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53522B1 - 직물 검단기 - Google Patents

직물 검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522B1
KR101453522B1 KR1020130066286A KR20130066286A KR101453522B1 KR 101453522 B1 KR101453522 B1 KR 101453522B1 KR 1020130066286 A KR1020130066286 A KR 1020130066286A KR 20130066286 A KR20130066286 A KR 20130066286A KR 101453522 B1 KR101453522 B1 KR 101453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roll
inspection table
smok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홍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씨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씨진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씨진명
Priority to KR1020130066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5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3/00Inspect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에 감긴 직물지를 일정한 속도로 검사대 위를 통과시키면서 원단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결함요소(흠집이나 얼룩, 올 풀림 등)를 검사할 수 있는 직물 검단기의 각부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원단 검사대(100)를 기준으로 후방의 맨 아래측에는 롤원단(W)이 안착되는 피검사용 롤원단 셋팅부(200)이 구성되고, 그 위쪽으로는 하부 주름방지용 안내봉(310), 텐션유지용 안내롤(320), 검사대 상부 주름방지 안내봉(330), 원단 고무마찰롤러(340)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검사대(100)의 전측에는 말대(W-1)를 올려놓고 원단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원단자동감김장치(400)가 설치되고, 상기 원단자동감김장치(400)와 원단 검사대(100) 사이에는 검사대 밑단 주름방지 안내봉(510), 중간 텐션 가이드롤러(520), 익스펜더롤러(530)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익스펜더롤러(530)의 전측에는 전기 열선(620)으로 완벽한 고효율 컷팅이 가능한 원단 열선컷팅장치(600)가 설치되고, 상기 원단 검사대(100)의 상면 일단에는 원단의 피딩량을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타코메타(700)가 설치되며, 상기 원단자동감김장치(400)의 회전전달용 체인(450)과 하측의 프레임(10) 사이에는 체인장력조절장치(50);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직물 검단기{The Woven Fabric automatic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롤에 감긴 직물지를 일정한 속도로 검사대 위를 통과시키면서 원단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결함요소(흠집이나 얼룩, 올 풀림 등)를 검사할 수 있는 직물 검단기의 각부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직물 검단기는, 직기에 의해 제직된 원단을 롤로부터 일정한 속도로 풀면서 검사환경이 조성된 검사대(밝게 비치는 조명 아래)를 통과시킴에 따라, 제직 관정에서 발생된 원단의 결함요소(흠집이나 얼룩 등)를 육안(또는 기타의 식별방법 등으로 찾아낼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원단(직물)의 품질 안정성과 후 가공 공정에 대한 신뢰성 확보에 아주 중요한 설비다.
그리고, 직물 검단기는 섬유업이 번성하던 7~80년대부터 오랜 기간에 걸처 사용되어왔을 뿐 아니라 진화를 거듭하면서 현재에는 상당한 기술력이 기반된 다양한 기능과 성능을 갖추고 있다.
물론, 본원 출원인 또한 직물 검단기의 개발과 기술발전에 상당부분 기여한 바 있는 그 장본인이라 할 수 있는 데, 그 산물로 본원 출원인은 출원번호: 20- 1995- 0028091(직물검단기), 20-1993-0019669(검단기의 안내로울러 무단변속장치), 20-2000-0030487(검단기용 권취 보조장치), 20-2000-0015402(검단기 권취부의 지지로울러 승강장치), 20-1999-0005306(검단기의 직물지 열선 절단장치) 등을 비롯한 다수의 특허과 실용신안 등에 대한 출원 및 등록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한 종래의 검단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상당한 기능과 성능을 갖추고 있기는 하지만, 더욱 높은 생산성과 고품질 및 부가성 증대를 위해서는 아직까지 개선되어야할 부분이 상당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즉, 종래의 직물 검단기는 롤원단(피검사 원단이 일정량 감겨진 회전 롤)에서부터 풀려진 후 말대(검사가 완료된 원단을 피딩 회수하여 권취시키는 롤)에 최종적으로 감겨질 때까지 원단을 피딩시킬 때,
주름과 구김이 전혀 없는 효과적인 원단 가이드 및 그 피딩 동작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원단의 이송량(검사된 원단의 길이 값)에 대한 정밀한 측정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효과적인 관리 및 운영에 일부 차질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특히, 열선에 의한 원단 컷팅시 발생되는 연기나 매연으로 인해 작업환경을 크게 해치는 동시에 작업자에게 일부 피해(유독가스 흡입 등)를 유발하는 문제점도 시정되어야할 중요한 요소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롤원단에서부터 말대까지 피딩되는 원단이 더욱더 주름없는 팽팽한 고효율 상태로 안내될 수 있도록 일부 개선된 원단피딩수단을 제공하는 동시에, 메타기로 원단의 피딩량(이송거리)을 측정하는 감지수단 또한 더욱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효과적인 변경구조를 제안함은 물론, 열선에 의한 원단 컷팅시 주어지는 유해인자(연기, 매연, 유독가스 등)에 대한 합리적인 제거수단까지 제공이 가능토록 한 것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단 검사대(100)를 기준으로 후방의 맨 아래측에는 롤원단(W)이 안착되는 피검사용 롤원단 셋팅부(200)이 구성되고, 그 위쪽으로는 하부 주름방지용 안내봉(310), 텐션유지용 안내롤(320), 검사대 상부 주름방지 안내봉(330), 원단 고무마찰롤러(340)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검사대(100)의 전측에는 말대(W-1)를 올려놓고 원단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원단자동감김장치(400)가 설치되고, 상기 원단자동감김장치(400)와 원단 검사대(100) 사이에는 검사대 밑단 주름방지 안내봉(510), 중간 텐션 가이드롤러(520), 익스펜더롤러(530)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익스펜더롤러(530)의 전측에는 전기 열선(620)으로 완벽한 고효율 컷팅이 가능한 원단 열선컷팅장치(600)가 설치되고, 상기 원단 검사대(100)의 상면 일단에는 원단의 피딩량을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타코메타(700)가 설치되며, 상기 원단자동감김장치(400)의 회전전달용 체인(450)과 하측의 프레임(10) 사이에는 체인장력조절장치(50)가 설치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직물 검단기는 전술된 바와 같이 롤원단에서부터 검사대를 거쳐 말대에 이르기까지 피딩되는 원단이 더욱더 주름없는 팽팽한 고효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단의 피딩량(이송거리)을 측정하는 메타기 또한 더욱 원활하고 정밀한 동작을 기대할 수 있음으로 검단공정의 생산성과 품질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은 것은 물론, 열선에 의한 원단 컷팅시 주어지는 유해인자(연기, 매연, 유독가스 등)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환경의 상당한 개선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는 등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직물검단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직물검단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직물검단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직물검단기의 원단 순환예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원단 열선컷팅장치의 부분 파절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단 열선컷팅장치의 측 단면 부분 확대 작동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기흡입제거장치의 측 단면 부분 확대 작동실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기흡입제거장치의 또 다른 응용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연기흡입제거장치의 또 다른 응용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연기흡입제거장치를 전체 부분 확대 작동실시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체인장력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체인장력조절장치의 작동개념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타코메타의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직물 검단기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은 프레임(1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고,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평평하게 펴진 상태로 원단이 지나갈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만들어진 원단 검사대(100);
상기 프레임(10) 후방의 아래측에서 부터 상측에 이르기까지 각각 순서대로 구성되는 것으로, 원단롤(W)에서 풀려진 원단을 안내하면서 주름을 펴주는 하부 주름방지용 안내봉(310), 원단의 텐션을 잡아주는 중간 텐션유지용 안내롤(320), 주름을 다시 한번 펴주는 상부 주름방지 안내봉(330), 원단을 강한 마찰력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고무마찰롤러(340);
상기 검사대(100)의 전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구성되어 있는 한쌍의 말대 회전용 원동롤러(410)와 말대 회전용 피동롤러(420) 사이에 말대(W-1)를 올려놓고 회전시킴에 따라 검사완료된 원단을 자동으로 회수하여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원단자동감김장치(400);
상기 원단자동감김장치(400)와 원단 검사대(100)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검사대(100) 바로 밑에는 주름 없이 팽팽한 상태로 유도될 수 검사대 밑단 주름방지 안내봉(510), 원단의 텐션을 잡아주는 중간 텐션 가이드롤러(520), 원단이 두껍거나 미끄럼이 높은 경우에 사용되는 보조가이드롤러(521), 휨이 형성되어 주름을 펴주면서도 마찰 없이 자유회전되는 익스펜더롤러(530);
상기 익스펜더롤러(530)의 전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말대(W-1, 검사 완료된 원단이 적당량 감져짐에 따라 다른 말대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의 교체에 앞서 요구되는 원단 컷팅시 양측 스프링(610)에 의해 항시 팽팽하게 유지되는 전기 열선(620)으로 완벽한 고효율 컷팅(원단 끝 자락의 실 풀림 흐트러짐방지를 포함하는 깔끔한 절단)이 가능한 원단 열선컷팅장치(600);
상기 원단 검사대(100)의 상면 일단에 측정롤러(710)가 밀착되고 메타몸체(720)는 앞쪽의 지지대(730)에 고정된 상태에서, 검사대(100)의 표면으로 지나가는 원단의 피딩량(이동된 원단의 길이)을 자동으로 확인(수치화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코메타(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는 검사대상체인 롤원단(W)을 준비하여 용이하게 거치해 놓을 수 있는 피검사용 롤원단 셋팅부(2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도면과 같이 상기 프레임(10) 후방의 맨 아래측에 롤원단(W) 하나만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올려놓을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할 수 있지만, 보다 많은 수의 롤원단(W)을 동시에 걸어놓고 연속으로 해권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롤원단 대량 거치대(미도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자동감김장치(400) 중 한쌍의 말대회전용 원동롤러(410)와 말대 회전용 피동롤러(420)의 각 샤프트(411,421)에 구비되는 원동 스프라켓(430)과 피동 스프라켓(440) 사이에 권취되는 회전전달용 체인(450)과 하측의 프레임(10) 사이에는, 상기 체인(450)의 느슨함 또는 처짐을 자동으로 방지하여 항시 팽팽한 고효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체인장력조절장치(50)가 설치되는 데,
이는 상기 체인(450)의 상단부에 걸림된 상태에서 자유 회동이 가능한 걸림롤러(51)가 구성되고, 상기 걸림롤러(51)는 하부로 이어지는 텐션조절바(52)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텐션조절바(52)의 하측에는 프레임과 걸림되어 일정한 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장력유지용 압축 스프링(53)이 결합되는 구조로 설계하면 아주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열선컷팅장치(600)의 전측에는 말대를 교체시 열선으로 원단을 컷팅할 때 상당량 발생되는 유독가스(연기, 매연 등)의 비산과 이로 인한 작업자의 피해(가스흡입)를 최소화(방지)할 수 있는 연기흡입제거장치(800)를 추가로 더 설치할 수 있는 데,
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는 흡입공간(811)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 전측에는 좁은 구멍의 흡입 노즐홈(812)이 뚫려 있으며, 후측에는 흡입팬(810)과의 연통을 위한 연결호스(820)가 결합된 연기흡입관(810)을 횡으로 길게 설치한 구조로 설계하였다.
이때 상기 연기흡입관(810)은, 내부 흡입공간(811)이 하나만 존재하는 일체형 단독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그 중간에 분리막(850)으로 막아서 양분시킨 구조로 설치한 다음, 흡인팬(810)과 연결호스(820)를 각각 별도 두 갈래로 결합시키면 양측으로 빨아당기는 흡입력이 더욱 균일하게 맞춰짐으로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기흡입관(810)의 앞쪽에 뚫려있는 상기 노즐홈(812)은 도면과 같이 좁은 폭의 긴 직사각홈으로 형성하여도 되지만, 그외 장원, 타원, 정원과 같은 다른 모양으로도 얼마든지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노즐홈(812)이 천공된 부위의 연기흡입관(810)에는 필요한 경우 앞쪽으로 갈 수로 넓게 확개된(벌려진) 연기 포집용 호퍼(880)를 추가로 더 형성시키면, 연기 흡입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검사된 원단의 길이를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게 검사대 앞쪽에 설치되는 상기 피딩량 측정용 타코메타(700)의 저면(토크메타의 측정롤러와 상호 밀착 대응되는 검사대의 표면)에는,
하방으로 눌려지면서 회전하는 측정롤러(710)와 그 저면부에서 상호 롤링 대응하는 하부받침롤러(750)를 추가로 더 구비시키면,
그 사이로 지나가는 원단의 원활한 피딩동작에 더욱 효과적일 뿐 아니라, 원단의 저면부와 검사대의 표면간 마찰에 따른 문제점(스크래치 발생, 이물질 부착 현상 등)이 완벽히 해소될 수 있음으로 아주 유용하다.
다음으로, 상기 검사대(100) 표면의 상단에는, 피딩되는 수분이 함유된 원단 이송시 검사대의 표면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원단 들뜸용 안내봉(90)을 설할 수 있는 데,
이는 피딩되는 원단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검사대의 표면에 자꾸 달라붙으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와 같이 검사대(100) 표면의 상단에 단독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상기 검사대(100) 표면의 하단에도 하나 더 설치하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 뒤쪽의 맨 아래측부터 상측까지 순서대로 각각 구성되는, 상기 하부 주름방지용 안내봉(310), 텐션유지용 안내롤(320), 검사대 상부 주름방지 안내봉(330), 원단 고무마찰롤러(340)와, 상기 프레임(10) 앞쪽에 구성되는 상기 검사대 밑단 주름방지 안내봉(510), 중간 텐션 가이드롤러(520), 보조가이드롤러(521), 익스펜더롤러(530) 중,
상기 텐션유지용 안내롤(320)와 중간 텐션 가이드롤러(520)의 경우는 단순하게 직선형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단 이송에 대하여 평범하게 회전되면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상기 하부 주름방지용 안내봉(310)과 검사대 상부 주름방지 안내봉(330) 및 검사대 밑단 주름방지 안내봉(510)의 경우에는, 일정한 길이의 파이프를 원만한 곡형으로 벤딩된 상태의 것으로서, 이를 이용해 원단을 가이딩 하면 양측에서부터 중간으로 갈수록 배가 부른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이 있더라도 자동으로 펴주는 동작이 가능함으로 그 자체로 아주 용이한 구조인 것이고,
특히 상기 익스펜더롤러(530)의 경우는, 원만한 곡형으로 벤딩된 곡형 심봉 외면에 고무롤러를 끼운 다음, 그 곡형 심봉과 고무롤러 사이에 다수의 베어링를 개입하여 곡형심봉 외면에서 고무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원단이 휘감겨 지나가면, 상기 곡형 심봉은 유동이 불가한 고정 상태이지만 그 외측의 상기 고무롤러이 회전함에 따라 직물지와의 마찰저항이 크게 감소되면서 직물이송의 정형화까지 가능함으로 더욱 유용한 롤링구조라할 수 있다.(내부 구조의 상세도면은 생략함)
상기 원단 고무마찰롤러(340)의 경우에는 모터의 동력을 인가받아 돌아가는 회전축의 외측에 일정한 두께의 고무 외피가 감싸져 있을 뿐 아니라 고무외피 표면에 마찰력 증대를 위한 미세돌기가 무수히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 휘감겨 돌아가는 원단을 강하게 피딩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상기 연기흡입관(810)에는 도면과 같이 원단 컷팅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중 원단이 감겨 있는 그 말대를 임시적으로 올려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연기흡입관(810)의 후측에는 원단 컷팅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중 원단이 감겨져 있는 그 말대를 임시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임시 거치롤(920)이 결합된 말대임시거치대(90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말대임시거치대(900)는, 링(ring)과 같이 연기흡입관(810) 둘레를 감싸면서 결합됨에 따라 그 자체로 좌우 일정간격 슬라이 조절이 자유로운 링형 결합부재(910)에 결합 구성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링형 결합부재(910)의 앞쪽에는 노즐홈(812)과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기 내통용 장홈(930)을 뚫으면 아주 용이하다,
그러나, 링형 결합부재(910)는 상기 연기흡입관(810)의 전측에 뚫려있는 노즐홈(812)을 가로막아 흡입을 저해할 수 있음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링형 결합부재(910) 대신 상기 연기흡입관(810)의 후측에 슬라이드홈(951)이 뚫린 가이드브라켓(950)을 부착한 다음 그 가이드브라켓(950)에 결합 구성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W: 원단롤 W-1: 말대
10: 프레임 50: 체인장력조절장치
51: 걸림롤러 52: 텐션조절바
53: 압축 스프링 90: 원단 들뜸용 안내봉
100: 원단 검사대 200: 롤원단 셋팅부
310: 하부 주름방지용 안내봉 320: 중간 텐션유지용 안내롤
330: 상부 주름방지 안내봉 340: 고무마찰롤러
400: 원단자동감김장치 410: 말대 회전용 원동롤러
420: 말대 회전용 피동롤러 411,421: 샤프트
430: 원동 스프라켓 440: 피동 스프라켓
450: 회전전달용 체인 510: 밑단 주름방지 안내봉
520: 중간 텐션 가이드롤러 521: 보조가이드롤러
530: 익스펜더롤러 600: 열선컷팅장치
610: 스프링 620: 전기 열선
700: 타코메타 710: 측정롤러
720: 메타몸체 730: 지지대
750: 하부받침롤러 800: 연기흡입제거장치
810: 흡입팬 811: 흡입공간
812: 흡입 노즐홈 820: 연결호스
850: 분리막 860: 흡입팬
880: 호퍼 900: 말대임시거치대
920: 임시 거치롤 950: 가이드브라켓
951: 슬라이드홈

Claims (9)

  1. 프레임(10)의 전면 중앙에 설치되고,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평평하게 펴진 상태로 원단이 지나갈 수 있도록 평판형으로 만들어진 원단 검사대(100);
    상기 프레임(10) 후방의 아래측에서부터 상측에 이르기까지 각각 순서대로 구성되는 것으로, 원단롤(W)에서 풀려진 원단을 안내하면서 주름을 펴주는 하부 주름방지용 안내봉(310), 원단의 텐션을 잡아주는 중간 텐션유지용 안내롤(320), 주름을 다시 한번 펴주는 상부 주름방지 안내봉(330), 원단을 잡아당길 수 있는 고무마찰롤러(340);
    상기 검사대(100)의 전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구성되어 있는 한쌍의 말대 회전용 원동롤러(410)와 말대 회전용 피동롤러(420) 사이에 말대(W-1)를 올려놓고 회전시킴에 따라 검사완료된 원단을 자동으로 회수하여 감을 수 있도록 하는 원단자동감김장치(400);
    상기 원단자동감김장치(400)와 원단 검사대(100)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검사대(100) 바로 밑에는 주름 없이 팽팽한 상태로 유도될 수 검사대 밑단 주름방지 안내봉(510), 원단의 텐션을 잡아주는 중간 텐션 가이드롤러(520), 보조가이드롤러(521), 휨이 형성되어 주름을 펴주면서도 마찰 없이 자유회전되는 익스펜더롤러(530);
    상기 익스펜더롤러(530)의 전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말대(W-1, 검사 완료된 원단이 적당량 감져짐에 따라 다른 말대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의 교체에 앞서 요구되는 원단 컷팅시 양측 스프링(610)에 의해 항시 팽팽하게 유지되는 전기 열선(620)으로 완벽한 고효율 컷팅(원단 끝 자락의 실 풀림 흐트러짐방지를 포함하는 깔끔한 절단)이 가능한 원단 열선컷팅장치(600);
    상기 원단 검사대(100)의 상면 일단에 측정롤러(710)가 밀착되고 메타몸체(720)는 앞쪽의 지지대(730)에 고정된 상태에서, 검사대(100)의 표면으로 지나가는 원단의 피딩량(이동된 원단의 길이)을 자동으로 확인(수치화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코메타(7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직물 검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자동감김장치(400) 중 한쌍의 말대회전용 원동롤러(410)와 말대 회전용 피동롤러(420)의 각 샤프트(411,421)에 구비되는 원동 스프라켓(430)과 피동 스프라켓(440) 사이에 권취되는 회전전달용 체인(450)과 하측의 프레임(10) 사이에 는, 상기 체인(450)의 느슨함 또는 처짐을 자동으로 방지하여 항시 팽팽한 고효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체인장력조절장치(50)를 설치하되,'
    상기 체인장력조절장치(50)는, 상기 체인(450)의 상단부에 걸림된 상태에서 자유회동이 가능한 걸림롤러(51)가 구성되고, 상기 걸림롤러(51)는 하부로 이어지는 텐션조절바(52)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텐션조절바(52)의 하측에는 프레임과 걸림되어 일정한 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장력유지용 압축 스프링(53)이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 직물 검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컷팅장치(600)의 전측에는,
    열선에 의한 원단을 컷팅시 발생되는 유독가스(연기, 매연 등)의 비산과 이로 인한 작업자의 피해(가스흡입)를 최소화(방지)할 수 있는 연기흡입제거장치(800)를 추가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직물 검단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흡입제거장치(800)는, 내부에 흡입공간(811)이 형성되고, 외부 전측에는 좁은 구멍의 흡입 노즐홈(812)이 뚫려 있으며, 후측에는 흡입팬(810)과의 연통을 위한 연결호스(820)가 결합된 연기흡입관(810)을 횡으로 길게 설치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직물 검단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흡입관(810)의 내부 흡입공간(811)의 중간에는 분리막(850)으로 막아서 양측으로 각각 양분될 수 있고,
    흡인팬(810)과 연결호스(820) 또한 연기흡입관(810)의 양측으로 각각 구분된 두 갈래로 결합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직물 검단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홈(812)이 천공된 부위의 연기흡입관(810)에는 필요한 경우 앞쪽으로 갈 수로 넓게 확개된(벌려진) 연기 포집용 호퍼(880)를 선택적으로 더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직물 검단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량 측정용 타코메타(700)와 맞대응하는 검사대의 표면에는, 하방으로 눌려지면서 회전하는 측정롤러(710)와 그 저면부에서 상호 롤링 대응하는 하부받침롤러(750)를 추가로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직물 검단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100) 표면의 상단에는, 피딩되는 수분이 함유된 원단 이송시 검사대의 표면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원단 들뜸용 안내봉(90)을 구성시키거나,
    또는 상기 검사대(100) 표면의 하단에도 하나 더 추가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직물 검단기.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흡입관(810)의 후측에는 원단 컷팅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 중 원단이 감겨져 있는 그 말대를 임시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임시 거치롤(920)이 결합된 말대임시거치대(900)를 설치한 것과;
    상기 말대임시거치대(900)은, 링처럼 연기흡입관(810) 둘레를 감싸면서 결합되고, 좌우 일정간격 슬라이 조절이 가능한 링형 결합부재(910)에 결합 구성시키거나,
    또는 상기 연기흡입관(810)의 후측에 슬라이드홈(951)이 뚫린 가이드브라켓(950)을 부착한 다음 그 가이드브라켓(950)에 결합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직물 검단기.
KR1020130066286A 2013-06-11 2013-06-11 직물 검단기 Active KR101453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286A KR101453522B1 (ko) 2013-06-11 2013-06-11 직물 검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286A KR101453522B1 (ko) 2013-06-11 2013-06-11 직물 검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522B1 true KR101453522B1 (ko) 2014-10-23

Family

ID=5199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286A Active KR101453522B1 (ko) 2013-06-11 2013-06-11 직물 검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52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3787U1 (ru) * 2018-05-14 2018-10-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 Косыгина (Технологии. Дизайн. Искусство)" Мерильно-браковочная машина с механизмом формирования компенсационной петли
CN111169032A (zh) * 2020-02-08 2020-05-19 湖南江南四棱数控机械有限公司 单轮式数控无芯纱团张力控制装置及方法
CN112320438A (zh) * 2020-09-08 2021-02-05 德清县金丝源纺织品有限公司 一种验布计米系统
CN114474953A (zh) * 2022-01-18 2022-05-13 桐乡市华强布艺织造有限公司 一种用于高强度沙发面料的复合装置
CN115012199A (zh) * 2022-07-07 2022-09-06 杭州萧山东达纺织有限公司 一种高舒适性透气涤粘面料的生产设备
KR102445162B1 (ko) 2022-07-11 2022-09-20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비전센서를 활용한 데이터 추출 및 딥러닝과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한 제직 원단의 결점 검출 자동화시스템
CN117902371A (zh) * 2024-03-15 2024-04-19 晋江市港益纤维制品有限公司 可控制力矩的防褶皱无纺布收卷机及无纺布收卷方法
KR102736692B1 (ko) 2024-01-11 2024-12-02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비전기술을 활용한 원단 결점 검출 시스템
KR20250080148A (ko) 2023-11-28 2025-06-05 주식회사 테스트원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 편직원단 비전검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876Y1 (ko) * 1995-10-06 1998-08-01 강희수 직물 검단기
KR20000019048U (ko) * 1999-04-01 2000-11-06 강희수 검단기의 직물지 열선 절단장치
KR200191654Y1 (ko) 1997-12-22 2001-04-02 강희수 직물검단기의 직물정형장치
KR20060104589A (ko) * 2005-03-31 2006-10-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원단 검사 로링기의 길이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876Y1 (ko) * 1995-10-06 1998-08-01 강희수 직물 검단기
KR200191654Y1 (ko) 1997-12-22 2001-04-02 강희수 직물검단기의 직물정형장치
KR20000019048U (ko) * 1999-04-01 2000-11-06 강희수 검단기의 직물지 열선 절단장치
KR20060104589A (ko) * 2005-03-31 2006-10-09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원단 검사 로링기의 길이 측정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83787U1 (ru) * 2018-05-14 2018-10-0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 Косыгина (Технологии. Дизайн. Искусство)" Мерильно-браковочная машина с механизмом формирования компенсационной петли
CN111169032A (zh) * 2020-02-08 2020-05-19 湖南江南四棱数控机械有限公司 单轮式数控无芯纱团张力控制装置及方法
CN112320438A (zh) * 2020-09-08 2021-02-05 德清县金丝源纺织品有限公司 一种验布计米系统
CN114474953A (zh) * 2022-01-18 2022-05-13 桐乡市华强布艺织造有限公司 一种用于高强度沙发面料的复合装置
CN114474953B (zh) * 2022-01-18 2024-01-30 桐乡市华强布艺织造有限公司 一种用于高强度沙发面料的复合装置
CN115012199A (zh) * 2022-07-07 2022-09-06 杭州萧山东达纺织有限公司 一种高舒适性透气涤粘面料的生产设备
CN115012199B (zh) * 2022-07-07 2023-08-04 杭州萧山东达纺织有限公司 一种高舒适性透气涤粘面料的生产设备
KR102445162B1 (ko) 2022-07-11 2022-09-20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비전센서를 활용한 데이터 추출 및 딥러닝과 머신러닝 알고리즘에 기반한 제직 원단의 결점 검출 자동화시스템
KR20250080148A (ko) 2023-11-28 2025-06-05 주식회사 테스트원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 편직원단 비전검사 시스템
KR102736692B1 (ko) 2024-01-11 2024-12-02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비전기술을 활용한 원단 결점 검출 시스템
CN117902371A (zh) * 2024-03-15 2024-04-19 晋江市港益纤维制品有限公司 可控制力矩的防褶皱无纺布收卷机及无纺布收卷方法
CN117902371B (zh) * 2024-03-15 2024-05-31 晋江市港益纤维制品有限公司 可控制力矩的防褶皱无纺布收卷机及无纺布收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522B1 (ko) 직물 검단기
CN107044987B (zh) 一种面料表面缺陷检测机组及其检测工艺
KR102291526B1 (ko) 연속 맹글 스텐터장치
CN111847044A (zh) 一种全自动验布机及其验布方法
KR101555281B1 (ko) 하우스용 로프 제조 및 권취장치
CN113562520A (zh) 一种能够自动纠偏的验布机
CN114858812B (zh) 一种用于无纺布生产的检测系统
CN110144719A (zh) 一种智能验布机
CN205484106U (zh) 布匹的瑕疵离线检测装置
CN208235200U (zh) 纺织品疵点检测试验台
CN116718608A (zh) 一种应用于工业过滤织物质量检测装置及方法
CN117092111A (zh) 一种用于水刺无纺布的在线连续检测装置
CN112796088B (zh) 一种窗帘生产线及其工艺流程
KR101419842B1 (ko) 검단기의 원단 와인딩 장치
CN105220367B (zh) 一种毛巾带送料装置的输送机构
CN204214760U (zh) 一种高透成形纸检测粉尘装置
CN210506927U (zh) 一种革基布验布机
CN209727795U (zh) 一种全自动验布设备
CN211122581U (zh) 一种布料表面瑕疵检测设备
CN205076523U (zh) 一种卷布机
CN106081699A (zh) 碳纤维织物用验布机及验布工艺
CN213415689U (zh) 一种验布装置
CN215325886U (zh) 卷边验布机
CN213896459U (zh) 一种布料生产用验布机
CN213239956U (zh) 一种布料疵点在线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