - | 39 | β-Gentiobiose | + |
15 | Rhamnose | - | 40 | D-Turanose | - |
16 | Dulcitol | - | 41 | D-Lyxose | - |
17 | Inositol | - | 42 | D-Tagatose | - |
18 | Mannitol | + | 43 | D-Fucose | - |
19 | Sorbitol | - | 44 | L-Fucose | - |
20 | a-Methyl-D-mannoside | - | 45 | D-Arabitol | - |
21 | a-Methyl-D-glucoside | - | 46 | L-Arabitol | - |
22 | N-Acetyl glucosamine | - | 47 | Gluconate | - |
23 | Amygdaline | + | 48 | 2-Ceto-gluconate | - |
24 | Arbutine | - | 49 | 5-Ceto-gluconate | - |
w: weak change |
Antibiotics | MIC of BL3 | EFSA breakpoint (mg/L) |
Ampicilin (AMP) | <0.5 | <2 |
Vancomycin (VAN) | <0.5 | <2 |
Gentamycin (GEN) | <16 | <64 |
Kanamycin (KAN) | <256 | n.r. |
Streptomycin (ST) | <16 | <128 |
Erythromycin (ERM) | <0.5 | <0.5 |
Clindamycin (CM) | <0.03 | <0.25 |
synercid (Q/D) | <0.19 | <1 |
Tetracycline (TET) | <8 | <8 |
Chloramphenicol (CP) | <2 | <4 |
원료명 | 비율 (%) |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루스 ST3 유산균 | 2.3 |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LR5 유산균 | 2.1 |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 LA1 유산균 | 2.3 |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락티스 BL3 | 2.3 |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 BF3 비피더스균 | 2.0 |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BG7 비피더스균 | 2.1 |
말토덱스트린 | 50.0 |
옥수수전분 | 35.9 |
이산화규소 | 1.0 |
합계 | 100.0 |
특징 | 실시예 (n=25) | 비교예 (n=24) | P 값 |
연령 | 45.9 ± 13.9 | 43.3± 15.3 | 0.53 |
성별, 남성:여성 | 11:14 | 6:18 | 0.385 |
IBS 타입: 설사형 | 17 | 15 | 0.77 |
IBS 타입: 변비형 | 9 | 8 | 1 |
VAS 평균 스코어±SD | |||
증상 | 실시예 | 비교예 | P 값 |
정상 활동 곤란 | 2.28±1.24 | 4.83±2.30 | 0.17 |
GI 증상 곤란 | 4.64±2.18 | 4.96±1.90 | 0.59 |
복부 통증의 중증도 | 2.32±0.75 | 2.17±0.76 | 0.48 |
복부 불쾌감의 중증도 | 2.64±0.81 | 2.42±0.78 | 0.33 |
설사의 중증도 | 2.24±0.93 | 2.21±0.83 | 0.90 |
변비의 중증도 | 1.92±0.91 | 1.96±1.27 | 0.90 |
복부팽만감 중증도 | 2.72±0.79 | 2.50±1.25 | 0.47 |
가스 통과 중증도 | 3.12±0.93 | 2.79±1.18 | 0.28 |
배변 빈도 | 6.88±4.72 | 6.25±4.58 | 0.63 |
복부통증 빈도 | 2.28±1.24 | 2.50±1.69 | 0.61 |
Targeted species | Primer | Sequence ( 5'-3') | Reference |
B. longum | F | CAGTTGATCGCATGGTCTT | 1,5 |
R | TAC CCG TCG AAG CCAC | ||
B. bifidum | BiBIF-1 | CCACATGATCGCATGTGATTG | 2,5 |
BiBIF-2 | CCGAAGGCTTGCTCCCAAA | ||
B. lactis | F | CCCTTTCCACGGGTCCC | 1 |
R | AAGGGAAACCGTGTCTCCAC | ||
L. acidophilus | F acid IS | GAAGAGCCCAAACCAAGTGATT | 3 |
R acid IS | CTTCCCAGATAATTCAACTATCGCTTA | ||
L. rhamnosus | LU-5 | CTAGCGGGTGCGACTTTGTT | 4 |
RhaII | GCGATGCGAATTTCTATTAT | ||
S. thermophilus | ThI | ACG GAA TGT ACT TGA GTT TC | 6 |
ThII | TTT GGC CTT TCG ACC TAA C |
전체 (N=33) | 설사 그룹(N=23) | |||||
복통 빈도 호전 |
변화 없음 (N=22) |
10배 이상 증가* (N=12) |
P value | 변화 없음 (N=14) |
10배 이상 증가* (N=9) |
P value |
45.5% (10/22) | 91.9% (11/12) | 0.011 | 57.1% (8/14) | 100.0% (9/9) | 0.048 |
전체(N=33) | 설사 그룹 (N=23) | |||||
복통 빈도 호전 | 변화 없음 (N=19) |
10배 이상 증가* (N=15) |
P value | 변화 없음 (N=11) |
10배 이상 증가* (N=12) |
P value |
47.4% (9/19) | 80.0% (12/15) | 0.079 | 54.5% (6/11) | 91.7% (11/12) | 0.069 |
Claims (14)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CTC)에 수탁 번호 KCTC 12202BP로서 국제기탁된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LR5 (Lactobacillus rhamnosus LR5) 유산균.
- 삭제
- 삭제
- 삭제
-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 LA1(Lactobacillus acidophilus LA1(KCTC 11906BP)),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LR5 (Lactobacillus rhamnosus LR5(KCTC 12202B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 BF3(Bifidobacterium bifidum BF3 (KCTC 12199BP)),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락티스 BL3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BL3 (KCTC 11904BP)),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BG7 (Bifidobacterium longum BG7(KCTC 12200BP)),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루스 ST3(Streptococcus thermophilus ST3(KCTC 11870BP)) 또는 이들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유효성분으로서 유산균 혼합물을 108 내지 1012 cfu/g의 함량으로 포함하거나, 동등한 수의 생균을 가진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설사-우세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변비-우세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또는 설사-변비 혼합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락토바실루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루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루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루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루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루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루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루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루스 부츠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루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루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onsonii), 락토바실루스 케피르(Lactobacillus kefir),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박테리움 수도롱굼(Bifidobacterium pseudo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써모필룸 (Bifidobacterium themophil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아돌센티스 (Bifidobacterium adolescentis)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산균을 추가로 포함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제약학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락토바실루스 속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속 유산균 및 스트렙토코쿠스속 유산균을 1:1:1 내지 2:3:1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6종의 유산균을 동일한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산균 균주들을 동결건조하여 생균제 형태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산균 함유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
-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 LA1(Lactobacillus acidophilus LA1(KCTC 11906BP)), 락토바실루스 람노수스 LR5 (Lactobacillus rhamnosus LR5(KCTC 12202BP),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 BF3(Bifidobacterium bifidum BF3 (KCTC 12199BP)),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락티스 BL3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BL3 (KCTC 11904BP)),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BG7 (Bifidobacterium longum BG7(KCTC 12200BP)),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루스 ST3(Streptococcus thermophilus ST3(KCTC 11870BP)) 또는 이들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828A KR101453982B1 (ko) | 2012-09-19 | 2012-09-19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828A KR101453982B1 (ko) | 2012-09-19 | 2012-09-19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1377A Division KR101473147B1 (ko) | 2014-02-24 | 2014-02-24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1020140021374A Division KR101473146B1 (ko) | 2014-02-24 | 2014-02-24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1020140021382A Division KR101453984B1 (ko) | 2014-02-24 | 2014-02-24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7545A KR20140037545A (ko) | 2014-03-27 |
KR101453982B1 true KR101453982B1 (ko) | 2014-10-28 |
Family
ID=5064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3828A Active KR101453982B1 (ko) | 2012-09-19 | 2012-09-19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398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26299A (zh) * | 2020-01-22 | 2020-10-27 |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润肠通便的动物双歧杆菌及其应用与制剂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22282A1 (en) * | 2016-03-21 | 2017-09-27 | Bionou Research, S.L. | Use of probiotics in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psoriasis |
CN113368139A (zh) * | 2021-07-02 | 2021-09-10 | 微康益生菌(苏州)股份有限公司 | 一种具有缓解肠易激综合征功效的微生物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6012A (ko) * | 2007-03-28 | 2010-02-12 | 앨러멘터리 헬스 리미티드 | 프로바이오틱 비피도박테리움 스트레인 |
KR20110104557A (ko) * | 2009-01-12 | 2011-09-22 | 화이자 이탈리아 에스.알.엘. | 프로바이오틱 및 프리바이오틱 성분 및 무기 염을 락토페린과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 |
KR20110125667A (ko) * | 2009-03-05 | 2011-11-21 | 프로바이오티컬 에스.피.에이. | 항염 활성이 높은 박테리아 균주 |
KR20130002545A (ko) * | 2011-06-29 | 2013-01-08 |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2012
- 2012-09-19 KR KR1020120103828A patent/KR10145398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6012A (ko) * | 2007-03-28 | 2010-02-12 | 앨러멘터리 헬스 리미티드 | 프로바이오틱 비피도박테리움 스트레인 |
KR20110104557A (ko) * | 2009-01-12 | 2011-09-22 | 화이자 이탈리아 에스.알.엘. | 프로바이오틱 및 프리바이오틱 성분 및 무기 염을 락토페린과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 |
KR20110125667A (ko) * | 2009-03-05 | 2011-11-21 | 프로바이오티컬 에스.피.에이. | 항염 활성이 높은 박테리아 균주 |
KR20130002545A (ko) * | 2011-06-29 | 2013-01-08 |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26299A (zh) * | 2020-01-22 | 2020-10-27 |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润肠通便的动物双歧杆菌及其应用与制剂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7545A (ko) | 2014-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3058B1 (ko)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683474B1 (ko)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11225641B2 (en) | Probiotic Bifidobacterium strain | |
WO2022140401A1 (en) | Lactobacillu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icrobial infection | |
KR101656208B1 (ko) |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228035B1 (ko) |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US11026983B2 (en) | Bifidobacterium breve CBT BR3 strain for promotion of growth and nutraceutical composition for promotion of growth containing the same | |
KR102024883B1 (ko) |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kbl 375 균주 및 그 용도 | |
KR101589464B1 (ko) | 신규한 비피더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성장촉진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 |
KR101473146B1 (ko)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473147B1 (ko)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20160375069A1 (en) | New strains of the genus Lactobacillus and use thereof | |
KR101453982B1 (ko)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6214162B2 (ja) | 新規の低温耐性ラクトバチルス・ガセリ株 | |
KR20130049554A (ko) |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EP1743042A1 (en) |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exhibiting probiotic properti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 |
KR101453984B1 (ko)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9272007B2 (en) | Strain of L. bulgaricus capable of inhibiting the adhesion of H. pylori strains to epithelial cells | |
KR100868777B1 (ko) | Rs3 유형의 저항 전분에 대해 분해능이 있는비피도박테리움 아도레스센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 |
KR100825500B1 (ko) | 경구 운반체의 개발을 위한 돼지 유래 신규 유산균 및 이의용도 | |
KR100973977B1 (ko) |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의 용도 | |
Imane et al. | Characterization and screening of the potential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um strains isolated of different biotopes | |
KR101589467B1 (ko) | 성장 촉진을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 cbt bf3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성장촉진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2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